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日本 淺茅野 舊日本陸軍 비행장 건설 강제징용 희생자 유해발굴

        安信元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3 비교일본학 Vol.28 No.-

        이 글은 지난 2006-2010년 사이에 일본 홋카이도 아사지노에서 진행된 조선인 강제 징용자 유해발굴의 결과와 의미를 연구한 것이다. 조사된 내용을 종합하면 무덤과 화 장구덩이를 포함하여 모두 39기의 유구에서 매장흔적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에서 완전 유해 8구, 유해의 최소개체수(MNI) 24개체가 확인되었다. MNI는 24개체이나 개인이 개별적으로 소지했을 것으로 판단되는 곰방대나 버클의 존재, 그리고 화장이 되어있는 구덩이에서 수많은 뼈가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이곳에 매장된 유해의 수는 이보다 훨 씬 많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사지노에서 확인된 유해들은 유해가 온전한 상태가 아닌 비정상인 상황에서 매 장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격심한 노동의 흔적을 보여준다. GP-11 출토 유해는 불과 약 70×40×50cm 크기에 불과한 구덩이에 3인의 성인남성을 매장했다. 또한 GP-24의 경우는 아사지노에서 확인된 유해 중 유일하게 길이 45~47cm의 작은 정사각형 나무 상자에 들어있는데, 목뼈가 부러져 있고 곰방대가 옷감과 엉켜 있는 것으로 보아 옷을 입은 채 억지로 상자 안에 밀어 넣어 매우 비정상적인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발견된 유해들의 상태나 매장방식은 일본인들의 일반적인 장례의식이나 매장, 화장방식과는 현격하게 차이가 나고 매우 비정상적임을 알 수 있다. 일제말기에 강제징용된 조선인들이 사망시 어떤 방식으로 처리되었는지에 대한 자료와 증언을 종 합해 본다면, 출토된 유해가 일본인이라고 볼 수는 없고 당시 희생당한 조선인 강제징 용자들의 유해로 생각된다. This study is based on a research into the results and significance of exhumation of remains of Korean forced-laborers conducted in Asajino, Hokkaido of Japan from 2006 to 2010.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traces of burial were found in a total of 39 sites including tombs and cremation pits, which included 8 complete remains and MNI (Minimum Number of Individuals) of 24 remains. However, since short smoking pipes and buckles that were probably owned by individuals and numerous bones in the cremated pits were found, the actual number of remains is deemed to be far more than 24. The remains found in Asajino indicate they were buried in an abnormal condition and show signs of severe labor. The remains of GP-11 indicate three male adults were buried in the small pit of approximately 70×40×50cm. GP-24 contained a small square wooden box of 45~47cm, unlike other remains of Asajino, where broken neck bones and short smoking pipes tangled with clothes were found, suggesting a very abnormal situation of victims being forced into the box with clothes on. The research revealed the condition and method of burial of remains were very abnormal and different from general method of funeral, burial and cremation of Japanese. Based on the data and testimony on how Koreans forcefully drafted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handled upon death, the remains found are most likely Koreans who were victims of forced labor draft, rather than Japanese.

      • KCI등재

        夏代 都城의 고고학적 고찰

        신원(Ahn, Shinwon) 중부고고학회 2013 고고학 Vol.12 No.2

        본 논문은 하대의 도성으로 비정되는 언사 이리두 유적과 상대의 전기 도성유적인 정주상성과 언사상성과의 비교를 통해 이리두 유적의 고고학적 성격과 도성의 비정 가능성을 검토해 본 글이다. 이리두 유적은 상대 전기의 고고학적 문화와는 확연하게 차별되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하대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유적의 규모나 유적 내에 분포하고 있는 건물지, 무덤, 제사유구, 공방, 청동유물 등 중국의 도성유적이 보여주는 고고학적 특징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하대의 도성으로 비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초기국가적 성격을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특징들에도 불구하고 상대의 정주상성이나 언사상성과 같이 엄청난 규모의 성벽, 성 내외부에 존재한 궁전, 민간건물, 청동기 제작소, 골기 제작소, 배수시설, 무덤, 제사갱, 거대한 청동기 등 이미 계급의 분화, 재화의 독점, 제작 및 공급체계, 계급화된 취락구조, 제의의 발달, 수공업 생산의 전문화와 표준화 등 국가의 중앙집권적 정치, 경제체제가 정점의 단계에 도달해 있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고고학적 특징들을 모두 갖추고 있지는 못하다는 점에서 아직 성숙한 중앙집권적 국가단계에는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paper, the archaeological natures of Erlitou(二里頭) Ruins have been examined to investigate this possibility through the comparisons of the Erlitou Ruins with the Shang(商) city sites in Zhengzhou(鄭州商城) and Yanshi(偃師商城) which were determined to be capital cities of early Shang Dynasty. Since the Erlitou Ruins are evidently different from the archeological natures of early Shang Dynasty, it is considered to be of the late Shang Dynasty. It is possible to assume Erlitou to be a capital city since it also displays the typical archeological characteristics of capital cities of ancient China with its size and the findings within the remains such as building sites, tombs, ceremonial vessels, workshops, and bronze artifacts; characteristics of early nation state are also evident in these remains. However, in spite of these characteristics, it lacks the evidences of archeological features of an established ancient nation state such as those found in the Shang capital city sites of Zhengzhou and Yanshi; massive walls, palaces inside or outside the wall, civilian living quarters, bronze workshops, bone implements workshops, sewage system, tombs, or large bronze ceremonial vessels which are typical features that may appear when an early nation state had developed into the established nation state with centralized political and economical systems. For these reasons, it is assumed that Erlitou had not yet reached the centralized nation state.

      • KCI등재

        中國 圍溝墓의 기원과 기능

        安信元(Ahn, Shin-Won) 한국상고사학회 2004 한국상고사학보 Vol.44 No.-

        중국의 圍溝墓는 그 형태상의 특징으로 인해 한국, 중국, 일본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으며, 특히 한반도 주구토광묘의 기원과 관련하여 주목해야 할 묘제다. 본고는 중국의 자료를 검토하여 위구묘의 기원과 기능에 대해 추론하였다. 중국학계에서는 위구묘가 중국 서북지방 卡約文化의 무덤에서 발생하고, 秦代에 이르러 秦의 고유한 묘제로 발전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卡約文化의 문화적 특징은 秦과 전혀 다른 양상을 보인다. 특히, 卡約文化의 묘제는 二次葬 계열이므로 굴지장으로 대표되는 秦의 묘제와는 전혀 다른 문화적 성격을 갖고 있어 秦의 위구묘와는 친연성이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 또한 卡約文化의 분포영역은 靑海省 일대에 분포하고 있어서 陜西省 關中地方에 근거지를 둔 秦의 영역에는 영향력을 미쳤다고 볼 수 없으므로 秦과 공간적으로도 연관성이 없다. 따라서 위구묘라고 지칭된 卡約文化의 무덤은 秦의 위구묘와 서로 연관성이 없다고 판단된다. 秦의 대형묘는 秦公陵園의 조영방식으로 볼 때 西周時代 이래로 지켜온 公墓制의 전통을 충실하게 따르고 있는데, 秦의 왕실능원에서 발견되는 溝는 춘추시대 말기에 이르러 출현하므로 왕릉의 각 묘역을 구분하고 능원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 秦왕실의 능원제도로 판단된다. 이러한 점은 秦公陵園의 3호, 8호, 12호, 13호 묘역의 조성순서에도 잘 나타나 있다. 각 묘역은 內兆, 中兆, 外兆 등 3개의 溝로 나뉘며 각기 묘, 묘역, 능원을 구획하는 용도로 조성되었다. 이러한 溝의 기능은 秦 통일기에 이르러 담장으로 대체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秦의 대형묘에서 확인되는 溝는 "兆"의 역할을 한 것으로 판단되고 이 대형묘들을 위구묘라고 부를 수는 없다. 위구묘는 전국시대 말기에 들어서면서 비로소 관중지방 이외의 지역인 山西省 陜縣일대의 중소형묘에서 등장하며 하위계층의 귀족이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秦의 중소형묘에서 확인되는 위구묘는 秦文化의 영향력 확대에 의한 전파와 확산이 아니라 전국시대 말기에 지방으로 이주한 秦의 일부 귀족계층이 왕실의 묘제를 모방하여 자신들의 묘역을 다른 계층과 구분하려 한 결과로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Chinese ditch tomb has been given academic attention in Korea, China, and Japan due to the special feature of its shape. Special attention mest be paid on ditch tomb since it is expected to explain the origin of pit tomb with ditch in Korea. This paper attempts to figure out the origin and the functions of ditch tomb. Chinese ditch tomb is believed to origin from Kayue Culture, and complete its unique feature in Qin Dynasty. However, ditch tomb in Kayue culture differs from tombs used for traditional secondary burials in Kayue Culture, and doesn't have any cultural similarities with ditxh tomb in Qin Dynasty, which implies that it should not be consider as the origin of ditch tomb. Kayue Culture is distributed in Qinghai region, and Qin Dynasty is mainly located in Guanzhong area. Therefore, even a geographical relationship is not found. The fact that ditch tomb in Qin Dynasty is discovered only in marquis cemetery, not in small and medium sized cemetery tells us that it is not a tomb for the common people, and used only for the burials of the high class. From the viewpoint of the construction style of Qin marquis cemetery at Fengxiang in Shaanxi, tombs in Qin Dysnasty conform to the tradition of Zong-fa system observed since the era of Western Zhou. Ditch tomb was used for the division of each cemetary when the royal park was being cemetaries-No.3, No. 8, No. 12, and No, 13. Ditch tomb in this era i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ditches, such as inside ditch, middle ditch, and outside ditch, and each ditch forms in the Qinshihuang maosuleum. There is a view that ditch tombs discovered in the region other than Guanzhong area are tombs for the common people. However, we can't say that ditch tomb is built for the common people because funerary objects that are found in ditch tombs not used for the burials of the common people. It might be used for the burials of the lower noble class. These ditch tombs belong to the late Warring States perio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fer that the discoveries of ditch tombs are the result of the spread of the Qin Dynasty's political and cultural influence. And ditch tombs found in the region other than Guanzhong area are might be the result of the emulation of the Qin burials.

      • KCI등재

        일본 근대화산업유산의 가치와 활용에 대한 사례 연구 - 긴키지방의 산업유산박물관을 중심으로 -

        신원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3 No.-

        본 글은 일본 긴키지방을 중심으로 산업박물관의 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에서 산업유산을 활용한 박물관의 성격과 역할을 어떻게 정립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검토하였다. 박물관에서 보유한 유물의 가치가 가장 중요하듯이 산업박물관에서 가장 중요한 가치는 산업기술 그 자 체에 있다. 이를 위해서는 과거의 산업기술과 관련된 물질적 증거에 대해 체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산업고고학적 접근방법이 수반되어야 한다. 산업박물관은 건물 자체가 건축학적으로 중요한 산업유산이기도 하지만 가장 중요한 산업사적 가치, 역사적 가치, 장소와 시대적 맥락 을 잘 설명하는 전시기법을 사용하야 하고 산업기술사적 가치, 시대적 맥락, 기술발전 로드맵, 관련 정책, 인물, 사회적 파급효과 등과 함께 전시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또한 제작공정을 이해할 수 있도록 생산과 제작과정을 재현할 수 있는 전시도 마련되어야 한다. 산업유산은 역사적, 기술적, 사회적, 건축적 또는 과학적 가치가 있는 산업문화의 유산이 며, 산업에 관련된 사회활동을 위해서 사용된 공간이기 때문에, 현대의 공공역사는 새로운 공 동체의 기억과 정체성을 만들어 낸 산업유산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산업박물관은 타 인과의 경험을 공유하는 지역민의 장소기억에 대한 자료를 끊임없이 수집하고 이를 전시의 형태로 나누어야 집단기억에 기초한 지역정체성을 만들어낼 수 있다. 산업박물관이 지향해야 할 핵심적인 가치는 산업유산의 산업기술사적 가치를 평가하고 해석하는 것이며 나아가 이 가치가 지역민 개개인의 공통의 기억 속에서 공공의 역사로 치환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그런 데 실제 이러한 핵심적인 과업의 완성은 지역사회의 참여와 협력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지역민의 참여, 지방정부의 지원 및 다양한 전문가 집단과의 협력을 통한 거버 넌스는 산업유산의 관리, 보존, 및 연구의 실천전략에 가장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ases of industrial heritage museums in the Kinki region of Japan and examines how to establish the nature and role of museums utilizing industrial heritage in Korea. Just as the value of the artifacts held in a museum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he most important value in an industrial heritage museum lies in the industrial technology itself. To this end, an industrial archaeological approach must be accompanied by a systematic study of material evidences related to past industrial technologies. Although a building itself is an architecturally important industrial heritage, an exhibition technique that explains the most important historical values of industrial technologies, places and historical context should be used. It should move in a direction that can be exhibited along with policies, people, and social effects. Also, an exhibition that can reproduce the production and production process should be prepared so that the production process can be understood. Industrial heritage is a heritage of industrial culture with historical, technological, social, architectural or scientific value, and since it is a space used for industrial related social activities that has created memories and identities of new communities, it is closely related to modern public history. Therefore, industrial heritage museums can create a regional identity based on collective memories by constantly collecting data on local people's memories of places who share their experiences with others and categorized them into exhibitions. The core value that industrial heritage museums should aim for is to evaluate and interpret the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historical value of industrial heritage. Furthermore, this value should be replaced with public history in the common memory of each local citizen. However,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actual completion of these core tasks depends on th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the local community. In particular, governance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support from local governments and cooperation with various groups of experts is the most important aspect of the management, conservation, and research strategy of industrial heritage.

      • KCI등재후보

        유해발굴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의미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신원(Ahn, Shinwon) 중부고고학회 2008 고고학 Vol.7 No.1

        This paper aims at providing problematic status of humation emerging as a new research category in the field of archaeology as well as its archeological historicity. Unlike many other countries considering it quite a natural to make full advantage of archaeological methodology and analytical understanding putting into practice in cases of humation while stressing on social obligation in archaeology, our situation has been far beyond me trend, leaving it to the role of me military cirde or civil sectors induding NGO, rather man the academic scope of our archaeology probably resulting from lack of attention. However, me archaeological spectrum is indispensible with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it never sets itself free from me social demands and awareness of the issues. In this regard, it is me time for our archaeological world to pay keen attention on the matter of fallen soldiers along with civilians sacrificed during Korean War because the historic scenery from which they were buffered in the course of national turmoil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is also a cross-sectional page of our history, Given the fact that humation has been made by far with no presence of archaeologists, it is inevitable to differ in nearly every case in archaeological methods, Unfortunately in particular, The basic and fundamental archaeological records has been neglected not only by sticking to digging out me remains themselves, but also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on contexts. Therefore, some examples of humation headed by archaeologists since 2004 are very meaningful getting closer to more realistic investigation over me historical accidents by way of scientific archaeological approaches. The humation, bridging me people with national identity, is deemed a strong sense of symbol produced by nationalism, being exemplified by me various process of rites. The human remains are not just booed osteoid, but a sociocultural creation reborn through re-burial, which is identified with me modem sense of ideology. likewise, me humation is defined as a political and symbolistic behavior hidden in the social relationship, channeling into a social mediator interpreting me unexperienced history into refreshed words easily accessible by this time of people. 본문은 고고학의 연구 영역 중 새로운 분야로 부상하고 있는 유해발굴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고고학적 의미를 학사적 측면에서 검토한 글이다 세계 각국은 오래전부터 고고학의 방법론과 해석방법을 유해발굴에 적극적으로 적용하여 왔고, 이를 통한 고고학의 사회적 책무를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유해발굴은 우리 학계의 관심부재로 인해 고고학의 영역과는 관계없는 군대나 시민단체의 몫으로 여겨져 옹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고고학의 연구주제,방법,그에 따른해석과 관점은 당시의 사회적, 역사적 맥락과 무관할 수 없으며 , 또한 현재의 사회적 요구나 문제의식 없이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수많은 한국전쟁 전사자들이나 국가적 혼란기에 이념적 대립으로 희생당한 민간인들의 존재는 우리가 연구하는 과거사의 한 답변을 대변하므로 그들이 희생된 시대적 맥락과 우리가 행하는 유해발굴의 의미는 이제 충분히 고고학적으로 다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 동안 유해발굴은 고고학자들의 참여 없이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발굴의 목적 , 방법, 보고서 기술, 해석 둥에 있어 고고학적 방법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특히 “유해 찾기” 에만 발굴의 초점이 맞추어짐으로 인해 유해가 매장되기까지의 역사적, 시대적, 상황적 맥락에 대한 이해부족은 물론 기초적인 고고학적 정보 대부분이 무시되어 왔다. 그러나 2004년 경남대박물관의 마산 여양리 유해발굴조사부터 고고학자들에 의해 주도된 유해발굴은 고고학적 방법을 통한 역사적 사건의 실체규명은 물론 고고학의 사회적 기여 등에서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을 수행해 오고 있다. 유해발굴은 국가와 국민의 관제를 공동체적으로 연결시켜 주고 국가의 존속을 위해 생산된 강력한 상징물이자국가주의의 산물이다 또한 유해발굴 과정상의 다양한 의례행위는 그 상징성을 강화시켜 주기 위한 매개물이다. 유해는 단순히 그곳에 묻힌 의미 없는 존재가 아닌 재 매장 과정을 통해 현대적 의미로 재해석되고 재탄생 하는 새로운 사회문화적 상징물인 것이다 유해발굴은 다양한 사회관계 속에 숨어있는 정치적 행위이자 상징적 행위이며, 이를 통해 현대의 고고학은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시기의 역사를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재구성해 내는 사회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안산읍성 목빙고의 축조와 그 의미

        신원,이정철 역사문화학회 201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2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wooden ice storehouse(木氷庫) at Ansanupseong Fortress(安山邑城) in Joseon Dynasty(朝鮮時代) confirmed through archaeological Survey. The construction of the ice storehouse at Ansanupseong Fortress is closely related to presenting fish to the king. In the case of Ansan area, the supply of fish was concentrated, and early day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aongwon Branch(司饔院分院; 安山漁所), the mayor had managed it, and a ice storehouse would have been built in the same space as the government office of Ansanupseong Fortress. The ice storehouse was built at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and was used for a long time after 19th century, and it has been rebuilding twice since it was first created. The rebuilded gradually progress to reduce the size of the ice chamber(氷室), which seems to be associated with economic and social factors. The wooden ice storehouse with trees in the Joseon Dynasty was confirmed only at Hongseong(洪城) and Buyeo(扶餘). The ice storehouse at Ansanupseong Fortress is good condition, and the repaired aspect is clearly observed. Therefore, it has the value of important academic data in the ice storehouse of the Joseon Dynasty, and furthermore, in the study of the Korean ice storehouse. Therefore, various efforts are needed to preserve and utilize it. 본 연구는 고고학 조사를 통해 확인된 조선시대 안산읍성 목빙고의 축조양상과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안산읍성 목빙고의 축조는 물선의 진상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안산지역의 경우 어물의 진상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고, 사옹원 분원인 안산어소의 설립 초반에는 안산군수가 이를 관장하였기 때문에 안산읍성 내 관아지와 같은 공간에 목빙고가 축조되었을 것이다. 목빙고는 조선 초기에 축조되어 19세기의 특정시기까지 오랫동안 이용되었는데, 초축 이후 두 차례의 개축이 이루어졌다. 개축은 점차 빙실의 규모를 줄이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는데, 이는 경제적․사회적 요인과 맞물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 목빙고는 현재까지 홍성과 부여에서만 확인되었는데, 잔존상태 및 개축의 양상이 뚜렷하게 관찰되는 안산읍성 내 목빙고는 조선시대 빙고, 더 나아가 우리나라 빙고사 연구에 있어 매우 중요한 학술적 자료의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이를 보존․활용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지역문화의 정체성과 경쟁력 강화를 위한고고역사유적 활용방안 - 경기 하남 이성산성의 예를 중심으로 -

        신원 인문콘텐츠학회 2018 인문콘텐츠 Vol.0 No.48

        The archaeological sites in a region are meaningful in that they represent the lifestyle and culture of our ancestors. So depending on how to utilize the archaeological site, it will be possible to rediscover the historical, cultural and academic values of local cultural heritages. In this regard, the Iseong Sanseong Fortress in Hanam, Gyeonggi Province plays a key role in the Silla’s possession and management of the Han River and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It is considered to be a very pertinent example to use archaeological sites as a representative content for local cultures. Therefore, the following are the main points of view for the utilization of Iseongsanseong Fortress. First, the research plan was developed and utilized, and second, maintenance, restoration planning and use of sites, and third,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ducation and tourism programs to increase utilization of historical sites. Raising the value of local cultural contents and establishing a cultural identity is done with the interests and interests of the public. The final stage of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archaeological sites depends on the fact that the provision of permanent programs to satisfy the public’s cultural desires provides the most favorable environment for preserving historical sites.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use of historical sites is to establish cultural landscape by highlighting the academic values of historical sites through education programs and connecting them with neighboring cultural sites. Furthermore, it is thought that it is to enhance cultural ident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area. The archaeological site in a region is constructed and reconstructed through storytelling, creating value as a unique cultural content with its historicity, tradition, and uniqueness, and establishing local cultural identity. I think the composition of storytelling utilizing archaeological sites is essential. Ultimately, the utilization of archaeological sites should be actively utilized in terms of the fact that they are not fossil-like creatures to the general public, but a source of unique local lifestyle and content.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begins with the understanding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values, and significance of historical sites, and is circulated by the efforts of culture to utiliz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archaeological sites. 한 지역의 고고역사유적은 우리 조상이 만들어낸 당시의 생활양식과 문화를 그대로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존재의미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경기도 하남시에위치한 이성산성은 신라의 한강 유역 점유와 경영, 그리고 삼국의 통일과정에 있어군사적ㆍ행정적 중심지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 곳으로, 고고역사유적을 지역문화의 대표적인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는 매우 적절한 예라고 판단된다. 따라서본고에서는 다음의 내용을 중심으로 이성산성의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술조사 계획의 수립과 활용, 둘째, 유구 정비ㆍ복원 계획 수립과 활용, 셋째, 유적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주변 환경의 정비, 넷째, 교육 및 관광프로그램의개발과 운영이다. 지역문화콘텐츠의 가치제고와 문화적 정체성은 대중의 관심과 이해를 구하는 과정 속에서 완성될 수 있으며, 대중의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항구적인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유적의 보존에 가장 유리한 환경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고고역사유적 보존과 활용의 최종 단계는 결국 일반 대중들과의 관계설정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고고역사유적의 활용방안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유적의 학술적 가치와 역사적 의미 부각, 주변 문화유적과의 연계를통한 문화경관 조성하고 나아가 지역의 문화적 정체성과 경쟁력을 제고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한 지역의 고고역사유적은 스토리텔링을 통해 가공되고 재구성되면서 역사성, 전통성, 고유성을 지닌 독특한 문화콘텐츠로서의 가치도 지니게 되고 지역민의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는 점에서 고고역사유적을 활용한 스토리텔링의 구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결국 고고역사유적은 해당 유적이 일반대중에게 화석과 같은 존재가 아니라 지역의 고유한 생활문화콘텐츠의 원천이라는측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보존과 활용은 유적의 특성과 가치, 중요성에 대한 이해와 분석으로부터 시작되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고고역사유적에 대한이해와 지식을 축적하고 이를 활용하여 문화콘텐츠로 순환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국의 문명과 국가기원론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신원(Ahn Shin Won) 한국고대학회 2017 先史와 古代 Vol.- No.52

        본 글은 고고학과 역사학의 관계를 통해 중국문명과 국가기원에 대한 학사적 관점을 정리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중국 고대국가의 형성과 발전이라는 중요한 연구테마에 접근하고자 하였다. 현존하는 사회와 문화의질서, 도덕과 자아 이 모두를 역사발전 과정의 필연적 표현의 과정이라고 보는 중국에서 역사학의 전통은 중국 민족의 가장 중요한 정신적, 문화적 자산이다. 그 과정에서 고고학은 부인 할 수 없는 물질자료를 통해 역사문헌을 뒷받침하는 가장 강력한 도구로 받아들여졌고 자연스럽게 역사학의 전통안에 자리잡게 된 것이다. 따라서 중국의 고고학은 태생적으로 역사학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있으며, 정치적상황과도 항상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성곽을 비롯한 유적의 집중화와 유물제작의 전문화 및 표준화는 인구집중과 도시화의 과정 속에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고고학적 특징을 의미하지만, 그 특징이 곧바로 국가의 정치적, 경제적 중앙집권화를 의미하지 않으며, 특히 특정 민족(혹은 지역)과 연결할 수는 없다. 따라서문명과국가의기원은자원의생산과분배, 교통로의독점적지배와 같은 경제적요인에 의한 공납제적지배, 권력의 독점화과정에 대한 동인을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인구의 증가와 농업 생산력의 증대를 확인할 수 있는 환경적 요인, 공납제적 지배를 증명할 수 있는 자원의 분포와 이동, 분배 등 물질적 증거에 대한 고고학적 증거들을 확인할 때 취락간의 위계, 중심부와 주변와의 관계, 문명과 국가의 등장을 이해할 수 있다. In this article, I focused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hinese civilization and the origin of the ancient state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archeology and history. Historical tradition is the most important spiritual and cultural asset of the people in China, where the existing social and cultural order, morality and self are all in the process of necessarily expressing the historical development process. In the process, archeology was accepted as the most powerful tool to back up the historical literature through undeniable material data, and naturally became a tradition in history. Therefore, archeology in China is inherently inseparable from history, and is always linked to political situation. However, the centralization of remains including castles and the specialization and standardization of artifacts represent archaeological features that appear naturally in the process of population concentration and urbanization, but their characteristics do not directly mean the political and economic centralization of the state, In particular, we can not connect with a specific people(or region).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larify the process of the origins of the civilization and the state, such as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resources, the domination of the state by economic factors such as monopoly domination by traffic, and the process of privatization of power. If we can identify the archaeological evidence of material evidence, such as environmental factors, distribution of resources that can prove the dominance of the state, we can understand the hierarchy between villag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 and the periphery, the emergence of civilization and the st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