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 사용실태 및 원단위 분석 연구 : 昌原大學校를 中心으로

        이승준 창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경상남도 창원에 위치한 창원대학교를 조사 대상으로 설정하여 기본현황 및 시설현황, 냉난방설비현황 신재생에너지 보급현황을 파악해보고, 연간 전력사용량 및 도시가스 사용량을 7개년도 자료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국가 에너지절감 정책 및 관련 법·제도적 규제에 따른 공공기관인 대학에서 법·규제에 대응하여 어떠한 감축수단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감축량은 어느 정도인가 가늠해보고자 하였으며, 향후 대학에서 지속적인 에너지절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지방의회의 의정활동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구조적 관계 연구 : 창원시민과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김경희 창원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지방의회는 지역주민들의 사회적 가치 배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정책문제들을 심의하고 결정하는 곳이다. 지방의회는 민주주의의 요채(gut)이며, 지방의회는 지방자치제도의 성패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의회의 입법, 예ㆍ결산 및 통제기능과 관련한 기능적 요인, 의원직무능력 요인과 조직지원(사무처 직원, 전문위원) 요인이 지역주민지향성을 매개로 의정활동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지역주민에 대한 지방의회의 대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지방의회의 역할을 증진할 수 있는 실증적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문헌과 선행연구 검토를 통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에서 의정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지방의회의 기능적 요인, 의원직무능력, 조직지원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지역주민지향성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경상남도 창원시 소속 공무원과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공무원 429부, 지역주민 352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변수를 측정하였다. 변수의 신뢰도와 타당성 분석을 위하여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집단 간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공무원 응답자들 중에서 근속년수가 많을수록 그리고 직급이 높을수록 창원시의회의 의정활동성과, 지역주민지향성, 기능적 요인, 의원직무능력 그리고 조직지원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의 경우에는 가구소득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창원시의회의 의정활동성과에 대해 보다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역주민지향성에 대해서는 개인적 특성과 관계없이 긍적적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요인의 하위요인인 입법기능에 대해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창원시의회의 입법기능에 대해 연령이 낮은 집단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원직무능력에 대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연령이 높을수록 긍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지원에 대해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연령이 높을수록 그리고 학력이 높을수록 긍정적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정활동성과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기능적 요인의 하위요인인 입법기능, 예ㆍ결산기능, 통제기능은 지역주민지향성에 대해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원직무능력과 조직지원은 지역주민지향성에 대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분석결과 의원직무능력과 조직지원이 의정활동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주민 지향성에 의하여 완전매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주민의 지향성의 매개역할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local council is critical not only for allocating the social values of its residents, but also in making decision on various policies. Thus, the local council is the heart of the democracy, which means that the local council would be crucial for the success of the local self-governanc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important factors for the performance of the legislative activities and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Thus, this study aims not only to offer the alternatives to improve the responsiveness of the local council to local residents, but also to provide the empirical evidence for enhancing the role of the local council. To do so, this research build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n the research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functional factors of the local council, the job abilities of the elected officials, and organizational support. The orientation for the residents is employed to test its mediating effect.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for Changwon city government officials and residents. The final samples are 429 city government employees and 352 residents. All of research variables are measured through the survey data. Cronbach a test and factor analysis are conducted to see the consistency and validity of variables that are measured by the survey. First, this study examines the group differences on variables. In general, the analytical result shows that there ar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about the functional factors of the local council, the job abilities of the elected officials, and organizational support by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income level and so forth. More specifically, public employees in more years of services and higher rank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on the performance of legislative activities, the orientation for the residents, functional elements, job abilities of the elected officials, and organizational support than others. Among local citizens, people in the lower income level tend to have more positive perceptions on the performance of legislative activities than one in higher income level. There is no difference on the orientation for the residents. Concerning the legislative function out of the functional factor, the elder groups have positive perceptions than younger groups. In job abilities of the elected officials, males and elder groups have positive perceptions. On the organizational support, males, elder groups, and high levels of education have positive perceptions than other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variables. The analytical result implies that the legislative, budgeting, and control function are not significant to the orientation for the residents whereas job abilities of the elected officials and organizational support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the job abilities of the elected officials and organizational support over the performance of the legislative activities are fully mediated by the orientation of the residents.

      • 창원시 문화예술교육 발전방안 연구 : 해외 사례와 비교하여

        유유진 창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investigates on today’s art and culture education and researches outstanding exampl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and then proposes art and culture educations through the research of the awareness and development plan on art and culture education, which oriented towards humanism and Korean culture. Thus, it presents effective programs that unites citizens in Chang-won city by guiding them to have community goal, diverse art culture within the local area, and cultural equalities within them through art and culture education. This educational activities not only expand Chang-won citizens’ cultural consciousness and fulfill their art and culture needs, but also suggests the importance of awaking citizens’ level of art and culture appreciation which will improve living culture system. In order to improve awareness about art and culture education for citizens in Chang-won, programs have to consider specific target, period of education, and method. It is more efficient to have long-term activities than short-term activities, since the program requires to provide step-by-step guideline considering the notion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of Chang-won citizens. Furthermore, to provide various art and culture programs and experimental activities in cultural spaces, such as art gallery, museum, and library, the spaces should be revitalized and art and culture organization has a duty to maintain close relationship and to make connection with art related societies and professionals. A local government must establish a concrete funding system that continuously provides stable program; therefore, liaison with local enterprises and sponsors are vital. Social minorities should not be limited to school for the disable or mentally handicapped people, but continuous search on wide range of social minorities and steady support is important. City of Chang-won should regularly afford art and culture programs to individuals and institutes, and guide them to have attachment to the local community. As a result, they will actively participate and invigorate the program. Development of diverse educational programs is needed for more people in Chang-won to experience art and culture education. The system satisfies their demand for art and culture education and enjoyment of art, and it additionally helps people to find their undisclosed talent. Plan for easy access to art and culture education at the minimum cost and research on many programs are essential because when the more programs are afforded, the more people are exposed, and more people will hav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program. Much effort and inquiry is necessary for active art and culture education which improves quality of life and positive and blissful life for Chang-won citizen. The art and culture education is evolving together with the contemporary cultural trend, such as multi-cultural family, growth of aging population and expans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cannot be detached from people’s life these days. City of Chang-won ought to discover its permanent art education program that keeps pace with the present-day atmosphere. It should acknowledged that effective art and culture education indeed enlarges the quality of the art and culture. As a result, not a temporary education, but a stable and long-lasting education is crucial. Advantage of the 21st century is that people pursue diverse art and culture education and there are equally exposed to the environment. Improvement of the art program is one of the civil rights; the right to be happy and the right to enjoy the culture. When city of Chang-won and its society advances, the more cultivated art and culture education and program would be provided naturally, the researcher anticipates the city to increase its domain in art and culture so that it will bring the growth of individual and community in Chang-won city.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필요성과 목적, 정책의 방향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의 활동현장의 국내외 우수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인본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한국인의 정서에 맞춰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문화예술교육의 활동에 대한 발전방안의 연구를 통해 창원시에서 실효성 있고, 연계성 있는 프로그램의 실행으로 시민들이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공동체적 지향성을 가지고 다양성과 평등이 가능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문화예술교육의 활동은 창원시민들의 문화예술교육의 의식수준을 향상시켜 문화예술욕구 충족뿐만 아니라 시민의 문화예술 질적 수준 향상과 생활문화 진흥 을 위해 중요한 것으로 발전시켜야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창원시민의 문화예술교육의 의식수준 향상을 위해 각 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을 고려하여 문화예술교육의 기간 및 활동 횟수, 방법을 구성하는데 주의를 기울이고, 단기보다는 장기적인 문화예술 활동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공급하고 창원시민들의 각각의 수준을 고려하여 그 수준에 맞는 다양하고 단계적인 문화예술교육 활동 프로그램을 연구해야 한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의 방법으로 체험적인 문화예술교육의 활동을 다양하게 공급하기 위해서는 미술관, 박물관, 도서관 등의 다양한 문화공간을 활성화하고, 문화예술교육단체와 문화예술교육의 전문 인력을 관리하여 문화예술교육기관과 유기적으로 연계해야한다. 문화예술교육의 발전 방안으로 단절감 없이 지속할 수 있는 단계적인 지원정책수립과 어떠한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창원지역의 문화예술교육지원을 위해 지자체의 자립적인 재원확보가 필요하고, 지역 내의 기업과 후원가 등의 연계도 반드시 필요함을 제헌한다. 그리고 소외계층을 장애학교나 특수학급 등으로 한정하지 않고 사회에서 소외된 소외계층을 지속적으로 확인하고 발굴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창원시에서 양질의 문화예술교육의 활동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진행할 수 있는 개인이나 단체를 지원하여 그들이 스스로 지역에 애착을 갖고 적극적으로 활동하여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는 기회를 주는 방안도 필요할 것이다. 보다 많은 창원시민들이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분야의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지고 그러한 문화예술교육을 접하면서 문화예술향유 욕구를 해소하고, 자신의 숨은 재능을 찾아내어 개발할 수 있도록 많은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문화예술교육을 최저비용으로 쉽게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는 환경 또한 조성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여야 하며 편리한 접근성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인식의 변화로 연결되어 문화예술교육의 활동에 더욱 많은 흥미와 관심을 유발시켜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야한다. 창원시민들이 보다 다양하고 활발한 문화예술교육을 향유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도록 문화예술교육에 연구와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다문화가족, 노령인구 증가. IT발달 등의 시대의 변화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은 인간의 삶속에서 아주 중요시되는 현대의 문화전략경향에 맞춰 창원시는 문화예술교육의 활동을 공급해야 할 필요가 있고, 창원시의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예술교육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는 문화예술 질적 수준 향상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일시적인 교육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만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한다. 21세기의 인간은 다양하고 평등한 문화예술교육을 지향하고, 그러한 문화예술교육을 향유하여 문화예술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고자 함은 행복한 권리, 문화의 권리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을 충분히 향유하고 즐길 수 있도록 사회가 더욱 발전하고, 다양하게 확장되어 창원시의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보다 많은 자원의 확보로 발전되어 모두가 문화예술교육 향유를 통해 개인 및 지역의 발전을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본다.

      • 농업근로자의 근로조건 : 창원시 도시-농촌 이음공동체 사업을 중심으로

        강인석 창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창원시 도-농이음공동체 사업을 사례로 농업근로자의 근로조건을 분석 연구하는 데 주된 목적을 두고 있다. 창원시 도-농이음공동체 사업은 고용노동부의 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2015년, 2016년 2년 동안 진행되었다. 사례 연구는 이 사업 참여 농업근로자의 근로조건을 탐구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사업에 참여한 농업근로자들은 도시에 거주하는 50대 이상의 경력단절 여성, 은·퇴직자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창원시 동읍, 북면, 대산면 지역의 개인 농가에 고용되어 근로를 하였다. 농업근로자들은 경남직업문화센터와 개인 농가가 합의한 임금, 근로시간, 휴게시간, 작업조건에 따라 근로하였다. 이들은 단감, 고추 등 과수작물과 시설원예작물의 적뢰, 수확, 선별, 관리 등의 작업을 진행했으며 과수작물의 경우 일용근로자로, 시설원예작물의 경우 상시근로자로 고용되어 근로를 했다. 이들 농업근로자들은 경남직업문화센터에서 제공하는 교통수단을 통해서 출퇴근을 했고 작업도구인 장갑, 작업복, 모자 등을 지급을 받았다. 이 사업에 참여한 농업근로자들의 근로조건으로는 우선 1일 8시간 근로, 1일 휴게시간 1시간, 연장근로를 할 경우 시간당 10,000원 정도의 추가임금을 지급받고 있었음이 중요하다. 그리고 최저임금법에 의거하여 당해 연도 최저시급 이상을 받았고, 농업근로자들은 안전한 근로를 위하여 농가, 동읍농협, 대산농협과 합의하여 산업재해보상보험, 농작업자재해보험에 가입하였음도 주목할 만하다. 이같은 사항들은 이 사업이 정부의 지역맞춤형일자리창출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았고, 경남직업문화센터가 농가와 농업근로자 사이에 개입하여 농업근로자를 대신하여 농가와 일종의 교섭을 통해 확보한 것들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사업 참여 농업노동자들의 근로조건은 여타 농업노동자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다소 양호한 편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사례연구를 통해 발견한 사항의 정책적 함의에 대해 특히 법제도적 정비가 필요함을 토의하고 있다.

      • 창원국가산업단지 스마트화를 위한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연구

        김은철 창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55

        우리나라 산업단지는 한국 경제성장의 견인차 역할로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위한 선도적 기능을 해 왔다. 무역 규모 1조 달러, 세계 10위권 경제 대국으로 위상을 높혀 우리나라 제조업 생산의 69.6%, 수출의 74.7%, 고용의 49.2%를 차지하는 국가 경제의 핵심 기반이자 든든한 지역 경제 거점으로 성장해 왔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산업환경 변화와 최근 중국의 제조업 팽창과 과잉공급, 그리고 높은 대 중국 의존도, 장기화되는 자동차, 기계, 조선업 불황, 고부가가치·고기술 제품개발 부족, 미·중 통상환경 악화, 한계업종의 구조조정 지연 등 대내·외적 위기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창원국가산업단지는 우리나라 최대 기계산업 집적지로서 국내 굴지의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계열·협력관계로 동반 성장해 왔다. 그러나 중국의 성장으로 세계 시장에 대한 점유율이 감소함에 따라 기계, 운송장비 등 대기업 주력산업의 성장세 둔화로 이어지고 있다. 관련 중소기업의 성장 또한 동반 정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산업단지 조성 이후 기반시설이 50여 년 경과하면서 급속한 노후화가 진행되는 등 과거 1970년대 조성된 요소투입형 산업단지는 4차 산업혁명의 환경변화에 총체적 한계가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과거 10년간 생산·수출실적이 2011년, 2012년을 기점으로 모두 하향세로 전환되었기 때문이다. 창원국가산업단지 스마트화에 대한 입주기업 수요 설문조사에서도 동종 업종간 정보공유로 제한하는 등 공유경제 및 스마트 산업단지에 대한 기업체 인식과 참여가 미흡하다. 스마트공장 구축 비율도 170개사, 6.1%로 대부분 기초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경영환경 변화를 극복하기 위한 지역내 인재 육성 및 산학협력 프로그램에 대한 기업체의 수요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경직된 토지이용과 입주업종 규제, 제품 인·허가 등 기업 경영활동을 저해하는 규제 수준도 개선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가 및 지역경제 성장을 이끌어 온 산업단지는 4차 산업혁명의 전개에 따른 환경변화 등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성장기반의 약화 등 다양한 도전환경에 놓이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산업단지의 스마트화는 제조 혁신을 유인하고 미래 산업을 육성하여 신산업 창출의 원천이 되고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방안으로 모색되고 있는 이유이다. 따라서 창원국가산업단지의 스마트화를 위한 대응 방안 모색을 위해 창원국가산업단지의 입지, 산업구조 및 기반시설 특성 등 현황분석과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추진중인 스마트 산업단지와 관련한 스마트공장 구축현황·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나아가 입주기업체의 산업단지 스마트화에 대한 수요와 실태를 분석한 결과 도출된 대응 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공유경제 플랫폼 구축이다. 창원국가산업단지의 스마트화를 위해서는 개별기업 차원에서의 자원 활용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업의 스마트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공유경제가 가능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스마트 산업단지 지원사업 확대이다. 입주기업체들의 인식을 전환하고 스마트 산업단지 참여 확대를 위한 스마트공장의 확산, 스마트 R&D 운영, 산학연협의체 구성·확대, 제조혁신센터 구축 등 관련 시스템을 통하여 스마트화를 효율적으로 전개해 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인재 육성 및 산학협력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산업단지 스마트화를 확대·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뛰어난 인재 육성과 유치,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을 지역 대학, 지자체 등을 중심으로 개발·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산업단지 스마트화 촉진을 위한 규제 개선이다. 산업단지 스마트화를 위해서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등의 규제 완화 및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개발, 제품생산, 판로, 도로, 주차장, 환경, 안전, 문화·복지 등 기업경영 활동과 근로자 정주환경 관련 규제를 점검하고 제조혁신을 촉진할 수 있는 법적·제도적 환경을 적극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창원국가산업단지가 현재에 처한 위기상황을 적극 대응함으로써 환경변화에 부응하는 생존전략 모색과 첨단 디지털 혁신기술과 기술 융·복합 등 제조혁신, 산단혁신을 통한 산업단지의 스마트화를 실현해 나감으로써 한국 제조업과 산업단지의 재도약을 위한 성공사례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dustrial complexes in Korea have served as a driving force for Korea's continuous economic growth. Raising Korea’s status to the world’s 10th-largest economy with 1 trillion-dollar trade volume, industrial complexes, which account for 69.6% of manufacturing production, 74.7% of manufacturing exports, and 49.2% of manufacturing employment have grown into core bases of the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es. However, they face internal and external crises such as drastic changes caus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hina’s manufacturing growth and global oversupply, lack of high value-added and high-technology product development, and unfavorable trade conditions caused by the US-China trade war.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the largest cluster of machinery industry in Korea, had grown with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large and small, mid-sized enterprises. With the growth of China manufacturing, the market share of Korean companies in machinery and transportation equipment industries has been declined, and it leads to slowdown in growth of related small and mid-sized enterprises. The old industrial complex which was built in 1970’s and passed by 50 years since their establishment, have revealed the overall limitations caused by the environmental change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Production and exports have shifted downward, respectively, since 2011 and 2012. A survey on the introduction of smart industrial complex for enterprises in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shows low awareness and willingness to participate in the shared economy and smart factory projects.(Only 170 companies(6.1% of all) introduced basic leveled smart components in their factories) The survey shows high demands for regional human resources training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rogram to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It also shows that regulatory improvement about restriction of land use and products licensing is highly required. As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ntinued, industrial complexes that led the national and regional economies are facing challenges. It is expected to overcome such challenges and sustain continuous economic growth with the introduction of smart industrial complexes which leads to manufacturing innovation and creation of new industries. The ways to change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into smart industrial complex, derived from the survey, analysis of industrial structure, infrastructure, and status of smart factor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is building a shared economy platform. Since the utilization of resources at the individual enterprise level is inefficient, it is required to create an environment to share companies’ resources each other. The second is introducing more enterprise support programs. Smart industrial complexes can be efficiently introduced with increased supports for smart factories, smart R&D subsidies, building and growing industrial cluster, and establishment of manufacturing innovation centers. The third is th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s training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rogram. To promote smart industrial complex, it needs to attract talented human resources and to develop and operate education programs by local universities and local governments. The final is regulatory improvement. It is required to examine regulations related to corporate management and residential environment, and improve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to promote manufacturing innovation. With these methods,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can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the introduction of smart industrial complexes is expected a successful case for reformation of Korea industrial complexes and manufacturing. KEYWORDS : Changwon National Industrial Complex, Smart Indus trial Complex, Smart Factor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hared Economy Platform, Growth Slowdown, Industrial Complex Competitiveness, The Old Industrial Complex

      • 한-미 FTA 체결 이후 창원시 제조업의 수출경쟁력 분석

        정순우 창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미국은 전 세계 GDP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세계 최대 시장이자 경제규모를 가진 국가다. 달러 수요증가와 금융·서비스업의 비중 증가로 만성적인 무역수지 적자를 보이는 특징을 가진 국가이기도 하다. 이러한 무역수지 적자에는 한국을 비롯한 중국, 유럽 국가들의 수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은 단순 상품교역에 있어 한국에 전통적이고 안정적인 수출시장이다. 자동차에서부터 가전제품에 이르기까지 미국 시장 내에서 한국제품은 비교적 높은 시장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2012년 발효한 한-미 FTA는 이러한 양국의 상품교역을 더욱 가속화하고 안정화시켰다. 특히 한-미 FTA는 한국이 맺은 FTA 중 비교적 포괄적이고 관세인하 또는 철폐 수준이 높다. 하지만 최근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미국은 아메리카퍼스트를 기치로 보호무역주의에 열을 올리고 있다. 미국의 트럼프 대통령은 해외에 진출한 자국의 제조업을 유턴시키기 위해 역량을 쏟아 붓고 있고, 한-미 FTA를 비롯한 각종 무역협정에 대한 부정적 태도로 일관해 재협상을 벌이고 있으며, G2라는 이름으로 생산과 소비의 공조를 통해 함께 성장한 중국과의 무역 갈등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미국을 시작으로 전 세계로 번져나가는 보호무역주의는 결국 전 세계 교역량의 축소를 야기한다. 교역량의 축소는 한국과 같은 무역입국의 입장에서는 최악의 환경이 되는 셈이다. 그럼에도 본 논문의 주제를 미국과의 FTA로 삼은 것은 여전히 한국, 특히 창원에 있어 미국시장은 전통적이고 비교적 안정적이며, 미래지향적인 시장이기 때문이다. 여전히 창원에서 생산한 세탁기가 미국 내 수입 1위의 제품이고, 창원에서 생산한 자동차는 미국 내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미 FTA의 발효 전후 양국 간 거래 추이 및 품목별 수출입 분석을 통해 한-미 FTA가 한국, 특히 창원시의 수출입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창원시의 대응방안 및 창원시의 기업들이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도심지 중앙역의 역사편의시설에 관한 연구(창원중앙역을 중심으로)

        신 대 곤 창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창원중앙역은 2010년 개통이후 지속적으로 이용객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용객의 수요예측과 도심지 중앙역사로써의 위치적인 문제점으로 근본적인 문제를 내포하고 있으며 내부편의시설은 다른 KTX역사들과 비교하여 너무도 열악한 시설을 가지고 있어 이용객들의 불편이 가중되고 있어 편의시설의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창원중앙역은 “경상남도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에 예측할수 있듯이 향후 창원의 도심지 교통의 중심으로 부상될것이며 광역교통망과 연계되어 대중교통이 개편될 경우 창원중앙역사는 더욱더 이용객들이 증가할것이 자명하고 창원중앙역의 편의시설을 얼마나 더 확충하는 것이 타당한것인지 그 근거를 마련코저 함이다 이를 위해서 인구수에 따른 방법과 일평균이용객수에 따른 분석을 통해 역사편의시설을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국내에는 인구수에 따른 편의시설현황을 조사하였고 일평균이용객수에 따라서도 편의시설현황을 분석하여 잘된사례에 대한 역사를 기준으로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해외의 경우에는 인구수에 따른 분류를 토대로 조사를 하였으며 일본, 프랑스, 독일의 선진사례를 각각 5개역사를 인구수에 따라 대표역사들의 편의시설을 조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창원중앙역사를 이용하는 이용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현재의 편의시설에 대한 불만과 필요시설들을 조사하여 사례조사에 따른 분석방법과 병행하여 근거를 재분석하여 편의시설의 합리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창원중앙역은 인근 마산, 창원역과의 연관성이 높고 향후 KTX역이 창원중앙역으로 통합될것에 대한 부분을 고려하여 통합전과 통합후에 대한 편의시설의 규모를 분리하여 제시하고자 하였고, 도심지 중앙역사로써 철도역사를 복합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현재의 역사를 확장하여 다양한 수요를 반영할수 있어야 창원중앙역의 도심지역사로써의 가치를 높일수 있을것으로 판단하였다.

      • 치과 입지분석에 관한 연구 : 구 창원시, 구 마산시를 중심으로

        김웅대 창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현재 통합 창원시가 되었지만 이전에는 창원시와 마산시는 행정구역상으로는 엄연히 분리된 도시였다. 하지만 창원시가 생기고 나서 마산시의 상당인구가 창원지역으로 이주를 하였고, 지역이 어떤 특정한 경계라고 불리워지는 것이 없이 바로 연결되기 때문에 창원시민과 마산시민은 사실 정서적으로 동일한 감정고리를 가지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마산은 4.19의거와 부마사태를 이끈 민주화의 성지이고 한때 전국 7대 도시에 들만큼 번창한 도시였으나 현재는 성숙기를 넘어 쇠퇴기로 넘어가고 있는 도시라고 할 수 있다. 창원은 전국 최초의 계획도시로써 1980년 시 승격이후 균형 있는 도시계획, 경남도청 이전, 기계공업단지 육성 및 대규모 택지개발 등의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 통합 창원시에 중심 지역이 되었다. 하지만 창원시 역시 1980~90의 급격한 성장을 이룬 후 2000년대 들어 점차 성숙기로 접어든 도시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성숙기에서 쇠퇴기로 접어든 도시인 마산시와 성장기에서 성숙기로 접어든 창원시 내의 치과의원을 분석함으로써, 과연 쇠퇴하는 도시에서 치과 의원 수도 급격히 쇠퇴 국면을 맞을 것이며, 성장하는 도시의 치과 의원수도 급격하게 성장하게 될까에 대한 궁금증을 알아보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이다. 그러면서 전반적인 치과 입지분석의 흐름과 연구경향을 반영하여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치과 입지분석에 대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의 대상지역은 창원시와 마산시를 주된 연구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두 도시가 현재 통합 창원시에 편입되었으나 이전 동일생활권으로 비교?분석하기 용의하였으며, 두 도시의 발전과정에서 인구가 역전되는 현상과 연도별 치과현황을 파악하여 치과에 관한 입지 분석하기에 좋은 모델이 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통합되기 이전의 1980년부터 2009년까지 창원시와 마산시 인구추이와 도시별 치과개설현황을 파악하여 이들 특성을 실증분석 하였다. 인구변화에 따라 창원시와 마산시의 치과 성장을 비교해 보면, 최초 십년 동안에는 마산시가 더 성장이 되었고, 그 이후에는 발전 속도가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마산시 인구가 큰 변화가 없었음에도 1980-1989년도 사이에 마산시의 치과의원 수가 급격히 증가한 것은 이전에는 치과 수요에 비해 치과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던 것이 치과대학이 많이 생기고 졸업생 배출이 많이 이루어짐으로써 치과 의원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진 결과로 보여 진다. 창원시의 치과 발전은 인구 증가와 함께 마산시의 치과 증가 원인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일반적인 시각에서 성숙기에서 쇠퇴기라고 할 수 있는 마산시와 성장기에서 성숙기로 볼 수 있는 창원시를 볼 때 쇠퇴하는 분위기라고 해서 급격히 치과가 줄어들지도 않고 성장한다고 치과가 급격히 늘지도 않았다. 다만 창원시 치과 1개소당 담당하는 인구수가 마산시보다 다소 많은 것으로 볼 때 치과 매출액은 창원보다 많을 것이라는 것은 추측해볼 수 있다. 종합해볼 때 치과 의료서비스의 공급은 과거 30여년 동안 창원시와 마산시가 비슷하게 발전해 왔다고 볼 수 있다. 그 외 창원시와 마산시 치과의 입지를 볼 때 편리한 곳, 접근성이 좋은 곳, 대단위 아파트 밀집지구를 중심으로 집중 분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치과의 분포 유형은 도심지역 입지형, 대로변 입지형과 대단위 아파트 밀집지구 입지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 창원시 학동 전기 소아들의 아토피피부염 유병률과 그 원인에 관한 연구

        이종근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요 약 문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최근 서구화, 산업화를 통한 생활환경의 변화에 따라 아토피와 같은 환경성 질환의 유병률이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심한 소양감과 습진성 피부 병변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주로 유소아기에 발병하며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면서 만성화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환자들은 물론 환자의 부모와 가족들까지도 삶의 질(quality of life)이 떨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아토피 피부염에 소요되는 진료비 등 사회경제적 부담도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위해서 우선 아토피 피부염의 빈도와 분포 등 그 실태를 파악하고 그 원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환경 수도이며 WHO 회원 도시인 창원시의 경우도 삶의 질 추구에 대한 욕구가 증대함에 따라 건강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인식과 관심을 기반으로 건강도시 프로젝트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건강도시 프로젝트 중 미래의 우리나라를 이끌어 나갈 어린이나 청소년이 건강하게 자라도록 하기 위해 쾌적하고 깨끗한 건강 환경의 조성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앞으로 보건학적으로 사회 문제가 될 소지가 있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발생 현황과 그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감소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지속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미래 의료 보건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성 질환의 가장 대표적인 예인 아토피 피부염을 대상으로 창원시에서의 발생 및 분포 현황과 이들 발생 및 분포에 영향을 주는 원인을 분석하고 창원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대책 방안에 대한 시민들의 인식도를 파악하여 적절한 예방대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2. 연구내용 및 방법 ○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을 통해서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창원시에서의 수진율과 연도별 및 지역별 비교를 통해 발생 추이를 살펴보고 그 문제의 크기를 추정 ○ ISAAC(International Study of Allergy and Asthma in Childhood)에서 제안한 표준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여 창원시 유아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이용하여 유병률, 지역 병원 및 의원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현황, 아토피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파악 ○ 주거, 환경 등 생활여건과 아토피 피부염과의 상관관계, 모유수유, 식품 등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문헌고찰 등을 통해 다른 인자에 대한 연구를 함으로써 그 원인을 분석 ○ 병원, 민간요법, 공공의료기관(보건소) 이용률 등의 분석을 통해 창원 시민의 아토피 피부염 예방대책 조사 ○ 대책 방안의 바람직한 접근방법을 제시하여 창원시의 향후 아토피 피부염 예방시책 추진 방향 제언 3. 연구결과 본 연구는 창원시에서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원인과 예방연구를 주제로 아토피 피부염에 관한 문헌조사 및 국내외 연구동향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국민건강의료관리공단으로부터 건강보험 관련 자료 중 아토피 피부염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여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한 수진율 등 기초통계자료를 조사하였으며, 창원시 유아보육시설을 대상으로 아토피 피부염과 관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창원시에서의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유병률,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영향 인자 등을 조사하였으며, 창원시에서 추후 아토피 피부염 등 환경성 질환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추진해야 할 정책 등을 국내 지자체 및 외국의 추진사례 등에 대하여 조사하여 정책 방향을 제안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초자료통계조사 첫째, 국민 건강보험공단의 아토피 피부염 관련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5세 남아를 제외하고는 전국 평균 유병률보다 낮았다. 둘째, 2003년에서 2007년까지의 유병률을 창원시의 행정구역 별로 비교한 결과 사파동이 가장 높은 14.9%였으며, 동읍 12.4%, 봉림동과 상남동 11.5%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초자료통계조사와 설문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2007년에 비해 2008년에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남, 녀 아동의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2) 설문조사 ○ 창원시 5~7세의 아동에 대한 아토피 유병률은 9.6% 수준으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으며 대체적으로 남아보다는 여야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 연령별 유병률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 아토피 피부염의 처음 발생 연령은 2세 이내가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 부모가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경우의 자녀에서 나타나는 아토피 피부염 유병률은 아토피가 없는 부모의 경우보다 높게 나타나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적인 영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모유수유를 하지 않는 경우에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주거환경에 대한 영향 중 에어컨이 없는 경우, 습한 환경, 실내 흡연에 대해서 자녀의 아토피 피부염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전문적인 치료유무를 묻는 답변에 26.6%가 치료를 받은 적이 없다고 응답하여 체계적인 아토피 대책의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3) 행정적인 대책 제언 ○ 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 정책으로 전환 ○ 어린이 건강관련 부서 통합 관리 및 전담기구 설치 ○ 환경성 질환의 유병률 및 발생 원인에 대한 정기적 조사 ○ 환경오염노출 어린이 위험인구 감소노력 ○ 어린이 환경성질환 통계자료 구축 및 교육홍보 강화 ○ 어린이의 활동 공간 및 시설에 대한 창원시의 관리 기준 마련 ○ 환경성 질환자 지원 및 치료강화 ○ 환경성 질환에 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4. 활용계획 향후 아토피 피부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에 대한 연구에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에 대한 조사 시 아파트 등 거주형태의 차이, 건축연령, 공해, 소음, 스트레스 등의 다른 외부 요인 등의 항목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의 실태와 유발 및 위험 인자를 파악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의 병인, 치료/관리와 관련한 정확한 정보제공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보호자와 교사들의 관심과 지식을 향상시켜,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올바른 자기관리 능력 강화 도모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창원 지역의 유소아 아토피 환아와 가족의 생활습관 및 환경요소와 아토피 피부염의 관련성에 대한 통계학적 자료를 바탕으로 아토피 피부염에 소요되는 의료비용 등을 줄이기 위한 창원시 등 행정부의 정책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 연 구 중 심 어 아토피성피부염, 어린이, 창원, 유병률, 위험요인 Prevalence Rate and Etiologic Risk Factors of Atopic Dermatitis in the Preschool Children in Changwon JONG KEUN LE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9 Sarim-dong, Changwon, Gyeongnam 641-773, Korea <Abstract> Backgrounds: In the past decade there has been increasing concern about the atopic dermatitis(AD) associated with environmental diseases. The incidence of AD has been increased and known as one of the multi factoral diseases, which has the genetic background and environmental factors at the same time.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etiologic risk factors of atopic dermatitis in preschool children in one of Korean cities, Changwon, Gyungnam. Methods: We reviewed and analyzed statistical data base, collected from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Korea, related to diagnosis rate by age and administrative district. A cross-sectional ISAAC (International Study of Allergy and Asthma in Childhood) bas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random samples of preschool children(5 to 8 years old) of large sized kindergartens in Changwon. Results: The lifetime and last one years prevalence of AD in preschool children in Changwon was increased from 1998 to 2008. The prevalence rate of AD in the preschool children in Changwon city was 9.6%. The prevalence rate in boys was 9.7% and that in girls was 9.4%. The one year prevalence of AD was ranked as middle among other provincial cities in Korea in 2008.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prevalence rate of the atopic disease in Changwon was % in 2008, which was increased especially compare to 2000. More active governmental approaches for control and prevention of atopic dermatitis in children are need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for accurate estimation of the prevalence of AD in Korea including different regional and age population. Key words:Atopic dermatitis, Changwon, Children, Prevalence, Risk factor

      • 창원시의 평생교육기관별 교육격차 연구

        김미경 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에서는 창원의 평생교육 기관별로 이용하는 대상자와 유형별 평생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연구하고, 각 기관 학습자 및 실무자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여 결과의 차이를 살펴본 뒤 사회경제적지위에 의한 불평등이 평생교육영역에서 조차도 이루어지고 있음을 밝혀 평생교육을 헌법이 보장한 교육기본권에 의한 공적교육의 관점에서 지원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이에 연구자가 제기한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창원시 평생교육기관별 학습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접근기회의 차이가 있는가? &nbsp;&nbsp; 2. 창원시 평생교육기관별 평생교육과정의 차이는 있는가? &nbsp;&nbsp; 3. 창원시 평생교육기관별 평생교육결과(교육만족도)의 차이는 있는가? 연구대상은 현재 창원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평생교육시설을 대상으로 각 기관별 학습자 30명, 기관별 실무자 2명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보면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집단이 이용하는 시설과 상대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집단이 이용하는 평생학습시설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오늘날 평생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 배경과 평생교육 가지고 있는 목적과 다름을 알 수 있다. 첫째, 개인배경별로 평생교육시설의 접근기회에 있어 차이를 보였다. 학력과 직업, 수입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소득수준과 학력이 낮은 집단은 사회교육센터의 이용율이 높았고 고소득자, 고학력자 집단에서는 백화점.대형기업운영문화센터를 이용하고 있었다. 이것은 저소득층의 경제적 능력이 평생교육시설이용에 있어서도 양극화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평생교육시설의 과정에 차이를 보면 평생학습시설의 과정을 조사한 결과 사회교육센터의 재정적인 추가 지원이 필요하였다. 이것은 창원의 사회교육센터가 시민사회단체가 창원시로부터 위탁운영을 하고 있으나 지원금의 부족으로 운영의 재정적 어려움을 격고 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이다. 그리고 일부 평생학습시설의 평생교육사 배치가 우선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셋째, 평생교육이용자들의 만족도 조사에 나타난 결과로 사회교육센터 이용학습자들은 시설환경에, 국공립도서관 운영 평생학습시설 학습자들은 기관의 직원에 대해 만족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창원시의 사회교육센터 시설이 옛 이주민 복지회관을 사용함으로써 시설의 노후화로 인해 생긴 결과이다.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서 평생교육시설도 다르게 이용해야 될 것이 아니라 평생교육도 사회복지, 교육복지, 고용복지의 개념으로 지원되어야 할 것이다.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에게 학습과 교육의 소외로부터 평등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제도적 통합지원이 함께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해 평생교육에서도 양극화 현상을 방지하고 학습자들이 헌법이 보장한 기본권을 누릴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요구된다. 또한 앞으로 저소득층의 평생교육의 기회의 평등을 확대할 수 있는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창원의 경우 대동제 실시 이후 한 동네에도 2~3개의 사회교육센터와 주민자치센터 등 평생교육시설이 준비되어 있다. 창원시가 평생학습 도시로 지정되면서 많은 유.무상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나 저소득층이나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습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맞춤식 프로그램은 거의 없다. 빈곤층의 문제 해결은 재정지원만으로 해결될 수 없다는 많은 연구들이 있다. 평생교육센터를 중심으로 교육복지사회로서의 한걸음 나아가기 위해 현재 준비되어 있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학습자들이 이용할 수 있는 평생학습시설에 지원이 확대 되어 미래지향적 평생학습사회로서의 근본적 변화가 있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