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수사적 읽기와 수사적 글쓰기 - 단락 분석과 배열의 문제를 중심으로 -

        장소진 시학과언어학회 2009 시학과 언어학 Vol.0 No.16

        It is time to explore an efficient educational methodology of reading and writing in college education. In relation with the philosophy of college education that is oriented toward the cultivation of critical human characters, persuasion through argumentation finds its place as an important value in the college edu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Thus, a Rhetorical consideration oriented toward persuasive conversation is necessary for the education of reading and writing. Meanwhile, as they are indirect conversation with texts as their medium, reading and writing have accurate communication between the writer and the reader as one of their significant issues. Here, the problem of paragraph as a segmental unit of meaning arises. Traditionally, Rhetoric pays attention to technique of arranging the grounds of an argument with respect to argumentation.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a discourse, it is specified through frames of paragraphs in a text. Seen in this way, a paragraph eventually serves as a basic framework of Rhetorical argumentation. Thus, noticing the issue of paragraph as a functional body, this paper the significance of paragraphs’meaning and roles by verifiably looking at specific examples of paragraphs, which work in communicative situations of reading and writing.

      • KCI등재

        탈주의 암전, 귀환의 길 없음과 벌거벗은 생명의 자인-최인호의 「깊고 푸른 밤」을 대상으로

        장소진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서강인문논총 Vol.- No.66

        본고는 최인호의 중편 「깊고 푸른 밤」을 대상으로 작품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이 작품은 1970년대 후반에서 1980년대 초반의 한국의 폭압적인 정치적 상황이 당시의 개인들에게 불러일으킨 실존적 위기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작품에서 주인공들은국가의 예외 상태를 결정할 힘을 지닌 주권 권력의 폭력적인 권력 행사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미국이라는 자유의 세계를 향해 자발적인 탈주를 감행한다. 그러나 그들은 미국에서 자신들 안에 내재된 근원적인 실존적 귀속 의식을 자각하고 귀환을 모색한다. 그런 속에서 그들은 정작 자신들은 주권 권력에 의해 배제된, 달리 말해 주권 권력에의해 추방된 ‘벌거벗은 생명들’에 불과한 존재들임을 자각하게 되고, 주체로서의 자신들의 철저한 패배를 자인하게 된다. 작품은 개인의 주체적 의지가 주권 권력에 의해철저하게 패배할 수 있음을 형상화하고 있는 것이다. 작품 안에 설정된 ‘길 떠남’과‘길 없음’의 상황은 그러한 맥락을 상징적으로 전한다. 작가는 이후 당대적 현실을 초월한, 역사의 시간 속에서 혹은 종교적 구도의 세계 속에서 보다 근원적인 인간 삶의길을 탐색한다. 그것은 이 작품에서 확인된 것과 같은 현실적 한계를 보다 근원적인차원에서 해결해 나가기 위한 작가 나름의 인식적 도약이다. 그런 측면에서 「깊고 푸른 밤」은 최인호의 문학 세계의 새로운 전환점으로 자리한다.

      • KCI등재

        공감적 소통을 위한 발표의 수사적 전략

        장소진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 rhetorical strategy for achieving sympathetic communication in the presentation. To this end, the study focuses on three persuasive techniques in rhetoric presented by Aristotle: Ethos, Logos, and Pathos, and looks for ways in which each technique should be added to increase the depth of sympathy. Ethos is basically a technique that emphasizes the character of the speaker, especially the character that will instill faith in the audience. In order to deepen the audience's sympathetic response, Ethos must recognize the audience as a regimental partner and respect the audience. The speaker should seek a strategy that considers the audience in a de-authoritative attitude. Logos is a technique that focuses on logical thinking and logically proves through words. In this case, the standard of logic is the probability that the audience will accept as common sense. Therefore, in order for the logos to deepen the sympathy of the audienc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oral discourse, which will enable logical verification by speech but facilitate acceptance by the audience. It is necessary to pursue pro-social communication through a discourse that focuses on concreteness and presentation site. Pathos is a technique in which the speaker inspires emotions specific to the audience. At this time, one should be beware of the speaker's arbitrary stimulation of the audience's feelings. Therefore, the problem of strengthening sympathy through Pathos is due to the appropriate emotion caused by the message. The speaker should have a strategy to voluntarily induce the audience to bring in and resonate emotions based on their relevance. It is hypothesized that the rhetorical strategies that the research has sought will serve as fundamental strategies in various presentation situations. 본 연구의 목적은 발표에서 공감적 소통의 깊이를 더하기 위한 수사적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시한 수사학의 세 가지 설득 기술인 에토스, 로고스, 파토스에 주목하여, 각 기술들이 공감의 깊이를 더하기 위해 갖추어야 할 전략들을 모색한다. 에토스는 기본적으로 화자의 성격, 특별히 청중에게 믿음을 심어줄 인품을 강조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에토스가 청중의 공감적 반응을 깊게 하기 위해서는 청중을 연대적 대상으로 인식하고 청중에 대한 존중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 화자는 탈권위적 자세로, 청중을 배려하는 전략을 도모해야 하는 것이다. 로고스는 논리적 사고에 중점을 두고 말을 통해 논리적으로 증명하는 기술이다. 이때 논리의 기준은 청중의 상식적 수용에 기대는 개연성이다. 따라서 로고스가 청중의 공감을 깊게 하기 위해서는 말에 의한 논리적 증명을 청중의 수용이 용이한 구술적 담화 방식에 따라 전개할 필요가 있다. 구체성과 현장성에 주목하는 담화를 통해 친사회적 소통을 지향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파토스는 화자가 청중에게 특정한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기술이다. 이때 화자가 청중의 감정을 임의대로 자극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따라서 파토스를 통해 공감을 강화하는 문제는 화자에 의해 유도되는 청중의 감정이 메시지와 관련되어 유발된, 타당한 감정에 의한 것이어야 한다. 화자는 청중이 타당성에 근거하여 자발적으로 감정을 이입하고 공명하도록 이끄는 전략을 구사하여야 한다. 본 연구가 모색한 이러한 수사적 전략은 다양한 발표 상황에서 기저적인 전략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논증적 글쓰기와 논리적인 문장 쓰기

        장소진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2

        While writing is a course of communication in which one delivers his/her thoughts, it is sentence that is the basic starting point of delivering thoughts. Thus, the education of sentence composition has crucial significance in the education of writing. The education of sentence composition so far has been focused on the use of accurate sentences on the basis of grammar in the education of writing. However, this cannot be said to sufficient sentence education necessary for writing because sentences in writing don’t exist alone but rather do exist relatively. Thus, the sentence education in the education of writing should pay attention not only to the composition of individual grammatical sentences but also to the composition of logical sentences with the recognition of relations among sentences.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the categories of grammar, arrangement, and cohesion as basic conditions on sentence composition necessary for demonstrative writing, and hence, via a demonstrative analysis, discusses the problems of grammatical sentence writing, systematic arrangement of sentences, and tight cohesion among sentences. 글쓰기가 생각을 전하는 소통의 과정이라고 할 때, 생각을 전하는 기본 출발점은 문장이다. 따라서 글쓰기 교육에서 문장 쓰기 교육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제까지의 글쓰기 교육에서 문장 쓰기 교육은 문법에 근거한 정확한 문장쓰기에 초점이 놓여 왔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는 글쓰기에 필요한 충분한 문장 교육이라 할 수 없다. 글쓰기에서 문장은 단독적으로 존재하기보다는 관계적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글쓰기 교육에서 문장 교육은 개별 문장들을 대상으로 한 문법적인 문장 쓰기만이 아니라, 문장 간의 관계성을 의식한 논리적인 문장 쓰기에도 주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고는 논증적인 글쓰기에서 갖추어야 할 문장 쓰기의 기본 요건으로 문법과 배열과 결속의 범주를 제시하고, 그에 따라 문법적인 문장 쓰기, 문장의 체계적인 배열, 문장의 긴밀한 결속의 문제를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事實的 탐색과 飛躍的 인식의 力學-李淸俊의 ?이어도?를 대상으로-

        장소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4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2 No.2

        This study examined meanings that Lee Cheong-jun's Ieo Island tries to convey, while attempting to understand the work focused on its structure of explor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in Ieo Island, logical exploration for facts is pursued while realities and falsehoods or logic and illogic form the axes of perceptual confrontation, but facts and logic cannot be the only yardsticks of life and falsehoods in the process of exploration and illogic may be another axis of life. It is disclosed that life is sometimes restricted in the name of fate, carrying unexplainable mysterious meanings. Moreover, it is found that when man faces the realities limited by fate he has to dream another world beyond the limit. In the novel, the world of dream symbolized by Ieo Island is a fictitious, unreasonable and illogical world in the view of people outside but it is an ideal and truthful world in which the realities can be overcome in the view of people inside. Such a perception is what Lee Cheong-jun shows us in his work Ieo Island. 본고는 李淸俊의 이어도를 대상으로 探索의 構造에 초점을 두고 作品을 分析해 보았다. 그 결과 이어도에서는 事實과 虛構, 혹은 論理와 飛躍이 인식의 對立의 축을 이루면서 事實에 대한 논리적인 探索이 지향되는 가운데, 정작 探索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事實과 論理가 人生의 전면적인 잣대일 수 없으며, 때론 허구와 비약이 인생의 또 다른 軸일 수 있음이 드러난다. 생은 때론 說明될 수 없는 意를 지닌 채 運命의 이름으로 制限되기도 한다. 더불어 인간은 運命的인 現實에 直面했을 때 그것에서 벗어날 수 있는 또 다른 世界를 꿈꿀 수밖에 없음도 드러난다. 作品에서 이어도로 表象되는 그 꿈의 세계는 局外者的인 視線으로 볼 때는 合理性이 결여된, 飛躍에 근거한 虛構的 世界이지만, 內部人의 눈으로 볼 때는 現實 克服이 가능한 理想의 世界이며 眞實의 世界인 것이다. 李淸俊은 이어도를 통해 바로 그와 같은 認識을 보여 주고 있다.

      • KCI등재

        규율과 통제의 군대, 저항과 절망의 군인

        장소진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1 No.-

        With the experience in the fratricidal war and the division of the nation, our army is a world that has a unique meaning and status undeniable in our society. However, the world is sometimes regarded as an area of problem due to its internal contradictions and limitations coming from conflict between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According to Foucault, the army is a typical society controlled through systematic regulation so that ruling power can work even on microscopic areas of the body. In the army, the meaning of individuals is limited to a subsidiary and instrumental being for maximizing the capacity of the army. Recognizing this problem,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features of army units exposing the scenes of systematic regulation and control and army hospitals, the fields where consequent problems are concentrated, through Lee Mun-yeol’s Saehagok, Seo Jeong-in’s Husong, and Kim Yoo-taek's ‘Hello! Jamaica.’ These works reveal that the army turns its face away from the existence of individuals while it fails to realize just values and establishes a system oppressing private realities, and furthermore, it damages individuals’ body and mind and deprives them of their life through violence.

      • KCI등재

        ‘어머니 찾기’의 두 시선, 가부장적 신성화와 탈가부장적 환상화

        장소진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서강인문논총 Vol.0 No.56

        Moon Soon-tae's "Eomeoni-ui Dang" and Park Wan-suh's "Hwangag-ui Nabi" are the narratives of son and daughter searching their mother who escaped from reality under the pretext of a memory loss. Their "Finding a mother" is a metaphor for their searching mother’s existence. The gender ideology, represented in each work by the views of a son and daughter, brings the characters to a base conscious of their mother's existence and brings it down to a discriminatory aspects. The son's ‘Finding a mother’ in the "Eomeoni-ui Dang" is traced to patriarchal view. In the work, the mother is basically the object of separation and injustice, and her existence is not respected. In addition, the son understands the absence of the mother as sacred of the motherhood based on the patriarchal ideology, adding tragic meaning to the mother's existence. The daughter's ‘Finding a Mother’ in the “Hwangag-ui Nabi” follows a comradeship view based on anti-patriarchal consciousness. A daughter is a companion to her mother. Still, the daughter is locked in a patriarchal reality and is not aware of her mother's new existence. Although she finds a mother who has leaned on the oblivion of memory but has escaped the patriarchal reality and realized the new value of caring, but she is conscious of her new reality with fantasy. This means that the mother's new reality has not yet arrived in her everyday life, so it is left with a future value that should be renewed in her existence. As such, the two works' "Finding the Mother" create a difference in the clear meaning of the mother's existence. One is meant for denial and sanctification, while the other is meant for respect and fantasy. This is clearly the result of the operation of gender ideology, which is represented by the views of son and daughter, but at the same time, it is also a journey in which the mother's existence is valued in the context of our cultural history. 문순태의 「어머니의 땅」과 박완서의 「환각의 나비」는 기억 상실을 빌미로 현실에서 탈피한 어머니를 찾아나서는, 아들과 딸의 ‘어머니 찾기’ 서사이다. 이들의 ‘어머니찾기’는 어머니의 존재성 탐색에 대한 은유이다. 각 작품에서 아들과 딸의 시선으로표상되는 성 이데올로기는 인물들이 어머니의 존재성을 의식하는 기저가 되어 그것을차별적인 양상으로 귀결시킨다. 「어머니의 땅」에서 아들의 ‘어머니 찾기’는 가부장적시선으로 추적된다. 작품에서 어머니는 기본적으로 분리와 부정의 대상이 되고 그 존재성은 존중받지 못한다. 더하여 아들은 어머니 부재를 가부장 이념에 근거한 모성의신성화로 이해하여 어머니의 존재성에 비극적 의미를 더한다. 「환각의 나비」에서 딸의 ‘어머니 찾기’는 반가부장적 의식에 근거한 동지애적 시선을 따른다. 딸은 어머니와 동거와 동행의 길을 걷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딸은 가부장적 현실에 갇혀, 어머니의 새로운 존재성을 의식하지 못한다. 딸은, 기억의 망각에 기대어 가부장적 현실을탈피하여 새로운 돌봄의 가치를 실현하고 있는 어머니를 찾지만, 어머니의 새로운 현실을 환상으로 의식하는 것에서 멈춘다. 이는 어머니의 새 현실이 아직 일상으로 도래하지 않은, 그리하여 그것은 어머니의 새로운 존재성으로 의미화 되어야 할 미래적 가치로 남겨져 있음을 뜻한다. 이처럼 두 작품의 ‘어머니 찾기’는 어머니의 존재성에 대한 부정과 신성화, 존중과 환상화라는 명료한 의미화의 차이를 낳는다. 이는 분명 아들과 딸의 시선으로 표상된 성 이데올로기가 작동한 결과이지만, 동시에 우리 문화사의 흐름 속에서 어머니의 존재성이 가치화 되어가는 여정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