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Comparison of Proliferative Activity in Each Histological Subtypes of Benign and Atypical Intracranial Meningiomas by PCNA and Ki-67 Immunolabeling

        최승진,장은덕,권성오,계대곤,박춘근,이상원,강준기,Choi, Seung Jin,Chang, Eun Deok,Kwon, Seung Oh,Kye, Dae Kon,Park, Choon Keun,Lee, Sang Won,Kang, Joon Ki The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2000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29 No.9

        목 적 : 양성 뇌수막종에 비하여 이형성 및 악성 뇌수막종이 나쁜 임상적인 예후 및 양상을 보이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나, 양성 뇌수막종에 있어서 각각의 병리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생물학적 양상의 차이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거나 일부 논란이 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형성 뇌수막종 및 양성 뇌수막종의 각각의 병리조직학적 아형에 따른 증식능의 차이여부를 알아보고자 PCNA와 Ki-67표지지수를 분석하였다. 방 법 : 본원에서 뇌수막종으로 수술을 시행하여 얻은, 재발을 보여 재수술을 시행한 2례를 포함하여, 파라핀에 포매시킨 27개의 조직을 대상으로 병리학적인 증식능을 분석하기 위해, PCNA에 대한 단일항체 및 MIB-1 단일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을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분류상 meningothelial type이 8례, transitional type이 9례, fibroblastic type이 5례였으며, 이형성 수막종이 5례였다. 결 과 : PCNA표지지수의 평균값은 양성 수막종에서 meningothelial type이 $4.82{\pm}5.10%$, transitional type이 $9.01{\pm}4.25%$, fibroblastic type이 $5.66{\pm}5.32%$를 보였으나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27.62{\pm}19.67%$의 높은 지수를 나타냈고, Ki-67 표지지수의 평균값은 양성 수막종의 아형에서 각각 $0.43{\pm}0.85%$, $0.44{\pm}1.08%$, $0.24{\pm}0.18%$를 보이고, 역시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0.84{\pm}0.59%$의 높은 지수를 보였다. 즉, 양성 수막종에서 각각의 아형에 따른 PCNA 및 Ki-67 표지지수는 통계학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으나(p>0.05),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의미있는 높은 표지지수를 보여(p<0.05) 양성 수막종에서 보다 높은 증식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결 론 : PCNA 및 Ki-67 표지지수를 이용한 증식능의 비교결과, 양성 뇌수막종에서는 각각의 아형에 따른 생물학적 양상이나 예후는 차이가 없을것으로 생각되나, 이형성 수막종에서는 높은 증식능을 보여 이에 대한 예후를 예상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되며, 또한 이러한 표지지수가 병리조직학적으로 양성과 이형성의 감별에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clinical prognosis and biological behavior of atypical and especially malignant meningiomas are well known to be worse than benign meningioma, but the degree of biological aggressiveness in each classical subtypes of benign meningioma is controvers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ee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oliferative activity between each different histological subtypes of benign meningioma as well as atypical meningioma. Methods : Paraffin-embedded surgical specimens of 27 meningiomas, including two recurrent tumors, were studied to evaluate proliferative activity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with monoclonal antibodies to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PCNA) and MIB-1. The specimens consisted of 8 cases of meningothelial, 9 cases of transitional, 5 cases of fibroblastic subtypes and 5 cases of atypical meningiomas. Results : Mean PCNA labeling indices of meningothelial, transitional and fibroblastic meningiomas were $4.82{\pm}5.10%$, $9.01{\pm}4.25%$ and $5.66{\pm}5.32%$, but that of atypical meningiomas was $27.62{\pm}19.67%$, noting a higher value compared to all three subtypes of benign meningiomas. Mean Ki-67 labeling indices of the above 3 subtypes were $0.43{\pm}0.85%$, $0.44{\pm}1.08%$ and $0.24{\pm}0.18%$, and that of atypical meningiomas was also revealed to be of higher value ($0.84{\pm}0.59%$). PCNA and Ki-67 labeling indices were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histological subtypes of benign meningioma(p>0.05), but the differences of both immunolabeling between benign and atypical meningioma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 : Immunolabeling of PCNA and Ki-67 in intracranial meningiomas reveals no prognostic difference between meningothelial, transitional and fibroblastic subtypes in classical benign meningiomas by measuring expression of PCNA and Ki-67, but it seems to be helpful in differentiating benign and atypical meningioma, later showing more proliferative activity and biological aggressiveness.

      • KCI등재

        Voxel머리팬텀 제작 및 붕소중성자포획요법 선량계산에의 응용

        이춘식,이춘익,이재기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2001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6 No.2

        해부학적으로 단순한 수학적인형팬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voxel머리팬텀을 제작하고 BNCT(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시행 시 선량분포를 계산하였다. 일반목적 몬테칼로 코드인 MCNP4B의 반복구조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voxel몬테칼로 계산체계를 수립하였고 두 가지 물질로 구성된 예시적 voxel팬텀과 기하체조합팬텀의 계산값 비교를 통해 계산체계를 검증하였다. 미국 NLM(National Library of Medicine)에서 제공하는 VHP man 인체단층사진에 대한 분할 및 색인작업을 통해 voxel머리팬텀을 제작하여 AP 및 PA 방향에서 입사하는 넓고 평행한 광자 및 중성자빔에 대한 선량값을 MIRD팬텀의 계산값과 비교한 결과 중성자빔 AP방향조사 시 MIRD팬텀에서는 볼 수 없는 안구로 인한 중성자 감쇠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차원 정밀계산이 필요한 BNCT 시술시 선량분포계산을 위해 뇌 중앙에 직경 5cm의 구형 뇌종양 체적을 정의하고 뇌와 종양의 붕소 함량을 조정하여 10keV 및 40keV 상부입사 중성자에 의한 장기별 흡수선량을 계산한 결과 종양에 30㎍/g, 정상세포에 3㎍/g 의 붕소를 주입한 경우 붕소함량이 없을 때에 비해 2배 가량 큰 선량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voxel몬테칼로기법을 이용한 선량평가체계를 수립하였고 정밀한 선량계산을 필요로 하는 치료방사선분야 선량계산에 실제 인체에 가까운 voxel팬텀의 응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Voxel head phantom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mathematical phantom in depicting anatomical details was constructed and example dose calculation for BNCT was performed. The repeated structure algorithm of the general purpose Monte Carlo code, MCNP4B was applied for voxel Monte Carlo calculation. Simple binary voxel phantom and combinatorial geometry phantom composed of two materials were constructed for validating the voxel Monte Carlo calculation system. The tomographic images of VHP man provided by NLM(National Library of Medicine) were segmented and indexed to construct voxel head phantom. Comparison of doses for broad parallel gamma and neutron beams in AP and PA directions showed decrease of brain dose due to the attenuation of neutron in eye balls in case of voxel head phantom. The spherical tumor volume with diameter, 5cm was defined in the center of brain for BNCT dose calculation for downward neutron beam of 10keV and 40keV, the tumor dose is about doubled when boron concentration ratio between the tumor to the normal tissue is 30㎍/g to 3㎍/g. This study established the voxel Monte Carlo calculation system and suggested the feasibility of precise dose calculation in therapeutic radiology.

      • SCOPUSKCI등재
      • 전동기 구동을 위한 PI제어기의 Anti-Windup

        이지명,이기도,이동춘 嶺南大學校 工業技術硏究所 1997 工業技術硏究所論文集 Vol.25 No.1

        For electric machine drive systems, the conventional PI controller usually suffers a windup in transients since the actuator is saturated. To eliminate the windup, anti-windup strategies are proposed and analyzed. Anti-Windup of both speed and current controllers for induction motor drives is considered. The validity of the anti-windup strategy applied to induction motor drives is confirmed by various simulation results.

      • Ⅲ-Ⅴ족 반도체의 연구 : GaAs의 합성, 단결성 및 특성 Crystal Growth and Characterization of GaAs

        이형재,김영기,신영진,박해용,정양준,최춘태,김병호,김진성 全北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82 基礎科學 Vol.5 No.1

        Temperature of 618 and 1250℃ at As and Ga sities respectively in the horizontal Bridgman furnace and growht speed of 0.7cm/h were found to be optimal for the production of single crystalline GaAs. Self-seeded and unintentionally doped GaAs crystals showd n-type characteristics with Hall mobillity of ∼0.75㎡/V-sec and carrier density of ∼10^19 m^-3 when the mesurements were made right after the growth. About three month later it was found that the same samples were converted to p-type GaAs. The analysis on the p-type sample showed that impurity scattering is dominant at around room temperature and thus the measured Hall mobility was 0.0065㎡/V-sec at 300K. 7.4±0.6 eV was obtained for acoustic deformation potential in the heavy hole band by fitting the theoretical conductivity and Hall coefficient to the corresponding experimental data. The value is very much higher than the theoretically estimated value, 3.6eV. The carrier density variation with temperature obtained from the present analysis gave 0.38 and 0.17 eV respectively for the activation energies of donor and acceptor.

      • KCI등재후보

        시간 경과에 따른 티타늄 합금 피질골 나사못의 골결합능 평가

        이재협,장봉순,이춘기 대한골절학회 2004 대한골절학회지 Vol.17 No.4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티나늄 합금 피질골 나사못을 삽입 후 시간에 따른 나사못의 골결합 양상을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길이 24 mm, 두께 3.5 mm 티타늄 합금 피질골 나사못 54개를 30 kg 내외의 수컷 잡견의 양측 후자 중간 간부에 삽입하면서 삽입시와 제거시의 토크 값 측정, 방사선 사진 촬영, 비탈석회화 조직 검사, 조직형태학 검사 및 주사현미경 검사를 수술 직후 및 술 후 2주, 4주, 8주에 시행하였다. 결과: 삽입시의 토크 값 (1.76±0.609 cNㆍm)에 비해 2주 제거시의 토크 값 (1.14±0.470 cNㆍm)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p=0.0071). 4주 제거시 토크 값 (2.57±1.36 cNㆍm)은 다소 증가하였고 8주 제거시 토크 값 (3.18±0.499 cNㆍm)이 삽입시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p=0.0005). 조직학 소견 상 삽입 2주째에는 나사못과 골과의 접촉이 매우 적었고 섬유성 피막이 나사못과 골과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었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골과 나사못의 결합양상이 향상되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나사못과 접촉한 골의 분률은 2주 제거시 (22.4±12.9%) 보다 8주 제거시 (33.1±18.5%)가 더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p=0.15). 결론: 티타늄 합금 피질골 나사못은 삽입 직후보다 2주째에 골결합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이는 아마도 삽입시 발생한 열손상이나 압박에 의한 섬유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골절 등의 치료를 위해 나사못을 삽입할 경우 일정 기간 동안 삽입시보다 고정력이 감소하므로 운동이나 체중 부하시 유의하여야 하며, 삽입 초기의 골-나사못 고정력 감소를 개선시키는 것이 임상결과 향상을 위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osseointegration of titanium alloy cortical screws with the passage of time. Materials and Methods: Fifty four titanium alloy cortical screws (24 mm in length, 3.5 mm in diameter) were implanted bilaterally in the tibial diaphysis of adult mongrel male dogs of similar size and weight (30±5 kg). The insertion torques, radiographs, undecalcified histology, histomorphometric analysis and extraction torques were evaluated at 2, 4 and 8 weeks after surgery. Results: The extraction torque at 2 weeks (1.14±0.470 cNㆍm)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insertion torque (1.76±0.609 cNㆍm)(p=0.0071), the extraction torque at 4 weeks (2.57±1.36 cNㆍm) was slightly improved and the extraction torque at 8 weeks (3.18±0.499 cNㆍ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insertion torque (p=0.0005). Direct bony contact in the early phase was poor and intervening fibrous tissue was observed at the bone-screw interface. However, the fixation between the bone and the screws improved with time. The percentage of bone-screw contact at 8 weeks (33.1±18.5%) was higher than that of 2 weeks (22.4±12.9%), but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Because of thermal injury or pressure necrosis, the fixation strength of titanium alloy cortical screws at 2 weeks after implantatio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at the insertion time. So, we should keep in mind the initial phase weakness of screw fixation when we allow the patients the range of motion exercise or weight bearing and the improvement of the initial phase fixation is very important in clinical results.

      • SCOPUSKCI등재

        동종골수이식 후 혈당 및 혈중 지질농도의 변화양상 및 관련인자

        이원영,강무일,오은숙,오기원,손현식,윤건호,차봉연,이광우,손호영,강성구,신완식,민우성,김춘주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4 No.6

        연구배경:골수이식은 비교적 젊은 연령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면역억제제의 사용기간이 비교적 짧으므로, 주로 고령의 만성 질환 환자에서 시행되는 고형장기이식에서와는 달리 당대사 및 지단백 대사에 있어서 많은 차이점이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저자들은 전향적 연구를 통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로 혈당 및 혈중지단백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임상인자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1998년 10월부터 1999년 8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에서 동종골수이식을 시행한 환자들 중 43명을 대상으로 이식 전 및 이식 후 1, 2, 3, 4주와 3개월, 6개월에 공복 혈당, 혈중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을 측정하여 골수이식 후 시기별 변화를 관찰하고 여러 임상인자들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1. 공복혈당은 골수이식 수 첫4주 동안 상승하였고 이후 감소하였으나 이식 6개월 시점의 평균 공복혈당은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높게 관찰되었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은 이식 후 1주에 최고치를 형성하였고 이후 기저수준으로 회복되었다가 이식 수 3,6개월에 다시 증가하여 기저치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혈중 중성지방은 이식 후 1개월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이후 감소하여, 3,6개월에는 기저치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혈중 고밀도지단백은 이식 후 2,3주에 이식 전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후 이식 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혈중 저밀도지단백은 총 콜레스테롤의 변화와 매우 유사하였다. 2. 골수이식 후 6개월 시점에서 공복 혈당이 126㎎/dL이상인 환자는 7명(16%)이었다. 이들 환자들과 공복혈당 126㎎/dL 미만의 환자 36명을 비교한 결과, 공복혈당이 126㎎/dL 이상인 환자군에서 스테로이드 평균 투여량이 많았고 고밀도지단백이 유의하게 낮았다. 3. 이식편대숙주질환이 발생한 환자는 그렇지 않은 환자보다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이 더 낮았고, 3개월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다. 혈연골수이식 환자군은 비혈연골수이식 환자에 비해 투여된 스테로이드 용량이 더 적음에도 불구하고 이식 후 1, 2, 3주 및 6개월의 총 콜레스테롤 수치가 더 높았다. 스테로이드 고용량 투여군(하루 평균 7.5㎎기준)은 저용량군보다 이식 후 3개월 시점의 공복혈당이 더 높았으나 나머지 시점의 혈당, 혈중 지질농도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골수이식 후 초기시기에 주로 당 대사 및 지질대사이상이 관찰되며 이는 면역억제제 투여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면역억제제가 고용량 투여되는 합병증 발생 시 이들 대사이상에 관심을 기울여 대처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In bone marrow transplantation(BMT), recipients are usually younger and immunosuppressants are open used in shorter period than in solid organ transplantation. Therefore, there might be a difference in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between BMT and solid organ transplantation. However, the serial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following BMT have not been studied.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rial changes of blood glucose, lipids and the putative factors that are related with these changes after BMT. Methods: We have prospectively investigated 43 patients who underwent allogeneic BMT. Fasting plasma glucose(FPG),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high-density lipoprotein(HDL) were measured before BMT, and at 1, 2, 3, 4, 12 weeks and 6 months after BMT. The serial changes of these metabolic parameters according to clinical factors including type of BMT, mean daily steroid dosage, and occurrence of graft versus host disease (GVHD) were examined. Results: 1. Mean FPG level increased during 4 weeks after BMT and remained above basal value at post-transplant 6 months. Total Cholesterol level was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and was above basal value at post-BMT of 3 and 6 months. Triglyceride level was progressively in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HDL-cholesterol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but returned to basal value there after. 2. Patients with FPG above 126 mg/dL and the other patients, the former received larger amounts of daily steroid and had lower HDL-cholesterol level. 3. The changes of metabolic parameter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ype of BMT, steroid dose, and occurrence of GVHD. Conclusion: Although there was increase of FPG, TC, TG and decrease of HDL-C during initial 4 weeks after BMT, these metabolic changes recovered slowly thereafter. Immunosuppressants are thought to be associated with these changes. Further observation will be needed for the long-term effect of BMT on metabolic changes(J Kor Diabetes Asso 24:689~698, 200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