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인 가구 밀집 지역에 적용 가능한 감성적 범죄예방환경디자인(CPTED) 연구 : 연세대학교 서문지역을 중심으로

        이석영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Currently in Korea, the crime rate is increasing every year, but the growth of the police force is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increasing crime rate. Therefore, other than relying on police force, another means of crime prevention is needed.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CPTED) has emerged. However, currently, CPTED is being practiced sporadically only by a few local governments and police commanders without any clear criteria or framework. Moreover, due to the lack of study and understanding about CPTED, it is being applied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rea. Another problem is that the 2nd Generation CPTED strategy, widely used in Korea, is inadequate in applying to the increasing single household residential areas. The need for the application of CPTED is high in these areas because most of them are unsafe and vulnerable to crime. But the current CPTED strategy is focused on revitalizing the community, so it is inadequate in applying to single household residential areas where a sense of community is nonexistent. Therefore, study on CPTED strategies which can be applied to these areas is needed. This study aims to propose an extended CPTED framework fit for the environment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areas with dense single household population. First,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current environmental situation these areas were done to find out the problems these areas are facing.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a new extended CPTED framework based on the 1st generation of CPTED and the study of place identity, emotional design and Rich Experience Framework.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application of this framework, a college town near the west gate of Yonsei University, where the population of single households is high, was chosen as a case study. As a final result, this paper will create prototypes of the elements that are derived from the proposed framework. Through applying this framework to the actual environment we will find out the effects these elements have on actual prevention of crime and decreasing fear of crime. 최근 몇년간 대한민국에서는 범죄율이 높아지면서 치안에 대한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으나 경찰 인력의 증가율은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경찰력 이외에 범죄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환경 설계를 통해서 범죄를 예방하고자 하는 범죄예방환경디자인(CPTED, 이하 셉테드)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하지만 아직까지 일부 지자체나 경찰 지휘관의 의지나 관심에 따라 산발적으로 이루어지는 실정이며 명확한 기준이 없는 상황이다. 또한, 외국에 비해 셉테드에 대한 연구와 이해의 부족으로 지역에 대한 분석과 이해 없이 외부에 보여지는 것에 치중한 셉테드의 일차원적인 적용이 대부분이다. 특히 최근에 급증하고 있는 1인 가구 밀집 지역의 경우 환경이 열악하고 범죄에 취약한 곳이 많기 때문에 셉테드의 적용이 시급하다. 그러나 기존 셉테드 전략을 이러한 지역에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셉테드에 대한 확장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셉테드 전략의 적용의 한계점에서 출발하여 1인 가구 밀집 지역에 적용 가능한 확장적 셉테드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셉테드 전략과 한계점을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1인 가구 밀집 지역에 대한 확장적 셉테드 전략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1인 가구 밀집지역의 환경 및 지역적 특성에 맞는 확장적 셉테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1인 가구 밀집 지역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분석하고 그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확장적 셉테드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장소 정체성 확립, 감성 디자인의 적용, 그리고 부정적 감정을 변환할 수 있는 방법을 바탕으로 새로운 셉테드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대학촌이자 1인 가구 밀집 지역인 연세대학교 서문지역을 대상으로 새로운 프레임워크를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안한 새로운 셉테드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물리적 환경에 설치할 도구 및 장치와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이와 같은 요소들이 범죄 예방과 범죄에 대한 공포를 감소시키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메시지 수용에 미치는 효과 연구 : 군사적 충돌 위기시 책임귀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형진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al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on public’s strategy message accepta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risis responsibility attributio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crisis communication strategies (defensive/accommodative) and dependent variables was public’s strategy message acceptance and mediating variable was responsibility attribution(moral and actual).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20 ~ 65 year old domestic people from 20th to 23rd OCT. A factor analysis of crisis responsibility attribution produced two factors, moral responsibility and actu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SCCT), which is developed based on the Attribution Theory, when corporations face the crisis, they have to use appropriate crisis strategy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s. A lot of previous researches have confirmed the SCCT, however recent domestic researches show opposite results. Domestic researches insist that due to cultural speciality, SCCT is unacceptable in the domestic situation. But this experimental study proved that SCCT is acceptable in a special domestic situation, a military collision crisis situation. Results are as follows. People recognize lower moral responsibility attribution when military use defensive strategy rather than accommodative strategy. And, the more moral and actual responsibility attribution people recognize, the less people accept the military’s message. Futhermore, people who received military’s defensive strategy message show more message acceptance than those who received accommodative strategy. Also, moral responsibility attribution was identified to act as a complete mediator between crisis communication strategy and message acceptance. This study shows that SCCT is acceptable in the military collision crisis, even if still there were many previous researches have opposite results in the corporation crisis. Therefore, this study implicates that although there are cultural specialities in the domestic, acceptability of the SCCT depend on its crisis situation, ‘who’s crisis’ or ‘what kind of crisis’. In addition, this study shows that people’s crisis responsibility can subdivide into two dimension, moral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actual responsibility attribution. 본 연구는 군사적 충돌 위기시 군(軍)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메시지 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책임귀인을 도의적 차원과 실제적 차원으로 구분해 매개역할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2015년 10월 20일부터 23일까지 전국의 20세 이상 65세 이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온라인 실험 서베이를 통해 384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문제1>에서는 군사적 충돌 위기시 군(軍)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따른 도의적, 실제적 책임귀인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도의적 차원에서 수용 전략보다는 방어 전략에서 도의적 책임귀인이 더 낮게 나타나 <가설 1-1>은 지지되었으며, 이는 위기 책임성이 낮은 위기에서 수용 전략에 비해 방어 전략이 효과적이라는 상황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이론(SCCT)의 주장과 일치한다. 실제적 차원에서는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따른 실제적 책임귀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 <가설 1-2>는 기각되었으며, 이는 실제적 책임귀인에 대해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사과전략은 영향이 없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연구문제2>에서는 도의적, 실제적 책임귀인이 공중의 메시지 수용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도의적 책임귀인이 증가할수록 공중의 메시지 수용이 감소해 <가설 2-1>은 지지되었으며, 실제적 책임귀인 역시 증가할수록 공중의 메시지 수용이 감소해 <가설 2-2>는 지지되었다. <연구문제3>에서는 군사적 충돌 위기시 군(軍)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따라 공중의 메시지 수용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군(軍)이 사용하는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따라 공중이 메시지를 받아들이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때 수용 전략을 사용할 때 보다 방어 전략을 사용할 때의 공중의 메시지 수용도가 높게 나타났다. 즉, 공중은 군사적 충돌 위기시 군(軍)이 방어 전략을 사용할 때 메시지를 더 잘 받아들였다. 이는 SCCT의 주장과 일치하는 결과이며, 군사적 충돌 위기라는 특수한 상황에서는 기업 위기 상황과 달리 방어적 메시지가 더 효과적인 전략임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연구문제4>는 군사적 충돌 위기시 군(軍)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공중의 메시지 수용 사이에서 책임귀인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매개 모형 검증을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도의적 책임귀인이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과 공중의 메시지 수용 사이에서 완전 매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는 군(軍)의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공중의 메시지 수용에 미치는 효과가 도의적 책임귀인을 통해서만 발생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공중의 도의적 책임귀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선택하는 것이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적 책임귀인은 위기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영향을 받지 않아 매개변수의 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연세대학교 윤동주기념관의 온라인 기록 전시 활성화 방안

        장보경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Yoon Dongju Memorial hall” is a systematically designed archive exhibition to commemorate and expand the meaning of Yoon Dongju's life and his literature. The dormitory he studied at Yonsei University has been restored and is used as an exhibition/memorial hall. The primary purpose of visiting the archive exhibition is to obtain information on the record, and the exhibition is featured with curations providing information. While participating as the first and second docent of the Yoon Dongju Memorial Hall for a year from January 2021, I have encountered that visitors occasionally showed boredom and fatigue during the exhibition. In addition, I raise a question of how much the visitors understood the exhibition and what they could take from it via simple audio-visual exhibits and contents that were difficult to remember in the offline exhibition contents of the Yoon Donju Memorial Hall. This can be solved by allowing visitors to recall the exhibition and view information again through online exhibitions, significantly when the importance of online media is increasing due to COVID-19.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overall exhibition contents of the Yun Dongju Memorial Hall and proposes ways for visitors to receive information when experiencing the offline exhibition online sensibly. The Yoon DongJu Memorial Hall currently uses the online website for simple information provision and does not hold exhibitions that utilize online characteristics. Moreover, the only online exhibition is a new curation of offline content using 'Google Art and Culture.' In addition to the Yoon Dong-Ju Memorial Hall, the archives dealing with online exhibitions of the online websites and mobile applications so far have limitations. They simply list information without considering users' needs. In this paper, exhibition elements using an online environment among the items applicable to archive exhibitions, especially the Yoon Dongju Memorial hall, were investigated. Through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analyzing current status, this paper identified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of the Yun Dong-Ju Memorial Hall, thus studied exhibition planning that can be applied to the exhibition of online records. Therefore, I would like to propose three main ways to revitalize archive exhibitions using online media. 1) Planning exhibition contents using digital technology 2) Improving the screen components of the website. 3) Production of online exhibition good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online media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social distancing and digital transformation caused by COVID-19. The online archive exhibition should include two-way interactive exhibits that allow visitors to participate and create together via online technologies. Furthermore, compensatory results such as a screen components of the website that can effectively deliver records and goods for visitors to remember the online exhibition after viewing the exhibition are needed. Starting with the Yoon DongJu Memorial Hall, this study investigated three activation plans of online archive exhibitions that can communicate and relate with each other in all records exhibitions. In the future, online record exhibitions should be recognized as one "exhibition" differentiated from offline exhibitions in the sense of simply representing offline or viewing exhibitions online. This paper also propose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online archive exhibition research that can lead to offline exhibition visits by online exhibition visitors. ‘윤동주기념관’은 윤동주의 삶과 문학의 의미를 기리고 확장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기획된 기록/인물 전시관으로, 윤동주가 연세대학교 재학 당시 머물던 기숙사인 연세대학교 핀슨관을 복원하여 전시실 및 기념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기록 전시를 보러 오는 관람객은 주로 기록물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기록관을 방문하며, 기록관은 정보 제공에 알맞은 큐레이션으로 전시를 진행한다. 연구자는 2021년 01월부터 1년간 윤동주기념관의 1, 2기 도슨트로 활동하면서 관람객들이 간혹 관람에 지루함을 느끼거나 피로감을 보이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윤동주기념관의 오프라인 전시 콘텐츠에 있어서 기억하기 어려운 전시 내용이나 단순 시청각 전시품으로 관람객들이 전시를 얼마나 이해했으며, 전시를 통해 어떤 것을 가져갈 수 있을지 의문을 가지게 되었다. 이는 COVID-19로 인해 온라인 매체가 더 중요해지고 있는 시점에서, 온라인 전시를 통해 관람객이 전시를 회상하고 정보를 다시 볼 수 있게끔 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윤동주기념관의 전반적인 전시 콘텐츠를 살펴보고, 기존의 기록 전시를 온라인으로 보여줄 때 관람객이 감각적으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윤동주기념관은 온라인 웹사이트를 단순한 정보 제공 용도로 사용하고 있으며, 온라인 특징을 살린 전시를 진행하지 않는다. 또한, 온라인 전시로는 ‘구글 아트 앤 컬쳐’를 사용하여 오프라인 콘텐츠를 새로 큐레이션 한 것이 전부이다. 윤동주기념관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웹, 앱의 온라인 전시를 다루고 있는 기록관은 기준과 체계가 없고 무엇보다 사용자의 니즈를 고려하지 않은 채 정보만 단순 나열했다는 한계를 지닌다. 본 논문에서는 기록 전시, 특히 윤동주기념관에 적용할 수 있는 사항 중에서 온라인 환경을 이용한 전시 요소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연구자는 기존 문헌 고찰과 현황 분석을 통해 윤동주기념관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해 파악하고, 나아가 온라인 기록 전시에 적용할 수 있는 전시 기획을 연구하였다. 따라서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기록 전시 활성화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를 제안하고자 한다. 1)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전시 콘텐츠 기획 2) 웹사이트의 화면 구성 요소 개선 3) 온라인 전시 굿즈 제작 COVID-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와 디지털 전환으로 온라인 매체의 역할의 중요성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기록 전시는 다양한 온라인 기술을 활용하여 관람객이 직접 참여하고 함께 만들어 나아갈 수 있는 쌍방향적 작품을 포함해야 한다. 또한, 기록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웹사이트 화면 구성 요소와 전시 관람 후에 관람객들이 온라인 전시를 추억하기 위한 굿즈 같은 보상적 결과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윤동주기념관부터 시작하여 모든 기록 전시관에서 서로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는 3가지 온라인 기록 전시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았다. 앞으로의 온라인 기록 전시는 단순히 오프라인을 대변하거나, 온라인에서 전시를 관람한다는 의미에서 더 나아가 오프라인 전시와 차별화된 하나의 ‘전시’로 인식되어져야 한다. 또한 온라인 전시 관람객이 오프라인 전시 방문으로 이어질 수 있는 온라인 기록 전시 연구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안한다.

      • PSE(picture superiority effect)를 활용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 중동 무슬림 환자 대상 진료 안내 책자의 유용성 연구

        석수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23

        최근 의료산업은 기존 관광자원 및 서비스 산업과 융합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고 미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는 혁신적인 서비스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의 국제 진료 서비스 산업은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이는 고도로 숙련된 의료 전문 인력과 최첨단 의료 장비 보유 및 체계적으로 확립된 의료 인프라가 의료관광객들에게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환자의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국적도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중동과 중앙아시아 등 한국 의료 세계화를 위해 정부 간 협력(G2G)을 강화하고 있는 전략국가의 환자 수 또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중동 지역의 환자들은 1인당 평균 진료비가 가장 높고, 해당 국가의 문화 특성상 가족 및 보호자를 많이 동반함에 따라 기타 부대비용이 다른 국가 환자들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들에게 의료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다양한 장애요소들이 발생하고 있는데, 관련 보고서들에 따르면 그 중 가장 큰 문제는 환자와 의료진 간의 커뮤니케이션에 관련한 것으로 언어 및 아랍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이 제일 큰 원인이라고 보고되고 있다. 현재 의료 서비스 환경에서는 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으로 인해 의료진은 업무 피로도와 스트레스가 매우 높고, 동시에 환자들의 의료 서비스 경험의 만족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의 의료 서비스 환경에서 특정 문화권 환자와 보호자를 대상으로 제작한 진료 안내 책자나 의료 정보는 찾아보기 어려웠으며, 한국어로 제작된 정보 및 안내문도 활용성이 매우 떨어지는 내용 및 형식으로 제작되어 있는 상황이다. 최근 대형 의료 기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으로 다국적 언어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치료와 관련한 구체적인 진료 정보가 아닌 기본적인 층별 안내 정도만 제공되고 있어 이를 통해 환자들의 의료 서비스 경험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에는 매우 부족하다. 특정 문화권 환자를 대상으로 정보 디자인을 활용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사례 및 프로세스 연구 또한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국제 진료 서비스 환경에서 이해관계자(들의 서비스 만족도 향상을 위해 언어, 종교, 생활 습관 등 문화적 특성에 집중한 맞춤형 진료 서비스의 역량 확대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 진료 서비스 환경에서 서로 다른 문화권의 환자·보호자와 의료 서비스 제공자 간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목적으로, 중동 무슬림 환자를 대상으로 한 진료 안내 책자 개발에 있어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 및 PSE를 활용한 정보 디자인을 제안하고, 대상별 사용성 평가를 통해 개발된 진료 안내 책자의 유용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정보 디자인을 활용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국제 진료 서비스 환경에서 언어와 문화가 다른 이해관계자들 간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어떠한 디자인 방식 및 프로세스가 있는가? 둘째,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정보 디자인은 정보의 전달 및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셋째 PSE를 활용한 정보 디자인의 유용성은 어떠한 방법을 통해 평가할 수 있는가? 넷째,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 및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해 도출된 결과물은 서비스 제공자 및 대상자의 경험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가? 문화를 고려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세스 단계는 크게 정보 디자인 단계와 유용성 평가 단계로 나누었으며, 총 다섯 단계로 구분하였다. 정보 디자인 단계는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디자인 방법론 도출을 위한 기획 단계부터 최종 프로토타입 검증 후 마무리된다. 그 과정에 있어 주제에 맞는 전략 도출을 위해 관련 분야의 전문가 의견 수렴이 필수적이며, 특히 사용자 경험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을 잘 파악하고 있는 해당 분야 전문가들의 의견을 심도 있게 반영하였다. 유용성 평가 단계는 대상별 사용성 평가에서 도출된 결과를 분석하여 진료 안내 책자의 유용성 및 향후 개선할 점들을 파악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사용자의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문화를 반영한 정보 디자인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중요 사항을 정리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를 반영한 정보 디자인 개발 시 이해관계자 별 문화적 특성 파악을 위한 면밀한 사용자 조사가 필수적이다. 둘째, 타 문화 특성 및 디자인 특징을 정확히 파악하여 전략을 구체화시켜야 한다. 셋째, 정보 시각화에 있어 PSE 요소 및 사용자의 문화가 반영된 디자인 원칙 활용은 정보 전달 및 이해, 그리고 정보 회상에 매우 효과적이다. 넷째, 필드 실행 전 이해관계자들 및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프로토타입(prototype) 검증을 실시해야 한다. 다섯째, 사용성 평가를 통해 개발된 디자인의 유용성 평가 과정을 반복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 마지막으로 프로젝트 기획자 및 개발자를 포함한 서비스 환경에 관여하는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공유를 통한 협업이 현장 중심의 연구에서는 특히 중요하며 필수적이다. 국제 진료 서비스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 의료 서비스 이해관계자 모두를 고려한 실질적인 서비스 전략이 필요한 상황에서 PSE를 활용한 진료 안내 책자의 개발은 매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와 대상자 모두가 PSE를 활용하여 개발한 진료 안내 책자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가 높았으며, 디자인 개발 전략에서 도출한 요소들은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매우 효과적임을 대상별 사용성 평가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진료 안내와 관련한 정보가 가시적인 형식으로 제공되는 것이 없던 상황에서 환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누구나 이해하기 쉬운 형식의 이미지로 구성된 진료 안내 책자의 제공만으로도 의료 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서로 다른 문화의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문제를 디자인을 활용하여 해결하기 위한 전략 및 방안을 제시한 것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실제 의료 현장에서 서비스를 제공받는 환자만이 아닌 의료진을 포함한 의료 서비스에 관련한 모든 이해관계자 전반에 걸쳐 해당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커뮤니케이션이 보다 수월해질 수 있도록 모든 개발과정에서 최종실행까지 협업이 이루어진 점도 큰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지 심리학 분야에서 주로 다뤄졌던 PSE를 디자인적인 측면으로 분석하고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활용한 것은 향후 문화를 고려한 다양한 분야의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무슬림 환자 대상 PSE를 활용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개발 프로세스를 바탕으로 도출한 문화를 반영한 정보 디자인 프로세스는 디자인 연구자 또는 실무자가 사용자의 경험을 고려한 환경에서 문화적 특성을 반영한 정보 디자인 개발 과정에 있어 주제에 맞게 활용 가능할 것이다. 무슬림의 특성을 고려한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연구가 매우 어렵고 부족한 상황에서 경제적 파급효과 및 성장잠재력이 높은 국제 진료 서비스와 급증하는 중동 지역의 무슬림 환자를 대상으로 실제 활용 가능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디자인을 연구한 것은 기록이나 설문 중심의 연구를 벗어난 실제 진료 현장 중심의 심화 연구라는 점에서 실용적 가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를 기초로 여러 각도에서 문제를 접근할 수 있는 디자인적 사고와 다양한 전문지식을 통합할 수 있는 복합적 사고 능력을 통해 의료 기관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한국 의료관광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연구하고 한국의 국제 진료 서비스의 높은 브랜드 가치 창출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medical industry has gained recent attention as an innovative service industry that can create high added value in the future and become a valuable force for growth when combined with existing tourism resources and the general service industry. The international healthcare services industry in Korea is rapidly growing as a result of the highly skilled medical professionals, state-of-the-art medical equipment, and the well-established medical infrastructure and system. The number of foreign patients visiting Korea for the medical treatments is steadily rising, and also diversifying. Especially, the number of patients in strategic countries that are strengthening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for the globalization of medical care in the Middle East and Central Asia is steadily increasing as well. Patients from the Middle East require special consideration, not only because they spend the most on average medical expenses per person, but also because they spend overwhelmingly more than any other countries on other services—they tend to bring more family members and caregivers due to their culture. However, there are various obstacles when providing medical services to them. According to reports, the biggest problem is the communication from the medical staff to the patients stemming from the staff’s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language and Arabs culture. In the current medical service environment, th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leads to a high level of work related fatigue and stress for the medical staff, while achieving low satisfaction among the patients. In the Korean medical service environment, it is difficult to find medical guidebooks or medical information specific to the culture of the patients and caregivers. In addition, information and guidebooks written in Korean are not very practical. In recent years, large medical institutions have been providing multilingual information in an effort to remedy aforementioned problems. However, that information is not specific medical information related to treatment, but merely a floor directory, which cannot improve the satisfaction of patient's medical service experience. It was also difficult to find case studies and process research on medical communication that utilized information design specific to different cultures. In order to improve the service satisfaction of stakeholders in the rapidly growing international healthcare service environment, the Korean medical service industry urgently needs to expand its capacity and provide customized medical services catering to different cultural characteristics such as language, religion and lifestyle. And th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nhance the communication amongst medical service providers,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In particular, the study suggests information design based on the user's cultural characteristic and PSE for the Middle Eastern Muslim patients. And through each user's usability testing, the usability of the designed medical guidebook is evaluated. The key inquires of Medical Communication Design research utilizing information desig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ne, what kind of design methods and processes are ther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stakeholders with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es in the international healthcare service environment. Two, can information design more effective in terms of communication and transfer of information when reflecting the user’s cultural characteristics? Three, what are the methods of evaluating the usability of information design that utilizes PSE? Four, can the result of the design process implementing the requirements of various stakeholders and their user experience provide empirical value to service providers and their target? The process of Medical Communication Design that reflects culture is divided into two larger phases of designing and usability testing, then total of five sub-phases. The design phase begins with planning to derive design methodology reflecting User Experience and is finalized after the final prototype is verified. During that process, it is essential to gather opinions from experts in the related fields in order to acquire a strategy appropriate to the subject. Especially, in order to reflect the culture of user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the opinions of cultural experts who are knowledgeable 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In the usability evaluation phase, results obtained from the usability evaluation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usability of the medical guide book and to make future improvements. Finally, based on the Medical Communication Design process that reflects the culture derived from this study, Guidelines were provided, by organizing the important points when developing information design that reflects culture. The contents of the guidelin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essential to conduct detailed user survey to underst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takeholders in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design reflecting culture. Second, formulate strategies based o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other cultures and their design practices. Third, the use of design principles reflecting the PSE elements and user's culture in information visualization is very effective for information transfer, understanding, and information recall. Fourth, prototype verification should be conducted for stakeholders and experts before field implementation. Fifth, the process of usability evaluation of the design that was developed through usability research, should be repeated and result in continuous design improvements. Finally, collaboration and sharing of ideas among all the stakeholders involved in the service environment, including project planners and developers, is particularly important and essential in field-oriented research. The development a medical guide book that uses PSE is very meaningful because a practical service design incorporating the requirements of all the stakeholders of medical service is in need, in order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healthcare services. Overall satisfaction was high for the service guidebook developed by PSE for both the service provider and target, and the elements of design development strategy were very effective in medical communication. In the absence of information in the form of a visual guide, the provision of a medical guidebook, which consists of images of easy-to-understand information for the patient, was able to elicit a patient's positive response to the medical servic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presenting strategies and solutions for solving medical communication problems among stakeholders of different cultures using design. It was also a big achievement that all stakeholders including the patients who receive the medical service, the medical staff, and the medical service staff all collaborated in the process from development to execution of this project with the same goal of making their work communication smoother. In addition, analyzing the PSE, which has been mainly dealt with in the field of cognitive psychology, as a design aspect and applying it to medical communication reflecting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will be a valuable foundation for future design development incorporating various cultures. The information design process reflecting culture that was derived from the process of designing medical communication using PSE that targets Muslim patients is a process that the design researcher or the practitioner will be able to customize according to specific subjects when developing information design incorporating user experience and reflecting cultu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has special practical meaning, because it thoroughly investigates the actual medical field and goes beyond simple documentation or survey, and also because it pertains to the international healthcare services, which has strong economic ripple effect and high growth potential, and its rapidly increasing Muslim patients from the Middle East, in a situation where communication design that incorporates the characteristics of Muslim culture is very difficult to research and is very rare. Using this study as a foundation, and combining design thinking, that allows approaching a problem from various angles, and complex thinking, that integrates various expert knowledge, will be able to improve competitive advantage of medical institutions. Furthermore, the hope is that it will contribute towards the studies of practical measures to vitalize Korean medical tourism and creation of high brand value of Korea's international healthcare services.

      •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대인관계 발전 및 페이스북 지속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자기노출의 매개역할

        이수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대인 관계의 발전과 페이스북의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온라인 자기 노출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으로 서울과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대학생 41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대인 관계의 발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지속적 사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대인 관계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온라인 자기 노출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온라인 자기노출이 자존감이 낮은 집단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만 자존감이 높은 집단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온라인 자기노출이 남자 대학생 집단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만 여자 대학생 집단에서는 매개역할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페이스북 커뮤니케이션이 직접 혹은 온라인 자기 노출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대인 관계의 발전 및 지속적 사용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히면서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써 SNS의 성공적인 활용과 그를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 연구

        유재림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논문은 동양의 사유 체계를 중심으로 하여 서양의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더불 어 미니멀 커뮤니케이션(Minimal Communication)이 가지고 있는 ‘최소주의’와 ‘모호성’을 통해 참여와 경험을 통한 새로운 경험의 재생산에 관한 연구이다. 모호 성이라는 가치가 기존 커뮤니케이션의 진정한 의미에 다가가는 방법적인 도구가 될 수 있으며, 참여를 이끌어 내어 기존의 경험을 추동시키고 모호성 해독의 성취 감을 통하여 새로운 경험을 창출 해내는 것이 그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서론인 제I장<미니멀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 본론인 제II장 <미니멀 커뮤니케이션>, 제III장<모호성>, 제IV장 <브랜딩 전략으로서의 미니멀커뮤니케이션 의 모호성>, 제V장 <결론>, 제 VI장으로 구성 된다. 제I장<미니멀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은 기존의 미니멀리즘의 연구와 플랫(flat) 화되고 있는, UI(User Interface)디자인의 동향을 통해 축소/간소화가 아닌 확장 의 개념으로 ‘모호성’에 접근한다. 그리고 연구 방법과 내용, 문헌 조사, 사례 분 석, 기획안과 작품 계획에 대해 싣고 있다. 제II장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은 미니멀리즘의 태동과 미니멀리즘의 본래의 목적 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여 미니멀리즘을 동양과 서양의 사유체계를 통해 분석한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관점으로 접근하여 서양의 이성적이고, 논리적이며, 합리성을 중심으로 한 사유체계는 가치(Value)가 아닌 기능(Function)의 확장이며, 상호보완적이고 상호작용성으로서의 의사소통에 약한 서양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보완해주는 개념으로서 미니멀리즘의 기초적 배경이 된 동양의 유·불·선(儒·佛·仙) 사유체계의 커뮤니케이션에서 볼 수 있는 공(空)의 개념을 설명하고 다의적(多義 的) 해석이 가능한 시적 표현으로 자유로운 상상력을 허용하는 공간으로서, 확장의 가능성을 열어 주는 동양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한다. 또한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로만 야콥슨(Roman Jakobson) 의 커뮤니케이션 모델을 통해 설명한 후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을 ‘최소 단위 커뮤니 케이션’으로 정의하고,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에서 나타나는 모호성의 연관성에 관하 여 일본의 와비-사비(わび·さび,侘·寂), 일본의 단시(短?)인 ‘하이쿠(俳句)’, 불경의 마하반야바라밀다심경(摩訶般若波羅蜜多心經)의 ‘색즉시공 공즉시색(色卽是 空 空卽是色)’구절을 통해 예를 든다. 그리고 모호성을 통해서 수용자가 1 정 보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2 그 의미를 읽어 내기 위해 좀 더 적극적인 의미 해 독이 가능하며, 3 다의적인 해석과 사용자의 감성적인 경험 또는 상상력을 자극하 여 새로운 경험을 창출 냄으로써, 원형에서 미니멀화를 통해 생성된 모호성이 사고 확장과 경험이라는 가치로 연결되는 것을 설명한다. 그리고 모호성은 어디에나 숨 겨져 있으며 최소 단위의 커뮤니케이션은 그 매개체가 모호화됨에 따라서 그 내부에는 복잡한 네트워크를 품고 있음을 이야기한다. 제III장 <모호성>에서는 연구자가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하는 모호성이라는 단어의 사전적 정의와 함께 모호성의 네트워크 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모호성의 개념을 상징형식(Symbolic form), 내러티브(narrative), 매개(mediation)를 통하여 연구한다. 그리고 모호성의 네트워크와 방법을 약호(code), ANT(actor-network theory)이론 을 통하여 ‘모호성의 네트워크 체계’를 생태계 구조로서 바라보고 명 확성을 뛰어넘는 모호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모호성의 해석을 위한 중요 요소로서 ‘모호성의 맥락’을 짚어보며, 체계적 구조로서 윌리엄 엠슨(William Empson)이 제시한 언어의 다의성 개념인 일곱가지 유형의 모호성(Seven Types Ambiguity) 1 은유와 극적 아이러니에 의한 모호성, 2 단일성에 의한 모호성, 3 동음이어의 펀(PUN) 에 의한 모호성, 4 역설에 의한 모호성, 5 연상 작용에 의한 모호성, 6 불확실성에 의한 모호성, 7 상반에 의한 모호성 을 끌어와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을 통해 재분석/분류하여 1 은유, 2 단일성, 3 연상, 4 불확실성으로 나눠진 모호성의 4가지 유형 의 모호성을 제안한다. 제IV장 <브랜딩 전략으로서의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에서는 브랜드 이미 지 전략과 브랜딩 전박적인 전략 사례를 중심으로 브랜딩에서 미니멀한 태도를 취 하는 유형적/무형적인 매개체가 앞에 제시한 모호성의 4가지 유형을 통해 외부와 내부의 네트워크 체계 안에서 어떤 작용을 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실제로 이 사례 들에서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의 활용은 브랜딩의 한 가지 적용 방식이 될 수 있으며, 수용자가 적극적 참여(해독)를 통해 경험을 추동시키고 이를 새로운 경 험으로 재생산한다는 것과 이를 통해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 영역이 디자 인에 국한되지 않고 전체적 브랜딩 전략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V장 <결론>에서는 본문에서 사례분석 결과 미니멀 커뮤니케이션의 모호성은 확장 개념의 동양의 미니멀리즘과 동양의 커뮤니케이션 사유 체계에 근거하여 기 존에 인식하고 있는 단순히 최소화된 시각체가 아니라 수용자의 적극적 참여를 끌 어내며 사고 확장과 경험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브랜딩의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임을 알 수 있었다. The current study is concerned with the minimalism and ambiguity present in minimal communication, which stimulate the reproduction of new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The study focuses on the Eastern thought systems while considering Western communication theories. The goal is to show that the value of ambiguity lies in its role as a methodological tool that bring people closer to the real meaning of communication, while inducing participation to drive preexisting experiences, and generate new experiences through the sense of achievement in decoding the ambiguity. The current study is composed of four chapters: Chapter 1 “The Ambiguity of Minimal Communication,” Chapter 2 “Minimal Communication,” Chapter 3 “Ambiguity,” Chapter 4 “Ambiguity in Minimal Communication as a Branding Strategy,” and Chapter 5 “Conclusion” as well as Chapter 6. The first chapter, “The Ambiguity of Minimal Communication,” approaches the topic of ambiguity as a concept of expansion, rather than reduction or simplification; the chapter amplifies this notion by looking at previous studies on minimalism and the trend of User Interfaces (UI) that are becoming increasingly flat. The chapter also contains methodology, literature review, case studies, and work plans. The second chapter, “Minimal Communication,” studies the historical objectives of minimalism and the birth of the movement through the lens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 systems. The chapter approaches the topic from a communications perspective to argue that the Western thought system based on reason, logic, and rationality is an expansion of function, rather than values. As a system that complements and interacts with the Western system, the study delineates the concept of emptiness easily seen in Eastern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that serves as a basic foundation of minimalism. The communication in Eastern thought systems have ambiguity that serve as a space allowing for polysemantic interpretations, poetic expressions, and free imagination, thereby opening up the possibility of expansion. The chapter goes on to explain the visual communication systems through Roman Jakobson’s communication model, and define minimal communication as “the minimal unit communication.” The relationship of ambiguity seen in minimal communication are explained through the examples of wabi-sabi and haiku of Japan, and phrase “Form is the void, and the void is form” in the Buddhist Heart Sutra. In addition, the chapter explains that ambiguity leads the recipient of the communication to 1) enhance his interest in the communicated information, 2) more proactively interpret the meaning to better understand, and 3) generate polysemantic interpretations, have sensory experiences, or create new experiences by stimulating the imagination, thereby linking the ambiguity created by minimization to the values of expansion and experience. The chapter also talks about the fact that ambiguity can be hidden anywhere, and that minimal unit communication harbors complex networks as its medium becomes ambiguous. The third chapter, “Ambiguity,” deals with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and delves deeper in to the topic of ambiguity through the lens of symbolic form, narrative, and mediation. The network system of ambiguity are considered to be a living structure, through the lens of code and actor-network theory (ANT), thereby talking about the fact that there is ambiguity that exceeds clarity. In addition, the chapter studies the context of ambiguity as an important element in interpreting ambiguity. William Empson’s polysemantic concept of Seven Types of Ambiguity are considered as well: 1) Ambiguity through metaphor and dramatic irony, 2) ambiguity through unity, 3) ambiguity through homonymous puns, 4) ambiguity through paradox, 5) ambiguity through association, 6) ambiguity through uncertainty, and 7) ambiguity through opposites. After considering Empson’s types, the chapter reanalyzes and reclassifies ambiguity into four types of 1) metaphor, 2) unity, 3) association, and 4) uncertainty. Chapter four “Ambiguity in Minimal Communication as a Branding Strategy” studies the brand image strategies to analyze the role of minimal media (with and without form) in and out of the network system of ambiguity, through the four types of ambiguity analyzed in the previous chapter. Through the case studies of the brand imaging strategies, we find out that the utilization of ambiguity in minimal communication can be one application of branding, and that the recipient of the communication can engage in active participation (decoding) in order to drive experience and recreate that experience into something new. We conclude in this chapter that the ambiguity in minimal communication does not limit itself to design, but can apply to the overall branding strategy. The fifth chapter concludes that the ambiguity in minimal communication is not a mere minimalized visual object, but a useful tool for branding strategy that can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recipient and expansion of ideas and experiences. We arrive at this conclusion based on the Eastern minimalism and communication system that adhere to the concept of expansion.

      • 정치적 위기 커뮤니케이션 상황에서 대통령과 언론의 수사적 공격과 방어 전략 분석 연구 : 미국산 쇠고기 수입 이슈를 중심으로

        김연수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erpret defensive communications used by the President Lee Myung-bak against the political crisis from the import of the U.S. Cow issue and offensive communication used by the media. This study pursues to clarify the validity of crisis response communications in the context of the level of accusations. Nowadays presidents depend more and more on direct forms of communications, such as public speeches and statements. Especially in political crisis, which threat their legitimacy like the import of the U.S. cow issue which is concerned with the mad cow disease, the president tends to present defensive messages, and the media tend to persuasively attack the president's rhetoric. This research analyzed the President Lee's defensive message in public speeches and the editorials's message of major newspapers in Korea.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11 to June 19, 2008. The defensive messages are 143 sentences in 2 public speeches of Lee and the offensive messages are 61 editorials in 5 major newspapers of Korea. The analytic framework of this study is Benoit's theory of image restoration strateg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esident Lee primarily used 'defeasibility', 'differentiation' and 'transcendence' strategies in the first speech on May 22, 2008 against the negative issue of the U.S. cow import and defeasibility and corrective action strategies in the second speech on June 19. The editorials used 'extent of the damage' and 'obligation to protect certain groups' strategies during the first period from April 11 to May 22 and 'extent of the damage' and 'inconsistency' strategies in second period from May 23 to June 19. The result also showed that both of defensive and offensive communications did not have any logical links in the persuasive perspective of rhetorical stasis theory, while the public issue from the case of the U.S. Cow import advance from the level of facts to definitions in a hierarchical fashion. The president's response communication was delicately discriminative according to which newspaper attacked the issue. All these results meant that the rhetorical strategies of the President and the media were passively and irresponsible one for the communication of the political crisis situation. For active communication among the President, media and the public, the rhetorical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persuasive and genuine message and theoretical ramifications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관한 일련의 과정을 사례로 정치적 위기 상황에서 나타나는 이명박 대통령의 방어 커뮤니케이션과 언론의 공격 커뮤니케이션의 전개과정을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전략을 분석하는 데 있다. 더불어 공격과 방어의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적으로 이뤄졌는지 메시지 내용에 대한 수사정황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관련된 정치적 위기 상황에서 공격과 방어의 수사학이 얼마나 합리적이고 다양한 각도로 이뤄졌으며, 대통령은 자신의 정치적 위기를 극복하고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설득 전략을 펼쳤는지 고찰해봄과 동시에 한국적 정치 풍토에서 특정한 위기 상황에 대처하는 이명박 대통령의 설득 전략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집중적으로 알아보는 기회가 될 것이다.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라는 위기에 대처하는 각 신문사와 이명박 대통령의 대응을 분석하기 위해 베노이트(Benoit)의 수사적 분석틀을 대한민국 현실에 맞게 수정하여 적용하였으며, 5대 주요 일간지의 사설 및 칼럼과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담화문과 특별기자회견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수사정황 이론에 따라 ‘미국산 쇠고기 수입’이라는 사건의 사실, 정의, 성격 순으로 공격 메시지를 도출하여 삼단논법의 순서에 맞춰 대전제, 소전제, 결론으로 공격의 유형을 구성함으로써 질적인 내용분석을 함께 병행하였다.연구 문제 1. 이명박 대통령은 미국산 쇠고기 수업이라는 사건의 발전 과정에 대응하여 어떤 방어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하였는가?이명박 대통령의 정치적 위기 상황에서 활용한 방어 전략을 분석해 본 결과, 다양한 수사 전략을 선택함으로써 앞뒤 문맥과 관련한 수사적 해석의 여지도 넓어졌으나 실질적으로 주로 사용하는 전략 자체는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명박 대통령의 경우 2008년 5월 22일에 있었던 대국민담화문과 2008년 6월 19일에 있었던 특별기자회견문 간의 방어 전략에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가장 두드러진 것은 1차시기 공격에 대응하기 위해 대국민담화문에서 사용된 방어 전략은 사건의 공격성 축소를 위한 정당화 전략이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했으나 2차시기의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특별기자회견문에서는 줄어들고 대신 책임 회피를 하는 변명 전략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는 점이다. 또한 수정행위 방어 전략의 사용 비율이 1차시기에 비해 2차시기에 5배 이상 사용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1차시기의 연설문인 대국민담화문에서는 책임회피 전략 가운데 능력 부족이 사건의 공격성 축소 전략 가운데 차별화와 초월 전략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반면 2차시기의 경우, 책임 회피와 수정행위를 약속하는 전략을 활용했다. 세부적인 전략으로 능력 부족 전략, 초월 전략, 수정행위 전략, 사과 전략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연구문제 2. 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와 관련해 5대 신문사 사설의 공격 커뮤니케이션을 어떤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시기별로 차이가 있는가?미국산 쇠고기 수입 문제를 둘러싼 주요 신문사 사설의 공격 전략은 전반적으로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관한 정부의 태도의 부정성 인식을 증가 시키려는 전략과 그 책임성을 강조하려는 전략 가운데 부정성 인식을 증가하는 전략이 1차시기와 2차시기 모두 압도적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1차 시기에는 행위의 부정성 인식을 증가시키려는 큰 틀 안에서 행위의 책무성 공격 전략과 부정적 결과들을 확대 강조하는 전략이 주를 이룬다. 2차 시기에도 행위의 책무성 공격 전략은 여전히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불일치성 전략이 그 뒤를 이었다.연구문제 3. 이명박 대통령의 수사학적 방어 전략과 메시지의 내용은 언론사의 공격에 대한 대응이라는 측면에서 어떤 양상을 보여주고 있는가?대전제(사건의 정의), 소전제(사건의 사실), 결론(사건의 성격)으로 이뤄진 수사정황의 틀에 맞춰 분류된 공격 메시지와 그에 따른 방어 전략과 메시지를 분석해 본 결과, 1차시기 사건의 성격과 사실에 초점을 맞춰 공격한 진보 언론에 대응하는 이명박 대통령의 방어 메시지는 주로 초월, 차별화, 능력부족, 책임전가 전략이었으며, 사건의 성격에 초점을 맞춰 공격한 보수 언론에 대응하는 이명박 대통령의 방어 메시지는 능력 부족과 수정행위, 사과 전략이었다. 2차시기의 경우 사건의 성격을 강조하는 공격 메시지가 증가하면서 그에 따른 방어 전략도 초월, 능력부족, 사과, 수정행위 등이었다. 그러나 여기서 제기된 문제점은 방어 전략 구축과는 관계없이 방어 메시지 자체는 보수 언론에 대한 대응의 측면에 사과와 수정행위 전략과 그에 따른 메시지가 맞춰져 있고, 진보 언론에 대한 대응의 측면에서는 그 외 다른 방어 전략이 주로 사용되며 따라서 사과 및 수정행위 자체가 상대적으로 부족했다는 점이다.세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를 통해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관한 위기 커뮤니케이션의 전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대통령 연설과 신문 사설의 수사적 전략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설득력과 진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