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 연구

        김유중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95

        As the number of Specialized Graduate Schools is increas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GSE) are also gradually growing to satisfy the new demands from Korean education society. The majority members of GSE students are current teachers, and the schools offer both Masters and Doctoral degree courses. Information use behaviors of these GSE students are being altered dramatically since the subject areas in their education field are diversified and also subdivided into small catego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w information use behavior of GSE students and suggest more effective reference service system to fulfill their needs. This study examined four factors. The first factor was GSE students’ purpose of pursuing graduate level studies and their devotion to the course works. The second factor was common information use behavior of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SE and their core job description. The third factor was the different information behaviors of GSE students between their roles as teachers and graduate students. The fourth factor was the relations between student characteristics and how well they utilize the library based on the frequency of library visits. To understand GS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their common information use behavior, this study researched preliminary studies on similar areas. It also accomplishe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students, who have used the library previously, started from November 20 to 30, 2016. The surveys from 146 GSE students were also conducted to make sure the research results are objective and universal.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ies, the primary rol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tudent guidance and teaching classes, and numerous studies emphasize that the teachers should be encouraged to enhance their professionality all the time. The result of in-depth interviews was used to analyze GSE students’ purpose of pursuing graduate study, the nature of elementary level teaching, their information use behavior, information needs, and the library use behavior. The survey results were led to verify the different information behaviors based on student’s gender, age, work experience, and job requirements. Thesis results were also utilized to quantify the differences. The findings that are measured and analyzed in this study are shown in the following. Firstly, most of the GSE students are current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y value the studies on teaching and guidance methods the most. They often seek for teaching materials or information about classroom management, and these are mostly found in online communities, seminars/professional development sessions, and the commercial websites that are related to the education field. Secondly, the difficulties on information search are caused by not knowing the sources and the extra accessing fees for using certain materials. Most of the students preferred using scholarly websites rather than visiting the library; however, higher they value the graduate course works, more often they utilized the library services. Thirdly, the main reasons for not visiting the library or the library website were either their busy work schedules or being aware of other convenient ways to access the scholarly website through external sources. Librarian’s assistance was often considered unnecessary as students felt confident enough to achieve the information themselves. On the other hand, majority of the students showed their demands on a greater collection of major books in the library. Fourthly, the number of library visits is relevant to the number of accessing the library website and attending the library’s user educations. It is also shown that the successful library user education changes students’ point of views on librarians and their performances, and it improves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ir library experiences as well.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proved that it is positively necessary to develop better library reference service system to support GSE students to enhance their performances as teachers and students. It will also give the library society a significant chance to support the reformation in the education field that they have yet to achieve. 전문직의 양성과 계속교육을 위한 전문대학원의 설립과 함께 우리나라 교직 분야에서도 시대 변화와 사회 요구에 맞추어 교육전문대학원이 설립·운영되고 있다. 교육전문대학원의 구성 학생은 현직 교사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학위 과정은 석사와 박사과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추구 방식은 급격히 변화하고 있으며 연구주제의 다변화와 세분화에 따라 다양한 유형과 주제의 정보를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효율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육전문대학원생의 개인적 특성을 바탕으로 이들의 학업추구 목적과 학업·직무의 비중 정도를 조사하고 둘째, 초등교사의 주요직무와 직무관련 정보의 필요도와 정보의 출처를 분석하며 셋째, 교사와 대학원생으로서 역할에 따른 정보이용행태를 구분하여 그 차이를 알아보며 넷째, 소속 도서관의 이용 정도를 바탕으로 개인적 특성과 도서관이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교육전문대학원과 초등교사의 특성을 알아보고 정보이용행태 이론을 기반으로 대학원생과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정보이용행태 선행연구를 조사하고 교육전문대학원생의 개인적 성향과 정보이용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우선 탐색으로 예비조사인 심층면담을 2016년 11월20일부터 10일간 도서관 이용경험이 있는 4명의 대상자를 임의 선정하여 조사함으로서 설문조사의 문항개발과 연구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예비연구의 객관적 검증과 일반적 적용을 위하여 교육전문대학원생 1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개인적 특성과 정보이용행태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초등교사의 교육활동에서 가장 본질적인 것은 교과수업이며 일반 교사의 특성을 함께하는 초등교사의 주요 직무는 학생지도이며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사의 전문적 역량은 지속적으로 신장되어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예비조사인 심층면담을 통해 학업추구 목적과 초등교직의 특성, 정보추구 목적과 정보의 필요도, 도서관 이용정도를 파악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성별, 연령, 경력, 역할에 따른 정보이용행태의 차이를 객관적인 데이터로 확인하고 도서관 이용정도의 빈도를 바탕으로 항목간의 관련성과 도서관 만족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대부분인 교육전문대학원생은 교사의 가르침과 지도방법에 대한 학업을 가장 높게 추구하며 직무분야에서는 학생생활지도를 가장 우선으로 생각하고 직무관련 정보는 교과학습 정보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지만 교과학습과 학생생활지도와 학교·학급경영 정보도 많이 필요로 하고 있었고 관련 정보는 온라인 교사커뮤니티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며 다음으로 동료 및 전문가와 세미나·연수자료, 교육기관 순으로 나타났으며 상업용 교육웹정보에도 많은 관심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정보수집의 어려운 점은 정보소재의 파악과 유료정보에 대한 부담으로 조사되었고 대학원 학업정보는 외부학술사이트를 선호하며 도서관 정보이용과 방문은 매우 저조하였으나 학업의 비중을 높게 추구할수록 도서관 이용정도가 높게 조사되었다. 셋째, 도서관 방문과 홈페이지 접속이 저조한 이유에 대하여 바쁜 일과와 외부접속으로 전자정보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고 자신의 정보활용 능력과 주변의 지인을 통해 도서관 사서의 도움 없이도 정보이용에 큰 문제가 없으며 도서관에 대한 희망사항은 전공도서의 확충을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도서관 방문빈도는 홈페이지 접속 횟수와 도서관 이용자교육 수강과 관련이 있으며 이용자교육의 수강은 사서의 만족도로 이어지고 사서의 만족도는 도서관 만족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정보이용행태에 대한 실제적인 검증과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전문대학원생의 전문성과 학위취득을 지원하기 위한 효율적인 정보지원 방안을 마련함으로서 교육전문대학원생은 물론 나아가 초등교육 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 서울소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 운영실태 분석

        김다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urricula in Music Education of 11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after determining the foundation background and main function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investigating curricula in Music Education and present condition of establishment of curriculum subjects. The data of curricula of Music Education of 11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located in Seoul was collected and reclassifi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curriculum standard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was compared and analyzed in diversified field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material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urrent situation of Teacher Education Institutes”, the information regarding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as not precisely provided. Second, even though there is a field regarding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curriculum i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statutes of university by each graduate school.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onsistent curriculum either through proposing a reference point with precise division or through mutual exchanges among graduation schools of education. Third, many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erms of number of subjects imparted by each graduate school. It is possible that higher number of subjects can be helpful for obtainment of diverse knowledge but it is necessary to check if the established subjects are properly operated in effect. Also, it is required for universities with fewer subjects to reconsider if the subject distribution is sufficiently distributed to prepare the students to be qualified secondary school teachers. Fourth,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ome universities without a proper establishment of necessary subjects emphasized by curriculum of department of Music according to the Amendment of 2009, in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abituation in daily lives and appreciation of music. Considering th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in charge of turning out future secondary school teachers, it is fundamental to establish curriculum bearing the real education field in mind. Fifth, a more systematic and practical curriculum is required. Due to the lack of unity in terms of curriculum organization, number of subjects and field division in 11 universities, it is essential to propose a precise central reference standard even though all subjects are not identical among the universities. Last, based on the inquiry into the establishment condition of curriculum over 5 semesters of 11 graduate schools, it turned out that no university had established all the subjects as determined in the curriculum program.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graduate students and prospective applicants with exact information on established subjec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a starting point to some extent for preparing concrete standards and system of curricula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r the future and contributes to providing the graduate school students with diverse and deeper knowledge for creating a better music education future.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설립배경, 주요기능을 규명해보고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설치현황을 조사한 후 서울에 소재한 11개 교육대학원의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학교별 교육과정을 조사하고 분류하고 범주화하여 분석한 자료를 기초로 하여 현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운영 실태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해보고, 추후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에서 새로운 교육과정을 편성하고자 할 때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본 연구의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에 소재한 11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육과정 자료를 수집하여 교육부가 제시한 교육과정 기준에 맞게 재분류하고 범주화 하여 다양한 영역으로 설정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교과부에서 제시한 <교원양성기관의 현황>자료 중 교육대학원에 대한 정보가 정확하지 않았다. 교육대학원에 대한 자료나 정보가 더욱 세밀히 조사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부에서 제시한 영역이 있긴 하나, 교육과정이 각 대학원별 학칙 규정에 준하여 개설되어 있어서 교육과정의 구분이 불분명하며 학교별 교과목에 차이가 컸다. 각 대학원 마다 교육과정의 전공필수, 전공선택, 기본이수과목,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의 영역구분이 재정립되어야할 것이다. 정확히 구분될 수 있는 기준점이 제시되거나 교육대학원 간의 상호교류를 통해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이 설치되어야 한다. 셋째, 각 대학원간 과목수가 많은 차이를 보였다. 과목수가 많은 것이 다양한 지식 습득에 좋을 것이나 개설된 과목이 실질적으로 제대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며, 과목수가 적은 학교는 중등교원이 되기 위해 알아야 할 지식에 대한 충분한 과목 배분이 이루어졌는지 제고해야할 것이다. 넷째, 2009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국악, 생활화, 감상 영역을 위한 과목이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학교가 있었다. 교육대학원은 중등교원을 배출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교육현실에서 실제로 교육을 하게 되는 것을 염두 하여 과목설정을 해야 한다. 다섯째, 체계적이고 실용적인 교육과정이 요구된다. 11개 학교의 교육과정 편제, 과목 수, 영역 구분이 통일성이 없으므로 모든 과목이 동일하진 않더라도 중심이 되는 정확한 기준점이 제시되어야 한다. 여섯째, 11개 대학원의 5학기 동안의 개설현황을 알아보았는데, 교육과정표에 설정한 과목이 모두 개설된 학교가 한 학교도 없었다. 물론 학교의 상황과 원생 수, 교수진에 따라 과목이 학교별로 개설되긴 하나 원생 또는 입학희망자 에게 개설과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할 필요가 있으므로 홈페이지 및 각종 요람에 제시한 교육과정 설정에 대한 업데이트를 하거나 설정해놓은 교육과정에 맞게 교과목을 개설해야한다. 교육대학원은 특수대학원의 한 부분에 속해있기 때문에 교육대학원만을 위한 법적 근거가 뚜렷하지 않은 상황이다. 이로 인해 학교별로 교육과정 기준을 자체적으로 세우므로 많은 혼선이 빚어지고 있다. 본 연구가 작은 시작점이 되어서 후에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과 체계가 마련되어 원생들이 교육대학원에서 다양하고 깊은 지식을 습득하여 더 나은 음악교육의 미래를 만들어가길 기대해 본다.

      • 교육대학원생의 중등 국어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이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95

        고등교육의 중심이 점차 대학원으로 이동하고 있는 사회적 추세에 따라, 대학원의 경쟁력 강화 및 질 관리의 필요성이 중요한 이슈로 자리 잡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학원 중에서도 양적 성장에 비해 질적 성장의 한계를 겪고 있다 지적받고 있는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교육대학원생이 경험했던 교육대학원에서의 경험 및 교육실습 경험에 관한 내적 역동을 탐색하여 교육대학원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원에 입학하여 정규 교육과정을 이수한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이 국어 교육대학원 및 교육실습 현장에서 무엇을 경험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경험이 그들에게 주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연구 목적으로 상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예비 중등 국어 교사는 교육대학원 입학 이전에 어떤 경험을 했는가? 둘째, 예비 중등 국어 교사는 교육대학원 안에서 어떤 경험을 했는가? 셋째,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이 교육실습 현장에서 교육대학원생으로 어떤 경험을 했는가? 넷째,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이 교육실습 현장에서 예비 국어 교사로서 어떤 경험을 했는가? 다섯째, 교육대학원이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의 교육실습을 위하여 보완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대학에서 국어국문학을 주 혹은 복수전공하고, 국어 교육대학원 석사과정에 재학 중이면서 교육대학원에서 진행된 교육실습의 전 과정을 경험한 사람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1:1 심층 인터뷰를 거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문서파일의 형태로 전사하였다. 또한 Giorgi(1985)의 기술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4단계를 거쳐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의 단계에서는 전사한 자료를 몇 차례 읽으면서 총체적 의미를 파악한 후 연구 자료 속 다양한 의미단위를 구별하고 확정지었으며, 확정된 의미단위들을 추상적이고 학문적인 용어로 변환하였고, 마지막으로 이들을 엮어서 본질 구조로 통합하였다. 분석 결과, 중복되는 부분을 삭제하고 학문적인 용어로 전환하면서 총 240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고, 의미단위들을 통합하여 21개의 하의구성요소와 5개의 구성요소를 확정하였다. 첫 번째 구성요소인 <예비 중등 국어 교사가 교육대학원 입학하기 이전의 경험>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1) 국어 교육인의 내적 가치 중시 2) 국어 교육과 유사한 분야의 전공에 종사한 경험 3) 진로에 대한 가까운 지인들의 지지와 성원이었다. 두 번째 구성요소인 <국어 교육대학원 안에서의 경험>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1) 현직 교사와 비 현직 교사와의 구분에서 느껴지는 소외감 2) 구성원들과의 의사소통에 대한 어려움 3) 국어 교육 역량의 향상 4) 국어 교육 이론과 실제 교육이 연결되지 않는다는 괴리감이었다. 세 번째 구성요소인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이 교육실습 현장에서 교육대학원생으로 겪는 것>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1) 교육대학원생이라는 것이 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미친 긍정적 영향 2) 교육대학원생이라는 것이 교육실습 수행에 미친 영향 3) 교육대학원생에 대한 주변의 기대와 선입견 4) 교육대학원생으로서 교육실습 과정에서 느낀 불안감이었다. 네 번째 구성요소인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이 교육실습 현장에서 예비 국어 교사로서 겪는 것>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1) 부족함이 많은 초보로서의 자각 2) 교육실습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한 수용과 도전 3) 진로에 대한 확신 4) 예비 교사로서의 자신감 증진 5) 지도교사와의 관계에서 느꼈던 긍정적/ 부정적 경험 6) 참관 수업을 통한 교육관의 변화 7) 비효율적인 교생일지 작성에 대한 부담이었다. 마지막 구성요소인 <국어 교육대학원이 예비 중등 국어 교사들의 교육실습을 위하여 보완되어야 할 점>의 하위 구성요소들은 1) 교육실습 수행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수업 확대의 필요성 2) 현직 교사와 예비 교사 간의 교류 확대 3) 행정 차원에서의 교육실습 균등화에 대한 필요성이었다. 현재까지 예비 교사에 관한 연구들은 상당수 진척되었지만 그 초점은 주로 초등 및 중등 사범대학 학생들에게 맞추어 있었고, 기존의 연구만으로는 교육대학원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 교과 교사의 고유한 경험을 구별해 내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이러한 한계의 극복을 위해 교육대학원생에 재학하고 있는 예비 교과 교사들만을 대상으로, 그들의 심층적 내적 역동을 탐색하기 위한 질문지를 구성하여 그들의 고유한 경험을 탐색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또한 교육대학원생의 교육실습 경험의 본질적 구조를 밝힌 것에서 나아가, 연구 참여자들의 생생한 육성을 통하여 현 교육실습 제도가 어떤 식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는지에 관한 시사점을 밝힘으로 교육대학원 질적 향상에 기여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교육대학원에 입학하여 교사가 되기를 희망하는 예비 교과 교사들은 교육대학원에 대한 인식 및 정보가 부족하다. 이에 교육대학원에 입학하여 학업생활을 이어가는 과정 및 교육대학원에서 습득한 지식을 최초로 실행해 보는 교육실습 수행 과정 시 심리적 불안을 느끼거나, 초보자로서의 여러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 그러므로 교육대학원에서의 경험이 교육실습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여, 교육대학원생이 자각하고 있는 어려움의 정체와 그들이 생각하는 해결방안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는 교육대학원에 입학하여 중등 교사를 꿈꾸는 예비 교과 교사들이 겪는 시행착오를 줄이는 데에 직, 간접적인 기초 자료로 쓰일 수 있을 것이다. As the center of the higher education is shifting gradually to the graduate schools, the important issues are reinforcement of graduate schools' competitiveness and management of their quality. Nevertheless,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eem to face a sluggish qualitative growth compared with their quantitative growth. In such circumstances, the researcher as an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 perceived it necessary to reflect on her internal dynamics experienced during her education graduate school days and her field practices and thereby, put forwards some suggestions conducive to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is study sampled the preliminary secondary school teachers who had been admitted to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had undergone the regular education curriculum. Thus, the study points were set up as follows; what would the subjects experience during their education graduate school days and field practices?; what implications would such experiences have for them?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for the above study points, some specific questions were set up. First, what experiences did the subjects have before their admission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ly, what experiences did the subjects have during their education graduate school days? Thirdly, what experiences did the subjects have during their field practices? Fourthly, how would the subjects reflect on their experiences of the field practice as a preliminary teacher? Fifthly, what should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complement for the preliminary secondary school teachers' field practice?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for the above questions, this study used the phenomenological method,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o this end, this study sampled 10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s who would be subject to an one-to-one in-depth interview; all of them had studied Korean Language & Literature as a major or dual major at college, and were being enrolled at a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further, had undergone the entire course of the field practices operated by thei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view were transcribed into a data file. Then, the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4 stages of Giorgi(1985)'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In this process, the researcher read the transcribed file several times to understand its contents comprehensively, and thereafter, divided and determined the diversified semantic units of the data, and then, converted them into abstract and academic terminology, and lastly, organized them into a structure of essence. As a result of analysis, some redundant parts were removed, and a total of 240 semantic units were derived after they had been converted academically. Thus, the semantic units were unified to determine 21 sub-constructs and 5 constructs. The first construct was 'subjects' experiences before their admission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ts sub-constructs were 1) emphasis on Korean language educators' internal value, 2) experience of the majors similar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3) close acquaintances' support and encouragement of subjects' decision on their future career. The second construct was 'subject's experiences during the education graduate school days.' Its sub-construct were 1) a sense of alienation due to the distinction between incumbent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2) difficulty of communication with their classmates, 3) improvement of their teaching competence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4) perceived separation between theories and practic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hird construct was 'subjects' experiences during their field practices as an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 Its sub-constructs were 1) positive effects of their status as an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 o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advisor teachers, 2) effects of their status as an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 on their performance of field practices, 3) acquaintances' expectation of and prejudice about the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s, and 4) fear during their field practices as an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 The fourth construct was 'subjects' experiences during their field practices as a preliminary Korean language teacher. Its sub-constructs were 1) awareness of their novice teacher requested for much improvement, 2) accommodation and challenge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their field practices, 3) confidence in their future career, 4) enhancement of pride as a preliminary teacher, 5)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in their relationship with advisor teachers, 6) change of their view of education due to their observation of the actual classroom education, and 7) psychological burden on the ineffective intern teacher's daily report. The last construct was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r subjects' field practices.' Its sub-constructs were 1) need for the expansion of the curriculum directly related with the field practices, 2) expansion of exchanges between incumbent teachers and preliminary ones, and 3) equalization of the field practices in the dimension of school administration. So far, many preceding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preliminary teachers, but their focus is primarily o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college students. Hence, it was perceived that the existing studies alone would not be sufficient to distinguish subjects' unique experiences from other preliminary secondary teachers' ones. This study is perceived significant in that it sampled the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s or the preliminary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thereby, designed an interview paper to review their in-depth internal dynamics and their unique experiences. Furthermore, this study not only examined some fundamental structure of subjects' field practice experiences, but also put forwards some suggestions about the reform measures of the current education graduate school students' field practice system; the reform measures were explored through researchers' in-depth interview with the subjects to find the ways to help improve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education graduate schools. The preliminary teachers who hope to be secondary school teachers by completing the courses operated by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less aware of their reality, much less informed of their future career. Therefore, they would feel a psychological fear or experience various difficulties during their field practices as a preliminary teacher. In such circumstances, it is perceiv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ould provide for some basic data useful to reduce the trials and errors experienced by the preliminary teachers who want to be admitted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become a secondary school teacher.

      • 교육대학원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A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생들을 중심으로

        권소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에 참여하는 성인학습자들이 전공교육에서 체험하는 다양한 학습활동을 통해 학습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육대학원에 입학한 성인학습자들의 진학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교육대학원 전공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들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이 성인학습자들의 졸업 이후 삶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가. 학습경험으로 인한 변화가 삶 속에서 어떻게 전환되는지의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직장생활과 학업을 병행했던 A대학교 교육대학원 졸업생 남성 5인, 여성 5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해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지오르기(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의 4단계를 토대로 녹음한 면담 내용을 전사해 5차례 걸쳐 분석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들이 교육대학원 전공교육에 진학하게 된 이유는 학력상승으로 인한 학습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 삶 속에서 학습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교사자격증 및 학위 취득을 이유로 들 수 있다. 교육대학원에서의 전공교육을 통해 성인학습자는 자신의 직업분야에 있어 전문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둘째, 전공교육에 참여한 성인학습자들은 각자의 기대를 지닌 채 새로운 학습의 장에서 교수자 및 동료학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경험을 한다. 또한 그들은 삶 속에 자기 안에 있는 경험과 새로운 학습경험들을 지속적으로 반추하는 과정을 겪게 된다. 셋째, 스스로 선택한 석사과정에서 학습을 경험한 성인학습자들은 학력에 대한 자신감과 자기만족을 얻고 졸업을 하게 된다. 교육대학원에서의 전공교육은 성인학습자들의 삶에 총체적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성인학습자들은 대학원에서 배웠던 학습의 과정을 자신의 관점으로 재해석해 현업에 적용함으로써 배움의 가치를 증진시켰다. 학습자 스스로가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며 자신의 가치를 높이 평가하는 것에서 배움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연구를 제언한다. 의미군에서 도출된 이론중심의 교육과정(학습내용)을 해결하기 위한 제언으로는 현업과 연관되는 주제를 기준으로 하여 교육대학원 학생들이 원하는 학습내용을 조사‧분석하여 문제중심의 내용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연구가 직접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교육대학원생들의 교육역량 강화와 전문성 신장을 위해 개인의 경력개발 과정과 관련된 종단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전문직업인으로서 변화에 맞게 교육역량을 체계적으로 강화하는 연구를 통해 성인학습자들이 경험한 학습경험 의미에 대한 연구 참여를 유도할 때, 향후 후속 연구의 방향에 질적 연구로서 깊이 있는 해석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 by looking at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experienced by adult learners who took major courses in their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to gi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is study. RQ 1: What are the motivations of the adult learners who entered the graduate school? RQ 2: What was the learning experience of the adult learners who took the major courses in their graduate school? RQ 3: What effects did their learning experience in their graduate school have on the lives of the adult learners after their gradu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method to understand how the changes made by their learning experience were transformed in their lives. To deal with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selected as its study population 10 people (males: n=5; females: n=5), who were formerly students of the graduate school of A University and employees at the same time, and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them. The recorded content of the interviews were transcribed based on the 4 steps of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then analyzed 5 times. The results drawn out from this study show as below. First, the reason why the adult learner entered the graduate school was that they wanted to meet their learning needs for upgrading level of their education backgrounds while recognizing the need for learning in their lives. More specifically, they wanted to get teaching certificates and master's degrees. They were able to upgrade their specialty in their fields of work by taking major courses in their graduate school. Second, the adult learners who took major courses in their graduate school had their learning experience through the interactions with their professors and fellow students each of them having their own hopes at the new place of learning. In addition, they came to go throw a process of continuously ruminating on their own experience in their lives and their newly found learning experience. Third, the adult learners who experienced learning on the master's courses of their own choice graduated from their graduate schools with more confidence in their education backgrounds and more self-contentment. Major courses they took in their graduate school brought overall changes to their lives. In particular, they increased the value of their learning by reinterpreting the learning processes obtained in their graduate school from their own perspectives and applying them to their current jobs. They could found the meaning of learning stemming by leading their autonomous lives while upgrading their own values. This study suggested follow-up studies should be carried out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t also suggested that based on the subjects related to their current jobs, investigation and analysis should be made of the learning content that graduate students of education wan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a theory-centered education process (content of education) drawn out from the interviews and studies should be made to develop various programs devoted to solving them. In addition, longitudinal studie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graduate students' careers should be performed to promote their educational competency and specialty. Only when adult learners are induced to take part in the study of the meaning of their learning experience through the studies that systematically enhance their educational competency as professionals and keep up with changing trends can a profound interpretation as qualitative research be assured in the direction of the future studies.

      • 초등교원 양성 교육기관의 운영 현황에 대한 분석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송명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부존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가 미래 정보화?세계화 시대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기 위해서는 미래의 주역인 어린이들을 잘 교육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런데 교사의 질이 교육의 질을 좌우한다는 말처럼 초등교육이 훌륭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수한 예비교원을 양성하는 것 또한 몹시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교원 양성기관인 10개 교육대학교의 초등교육 양성교육 운영 현황 및 실태를 인력, 교육여건, 교육과정 세분야로 나누어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원 양성교육에 나타난 문제점의 개선 및 발전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세분야에 대한 각각의 연구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대학교에 입학하는 학생은 입학성적이 매우 우수하고 재학중 중도 탈락생도 거의 없다 이것은 교사로의 취업가능성이 매우 높고 교직이 안정적인 직업으로 선호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최근 학령아동 감소등의 이유로 초등교원 수요가 줄어 임용률이 크게 낮아지고 있으므로 장기적?체계적인 교원 수요 예측을 통해 적정 양성 규모를 강구해 나가야 한다. 또한 교육대학교 차원에서 남자 초등교원에 대한 교직 유인책을 강화하여 초등교원의 지나친 성비 불균형 현상에 따른 국민들의 우려를 해소해야 한다. 교육대학교는 필요 교수수가 절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법정 교수 확보율이 50%도 미치지 못하고 있어 심각한 수준이다. 따라서 교수의 주당 수업시수가 매우 많고 이로 인하여 교수 본연의 임무라고 할 수 있는 연구실적도 저조하다. 더불어 교수 부족으로 많은 강의를 시간강사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부족 교수를 충원하는 것이 급선무이지만 교수 채용시, 교과 교육학을 전공한 우수 교수 요원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 한편, 교육대학교는 교지?교사, 기숙사, 장서 보유수 등의 교육여건면에서 타 국립대학교와 비교할 경우 대체로 비슷하거나 양호하다. 그러나 규모의 경제면에 있어 비효율성이 존재한다. 그런데 수익의 측면에서 볼 경우 교직으로 진출할 확률이 높아 인적자원의 활용면에서 효율성을 가지므로 국가의 지속적인 투자가 필요하다고 본다. 교육대학교의 교육과정은 내?외부적인 환경변화에 따라 수차례에 걸쳐 변화되어 왔다. 교육과정은 대부분 전체 교육대학교의 협의에 따라 계속해서 발전적인 방향으로 편성되어 왔지만 여전히 많은 문제점이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선 전공과정이 비대하여 교양과정, 전공과정, 심화과정간 뷸균형 현상이 심하고, 졸업이수 학점이 타 일반대학교의 초등교육과나 외국 교원양성 대학에 비해 과다하여 학생들에게 부담을 주고 있다. 또한 필수 이수 과목이 너무 많이 편성되어 있어 학습자의 다양한 학습 경험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교육대학교 심화과정은 교과전담교사 양성이라는 본래의 기능을 상실해 가면서 최근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교육과정 영역간 학점수를 균형성 있게 배분하고, 현 체제에 비하여 초등교원의 전문성과 사회적 인식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교원교육 기간의 연장을 검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자유선택 영역을 설정하고 선택과목의 폭을 확대시켜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심화과정을 과감히 개편하여 일부 학생에게는 영어, 체육, 음악등 1개 기능 교육을 요하는 교과교육을 집중적으로 이수하게 하는 교육과정 편성 방법을 신중히 검토해 보아야 한다. 이상은 교육대학교의 교육력을 인력, 교육여건, 교육과정에 한정하여 조사한 결과이긴 하지만 교육대학교 교육이 몇 가지 점에서 중요한 문제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여 교육력을 배가시키기 위한 계속적인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특히 교육대학교의 ‘실질적인’ 매력을 제고하기 위해서 신입생 선발시 학교 성적외에도 교직적성?인성검사 도구를 적극 활용하여 평가도구로 사용하고, 우수한 교수를 초빙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교수능력 계발에도 힘써야 한다. 아울러 지금의 교원양성 교육이 예비교원의 전문성을 길러주기에는 그 기간이 짧다는 점을 고려하여 교원양성 교육을 대학원 수준으로 상향 조정하는 것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것은 교육대학교 구성원만의 노력으로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정부와 사회일반, 그리고 교육대학교 교수와 학생, 교육현장이 공동으로 교육대학교 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후원해 나가야 할 것이다.

      •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정체성 형성 과정 연구

        장한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1959년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에서 최초로 근대적이며 체계적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이 시작되었고, 1969년에는 한국어교육에 관한 최초의 전문 연구인 노대규의 석사 학위 논문이 나왔다. 이를 시작으로 한국어교육이 급속도로 성장한 1980년대 중반과 1990년대를 거치면서 한국어교육학 연구도 본격화되었다. 또한 2001년 김은주의 논의를 시작으로 2000년대 이후로 한국어교육학이라는 학문과 학문적 정체성에 관한 논의도 끊임없이 계속되었다. 이와 같이 한국어교육 연구가 시작된 지 반 세기 가까이 되었고 한국어교육학이라는 학문의 정체성과 관련된 논의가 시작된 지 10년이 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어교육학이라는 학문의 정체성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한 다각적이고 역사적인 시각의 연구가 상당히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 내용의 축적이나 연구방법론의 측면, 혹은 일반적인 학문 영역의 분류 측면에서 한국어교육학의 학문 영역과 정체성을 논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었고 한국어교육학 관련 정책·법 및 학위 과정과 학술 단체와 같은 학문의 외적 기반을 포함하여 종합적·다각적으로 보려는 논의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또 학문적 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역사적인 시각에서 분석한 연구도 매우 드물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신생 학문으로서의 ‘한국어교육학’이 하나의 독립적인 학문으로서 발전·정착하여 올 수 있도록 해준 다양한 요인들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 결과를 종합하여 역사적인 시각에서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이다. 하나의 학문이 그 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연구 내용의 축적 및 타당한 연구방법론의 적용이라는 학문 내적인 발전과 함께 이를 지탱해주는 학문 외적 기반의 형성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어교육학이나 국어국문학과는 별개의 하나의 독립 학문으로서의 한국어교육학이 그 고유한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해왔는지를 학문 내적인 발전 양상뿐만 아니라 외적 발전 과정까지 고려하여 살펴본다.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끼친 학문 내적 요인으로서 연구 내용의 축적과 연구방법론의 발전이 있다. 1969년 노대규의 석사 학위 논문을 시작으로 한국어교육과 관련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특히 1980년대 이후로는 주제의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1990년대에는 연구의 폭발적 양적 성장까지 이루어져서 비로소 연구의 내용이 축적되었다는 표현이 가능해질 정도에까지 이르렀다. 또 2000년대 이후로는 문화교육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여 한국어문화교육 관련 연구가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연구의 방법론적인 측면에 있어서 아직까지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주제에 적합한 타당한 연구방법론의 적용이 미진한 실정이라는 점이 한계로 지적된다. 한국어교육학의 학문 발전의 토대가 되는 첫 번째 외적 요인으로서 관련 정책 및 법을 살펴보았다. 해외 교포를 위한 한국어교육 정책으로부터 시작된 정부의 한국어교육 관련 정책은 1990년대 후반부터 추진된 한국어세계화 프로젝트로 집약되었으며, 이를 통해 한국어교육 각 분야에 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또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한국어교육학은 마침내 2002년 학술연구분야 분류표에 사회과학의 한 분야로서 독립 학문 영역으로 분류되는 등 그 학문적 위상을 정식으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 한국어교육 관련 법도 1970년대 재외 교포 한국어교육을 위한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1990년대 문화예술진흥법을 거쳐 마침내 2005년 『국어기본법』의 시행으로 한국어교육 및 한국어교육학의 법적 기반을 탄탄히 다지게 되었다. 한국어교육학의 학문적 발전의 두 번째 중요한 외적 요인으로서 학위 과정과 학술 단체의 발전상을 살펴보았다. 학위 과정의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이 실시되고 교육의 최종 결과로서 학위 논문이 배출되며 학술 단체의 학술대회나 정기 학술지 연구 논문 발표를 통해서도 연구물이 축적되고 방법론이 발전되어 가기 때문이다. 따라서 1982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독립 전공이 신설된 이래 1990년대 후반 이후 폭발적으로 증가한 한국어교육학 학위 과정은 한국어교육학 정체성 형성에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교육대학원뿐만 아니라 학부 과정에도 한국어교육 관련 학과가 신설되었고, 2000년대 중반 이후로는 일반대학원에도 한국어교육학과가 거의 해마다 신설되고 있다. 1980년대에 한국어교육 관련 학술 단체인 이중언어학회(1981)와 국제한국어교육학회(1985)가 창립되어 한국어교육학 관련 연구가 상당히 축적된 점도 한국어교육학 발전의 역사에 상당히 중요성을 갖는 부분이다. 또한 2000년대에 들어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2001)와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2003) 두 개의 학술 단체가 창립하면서 한국어교육학 연구 주제가 더욱 다양화되었다. 학회의 이름 그대로 언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현재까지도 한국어문화교육 관련 연구를 상당히 진척시키고 있다. 이와 같이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끼친 학문 내·외적 요인을 다각적으로 살펴본 결과 한국어교육학 발전의 흐름은 총 세 시기로 구분될 수 있었다. 태동기(1959년-1980년대 초반)는 아직 학문적 정체성이 성립되기 전이기는 하나 한국어교육학이 존재할 수 있는 토대로서 한국어교육이 최초로 실시되고 미약하나마 한국어교육 관련 연구가 시작되는 단계였다. 다음으로 성립기(1980년대 중반-1990년대)는 대학 학위 과정과 한국어교육 전문 학술 단체가 신설되었음은 물론 정부가 정책적으로 한국어교육 연구를 지원하면서 한국어교육 연구가 크게 증가하여 본격적으로 학문적 정체성이 성립되기 시작한 시기이다. 마지막으로 발전기(2000년대-현재)는 학문적(학술연구분야 분류표)·법적(국어기본법)으로 한국어교육학이 독립적 학문 영역으로서 그 위상을 정식 인정받게 되고 학위 과정의 폭발적 증가와 관련 학술 단체의 창립으로 학문적 심화가 더욱 깊어지고 있는 현재까지의 시기이다. 이와 같이 한국어교육학의 정체성에 관한 기존의 논의를 정리하고,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끼친 학문 내·외적 요인을 다각적으로 살펴보며, 한국어교육학이 그 정체성을 형성시켜 온 발자취를 더듬어봄으로써 현재의 한국어교육학이 국어와 구분되는 ‘한국어’, 국어학이나 국어교육학과 구분되는 ‘한국어교육학’의 특수한 개념과 영역을 어떻게 확보해 나갔는지를 알 수 있었다. 다만 여전히 한국어라는 포괄적 개념보다 국어라는 배타적 개념이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한국어교육학 학위 과정이 일관성 있는 체계 하에 구성되어 있기 않아서 여전히 한국어교육학이 해결해야 할 과제가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modern and systematic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KFL) education began at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 at Yonsei University in 1959. The first academic study on KFL education was published in 1969 by De-Kyu Noh. As the demands for KFL education skyrocketed from the mid-1980s and throughout the 1990s, scholars vigorously delved into research in this disciplinary field as well. Moreover, kindled by Eun-ju Kim’s discussion in 2001, heated discussions of Korean Language pedagogy as a discipline and its academic identity have never subsided. Despite the facts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began nearly a half century ago and discussions of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Korean Language pedagogy has been ongoing for more than ten years, there are hardly any studies that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academic identity of Korean Language pedagogy from multilateral and historical perspectives. Most studies surveyed the discipline with focuses on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contents, research methodology or the general categorization of the discipline. Researchers have not attempted to discuss the identity of the discipline from a more comprehensive and multilateral view with reference to the discipline’s external foundations, such as related policies, laws, course curriculum and academic societies. Furthermore, as previously mentioned, hardly any studies approached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Korean Language pedagogy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Hence, in an effort to hurdl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literature, the present study performs a multilateral analysis of various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independent academic discipline. Moreover, this study reviews its study results to identify ― from a historical view ― the process through which the disciplinary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constructed. In order for a discipline to develop its identity, an internal growth, referring to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data and the application of valid research methods, and an external foundation must be well established.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formative process of the unique disciplinary ident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independent discipline (distinguished from Korean as a Native Language Education), with reference to not only the discipline’s internal growth, but also its external development. The internal disciplinary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Korean Language pedagogy’s identity include the accumulation of research data and development of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began in 1969 with the publication of Dae-Kyu Noh’s master’s thesis. Owing to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opics in the 1980s and a tremendous quantitative increase of studies, we now have a sufficient amount of accumulated research contents. Moreover, heightened interests in cultural education from the 2000s have also prompted research related to Korean culture education. However, many point out that researchers have yet to develop and apply a valid research methodology appropriate for the research topics pertaining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policies and laws are one of the external factors that lay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discipline. The first step the Korean government undertook regar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to implement a policy for Korean residents abroad. The Korean Language Globalization Project launched by the government in the late 1990s, which marked the pinnac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policies, facilitated and supported systematic research on each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With constructive supports and effor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officially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field of social sciences in the Categorization of Academic Research Fields in 2002.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laws also began with those for Korean residents abroad in the 1970s, after which the Culture and Arts Promotion Act was enacted in the 1990s. With the enforcement of “The Fundamental Law of Korean Language” in 2005, a sturdy legal foundation was establish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next examined the development of course curricula and academic societies. These are also some of the extern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 growth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discipline because students are taught based on the course curriculum, which in turn lead to degree theses; research data are accumulated and appropriate research methodology are developed via publications of studies in academic conferences or journal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Education” maj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t Yonsei University in 1982, there was an upsurg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degree programs in the late 1990s. Korean Language education majors were established also in undergraduate schools from the late 1990s, and is being launched in general graduate schools annually since the mid-2000s. Academic societi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lso began to form in the 1980s. The Korean Society of Bilingualism was established in 1981, and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established in 1985, producing a considerable amou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related research. Moreover,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stablished in 2001 and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Society launched in 2003 contributed to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opic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se societies, as their names suggest,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culture education in language education and have remarkably advance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research. Boosted by the multiplication of degree programs and establishment of significant academic societies, the discipline of Korean Language have come a long way since its inception. After examin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s disciplinary identity, this study discovered three significant periods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fant stage (1959 ∼ early-1980s), adolescent stage (mid-1980s ∼ 1990s), and development stage (2000s ∼ present). The infant stage was a period in which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first begun and a foundation was laid for future developments. However, a disciplinary identity had not been formed during this period. During the adolescent period, Korean Language education had seen significant growth with professional academic societies and college degree programs established and government support provid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he discipline was inundated with research data, which led to the formation of an identity. Finally, during the development stage,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legally (The Fundamental Law for Korean Language) and academically (Categorization of Academic Research Fields) recognized as an independent disciplinary field. Degree programs escalated and new academic societies were established, leading to more in-depth research and growth of the discipline. As shown here, this study traced the process through which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med its disciplinary identity by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 on the subject and examin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identify formation. Through this examination, we have seen how “Korean Language Education” have constructed and secured its unique field, distinguished from “Korean as a Native Language” and “Korean as a Native Language Education.” However, Korean Language education still faces several challenges because the term “Korean language” prevalent today holds an exclusive meaning, only referring to Korean as a Native Language while excluding the concept of Korean as a Second or Foreign Language, and the course curricula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not structured under an organized and standardized system.

      • 교육대학원 음악 교과목에 나타난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 분석 연구

        신승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2015년 9월, 교육부에서 발표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으로 각 교과를 통해 핵심역량들을 키울 것을 강조하고 있다. 그중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음악적 감성 역량과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음악적 소통 역량, 문화적 공동체 역량, 음악정보처리 역량, 자기관리 역량과 같은 6가지 핵심역량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교육의 흐름에 발맞추어 본 논문은 서울에 소재한 11개 교육대학원 음악 교과목들에 나타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들을 분석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추후 교육대학원에서 교과목들을 개설할 때 고려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교육대학원 음악 교과목의 강의계획서에 제시된 강의목표를 분석하고, 핵심역량들의 하위 요소와 관련이 있는지 비교하였다. 각 비교는 교육대학원별, 교과목별, 교과영역별, 성취영역별로 진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11개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의 교과목들은 음악정보처리 역량과 자기관리 역량과는 높은 연계성을 보인 반면, 그 외 역량들은 음악적 감성 역량,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문화적 공동체 역량, 음악적 소통 역량 순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연계성을 보였다. 그중 음악적 소통 역량은 6가지 핵심역량 중 가장 낮은 연계성을 보였다. 둘째, 교과목마다 높은 연계성을 보이는 역량과 연계성을 보이지 않는 역량이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났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전통음악이나 음악사 관련 교과목은 문화적 공동체 역량과 높은 연계성을 보였으며, 창작 관련 교과목은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그리고 악기와 관련된 교과목은 음악적 감성 역량, 음악적 소통 역량과 높은 연계성을 보였다. 반면 연구 활동과 관련된 교과목은 음악적 감성 역량, 음악적 소통 역량과 낮은 연계성을 보였다. 셋째, 일부 핵심역량들은 특정 교과 영역에서 뚜렷한 연계성을 보였다. 예를 들어 음악적 감성 역량과 음악적 소통 역량은 교과내용학(실기) 영역에서 뚜렷한 연계성을 보였으며,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은 교과교육학 영역에서 매우 높은 연계성을 보였다. 무엇보다 본 논문에서는 음악 교과에서 가장 강조되어야 할 음악적 감성 역량과 음악적 소통 역량이 교육대학원 교과목과의 연계성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보인 것이 매우 특징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성격과 부합하는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역시 음악 교과목에서 낮은 관련성을 보였다. 이에 따라 교육대학원에서 추후 교육과정을 편성할 때, 본 논문의 결과가 기초자료로 사용되어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이 공교육의 흐름과 더욱 연결될 수 있길 기대한다. 궁극적으로는 본 논문이 음악교육의 발전에 작은 보탬이 되길 기대해 본다.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September 2015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through each subject core as a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Among them, music subject curriculum presented six core competencies such as musical emotional competence, musical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e,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cultural community composition competence, music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and self-management competence. In keeping with this trend, this paper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music subject curriculum of 11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that can be considered when opening classes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goals presented in the teaching plan of the music subject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compared it with the sub-factors of core competencies. The comparisons were conducted by educational graduate school, by subject, by subject area, and by achievement area, and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 of this study. First, the curriculums of the music subject in 11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music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and self-management competence, while other competencies showed relatively lower correlation in the order of musical emotional competence, musical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e,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 and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them,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showed the lowest correlation among the six core competencies. Second, closely related competences and little related competences are clearly shown. For example,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music history subject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cultural community competence, creation related subject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musical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e, and musical instrument related subjects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musical emotional competence and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the subjects related to the research activities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musical emotional competence and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Third, some core competencies showed clear correlation in specific subject areas. For example, musical emotional competence and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have a clear correlation in the field of subject content area (practical skills), and musical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e has very high correlation in the field of subject educational area. First of all, the most remarkable characteristic result in this paper is that the musical emotional competence and musical communication competence that should be emphasized most in the music curriculum have relatively low correlation to the curriculum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addition, musical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e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natur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d little correlation in music subject curriculum.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an be consistent with public education by using the results of this paper as basic data when the curriculum is organized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Ultimately, it is hoped that this paper can be make a small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육과정과 중등임용시험의 연계성 비교연구

        유지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육과정과 중등임용시험의 1차 문항을 분석하고, 둘 사이의 연계성을 비교연구 함으로써, 우리나라 교원양성기관과 교사의 양성과 임용이 얼마나 적절하게 연계되어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중등 임용 시험 1차 시험 문항을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 4대 영역으로 분류하여 영역별 출제비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2012년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 교원양성기관 평가결과를 토대로 A, B, C, D등급을 받은 교원양성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을 각각 1개씩 선정하여 총 4개의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육과정을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 영역으로 나누어 이들이 차지하는 비율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위 두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육과정과 중등임용시험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학년도부터 2012학년도까지 최근 4년간 실시된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 1차 문항을 연도별로 영어교육학, 영어학, 영문학, 일반영어의 4대 영역으로 영역별 평균 출제 비율을 분석해본 결과, 일반영어(36.9%), 영어교육학(35.3%), 영어학(18.3%), 영문학(9.5%) 순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일반영어 영역과 영어교육학 영역이 비슷하게 높은 비율을 차지하며 출제되고 있는 모습은 임용시험이 현시대가 요구하는 교사의 능력과 자질을 적절하게 평가하기 위해 일반영어 영역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영어교육에 대한 이론적 지식과 교수능력을 또한 강조하는 것의 일환으로 일반영어 영역과 비슷한 비율로 영어교육학 영역을 출제하여 영어교사의 전문성을 중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A, B, C, D등급을 받은 4개의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육과정을 살펴본 결과 공통적으로 영어교육학 영역에 가장 높은 비율로 교과목을 배치하여 운영하고 있는 반면, 일반영어 영역에서는 교과목 비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교육과정과 중등 임용 시험의 연계성을 고려해 볼 때, 개선되어야 할 점이 있음을 분명히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먼저, 교육대학원 영어교육 전공과정에서는 고급수준의 영어읽기, 영어쓰기를 통하여 영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과목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임용시험 일반영어 영역에 대비하여 합격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교과목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영문학 영역은 개론이나 순수학문 위주의 영어영문학 전공 교육과정과 유사한 교과목에서 벗어나 영어교육 현장에서 실재로 영문학을 적용하여 진행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수 방법 및 기술을 익힐 수 있는 실용적인 교과목들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에 가장 높은 비율로 배치되어있는 영어교육학 영역에서는 현장에서의 실제 수업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교수 기법과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들을 소개하는 교과목들도 도입하여 교원양성기관의 바람직한 역할을 수행해 나가는데 힘써야 할 것이다.

      • 교원 양성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연구 : 중등 영어교사 임용시험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소은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s pre-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e is appropriately structured to train future English teachers in current English education field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desirable curriculum. As a basis for judging whether or not a proper curriculum is composed, this study analyzed the ratio of the distribution of the question types between pedagogical areas (교과교육학), content areas (교과내용학), and General English (English reading and English writing) of the National Teachers' Bar Exams of the past five years (2014-2018).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is study compared the distribution ratio of those three areas to graduate school curriculum in order to find out the appropriate distribution ratio of each three area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wo analyses were performed. First, the curricular of the 43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ree areas mentioned above. Then the National Teachers's Bar Exams from 2014 to 2018)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second and third period exam items. Finally, the two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compared in order to present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urriculum structures and to suggest the appropriate proportion of the three areas : English pedagogical subject area, the English content area, the general English area. Th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portion of general English domain in the Bar Exams are as high as that of the domains of the pedagogical area and the content area. Second, all of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focus on the content and pedagogical areas and the general English domain (reading and writing) are not significantly taken care of. Third, the distribution proportion of content and pedagogical domains of the curriculum are coincid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Bar Exam. However, the general English domain is rarely correlated with the curriculum construc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ill be able to cultivate future English teachers with genuine English ability by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General English subjects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practical field of English Education today. Additionally, unlike the previous studies, which compared the domains of the pedagogical area and the content area of the curriculum,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it focuses on the ratio and distribution in the general English domain composed of English reading and English writing.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의 교육과정이 오늘날의 영어교육현장에 적절한 영어교사를 양성하기에 적절히 구성되어 있는지를 살펴보고 바람직한 교육과정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적절한 교육과정구성의 여부를 판단할 근거로서는 교원임용고사의 교과교육학, 교과내용학, 일반영어(영어독해 및 영어작문)의 출제비율을 영역별 출제문항 수 및 배점을 기준으로 분석한 후 이를 바탕으로 각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 분포비율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8)의“표시과목 <영어>의 교사 자격 기준과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근거하여 2014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의 2교시 전공 A와 3교시 전공 B의 문항을 분류한 뒤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한다. 첫째,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에 해당하는 과목을 전체로 묶어 하나의 단위로 구분하고 영어독해와 영어작문을 각각의 단위로 구분하여 교과교육/교과내용, 영어독해, 영어작문 총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분석방법 1). 둘째, 교과교육학/교과내용학 문항 중, 독해와 작문 능력이 뒷받침되어야 풀 수 있는 문항은 독해 혹은 작문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분석방법 2). 그리고 2015년도와 2016년도에 실시된 제 4주기 교원양성기관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양성 기능을 수행하는 교육대학원 총 44개를 선정, 각 대학을 등급별로 나누어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의 두 결과를 바탕으로 임용고사에서의 독해와 작문의 비중과 교육과정에서 해당 과목들의 비중을 비교 분석하여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편성 현황과 적절한 편성 비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4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지난 5년간의 개편된 임용고사의 문항 중 일반영어를 중심으로 분석해 본 결과, 일반 영어(영어독해 및 영어 작문)의 비중이 전공 영역 문항의 비중 못지않게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양성기관 평가 등급에 상관없이 모든 교육대학원은 대부분의 교육을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영어독해 및 영어작문과 같은 실질적인 기능 향상을 위한 일반영어의 수업 편성은 미미한 실정이었다. 셋째, 교육대학원 교육과정과 임용고사 문항의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등 전공 관련 과목의 편성은 임용고사의 경향과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임용고사에서 일반영어로 대표되는 영어독해와 영어작문 과목을 교육과정과 비교해 보았을 때, 임용고사에서의 높은 출제 비율과는 대조적으로 교육과정의 반영률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의 편성을 임용고사 출제 비율이라는 기준에 맞추어 분석한 결과,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과목만 중점 편성, 지도하고 일반영어는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교육대학원은 현장 영어교육의 추세 및 방향에 맞추어 일반영어의 비중을 좀 더 늘려 균형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만 진정한 능력을 갖춘 영어교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것이 본 연구의 결론이다. 마지막으로 전공 영역과 일반영어 영역의 출제 문항을 골고루 비교했던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는 영어독해와 영어작문으로 구성된 일반영어 영역에서의 출제 비율 및 분포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