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과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에 담긴 정치철학적(政治哲學的) 의미(意味)

        서근식 ( Geun Sik Se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2 한국 철학논집 Vol.0 No.33

        퇴계(退溪)가 끝까지 리발(理發)을 포기하지 않은 이유는 순선무악(純善無惡)한 사단(四端)을 惡할 수도 있는 칠정(七情)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리발(理發)을 인정함으로써 리(理)와 기(氣)가 섞이는 것을 반대한 것이다. 퇴계(退溪)는 비록 리발(理發)을 인정했지만 인간의 규범적 지향처(志向處)를 제시해 주고 있다는 데 의미(意味)가 있다. 율곡(栗谷)은 인심도심론(人心道心論)은 인심(人心)도 인간의 노력여하에 따라 도심(道心)이 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인간의 노력여부인 “의(意)”에 관심을 가졌던 것이다. 즉, 인욕(人欲)도 퇴계(退溪)와 같이 제거해야할 대상이 아니라고 함으로써 인욕(人欲)을 긍정하는 학자들에게 영향을 준다. 리(理)와 기(氣)기 서로 떨어질 수 없는 점을 주목해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주장한다. 퇴계(退溪)의 정치철학(政治哲學)은 주관(主觀)的 내면성(內面性)에 기울어져 있다. 그의 순선무악(純善無惡)을 추구함은 사단(四端)을 칠정(七情)과 구분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선(善)할 수도 있고 악(惡)할 수도 있는 칠정(七情)으로부터 사단(四端)을 떨어뜨려 놓음으로써 칠정(七情)의 악(惡)함이 사단(四端)의 순선무악(純善無惡)함을 침범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였다. 율곡(栗谷)의 정치철학(政治哲學)은 객관적(客觀的) 외면성(外面性)에 기울어져 있다. 그가 인심(人心)도 도심(道心)이 될 수 있다고 말한 것은 인간의 사회적 노력을 중요시한 것이다. 즉, 퇴계(退溪)와 같이 인심(人心)을 인욕(人欲)으로 여겨 배제해야할 대상으로 삼지 않고 인욕(人欲)의 선(善)한 측면을 존중하고 있다. 인욕(人欲)의 선(善)한 측면을 강조하다 보면 도심(道心)으로 되는 것이다. 이것이 율곡(栗谷)의 교기질론(矯氣質論)이다. The reason why Toegye(退溪) had not given up his Lifa(理發) to the end was to protect Siduan(四端) which are pure goodness and no evil from Qiqing(七情) that may turn into evil. By acknowledging the Lifa Toegye had opposed to have Li(理) and Qi(氣) mixed together. Even though Toegye admitted Lifa it is significant to note that he had proposed humans` normative aiming for values. The key point of Yulgok(栗谷)` s Renxindaoxin(人心道心) is that Human Mind can be developed as Daoxin(道心) depending upon effort by humans and their works. Yulgok was interested in Yi(意), which signifies whether humans truly exert their effort to seek values. Specifically, like Toegye, Yulgok recognized that Renyu(人欲) were not the target for elimination. This then has affected those scholars who affirm Renyu. Taking notice of the point that Li and Qi are unable to be separated, Yulgok expounded Qifalichengyitushuo(氣發理乘一途說). Toegye`s political philosophy is inclined toward subjective interiority. He was able to move forward in pursuit of Chunshanmoe(純善無惡) by means of dividing Siduan and Qiqing. By separating Qiqing, which may be tagged as Goodness or as Evil, from Siduan, Toegye had completely excluded the possibility of intrusion of the evils of Qiqing in Siduan, which are pure goodness and no evil. Yulgok`s political philosophy leans toward objective externality. He argued that Renxin(人心) could be developed as Daoxin. This is because he had put emphasis on humans` social effort or work. That is to say, like Toegye, Yulgok had not regarded Renxin as Renyu that should be eliminated, but he respected an aspect of goodness of Renxin. When the aspects of goodness of Renyu are emphasized, it turns into Daoxin. This constitutes Yulgok`s Jiaoqizhilun(矯氣質論).

      • KCI등재

        화담 서경덕의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이해 - 「성음해(聲音解)」와 「황극경세수해(皇極經世數解)」를 중심으로 -

        서근식 ( Seo Geun-sik ) 한국철학사연구회 2023 한국 철학논집 Vol.- No.79

        이 논문은 「성음해(聲音解)」·「발전성음해미진처(跋前聲音解未盡處)」와 「황극경세수해(皇極經世書)」를 통해 서경덕의 『황극경세서(皇極經世書)』 이해를 살펴본 것이다. 1426년 중국으로부터 『성리대전(性理大全)』이 수입되었지만 『황극경세서』의 난해함으로 인해 『성리대전』에 실린 다른 서적들까지 이해하기 힘들었다. 이런 『황극경세서』 이해에 도움을 준 인물이 서경덕이다. 그러나 『황극경세서』 이해를 통해 서경덕은 그 자신이 의도하지는 않았지만 당시 사람들에게 수학자로 오해 받게 되었다. 중간본 『화담집』의 「서문」을 통하여 서경덕은 성리학자로도 뛰어난 학자이지만, 『황극경세서』의 이해를 통하여 수학적으로도 뛰어난 학자 임을 알 수 있다. 이 2가지를 사실을 합쳐보아야만 서경덕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성리대전』본 『황극경세서』에는 「찬도지요(纂圖指要)」가 있어서 『황극경세서』의 전체 내용이 요약되어 있다. 서경덕의 「성음해」·「발전성음해미진처」, 「황극경세수해」, 「육십사괘방원지도해(六十四卦方圓圖解)」는 「찬도지요」의 내용을 선택하여 해설한 것이다. 또한 「성음해」와 「황극경세수해」를 바탕으로 하여 조선후기에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새롭게 이해한다든지 서양 천문학을 역학의 관점에서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다. 서경덕은 성리학자로 유명한 인물이다. 서경덕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가 해설한 『황극경세서』의 의미가 『사서대전』·『오경대전』에 담겨 있는 주희(朱熹)의 사상이 아니라, 주희와 더불어 북송(北宋)시대 다양한 인물들의 사상이 담겨있는 『성리대전』이었음을 알아야 한다. This paper examines Seo Gyeong-Deok(徐敬德)'s Huanggijingshishu(『皇極經 世書』) through “Sungumhai”(「聲音解」)·“Baljeonsungumhaimichincheo”(「跋前聲音解未盡處」) and “Hwanggeukgyeongseuhae”(「皇極經世數解」). It examines understanding. In 1426, Xinglidaquan(『性理大全』) was imported from China, but due to the difficulty of Huanggijingshishu, it was difficult to understand other books included in Xinglidaquan. Accordingly, the person who helped in understanding Huanggijingshishu was Seo Gyeong-Deok. However, through understanding Huanggijingshishu, Seo Gyeong-Deok came to be misunderstood by people at the time as a mathematician, although he did not intend to do so. Through the “Preface”(「序文」) of the intermediate version Hwadamjip(『花潭集』), it can be seen that Seo Gyeong-Deok is an outstanding Neo-Confucian scholar, but he is also an outstanding scholar mathematically through his understanding of Huanggijingshishu. Only by combining these two facts can we properly understand Seo Gyeong-Deok. Xinglidaquan(『性理大全』) this version of Huanggijingshishu has “Chandojiyo” (「纂圖指要」), which summarizes the entire contents of Huanggijingshishu. Seo Gyeong-Deok's “Sungumhai”·“Baljeonsungumhaimichincheo”, “Hwanggeukgyeongseuhae”, and “Yuksibsagwaebangwonjidohae” (「六十四卦方圓圖解」) are selected and explained contents of “Chandojiyo”. In addition, based on “Sungumhai” and “Hwanggeukgyeongseuhae”, it became the basis for a new understanding of Hunminjeongeum(『訓民正音』)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 new understanding of Western astr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epidemiology. Seo Gyeong-Deok is a famous Neo-Confucian scholar. In order to properly understand Seo Gyeong-Deok, the meaning of the Huanggijingshishu he expounded is not Zhu Xi(朱熹)'s thoughts contained in Sishudaquan(『四書大全』)·Wujingdaquan(『五經大全』), but the ideas of Zhu Xi along with Zhu Xi (朱熹). It is important to know that it was Xinglidaquan, which contained the thoughts of various figures during the Northern Song Dynasty.

      • KCI등재

        우담 정시한의 「사칠변증(四七辨證)」에 관한 연구

        서근식 ( Seo Geun-sik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8 한국 철학논집 Vol.0 No.59

        정시한은 72세에 「사칠변증」을 완성하고 이후에 제자 이식과 인물성동이논변을 벌인다. 정시한의 입장은 인물성이론의 입장이었고 이식은 인물 성동론의 입장이었다. 그러나 인물성동이논변은 잊혀지고 「사칠변증」이 인정받을 수 있었던 이유는 당시에 퇴계학파와 율곡학파가 대립점에 있었고 서로가 서로의 입장을 비판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 「사칠변증」을 완성하게 되는 데에는 이현일의 「율곡이씨논사단칠정서변」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이의 사단과 칠정에 대한 생각은 ‘칠정이 사단을 포함한다.’라는 ‘혼륜(渾淪)의 입장’이었고, 이황은 사단과 칠정은 서로 다르게 해석할 수밖에 없다는 ‘분개(分開)의 입장’이었다. 정시한은 분개의 입장에서 혼륜의 입장을 비판하는 입장에 있었다. 「사칠변증」을 통해 정시한은 무엇을 추구하려고 하였는가? 이러한 사실은 우리가 정시한이 제자 이식과 벌였던 인물성동이논변을 잊게 하는 경향이 있다. 우리는 현재 정시한의 「사칠변증」에서 이이를 비판한 사실은 알지만 정시한이 인물성동이논변을 벌였다는 사실에 대해서는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 중요한 논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왜 「사칠변증」이 우리의 기억 속에 남아 있는 것일까? 그것은 정시한이 희망했던 희망하지 않았던 것과 상관없이 정시한 이후에 사단칠정논쟁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이익과 신후담, 정약용에게까지 「사칠변증」이 영향을 준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Jeong Si-Han(丁時翰) completed “Siqibianzheng”(「四七辨證」) at the age of 72, and later had the argument over Runwuxingtongyilunzheng(人物性同異論爭) with his disciple, Lee Sik(李栻). Jeong Si-Han(丁時翰) had the position of Runwuxingyilun(人物性異論) and Lee Sik(李栻) Runwuxingtonglun(人物性同論). Yet, the argument over Runwuxingtongyilunzheng(人物性同異論爭) had been forgotten and “Siqibianzheng”(「四七辨證」) could be acknowledged because Toegye school(退溪學派) and Yulgok school(栗谷學派) were conflicting and criticizing each other's stance at that time. It seems like Lee Hyeon-Il(李玄逸)'s “Liqulishilunsiduanqiqingshubian”(「栗谷李 氏論四端七情書辨」)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mpletion of “Siqibianzheng” (「四七辨證」). Lee Yi(李珥)'s thought of Siduan(四端) and Qiqing(七情) was ‘the position of Hunlun(渾淪)’ that ‘Qiqing(七情) includes Siduan(四端)’, and Lee Hwang(李滉) had the ‘position of Fenkai(分開)’ that Siduan(四端) and Qiqing(七 情) should be interpreted differently. Jeong Si-Han(丁時翰) criticized the stance of Hunlun(渾淪) from the position of Fenkai(分開). What did Jeong Si-Han(丁時翰) try to pursue through “Siqibianzheng”(「四七 辨證」)? This fact tends to make us forget the controversy over Runwuxingtongyilunzheng(人物性同異論爭) between Jeong Si-Han(丁時翰) and disciple Lee Sik(李栻). Now we know the fact that Jeong Si-Han(丁時翰) criticized Lee Yi(李珥) in “Siqibianzheng”(「四七辨證」), but don't care much about the fact that Jeong Si-Han(丁時翰) caused the controversy over Runwuxingtongyilun(人物性同異論). Why “Siqibianzheng”(「四七辨證」) has remained in our memory even though it was an important one? It might be because “Siqibianzheng”(「四七辨證」) had an impact on Lee Sik(李栻), Shin Hu-Dam(愼後聃), and even Jeong Yak-Yong(丁若鏞) in the process of summarizing the arguments over Siduanqiqinglunzheng(四端七情論爭) since Jeong Si-Han(丁時翰) regardless of whether Jeong Si-Han(丁時翰) had hoped it or not.

      • KCI등재

        석탄(石灘) 이신의(李愼儀)의『대학차록(大學箚錄)』에 관한 연구(硏究)

        ( Geun Sik Se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4 한국 철학논집 Vol.0 No.41

        石灘李愼儀의 『大學箚錄』에 대해 살펴보았다. 『大學箚錄』의 3가지 판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가운데 『石灘集』에 실린 『大學箚錄』이 완전하지는 않지만 체계적이라고 할 수 있었다. 그리고 『國際儒藏本』이 王心竹의點校을 거쳐 句讀도 되어 있고 『石灘集』의 잘못된 내용을 바로잡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石灘集』에 실린 『大學箚錄』을 底本으로 삼고 『國際儒藏本』을 보충자료로 삼겠다. 『大學箚錄』에서는 「大學章句序」에 대한 註釋을 하고 있는데 필자가 동의할 수 없는 부분이 보인다. 『小學』과 『大學』의 핵심을 敬으로 본다든지``章句``에 대한 독특한 해석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誤謬는 『大學箚錄』이 37세 때에 지어지고 그 이후에 수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大學章句序」가 끝나는 부분의 按에서는 心, 性, 情, 志, 意등을 註釋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은 독특하게 여겨진다. 經文에서 의심 가는 부분을 살펴보았다. 石灘은 三綱領을 표시한 표와같이 至善으로 갈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독특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또, ``知止``節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知止``節을 그냥 두느냐 옮기느냐의 문제에서 石灘은 그냥 두는 쪽으로 해석하여 朱子의 의견을 그대로 답습한다. 傳文의 體制는 朱子의 『大學章句』의 의견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知와行으로 나누어 보려는 경향을 보이지만 언급들이 모두 句節로 되어 있어자세한 내용은 알 수 없었다. 그리고 朱子와는 다르게 ``謹``字와 ``愼``字를 들어 언급했지만 「格物致知補忘章」과 같은 부분은 아무런 말이 없다가 ``愼``字가 맞는다고 하는 것은 너무 과민반응을 보인 것이다. The study examined Daxuezhalu written by ShiTan Li Shen-Yi. Three different editions of Daxuezhalu were looked into, one of which in Shitanji(『石灘集』) could be considered methodical, if not perfect. In addition, Guojirucangben(『國際儒藏本』) was goudou(句讀) and correction was made on its wrong contents through dainjiao (點校) by WangXinzhu(王心竹). For these reasons, Daxuezhalu in Shitanji was used as the basis for the study and Guojirucangben as a supplement. Explanatory notes were added to Daxuezhangjuxu(「大學章句序」) in Daxuezhalu , but consent cannot be given to some of them, which include the author`s opinion that views Jing(敬) as essence of Xiaoxue(『小學』) and Daxue(『大學』), and the unique interpretation of Zhangju(章句), which can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 author didn`t revise Daxuezhalu after writing it at the age of 37. However, the explanatory notes on xin(心), xing(性), qing(情), zhi(志) and yi(意) in An(按) toward the end of Daxuezhangjuxu are considered unique. The followings in Jingwen(經文) were examined as questionable. ShiTan(石灘) reflected on the ways to reach zhishan(至善) as in the table that shows Sangangling(三綱領), which may be viewed as distinctive. The review of zhizhijie (‘知止’節) reveals that ShiTan(石灘) followed Zhuzi(朱子) on the issue of whether to relocate zhizhijie(‘知止’節) through his interpretation for leaving it where it was. The same was applied regarding tizhi(體制) in chuanwen(傳文) by following Zhuzi(朱子)`s argument on Daxuezhangju(『大學章句』). While the tendency to divide it into zhi(知) and hang(行) was seen, there was difficulty in thorough understanding with all the comments being in goujie(句節). It is considered overreaction that he argued in favor of shen(愼) without any comments on Gewuzhizhibuwangzhang(「格物致知補忘章」), although he mentioned characters, jin(謹) and shen(愼) unlike Zhuzi(朱子).

      • 《中庸》16章 〈鬼神章〉的比較硏究 - 以朱子、王夫之、伊藤仁齊、丁若鏞爲中心

        ( Seo Geun-sik ) 성균관대학교 유교문화연구소 2005 儒敎文化硏究(中文版) Vol.5 No.-

        In Confucianism, ghosts and gods have always been relatively vague and opaque fields. However, in the Song Dynasty, the realm of Iwagi, where ghosts and gods were involved, started a fundamental discussion. The search for the meaning of ghosts and gods has also begun. Zhu Zi's theory of ghosts and gods had a great influence on future generations of scholars. Zhuzi's theory of ghosts and gods serves as an intermediate or medium between heaven and mankind, such as "Zhuzi Yu Lei" and "Ghosts and Gods". Therefore, it can be said to be the synthesis or harmony of heaven and mankind. Wang Fuzhi's theory of ghosts and gods is the same as Zhuzi's. Zhu zi is important to both heaven and humanity and explains honesty as a medium. What he emphasized is the way to heaven. Itō Jinsai emphasized humanity by denying ghosts and gods, while Ding Luo Yong emphasized humanity by affirming ghosts and god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공자(孔子)가 언급한 예(禮)의 의미에 관한 연구 - 『논어(論語)』를 중심으로 -

        서근식 ( Seo Geun-sik ) 동양철학연구회 2020 東洋哲學硏究 Vol.103 No.-

        본 논문에서는 『논어(論語)』에 나오는 ‘예(禮)’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공자(孔子)는 예(禮)의 본질을 형이상학적으로 규정짓지 않고 사람이면 누구나가 실천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고 있다. 이는 원시유학(元始儒學)이 실천중심의 유학이라는 점과도 맞아 떨어진다. 공자의 정명론(正名論)의 문제는 정치론과도 관련되지만 ‘명칭[名]’과 ‘실질적 모습[實]’이 합치된다는 의미에서 예(禮)와도 관련된다. 그리고 『주례(周禮)』에 나오듯이 예(禮)라는 의미는 본래 땅귀신과 관련된 글자로 땅귀신에게 풍년이 되기를 기원하는 의미이다. 예(禮)와 음악[樂]은 항상 붙어 다니는 의미이다. 그러나 예(禮)와 음악[樂]이 분리되어 사용될 때에는 예(禮)가 어떠한 의미인가에 대해서는 해석하기가 쉽지 않다. 특히 예(禮)를 공부하면 ‘설 수 있다.’는 측면에 대해서는 해석하기가 쉽지 않다. 여기서 예(禮)의 의미는 자신이 나아가야 할 길인가에 대해 분명하게 분별해 나간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오늘날 공자가 예치(禮治)를 통해 이룩하려고 했던 선(善)한 사회는 이름이 바뀌고 보다 세밀해지기는 했지만 여전히 유효한 것이다. 우리는 공자가 예치(禮治)를 통해 이루려고 했던 선(善)한 사회를 아직 이루지는 못하였다. 그렇지만 공자가 『논어』에서 말한 예(禮)는 여전히 유효한 것이다. Confucius(孔子) didn’t define the essence of Li(禮) metaphysically, but explained it easily so that anyone could practice it. It also corresponds to that the original Yuanshiruxue(元始儒學) is practice-centered one. The matter of Confucius(孔子)’ Zhengminglun(正名論) is related to a political theory, and also to Li(禮) in the aspect that ‘Ming[名]’ agrees with ‘Shi[實]’. And as in Zhouli(『周禮』), the meaning of Li(禮) is a letter originally related to ghosts. Li(禮) and Yue[樂] are always together. However, when Li (禮) and Yue[樂] are used in separation, it’s not easy to interpret how Li(禮) was used. In particular, when one studies Li(禮), the aspect of ‘being able to stand’ is not easy to interpret. Here, Li(禮) includes the meaning of distinguishment. The good(善) society that Confucius tried to establish through the rule by Lizhi(禮治) has become more elaborate and its name has been changed, but it’s still valid today. We haven’t yet been able to build the good(善) society that Confucius tried to establish through the rule by Lizhi(禮治). Then, Li(禮) that Confucius(孔子) said in Lunyu(『論語』) is also still valid.

      • KCI등재

        일반논문 : 근기남인(近畿南人)으로서의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역학사상(易學思想) -「시괘고(蓍卦攷)」를 중심으로

        서근식 ( Geun Sik Seo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1 한국 철학논집 Vol.0 No.32

        星湖 李瀷의 학문은 포괄적이면서도 懷疑를 통한 自得을 중시한다. 그의 학문태도는 星湖學派 가운데에서도 모범적이었으며, 그의 제자들은 그를 본받기 위해 노력하였다. 星湖學의 위대성은 그의 직후 바로 星湖學派가 성립됨으로써 드러났다. 星湖는 『周易』의 六畵가 內卦와 外卦로 나뉘어 서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邵雍의 방법과 같이 一畵에서 六畵까지가 연결된 것이 아니라 內卦 三畵와 外卦 三畵가 독립된 것임을 밝힌 것이다. 星湖는 筮法과 變爻에 있어서도 朱子의 筮法이나 『易學啓蒙』 「考變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것이 많다. 筮法에서는 朱子의 「筮儀」와는 다른 筮法을 제시함으로써 후에 茶山이 새로운 筮法인 ``蓍卦法``을 제시하는데 일조한다. 星湖의 易學은 획기적으로 다름을 주장한 것은 아니다. 懷疑를 통한 自得이라는 그의 목표아래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蓍卦攷」 역시 마찬가지이다. 星湖의 易學은 후대에 茶山의 易學을 형성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고 하겠다. Lee Ik(李瀷) had put emphasis on the achievements by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through doubts, and at the same time that it was all-embracing. His academic attitude had set an example among the members of Seongho school(星湖學派), and his disciples had strived to emulate his style. The greatness of Seongho(星湖)`s study had been revealed by development of Seongho school(星湖學派) right after his death. He had argued that the six strokes of I-Ching should be read having it divided into inward and outward divine signs. He had stated his view clearly that the divine signs ranging from one stroke to six strokes were not connected, same as Shao yong(邵雍)`s method, but, the three strokes of inward divine sign as well as the three strokes of outward divine signs were independent from each other. Seongho(星湖) also had raised many questions about Shifa(筮法), and Bianyao(變爻) and Zhuzi(朱子)`s Shifa(筮法), or Yixueqimeng(『易學啓蒙』) "Kaobianzhan(「考變占」)". In view of the Shifa(筮法), Seongho(星湖) had helped Dasan(茶山) to present ``Shiguafa(蓍卦法)`` by proposing different divination rule from Zhuzi(朱子)`s Method of Divination by Shiyi(「筮儀」). Seongho(星湖) had not professed something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Zhuzi(朱子) in his I-xue. His study on I-xue had been accomplished under his goal of achievements by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through doubts. "Shiguakao(「蓍卦攷」)" is also same. I-xue of Seongho(星湖) had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form Dasan(茶山)`s I-xue in the later yea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