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i-67 labeling index as a prognostic marker in advanced stomach cancer

        Sang Hyuk Seo,Kwang Hee Kim,Sang Hoon Oh,Yunseon Choi,Ki Jung Ahn,Ji Young Lee,Sang Min Lee,박지선,Woo Gyeong Kim 대한외과학회 2019 Annals of Surgical Treatment and Research(ASRT) Vol.96 No.1

        Purpose: Proliferation marker Ki-67 is widely used in cancer prognosis prediction. We tried to investigate the role of Ki-67 as a prognostic factor in stomach cancer after surgery in this study.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251 patients who underwent curative resection for gastric cancer from 2010 to 2015. In pathologic examination, Ki-67 labeling index was defined as the percentage of Ki-67 antigen positive cells. Prognostic significance of Ki-67 for gastric cancer was evaluated. Disease-free survival (DFS) was assessed as a primary end-point. Resul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was 28.0 months. Thirty-one patients (12.4%) showed Ki-67 labeling index (LI) lower than 25%. Sixty-eight patients (26.6%) showed recurrence during follow-up period. Recurrence was associated with Ki- 67 LI level (≤25%, P = 0.016), and lymph node metastasis status (P = 0.002). High Ki-67 LI level (>25%) was also related to p53 positivity (P < 0.001) and poorly cohesive type (P = 0.002). The 3-year DFS was 69.4%. Low Ki-67 LI level (≤25%) was related with low DFS (47.6% vs. 72.6%, P = 0.016). T stage (P < 0.001), N stage (P = 0.006), lymphovascular invasion (P = 0.010), and neuronal invasion (P = 0.001) also affected the DFS. In addition, T stage (P = 0.03) and Ki-67 LI (P = 0.035) wer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DFS. In patients treated with adjuvant chemotherapy (n = 239, 93.4%), low Ki-67 (≤25%) was a poor prognostic factor for DFS (P = 0.013). Conclusion: Low Ki-67 LI predicts high rate of progression and low DFS of stomach cancer. Ki-67 LI can be a predictive marker in resected stomach cancer treated with surgery and adjuvant chemotherapy.

      • KCI등재

        정신분열병에 대한 리스페리돈의 효과 및 안정성

        이민수,김용구,김영훈,연병길,오병훈,윤도준,윤진상,이철,정희연,강병조,김광수,김동언,김명정,김상훈,김희철,나철,노승호,민경준,박기창,박두병,백기청,백인호,손봉기,손진욱,양병환,양창국,우행원,이정호,이종범,이홍식,임기영,전태연,정영조,정영철,정인과,정인원,지익성,채정호,한상익,한선호,한진희,서광윤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1

        연구목적 : 본 시험의 목적은 임상시험 시작전에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PANSS Workshop을 통하여 PANSS, ESRS에 대한 국내에서의 표준화 작업을 구축하고 새로운 정신병 치료제인 리스페리돈의 효과와 안정성을 재확인하여 리스페리돈 사용에 대한 적정화를 이루는데 있다. 연구방법 : 1996년 4월부터 1996년 9월까지 국내 39개 대학병원 정신과에 입원중인 혹은 증상이 악화되어 입원하는 정신분열병 환자 377명을 대상으로 다시설 개방 연구를 시행하였다. 1주일간의 약물 배설기간을 가진후, 리스페리돈을 8주간 투여하였고, 기준점, 1주, 2주, 4주, 그리고 8주후에 평가되었다. 용량은 제1일에는 리스페리돈 1mg씩 1일 2회, 제2일에는 2mg씩 1일 2회, 제3∼7일에는 3mg씩 1일 2회 투여하였다. 이후 환자의 임상상태에 따라 임의로 증량할 수 있으며, 최대 일일 16mg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였다. 추체외로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투약을 허용하였다. 임상증상 및 부작용의 평가는 PANSS(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 CGI(Clinical Global Impression) 그리고 ESRS(Extrapyramidal Symptom Rating Scale)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377명중 343명(91%)이 8주간의 연구를 완결하였다. 치료 종결시점인 8주후 PANSS 총점수가 20% 이상 호전된 경우를 약물 반응군으로 정의할때, 약물반응군은 81.3%였다. 리스페리돈에 반응하는 예측인자로는 발병연령, 이전의 입원 횟수, 유병기간이 관련 있었다. 리스페리돈은 1주후부터 PANSS양성, 음성, 및 일반정신병리 점수상에 유의한 호전을 보여 효과가 빨랐다. CGI의 경우도 기준점에 비해 1주후부터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ESRS의 경우, 파킨슨 평가점수는 기준점과 비교해 투여 1주, 2주, 4주후 유의하게 증가되었다가 8주후 기준점과 차이가 없었다. Dystonia 평가점수는 1주후만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dyskinesia 평가점수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압, 맥박수의 생명징후 및 일반 혈액학 검사, 생화학적 검사, 심전도 검사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다시설 개방 임상 연구를 통해 리스페리돈은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양성증상뿐만 아니라 음성증상 및 전반적인 증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보다 명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다른 항정신병약물과의 이중맹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장기적 치료에 대한 평가도 함께 이루어져야 하겠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risperidone in the treatment of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 : This multicenter open study included 377 schizophrenic patients drawn from 39 university hospitals. After a wash-out period of 1 week, the schizophrenic patients were treated with risperidone for 8 weeks and evaluated at 5 points ; at baseline, and 1, 2, 4 and 8 weeks of treatment. The dose was increased from 2mg/day(1mg twice daily) to 6mg/day(3mg twice daily) during the first week and adjusted to a maximum of 16mg/day over the next 7 weeks according to the patient's clinical response. Medication to control extrapyramidal symptoms was permitted. The psychiatric and neurologic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ssessed by PANSS, CGI, and ESRS scales. Results : 343(91%) of 377 patients completed the 8-week trial period. Clinical improvement, as defined by a 20% or more reduction in total PANSS score at end point, was shown by 81.3% of patients. The predictors of response to risperidone were associated older age, shorter duration of illness, fewer previous hospitalization. Risperidone had rapid onset of action ;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 total PANSS and three PANSS factor(positive, negative, general), and CGI was already noticed at the end of first week. For the ESRS, parkinsonism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4 comparing with baseline. Dystonia rat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until week 1, and dyskinesia rating 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during the study. Laboratory parameters including vital sign, EKG, hematological, and biochemical value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the trial.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risperidone is generally safe and effective against both the 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in our group of patients.

      • 운동선수의 임장불안에 대한 연구

        홍관이,이광재,김두경,부기원,노성규,한상준,박기동,오수일,문병용,이철규,박장평,엄기진,박남환 江原大學校附設 體育科學硏究所 1984 江原大學校附設體育科學硏究所論文集 Vol.- No.9

        This study is designed to grasp the elements and situations of stage fright in order to propose a part of ways to cope with it. We make 511 top-class high school players, male and female, in the central districts (Seoul, Inchon, Kyungki, Chungbuk, and Kangweon Province) on object of questionnaire, and get the following results. Through players generally have all-round characters they show weakness in the superiority and emotional stability while showing strength in the sonformity. This fact comes to be related to the elements which cause stage fright. Physiological changes also have many effects on the symptom of stage fright. Especially, stage fright increases when players show sensitive reaction to the self-consciousness of final consequence which comes from the tension or uneasiness of sympathetic nerve, Thus, it turns out that players make use of reducing psychological burden by physical exercise or adjusting the level of demanded result in order to release the stage fright.

      • 중·고 필드하키 선수들의 스포츠 상해에 관한 연구

        하태열,이기광,정종윤 창원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02 경남 체육연구 Vol.7 No.2

        중·고 필드 하키선수들에게 발생하는 스포츠 상해 유형을 규명하기 위하여 2000년 제1회 중·고 연맹 회장기 대회에 참가한 남·여 하키 선수 434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상해 빈도는 신체 부위별로 다리, 팔, 머리, 몸통 순으로 나타났다. 남·여별로는 다리부위에서는 여자, 상지부위에서는 남자가 부상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교별로는 팔, 다리 부위의 부상빈도에 있어서 고등학교가 중학교보다 높게 나타났다. 위치별로는 GK가 다른 위치의 선수들보다 상대적으로 팔부위의 부상 빈도는 높고 다리 부위의 부상 빈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해 증상에 있어서는 피부와 근육상해가 뼈와 관절 상해 빈도의 약 3~4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위치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남자와 고등학교가 여자와 중학교에 비해서 피부와 근 상해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해 이유에 있어서 본인 부주의에 의한 상해원인은 남자는 지나친 승부욕, 여자는 정신력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고등학교는 과도한 연습, 중학교는 정신력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설결함에 의한 상해원인은 모두 장비 불량으로 인해 상해발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장소부적응에 의한 상해원인에 있어서 모두 타구장 부적응에 의한 상해발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당뇨병과 동반된 화농성 간농양의 임상상 및 예후인자

        오은숙,강무일,이원영,오기원,임동준,이소영,이정민,고승현,김성래,안유배,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 대한당뇨병학회 2000 임상당뇨병 Vol.1 No.1

        연구배경: 감염질환은 혈관질환과 함께 당뇨병의 중요한 사망원인의 하나이며, 혈당조절이 불량할수록 감염 빈도가 증가됨은 잘 알려져 있다. 간농양의 발생이 있어서도 당뇨병은 중요한 기저질환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으로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은 Escherichi coli라고 알려져 있으나, 최근 당뇨병을 가진 간농양 환자에서 Klesiella pneumoniae의 검출이 증가되고 있다. 또 최근 연구에 의하면 K.pneumonie가 간농양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K. pneumoniae에 의한 간농양은 K.pneumoniae 이외의 균주에 의한 간농양보다 당뇨병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간농양 환자를 대상으로 당뇨병환자의 빈도를 알아보고, 그 원인균 및 특징을 비당뇨병 환자들의 경우와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1992년 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방사선학적 검사 혹은 수술에 의해 간농양이 확인되거나, 경피적 천자나 수술을 통한 배농액 배양, 혹은 혈액 검사에서 원인균이 증명된 18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임상고찰을 실시하였다. 결과: 화농성 농양을 가진 167명의 환자(남:94명, 여:73명)중 당뇨병을 가진 환자는 54명 (남:30명, 여:24명)으로 32.3%를 차지하였다. 환자의 평균나이는 당뇨군에서 62.1 ± 13.4세, 비당뇨군에서는 55.1 ±15.5세로 당뇨군에서 높았으며(p=0.0021), 남녀간의 평균나이 비교 시 두 군 모두 여성의 나이가 의미있게 높았다. 비당뇨군에 비하여 당뇨군의 경우 저알부민혈증의 빈도와 aspartate transaminase가 증가되어있었다. 원인균주는 K. pneumoniae (당뇨군54%, 비당뇨군 39.1%), E. coli(당뇨군 17.5%, 비당뇨군 18.8%), Pseudomonas aeruginosa, Streptococcus viridans, Enterococcus 순이었으며 두 군간의 의미는 차이는 없었으나 K. pneumoniae의 경우 다른 균종에 비해 단독감염의 빈도가 높았다(82.8%). 사망률은 당뇨군에서 16.7%, 비당뇨군에서 7.1%로 당뇨군에서 의미있게 높았으며(p=0.019), 당뇨군에서의 사망환자는 모두 패혈증이 동반되어 있었다. 당뇨환자의 사망군은 생존군에 비해 당뇨병 이환기간이 길고 혼합감염의 빈도가 높았다(p=0.046). 검사실 소견에서는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가 관찰되어 있었다. 결론: E. coli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라는 기존 보고와는 달리 당뇨군과 비당뇨군 모두 K. pneumoniae가 간농양의 주된 원인균이었다. 또한 당뇨 유병기간이 길고 당뇨조절이 불량한 환자에서 혼합감염이며 총 빌리루빈 및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증가등과 같은 위험인자가 존재할 경우 사망률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이들 군에서는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Liver abscesse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underlying disease, particularly diabete mellitus. The number of the liver abscesses caused by Klebslella pneumoniae in diabetic patient has been increased in Korea nowaday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clinical presentation and prognostic factors of pyogenic liver abscesses, especially in diabetic patients and to determine the proportion of K. pneunomiae as a pathogen in liver abscess in Korea. Methods: Medical records of 167 patients treated for pyogenic liver abscess from January, 1992 through June, 1999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in detail. Major Pathogenic organism, clinical manifestations, prognostic factors, the importance of diabetes mellilus as an underlying disease and its effect on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is were analyzed. Results: Among 167 cases of pyogenic liver abscess, underlying diabetes mellitus was present in 32.3%. The mean age of patients was 62.7 13.4 years in diabetic liver abscess group and 55.1 15.5 years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group. Most liver abscesses were cryptogenic in origin or secondary to the billary tree diseases. The clinical presentations among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compared to patients without diabetes, patients with diabetes had significantly higher proportions of hypoalbuminemia and elevated aspartate transaminase level. The most common organism of the pyogenic abscess was K. pneumoniae in both groups. Percutaneous drainage of the abscess with appropriate antibiotics was the most commonly used therapeutic modality in liver abscess. The mortality rate of diabetic liver abscess is 16.1 % and 7.1% in nondiabetic liver abscess. Complications, especially septicemla, were found more frequently in patients with diabetes than in patients without diabetes (64.8% vs 28.3%, septicemia : 31.5% vs 9.7%). The factors influencing mortality in the diabetic liver abscess were disease duration, mixed infection, presence of septicemia, elevated bilirubin and alkaline phosphatase. Conclusions: In contrast to prior report that the E. coli was the most common pathogen in liver abscess, we found that K. pneumoniae was the most common organism cultured in liver abscess. Diabetic patients have more complications and higher mortality than patients without diabetes. Early detection and proper treat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outcome for diabetic patient with liver abscess.

      • KCI등재후보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Voglibose와 Acarbose의 비교임상연구

        정인경,정재훈,민용기,이명식,이문규,김광원,정윤이,박중열,홍성관,이기업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6 No.2

        연구배경:아카보스와 보글리보스는 ­glucosidase inhibitors로써 비록 약리학적 작용이나 부작용에 있어서 두 약물간에 차이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아직 이에 대한 두 약물간에 직접적인 비교에 대해 연구된 바는 없었다. 이에 저자등은 국내 2형 당뇨병 환자에 대해 유효성과 부작용 발현에 대해 두 약제를 비교하고자 무작위법에 의한 위약 대조군의 이중 맹검법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시험 약제 투여 4주간의 관찰기를 설정하여 공복혈당의 변화가 30㎎/dL 이하이고, 식후 혈당이 200㎎/dL 이상인 환자로 기타 제외 기준에 해당하지 않은 환자 53명을 대상으로 하여 보글리보스 군(24명)과 아카보스 군(29명)으로 무작위로 나누었다. 치료기간은 총 8주로 하였으며, 4주간 간격으로 혈청학적 검사와 부작용을 분석하여 치료 효과가 부작용을 평가하였다. 결과:1)혈당 변화:보글리보스군은 식후 1시간 혈당이 치료 후 4주, 8주째 의미 있게 감소하였도, 아카보스군은 식후 1시간과 2시간 혈당이 치료 후 4주, 8주째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관찰기 혈당에 대한 치료 4주째 감소량은 아카보스군에서 더 큰 경향을 보였으나, 치료 8주째에는 두 군 간의 강하정도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p=0.569). 2)인슐린 치의 변화:보글리스 군은 식후 1시간 인슐린 치가 치료 전에 비해 치료 4주, 8주째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공복 인슐린이나 식후 2시간 인슐린치는 치료전 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아카보스군에서는 치료 전후로 공복 인슐린, 식후 1시간과 2시간 인슐린치에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약제 간에 치료 전과 치료 8주사이의 식후 2시간 인슐린의 감소량이 보글리보스 군에서 의미있게 높았다(p=0.040). 3)당화혈색소:보글리보스 군은 치료 전에 비해 치료후 당화혈색소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아카보스군은 치료 전에 비해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당화혈색소 변화량은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p=0.412). 4)지질대사의 변화:중성지방, 콜레스테롤, 고밀도 진단백 콜레스테롤에 대해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5)부작용:소화기계 부작용의 빈도는 치료 4주째 보글리보스 군에서 의미 있게 낮았으나(p=0.028), 치료 8주째 부작용의 빈도는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p=0.215). 결론:2형 당뇨병 환자에서 보글리보스와 아카보스의 두 약제의 임상적 유효성과 부작용발현에 대해 비교한 결과 치료 후 8 주 후 혈당강화효과는 두 약제간에 유사한 효과를 보였으나 보글리보스군에서 4주째의 초기 위장관 부작용이 적었다. Background : Acarbose and voglibose are alpha-glucosidase inhibitors. Although different pharmacological effects and adverse abdominal events associated with the two drugs have been reported, no study directly compared acarbose and voglibose in diabetes has been undertaken. To compare the pharmacological effects and gastrointestinal adverse events between two drugs,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double-bind study was performed in type 2 diabetes patients. Methods : The period of study was 12 weeks(observation period: 4 weeks; treatment period: 8 weeks). Fifty-three patien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the acarbose group: 24 patients; the voglibose group: 29 patients). The serum glucose, insulin, fructosamine, HbA_1c,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the incidence of adverse events were measured. Results : 1) The reduction of glucose from before treatment to 4 weeks after trea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carbose group, but the change before treatment and 8 weeks after treatment in the two groups was similar(p=0.569). 2) The insulin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voglibose treatment(p=0.040). 3) HbAa_1c level tended to decrease in voglibose group,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after acarbose treatment. However, the change in HbA_1c level before and after treatment was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p=0.412). 4) The two drugs did not cause any other changes in the total, H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5) The number of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adverse events was significantly low 4 weeks after voglibose treatment (p=0.049), but the incidence in the two groups was similar after 8 weeks(p=0.215). Conclusions : Acarbose and voglibose significantly improved postprandial hyperglycemia in diabetes. The incidence of gastrointestinal adverse events was low 4 weeks after voglibose treatment(J Kor Diabetes 26:134~145, 2002).

      • 여고생의 BMI와 체력과의 상관관계

        이광무,고기준,한재웅,김태운,김종원 釜山大學校 附設 體育科學硏究所 1998 體育科學硏究所 論文集 Vol.1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of BMI and physical fitness in high school girls. The subjects were high school girls(n=295). The measurement items are physical fitness, physique, physique index(BMI : Body Mass Index).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1. The record of 100M sprint, standing long jump, and sit ups showed a slack downward curve(low record) as BMI rises. 2. The record of softball showed a slack upward curve(high record) as BMI rises. 3. The record of 800M run, sit-ups and softball throw, from the top to the bottom. 4. The order of correlation between BMI and physical fitness was, flexed-arm hang, 100M sprint, standing long jump, 800M run, sit-ups and softball throw, from the top to the bottom. Therefore, we concluded that correlation BMI and physical fitness showed not so high.

      • KCI등재
      • Fluoroquinolone계 항균제의 penicillin 내성 폐렴구균(Streptococcus pneumoniae)에 대한 항균력 비교

        이광준,배송미,황규잠,이영희,김기상 대한화학요법학회 2002 대한화학요법학회지 Vol.20 No.3

        목적 : 최근들어 penicillin 내성 폐렴구균의 급속한 증가와 전세계로의 확산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1990년대 들어 그람음성 세균뿐 아니라 그람 양성 세균에 대한 항균력이 향상된 많은 fluoroquinolones계 항균제의 개발에 힘입어 폐렴구균성 감염질환 치료시 사용이 증대되고 있으며 한편, 이와 더불어 이미 fluoroquinolone계 항균제에 대한 내성을 보이는 폐렴구균에 대한 보고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국내 임상 분리 폐렴구균 중 penicillin에 고도내성을 보이는 균주를 대상으로 하여 fluoroquinolones계 항균제에 대한 감수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항균제 감수성 검사는 3% 말혈액이 첨가된 Mueller-Hinton broth를 사용한 액체배지 미량희석법을 이용하여 NCCLS에서 제시한 방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 MIC_90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본 실험에서 사용한 5가지의 fluoroquinolones계 한균제 중 gatifloxacin과 moxifloxacin(MIC_90, 0.5㎍/㎖)이 ciprofloxacin (MIC_90, 4㎍/㎖), levofloxacin (mic_90, 2㎍/㎖) sparfloxacin (MIC_90, 1㎍/㎖)에 비해 penicillin 내성 폐렴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 5가지의 fluoroquinolones계 항생제 중 최근들어 새로이 개발된 항생제인 moxifloxacin과 gatifloxacin이 ciprofloxacin, levofloxacin, sparfloxacin보다 폐렴구균에 대한 더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국내 페니실링 고도 내성 폐렴구균에서 fluoroquinolones에 대한 고도 내성을 보이는 균주의 출현은 fluoroquinolones 내성 균주의 급속한 증가와 확산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와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Background : Recently the rapid increase and global spread of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has become a serious problem. In the 1990s, a varisty of novel fluoroquinolones with enhanced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have been developed and used for the treatment of pneumococcal infections. In such situations, the fluoroquinolone-resistance in S. pneumonaie has been reported from many countries.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activity of ciprofloxacin, levofloxacin, sparfloxacin, gatifloxacin and moxifloxacin against 93 isolates of S. pneumoniae which were highly- resistant to penicillin (MIC 2~8㎍/㎖). methods : Antimicrobial susceptibilities were determined by the broth microdilution method in cation-adjusted Muller-Hinton broth supplemented with 3% lysed horse blood according to the guidelines of the National Committee for Laboratory Standards (NCCLS). Results : Based on MIC_90s, sparfloxacin and moxifloxacin were the most potent fluoroquinolone tested against penicillin-resistant S. pneumoniae and retained excellent activity comparable with ciprofloxacin and levofloxacin. The rank order of bactericidal activity was ciprofloxacin (least active)《 levofloxacin 〈 sparfloxacin 〈 gatifloxacin and moxifloxacin (most active).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newer fluoroquinolones (moxifloxacin, sparfloxacin)showed improved activity over that observed with ciprofloxacin, levofloxacin, and sparfloxacin. The emergence of highly resistance to fluoroquinolones among penicillin-resistant pneumococci in Korea call for continuous attention and strategies to prevent rapid increase and spread of these strai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