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riven by peace operations: a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OK-U.S. alliance

        Jei Guk Jeon 한국국방연구원 2010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Vol.22 No.4

        This article explores ways to find a balance in the asymmetry reflected in ROK-U.S. security relations. For a bilateral alliance to be developed into a healthy strategic partnership, reciprocity should be applied. From the outset, however, the ROK U.S. alliance was born out of an imbalance, and this character still persists. With no substantial change in the North's threats and geopolitical setting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gravity of the alliance will continue to lean toward the United States. However, turning to the global dimension, there is room for balancing the relationship on the part of the ROK. It is to take part in the U.S.-led Multinational Peace Operations. After 9/11, the United States has badly needed assistance from its allies, engaging in a tough war on terrorism. So far the ROK has deployed troops several times as part of the U.S.-led Multinational Forces (MNF) missions. Yet, except for fighting in the Vietnam War, South Korea's troop deployment appears relatively limited, thus having a limited effect on the bilateral relationship. Hence, it is necessary for the ROK to participate in peace operations in a more proactive manner. In tandem, the asymmetry on the Peninsula could be balanced to some extent in the global dimension.

      • SSCISCOPUSKCI등재
      • SSCI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SSCISCOPUSKCI등재
      • KCI등재

        국방문민화의 본질에 관한 소고(小考): 문민통제 vs 국방의 효율성

        전제국 ( Jeon Jei Guk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21 국방연구 Vol.64 No.2

        국방부의 존재 이유는 ‘안보’와 ‘자유’를 동시에 지켜내는 데 있다. 하나는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국가의 생존권을 수호하는 안보기능이고, 다른 하나는 쿠데타(coup)와 같은 내부의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기본권을 지키기 위한 문민통제 기능이다. 우리나라 국방부도 처음에는 자유와 안보의 수호기관으로 창설되었다. 하지만 1961년 5.16 군사정변을 계기로 문민통제기능은 보이지 않고 안보기능이 중심을 이루어왔다. 국방부 조직도 문민 중심에서 군인 중심구조로 바뀌었고 국방정책에 대한 주도권 역시 군인에게 넘어갔다. 이처럼 주객(主客)이 전도(顚倒)된 국방부의 인력구조를 바로 잡아 특히 문민통제 기능을 되살리려는 것이 국방문민화이다. 이는 군에 대한 문민통제를 제도화하여 대한민국의 이념적 존립근거 ‘자유민주주의’를 지키려는 데 그 본질이 있다. 그런데 실제로는 국방의 효율성을 앞세우고, 군인 위주의 국방부 조직구조를 문민중심으로 바꾸어나가는 것으로 그 의미를 대폭 축소하였다. 한편, 국방개혁의 이름으로 문민화의 시한과 목표비율을 관계법령에 정해놓고 2005년부터 적극 추진한 결과, 문민화 비율이 과거 50% 수준에서 현재 70% 이상으로 대폭 증가했다. 하지만 이는 겉모습일 뿐 실질은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 문민화의 실질이 채워지려면, 먼저, 문민화의 본질에 대한 인식부터 바로 세우고, 부서별ㆍ군별 문민화의 불균형 해소 및 공무원의 전문성 강화 등을 통해 문민화의 완성도를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이로써 국방의 문민화와 효율성이 조화와 균형을 이루며 국방부의 이중임무 완수를 견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raison d'etre of the defense ministry in democracies lies in protecting both 'security' and 'liberty.' On the one hand, it must safeguard national security against external threats; on the other, it has to protect the liberty of the people against internal threats such as coup, based on the principle of civilian control over the military. The Republic of Korea's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was also established as a guardian of freedom and security. However, with the May 16 Coup in 1961, its function of civilian control disappeared, and it has been serving as a central axis of national security. The Ministry’s organizational structure has also shifted from the civilian-based to military-centered, and the hegemony in the policy-making process has been transfered from civilian to military officers. It is civilianization to rectify the abnormality built-in the Ministry's workforce mix and hence to revive its civilian control function. The substance of civilianization is to protect the ideological identity of the Republic of Korea, “liberal democracy" by institutionalizing the democratic principle of civilian control. Nevertheless, in reality, the concept of civilianization has been reduced to a part of defense reform to change the Ministry’s structure from the military-dominant to civilian-centered, in the name of defense efficiency. The target ratio of civilianization was set up in the relevant laws and it has been strongly pursued since 2005. Now the ratio of civilianization appears dramatically increased from less than 50% to over 70%. However, it seems that the substance has not been fulfilled yet. In order to realize the essence of civilianization, first of all, there must be a right understanding and clear cognition of the root of civilianization. In tandem, the completeness of civilianization should be leveled up through such efforts to resolve the imbalance of civilianization across departments and services, and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civilian officials. By doing so, civilianization, coupled with defense efficiency, is expected to facilitate the fulfillment of the Ministry’s dual mission.

      • KCI등재

        국방기획관리제도의 이상과 현실 -제도 개선 방안을 중심으로-

        전제국 ( Jei Guk Jeo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3 국방연구 Vol.56 No.4

        국방의 성패는 방대한 조직·인력·자원을 효율적으로 통합하고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시너지효과를 내도록 제도화하는데 달려있다. 그 일환으로, 국방기획관리제도(PPBEES)가 도입되어, 모든 국방사업은 장기기획(P)-중기계획(P)-예산편성(B)-사업집행(E)-분석평가(E)로 이어지는 일련의 단계를 거치며 일사불란하게 추진되도록 체계화되었다. 그동안 PPBEES는 제한된 자원으로 자주국방의 기초를 다지고 미래지향적 군사력 건설에 이바지하였다. 하지만 21세기 정보문명시대가 열리면서 그 실효성이 퇴색하고 있다. 이제 PPBEES는 시대에 뒤떨어진 제도가 되어 국방발전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PPBEES의 한계는 무엇보다도 ‘합리주의(rationalism)’에 사상적 뿌리를 둔 ‘산업화시대의 산물’로서 인간의 능력은 과대평가하고 정치적 영향력은 과소평가하는데서 비롯된다. 앞으로 PPBEES가 국방발전의 산실(産室)로 기능하려면, ‘자유의지(+창의력)’를 가진인간의 본성과 21세기 정보문명 패러다임에 맞게 재설계되어야 한다. 모든 국방조직·구성원들이 창의적 발상으로 유연하게 반응하며 신속하게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수많은 단계와 복잡한 절차, 실타래같이 얽혀있는 문서체계를 대폭 축소하여 ‘간결하고 유연한 시스템’으로 탈바꿈해야 할 것이다. Success or failure of national defense defends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efficient management system. Defense Ministry has thus introduced the PPBEES(Planning, Programming, Budgeting, Execution, and Evaluation System) in 1979. All defence projects are designed to be coherently implemented through a series of such procedures as long-term planning, mid-term programming, annual budgeting, execu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PPBEES has so far contributed to ROK`s military build-up in an efficient and futureoriented manner. However, its effectiveness has deteriorated with the emergence of the information age in the 21st century. Now it deters a dynamic development of national defense. Its inherent limitation originates from its founding ideology, rationalism, which overestimates the potential of human beings while underestimating political constraints. Mankind is neither omnipotent like the God nor a well-functioning gadget. Also, as if nothing is free from politics, no defense project could be pursued in a political vacuum. For PPBEES to function as an engine of defense development,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redesign its basic structure and processes, reflecting human nature with a free-will as well as a new paradigm of the information age. Among other things, multiple phases, obscure procedures, and complicated documents must be reduced to a minimum, thereby transforming it into a simple and flexible system in which all defense-related organizations flexibly respond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make timely decisions with creative ideas.

      • KCI등재

        국방문민화 과정의 재조명 -성과와 과제를 중심으로-

        전제국 ( Jei Guk Jeon ) 국방대학교 안보문제연구소 2010 국방연구 Vol.53 No.2

        오늘날 국방문민화 문제는 문민통제와 같은 원론적 문제가 아니라 국방정책의 효율성 문제로 귀결된다. 국방부는 업무의 특성상 현역군인과 민간 공무원이 상호보완적으로 기능하는 ``민군 공조체제``로 출발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군 출신 중심으로 운영되는 동안 민간공무원의 역할은 대폭 축소되고 조직문화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등 국방의 역동적 발전을 제약하고 있었다. 이에 2005년부터 국방개혁의 일환으로 문민화의 목표연도(2009)와 비율(70%)을 관계법령에 정해놓고 강력하게 추진되었다. 그 결과 2009년까지 국장·과장급의 70% 정도가 민간 인력으로 채워졌다. 하지만 현역이 물러간 자리는 주로 예비역과 외부인사로 채워지고 국방부 출신은 뒷전으로 물러났다. 이는 당장 내부로부터 인재를 찾기 어려웠다는데 일단의 원인이 있었겠지만, 너무 성급하게 추진된 결과로 보인다. 이제부터라도 눈을 안으로 돌려 내부 공무원들의 잠재역량 강화에 중점을 두고 모든 인사관리와 교육훈련을 강화하는 한편, 이렇게 양성된 인재들이 자연스럽게 주요직위를 채워가는 시스템이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Today the issue of civilianizing the defense sector is not a matter of a democratic principle of civilian control over the military but rather one of efficiency in defense management.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 (MND) was established as a military-civilian complex based on complementary collaboration between the military and civilian staff. However, the gravity of the MND has shifted towards military personnel, and the civilian officials have been marginalized. From 2005 onwards, therefore, the civilianization of the MND HQs has been strongly executed as a central part of ``Defense Reform 2020.`` As planned, by 2009 about 70% of director-generals and division directors have been staffed by civilians. Upon closer inspection, however, most of the high-ranking posts formerly occupied by military officers have been filled with retired generals and/or incoming personnel, not by civilian officials already within the MND. The Ministry has yet to turn its focus inward and place top priority on cultivating potential competencies and expertise among civilian staf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defense policy largely depends on the competencies of civilian officials who have long been working for the MND. Hence it should pay a particular attention to educating and training civilian employees while institutionalizing a system by which talented and trained civilians automatically assume higher posts.

      • KCI등재

        국방비 소요 전망과 확보 대책

        전제국(Jeon, Jei Guk)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017 전략연구 Vol.24 No.3

        생존은 모든 생명체에게 ‘절대선’이다. 국방비는 국가 생존을 지켜내는데 필요한 비용이다. 그런 만큼 국방비는 국가경영의 양대축인 안보와 경제가 선순환 되도록 ‘안보위협정도’와 ‘재정적 부담능력’이 균형을 이루는 접점에서 결정되는 것이 정도(正道)이다. 21세기 복합적 안보위협과 복지소요 분출에 따른 재정적 압박을 동시에 고려하면, 국방비 적정수준은 GDP 3% 정도가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한국의 국방비 부담률은 1990년대부터 하향추세로 접어들어 2017년 현재 GDP 2.4%에 머무르고 있다. 이제 한국군은 눈앞의 군사전선을 넘기 전에 예산전선부터 넘어야 한다. 예산전선을 넘지 못하면 군사전선도 넘을 수 없기 때문이다. 이에 필자는 한국군 앞에 놓인 예산전선의 실상을 재조명하고 이를 무사히 넘을 수 있는 정책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일환으로, ‘전략-전력-예산의 연계구도’속에서 문제를 식별하고 해법을 모색할 것이다. 이는 장차 한국군이 국방자원의 제약조건하에서 싸워 이기려면 ‘창의적 전략이 있어야하고 전략개념에 맞는 전력구조와 예산소요가 뒤따라야 한다’는 기본명제에 근거한다. Survival is an absolute good to all creatures. A nation state can survive and develop on the basis of solid security and prosperous economy. In this context, defense budgets should also be determined at the point where the level of military threat and the government"s financing capacities are on an equilibrium. In light of the ever-rising security threats and fiscal constraints, the proper level of defense budgets would be 3.0% of GDP. However, the ratio of defense expenditure to GDP has been declining since 1990s and is now fixed at around 2.4%. From now on, therefore, the ROK armed forces must cope with fierce competition over budget allocation before it encounters the enemy on the battle front. This is because they cannot make a breakthrough in the battle without overcoming budget constraints. Against such backgrounds, this paper attempts to explore discrepancies between theory and practice of resource allocation for national defense and make policy recommendations to secure a proper level of defense budgets. In this regard, discussions over policy problems to alternatives are conceptualized by such a guiding principle that the military strategy determines the force structure, which in turn conditions budget requir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