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토착화 신학의 재고찰 : 보편적 인권과 문화 상대주의의 긴장관계를 중심으로

        김예슬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directions for the “inculturation” of Christianity as it encounters and intersects with different cultural contexts during its propagation and expansion. Historically, Christianity has interacted within various cultural contexts, manifesting itself in diverse forms, and continues to be expressed in various cultural manifest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tension between Christianity and culture that emerges in the process of inculturation within the history of World Christianity, and contemplates what aspect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o achieve desirable inculturation. Through this, it is argued that when achieving inculturation, it is necessary to critically reflect on the local culture where inculturation is taking place, and to transform customs that reveal evil and inhumane power, such as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within the culture. This study explores the process of inculturation in Christianity, which effectively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culture. To accomplish this, it adopts a framework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ights and culture. The histories of human rights and Christian missionary activitie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making it challenging to examine them separately. Human rights, which have universal characteristics, historically maintain a tension-filled relationship with cultural relativism, constantly gauging an appropriate line within this relationship.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consider inculturation theolog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similar tension that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ristianity and culture. Throughout the missionary history where Christianity met culture, Christianity exhibited an imperialistic tendency of the West, aggressively imposing its civilization under the guise of enlightenment on non-Western societies. The history of deeming the culture of mission fields as inferior, excluding it, and westernizing these areas by asserting the superiority of the missionaries’ culture, continues to be strongly criticized even today. However, the theology that appeared universal in Christianity was, in fact, the universalization of theological expressions corresponding to the developed regional theology in the West. As a reflection on the historical attempt to universalize Christianity in a Western manner, the necessity of “inculturation,” which involves respecting the culture when Christianity encounters different cultures, was emphasized. Christianity cannot establish a universal theology or separate a “pure” Christianity, as it has always been expressed and interpreted through cultural backgrounds. Examples of inculturation in the history of World Christianity are classified based on the framework that demonstrates the tension between universal human rights and cultural relativism. The two extremes are identified as “universalism” and “relativism,” and a spectrum of “eclecticism” is proposed that either encompasses both or accommodates critiques of both. It also notes that the criticisms of each stance in the debate between universal human rights and cultural relativism stem from power relations related to cultural groups, disadvantageous to marginalized individuals, and seeks the direction of Christian inculturation from an eclectic perspective. This study, through a compromising perspective, embraced and supplemented a critical view of the two extremes, presenting a direc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culturation. Rather than universalizing or evaluating based on the standards of Christianity derived from a specific context, it is crucial to encourage individuals to profess their faith through Christianity expressed in diverse cultural forms. A critical point to consider in this process is that not everything in the local culture should be accepted and affirmed to the extent that it overlooks or forgets the existence of those marginalized and alienated within the social structures of power and oppression inherent in that culture. Listening to their voices, critically examining this culture, and working towards transforming negative structures are necessary steps.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가 다른 문화권으로 전파되고 확장되는 과정에서 문화와 만나며 나타나는 ‘토착화(inculturation)’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역사적으로 기독교는 다양한 문화권 안에서 상호작용하며 여러 모습으로 나타나 왔으며, 현재도 다양한 문화적 양식을 입으며 표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계 기독교의 역사 속 토착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기독교와 문화의 긴장관계를 살펴보며 어떠한 점에 주의하여 토착화를 이루어가는 것이 바람직한지 고찰한다. 이를 통해 토착화를 이루어나갈 때는 토착화가 이루어지는 지역적 문화를 비판적으로 성찰하여, 문화 속의 차별이나 억압과 같이 악하고 비인간적인 권력을 드러내는 관습을 변혁시켜 나가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독교와 문화의 관계가 잘 나타나는 기독교의 토착화에 대해 살펴보기 위하여, 인권과 문화에 관한 관계의 틀을 빌린다. 인권의 역사와 기독교 선교 역사는 완전히 떼어놓고 살펴보기 어려운데, 이러한 역사 속에서 인권이나 기독교는 서구적 기원과 가치, 그리고 보편성을 가지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보편적 특성을 가진 인권은 역사적으로 문화 상대주의와의 관계 속에서 적절한 선을 가늠하며 긴장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긴장관계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기독교와 문화의 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토착화 신학을 재고찰하고자 한다. 기독교와 문화가 만났던 선교 역사 속에서, 기독교는 서구의 제국주의적 성향을 가지고 비서구 사회에 문명화라는 기치로 침략적 성격을 띠었다. 피선교지의 문화를 하위적인 것으로 여기며 배제하고, 선교사들의 문화의 우월성을 내세우며 피선교지를 서구화하였던 역사는 오늘날도 강하게 비판되고 있다. 하지만 기독교에서 보편적인 것처럼 보였던 신학은 사실 서구에서 발전된 지역 신학에 해당하는 신학적 표현을 보편화시켰던 것이었다. 이렇게 기독교를 서구의 방식으로 보편화하려고 했던 역사에 대한 반성으로, 기독교가 다른 문화를 만날 때 해당 문화를 존중하는 ‘토착화(inculturation)’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기독교는 보편적 신학이 성립하거나 ‘순수한’ 기독교를 분리해낼 수 없으며, 언제나 문화적 배경을 통해 표현되고 해석되었기 때문이다. 세계 기독교 역사 속에 나타난 토착화의 사례는, 보편적 인권과 문화 상대주의의 긴장관계를 보여주는 틀을 바탕으로 분류한다. 양극단은 ‘보편주의’, ‘상대주의’를 사용하고, 그 둘 모두를 포용하거나 둘에 대한 비판점을 수용한 가운데 스펙트럼으로 ‘절충주의’를 제안한다. 그리고 보편적 인권과 문화 상대주의 논쟁의 각 입장에 대한 비판점들이 모두 문화적 집단과 관련한 권력관계에서 파생되어 주변화된 이들에게 불리하다는 점에 주목하여, 절충주의적 관점에서의 기독교 토착화 방향을 모색한다. 본 연구는 절충주의적 관점을 통하여 양극단에 대한 비판적 관점을 수용하고 보완하여 토착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다. 특정한 상황의 배경에서 파생된 기독교를 잣대로 보편화시키거나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문화적 형태로 표현되는 기독교를 통하여 개개인이 신앙을 고백하도록 독려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주의할 점은, 지역적 문화의 모든 것을 수용하고 긍정하여 그 문화에서 사회 구조 속의 권력과 억압으로 주변화되고 소외된 이들의 존재까지 묵인하거나 잊어버려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그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이러한 문화에 대해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부정의한 구조들을 변혁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 월터 라우쉔부쉬의 기업 이해 연구

        조선영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월터 라우쉔부쉬(Walter Rauschenbusch)의 『사회질서의 기독교 화』(Christianizing the Social Order)에 나타난 기업 이해를 중심으로 기업의 본질에 대해 신학적으로 탐구한 연구이다. 본 논문은 라우쉔부쉬의 기업 이해를 최초의 기업신학 연구로 알려진 1980년대의 기업신학 연구보다 약 70 년 앞서는 ‘최초의 기업신학’으로 보고 있다. 라우쉔부쉬는 미국의 산업화와 경제발전이 빠르게 진행되던 19세기 후반에 서 20세기 초의 자본주의 경제질서를 고찰하는 과정에서 이때 생겨난 신생 경제 기관인 기업의 본질을 도출하였다. 라우쉔부쉬의 기업 이해에 나타난 기관으로서의 기업은 그가 기업을 “사 탄의 발명품”, “탐욕스러운 기계”라고 부른 데서 잘 나타나듯, 본질상 끝없이 이익을 추구하는 존재이다. 특히 당시의 초기 기업들은 제반 규제가 미흡했기 에 특권과 권력을 이용해 노동자, 소비자, 지역사회를 희생시키고 ‘불로이윤’ 을 축적했는데, 그는 기업의 이러한 모습을 하나님 나라의 생명, 아름다움, 사랑, 공공선을 희생시켜 기독교 정신에 위배된다고 본다. 그리고 기업에 대한 이러한 비판적 시각은 그의 사회복음 신학의 궁극적 지향점인 하나님 나라 관점에서 기업을 기독교화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적 대안으로 발전된다. 한편, 본 논문은 21세기의 기업신학이 나아갈 방향을 찾는 연구이다. 본 논 문에서는 현대의 기업신학은 1세기 전에 라우쉔부쉬가 비판했지만 오늘날까 지 해결되지 못했거나 심지어 동일하게 반복 재연되고 있는 기업의 현재 문제들에 대해 응답하고, 또한 제4차 산업혁명기의 디지털 변화에 따른 기업의 새 로운 문제에 대해 예언자적 성찰 및 처방을 제시할 것을 논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의미에서 라우쉔부쉬의 기업 이해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의미한 함의를 지니기에 현대의 기업 현실에 맞춰 다시금 심도 깊은 신학적 연구와 재해석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또 본 논문은 한국적 상황에 맞는 한국적 기업신학의 정립을 제안하고 있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첫째, 한국 기독교가 기 보유하고 있는 신학적 자원인 1970년대 도시산업선교 운동에 대한 면밀한 검토, 둘째, 비기독교 문명권인 한국 사회에서 종교와 무관하게 운영되는 기업을 신학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기독교 시민사회적 접근을 취해 기독교인과 비기독교인 모두와 소통 가능 한 언어를 사용하고, 기업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는 실천적 대안을 제시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Walter Rauschenbusch’s understanding of the corporation shown in his book titled Christianizing the Social Order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corporation from a theological point of view. The author of this thesis views his understanding of the corporation as the first theological approach to the corporation, in that this was about 70 years ahead of the late-1980s theological study on the corporation which was formerly known as the first theology of the corporation. As a Christian theologian, Rauschenbusch analyzed the economic system of his times during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when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ook place in the United States. As a result of the extensive analysis, he presented a theological insight into the nature of the corporation which started to emerge at that time as an offspring of the capitalistic system. As an institution, the corporation was created and existed to endlessly seek profits, which can be most highlighted in Rauschenbusch calling it “Satan’s invention” or “covetous machine”. With little regulatory control at that time, many corporations in their early stages gained “unearned profits” without productive labor at the expense of others including laborers, consumers and the community, and without their willing consent by the monopoly of privilege and power. He saw that these corporations invaded God’s country to turn against the life, the beauty, the love and the common good. His negative view of the corporation has developed to come up with a list of practical steps aimed to Christianize the unregenerate economic order. Meanwhile, this paper is to study the directions for a theology of the corporation in the 21st century. The author suggests that a theology of the corporation in the modern society has a two-track task of solving the existing problems which Rauschenbusch criticized a century ago, but repeatedly re-enacted in the current work environment, as well as responding to the newly emerging problems as the result of rapid digital chang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ovement. Amid the mounting tension between the current and future problems, Rauschenbusch’s insightful understanding of the corporation still has a meaningful implication and requires in-depth reinterpretation to suit today's corporate environment. The author also suggests that we have a task of founding a Korean-style theology of the corporation. To this end, it is suggested that Korea’s Urban Industrial Missionary movement be examined more closely. Considering the work environment in Korea which has little common with Christianity, it is also advised that a Korean-style theology of the corporation take a careful civic-society perspective, using an easily comprehensible language for both of Christians and non-Christians and, more importantly, coming up with practical steps to solve the corporate-related problems.

      • 가부장적 언어에 대한 여성신학적 비판과 기독교교육

        변은숙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은 여성들이 하나님의 형상에 따라 지음 받은 것을 인식하고 하나님과 이웃간의 관계적 언어를 사용하기 위하여, 여성 신학적 관점에서 기독교 전통이 지닌 가부장적인 언어를 비판하고 여성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포괄적인 언어를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II장에서는 전통적인 하나님과 상징적인 언어, 성서와 가부장적인 언어, 교회 안에서의 가부장적인 언어에 대하여 고찰과 비판을 하였다. 모든 인간 경험의 한계를 지닌 가부장적인 언어는 여성의 정체성을 대변해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소외 계층 사람들을 대변해주지 못하고 있다. 또한 전통적 성서 해석과 종교교육은 모든 교과과정에서 여성의 침묵을 조장해 왔다. 하나님과의 대화, 즉 의사소통을 나눌 때에 여성들에게 주어지는 하나님의 형상(image)은 남성적인 것이다. 여성은 하나님 아버지, 즉 남성의 형상을 닮아가야 하는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언어에서는 기표보다는 기의에 중점을 두고 있지만, 실상 역사적으로 그 '아버지의 형상'에 따른 가부장주의 이론으로 여성을 억압해 왔다. 지금까지 남성 우월주의 언어, 배타적인 언어에 눌려 있던 여성들이 교회에서 주체적으로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으므로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비판하였다. III장은 여성신학적 대안을 제시하는 데 있어서, 먼저 여성들이 자신들을 주체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므로, 여성의 형상, 여성의 은유를 사용한 Be-ing으로서, 어머니로서의, God/ess로서, Goddess로서, 친구로서의 하나님 모델을 보여주었다. 남성과 마찬가지로 여성 또한 하나님의 형상으로서 지음 받은 온전한 인간이해를 주지시키기 위하여 아버지 하나님이 아닌, 여성의 형상을 닮은 하나님과 만나게 하고, 그들의 언어를 사용하게 하는 것이다. 주변인들을 돌보고 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관계적 언어를 사용하게 하였다. 또한 성서에 대한 여성신학적 재해석과 교회 안에서의 비판적인 언어분석을 통하여 포괄적인 언어구성을 연구하였다. IV장은 기독교교육의 대안으로, 여성의 다양한 경험과 여성의 모든 측면의 변화, 발달을 인식하여 고정화된 모습이 아니라 계속 변혁해갈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놓았다. 그리고 지·정·의 세 영역의 통합뿐 아니라 더 나아가 '상상력'의 개념을 도입하여 언어의 한계를 벗어나 교육의 행위를 상상적인 언어의 차원으로 넓히려고 시도하였다. 더 나아가 이웃과 관계를 더욱 확장시키고, 주변인들을 돌보는 관계로 언어를 확장시켜 제시하였다. 또한 포괄적인 언어 공동체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교회 예전에서의 포괄적 언어를 제시하였다. 포괄적 언어를 사용하는 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여성의 자아 정체감 형성은 물론 주체의식 확립과 더불어 여성이 하나님과 관계를 올바로 맺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식의 변화를 위해서는 첫째, 남성적인 하나님의 이미지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하고 둘째, 여성들이 성서를 읽을 때에 성서 이야기와 신앙교육 내용에 흥미로움을 갖고, 공감할 수 있는 여성의 이미지를 내면화하도록 하였다. 셋째, 교회 안에서 예배를 드릴 때, 포괄적인 언어를 실천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포괄적인 언어사용을 위하여, 성서 이야기와 자신의 이미지를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상상력이 동원된다. 이러한 상상은 여성을 이야기 속으로 진입시켜서 이야기 속의 인물의 행동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평가하여 자신을 긍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기억과 느낌에 대해 솔직한 자신의 생각을 언어로 표현하게 함으로써 각기 다른 새로운 관점의 해석을 발견하게 하는 것이다. 결국, 포괄적 언어는 하나님에 관한 남성의 영역에서 여성의 영역으로 확장시키고 지평을 하나님 아버지에서 하나님 어머니로, 하나님 어머니에서 하나님 친구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인류와 평등하게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친구와 같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언어 능력이다. 이러한 포괄적이고 개방된 언어는 모든 사람들과 연합하며, 공동체를 원하는 하나님 앞에서 상호성, 호혜성, 상호의존의 이상을 넓히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는 것이다. 이와 같은 언어는 남성 지배자가 아닌, 여성과 더불어 사용하는 포괄적 언어를 형성하도록 한다. 그것은 남성들과 함께 다른 모든 억압받는 공동체들이 회심하도록 초대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inclusive language from a feminist perspective, and to recognize images of God as women in order to use "the language of relationships" between God and women by criticizing the tradition of christianity and patriarchical language. For this purpose, in Chapter II, I studied and criticized three topics: traditional image of God and symbolic language, Bible and patriarchical language, patriarchical language in the Church. Patriarchical language that can't overcome a limit of all human experiences, has represented neither the identity of women, nor the neglected(or marginal peopl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the Bible, and even religions education, have bolstered up women's silence in all curriculums, so their voices keep silent and they usually listen to other people. Christian women have communicated and shared dialogue with God in the church, but there has been only the image of Father to be seen by women. That begets a paradox that a woman is alike to the image of Man, that is to say, God the Father. Even though the signifie´ is more important than signifiant in the system of the language, in fact, historically women have been oppressed by patriarchical theory according to the image of Father. Women's language can be found in their inner voices which, up to now, been oppressed by the exclusive patriarchical machismo(male chauvinist) language. In the long run, Language has dominated the thought of human being. In Chapter III, I suggested that the alternative of feminist theology that showed metaphors models of God as a Be-ing, a mother, a God/ess, Goddess, and the image of women in order to use the embodied languages of their subjectivity. It must be stressed that women as well as men are also holistic beings created according to the image of God. Moreover, women can expand to the language of the relationships with neighborhood, so that the language can see closely and take care of marginal people. I suggested to put women's subjectivity of their life, as a means to see God directly and use their own languages to express this. I examined and analysed the feminist theological reinterpretation of patriarchical language by criticizing, and the language construction. In Chapter IV, on the basis of the theoretical ground for the alternative of Christian education, I suggested that the language of imagination education models for the role of creativity be represented by inclusive language of their women's life experience. This thesis critically examines the traditional patriarchical languages, focusing particularly on women's experience toward inclusive languages development. To advocate the diverse experience of women and to explore a few alternative ways, this paper does not suppose the fixed images, but rather the transforming images; it uses images of imagination to transform the unified intellectual, emotion, and justice. Moreover it is an attempt to expand embodied language by drawing upon the concept of imagination. Inclusive language education helps women form their identity to connect with God, and to internalize the image of transcendental God by realizing the limitations of men's image of God. Not through the dogma of Bible, but through women's life experiences and their lives, women's image can take after the image of God by connecting subjectively with God in response to God's call, and to have responsibility in society, to take care of the world. So women can develop their richer and diverse creativities through their imagination and additional metaphors so that in the Christian tradition women may be alienated no longer. Thus, in order to improve their creativity, they first should break down stereotyped ideas to be free for their future. Breaking down stereotypes allows women to fully develop their potentiality and bring more multiple ideas to the church. Secondly, I suggest that it is very important for women to imagine diverse roles and their context, while revitalizing their creativity through their imagination. Thirdly, the imagination can see the common ground of other contexts and philosophies, and have a sudden inspiration. I have studied the useful activity of education from various points of view to find out women's possibilities. The imagination by a psychological process reconstructing the present experience of imagery, is an ability and a new attempt built on the base of previous experience. Consequently, issues of inclusive language have become expanded a territory of masculine of God to a feminine, and have been shifted key metaphors in a community from exploring God the Father to Goddess the mother, from exploring Goddess the Mother to God the Friend. This is the ability of language that forms the relationality like a friend living equally together with all of creation. Thus inclusive, open language that incorporates into all people, broaden reciprocal relation, interbenefit, and interdependence before God who wants a community. The language that are not dominated by men, forms inclusive language used with women. That makes men with the oppressed be invited to a community of God in order to get converted.

      • 한국적 생명신학의 입장에서 본 기독교교육

        김정애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모든 생명 존재는 창조 세계에서 나름의 위치를 부여받았으며 의무와 책임을 다하도록 지음받았다. 그러나 인간은 자신의 이기적이고 쾌락적인 속성으로 인해 전 지구적인 파괴의 현장에 중심하고 있다. 이것은 소수의 풍요로운 생활 속에서 거대한 생태학적 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죄악은 자연뿐 아니라 인간 자신까지도 파멸에 이르게 하는 막강한 힘을 발휘하여 하느님이 창조한 모든 생명 존재를 죽음으로 몰아간다. 여기에 신학의 역할이 강력하게 요청된다. 하나의 '학(學)'의 개념을 너머 삶의 진리 가운데 실질적이고 참된 가치로 쓰임받아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생명중심에서 신학을 바라보고 전체적인 조망아래 기독교적 생명교육을 제시한다. 우선 지구적 생명 파괴의 현장으로서 소비문화, 유전공학, 분배의 불균형, 인구증가, 전쟁을 살펴보았고, 인간중심적인 창조이해, 이원론적 세계관, 위계적인 사회질서, 자본주의적 문화 속에 나타난 생명 파괴의 이론적인 원인을 짚어보았다. 이에 대한 생태신학적 이해로는, 하느님 형상으로서의 인간과 땅의 쉼을 통해 인간과 자연, 그리고 하느님의 유기체적 관계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또한 삼위일체의 우주론적 세계관을 통해 참된 구속적 자유함을 찾고자 했으며, 여성적 원리의 재건을 통해 모든 피조물에 대한 동등한 권리를 다시금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노동의 소외에 대한 회복을 통해 노동에 대한 신성한 가치와 함께 생태학적 사랑을 인식하고자 하였다. 창조 질서의 보존을 위한 이러한 생명중심적 이해는 동양적 사고, 특히 한국적 생명사상 속에서 더욱 강력한 힘이 제공될 수 있음을 알아보았다. 첫째, 한국적 영성은 유기체적인 생명공동체를 형성하도록 힘을 실어주는 불이적 상생의 관계를 이끈다. 둘째, 신토불이적 인간은 주체적이고 평등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세계 변혁의 중심에 서서 모든 부정의를 타파하는 네오휴머니즘적 인간임을 자각하게 한다. 셋째, 크고 하나이며 밝고 따뜻한 하느님은 인간과 우주만물의 근원적 존재로서 우리의 삶을 관장하며, 인간으로 하여금 부단히 생명을 살리는 길에 동참하도록 한다. 넷째, 풍수사상에 내재된 생태의식은 자연의 위치를 되찾고 생명에 대한 공경을 확인하여 창조 세계에 대한 섬김을 일깨운다. 이러한 일련의 내용을 통한 생명신학의 입장에서 다음과 같은 기독교교육적 과제를 다루고자 하였다. 첫째, 창조 신앙의 회복을 위한 영성교육에서는 생태적 감수성을 기르고 일깨워주는 과정을 찾도록 한다. 이것은 모든 생명 존재가 하느님과의 만남을 통해 새롭게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 영성적 창조력을 발휘하도록 한다. 둘째, 정의와 해방의 평등교육에서는 모든 인간이 정의롭고 평등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의식화된 인간의 새로운 삶의 스타일을 요청하고, 함께 하는 참여 속에서 인간답게 살기 위한 자신의 실천의 몫을 준비토록 한다. 셋째, 창조 세계에 대한 녹색교육에서는 인간의 마음 가운데 있는 죄악의 근본을 뿌리뽑고 비움과 느림을 가지고 자발적 고난에 동참하도록 한다. 이것은 피조 세계의 모든 존재들에 대해 겸손하고 소박한 마음을 가지고 매일매일의 삶에 충실할 것을 확인하는 것이다. 넷째, 평화와 통일을 향한 화해교육에서는 화해의 작업을 통해서 참된 기쁨과 화합의 장이 완성되도록 한다. 이것은 전쟁의 종식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정의의 실현과 더불어 가능하다. 특히 한국적 상황을 고려하여, 남북이 조건없는 만남과 상호 대화로서 평화와 통일을 이루도록 한다. 다섯째, 신앙공동체로서의 상생교육에서는 공동의 선을 추구하고자 하는 교회의 역할을 요구한다. 그것은 하느님의 부르심에 응답하는 운명공동체로서 자기아집과 욕심을 버리고 겸허한 생활 가운데 인내와 고통을 감수하는 것이다. 죽음의 문화가 팽배해져가는 인간의 삶은 '그들만의' 신앙이 돼버린 이합집산의 현실에서 험난한 노정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세상에서 생명을 살리는 길은 인간에 대한 희망에서부터 싹튼다. 따라서 인간은 본래의 위치에서 자연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의식화된 새로운 인간형으로 거듭나야 한다. 그리고 하느님의 빛 아래서 타자와 함께 공존하기 위해 변혁의 현장에 주체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이것은 창조 신앙의 회복, 정의와 해방, 창조 질서, 평화와 통일, 신앙공동체를 향한 길로서 하느님의 신실한 명령이며 우리의 충성된 의무이다. 그러므로 생명신학적 입장에서 본 기독교교육의 자원인 영성, 평등, 생명, 화해, 상생의 교육적 내용들과 방법들이 더욱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propose education of life in a Christian perspective within a life-centered theology framework. First of all, the researcher looked at the environment which causes biocide on earth, such as consumption culture, biotechnology, unequal distribution, war, and population growth, and then the researcher studied the theoretical causes of life destruction which are shown in human-centered understanding of creation, a dualistic view of the world, hierarchical social order and capitalistic culture. In response to these phenomena, understanding of ecological theology enables the world to restore the organic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God, human beings who are the figures of God, and nature requiring a rest. Moreover, it allows to pursue real redeemed freedom through the universal view of the world of the Trinity, and permits to reaffirm the equality of all creatures through the rebuilding of women's principles. Also, it enables us to recognize ecological love as well as the sacred value of labor through restoration of devalued labor. Life-centered understanding for the conservation of the creation order is rooted in firmly in an oriental idea, particularly from Koreans' idea of life: first, the Korean idea of spirituality leads to an inseparable, synergistic relation to encourage an organic life-community; second, Shintoburi(one's body and soil are inseparable each other) human beings realize they are the neo-humanistic beings fighting against all kinds of injustice at the center of reformation of the world for the purpose of building a subjective and equal relationship: third, the almighty, one and only, warm-hearted and loving God governs our lives as the origin of existence for all human beings and the universe and encourages human beings to take part in preserving life endlessly; fourth, the ecological concept internalized in the idea of Pungsu(divination by configuration of the ground) allows us to restore nature and respect for life, and thus leads us to serve the world of creatures. Based on a series of these ideas within a perspective of the theology of life,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discuss issues of Christian Education: first, spirituality education for the restoration of faith in the creation is to focus on development of ecological sensitivity, which enables all creatures to fulfill spiritual and creative power only in the process of chaining when encountering God; second, equality education for justice and liberty is to provide people with an environment of justice and equal living conditions. To make this happen, it is necessary to help change people's concept of the way of living, and to prepare for the role of participating in a cooperative community; third, green education for the world of creation is to uproot the source of sins in human beings' hearts and to participate in the suffering voluntarily with an empty and slow mind. This is to confirm that people live whole-heartedly day by day with a humble and moderate attitude toward all creatures in the world; fourth, reconciliation education for peace and unification is to try to build a joyful and harmonious environment through reconciliation. This is not to be limited to putting an end to war, but extends to actualization of justice. In particular, in the Korean situation of a divided nation it is necessary to achieve peace and unification through unconditional meetings and joint talks between North and South; fifth, for cooperation education on a faith community, the role of the Church is needed in pursuit of the common good. That is, as a destiny-community to respond to God's calling, people should be encouraged to endure pain and be patient by discarding stubbornness and selfishness.

      • 신체 절단 장애 여성을 위한 여성주의 장애신학 연구

        김소연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들어 인권 향상을 위한 운동이 많이 일어나고 있으며, 지금껏 다양한 차별과 억압 하에 자신의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 사람들이 조금씩 그 목소리를 내는 움직임들도 강해지고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는 여전히 ‘여성’과 ‘장애’ 등에 대한 인식개선이 잘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그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으로 많은 이들이 사회 및 심리적으로 소외당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질병과 사고로 인하여 신체의 일부분이 절단된 절단 장애 여성의 경우에는, 자신의 변화된 신체와 관련하여 여러 복합적인 심리를 경험하게 된다. 더불어 만약 절단 장애 여성이 기독교인이라면, 이러한 과정 속에서 하나님과의 관계에 위기가 찾아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자신 또한 갑작스럽게 맞닥뜨리게 된 혼란스러운 상태에서, 병문안을 온 사역자나 성도들이 고난과 하나님에 대한 그들의 왜곡된 신앙관을 암묵적으로 강요하거나, 퇴원 후 교회에 돌아왔을 때, 물어보지도 않고 교회활동들로부터 절단 장애 여성을 배제시키기도 한다. 더불어 절단 장애 여성은, 사역자의 기복신앙과 성공에 대한 설교에서, 그리고 고난을 무조건적인 훈련의 과정으로 보거나, 개인의 고난을 그 자신의 죄와 믿음의 문제로 간주하는 설교에서 엄청난 괴리감을 느끼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필자 자신을 포함하여, 절단 장애 여성의 실제적인 경험이 중점적으로 다뤄질 것이다. 그러나 다른 논문들의 경우, 특별히 장애인에 대한 신학에서는 더더욱, 경험이 아닌 이론이 중심이 되는 경우가 많다. 성서에서조차도,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인 부분은 많이 발견된다. 예를 들어 구약성서의 제사 의식에서는,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과 접촉조차도 할 수 없는, 그저 부정한 존재로 여겨졌다. 그들은 다른 사람과 접촉조차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암묵적으로 용인되었던 수많은 차별과 억압으로부터의 해방을 향한 움직임이 주를 이루는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성서를 재해석할 필요가 있다. 절단 장애에 있어서는 한센병에 걸린 사람의 치유 이야기를 비롯하여, 성경에는 많은 상실에 대한 이야기들이 있다. 성경에서는 예수도 상실을 경험한 것으로 나온다. 이것은 상당히 상징적인데 왜냐하면, 상실이란 그 자체만 놓고 보면 부정적인 경험으로 생각될 수 있지만, 우리가 하나님을 향해 갖고 있는 마음속 깊은 분노를 예배를 통해서 터뜨릴 때, 혹은 불평과 항의가 스며들어 있는 기도를 통해, 그때 우리는 비로소 하나님께 간절히 매달릴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몸부림은 실질적으로는 희망의 확신과 연결되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상실을 겪는 몸의 변화로 인한 말로 표현 못할 통증, 치료 와 심리적인 상황 속에 있는 절단 장애 여성은 또한 사회로부터, 그리고 교회로부터 ‘성’과 ‘장애’의 이중 차별을 받는 억울함과 잘못된 신학 관점으로 인해, 더욱 상처를 입는 그들을 향해, 가부장적이며, 차별적인 교회들을 비판할 것이다. 이로부터 해방과 회복에 대한 여성주의 장애신학에 대해 제시 할 것이다. 그래서 상실과 애도를 위한 예배가 충분히 이루어지며, 자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목회상담, 예수를 머리로 하는 모두 함께하는 디아코니아 공동체, 교회 사회복지들의 목회적 돌봄에 대해서 다룬다. 또한 시민 사회 속에서도 연결되어 할 필요가 있다고 보는 바이다. 남녀 차이, 장애 유무 등에 따른 것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서로의 모습 속에서 상호작용하며, 희망과 증언하고 실천 하는 공동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a number of human rights movements have taken place, and people who could not speak out while being discriminated against slowly raise their voices. However, Korean society still suffers from stereotypes and prejudice about ‘women' and 'disabled' and they are sill alieanated in the society.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woman with amputation, loss of her body due to sudden accidents or illness, and often leads to a serious confusion and depression. Especially if the person is a Christian, this may cause problem in relationship with God. In such a state of confusion, ministers and members of church who visit the hospital talk about distorted beliefs about God, or leave the person out in church activities when the person is discharged from hospital, or and when we talk about suffering and distorted beliefs about God in our ministry or saints who came to our church, or talking about ‘faith for blessing' and 'success' and unconditionally interpreting suffer as a matter of training, sin and faith do not help the person at all but only bring about feeling of separation. This paper focuses on how women with amputation disorders, including the author, start from experience. It is true that many scholars are biased to their brainwork in their theological studies. Even in the Bible, there are many negative aspects to people with disabilities. In the Old Testament, the disabled are descried as corrupt and they can not even touch others. There is a need to reinterpret the Bible for us living in modern society. There are stories about the healing of person with leprosy, but there are a lot more of loss in the Bible. In particular, Jesus has also experienced the ‘loss'. As for the part about loss, we become anxiously hungry for God through while praying in wrath, anger, complaints and lamentation. This looks like a strongly resist against God on the surface, but eventually, such a struggle is always linked to the conviction of hop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how the women with amputation disorders in indescribable pain, treatment and psychological state due to loss of her body speak out their voices and criticize the patriarchal and discriminatory churches. This paper is for the women who suffered even more by the double discrimination of 'sex' and 'disability' from society and from the church with incorrect theological view. From this, this study will propose the feminist theology of liberation and restoration. This is focused on that worship for loss and lamenting should be sufficiently held, ministerial counseling to speak out for oneself, diaconial community with Jesus as head, and pastoral care such as church social welfare. This should not be limited but should be extended to our civil society. The community should not focus on gender difference or disabilities but everyone in their form should interact each other hoping, testifying, and practicing.

      • 창세기 2-3장에 나타난 신화적 요소와 비신격화 과정에 대한 여성신학적 고찰

        박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성서의 이야기는 대부분 여성에 관해 호의적이지 않다. 대표적인 본문이 창세기 2-3장이다. 창세기 2-3장의 창조 설화와 타락 설화는 여성의 열등성과 종속성이 하나님의 창조 질서라고 규정하게 한 본문이다. 이것은 창세기 2-3장의 이야기를 문자 그대로 해석하여 역사적 사실로 이해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창세기 2-3장은 저자나 편집자가 신학적인 의도를 가지고 서술한 신화적인 요소를 가진 설화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종교사학적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역사 비평 방법을 사용하여 창세기 2-3장이 저자 당시의 사회상을 반영하는 신학적 진술임을 여성신학적 관점에서 비판하였다. 우선 Ⅱ장과 Ⅲ장에서는 창세기 2-3장에 나타나는 신화적인 요소를 고찰해 보았다. 창세기 2-3장의 이야기에 나오는 에덴 동산, 생명나무,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 뱀, 그룹과 화염검 등은 고대 근동의 신화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신화적인 요소들이다. 에덴 동산은 수메르 신화의 ‘딜문’과 같은 태초의 낙원이다. 생명나무와 선악을 알게 하는 나무는 인간에게 영생과 지혜를 주는 신화적인 요소들이다. 뱀은 고대 근동 지역에서 신적인 존재였다. 수메르 신화에서 뱀은 ‘닌기쉬지다’라는 저승의 좋은 신이다. 또한 뱀은 지혜나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는 여신이기도 하다. 그룹은 이집트의 스핑크스와 유사한 반수반인의 신화적인 동물이고 화염검은 번개를 신화화한 것이다. 이와 더불어 창세기 2장의 창조 설화나 3장의 타락 설화도 고대 근동에서 찾아 볼 수 있는 신화적인 요소이다. 창세기 2장의 인간 창조는 수메르 신화의 ‘사람이 태어난 이야기’나 ‘아트라하시스의 태초 이야기’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또한 여성이 남성의 갈비뼈로 창조되었다는 것은 수메르 신화에서 닌후르상이 엔키의 갈비뼈에서 여신을 창조하는 모습과 유사하다. 창세기 3장의 원인간(原人間) 타락은 아다파 신화에서도 찾아 볼 수 있다. 태초에 신과 같이 평화롭게 살던 원인간은 신의 명령에 불복종함으로써 죄를 짓고 태초의 동산에서 쫓겨난다. 원인간은 불순종으로 지식을 가졌으나 영생은 갖지 못한다는 신화적 요소이다. Ⅳ장에서는 창세기 2-3장의 저자나 편집자가 전하고자 하는 신학적인 의도를 살펴보았다. 창세기 2-3장의 저자나 편집자는 신을 상징하는 뱀과 이브를 단순한 동물과 인간으로 비신격화 함으로써 창조주 하나님만이 신이라고 고백한다. 또한 창세기 2-3장의 편집자는 하나님의 사랑과 배려를 깨닫지 못하고 하나님과의 관계를 끊어 버린 인간의 고통스런 삶과 죽음을 원인론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Ⅴ장에서는 창세기 2-3장을 여성신학적인 관점에서 비판하였다. 창세기 2-3장의 이야기가 여성비하적인 이유는 그것이 가부장제 사회에서 생성된 남성중심적인 신화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스라엘의 가나안 여신에 대한 배척은 여신을 상징하는 뱀과 이브를 부정적으로 묘사하게 하였다. 결론적으로 창세기 2-3장은 역사적 사건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며 저자의 경험과 환경에서 출발한 신학적 이해이다. 창세기 2-3장에 나타나는 여성의 열등성과 종속성은 저자 시대의 가부장제 사회를 반영하는 것뿐이지 하나님의 창조 질서가 아니다. 따라서 창세기 2-3장을 근거로 하여 기독교 역사나 교회에서 여성을 차별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또한 기독교 여성은 가부장제 사회의 여성 억압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지 말고 문제의식을 가지고 사회를 비판하며 여성의 권리를 찾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has closely examined that Genesis 2-3 are the narratives with mythological elements from feminist theological perspective. Traditionally, the Bible has been literally interpreted and generalized as historical facts. Genesis 2-3, which were interpreted in such a manner, have been understood as the texts prescribing female's inferiority, and subordination. However, Genesis 2-3 are the narratives written with a theological intention, according to a historical criticism method. This study, based on religio-historical studies and historical criticism, criticized Genesis 2-3 from a feminist theological perspective. And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at Genesis 2-3 are theological statements reflecting the social circumstance during the time when Genesis 2-3 were written. Above all, there are a lot of mythological elements in Genesis 2-3. Garden of Eden, tree of life, the tree of knowledge of good and evil, a serpent, a cherubim and a flaming sword appeared in Genesis 2-3 are the mythological elements, which could also be found in the mythologies of Ancient Near East. The Garden of Eden is a paradise in the beginning of the world equivalent to “Dilmun” of Sumerian mythology. Tree of life and the tree of the knowledge of good and evil are the mythological elements that give humans eternal life and wisdom. The serpent was a god-like figure in Ancient Near East. The serpent in Sumerian mythology was a good god of the other world named "Ningishzidda." In addition, the serpent was a goddess representing wisdom, abundance and fertility. The cherubim was a half-beast and half-human mythological animal similar to the Egyptian Sphinx and the flaming sword mythologized the lightning. In the mythologies of the Ancient Near East, there are stories similar to the narrative of Creation in Genesis 2, and the narrative of Corruption in Genesis 3. The former could be found in Sumerian mythology or "The Epic of Atrahasis". Besides, the fact that women were created from the ribs of men was similar to the Sumerian mythology, in which Ninhursang created a goddess from Enki's ribs. The latter could be found also in the Adapa Myth. The primeval person who lived peacefully in the mountain of God committed a sin by disobeying the command of God and he was expelled from the mountain of God. The primeval person could obtain knowledge owing to his disobedience to God, but he did not possess eternal life. This is because the editor of Genesis 2-3 borrowed the mythologies of the Ancient Near East. However, the editor of Genesis 2-3 did not just borrow the Ancient Near East's mythologies, but theologically adapted them to be in line with the faith of Israel. The editor of Genesis 2-3 confessed that the creator of the heavens and the earth is the only God, by de-divinizing the serpent, which symbolizes a god in the Ancient Near East's mythologies, as a mere animal and Eve, as a mere human being. In addition, the editor of Genesis 2-3 explains that there only remains pain and death for whom broke off relations with God etiologically. What the editor intended to say in Genesis 2-3 was the severance from God, due to human's sins. The reason that Genesis 2-3 played the role of females down so much was that the story was a androcentric mythology generated from the patriarchal society. In addition, the exclusion against the Canaanite goddess enabled one to describe the serpent and Eve representing the goddess as negatively. In conclusion, female's inferiority and subordination set forth in Genesis 2-3 reflect the patriarchal society in the era when the editor lived. Accordingly, the inferiority and subordination of females demonstrated in Genesis 2-3 are not the created order of God, and thus the suppression of women is wrong.

      • 빈들에 서서 : 한국성결교회 여성신학의 새 자리

        홍인숙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올해로 100주년을 맞이하고, 100만성도 가운데 70%이상의 여성신도를 가지고 있는 한국성결교회는 그동안 양적·영적 성장을 거듭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왜 여성신학의 자리는 부재인 채 머물러있는 것일까? 이 질문에서 본 논문의 논의는 시작되었다. 일반적으로 한국성결교회는 보수주의 신학인 까닭에 여성에 있어서도 보수적이라고 막연하게 여성에 대한 태도를 표명해왔다. 그러나 그것은 한국성결교회의 뿌리를 정확하게 모른다는 이야기와 동일하다. 그러므로 필자는 본 논문에서 한국성결교회가 얼마나 여성친화적인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초기 한국성결교회가 시작되었을 때 얼마나 여성사역이 활발하고 진취적이고 해방적이었는가를 증명함으로써, 한국성결교회는 잘못된 자신의 자리를 벗고 초기의 원(原)정신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을 주장한다. 한국성결교회는 웨슬리신학에 그 뿌리를 두고, 19세기 후반 미국성결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따라서 한국성결교회의 여성사역도 웨슬리의 여성관과 미국성결운동 단체들의 여성관에 깊이 연관되어 있다. 특별히 한국성결교회의 모체인 동양선교회는 말틴 냅(Martin W. Knapp)과 셋 리스(Seth C. Rees)에 의해 세워진 만국성결연맹에서 출발하였는데, 동양선교회의 창립자 카우만 부부는 동시에 만국성결연맹에서 안수를 받고 사역을 하였다. 즉, 한국성결교회의 뿌리를 찾아가면 초기 한국성결교회의 구성요인이 되었던 모든 교회나 단체들이 여성친화적이고 동시에 여성해방적이었다는 사실을 알게된다. 이러한 뿌리에서 출발한 초기 한국성결교회는 한국여성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여선교사들은 한국의 여성들을 성서학원 교육을 통하여 집중적으로 교육시켜서 여성사역자로 성장시켰으며, 그 결과 1911년부터 1929년까지 경성성서학원은 83명의 여성졸업자를 배출하였다. 경성성서학원은 처음부터 남녀공학제와 부부공학제를 실시하였고, 당시의 남녀유별이라는 한국의 사회상황은 남녀사역자를 동시에 필요로 하였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여성사역은 활성화되었고, 사역지 어디에나 여성의 자리는 있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고 성결교회가 제도화되어가면서 상황은 바뀌었다. 그리고 남녀유별의 사회적상황이 해소되어 남성이 자연스럽게 여성에게 설교와 교육할 수 있게 되자 교회에서의 여성의 자리는 급격히 감소하게 되었다. 이와 더불어 경성성서학원이 경성신학교로 인가를 받으면서 입학생들의 자격요건은 까다로워졌다. 점차적으로 여성들은 교육의 기회를 잃어갔고, 자격요건을 갖춘 여학생들이 적어지자 여성신학교는 지방으로 이관되었다. 모든 신학은 남성중심으로 바뀌었고, 교회들은 선교사들이 본국으로 돌아감에 따라 재정적인 이유를 근거로 남성사역자만을 요구했다. 초기에 여성을 선호하고 여성교육에 적극적이던 신학과 교회는 점차적으로 사라지고, 교권중심의 남성사역자를 키워내는 신학교와 교회가 생겨났다. 이는 로즈마리 류터의 말대로 ‘온전한 인간성’의 회복과 추구는 늘 남성위주의 인간성에만 있다고 보아온 전통신학이 부른 너무 당연한 귀결일 것이다. 만약 교회제도와 여성신학이 만날 때, 여성들 스스로가 ‘온전한 인간성’의 주체이며, 여성의 ‘온전한 인간성’ 회복과 추구에 그 목적이 있다는 것을 알았다면, 그처럼 쉽게 성결교회에서 여성신학의 자리를 놓치지 않았을 것이다.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현재 한국성결교회 여성신학의 자리는 비어있다. 이제, 한국성결교회는 자신의 전통으로 주장해 온 웨슬리의 여성관과 성결운동의 적극적이며 남녀평등적이었던 여성관으로 돌아가야 한다. 우리가 돌아가야 할 자리는 교회가 제도화되어지고 남성이 기득권자로 등극하기 전의 자리이며, 당시 한국의 사회적 상황이 만들어냈던 일시적이고 도구적이었던 여성의 자리가 아니라 남녀평등적인 입장에서 하나님의 부르심을 입은 총체적인 인간의 한 사람으로의 여성의 자리이다. 이제 필자는 상황에 따라 줄어들고 지워지는 여성신학의 자리 대신에, 영원히 여성의 소리를 담아낼 수 있는 여성만의 자리를 성결교회 안에 만들어야 할 때가 바로 지금이라고 주장하는 바이다. The Korean Evangelical Holiness Churches(KEHC), which have celebrated its 100th anniversary this year and embraces female believers up to 70% among its church members, had a vacancy for female theology despite their spiritual and capacity growth. Why is this so? This dissertation begins from such a question. Generally, the KEHC have been percieved as having conservative perspectives towards females, due to its overall conservative theological stance. However, this is a misguided judgement due to the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roots of the KEHC. Thus I intend to prove the feminist background of the KEHC by illustrating their initial stages, in which they were active in liberating and educating the female believers. By doing so, I assert that the KEHC should reexamine their current state and return to their initial mindsets. The KEHC have their roots in the Wesley theology, and was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 Evangelical Holiness Movements that occured during the late 19th centuries. Therefore, the KEHC are deeply related to their philosphy towards the female gender. The KEHC have been conceived by its mother-figure, Oriental Missionary Society(OMS), which began from the International Holiness Union established by Martin W. Knapp and Seth C. Rees. Charles E. Cowman and Lettie B. Cowman, who are the founders of OMS, have become pastors through the International Holiness Union and began to work together. Thus, if we trace back the roots of the KEHC, we will find that all the compositions of the KEHC at their primary stages stem from a feminist and female-liberating roots. As can be inferred from their roots, the primitive KEHC began with a special interest towards the Korean females. Female missionaries have specifically educated the Korean females through biblical academies and made them into female evangelical wokers. As the result, from 1911 to 1929, Kyung-sung Bible Institute has graduated 83 female theologists. Kyung-sung Bible Institute had co- education and enabled husbands and wives to study together. Due to the strict culture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distinction, the Korean society back then required both female and male theologists. Therefore, female theology naturally flourished, and there were places for females at all theological places. However, as the time passed by and the Evangelical Holiness Churches institutionalized, the situation changed. The gender distinctive culture has diminished, which allowed male scholars to educate and give service to the female believers. This led to the sharp decrease of the female theologists in the church. In addition, as the Kyung-sung Bible Institute became authorized as the Kyung-sung School of Theology, the admission requirements became much more complicated. More and more females lost their chances of education in theology, and as there were less qualified female students available, the female educating institution was moved to the countryside. All of the theology transformed into that of male-orientation, and the churches requested for male theologists as more foreign missionaries returned to their home countries. The initial atmosphere of actively encouraging female participation and education eventually disappeared, and more ecclesiastical, male-oriented theological schools and churches were introduced. As Rosemary R. Luther has said, this is the obvious result of the traditional school of theology, which firmly believed in the restoration and pursuit of the 'complete humanity' through male-orientation. Had the KEHC remembered the union of the church system and female theology, which emphasized the females being their own subject and objective of the 'complete humanity', they will not have deserted female theology that easily. At the present stage of the 21st century, the place for female theology in the KEHC is yet to be filled. Now is the time for the KEHC to return to its traditional status of Wesley's position on females, which calls for active and egalitarian feminist perspective. The churches should return to their primary stages, before their institutionalization and the elevation of male as the superior beings. The churches should view females not as the temporal and instrumental beings but as the complete beings that were equally called in front of God. Therefore, I argue that now is the time for the KEHC to make firm position for female theology.

      • 욥기 3장과 38장의 관련성 연구 : 탄식시와 대화시의 조응

        김한나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ravel the relevance of literal and themetic format between chapters 3 and 38 in the Book of Job by analyzing them from a rhetorical criticism perspective. Several researchers have defined chapter 3 of Job as Job's monologue in which he encountered catastrophic hardships and interpreted chapter 38 of God's remarks as a daunting question or as a way of evading an answer to Job's question. However, if chapter 3 is characterized as a monologue, it becomes difficult to fully grasp the meaning and role of Job's remarks since it makes readers unable to recognize to whom Job's remarks are directed. Based on a rhetorical critical analysis of Chapter 3's literary form, it was determined that the term "lament" is acceptable. Moreover, the systematic structure of Chapter 3 emphasizes Job's overall theme. The narrative flow from Job's birth in the far past to the present, the employment of dialogue idioms in the opening, and the use of rhetorical questions were also recognized. Analysis of Chapter 3's content revealed things that cannot be found in traditional laments, such as how it contradicts traditional theology of creation while using the same words as Genesis 1, how it uses contrast words to accentuate the gap between reality and ideality, and how it transforms the author from a patient to a rebel who curses his birthday. Similarly, analyzing the literary form of Chapter 38 reveals that it systematizes the framework of emphasizing the issue through the use of the dialogue idiom ‘ויען ויאמר’in the introduction and narrative flow, commencing from the past in the development of the foundations to the current topics of natural occurrences. In addition, Chapter 38 was defined as a dialogue poem in that Chapter 3 includes Job’s lament questions with God in mind, and Chapter 38 displays the form of God's response to Job's queries. The analysis of Chapter 38's content showed that the topic of creation was answered with rhetorical questions, and the theme of theology of creation and redemption was strengthened by using the same terms and metaphors as Chapter 3.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ceding investigation, the relative format of Chapters 3 and 38 was examined. In terms of the overall structure, chapters 3 and 38 correspond with questions and answers. In other words, among the verses from chapters 3 to 42:6, Chapter 3 initiates conversations with friends and with God, whilst Chapter 38 relates to the initial statement that opens God's full remarks.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the structure, genre, and terminology closely resembled those of Chapters 3 and 38. The structural frameworks of the two chapters are quite similar and are structurally coordinated, as evidenced by the usage of the identical conversation idioms in each chapter's introduction and the closeness of the three stanzas' temporal flows. The laments in chapter 3 and the conversations in chapter 38 are related based on the connection between Job and God, and the contents of lament and conversation are coordinat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formal similarity of variations of traditionality and the use of rhetorical questions. Also, Chapters 3 and 38 have a lexical connection due to their usage of the same term and metaphors to attain symmetry. The correspondence of literary form in Chapters 3 and 38 was also linked to its thematic relevance, creating semantic symmetry and highlighting the theme of God’s remarks. When it comes to theology of creation, Chapter 38 maximizes the autonomy, inclusivity, and integrity of God's sovereignty in the creative world in the created universe by opposing the reversal of the orders of creation described in Chapter 3. Hence, the two chapters show close relevance as giving Job, who has experienced the thesis, antithesis, and synthesis of orders of creation, a perspective on the new world of creation. When considering the theology of salvation, Chapters 3 and 38 reveal that additional confirmation of salvation is made as God's response to Job's existential query, which differs from typical lamentations or salvation oracles. God accomplished this by giving Job a new identity, as evidenced by the symmetry of the meaning of ‘גבר’ in Chapters 3 and 38.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that chapters 3 and 38 from the Book of Job are conversations between Job and God, corresponding the structure, genre, and vocabulary in literal form, addressed by untraditional topics, and employing the same phrases and metaphors. It is interpreted that God's comments are based on all in Job's lament, leading to the conclusion that God acknowledges and accepts Job's words. 본 연구의 목적은 욥의 발언을 대표하는 욥기 3장과 하나님의 발언을 대표하는 욥기 38장을 수사비평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문학형식적·주제적 관련성이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많은 학자들은 욥기 3장을 재앙과도 같은 고난을 만난 욥의 독백으로 규정해 왔고, 욥기 38장의 하나님 발언은 위압적인 질문으로 욥을 몰아붙이고 있거나 욥의 질문에 대한 대답을 회피하는 식으로 동문서답을 하고 있다고 해석해 왔다. 그러나 욥기 3장을 독백으로 규정하게 될 경우, 욥 발언이 향하고 있는 직접적인 대상자를 인식하지 못하게 되어 욥 발언의 의미와 역할을 충분히 파악하기 어렵게 된다. 이에 욥기 3장의 문학형식을 수사비평적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탄식시로 규정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장의 구조는 욥기 전체의 주제를 부각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욥이 출생하는 먼 과거로부터 현재 시점으로의 주제 흐름, 도입부에 사용된 대화 관용구 ‘ויען ויאמר’, 수사적 질문의 사용 등이 특징으로 파악되었다. 욥기 3장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창세기 1장과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면서도 내용상 전통적인 창조신학을 역행한다는 점, 대조어를 사용하여 현실과 바람의 간극을 극대화하였다는 점, 그리고 인내자의 모습에서 자신의 생일을 저주하는 반항자의 모습으로 변화한다는 점 등 전통적인 탄식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들이 발견되었다. 마찬가지로 욥기 38장의 문학형식을 분석한 결과, 도입부에 대화 관용구 대화 ‘ויען ויאמר’를 사용함으로써 주제를 부각시키는 구조를 체계화하고 있으며, 세계의 기초와 섭리 등 시원적 창조에 대한 질문들로부터 현재에도 경험할 수 있는 기후와 자연 현상의 문제까지 먼 과거에서 현재 시점으로 주제의 흐름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욥기 3장이 하나님을 염두에 둔 탄식적 질문이며 38장에서 하나님이 욥을 지목하여 대답하시는 구조와 내용을 보인다는 점에서 38장을 대화시로 규정하였다. 38장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창조 주제에 대해 수사적 질문으로 대답하고 있다는 점, 3장과 동일한 단어와 비유들을 사용하여 38장의 창조신학과 구원에 대한 주제를 강화시키고 있다는 점을 밝힐 수 있었다. 위와 같은 욥기 3장과 38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문학형식적 관련성을 고찰하였다. 욥기 전체 구조에서 볼 때 욥기 3장과 38장은 질문과 응답으로 대응하고 있다. 즉, 욥기 3장부터 42장 6절까지의 시문부 단락 중에서 욥기 3장은 친구들과의 대화와 하나님과의 대화를 열고 있으며, 38장은 하나님 발언 전체를 시작하는 첫 번째 발언에 해당한다. 아울러 3장과 38장의 문학형식에서 구조, 장르, 어휘가 긴밀한 관련성이 있음을 밝혔다. 두 단락의 구조 체계는 매우 유사하며, 도입부에서 동일한 대화 관용구를 사용하고, 세 개의 연에서 유사한 시간의 흐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구조적으로 조응하고 있다. 욥과 하나님의 관계성에 기반함으로써 3장의 탄식과 38장의 대화가 연결되고, 탄식시와 대화시의 내용이 전통적인 내용의 변주, 수사적 질문 사용이라는 형식적 유사성에 기반하여 서로 조응하고 있다. 또한 3장과 38장의 어휘적 관련성에 대해 분석한 결과, 두 단락이 동일한 단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핵심 비유 역시 동일하게 활용함으로써 상호 의미의 대칭성을 이루었다. 3장과 38장의 문학형식적 조응은 주제적 관련성과도 연결되어, 3장과 38장의 공통 주제인 창조신학, 구원신학, 인과응보에서 의미의 대칭성을 이루어 하나님 발언의 주제를 부각시켰다. 창조신학 주제에 대해서는, 3장에 나타나는 창조질서의 역행을 38장에서 부정함으로써 창조세계에서의 하나님 주권의 자율성, 포괄성, 온전성을 극대화시킨다. 즉, 두 단락은 창조질서의 정반합을 경험한 욥에게 새로운 창조세계에 대한 관점을 갖게 하는 것으로 긴밀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구원신학 주제에 대해서는, 3장과 38장이 전통적인 탄식시나 구원신탁과 다르게 욥의 실존적 질문에 대한 하나님의 응답으로서 또 다른 구원확언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3장과 38장에서의 ‘게베르’(גבר) 의미의 대칭성을 통해 하나님이 욥에게 새로운 정체성을 부여함으로써 이루어졌다. 욥기 3장과 욥기 38장은 문학형식적으로 구조, 장르, 어휘가 긴밀하게 조응하고 있으며, 주제적으로도 전통적인 내용에서는 벗어나 있지만 그 또한 상응한 측면이있음을 밝혔다. 또한 동일한 단어와 비유를 사용함으로써 3장과 38장이 유사성과 대칭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욥기 3장과 38장은 형식적·내용적으로 긴밀한 관련성을 가진 욥과 하나님의 대화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아울러 하나님의 발언은 욥 탄식의 모든 내용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하나님이 욥의 발언을 인정, 수용하고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한다.

      • 우리 가운데 거하시는 초월, '하나님의 몸' : 샐리 맥페이그의 생태신학 연구

        윤영숙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thesis aims to discuss Sallie McFague's theological thought, focusing on her model of the universe as the "body of God". It is to reflect on McFague's theological thought which has been developed through her metaphorical and constructive theology. It is then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f panentheism in McFague's model of the universe as "God's body", and to prospect a direction for a new worldview. The first part of this thesis introduces McFague's theology on the whole. For McFague, theology is always a metaphor that does not move toward metaphysics or absolute claims. Based on this metaphorical theology, McFague carefully considered Gordon Kaufmann's theological method, constructive theology, which led her to present models of God as Mother, Lover and Friend. Influenced by both Pierre Teilhard de Chardin and Alfred North Whitehead's process theology, McFague critically examines the classic organic model and accepts the common creation story, which leads her to propose the procreative-emanationist model of the universe. She then combines the traditional agential model and the new organic model that views the universe as the "body of God", suggesting the model of God as the transcendent agent/organic indweller. Extending the doctrine of incarnation in Christianity, McFague constantly claims that the neglected and oppressed creatures on the earth and the earth itself should be included as the 'shape' of the body of God. Such Christian nature spirituality needs not the "arrogant eye" from the "subject-object" model but the "loving eye" from the "subject-subjects" model that views the nature as subjects. According to McFague, in the neo-classical view of human beings, which exercises as our ideology, the image of a free individual has been turned into a worshipping of individualism which leads to consumerism. She argues that capitalism in the twenty-first century must concern sustainability of the earth as well as its resources and well-being. That "Theology matters" is McFague's exclamation, for the essence of the "problem" such as the climate change and consumerism is in our head and our heart. That is, we must re-convert from egocentricism to theocentrism; we need to return to the radical incarnationalism that sees God everywhere. The later part of this thesis contemplates on panenthesim, expressed in the model of the universe as the "body of God". Her panentheism brings us intimacy with God and all creatures in the world as well as responsibility. Furthermore it helps us overcome "God of philosophers" that has been criticized by the modern atheists. However, limitations exist: the panentheism that encourages the human responsibility may lead to the passivity of "embodied" God; God's self-sufficiency needs more discussion; and God's dignity is relatively weakened compared to God's charity. Nevertheless, the author argues that the "radical immanence" in McFague's panentheism is the transcendence beyond transcendence, which is in accordance with her argument that "God is God when God is not being God." Before we can understand this love of "voluntary helplessness" expressed in "radical immanence" that faces the coincidental and passive nature of the body, the love of God so perfect and so comforting should reach our hearts first. This leads us to realize the need for a new God-talk that embraces both the "sufficiently excellent" transcendence from the classical theism, and the ethical and aesthetic transcendence in "radical immanence" from panentheism. In light of Ken Wilber's "Holarchical Kosmology", McFague's God who dwells in the universe overcomes the plane understanding with transcendence beyond our mind. If McFague's panentheism, which refers to God who surpasses all dimensions and emphasizes "relationship" and "companionship", is understood with the oriental thought that has regarded the nature as subjects, it can be developed as a worldview that connects the East and the West. In our part we need to re-examine our understanding of "existing God by non-existing" of Dasuk Ryu Young-Mo and "ssi-al (seeds)" as well as "ttut (meaning)" of Ham Suk-Heon. It would be our next task to find "ttut" in "bintanghande(emptiness)" and to connect the stories of "minjung(people)" who acts out the "sichunju(serving God)" thought as "ssi-al" - a meaningful contribution of Korean theology to a new God-talk. 샐리 맥페이그(Sallie McFague)의 세계를 ‘하나님의 몸’으로 보는 모델은 구성신학이라는 특성을 갖는 그의 신학 전반을 이끌어 간 핵심 은유이지만, “육체의 한계를 갖는 ‘몸’ 모델이라면 하나님의 초월성은 포기되는 것인가?” 하는 논점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세계를 ‘하나님의 몸’으로 보자는 그의 충격적인 제안에 대한 한국 신학계에서의 논의는 충분하지 않았고, 많은 논문에서 인용되고 있지만 그의 신학에 대한 연구도 단편적으로만 이루어져 왔다. 이에 연구자는 맥페이그의 신학 전반을 살펴보면서, 그가 ‘하나님의 몸’ 모델을 말하게 된 신학적 배경과 그 타당성에 대한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방법은 맥페이그의 신학을 연구한 이차 자료를 참고하기 보다는, 번역되지 않은 원서(原書)를 포함한 그의 모든 저서들에서의 직접적인 저술 내용에 집중하여, 그의 신학적 사상을 보다 명료하게 전달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리고 그의 신학적 전기(轉機)에 영향을 주었던 다른 신학자들의 저서도 함께 살펴보았다. 논문의 전반에는 맥페이그의 신학 사상을 전체적으로 고찰하였다. 맥페이그에게 신학은 항상 은유일 뿐 형이상학이나 절대적 주장으로 나아가지 않는다. 그는 이러한 은유신학의 바탕 위에 고든 카우프만(Gordon Kaufmann)의 구성신학적 방법론을 진지하게 받아들여, 어머니·연인·친구라는 새로운 하나님 모델들을 제시한다. 그리고 ‘우주의 육체를 입은 영으로서의 하나님’이 기독교 신앙과 현대 과학의 해석이 양립할 수 있는 모델이라고 하면서, 이 세계는 출산/유출된 ‘하나님의 몸’으로, 하나님은 초월적 행위자/유기적 내재자로 보는 모델을 제시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모델을 제시함에 있어 떼이야르 드 샤르댕(Pierre Teilhard de Chardin)과 화이트헤드(A. N. Whitehead)의 과정신학에 영향을 받은 맥페이그가 고전적 유기체 모델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보편적 창조이야기를 수용하여, 성육신의 교리를 재해석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맥페이그의 지속적인 주장은 성육신의 교리를 확장하여, ‘하나님의 몸’이라는 ‘형태’에 무시당하고 억압당하는 지구와 지구의 다양한 피조물들을 모두 포함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주체-객체’ 모델에서의 ‘오만한 눈’이 아닌, 자연을 주체로 보는 ‘주체-주체들’ 모델에 그 ‘내재적 가치’를 인정하는 새로운 성례전주의를 더한 생태적 모델에서의 ‘사랑어린 눈’이라고 한다. 하지만 경제를 말하지 않고는 사랑을 말할 수 없음을 깨달은 맥페이그는, 신고전주의 경제 모델에서 중요하게 부각된 ‘개인’과 ‘성장’이라는 가치가 개인주의 숭배로 변질되고 소비주의로 발전되어 온 것을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새로운 시장 자본주의는 경제학이 의존하고 있는 지구 그 자체의 안녕과 지속가능성을 포함하는 생태적 경제 모델이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가 강조하는 것은 기후붕괴, 소비주의와 같은 ‘문제’의 핵심은 우리의 머리와 가슴에 있기 때문에 “신학이 중요하다”는 것이고, 우리가 하나님중심주의로 회심하여 어디에서나 하나님을 보는 철저한 성육신주의로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논문의 후반에서는 맥페이그의 ‘하나님의 몸’ 모델에 표현된 범재신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하나님의 몸’ 모델이 갖는 가장 큰 성과는 하나님의 초월/내재의 경계를 허물며, ‘초월 너머의 초월’로 이 세상에 ‘내재하는 초월’을 부각시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내재하는 초월’은 하나님의 급진적 사랑의 표현이며, 바로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는” 초월이다. 이렇게 ‘철저한 내재’로 표현되는 범재신론에서의 윤리적이고 심미적인 초월의 사랑을 깨달아 알기까지는, 고전적 유신론에서의 하나님의 ‘충분한 탁월하심’을 강조하는 초월이 함께 조화를 이루는 하나님 담론이 요청된다. 이를 위해서는 기독교 범재신론에 대한 동양적 이해와 동양 사상을 기독교적 시각에서 지평 융합한 우주론이 중요한 통찰이 될 것이다. 우리의 입장에서는 ‘빈탕한데’에서 ‘뜻’을 찾고, ‘시천주(侍天主)’의 사상을 ‘씨알’이 되어 실천하는 ‘민중’들의 이야기를 재조명하고 연결하는 일로 새로운 하나님 담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자는 세계를 ‘하나님의 몸’으로 보는 모델의 진의를 고찰한 본고를 통하여 생태적 무심함과 내세적 구원관에 익숙한 교회와 개인이 ‘지구상의 생명 연속의 청지기’로서의 사명을 깨닫게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한국의 여성신학에도 전통적 기독교 교리의 해석을 넘어 구성(構成)으로 나아갈 수 있는 작은 디딤돌이 되기를 소망한다.

      • 성폭력 피해자 치유를 위한 하나님 표상 재구성 연구

        서미선 이화여자대학교 신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s that sexual violence victims have and find how to reform it into 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Especially, the study focus on the victims who suffer from malfunctioning of God representations after sexual violence event of sexual violence victims. And the study assumes that the sexual violence event would negatively influence on God representation. The sexual violence incident is shocking event that would offend victim’s mind and give them trauma. Therefore, it break the victims’ life and they suffer from it for a long time. Moreover, the victim would wonder the presence of God after the sexual violence incident and experience the process to struggle with God. At this time, victims God representa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helps victims’recovery but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delays the victims’ recovery and aggravate their pain. The researcher in this paper considers that the role of pastoral counselor is very essential while victims struggle with terrible sexual violence and God’s presence. First, to help understand the sexual violence that victims suffer from, this paper research the basic concept of sexual violence. As the basic concept of sexual violence, there are the definition, the history and aftereffects of the sexual violence. And then the study considers the sexual violence from social-cultur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 To consider the sexual violence from various perspective helps understand victims pain and empathize with the pain. Next, to research God representation of victims, we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object-relation theory. By object-relation theorists, the object representation is formed based on the main events and experiences with a main fosterer when they were young. And the main events and experiences with the main fosterer have a strong effect on forming God representation. By studying theoretical background of God representation, we can understand deeply how God representation forms. God representation formed in childhood can be transformed by main events so the painful incidents such as sexual violence give victims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After Sexual violence incidence, victims experience the process facing and struggling with God. In this process, the important role of pastoral counselor is to help victims have 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and rapidly recover. Thus, to heal the broken hearts of sexual violence victims, it is essential that they should break up and reform God representation. Next, this study considers God representation formed in traditional Christian culture. To research how God representation formed in Christian cultural effect is helpful for victims recovery.God representation as patriarchal father has a negative effect on sexual violence victims. That is, the patriarchal and authoritative God image gives victims double pains. Thus, from new perspective different from existing way, God representation needs to be reformed.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new God representation for healing sexual violence victims.To begin with, there are two ways from methodological dimension. First way is to read the Bible in pastoral theological perspective. Second way is to reread the Bible as Jung Hee sung’s‘han-women-plays’. The existing way reading the Bible suggests necessity of the Bible reading way from new perspective. And rereading the Bible as ‘han-women-plays’ means interpreting the Bible centering on sexual violence victims and this way can be useful as healing resources. Then, this study tried to find 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based on metaphorical theology by Sallie MacFague to suggest specific God representations for healing victims. Through metaphor, we can find new ways of functioning God image and imagine various God images using a variety of metaphor. Therefore, the metaphorical theology can be proper method to break up the existing traditional and patriarchal God images and make up new God representations. And another alternative for sexual violence victims is relational and ambiguous God image of pastoral theologian James Poling. Victims need self image that includes complex process and makes them overcome pains. James poling suggests relational and ambiguous self image as solution to this problem, leading to make victims overcome pains from sexual violence incidence. This paper is to research and study from pastoral counseling perspective for healing sexual violence victims. They should struggle with sexual violence incidence for a long life time. The role of pastoral counselor is to help with them to recover as soon as possible and make them live in balance in the process of struggling between sexual violence incidence and God presence. The study on malfunctioning God representation that victims have and alternative God representation can be helpful to recover the victims who have trauma and broken heart. 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을 경험한 피해자가 지닐 수 있는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 문제를 이해하고, 기능적 하나님 표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을 찾아 성폭력 피해자들의 치유를 돕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자들 중에서도 성폭력 사건으로 하여금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이 형성되어 고통 받는 피해자에게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성폭력 사건이 피해자의 하나님 표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가정했다. 성폭력사건은 피해자에게 큰 상처와 트라우마를 남긴다. 그래서 피해자들의 삶을 망가뜨리며 오랜 시간 고통을 겪게 한다. 그리고 피해자는 성폭력 사건 후 하나님의 존재에 대해 의문을 가지며 하나님과 씨름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이 때 피해자의 하나님의 표상이 어떠한지는 매우 중요한데, 기능적인 하나님 표상은 피해자의 회복을 돕지만,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은 피해자의 회복을 더디게 하며 고통을 가중시킬 수 있다. 본 연구자는 피해자가 끔찍한 성폭력 사건과 하나님의 존재 사이에서 분투하며 나아갈 때, 피해자의 보다 빠른 회복을 위해서 목회상담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먼저, 성폭력 피해자가 겪은 성폭력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성폭력의 기본적인 개념을 살펴보았다. 성폭력의 정의와 성폭력의 역사, 그리고 성폭력의 경험으로 인한 피해와 후유증은 어떠한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사회문화적, 신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성폭력에 대해 살펴보았다. 성폭력의 원인을 다양한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은 성폭력의 이해를 도와 피해자들의 고통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성폭력 피해자들의 하나님 표상에 대해 연구하기 위해 대상관계이론을 바탕으로 하나님 표상의 이론적 배경에 대해 살펴보았다. 대상관계이론가들에 의하면 대상표상은 어린 시절 주요 양육자와의 경험과 주요 사건을 바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주요 양육자와의 경험은 하나님 표상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하나님 표상의 이론적 배경인 대상관계이론을 살펴봄으로써 하나님 표상이 어떻게 형성되는지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어린 시절 형성된 하나님 표상은 주요사건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데, 성폭력과 같은 고통스러운 사건으로 피해자는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을 가질 수 있다. 피해자는 성폭력 사건 후 하나님과 대면하며 씨름하는 과정을 겪는다. 이 과정 속에서 성폭력 피해자가 기능적인 하나님 표상을 갖고 빠른 회복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목회상담가의 중요한 역할이다. 그러므로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으로 하여금 고통을 겪고 있는 성폭력 피해자의 상처를 치유하기 위해서는 역기능적 하나님 표상의 해체와 재구성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어린 시절 주요 양육자와의 사건과 경험을 통해 형성되는 하나님 표상 이외에도 전통적인 기독교 문화 속에서 형성되는 하나님 표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전통적인 기독교 문화적 영향 속에서 형성되는 하나님 표상이 성폭력 피해자에게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은 성폭력 피해자들의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전통적인 기독교 문화의 가부장적 아버지와 같은 하나님 표상은 성폭력 피해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준다. 즉, 기독교 문화에 스며들어 있는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하나님 아버지 이미지는 피해자들에게 이중적 고통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전통적인 하나님 이미지에 대해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관점에서 하나님 표상이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성폭력 피해자들의 치유를 위한 새로운 하나님 표상에 대해 논의 하였다. 먼저, 방법론적 차원에서 두 가지를 고찰하였다. 기존 목회신학관점에서의 성서 읽기와 정희성의 ‘한-여성-놀이’로서 성서다시 읽기에 대해 살펴보았다. 기존 목회신학 관점에서의 성서 읽기 방법은 새로운 관점에서의 성서 읽기 방법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그리고‘한-여성-놀이’로서의 성서를 다시 읽는 것은 성폭력 피해자 중심으로 성서를 해석하는 것으로서 성폭력 피해자들에게 치유의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그리고 성폭력 피해자들의 치유를 위한 구체적인 하나님 표상들을 제안하고자 샐리 맥페이그의 은유신학을 바탕으로 기능적 하나님 표상을 모색하였다. 은유를 통해 기능적 하나님 이미지 대한 새로운 방법들을 찾을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은유를 사용해서 다양한 하나님 이미지를 상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은유신학은 피해자들의 기존의 가부장적인 전통적인 하나님 이미지를 해체시키고, 새로운 하나님의 표상을 만들어내는 데 적합한 방법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성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하나님 표상의 또 다른 대안은 목회신학자 제임스 폴링의 관계적이고 애매모호한 하나님 이미지이다. 피해자들은 성폭력으로 인한 상처치유를 위해서는 복잡한 과정들을 포괄하고 고통을 극복하게 하는 자기 이미지가 필요하다. 제임스폴링은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관계적이고 애매모호한 자아를 제시하며, 애매모호한 하나님의 이미지를 통해 피해자들이 성폭력의 경험을 극복하도록 이끌었다. 본 논문은 성폭력 피해자들의 치유를 돕기 위한 목회상담적 관점의 연구이다. 성폭력 피해자들은 성폭력 사건과 평생 씨름하며 살아가야 한다. 피해자들이 성폭력 경험과 하나님의 존재 사이에서 분투하며 살아가야 과정 속에서 피해자들이 가능한 한 빠르게 회복 되어 균형 있는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그들 곁에서 최선을 다해 돕는 것이 목회상담가의 역할이다. 성폭력 피해자가 가질 수 있는 역기능적 하나님표상과 대안적인 하나님 표상들에 대한 연구는 성폭력으로 상처를 입게 된 피해자들이 회복하는 과정에서 기능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