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김나현 ( Na Hyun Kim ),이은주 ( Eun Joo Lee ),곽수영 ( Su Young Kwak ),박미라 ( Mee Ra Park ) 여성건강간호학회 2013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19 No.3

        본 연구는 취업모가 경험하는 양육부담감의 본질을 탐색하기 위해 시도된 현상학적 연구로 양육부담감의 7가지 주제모음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첫 번째 주제모음은 ‘끊임없이 갈등하는 삶’으로, 참여자들은 일과 양육을 병행하며 힘겨운 시간을 보내지만 아무도 그들의 고충을 이해하고 지지해주는 사람이 없어 힘들어 하였다. 성공중심의 사회속에서 자녀를 잘 기르기 위한 궁극적 목표를 가지면서도 자기계발에 대한 부담과 아이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지 못하는 양육 현실 간의 상충되는 상황으로 인하여(Yang, 2011) 갈등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취업모가 가정에서 ‘엄마’로서의 책임을 다해야 하고, 직장 내에서도 여성으로서 특별한 배려의 대상이 되지 않기 위해 노력하기 때문에 두 역할사이에서 힘들어 한다는 Kim, Kim과 Lee (2011)의 연구결과를 뒷받침해 주었다. 이러한 고민과 갈등은 양육 스트레스를 더욱 가중시켜 자녀를 둔 젊은 취업 여성들뿐만 아니라 미혼여성들에게도 자녀 출산을 고민하게 하는 요인으로 이어지고 있으므로(Kim et al.,), 출산을 장려하고 양육부담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일, 가정 양립 지원책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두 번째 주제모음은 ‘죄책감’으로, 참여자들은 전업주부처럼 온종일 아이를 잘 보살펴주지 못하여 미안해하고 죄책감을 느꼈다. 이는 특히 우리나라 여성들은 전통적으로 자녀를 위한 희생정신과 책임감이 강하여 돌봄이 부족하거나 양육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 죄책감을 많이 느끼기 때문으로(Sung & Park, 2011), Yang과 Shin (2011)의 연구에서도 유사한 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미안함과 죄책감 때문에 참여자들은 의도적인 스킨십으로 사랑을 각인시키고, 자녀가 원하는 물건을 갖게 함으로써 부족한 엄마 역할을 만회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하는 어머니와 집에 있는 어머니 간 영유아 자녀의 발달위험 정도에 차이가 없다는 연구결과(Korea Institute of Child Care and Education, 2011)에서도 알 수 있듯이 어머니의 취업이 아이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기때문에 취업모들은 자녀에게 갖는 과도한 죄책감에서 벗어나 현명하고 일관적인 양육태도를 취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또한 참여자들은 아이에게 미안해하면서도 일, 가사, 육아를 동시에 감당해야 하는 과중한 부담과 피로로 인해 쉽게 짜증을 내는 것으로 드러났는데, 이것은 직장에서의 스트레스와 피로가 가시기도 전 또 다른 노동을 시작해야 하는 이중의 긴장 속에서 육체적, 정신적 소진을 경험하기 때문일 것이다. 스스로 감정조절에 실패한 취업모는 미안한 마음과 죄의식을 느끼고 이를 만회하고자 최대한 행복한 모습을 보여주고 질적으로 더욱 집중해야 한다는 부담을 더 가지게 된다(Kim & Chang, 2008). 이러한 현상은 육체적 피로뿐만 아니라 해결 되지 않은 스트레스로 인해 모아관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되고, 자녀의 성장에도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Yoon, Hwang, & Cho, 2009) 적절한 휴식과 스트레스 해결을 위한 시간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 주제모음은 ‘아이교육에 관한 정보와 시간부족으로 불안함’으로, 참여자들은 자신은 일을 하고 있어서 절대시간이 부족함에도 자녀교육에 임하는 자신의 처지를 전업주부와 끊임없이 비교하면서 조급하고 불안해(Mishina, Takayama, Aizawa, Tsuchida, & Sugama, 2012; Yang & Shin, 2011) 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자녀교육열이 매우 높고 자녀의 성공 여부에 따라 능력있는 어머니로 평가되기 때문에 취업모에게 자녀교육은 이중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Lee, 2007). 게다가 참여자들은 늦은 퇴근 시간과 피로함으로 자녀의 학습 조력자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함으로 인해 현재 자녀의 학업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장래까지도 염려하였다. 이와 같은 현상은 자녀양육에서 교육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주어진 여건 속에서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지만 교육 문제에서만큼은 늘 부족하다고 느끼며, 이로 인해 받는 양육 스트레스도 매우 큰 것으로 보인다. 네 번째 주제모음은 ‘부족한 엄마로 낙인찍힘’으로, 참여자들은 고된 삶을 누구에게든 편하게 털어놓고 위로 받고 싶었지만 오히려 전업주부보다 육아에 더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었고, 부족한 엄마라는 낙인이 늘 따라다녔다. Yang과 Shin (2011)의 연구에서도 취업모는 ‘가정을 포기한 여자’라는 인식과 여성의 역할을 가족 중심에 두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힘들어 하였다. 하지만 실제 취업모와 비취업모를 비교하였을 때 가정에서의 안전사고나 입원 경험 등에 차이가 없으며 양육태도 측면에서도 더 긍정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Bang, 2004). 즉 육아의 책임을 여성에게 떠넘기는 우리 사회의 불공평한 편견과 오해 속에서도 취업모는 최대한 아이에게 소홀 하지 않기 위해 부단하게 노력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다섯 번째 주제모음은 ‘소원해진 가족관계’로, 육아에 대한 가치관의 차이나 비협조는 가족 간 갈등을 초래하였으며, 이로 인해 가족관계가 소원해지고 사이가 멀어졌다. 본 연구에서 참여자의 양육방식과 차이를 보이는 대리양육자는 대부분 할머니였으며, 대리양육자와의 육아갈등은 Kim과 Seo (2007)의 연구에서도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취업여성의 경우 배우자와의 불평등한 역할분담과 자녀교육방식에 불만을 갖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심리적 부담을 가중시키게 되는데(Lee, 2008) 본 연구에서도 참여자들의 양육부담감은 남편의 무관심이나 비협조적인 태도로 인해 더욱 가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전과 달리 남성들이 여성의 취업을 지지하고 가사를 분담하는 등 도움을 주고 있지만 여전히 역할분담이 공평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Yang & Shin, 2011) 보인다. 외국의 경우 법적으로 자녀 양육의 책임을 부모에게 공동으로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Kim & Seo, 2004) 양육을 인식하는 무게 정도가 우리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자녀양육의 책임을 개인이나 가족내의 문제로 남겨두기보다는 좀 더 제도적인 차원에서 접근한다면 취업모가 경험하는 역할 부담을 덜어줄 수 있을 것이다. 여섯 번째 주제모음은 ‘지쳐가는 삶’으로, 평상시에는 물론 특히, 급한 일이 생겼을 때 도움 받을 곳이 없어 어떠하든 혼자서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 매우 힘들어 하였다. 이럴 때마다 취업모는 더욱 극심한 갈등을 겪음과 동시에 심신이 지쳐가는 경험을 반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im 등(2011)도 부부가 함께 일하기 때문에 육아를 분담해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막상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면 ‘자연스럽게’ 여성의 책임으로 여기게 된다고 하였다. 이는 남편이 육아에 협력하기는 하지만 도와주는 정도의 수준으로,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남편의 가치관과 태도는 전통적인 성역할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Yang & Shin, 2011) 해석할 수 있다. 마지막 주제모음은 ‘하루하루 버텨나감’으로, 참여자들은 지금은 힘들지만 아이가 자라면 엄마의 부재를 이해하고, 자랑스러워 할 것이라 생각하였다. 즉, 현재 자신이 양육에 매진 하지 못하는 상황을 애써 긍정적으로 합리화하면서 버텨나가기 위해 노력하였다. 실제로 사춘기 딸의 경우 엄마의 사회적 성공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성공한 엄마를 자신의 역할 모델로 삼고 있어(Jeong, 2005) 취업모의 이러한 합리화는 현재의 양육부담감을 이겨나가는 긍정적인 방어기제로 보인다. 주목할 점은 취업모의 삶이 힘겹고 지쳐가지만 본 연구참여자들은 전업주부로 돌아가기를 원하지는 않았다. 그 이유는 전업 주부로서 감당해야 할 양육과 가사일이 두렵기도 하지만(Kim et al., 2011) 사회로부터의 단절과 고립을 원하지 않으며 (Kim & Seo, 2012) 일을 하면서 얻는 성취감도 큰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결과에서 취업모들은 육아와 일 사이에서 갈등함, 육아에 대한 죄의식, 충분한 사랑과 보살핌을 주지 못한 미안함, 남편의 방관자적 태도에 불만을 가짐, 슈퍼우먼을 바라는 주변의 요구, 신체적 피로로 인한 잘못된 양육태도, 아이 교육을 걱정함, 전업주부와 교류가 없고 소외됨, 아이들이 자라면 엄마를 자랑스러워 할 것이라 생각함 등은 취업모의 양육 경험에 관한 선행연구(Kim et al., 2011; Kim & Chang, 2008; Yang & Shin, 2011)의 결과와 유사하게 도출되었다. 그러나 가족 관계가 소원해짐, 지쳐가는 삶, 하루하루 버텨나감 등의 새로운 주제모음이 도출되었다. 즉, 양육방식에 있어서의 가족간 의견 차이로 가족관계 마저 소원해진 채로 힘든 나날을 보내고 있었으며, 이러한 갈등과 부담감으로 삶은 지쳐가지만 자녀들의 미래와 자녀들이 자신의 노고를 알아줄 것이라는 희망으로 힘겨운 시간을 보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취업모의 이러한 부정적인 양육경험은 둘째, 혹은 셋째 아이의 출산을 포기하게 만들어 저출산의 문제를 더욱 가중시키는 것으로 짐작된다. 따라서 어린 아동을 둔 취업모의 양육부담감을 줄이기 위하여 양육부담감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저출산의 문제를 해결하는 실질적이면서도 다차원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불어 취업모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그들의 미안한 마음을 위로해야 하며, 취업모 역시 잘못된 모성애적 믿음에서 비롯된 죄의식에서 벗어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ssential structure of the lived experience of working mothers` parenting burden in Korea. Methods: Eight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re interviewed. The Colaizzi analysis of phenomenological research was applied. Results: Seven theme clusters were extracted: a life with constant conflict, sense of guilt, feeling anxious because of lack of information about education for their children, social stigma as a deficient mother, family relationship becoming distant, a life being exhausted, day to day struggle. Conclusion: These results provide an opportunity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working mothers related to parenting their young children. It would also serve as a medium for the formulation of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relevant to burdens of parenthood.

      • Comparison of trophic factors changes in the hippocampal CA1 region between the young and adult gerbil induced by transient cerebral ischemia.

        Yan, Bing Chun,Park, Joon Ha,Kim, Sung Koo,Choi, Jung Hoon,Lee, Choong Hyun,Yoo, Ki-Yeon,Kwon, Young-Geun,Kim, Young-Myeong,Kim, Jong-Dai,Won, Moo-Ho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012 Cellular and molecular neurobiology Vol.32 No.8

        <P>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neuronal death/damage in the gerbil hippocampal CA1 region (CA1) and compared changes in some trophic factors, such as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glial cell line-derived neurotrophic factor (GDN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n the CA1 between the adult and young gerbils after 5 min of transient cerebral ischemia. Most of pyramidal neurons (89%) were damaged 4 days after ischemia-reperfusion (I-R) in the adult; however, in the young, about 59% of pyramidal neurons were damaged 7 days after I-R.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s of BDNF and VEGF, not GDNF, in the CA1 of the normal young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normal adult. Four days after I-R in the adult group,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s of BDNF and VEGF were distinctively decreased, and the immunoreactivity and level of GDNF were increased. However, in the young group, all of their immunoreactivities and level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normal young group. From 7 days after I-R, all the immunoreactivities and levels were apparently decreased compared to those of the normal adult and young. In brief, we confirmed our recent finding: more delayed and less neuronal death occurred in the young following I-R, and we newly found that the immunoreactivities of trophic factors, such as BDNF, GDNF, and VEGF, in the stratum pyramidale of the CA1 in the young gerbil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the adult gerbil 4 days after transient cerebral ischemia.</P>

      • SCOPUSKCI등재

        정상면역을 가진 성인에서 발생한 식도 방선균증

        김현수 ( Hyun Soo Kim ),천종운 ( Jong Woon Cheon ),김민수 ( Min Su Kim ),정창길 ( Chang Kil Jung ),김경록 ( Kyung Rok Kim ),최재원 ( Jae Won Choi ),강동우 ( Dong Woo Kang ),김선영 ( Sun Young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1 No.2

        Hyun Soo Kim, Jong Woon Cheon, Min Su Kim, Chang Kil Jung, Kyung Rok Kim, Jae Won Choi, Dong Woo Kang and Sun Young Kim1 Departments of Internal Medicine and Pathology1, DongKang Medical Center, Ulsan, Korea Actinomycosis is a chronic suppurative disease and caused by Actinomycosis species, principally Actinomyces israelii, which are part of the normal inhabitant on the mucous membrane of the oropharynx, gastrointestinal tract, and urogenital tract. It usually affects cervicofacial, thoracic and abdominal tissue. Cervicofacial type has the highest percentage of occurrence with 50%. Actinomycosis frequently occurs following dental extraction, jaw surgery, chronic infection or poor oral hygiene. It may also be considered as an opportunistic infection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such as malignancy,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infection, diabetes mellitus, steroid usage or alcoholism. But, actinomycosis rarely occurs in adults with normal immunity and rare in the esophagus.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esophageal actinomycosis which was developed in a patient with normal immunity and improved by therapy with intravenous penicillin G followed oral amoxicillin, and we also reviewed the associated literature.

      • KCI등재

        일 대학병원에 입원한 노년기 양극성 장애 환자의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징

        조숙현(Sook Hyun Cho),정한용(Han Yong Jung),권영준(Young Jun Kwon),이소영(So Young Lee),김양래(Yang Rae Kim),김윤정(Yun Jung Kim)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06 노인정신의학 Vol.10 No.2

        Objectives : As the elderly population is continuing to increase, psychiatric diseases of the elderly are becoming an important social issue. This study looks into the demographical and clinical features of the elderly patients diagnosed with bipolar disorder in a University hospital. Methods : The study subjects include patients admissioned in the closed wards of Soonchunhyang Seoul hospital and Cheonan hospital from March, 2000 to February, 2005 who met the DSM-IV-TR criteria for bipolar disorder at the time of discharge. A total of 146 patients (76 men, 70 women) medical records were studied retrospectively. Subjects older than the age of 50 at time of admission were grouped as the old age group, whereas those who were younger than 50 as the young age group. Also among the old age group, those who had the first onset of episode under the age of 50 were grouped as the early onset group, whereas those who had the first onset after the age 50 were grouped as the late onset group. Results : The number of bipolar disorder patients in the young age group and old age group were 73 and 73 respectively. The number of early onset group and late onset group were 46 and 23 respectively. The old age group had a relatively higher incidence of bipolar II disorder than the young age group. Also in the old age group there was a higher incidence of hypomanic or depressive episode rather than manic episode compared to the young age group. And in the old age group psychotic symptoms were less common and the mean admission length shorter than the young age group. Additionally in the old age group treatment with Lithium monotherapy or with no mood stabilizers at all were relatively common. Among the old age group, late onset group had a higher rate of bipolar II disorder than the early onset group. Conclusion : This study shows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al and clinical features among different age groups. But additional research would be required to determine whether the bipolar disorders in the elderly or late onset group are actually a different type of disorder from those of the young.

      • KCI등재
      • KCI우수등재

        Accent-Epenthesis Interaction Revisited

        Hyun-ju Kim,In Young Yang 한국언어학회 2016 언어 Vol.41 No.2

        Kim, Hyun-ju and In Young Yang. 2016. Accent-Epenthesis Interaction Revisited.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41-2, 239-265. This study investigates the lexical statistical patterning in North Kyungsang Korean accent-epenthesis interaction. Previous phonetic studies of Korean epenthetic vowels showed that inserted vowels are not phonetically distinct from corresponding lexical vowels (Kim & Kochetov 2011; H-J. Kim 2015), suggesting that complete neutralization would not help NKK speakers access underlying representations of epenthetic vowels to avoid accenting epenthetic vowels. We performed a corpus study to examine whether other informative cues are available in the lexical probabilistic patterning, which might help NKK speakers with the covert interaction of accent and epenthe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lexical stochastic patterns would not provide a cue for the accent avoidance of epenthetic high vowels. Rather,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clear distinction of lexical strata in Korean phonology, helping NKK speakers learn the interaction. We propose a formal analysis adopting comparative phonotactics developed by Hayes (in press), based on two lexical strata: NATIVE and FOREIGN (e.g., Ito and Mester 1999). This analysis provides a better approach to accounting for the covert interaction that does not involve the learnability problem.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Korea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 각종 난치성 혈액 질환에서의 비혈연간 골수이식

        김동욱,한훈,김정아,김희제,민창기,엄현석,최정현,이종욱,한치화,홍영선,최일봉,신완식,민우성,김학기,김춘추,김원일,김동집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1997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지 Vol.2 No.1

        목적: 비혈연간 골수이식은 혈연내에 적절한 골수공여자가 없는 만성골수성백혈병, 고위험군의 급성별혁병, 면역억제치료에 실패한 재생불량성빈혈 및 각종 난치성 조혈모세포질환의 완치를 위한 표준적인 치료방법으로 정착되고 있다. 혈연간 표준적인 동종 이식에 비하여 비혈연간 이식시에는 생착부전, 이식편대숙주반응과 감염이 더 빈번하게 발생하며,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체계적인 임상연구결과가 보고된 바 없었다. 이에 본 센터에서는 1995년 10월 이후로 약 20개월간 26예의 비혈연간 골수이식을 시행하였으며 3개월 이상의 추적관찰이 가능하여 이식초기 합병증의 관찰 및 분석이 가능하였던 20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이식성적 및 문제점을 보고함으로써 새롭게 확대되고 있는 이 분야의 임상연구 및 진료의 활성화를 꾀하고자 한다. 방법: 각종 혈액 종양질환으로 비혈연간 이식을 시행한 총 26예의 환자중 3개월이상의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20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임상경과를 분석한 후 생존 분석을 시행하였고, 환자의 연령, 성별, 질병의 상태, 조식 적합 항원의 일치정도, 이식편대 숙주 반응의 유무와 생존기간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표준위험군과 고위험군으로 나누어 생존율을 비교하였고 이식과 관계된 생착 부전, 이식편대숙주반응, 감염의 발생과 양상 그리고 그 합병증을 관찰하였다. 결과: 1. 환자와 공여자간에 HLA 불일치가 20예 중 4예에서 있었으며, 생착여부의 확인이 가능했던 17예 중 16예에서 생착이 확인되어 94.1%의 생착율을 보였다. 2. 급성이식편대숙주반응은 62.5%(10/16예)에서 발생하였으며 111도 이상의 급성의 이식편대숙주 반응은 25%(4/16예)에서 발생하였다. 만성이식편대숙주반응은 40%(2/5예)의 환자에서 발생하였으며 이들 모두 국소형으로 중증의 진행형 만성이식편대숙주반응이 관찰된 환자는 없었다. 3. 호흡기 합병증은 10예(50%)에서 발생하였으며 감염성 폐렴을 포함한 호흡기 합병증이 가장 흔한 일차적인 사망 원인이었다. 호흡기 합병증이 발생했던 10예중 6예가 감염에 의한 폐렴이 의심되었고 나머지 4예는 특발성 간질성 폐렴이었다. 4. 8.5개월의 중앙추적기간 중 35%의 생존율을 관찰할 수 있었고, 생존기간은0.5개월에서 15개월 (중앙치:4개월)이었다. 한편 고위험군은 25%(3/12예), 표준위험군은 50%(4/8)의 생존율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가장 흔한 사망 원인은 감염성 폐렴을 포함한 호흡기 합병증(6예)이었고, 이외의 사망 원인으로는 급성 이식편대숙주반응과 다장기부전이 각각 2예, 생착 부전, 간정맥 폐쇄, 그리고 재발이 각각 1예였다. Unrelated bone marrow transplantation(UBMT) has been increasingly recognized as the standard treatment for cure of chronic myelogenous leukemia, high risk acute leukemia, aplastic failed on immunotherapy, and the variety of refractory hematologic diseases in patients lacking a related donor. However, as compared to HLA identical sibing transplantation, UBMT carries higher incidence of graft failure, graft versus host disease(GVHD), and infection. In our center, 26 patients underwent UMBT between October 1995 and June 1997. The minimum follow-up of 3 months was possible in 20 patients, for whom early complications and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The median age of the 20 patients was 24 years. 8 patients had standard risk disease and 12 patients had high risk disease. All patients received various preparative regimens including total body irradiation according to disease and disease status. 19 patients received CsA + short course MTX for GVHD prophylaxis. One patient received marrow that was depleted of T cells ex vivo using avidinbiotin column. The class I loci were typed by serological methods and HLA-A, HLA-B and HLA-DRB1. 3 additional pairs were one minor mismatched at the HLA-B locus. Another one patients was one major mismatched at the DRBI alleles. 17 patients were evaluable for engraftment. Successful enfraftment was confirmed in 16 patients(94.1%). Only one patient who was performed one major DRBI mismatched transplants experienced graft rejection. 16 patients were evaluable for acute GVHD. The overall incidence of acute GVHD developed in 4 patients(25%). Five patients were evaluable for the development of Ⅳ acute GVHD developed in 4 patients (25%). Five patients were evaluanle for the development of chronic GVHD. 2 patients(40%) developed limited chronic GVHD. Respiratory complications including pulmonary infection developed in 10 patients(50%) and these complications were the most common primary cause of death. Of these 10patients, 6 had pneumonia due to fungus(4 patients), pacterial (1 patient), and CMV infection (1 patient) and 4(20%) had idiopathic interstitial pneumonitis and/or adult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he duration of median follow- up was 8.5 months and 7 of 20 patients(35%) are alive at the time of this analysis with survival duration of 0.5 to 15 months(median survival duration: 4 months). The overall survival was 25% (3/12 patients) in high risk group and 50%(4/8 patients) in standard group. From these results, we can predict that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GVHD in Korea are lesser than multiracial countries and the long-term survival of patients with standard risk disease can approach that of HLA matched sibling transplants. For the past two years, the performance of UBMT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nd it will be possible to analyze much larger number of patients soon in Korea. In the future the problems of graft failure, GVHD, and infection due to long lasting immunocompromised status will need to be overcome by continued medical research. In addition, the volunteer donor pool will have to be expanded by the promotion of the national awareness of its need.

      • SCISCIESCOPUS

        Direct effectiveness of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against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and non-bacteremic pneumococcal pneumonia in elderly population in the era of pneumococcal conjugate vaccine: A case-control study

        Kim, Jong Hun,Chun, Byung Chul,Song, Joon Young,Kim, Hyo Youl,Bae, In-Gyu,Kim, Dong-Min,Choi, Young Hwa,Jun, Yoon Hee,Choi, Won Suk,Kang, Seong Hee,Kwon, Hyun Hee,Jeong, Hye Won,Kee, Sae Yoon,Hur, Jia Elsevier Ltd. 2019 Vaccine Vol. No.

        <P><B>Abstract</B></P> <P><B>Background</B></P> <P>While herd effects and serotype replacement by childhood pneumococcal protein conjugated vaccines (PCVs) continues to accumulate worldwide, direct effectiveness of 23-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PPV23) against pneumococcal diseases in the elderly has been challenged. We estimated the direct effectiveness of PPV23 in the elderly population.</P> <P><B>Methods</B></P> <P>For a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cases of invasive pneumococcal disease (IPD) and non-bacteremic pneumococcal pneumonia (NBPP) (adults ≥ 65 years) were identified in 14 hospitals participated in the pneumococcal surveillance program from March 2013 to October 2015, following implementation of PPV23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NIP) for the elderly in the Republic of Korea. Controls matched by age, sex, and hospital were selected at ratios of 1:2 (IPD) or 1:1 (NBPP). Clinical data and vaccination records were collected. Vaccine effectiveness was calculated as (1-adjusted odds ratio) × 100.</P> <P><B>Results</B></P> <P>We enrolled 148 IPD and 557 NBPP cases, and 295 IPD and 557 NBPP controls for analyses. Overall effectiveness of PPV23 against IPD was 28.5% [95% confidence interval (CI) −5.8%–51.6%] and against NBPP was 10.2% (-15.1-30.6) in all patients ≥ 65 years. However, in subgroup analysis of patients aged 65–74 years, PPV23 was protective against IPD [effectiveness 57.4% (19.4–77.5)] and against NBPP [effectiveness 35.0% (2.3–56.7)]. Furthermore, serotype-specific effectiveness of PPV23 against IPD was 90.6% (27.6–98.8) for PPV23-unique serotypes and 81.3% (38.6–94.3) for PPV23 serotypes excluding serotype 3.</P> <P><B>Conclusions</B></P> <P>This study indicates that PPV23 with broad serotype coverage might be beneficial in preventing IPD and NBPP due to non-PCV13 serotypes in the young-elderly, with potentially increasing effectiveness in the setting of childhood PCV NIP.</P> <P><B>Highlights</B></P> <P> <UL> <LI>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for PPV23 for the elderly was implemented in Korea. </LI> <LI> PPV23 was effective against IPD and NBPP for young elderly patients aged 65–74. </LI> <LI> Effectiveness of PPV23 against IPD was higher for PPV23 unique serotypes. </LI> <LI> PPV23 was non-protective against IPD caused by PCV13 serotypes. </LI> </UL> </P>

      • 노화가 인체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백기현,태현정,오기원,이원영,조정기,권순용,강무일,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김춘추 대한내분비학회 2003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Vol.18 No.3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골다공증과 연관된 위험인자로는 연령, 폐경, 약물, 불충분한 칼슘섭취, 만성질환 및 운동부족 등이 있는데, 특히 노화가 진행할수록 골밀도가 감소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노화와 관련하여 진행되는 골소실은 조골세포 및 전구조골세포의 기능적 결핍에 의한 골형성의 감소가 주요한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그 동안 연령이 조골모 세포의 양과 조골모 세포로부터 성숙조골세포로의 분화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일부 보고들이 있었으나 아직 일치된 견해는 없는 형편이다. 방법: 다양한 연령의 사람으로부터 골수를 채취, 중간엽 줄기세포가 포함된 단핵세포를 분리한 후 조골세포로 분화하기 좋은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대상군은다시 젊은군과 노령군으로 구분하여 다양한 변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일차배양에서는 CFU-F를 계수하여 골수내 중간엽 줄기세포의 수를 추산하였고, 칼슘측정을 통하여 기질의 무기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계대배양후 이차배양에서는 시기별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를 측정하고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을 관찰하여 젊은군과 노령군 사이의 증식능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한 이차배양 시기별로 MTT 측정을 하여 양군간에 증식능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결과: 1. 일차배양 15일째에 평균 CFU-F의 수는 젊은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젊은군 148.3±28.9, 노령군 54.3±9.1, p=0.02). CFU-F의 평균면적은 젊은군에서 넓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2. 일차배양 17일 경과 후 양군간에 기질 칼슘 침착정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젊은군 103.6±50.6, 노령군: 114.0±56.5, p=NS). 3. 이차배양 10일째에 젊은군에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 활성도가 고령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젊은군: 935.5±115.0 U/mg, 노령군: 578.4±115.7U/mg,p.0.05). 고령군에서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가 미약했으며 전반적으로 알카리성 포스파타제의 활성도가 젊은군에 비해 낮았다. 4. 이차배양도중 오스테오칼신 mRNA의 발현은 배양시기별로 젊은군에 비해 고령군에서 더 낮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5. 이차배양 10일과 15일에 젊은군에서 노령군보다세포증식이 유의하게 증가된 양상을 보였다(10앓 젊은군 0.73±0.05, 노령군 0.58±0.04, p=0.05, 15일; 젊은군 0.80±0.05, 노령군 0.70±0.03, p=0.05).결론: 이상의 연구에서 저자들은 노령군에서 젊은군보다 골수 내 중간엽줄기세포의 수가 적고, 노령군에서 유래한 전구조골세포의 성숙조골세포로의 증식 및 분화가 젊은군 보다 감소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Background: Osteoblasts originate from osteoprogenitor cells in bone marrow stroma, termed mesenchymal stem cells (MSCs) or bone marrow stromal cells. Each MSC forms colonies (colony forming units-fibroblasts [CFL-Fs]) when cultured ex vivo. There are some reports about the age-related changes of the number and osteogenic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but any relationship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in humans. In this study, we counted MSCs using CFU-Fs count and examined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Finally, we analyzed how these parameters varied with donor age. Methods: Bone marrow was obtained from the iliac crest of young (n=6, 27.2±8.6 years old) and old (n= 10, 57.4k6.7 years old) healthy donors. Mononuclear cells, including MSCs, were isolated and cultured in osteogenic medium. In primary culture, we compared the colony-forming efficiency of MSCs between the two groups and determined the matrix calcification. When primary culture showed near confluence, the cells were subcultur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osteocalcin expression by RT-PCR and proliferative potential by MTT assay were examined by the time course of secondary culture. Results: At the 15th day of primary culture, the mean number of CFU-F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ounger donors (young: 148.3±28.9, old: 54.3±9.1, p=0.02) and the mean size of CFL-Fs was also larger in the younger donors than the older donors. However, matrix calcification was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young: 103.6±50.6, old: 114.0±56.5, p=NS). In secondary culture,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older donors. The younger donors showed peak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t day 10, while the older donors didn't showed a remarkable peak (young: 935.5±115.OU/mg, old: 578.4±115.7U/mg, p<0.05). Total cell number as a proliferative index inc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secondary culture and a significantly greater cell number was noted in the younger donors. Osteocalcin expression was generally upregulated in the younger donors,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Our study shows that the number of osteoprogenitor cells is decreased during aging and that the proliferative capacity and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osteoprogenitor cells seem to be reduced during aging (J Kor SOC Endocrinol 18:296-305, 2003).

      • KCI등재

        비공식 사회지원망 종류와 삶의 만족도 :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의 차이를 중심으로

        김영범(Kim, young Bum),윤혜경(Yoon, Hye-Gyung),윤현숙(Yoon, Hyun Sook) 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학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비공식 사회지원망과 노인이 인식하는 삶의 만족도 사이의 관계가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에게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비공식 사회지원망을 가족·혈연지원망과 친구·이웃지원망으로 구분한 후 각각의 크기가 삶의 만족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지 전기 노인과 후기 노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춘천 지역 거주 65세 이상 노인 1,000명에 대한 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나이가 들수록 삶의 만족도는 증가하지만 후기 노년기에는 나이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관련 요인 중 외로움, 우울이, 사회경제적 요인 중 소득은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원망 전체 크기는 노인의 삶의 만족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기 노인의 경우 가족·혈연이나 친구·이웃지원망의 크기가 삶의 만족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는 반면 후기 노인의 경우 가족 지원망의 크기는 삶의 만족도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informal social support networks and level of life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elderly. The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young old and old-old elderly group. This study divided informal social support network into family support network and non-family support network,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each social support network size and life satisfaction in young old and old-old group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survey results of 1,000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f age living in Chunche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ife satisfaction increased with ag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ge in later age. Income among socioeconomic factors and loneliness and depression among health-related factors were found to affect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econd, the overall size of the support network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ird, the size of family or non-family support network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in the young old elderly group, while the size of family support network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ife satisfaction in the old-old elderly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