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불임 검사용 여성호르몬 5종에 대한 효소 화학발광 면역법 개발

        김성수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현재 난임 부부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난임 시술에 따른 비용도 상승하여 심각한 경제적 부담이 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 난임 부부에 대한 건강보험을 적용해 난임 부부들이 시술을 받을 때 드는 검사비, 마취비, 약제비 등 비용 부담을 건강보험에서 지원 되어,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검사비용에 대한 부담이 감소해 난임 검사 수가 증가하고 있어 본 기술의 개발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여성 난임의 원인이 매우 다양하므로 그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로 초음파검사, 호르몬검사, 자궁-난관 조영술, 성교후검사, 자궁내막검사 등을 시행하고 있다. 호르몬 검사는 여성 난임 진단을 위한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간주되어 왔다. 난임 진단을 위한 호르몬 검사에 이용되는 5가지 호르몬은 Luteinizing hormone (LH),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SH), Estradiol(E2), Progesterone, Anti-Mullerian hormone (AMH)으로 혈액 내에 존재하는 양을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에 본 기술 개발은 주요 여성호르몬 5가지를 Chemiluminescence enzyme immunoassay(CLEIA)측정 시스템을 통하여 측정한다. CLEIA 측정 시스템에 경우 ELISA 시스템과 마찬가지로 5종류의(Direct CLEIA, Indirect CLEIA, Sandwich CLEIA, Competitive CLEIA, Bridge type CLEIA) 시스템으로 구성 할 수 있으며, direct CLEIA와 indirect CLEIA는 측정 방식의 차이로 CLEIA를 구분하는 방식이며 감도 때문에 주로 indirect CLEIA 측정방식을 많이 사용한다. 5 가지 호르몬 중 LH, FSH 및 AMH는 sandwich CLEIA 분석법을 기반으로 하고 다른 호르몬인 E2 및 progesterone은 competitive CLEIA 분석법을 기반으로 하였다. 경쟁 반응을 위해, 서로 다른 용량의 E2 및 progesterone이 micro well plate의 호르몬 분석 물에 결합 된 고정 된 담체 단백질 (예 : 소 혈청 알부민)과 경쟁적으로 반응했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CLEIA 시스템은 분석 감도 (2 ~ 5배 더 높음) 및 분석 시간 (60분 이내) 측면에서 상업용 비색 ELISA 키트보다 우수하여 빠르고 저렴한 불임 호르몬 검사가 가능하다. 각 호르몬에 대한 재현성은 분석 평가에서도 허용 되었다. (분석 간 및 분석 내 분산 계수는 각각 20 % 및 10 % 이내였다). 또한, 우리는 현재 이 분석 플랫폼을 자동 액체 처리 시스템과 결합하여 높은 처리량의 결과와 재현성을 높이고 있다.

      • 산전 세포유전학적 검사의 임상적 분석 : 을지대학병원의 결과

        나우석 을지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목적 : 을지대학병원에서 시행된 산전 염색체 검사의 적응증과 비정상핵형의 유형 및 빈도를 알아보고 유용성과 안전성 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03년부터 2008년 3월까지 을지대학병원에서 시행된 양수천자 959건, 제대천자 78건, 융모막 융모생검 25건 등 총 1062건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검토하였다. 산전 염색체 검사의 적응증, 검사시의 연령 및 임신 주수, 비정상 핵형의 유형 및 빈도, 합병증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총 1062건의 산전 염색체 검사중 비정상 핵형은 양수천자에서 57예(5.94%), 제대천자시 10예(12.82%), 융모막 융모생검시 6예(24%)로 총 73건에서 보였다.(6.87%). 산전 염색체 검사의 적응증 중에서 고령 임신(35.16%)이 가장 많았고, 비정상적인 임산부 혈청 선별 검사(31.64%), 고령 임산부이면서 비정상적인 임산부 혈청 선별 검사(12.81%), 비정상적인 초음파 소견(12.24%) 등이 그 다음으로 흔한 적응증이었다. 균형적 재배열과 다형성 핵형을 제외한 비정상 핵형의 적응증에 따른 양성예측률은 고령임신시 1.88%, 비정상적인 임산부 혈청 검사를 보인 경우 3.57%, 고령 임신이면서 비정상적인 임산부 혈청 검사를 보인 경우 4.41%, 비정상 초음파 소견을 보인 경우가 10.77%로 비정상 초음파 소견시 염색체 이상의 양성예측률이 가장 높았다. 양수천자시 99.8%(957/959)의 성공률을 보였으며 그 중 7건(0.73%)에서 가성 모자이즘이 있었고 5건(0.52%)에서 천자와 관련된 태아 사망이 있었다. 제대천자시 84.61%(66/78)의 성공률을 보였으며 실패한 경우 대부분(11/12) 재시행없이 양수검사로 대체하였고 1건(1.53%)에서 천자와 관련된 태아 사망이 있었다. 융모막 융모생검술시에는 80%(20/25)의 성공률을 보였으나 실패한 경우 재시행없이 양수검사로 대체하였으며 2005년 이후에는 88.9%(16/18)의 성공률을 보였고 검사와 관련된 태아 사망은 없었다. 결론 : 산전 염색체의 검사의 적응증 중 고령 임신이 가장 흔한 적응증이었고 비정상 초음파 소견이 염색체 이상의 가장 높은 양성예측률을 나타냈다. 산전 염색체 검사의 여러 적응증 중 초음파 검사는 가장 민감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 시행된 산전 염색체 검사는 양수천자술 뿐만 아니라 제대천자술과 융모막 융모생검술의 안전성 및 양성예측률이 높고 타 병원에서 시행된 연구들과 비교해서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앤더슨의 의료이용 모형을 적용한 건강보험 스케일링 수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허윤민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앤더슨의 의료이용모형을 적용하여 2013년 7월 이후 전악 스케일링이 건강보험 급여로 전환된 이후 수도권 성인의 건강보험 스케일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스케일링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수진율을 높이기 위한 정책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을지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로부터 윤리적인 승인(EU 14-28)을 얻었으며 2014년 7월 10일부터 9월 10일까지 20세 이상의 수도권 성인 250명을 편의 추출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0(IBM Co., Armonk, NY,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제1종 오류수준은 0.05로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소인요인, 가능요인, 필요요인에 따른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의료이용요인에 따른 건강보험 스케일링 수진 유무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건강보험 스케일링 수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로지스틱 다중회귀분석(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구대상자의 건강보험 스케일링의 수진 유무의 분포는 성별, 혼인상태, 칫솔질 횟수, 구강위생보조용품사용유무, 흡연 유무, 음주 유무, 경제활동 유무, 단골치과 유무, 방문의료기관 유형, 스케일링 건강보험 급여화 인지,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 주관적 구강건강 인식, 치주병 진단 경험 유무, 최근 1년 이내 구강검진 횟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스케일링 건강보험 급여화 인지도 수준을 살펴 본 결과 여자, 연령 ‘40-65세 미만’, 하루 동안 칫솔질 ‘3회 이상’, 경제활동을 하는 경우, 치통경험과 치은출혈경험이 없는 경우 그리고 최근 1년 이내 구강검진 횟수가 2회인 경우에 높았다. 3. 건강보험 스케일링 수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인요인에서 성별, 연령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능요인에서는 치과 의료서비스 만족, 스케일링 건강보험 급여화 인지가 그리고 필요요인의 경우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이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보험 스케일링의 수진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요인을 활용한 홍보 프로그램과 정책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iming at providing preliminary data for a policy to heighten accessibility to and use of dental scaling by understanding factors affect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dental scaling of adults residing in metropolitan area by applying Andersen’s behavioral model of health services use after dental scaling was converted to health insurance coverage from July 2013. This study obtained ethical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of Eulji University on July 7, 2014 and conducted a self-administered survey by extracting 250 adults over 20 years residing in metropolitan area through the method convenient sampling from July 10 through September 10, 2014. This study analyzed collected data using IBM SPSS Statistics 20.0(IBM Co., Armonk, NY, USA) program and set the level of type I error as 0.05. And this study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according to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component, and also carried out chi-square test to understand distribut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dental scaling according to predisposing, enabling and need component, and obtained following conclusions by carrying out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factors affect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dental scaling. 1.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of study subjects’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dental scaling, a significant difference came out according to the gender, marital status, times of tooth brushing, use of oral hygiene devices, smoking, drinking, socioeconomic activity, regular dental clinic, the Type of hospital, awarenes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dental scaling, patient satisfaction, self-perceived oral health status,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experience, the number of regular dental check-up(the recent one year). 2.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level of awarenes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dental scaling, this study found that the level was high among females, aged ‘40-64’, those who brush tooth ‘more than 3 times’ and take part in socioeconomic activities, without experience of toothache and gingival bleeding, and the ones who received oral examination more than 2 times within the most recent year. 3. As for the factors affecting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dental scaling, study results also show that gender and age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in predisposing component, patient satisfaction, awareness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dental scaling in enabling component, and self-perceived oral health status in need component respectively. Therefore, development of publicity programs and policies using the above component are considered need for heightening the rat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verage dental scaling.

      • 분만 진행부전에 의한 제왕 절개분만 예측에 대한 연구

        송영래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07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분만 진행부전으로 제왕 절개수술이 시행된 산모의 진료 기록부를 분석하여 이와 관련된 위험인자들의 위험도를 평가하고, 이러한 위험인자들을 이용하여 제왕 절개분만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공식를 만들고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을지대학병원에서 37주에서 41주 사이에 분만한 400명의 초산모를 대상으로 분만 진행부전으로 응급 제왕 절개수술을 시행한 170명을 연구군으로, 대조군으로는 동기간 중 질식 분만한 산모 중 임의로 230명을 선정하여 임상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들 산모의 나이, 신장, 임신 전 BMI, 임신 중의 체중 증가, 임신 주수, 신생아 체중 등을 상호 비교하였다. 통계 분석은 T-test, Chi-square test,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osmer-Lemeshow goodness-of-fit statistics을 사용하였으며 각 위험인자 별로 교차비 (OR)와 95% 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결과 : 분만 진행부전군에서 정상 분만군보다 산모의 나이(31.0 vs 29.4세), 임신 전 BMI(22.6 vs 21.1 ㎏/㎡), 임신 중의 체중 증가(15.2 vs 12.7 ㎏), 임신 주수(39.9 vs 39.0 주), 신생아 체중(3497.9 vs 3187.3 gm)이 많이 나갔고 산모의 신장이 작았다(158.9 vs 160.8 ㎝)(p<0.05). 분만 진행부전으로 의한 제왕절개분만의 위험도는 35세 이상의 고령 (OR 4.89), 임신 전 BMI 30㎏/㎡ 이상의 비만 (OR 5.08), 17㎏ 이상의 임신 중의 체중 증가 (OR 5.34), 임신 41주 (OR 6.77) , 4000gm이상의 신생아 체중 (OR 10.88), 155㎝ 미만의 저신장 (OR 8.45)인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또한 이러한 위험인자를 이용하여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만 진행부전으로 인한 제왕 절개분만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확률 공식을 만들었다. 결론 : 분만 진행부전으로 의한 제왕 절개분만의 위험도는 산모의 나이, 임신 전 체질량지수, 임신 중의 체중 증가, 임신 주수, 신생아 체중 등이 증가할수록, 산모의 신장이 작을수록 높았다. 분만 진행부전으로 인한 제왕 절개분만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는 확률 공식을 만들었고, 이러한 예측확률 공식은 분만 전에 의사와 산모에게 분만 방법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isk factors for cesarean delivery (CS) carried out for cephalopelvic disproportion/failure to progress (CPD/FTP) in a low-risk primiparous women, and to evaluate the appropriateness of integrated formula for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CS performed for FTP. Subjects and Methods : We reviewed 170 primiparous women who had performed emergency CS with diagnosis of FTP between Jan. 2000 and Dec. 2004 in the Hospital of Eulji University.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normal vaginal delivery during the same gestational age, 230 primiparous women were randomly chosen for control group. Comparison between these two groups on maternal age, maternal height, initial pregnancy body mass index(BMI), pregnancy weight gain,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T-test, Chi-square test were performed for statistical analysis.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bability of CS carried out for FTP and 6 demographic factors. The Hosmer-Lemeshow goodness-of-fit statistics and association of predicted probabilties was used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model. Odds ratio with a 95% CI was also calculated for each of these factors. Results: Compared to the vaginal delivery group, FTP group patients showed older age (31.0 vs 29.4 yrs), shoter stature (158.9 vs 160.8 ㎝), heavier birth weight (3497.9 vs 3187.3), and more obese women (BMI 22.6 vs 21.1 ㎏/㎡), large pregnancy weight gain (15.2 vs 12.7 ㎏), longer gestational age (GA 39.9 vs 39.0 wks)(p<0.05). Using a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of CS caused by FT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lder (OR 4.89 for 35 years and older), shorter (OR 8.45 for height <155㎝), more obese women (OR 5.08 for BMI ≥ ≥30㎏/㎡) with larger fetal birth weight (OR 10.88 for weight ≥ 4000gm), large pregnancy weight gain (OR 5.34 for weight gain≥17㎏), longer gestational age (OR 6.77 for GA 41wks)(p<0.05). We also developed an accurate formula to instantly estimate the probability of CS carried out for FTP. Conclusion: The risk of CS caused by FT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older, shorter, more obese women with larger fetal birth weight, large pregnancy weight gain, longer gestational age. Accurate formula that predict the probabilities of CS performed for FTP in this study have been developed. This formula is considered that it offer to valuable information about delivery mode to the obstetricians and primiparous women before labor.

      • 열성경련 재발 예방을 위한 저용량 경구 diazepam 요법의 효과

        김수연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07

        열성경련은 영유아에서 가장 흔한 경련 질환으로 대부분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호전되는 양성질환이다. 하지만 열성경련은 재발이 잦고, 경련 발생 시 보호자를 많이 당황하게 하고, 보호자들은 무엇이든간에 처치가 취해지기를 바란다. 비록 세계 공통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열성경련의 예방적 치료는 없으나, 일본에서는 Fukuyama 등이 제안한 가이드라인에 따라 좌약이나 경구로 diazepam을 사용하는 예방요법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국내에서도 diazepam 경구투여가 열성경련 재발 예방에 효과적이라는 연구들이 보고되었으나, 기면, 복시, 운동실조, 보챔 등의 부작용도 적지 않음이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열성경련 환아에서 diazepam을 용량에 따라 경구투여한 뒤 임상적 경과를 검토하고 분석하여 부작용이 적거나 없으면서 열성경련 재발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저용량 diazepam 경구요법의 적정 용량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008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만 2년간 을지대학병원 소아청소년과에 발열을 동반한 경련을 주소로 입원한 생후 3개월에서 5세 미만의 환아 394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성별, 연령, 가족력, 열성 경련의 과거력, 경련 형태, 경련시 체온 등 임상적 특징을 조사하였고, 이들을 diazepam 투여 용량에 따라 네 군으로 분류하여 열성경련의 재발율, 재발 횟수, diazepam의 작용 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열성경련 환아의 남녀비는 1.14:1이었다. 연령별로는 3개월-1세가 9.1%, 1세가 45.2%, 2세가 29.2%, 3세는 11.9%, 4세는 4.6%이었다. 경련의 형태는 1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전신성이었으며, 경련 기간은 5분 이내가 78.9%로 가장 많았고, 5-15분이 14.7%, 15분 이상이 6.3%이었다. 조부모 및 삼촌까지를 포함하는 가족력상 30.2%에서 열성경련의 가족력이 있었고, 1.8%에서 간질 발병의 가족력이 있었다. 2. Diazepam 투약을 하지 않은 I군에서는 85명 중 16명(18.8%)에서 열성경련이 재발하였고, diazepam을 투약한 Ⅱ, Ⅲ, Ⅳ군에서 입원 이후 다시 경련을 한 환아는 Ⅱ군에서 4명(2.5%), Ⅲ군에서 1명(1.2%) 이었으며, Ⅳ군에서는 재발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diazepam을 투약하지 않은 Ⅰ군에서는 diazepam을 투여한 II, III, IV군에 비해 높은 재발율을 보였으며, diazepam을 투여한 군에서도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재발율이 감소함을 보였다. 3. 경련 재발을 보인 모든 환자의 입원 후의 경련은 5분 이내의 단순열성경련이었다. 입원 후 diazepam을 투여한 II군 및 III군 5명의 환아는 1회의 경련 재발을 보인 반면, diazeapm을 투여하지 않은 16명의 환아 중 14명은 1회, 2명은 2회의 경련 재발을 보였다. 4. Diazepam 사용 후 관찰된 부작용은 기면(lethargy)이 8.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보행장애(ataxia)가 2.3%, 보챔(irritability), 불분명한 발음(unclear speech), 수면장애(insomnia)가 소수에서 관찰되었다. Diazepam 0.1 mg/kg을 투여한 경우 2.5%에서 부작용을 보였으며, diazepam을 0.2 mg/kg와 0.3mg/kg로 투여한 경우에서는 각각 7.1%와 34.8%로 0.1 mg/kg의 diazepam을 사용한 경우 보다 더 많은 부작용이 관찰되었다. Febrile seizures, the most common seizure disorders during childhood, generally have an excellent prognosis but will experience a recurrence in one third of children with a first febrile seizure. Prolonged anticonvulsant prophylaxis for preventing recurrent febrile seizures is controversial and no longer recommended. Benzodiazepines given at the times of illness or fever are generally expected to reduce the incidence of recurrent febrile seizures. Although no worldwide consensus exists on the prophylactic treatment for febrile seizures, diazepam suppositories or oral diazepam have been used widely in Japan to prevent febrile seizures according to the guidelines proposed by Fukuyama et al.. But this strategy cause many side effects such as sleepiness, lethargy, irritability, and ataxia.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optimum dose of diazepam to reduce the recurrence of febrile seizures and side effects in children who have had a febrile seizure attack.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hildren with febrile seizures who were admitted to Eulji University Hospital (Daejeon, Korea) from March 2008 to February 2010 and met the following conditions: no history of unprovoked seizures, normal psychomotor development, and an age between 3 months and 5 years. The children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dose of diazepam. Group I, 85 patients, received no diazepam therapy, group II, 159 patients, received oral diazepam in a dose of 0.1mg/kg every eight hours during the febrile illness, group III, 84 patients, 0.2mg/kg, and group IV, 66 patients, 0.3mg/kg, respectively. Recurrences were observed in 4(2.5%) of 159 children in group II, 1(1.2%) of 84 children in group III, and none of 66 children in group IV. For the 85 untreated patients, febrile seizures recurred in 16 (18.8%) children. This study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recurrence of febrile seizures between children treated with diazepam and those who were not. And the recurrence rate is de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the dosage of diazepam,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 side effects were observed in 10.7% of children treated with diazepam, 2.5% in group II, 7.1% in group III, and 34.8% in group IV, The rate of side effect was also increased with the increase the dosage of diazepam. In conclusion, an oral diazepam therapy will reduce the incidence of recurrent febrile seizures during the same febrile illness. And the optimum dose of diazepam is 0.1mg/kg or 0.2mg/kg rather than 0.3mg/kg. However, an oral diazepam after a febrile seizure should be used after carefully considering the benefits and potential adverse effects.

      • 자궁내막암 환자의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5년 생존율과 관련된 예후인자에 관한 고찰

        김현영 을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07

        목적 : 본원의 자궁내막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5년 생존율과 관계된 예후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1999년 1월부터 2009년 6월까지 대전을지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내막암으로 진단 및 치료받은 9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통하여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생존여부를 확인하였으며, 각 예후 인자에 대한 5년 생존율을 구하였다. 결과 : 환자의 평균 연령은 52.3세였으며, 50-59세가 36명(38.3%)으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고, 평균 분만력은 2.49회 였으며, 주된 임상 증상은 질출혈(84%)이었다. 조직학적 분류상 자궁내막양 선암이 90명(95.8%), 유두상 장액성암이 2명(2.1%), 투명세포암이 2명(2.1%) 이었고, 조직학적 분화도는 grade 1이 51명(54.3%), grade 2가 35명(37.2%), grade 3이 6명(6.4%), 확인 불가능이 2명(2.1%)이었다. FIGO 수술적 병기상 제1기가 78명(83%), 제2기가 11명(11.7%), 제3기가 3명(3.2%), 제4기가 2명(2.1%) 이었고, 자궁근층 침범정도는 자궁내막에만 국한된 경우가 26명(27.7%), 1/2 미만의 자궁근층 침범이 있는 경우가 46명(48.9%), 1/2이상의 자궁근층 침범이 있는 경우가 22명(23.4%) 이었다. 수술적 치료만 시행한 환자는 57명(60.6%), 수술 후 방사선 치료를 시행한 환자가 31명(33%), 수술 후 항암 화학요법을 시행한 환자가 3명(3.2%), 수술 후 방사선 치료 및 항암 화학요법을 병행한 환자가 3명(3.2%) 이었다. 진단 후 5년 이상 경과된 자궁내막암 환자의 전체 5년 생존율은 82.9% 이었다. 조직학적 분류에 따른 5년 생존율은 자궁내막양 선암이 85%, 투명세포암이 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026), FIGO 수술적 병기에 따른 5년 생존율은 제1기가 91.2%, 제2기가 50%, 제3기가 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3). 그러나, 연령, 폐경 유무, 분만력 유무, 조직학적 분화도, 자궁근층 침범정도, 치료방법등에 따른 5년 생존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대상환자가 충분하지는 않았지만, 조직학적 분류, FIGO 수술적 병기등이 자궁내막암의 예후인자로 중요성이 있었다.

      • 전자궁적출술에서 수술 전 misoprostol 사용의 출혈량 감소에 대한 효용성 연구

        김기환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07

        목적 : 전자궁적출술에서 수술 중 출혈을 감소시킬 목적으로 사용된 Misoprostol의 임상적 효용성 및 안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2005년 5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을지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전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176명 중 수술결과에 영향을 줄 수 있는 49명을 제외한 127명을 선정하여 자궁근종으로 복식 전자궁적출술 (TAH)을 시행 받은 군 (투여군 27명, 대조군 24명), 비근종성질환으로 복식 전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군 (투여군 9명, 대조군 7명), 그리고 자궁근종으로 복강경하질석 전자궁적출술 (LAVH)을 시행 받은 군 (투여군 31명, 대조군 30명) 등 3군으로 분류하였다. Misoprostol 투여군은 무작위로 선정하여 수술 1시간 전 400㎍을 항문으로 투여하였으며, 각각의 대상군에서 miseprostol 투여군과 대조군간의 수술시간, 수술 24시간 후 혈색소치의 변화, 수술 중 출혈량, 수술후 이환률 및 합병증 여부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 자궁근종으로 복식 전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군의 misoprostol 투여군과 대조군에서 연령, 분만횟수, BMI, 전체 자궁근종의 크기의 합, 적출된 자궁의 무게는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결과에서도 수술시간, 수술 후 입원기간은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수술 24시간 후 혈색소치의 변화 (g/dL)는 0.99±0.08, 1.35±0.10, 수술 중 출혈량 (mL)을 149.67±75.49, 260.79±105.47로 두 군 간에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수술 후 기타 이환률, 합병증의 비교에서 두 군 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궁근종으로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군의 misoprostol 투여군과 대조군에서 연령, 분만횟수, BMI, 전체 자궁근종의 크기의 합, 적출된 자궁의 무게는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결과에서도 수술시간, 수술 후 입원기간은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수술 24시간 후 혈색소치의 변화 (g/dL)또는 1.01±0.66, 1.51±0.44, 수술중 출혈량 (mL)은 143.29±71.95, 248.83±102.41로 두 군 간에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수술 후 기타 이환률, 합병증의 비교에서 두 군 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비근종성질환으로 복석 전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군의 misoprostol 투여군과 대조군에서 연령, 분만횟수, BMI, 적출된 자궁의 무게는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수술결과에서도 수술시간, 수술 후 입원기간은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24시간 후 혈색소치의 변화 (g/dL)는 1.15±0.70, 1.46±10.53, 수술 중 출혈량 (mL)은 135.11±82.51, 218.14±77.57로 두 군 간에 평균 수치상의 감소는 있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수술 후 기타 이환률, 합병증의 비교에서 두 군 간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을 증식기에 시행 받은 환자군의 misoprostol 투여군 14명과 대조군 13명의 비교와, 분비기에 시행 받은 환자군의 misoprostol 부여군 17명과 대조군 16명의 비교에서 각각 연령, 분만횟수, BMI, 자궁의 무게, 자궁근종 크기의 합에서 두 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수술 후 발생한 부작용의 비교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복강경하 질적 전자궁적출술을 증식기에 시행 받은 환자군의 수술결과에 있어서 misoprostol 투여군과 대조군 간의 수술시간, 수술 후 입원기간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 군 간의 수술 24시간 후 혈색소치 변화 (g/dL)는 0.96±0.49, 1.46±0.40, 수술 중 출혈량 (mL)은 133.07±65.19, 222.95±92.09로 misoprostol 투여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을 분비기에 시행 받은 환자군의 수술결과에 있어서 misoprostol 투여군과 대조군 간의 수술시간, 수술 후 입원기간은 증식기에 수술한 환자군과 마찬가지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두 군 간의 수술24시간 후 혈색소치 변화 (g/dL)는 1.06±0.79, 1.54±0.49, 수술 중 출혈량(mL)은 151.71±78.01, 260.81±107.74로 misoprostol 투여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결론 : 자궁근종으로 복식 전자궁적출술 및 골반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을 시행 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 misoprostol의 투여는 생리주기에 따른 성호르몬 비율의 변화에 관계없이 수술 중 출혈량의 감소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되나 비근종성질환의 수술에 있어서는 연구대상군의 규모가 작으므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clinical effectiveness and stability of a single preoperative dose of rectal misoprostol which was used to reduce bleeding in total hysterectomy. Subjects and Methods : From May 2005 to November 2005, we selected 127 individuals out from 176 individuals excluding 49 individuals that could affect the operative results from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 Gynelcology in the Eulji Medical Center. The groups were divided into three, the first is the group that went under TAH due to uterine myomas (study group: n=27, control group: n=24), and the second is the group that went under TAH due to non-myomatous diseases (study group: n=9, control group: n=7), and last is the group that went under LAVH due to uterine myomas (study group: n=31, control group: n=30). Misoprostol-administered group was chosen randomly and 400ug were administered via the anus one hour before the surgery. The operation time, the Hb change level for the next 24 hours after the operation, the bleeding amount during surgery, the prevalence rates and complication rates were compared between the Misoprostol administered (study) group and the non-Misoprostol administered (control) group.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arity, BMI, the sum of the size of the myoma, and weight of uterus between the stud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at went under TAH due to uterine myoma. From the operative results, the operation time and hospitalization days had no statistic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But the Hb change level for the next 24 hours after the operation (0.99±0.08 g/dL vs 1.35±0.10 g/dL) and the estimated blood loss during the operation (149.67±75.49 mL vs 260.79±105.47 mL)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study group. Comparison of postoperative prevalence, complications had no statistic differ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arity, BMI, the sum of the size of the myoma, and weight of uterus between the stud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at went under LAVH due to uterine myoma. From the operative results, the operation time and hospitalization days had no statistic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But the Hb change level for the next 24 hours after the operation (1.01±0.66 g/dL vs 1.51±0.44 g/dL) and the estimated blood loss during the operation (143.29±71.95 mL vs 248.33±102.41 mL)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study group. Comparison of postoperative prevalence, complications had no statistic differ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arity, BMI, the sum of the size of the myoma, and weight of uterus between the stud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at went under TAH due to non-myomatous diseases. From the operative results, the operation time and hospitalization days had no statistic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Although the average values of study group decreased, the Hb change level for the next 24 hours after the operation (1.15±0.70 g/dL vs 1.46±0.53 g/dL) and the estimated blood loss during the operation (135.11±82.51 mL vs 218.14±77.57 mL)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ison of postoperative prevalence, complications had no statistic differenc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parity, BMI, the sum of the size of the myoma, weight of uterus, and also in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 rates between both the study group (n=14) and the control group (n=13) that went under LAVH during the proliferative phase and the study group (n=17) and the control group (n=16) that went under LAVH during the secretory phase. The group that went under LAVH during the proliferative phas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time and hospitalization days between each group. But the Hb change level for the next 24 hours after the operation (0.96±0.49 g/dL vs 1.46±0.40 g/dL) and the estimated blood loss during the operation (133.07±65.19 mL vs 222.85±92.09 mL)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study group. Like the group that went under LAVH during the proliferative phase, the group that went under LAVH during the secretory phas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peration time and hospitalization days between each group. But the Hb change level for the next 24 hours after the operation (1.06±0.79 g/dL vs 1.54±0.49 g/dL) and the estimated blood loss during the operation (151.71±78.01 mL vs 260.81±107.74 mL)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study group. Conclusion : Unrelated to the sex hormone ratios of menstrual phase, the administration of misoprostol in the groups that went under TAH and LAVH due to uterine myoma are assumed to have effect in reducing the blood loss during the operation. However, additional research is required in non-myomatous group due to too little group for comparison.

      • Modulith SLK 체외충격파쇄석기를 이용한 무진통제 체외충격파쇄석술의 수용성에 대한 평가

        나태균 을지의과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07

        목적 : 시술 시에 통증이 적은 장점을 갖고 있는 3세대 전자장식 쇄석기인 Modulith SLK 체외충격파 쇄석기를 이용하여 시술 전이나 혹은 도중에 통증을 경감시키지 않는 무진통제 체외충격파쇄석술을 환자에게 시행하였을 때 환자들이 느끼는 통증을 조사하여 무진통제 체외충격파쇄석술에 대한 수용성을 조사한다. 대상 및 방법 : 2003년 11월부터 2004년 2월 까지 을지대학병원 외래를 통해 진단된 무증상 신석으로 체외충격파쇄석술 (ESWL) 치료를 처음으로 시행한 환자들 7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남자가 53명, 여자가 23명이었다. 체외충격파쇄석술은 모든 환자에서 복와위에서 시행하였고, 체외충격파쇄석술을 시행하기 전 및 시행 도중에는 진통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통증은 0-100 point visual analog scale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채외충격파 쇄석술 시행 중 최대 강도에 도달했을 때와 쇄석술 후 10분 동안 최대로 느꼈던 통증을 표재성과 심부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또한 수용성에 대한 질의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결과 : 체외충격파쇄석술을 이용한 신석의 치료에 있어서 외래에서 조사한 본 연구에서는, Modulith SLK 기종을 이용한 무진통제 체외충격파쇄석술은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수용성이 있는 방법이었다. (전체 76명중 71명 (93.4%)) 또한, 수용할 만 하지 않다고 답한 환자들에서도 수용할 만 하다고 답한 군과 비교해서 통증 점수를 포함한 어떤 중요한 차이점도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 Modulith SLK 기종을 이용한 무진통제 체외충격파쇄석술은 대부분의 환자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수용성이 있는 방법이었다. 이는 체외충격파쇄석술 시행 시 진통 치료에 수반되는 경제적 비용 및 발생 가능한 부작용을 줄일 수 있으며 치료 시간 단축에도 기여 할 수 있는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에 보다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하여 개개인의 수용성에 관여하는 여러 요인들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Electromagnetic lithotriptors, especially in the third generation, have the advantages of less pain and minute adjusting of shock wave intensity. Noticing these advantages of Modulith SLK, we evaluated the acceptability of analgesic-free ESWL, that is to say ESWL without any pre-& intra-procedural pain relieving preparations. Materials and Methods: Prospective analysis was done with renal stone patients who were scheduled for the first session ESWL procedure on an ambulatory basis. Patients with renal colic, uncontrolled UTI and bleeding tendency were excluded. ESWL treatment was performed with the third generation electromagnetic lithotriptor, Modulith SLK (Storz, Switzerland). Before starting the procedure patients were informed that no pain relieving preparation was done and if necessary, they could ask for analgesics injection at any time during ESWL. Monitoring the tolerability of each patient, shock waves were applied with stepwise increase of intensity (gradual increase by 5%) from. 2.5 kV to 12.5-13.5 kV. The visual analog scale (VAS) had been used to determine overall path level by way of a 0 to 100 mm line to indicate the severity of pain between 0 (no path) and 100 (maximal possible pain). Patient demographics, EMI, stone size, shock wave numbers, intensity, stone fragmetation rate, pain score (VAS) and questionnaire for acceptability were evaluated. Results: In this study 53 male and 23 female with average age 50 (20-76 years old) were included. Stone surface area was 80.1±82.3㎟ (mean±S.D) and stone fragmentation rate after the first session ESWL was 60.6±26.1%. Shock wave volatages and numbers were 14.7±0.9 kV and 3974±139. Pain score evaluated with 100mm VAS were 22.6±16.1. There was weak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pain score and patient's age (Pearson correlation factor r=-0.390). Other factors such as sex, stone size and fragmentation rate had no correlation with pain score. No patient asked analgesics injection for intolerable pain during ESWL. There were no complications reported relating to procedural pain. To the questionnaires for acceptability, 71 patients (93.4%) answered that the procedure was tolerable enough to accept next session ESWL, if needed. In patients answering unacceptability, any factors, including pain scores,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compared to acceptability' group.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anlgesic-free ESWL with Modulith SLK could be safely applied to most patients in our local community with acceptable tolarability. However we couldn't identify factors to discriminate unacceptable group from acceptable group. Individual tolerability rather than degree of subjective pain perception seems to be more important in respect of requesting pain control. Further research including more patient population will be needed to identify factors relating to individual tolerability.

      • 중국 미용전공자들의 피부미용 국가자격증 도입에 대한 인식 연구

        루야오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roduce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in China, where interest and demand for 'Beauty' is rapidly increasing based on recent economic development. The beauty industry in China is currently positioned as a promising occupation with high added value. Therefore,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system that is being implemente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United States, France, and Germany was investigated, and various perceptions of Chines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beauty majors in China from February 12 to February 18, 2023, and conducted a self-written survey using WeChat and the Wenjunxing program, which are available for online surveys in China. The final 302 of the survey results were used as analysis data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gender was 'female (78.5%)', age was '20-21 years old (42.7%)', academic background was 'college at a junior college (64.9%)', and grade was '2'. Grade (42.7%)' and region, 'China's Northeast Region (57.3%)' were found to be relatively hig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tual status of students majoring in beauty to acquire a privat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not acquired’ came out very high at 84.4%.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level. Those who decided to acquire a license at the age of 18~19 obtained a private license in the first grade, and those over the age of 20 obtained a private technical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in the second grade. and grade, the most common motivation for privat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was ‘interest and aptitude’.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en, it was found that they did not acquire it because they were not interested, but in the case of women, it was found that they did not acquire it because they did not know that there was a license exam. The reason for acquiring the license was generally because of 'interest and aptitude'. Third, the perception of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of the subjects of the survey was 3.79 on average out of 5 points.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recognition of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 awareness of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is relatively higher in the North, South, Northeast, East, West, and central regions of China than in the Northwest region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region in the perception of the effec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Fourth, the perception of a skin beautician by the survey subjects was surveyed with an average of 3.79 points out of 5 point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gion. As for the motive for choosing a skin beautician, men chose 'to use for daily beauty', but women chose 'to run their own business'. It appeared that they chose to have (to make a lot of money),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and the recognition of the profession of a skin beautician, the recognition of the introduction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the recognition of the effect of the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rate of acquiring beauty certificates among students majoring in beauty in China is very low. In addition, the answer 'I think it is useful in related fields when acquiring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and the answer 'if a new license is established, people who have acquired it will be preferred when getting a job in the field' were surveyed the most in the recognition of effect. It seems that China is also positive for the introduction of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As this study targeted college beauty major students in some regions of China regarding the necessity of introducing a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s to all of China. In the future, if an extensive survey is conducted targeting beauty majors in more regions, it is considered to be helpful in introducing national technical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esthetician in China. 본 연구는 최근 경제적 발전을 기반으로 ‘미(美)’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중국의 피부미용사 국가자격증 도입을 위하여 실시되었다. 중국의 피부미용 산업은 현재 부가가치가 높은 유망직종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한국뿐만 아니라 미국, 프랑스, 독일 등에서 실시되고 있는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제도에 대해 알아보고, 중국인들의 피부미용 국가자격증에 대한 다양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중국의 미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2023년 2월 12일부터 2월 18일까지 국가기술자격 도입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중국에서 온라인 설문조사가 가능한 위쳇(WeChat)과 왠쥬엔씽 프로그램(問卷星)을 이용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응답된 설문결과 가운데 데이터마이닝을 거쳐 최종 최종 302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를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으로는 성별은 ‘여성(78.5%)’이 많았고, 연령은 ‘20-21세(42.7%)’, 학력에서는 ‘전문대학 재학(64.9%)’, 학년은 ‘2학년(42.7%)’, 지역은 ‘중국 동북지역(57.3%)’이 각각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용전공 학생들의 민간 미용자격증 취득 실태를 알아본 결과, ‘미취득’이 84.4%로 매우 높게 나왔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학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18-19세 때 자격증 취득을 결정한 사람은 1학년에, 20세 이상은 2학년 때 취득을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 연령, 학년에 따라 피부미용 민간 자격증 결정 동기로는 ‘흥미와 적성(25.8%)’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p<.01). 한편 남성의 경우 ‘흥미가 없어서’ 취득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여성의 경우 ‘자격증 시험이 있는지 몰라서’ 취득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자격증 취득 이유로는 ‘흥미와 적성’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에 대한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79점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중국 화북지역이나 화남지역, 동북지역, 화동지역, 화중지역의 경우 서북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효과인식은 성별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나타난(p<.05)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피부미용사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3.79점으로 조사되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는 지역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피부미용사 선택 동기로는 남성의 경우 상대적으로 ‘생활 미용에 이용하기 위해서’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성의 경우 ‘자기 사업을 갖기 위해서(돈을 많이 벌기 위해)’ 선택하게 된 것으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마지막으로,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인식과 피부미용사 직업인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도입인식은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 효과인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현재 중국 미용전공 학생들의 미용자격증 취득률이 매우 낮으며 이는 ‘자격증이 있는지 몰라서’라는 답변이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피부미용 국가기술자격증 취득 시 관련 분야에서 유용하게 활용된다고 생각한다’는 답변과 함께 효과인식에서 ‘자격증이 신설되면 현장에서 취업할 때 취득자를 더 선호할 것’이라는 답변이 각각 가장 높게 조사된 것으로 보아 중국에서도 피부미용 국가자격증 도입에 긍정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 국가자격증의 도입 필요성에 대해 중국 일부 지역의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에 이 결과를 중국 전역으로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다. 향후 더 많은 지역의 미용 전공자를 대상으로 광범위한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중국의 국가자격증 도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