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등재어의 사잇소리 현상과 사이시옷 표기에 대하여

        최형용 이화어문학회 2019 이화어문논집 Vol.48 No.-

        This study aims at revealing whether the argument suggested consistently in Choi (2008, 2018ㄱ) on not employing ‘sai-siot’ in the case of ‘Sino-Korean + Korean native words’ is applicable to non-listed words. To achieve this goal, using the result of a survey by Choi (2018ㄴ), I tried to show the ‘sai-siot’ orthography of non-listed words, the ’sai-siot’ pronunciation of non-listed words according to ‘sai-sori’ phenomena,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groups. As a result,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ratio of ‘sai-siot’ orthography with non-listed words is much lower than that of ‘sai-siot’ orthography with listed words, I discovered that the whole tendency of ‘sai-siot’ orthography in ‘Korean native words + Korean native words’, ‘Korean native words + Sino-Korean’ and ‘Sino-Korean + Korean native words’ is consistent with Choi(2008, 2018ㄱ). It is more notable that the ratio of ‘sai-siot’ orthography with non-listed words is much lower, even though there were no large differences in the ratio of ‘sai-sori’ phenomena between non-listed words and listed words.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application of the ‘sai-siot’ regulation in Korean orthography looses its effect. Therefore the improvement plan for the ‘sai-siot’ regulation in Korean orthography by not employing ‘sai-siot’ as the main point should begin from the ‘Sino-Korean + Korean native words’ and gradually be expanded to other environments. 본고는 최형용(2008, 2018ㄱ)에서 일관적으로 ‘한자어+고유어’의 경우에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말아야 한다고 한 주장이 미등재어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최형용(2018ㄴ)의 미등재어에 대한 실태 조사를 바탕으로 사이시옷의 표기 양상, 사잇소리 현상에 따른 발음의 실현 양상, 사잇소리 현상에 따른 발음의 실현과 사이시옷 표기와의 상관관계를 따져 보았다. 그 결과 미등재어의 사이시옷 표기 빈도는 전체적으로 등재어의 경우보다 낮았지만 그 양상은 이전의 결과와 동일한 것으로 분석되어 최형용(2008, 2018ㄱ)의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등재어의 사잇소리 현상에 따른 발음의 실현 양상은 등재어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었는데도 불구하고 결과적으로 사이시옷의 표기로 이어진 경우는 더 적어 사이시옷 표기 규정의 적용이 원활하지 않다는 사실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는 곧 현행 규정에서 사이시옷을 표기해야 하는 경우 가운데 ‘한자어+고유어’에서부터 사이시옷을 적지 않도록 하고 점진적으로는 사이시옷 표기를 줄여 나가는 쪽으로 개선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사잇소리 현상과 표기

        최형용 한중인문학회 2008 한중인문학연구 Vol.23 No.-

        그동안 합성어 내부에서 일어나는 사잇소리 현상을 어떻게 표기할까 하는 규정은 다른 어떤 것들보다 많은 변화 과정을 겪어 왔다. 이것은 사잇소리 현상과 그 표기가 한국어의 표기법이 지향하고 있는 형태음소적 원리와 충돌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 자세히는 한자어 표기와 순 우리말 표기법의 충돌을 사잇소리 표기가 여실히 보여 주고 있는 것이다. 사잇소리 현상에 대한 지금까지의 표기 규정과는 달리 현행 한글맞춤법 규정은 한자어와 순 우리말을 구별하여 모종의 변별 기준으로 삼고 있는 것으로는 처음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문제가 적지 않다. 때에 따라 같은 단어가 후행 요소에 따라 다른 모양을 가지게 되는 것(‘근사치’와 ‘근삿값’)이라든가 예외적으로 사이시옷을 밝혀 적도록 된 여섯 예 때문에 표기 및 발음상의 불일치가 생기는 것(‘셋방’과 ‘전세방’), 한자를 노출하여 적는 경우 한글 표기와 차이가 생길 뿐만 아니라 발음도 달라져야 한다는 것(‘전셋집’와 ‘傳貰집’)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한자어의 한글 표기에 대한 전반적이고도 체계적인 논의가 시급하겠지만 우선은 사이시옷에만 논의를 한정해 보면 먼저 아예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는 방안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표기와 발음이 너무 멀어지게 된다는 점에서 문제가 없지 않다. 다음으로는 사이시옷을 한 음절의 자리를 주어 합성어 사이에 밝혀 적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는 형태음소적 표기법을 극단적으로 적용하는 방안인데 사이시옷만을 위해 한 음절의 자리를 내 주어야 한다는 점이 큰 부담으로 남는다. 지금으로서는 선행 요소가 한자어일 경우에도 사잇소리를 밝혀 적지 않는 방안이 최선이 아닐까 한다. 그러나 이것도 ‘ㄴ’, ‘ㄴㄴ’의 덧남 현상을 설명하는 데서 문제를 야기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본질적으로는 성질이 다른 ‘ㄴ’ 첨가에 대해서는 따로 규정을 마련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수 있다. ‘Sai-Sori’ Phenomena and Orthography Choi, Hyung-Yong So far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in orthography for ‘Sai-Sori’ phenomena of Korean since it caused a conflict between morphophonemic principle and phonemic principle of orthography, in detail between Sino-Korean and Korean orthography. The present spelling system of Han-gul have not a few problems for ‘Sai-Sori’ phenomena. For example same words have different forms according to the following words(‘근사치’ ; ‘근삿값’), sometimes spellings are in discord with their pronunciations because of exceptional six words(‘셋방’ ; ‘전세방’) and in the case of spelling Sino-Korean there are differences in spelling and pronunciation(‘전셋집’ ; ‘傳貰집’). To solve these problems we must discuss about the spelling system of Han-gul for Sino-Korean overally and systemically but in this paper I focused on the ‘Sai-Sori’ phenomena. At first one can present a spelling system not revealing ‘Sai-S(ㅅ)’. But this method has a weakpoint in the respect of causing a estrangement betweeen spelling and pronunciation. Secondly one can think of another solution which give a status of syllable to ‘Sai-S(ㅅ)’. However this solution has a problem itself because ‘Sai-S(ㅅ)’ is not a syllable. So, for now it is a most reasonable way, I think, to reduce those problems that spells ‘Sai-S(ㅅ)’ only when precedent word is a native tongue of Korean. Therefore ‘ㄴ’ and ‘ㄴㄴ’ insertion has to be separated from ‘Sai-Sori’ phenomena indepentently.

      • KCI등재

        ‘-적(的)’ 파생어의 의미와 ‘-적(的)’의 생산성

        최형용 형태론 2000 형태론 Vol.2 No.2

        접미사의 생산성은 그 의미와 상관적이어서 흔히 생산성이 높은 접미사는 의미면에서도 투명성이 확보된다. 그러나 생성된 단어들을 대상으로 살펴보면 높은 생산성에도 불구하고 그 의미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는 경우들이 적지 않다. 본고에서는 생산성이 높은 것으로 간주되는 접미사 ‘-적(的)’과 그것에 의해 생성된 파생어들을 대상으로 생산성과 의미의 관계가 단순하지 않다는 것을 보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접미사 ‘-적(的)’의 의미와 ‘-적(的)’ 파생어의 의미가 서로 규칙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예들에 관심을 두었다. 어떤 단어가 파생어임이 분명하다면 그것이 아무리 생산성이 높은 접미사에 의해 생성된 것이라 하더라도 등재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보면 접미사와, 그 접미사에 의해 생성된 파생어 사이에 존재하는 의미상의 불투명성은 심각한 고민이 필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직접 성분 분석이나 파생어의 범주 문제도 생산성의 측면에서 아울러 연구의 대상이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동의 충돌에 따른 의미 변화의 한 양상에 대하여

        최형용 국어학회 2007 국어학 Vol.0 No.50

        어떤 표현의 의미가 변화하는 데는 여러 가지 이유가 존재한다. 그 변화는 단독적일 수도 있고 다른 것과 상호 작용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또 변화의 결과가 원래 의미와 대동소이한 것일 수도 있지만 전혀 다른 것일 수도 있다. 본고에서 관심을 가진 의미 변화는 의미 변화가 상호 작용에 의한 것이면서도 변화의 결과가 완전히 다른 것으로 결과된 부류이다. 즉 동의 관계에 있던 표현이 충돌의 과정을 겪으면서 서로 반의 관계화하였거나 혹은 그 와중에 있는 것들이 본고의 관심사이다. ‘앞’과 ‘前’, ‘적이’와 ‘조금’, ‘기차다’와 ‘기가 차다’가 전자의 예라면 ‘적절하다’와 ‘적당하다’, ‘쌍수(를) 들다’와 ‘두 손(을) 들다’는 후자의 예이다. 이들은 세부적으로는 의미 변화 양상이 복잡다단하지만 각각의 쌍이 흡사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고 따라서 충돌하는 과정에서 어느 한 쪽이 가치 측면에서의 변화를 입어 결과적으로 서로 반의 관계를 보이게 되었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 KCI등재

        '킥라니'형 신어 혼성어에 대하여

        최형용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22 언어와 정보 사회 Vol.46 No.-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the properties of the khiklani-type, new blends. They have in common that the second half of the blend which have attribute meanings modify the first half with respect to the semantic structure. This property does not follow the general principles of Korean as a head-final language. However, the scale of such blends is not so small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five main types and ten subtypes according to the morphological structure. Moreover, the metaphor which is expressed by the latter elements of the khiklani-type blends is much more common in blends in general in contrast to compounds. As a result, these new khiklani-type blends have to be considered a new (productive?) kind of word formation rather than mere exceptions. 지금까지 후행 요소가 은유를 통한 속성 의미를 가지면서 선행 요소를 수식하는 ‘킥라니’형 신어 혼성어에 대해서는 그 특성이 제대로 밝혀졌다고 보기는 어렵다. 본고에서는 모두 64개 ‘킥라니’형 신어 혼성어 목록을 확인하였는데 형태 구조를 기반으로 할 때 다시 크게는 5개, 작게는 10개까지 구분이 가능하다. ‘킥라니’형 신어 혼성어는 한국어가 핵-끝머리 속성을 가진다는 사실에 대한 예외로서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 후행 요소는 모두 은유를 통한 속성화로서 선행 요소를 수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그런데 ‘킥라니’형 신어 혼성어에서 나타나는 후행 요소 은유는 ‘킥라니’형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닐 뿐만 아니라 혼성어에만 국한된 것도 아니다. 그러나 합성어에서 나타나는 은유의 양상은 선행 요소 은유가 더 일반적일 뿐만 아니라 후행 요소에서 은유가 나타나는 경우 선행 요소를 수식하는 것은 찾기가 어렵다. 이에 비하면 신어를 대상으로 할 때에도 후행 요소가 은유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혼성어에서 두드러진다는 것은 ‘킥라니’형 신어 혼성어의 존재를 설명하는 실마리가 된다. 한편 ‘킥라니’형 신어 혼성어의 단어 형성적 특성에 대해 살피기 위해 김병건(2018)에서의 실험 결과에 주의를 집중하였다. 김병건(2018)의 내용을 보면 ‘킥라니’형 신어 혼성어의 존재가 우연한 결과가 아님을 보여 주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이는 곧 ‘킥라니’형 신어 혼성어가 혼성어 형성에서 하나의 유형을 보여 주는 존재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 KCI등재

        의미 관계와 신어 형성

        최형용 한국어의미학회 2019 한국어 의미학 Vol.66 No.-

        This paper aims at revealing the semantic relation in new words formation, based on Choi(2018), by dividing it into two categories of ‘between words’ and ‘word inside’. Firstly for ‘between words’, if we focus on the new words only in the output, hyponymy is the most productive method. However, if we focus on the new words including input as well, antonymy is the most productive method. This means that antonymy has a property of filling the gap between lexemes. In contrast, synonymy is the most unproductive method. This shows that synonymy causes both economical inefficiency and redundancy of lexicon. These aspects are applied similarly to the semantic relation of ‘word inside’. Antonymy is the most productive method in new words formation. And synonymy and hyponymy are unproductive in new words formation. Synonymy just has an effect of emphasis and hyponymy leads to redundancy. In spite of these distinctions, it is hard to deny that semantic relation takes some sort of role in new words formation regardless of ‘between words’ and ‘word inside’.

      • KCI등재

        단어 형성과 음절수

        최형용 국어국문학회 2004 국어국문학 Vol.- No.138

        The study of word formation so far has been focused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words. Therefore the number of syllables in the process of word formation has not been recognized as a matter of great interest. But when the number of syllables attain superiority over the structural similarity of words, it can be considered as a stately mechanism of word formation. Namely the number of syllables can't be dealt with as a sort of constraint simply. We can easily observe the aspect of the number of syllables as a mechanism when substitution and clipping are discovered in the process of word formation. Also we are concerned with nonce words to clarify the word formation competence of speakers. But the tendency to maintain the number of syllables fixedly can be applied in actual words. In this paper we largely confirmed it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But it can be also found in the process of compounding through blending. However we don't extend it to actual words like in derivation. That is not only a weakpoint of this paper but also a further problem awaiting solution to settle the number of syllables as a mechanism resolutely.

      • KCI등재

        순화어의 형태의미론적 고찰 - 국민 참여형 순화어 299개를 중심으로 -

        최형용 한중인문학회 2012 한중인문학연구 Vol.36 No.-

        그동안 순화는 하향적, 일방적, 타율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2004년 7월 12일부터 2011년 12월 6일까지는 이러한 방식에서 탈피하여 순화어 후보 제안에서부터 선정에 이르기까지 국 민들이 직접 참여하는 상향적, 쌍방향적, 자율적인 방식으로 전환되어 모두 299개의 순화어가 제시된 바 있다. 이들 순화어들은 언중들의 언어 의식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측 면이 적지 않지만 언어학적으로 고찰하면 아쉬운 부분도 적지 않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이 들 순화어 299개를 대상으로 형태의미론적으로 고찰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나름대로의 대안 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의미론적 측면에서는 ‘의미상의 등가성’, ‘의미적 계열 관계’, ‘비유적 용법’, ‘논항 관계’, ‘가치평가’로, 형태론적 측면에서는 ‘단어성’, ‘형태적 계열 관계’, ‘핵과 비핵 의 관계’, ‘불규칙적 어근의 단어 형성 참여’로 나누어 순화어의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하나의 순화어가 이들 가운데 복수의 측면에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도 있었음을 아울러 언급하였다. 국립국어원에서 2012년부터 순화어를 확정하는 단계에서는 문 인, 언론인, 국어학자 등으로 구성된 말다듬기위원회에서 결정하는 방식으로 전환한다고 밝힌 것은 ‘새로운 방식의 순화’인 국민 참여형 순화가 가지는 문제점을 인식한 데 따른 것으로 평 가된다. 본고를 통해 언급된 순화어의 형태의미론적 제 측면들이 앞으로의 지속적이고 효율적 인 순화 과정에 있어 구체적이고도 실질적인 기준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Generally, refinement has been done for ‘top-down’, ‘one-sidedly’ and ‘heteronomously’. By the way, refinement from July 12th, 2004 to September 6th, 2011 has been considered as breaking from the convention by the new method which netizen themselves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suggestion and selection of refined words. As a result, it changed the way of the old refinement into ‘bottom-up’, ‘both-sidedly’ and ‘autonomously’ and produced 299 refined words. However, I think that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those refined words, especially in morphosemantic aspects. ‘Equality in meaning’, ‘semantic paradigmatic relation’, ‘figurative usage’, ‘argument relation’, and ‘evaluation’ are the detailed problems in semantic aspects. ‘Wordhood’, ‘morphological paradigmatic relation’, ‘relation between head and non-head’, and ‘participation in word-formation of irregular root’ are the detailed problems in morphological aspects. I expect that these detailed problems in morphosemantic aspects show the necessity of complementary measures and can be also regarded as concrete criteria in the process of refin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