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동중앙신시장 청년 몰 활성화 방안 연구

        권은영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전통시장은 서민들의 삶의 애환이 깃들어진 소통의 공간으로 우리의 경제활동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었던 곳이다. 그러나 1996년 우리나라 유통시장의 전면개방을 전후하여 전통시장은 고객과 매출감소라는 어려움에 직면해 있다. 유통시장의 개방과 SSM(기업형 슈퍼마켓) 등 대형마트의 경쟁적 진출로 인해 전통시장의 점점 더 위축되어 가고 있고 소비자의 구매패턴 변화와 인구의 감소는 전통시장의 미래를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하여 정부에서는 2002년 ‘중소기업의 구조개선과 재래시장활성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의 제정을 시작으로 현재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지원을 위한 특별법‘을 통해 다양한 방면으로 시설현대화와 경영현대화를 위한 지원을 계속하여 오고 있다. 안동의 전통시장 또한 쇠퇴의 양상을 걷고 있어 다양한 지원책과 자구책을 마련해 나가고 있으나 눈에 띄는 고객 유입현상은 찾아 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의 일환으로 정부는 2015년부터 상인들의 고령화와 인구 감소 등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만19세 이상에서 39세 이하의 청년 상인을 대상으로 청년 몰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청년 몰 사업은 상인들의 세대교체 및 젊은 층 고객 유입을 위해 미래 전통시장을 이끌어나갈 청년 상인을 육성하고, 창업지원을 통해 전통시장의 변화와 혁신을 유도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진행되고 있다. 안동중앙신시장은 2017년 청년 몰 지원 사업에 선정되어 2018년 11월 사업이 완료되었다. 20개의 상점이 입점하여 영업을 하고 있으나 사업 시행 당시 기대했던 젊은 층의 고객 유입과 시장의 활성화에 끼치는 영향은 미미하다. 아직 청년 몰이 조성 된 지 채 1년이 지나지 않아서 그 성공여부를 판가름하기에 이른 감은 있지만 청년 몰 조성이전의 청년창업 지원 사업이나 타 시장의 청년 몰 조성 결과 그리고 기존 상인들과 청년 몰 입주 상인들의 의견을 수렴해 보았을 때 안동중앙신시장 청년 몰의 미래도 그리 밝지 만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동중앙신시장 청년 몰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대책 방안을 마련하여 안동중앙신시장 청년 몰이 전통시장 활성화는 물론 중앙신시장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기반 조성 방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청년 몰 조성의 성공은 단순한 전통시장 활성화 뿐 만 아니라 지역민은 물론 관광객 유입 효과까지 얻을 수 있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자원으로까지 활용된다는 측면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Keywords : 안동중앙신시장, 청년 몰, 전통시장, 랜드마크, 관광자원

      • 안동생강의 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개발

        강미혜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경북 안동은 전국 최대의 생강 주산지이다. 기후와 토양이 생강 재배에 적합하여 품질 좋은 생강이 생산된다. 그러나 안동생강과 그 공동 브랜드인 ‘그대생강’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따라서 생강의 건강 효용성, 생강 재배 환경의 우위, 차별화된 고품질 특산품으로서 안동생강을 부각시키기 위한 홍보마케팅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안동생강의 공동 브랜드 ‘그대생강’의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개발해 지역 특산물로서 이미지를 구축하고 안동생강 산업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역 특산물 브랜드와 이와 연관된 스토리텔링에 대해 알아보고, 안동생강의 특징과 브랜드화 현황에 대해 검토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지역 특산물 브랜드 스토리텔링 개발 방안을 정립했다. ‘그대생강’ 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계는 자료 조사를 통해 스토리텔링 소재를 수집하였다. 생강, 특히 안동생강과 관련된 기초 조사, 자원 핵심 조사, 전승 가치 및 활용 가치를 조사하였다. 인류에게 오래 동안 약으로 사용되어온 생강은 무엇보다 역사 문화적 이야기 소재가 많다. 2단계는 자료 조사를 토대로 스토리 자원을 추출하였다. 우선 안동생강의 스토리 속성을 분석하여 목록을 작성했다. 그 결과 두루 이롭게 쓰이면서도 본연의 색과 향기를 잃지 않는 생강의 고귀함, 강직함, 정결의 이미지를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의 이미지와 결부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연결은 생강의 매력성과 안동의 지역성을 동시에 부각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3단계로 스토리텔링을 개발하였다. 핵심 테마를 ‘격(格)이 다른 안동생강’으로 설정하였고, 핵심 스토리로 《안동 생강선생 이야기》 시리즈를 기획했다. 개발한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1편 〈안동 생강선생을 소개 하오〉, 2편 〈도산십삼차(陶山十三茶)의 탄생〉, 3편 〈사랑을 이어주는 그대생강〉이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스토리텔링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스토리텔링 확장을 위한 지역 연계 사업화 프로그램으로 ‘그대’생강의 이미지를 활용한 소비자 참여형 스토리텔링의 확산방법 및 생강‘선생’의 이미지를 부각한 선생님과 함께 하는 뉴트로 생강 축제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격이 다른 안동생강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일조함으로써 그대생강 브랜드 활성화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안동생강의 효능과 정보, 역사적 사실 등이 널리 알려지고, 생강이 양념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유용하고 매력적인 지역 특산물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나아가 안동생강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문화관광 사업에 활용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안동·임하호 주요 유입지천의 수질평가와 생물군집분석

        유혁 안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적 요 본 연구는 안동호와 임하호의 생물군집구조와 수질을 파악하고,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2015년에 4개 지점(AD1, AD2, IH1, IH2)을 5월부터 9월까지, 2016년에 4개 지점(AD3, AD4, IH3, IH4)을 5월부터 9월까지 총 8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점은 안동호와 임하호의 주요 유입지천으로 안동호(4개 지점), 임하호(4개 지점)을 선택하여 시행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 안동호에서는 총 4문 6강 15목 55과 114종 59.913.7 개체/m2가 조사되었고, 임하호에서는 총 5문 7강 17목 57과 112종 39.038.4 개체/m2가 조사되었다.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은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종수 및 개체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안동호와 임하호는 유수역을 선호하는 줄날도래과. 납작하루살이과에 속하는 종들과 정수역을 선호하는 깔따구과, 먹파리과에 속하는 종들이 높은 개체수 밀도를 나타냈다. 3) 안동호는 임하호에 비해 평균 다양도지수, 균등도지수, 풍부도지수가 낮은 값을 나타냈고, 평균 우점도지수는 높은 값을 나타냈다. 4) 섭식기능군(FFGs) 분석 결과, 대부분의 지점에서 주워먹는무리(Gathering collector)에 속하는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AD1, AD4, IH1은 3차 조사 시 썰어먹는무리의 종수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서식기능군(FHGs) 분석 결과, 유속이 빠르고 다양한 하상구조를 가지는 대부분 지점에서 붙는무리의 종수, 개체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SP, CB의 종수 및 개체수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6) 군집안정성 분석 결과, 안동호와 임하호는 상대적 저항력과 회복력이 높은 특성군 I 그룹에 속하는 종들의 출현율은 비슷하게 나타났고, 상대적 저항력과 회복력이 낮은 특성군 III에 속하는 종들의 출현율은 임하호의 특성군 III에 속하는 종들의 출현율 보다 낮게 나타났다. 7) 생물학적 수질평가(ESB)에서 안동호와 임하호는 조사 시기별 증감의 폭은 높게 나타났고, I 등급의 `양호`한 환경상태를 나타냈다. 2. 이화학적 수질분석 1) 안동호와 임하호의 평균 수온은 15.8℃~28.3℃의 범위를 보였다. 안동호는 평균 수온 3.4℃~9.9℃의 범위를 나타냈고, 임하호는 평균 수온 4.2℃~6.0℃의 범위를 나타냈다. 2) 안동호의 용안동호의 용존산소량은 9.8mg/L로 나타났고, 임하호의 용존산소는 10.3mg/L로 나타났다. 3) 수소이온농도는 전 조사지점에서 6.9~9.3의 범위를 보였고 `I~II` 등급으로 나타났다. 4) 전기전도도는 조사기간 중 평균 173~448μS/cm의 범위를 나타냈고, 안동호는 평균 276.8μS/cm, 임하호는 273.2μS/cm의 범위를 나타냈다. 5) 생화학적 산소요구량은 AD3, AD4, IH3, IH4에서 3차 조사 시 값의 최대치를 나타냈다. 6) 화학적 산소요구량은 AD3, AD4, IH3, IH4에서 3차 조사 시 가장 최소값을 나타냈다. 7) 총 질소는 AD1, AD3, AD4에서 `III` 등급의 `보통` 등급에 속하였고, AD2는 `Ia` 등급의 `매우좋음` 등급에 속하였다. IH2, IH3은 `Ib` 등급의 `좋음` 등급에 속하였고, IH1은 `Ia` 등급의 `매우 좋음` 등급에 속하였다. IH4는 `II` 등급의 `좋음` 등급에 속하였다 8) 총 인은 AD3, AD4, IH1, IH3, IH4는 4차 조사 시 총 인의 양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부유물질은 전반적으로 IH1을 제외한 전 지점에서 3차 조사 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상관관계 분석 Pearson’s rank correlation analysis 결과, 전기전도도는 종수, 다양도지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BU의 개체수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DO는 ESB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T-N은 ESB와 다양도지수, SP의 개체수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 地方政府의 再活用廢棄物 管理體系에 관한 實證分析 : 安東市를 中心으로

        이상열 安東大學校 行政經營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s of Andong city for recycling living wastes. Waste management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of the municipal government administration, a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from such wastes continues to worse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imited to recyclable wastes. The research methods I used are bibliographical research, field survey and interviews of government officials, wastes collection workers and Andong city residents. The analysis in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management recycling of living wastes in Andong city: 1) Separate collection of recyclable wastes is not properly done. 2) The percentage of food wastes-26% is considerably high. 3) The municipal government instituted a program, in which residents pay disposal fe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gs used to take out wastes. However, many residents still refuse to use these bags. This program is called Jongryangje. 4) Even though much expense has been invested for efficient wastes disposal, it has not been effectively implemented. 5) Andong city has a bilateral wastes control agency managed by civilian business organizations as well as Andong city. However, they have not established efficient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is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present wastes control systems of Andong city. these are as follows: 1) The city government should provide more intensive publicity campaigns to raise public interest in recycling. 2) The city government should reactivate Jongryangje. Food wastes may be lessened by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s to encourage reasonable food culture. 3) In terms of the whole process of wastes disposal, Andong city has taken charge of some parts while other parts are religated to business organizations. This bilateral system has been found ineffective.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commit the whole management process to a civilian contractor rather than having it remain under city government's direct management. 4) Some programs must be devised to improve residents'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and to promote citizens' voluntary participation in recycling movement. 5) Some measures must be devised to draw citizens' cooperation through, for example, residents' conferences. Although the city government now takes a lead in the management of wastes disposal, it can not be done successfully without the active cooperation of residents.

      •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의 문화실천적 의의와 과제

        김민기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안동에서 시작된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실천적 의의와 과제를 살펴본 것이다.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의 주체와 내용을 분석하기 위해 매달 이루어지는 ‘안동문화지킴이’의 정기활동을 참여관찰하고 정기간행물인 『사람과 문화』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의 문화실천적 의의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첫째, ‘안동문화지킴이’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 책임의식이 재발견한 것이다.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지역민이 문화유산 보호의식을 가지고 참여하는 집단적 문화실천이기 때문이다. 이 활동에 참여하는 지역민은 안동문화유산의 보호에 대한 책임의식을 가진다. 이들은 이런 의식을 가지고 더 많은 지역민이 문화유산 보호 책임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지역민의 문화유산 보호 책임의식을 재발견 하도록 하는 것은 지역민이 지역정체성의 유지에 참여하도록 하고, 지역민이 국가나 소유자와는 다른 목조건축물 보호주체가 되며, 안동사회에 문화유산 보호와 활용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둘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목조건축물의 지속 가능한 보호와 관리 운동으로 평가된다. 활동주체가 지역민이므로 국가주도의 문화유산 보호보다 지속 가능성이 크다. 이 활동은 지역민의 자원봉사로 이루어지며 지속 가능한 보호와 관리를 지향하고 있고, 이를 위해 제도적 지원을 받고 있다. 셋째, ‘안동문화지킴이’ 활동은 문화유산의 공공적 가치 찾기와 활용 기반을 만드는 것이다. 이들은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교육하기 위해서 활동 대상을 선택하면서 문화유산이 가진 공공적 가치가 무엇인지 고민한다. 그리고 문화유산을 직접 보호·관리하고 지역민에게 교육해서, 문화유산의 공공적 가치를 알리고 그에 맞게 사용되도록 한다. 또한 정기간행물인 󰡔사람과 문화󰡕에 문화유산의 공공적 가치를 설명하고 있다. 다음으로 ‘안동문화지킴이’ 활동의 어려움과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활동 후속 세대 양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은 지역민에 의한 문화유산 보호활동이 지속되기 위해서 후속 세대 양성이 중요하다고 인식하여, 청소년과 청년층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활동을 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노력에도 청년층의 활동 참여는 그 연속성을 장담하기 어렵다. ‘안동문화지킴이’는 이런 과제를 충분히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비교적 젊은 지역민을 실무진으로 초빙하거나 안동대학교에 문화유산 보호동아리를 결성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둘째, ‘안동문화지킴이’의 문화유산 보호활동은 표방하는 목적과 실제 활동 사이에 거리감이 있다. 이들의 활동은 주목적과 실제 활동내용이 좀 다르고, 대표 활동인 ‘한 가족 한 문화재 지킴이’ 활동의 대외적 위상과 실제 활동도 좀 다르고, 정기간행물인 『사람과 문화』에서 다루어지는 내용과 실제 활동내용이 좀 다르게 나타난다. 셋째, ‘안동문화지킴이’ 활동은 문화유산 보호활동을 위한 문화운동으로서 일정한 한계를 드러낸다. 그것은 엘리트 중심의 활동이라는 점, 국가의 지원을 받으며 제도권에 포섭되는 점, 다량의 문화유산을 소유하고 있는 안동의 주요 문중구성원들이 활동에 거의 동참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안동문화지킴이’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 안동 태사묘 소장 유물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송진호 안동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는 안동 태사묘에 소장 유물을 활용하여 안동의 상징성을 나타낼 수 있는 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문화상품의 특징은 그 시장의 가치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문화상품이 경험재의 속성을 지니고 있어서 소비자의 완전한 소비가 끝냈을 시점에서 그것의 가치가 인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징은 문화상품 소비시장의 예측이 어렵고, 그 만큼 성공할 가능성이 적다. 이러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문화상품을 위한 선진화 노력과 전략적 노력이 필요하다. 선진 문화상품에 대한 벤치마킹과 포장 디자인과 상품의 품질 수준의 향상이 필요하다. 지역의 정체성과 역사의 의미를 담은 문화가 지니고 있는 힘은 일률적인 공산품과 같은 상품에 비하여 무한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지역의 문화 자원을 활용한 문화상품은 그 지역만의 차별성을 대표할 수 있고 소비자가 가질 수 있는 만족도가 높기에 경쟁력 또한 높다고 하겠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안동의 문화자원은 타 지역에 비해 다양하고 방대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전통 문화는 방대하나 지역 문화콘텐츠의 개발과 지역의 특징적 문화상품의 개발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태사묘에 소장 유물인 태사 유물 2종, 공민왕 하사품 12종, 추가 유물 7종을 대상으로 고문헌과 논문 및 보고서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안동의 상징성을 나타 낼 수 있는 문화상품으로 본 연구를 통해 확인된 고려시대의 유물인 태사 여지금대, 공민왕의 하사 유물인 자수 화문 소능, 초록단, 모란금대, 교지를 문화상품 개발의 모티브로 사용하였다. 선행 연구와 조사를 통해 소비자의 구매 트랜드에 맞는 패션ㆍ잡화, 생활소품, 문구ㆍ사무용품으로 문화상품 개발의 아이템으로 선정하였다. 태사묘 소장 유물에서 추출한 단위문양을 활용하여 아동용 T셔츠, 드레스 셔츠, 파우치, 넥타이, 선물상자, 문구류(다이어리, 노트, 마스킹 테이프) 상품을 안동의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였다. 그동안 안동은 지역의 많은 문화 자원과 유ㆍ무형의 자산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않고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전통과 역사는 보존하고 간직하여야 한다는 생각에서 활용하고 현대적 감각에 맞는 문화로 거듭 발전해 나가야 한다. 지역 정체성과 이미지를 반영한 문화상품으로 타 지역과 차별화되고 지역성의 의미가 부각된 상품들이 많이 출시되어 지역의 문화상품 관련사업이 활성화 되고 문화상품 시장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안동시는 안동의 우수한 문화유산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상품의 개발과 동시에 전시와 판매를 위한 전문 상품점을 준비함과 동시에 온라인 전문 상품점의 개설도 필요하다. 지역문화에 관심을 갖고 활동하는 개별 활동가의 문화상품들이 더욱 많이 세상에 나타나기를 기대하며, 문화상품의 개발을 통해 안동 문화산업의 발전으로 지역 경제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하지 못한 태사묘 소장 유물을 더욱 심도있는 연구를 통해 다양한 문화상품들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cultural goods that can work as symbols of Andong by using the relics found in Taesamyo Tomb in Andong. Traditional and cultural resources of Andong are more diverse than any other areas. Although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are extensive, in reality, there is a lack of development of local and specific cultural goods. In comparison with uniform industrial products, the power of culture containing a local identity and history has unlimited potentials. Cultural goods using local culture can represent the distinctiveness of the area and the competitiveness will be high as satisfaction levels of consumers are high.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author studied antique documents, papers and reports about two relics found and kept in Taesamyo Tomb, 12 royal gifts from King Gongmin and seven additional relics. For this study, the author chose six relics as motives that could represent Andong, including Taesa Yeoji Golden Bands, Soneung the embroidered flower patterns offered by King Gongmin, Chorokdan, Moran Golden Band and royal edict. By referring to other previous studies, the author selected the items for development of cultural goods, including fashion and miscellaneous goods that fit consumers' purchase trend related to cultural goods, daily consumables, stationery and office supplies. Also, by using the patterns excavated as relics in Taesamyo Tomb, products like children's T-shirts, adult T-shirts, dress shirts, pouches, neckties, gift boxes and stationery (diary, notebook, masking tape) were developed as cultural goods of Andong. It is anticipated that cultural goods reflecting the local identity and images will be produced even more, facilitating related local projects pertaining to local cultural goods and extending the cultural goods markets. At the same time, it is expected that establishing online shops as well as gift shops for exhibition and sales will contribute to local economy of Andong.

      • 지방정부의 출산장려 정책에 관한 연구 : 안동시를 중심으로

        홍성란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there has been a sense of crisis with Korean birth rate falling to the lowest level in the world, this study is intended to survey the realities of the low birth rate in Korea and analyze the causes. In addition,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deas of childbirth held by fertile women residing in Andong City and to analyz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s policies to promote childbirth. Both literary surveys and questionnaires have been used to reach these goals. The analysis model has established a demographic factor, a social factor, and an economic factor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low birth rate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male and female residents in Andong City aged twenty or above. 350 questionnaires were mailed, 300 out of them were recollected, and thirty out of the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due to their low validity. In the end, 27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the data derived were processed and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of ver.17.0. The analysis ha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There are three aspects on the complicated causes of the low birth rate: economic, social and institutional. As for the economic aspect, the educational expenses and child-rearing costs are thought of as heavy burden. From a social viewpoint, the values of marriage have changed, and institutionally, there is no sufficient support system such as a maternity leave or a parental leave. To help Andong City solve these problems and promote childbirth,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improved to solve the problems of educational expenses and nursing costs. Second, recently, the values of marriage have changed. Work is given priority to marriage. This prevalent way of thought has led young people to avoid childbirth. They should be persuaded to believe that marriage and childbirth are very valuable, and to have their values changed. Third, of lat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endency to avoid childbirth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handling work and child-rearing. To solve this problem, legal actions should be taken to make systems such as a maternity leave and a parental leave. As the above research findings have shown, the problem of the low birth rate is not only a personal or familial matter, but a national one. Therefore,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ies to promote childbirth,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the national government should be committed to making the environment favorable to childbirth and nursing, and raising the low birth rate.

      • 방문한국어교육 효율성 제안 방안 연구 :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박기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 was focused on proposing some suggestion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study population was 72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were previously or currently involved in the Korean language program provided by the Andong Cit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By interviewing the women, this study analyzed the following three main issues: what were the populational statistical featur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what kinds of basic variables were there for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nd how much were related to the recognitio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with the Korean educational need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Andong. This study set consisted of 9 assumptions in order to state the relationship of how much the main variables gathered through the data produced an effect on those women's Korean educational needs. SPSS 20.0 was used to perform multipl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data includ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analyzing the data statistically, among the 9 assumptions, three of the assumptions such as the age variable in assumption 1(F=0.694, P-value=0.503), the educational level variable in assumption 2(F=1.194, P-value=0.322), and the job experience in their own country variable in assumption 3(T=-0.917, P-value=0.362)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while, the visiting tutor variable in assumption 4(r 0.311, P-value 0.009), the support of family variable in assumption 5(r=0.311, P-value 0.009), the possession of internet at home variable in assumption 6(T/F=-4.484, P-value ,0.001), the possession of a driver's licence variable(T/F=-2.161, P-value= 0.035) and the convenience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variable(T/F=2.832, P-value=0.031) in assumption 7, the support of outsiders variable in assumption 8(r-0.286, P-value=0.016), and the participation of programs variable(r=-.336, P-value=0.004) along with the satisfaction of programs variable(r=0.321, P-value=0.007) in assumption 9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examining the research on the And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actual conditions and on the base of assumption verifications, there are some suggestions to develop the efficiency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City area. Firs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should offer not only the basic daily lifestyle conversation in order to adjust easily to the early stages of transition, but also high level Korean education such as writing and composition in order to help them find a job later in Korea. Second, practical and economical rewards to Korean tutors must be secured by the government or related local self-governing bodies. The teacher variable was proved to be very strong and had powerful effects 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Korean educational needs(r=0.319, P-value=0.009). Third, programs that actually encourage female marriage immigrants' husbands to join and participate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husband variabl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Korean educational need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r=0.311, P-value=0.009). Fourth, publicity activities for the programs which are offered b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examining the data, this study found that program recognition rate was quite low, however, once they joined the programs their program satisfaction rate was rather high(r=0.321, P-value=0.007). Fifth, a more flexible management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class times and the period of the classes should be considered. 36 women(50.0%) out of the 72 interviewed hoped that the Visiting Korean Education Program could be continued if they wanted to study for more than a year. The longer they stayed in Korea, the stronger they had this desire. Also, when they study Korean for more than a year, they want to study a deeper level of Korean. To meet their needs, they wanted visiting tutors to have a professional knowledge of Korean. Final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Korean educational needs through a fact-finding survey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get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se women becaus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In order to assist future research, a method for obtaining data specifically for research without violating privacy laws should be considered. This research paper has embodied the different variables of the Korean educational needs of 72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Currently there are few studies focusing specifically 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is study allowed for suggestions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studying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It is also anticipated that by overcoming the limits of this study, a more comprehensive research study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방문한국어교육의 효율성 방안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현재 안동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안동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한국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여성을 주요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논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해서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방문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요인들을 구체화하였으며,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인지도, 선호도, 만족도에 따른 한국어교육 요구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에서 나타난 주요 요인들이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도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아래의 9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자 개인 요인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2>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자 개인 요인에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3>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자 개인 요인에서 모국에서 직업 경험 유무에 따라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4> 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 요인에서 교사의 지지도가 높고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5> 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 요인에서 가족구성원의 지지도가 높을 때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6>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요인에서 정보접근성이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7>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요인에서 교통 편리성이 좋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8>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요인에서 주변인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9> 여성결혼이민자의 방문교육 요인에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 참여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결과분석을 통해서 <가설 1>의 연령별 차이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F=0.694, P-value=0.503). <가설 2>의 분석결과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학력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F=1.194, P-value=0.322). <가설 3>의 분석결과는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직업경험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T=-0.917, P-value=0.362). <가설 4>의 분석결과는 교사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한국어교육 요구가 높아지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r= 0.311, P-value 0.009). 여성결혼이민자는 교사의 지지도와 교사와의 관계에 따라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5>의 분석결과에서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경우에는 가족구성원의 지지도에 따라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r=0.311, P-value 0.009).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구성원의 지지도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6>의 분석결과는 인터넷의 연결 유무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T/F=-4.484, P-value=0.001). 반면, 인터넷 사용의 자신감(T/t=0.808, P-value=0.525)과 인터넷의 주요 사용 목적(T/F=0.685, P-value=0.605)은 한국어교육 요구에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 <가설 7>의 분석결과에서 자동차의 소유 유무는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T/F=-0.264, P-value=0.793). 반면, 운전면허증 보유 유무(T/F=-2.161, P-value= 0.035)와 대중교통 편리성은 한국어교육 요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T/F=2.832, P-value=0.031). <가설 8>의 분석결과 주변인의 지지도가 한국어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r-0.286, P-value=0.016).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주변인의 지지도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9>의 분석결과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r=-.125, P-value=.299). 반면, 프로그램 참여도(r=-.336, P-value=0.004)와 만족도(r=0.321, P-value=0.007)는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그램 참여도와 만족도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조사 및 한국어교육 요인에 관한 조사, 그리고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기초로 몇 가지 논의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은 단계별로 차별화를 두어서 실시되어야 한다. 초기에는 적응을 위한 실생활 위주의 간단한 의사소통의 한국어교육을 제공하고 적응단계 이후에는 말하기, 듣기 위주의 범주를 넘어서 읽기와 쓰기 그리고 작문 등의 고급 한국어 교육을 함께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한국어방문지도사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실력을 향상시키고 초기 적응을 돕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어방문지도사를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화된 보상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교사 요인은 상관계수( r=0.319, P-value=0.009)로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유의미성 관계가 검증되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교육 요구에 있어서 교사 요인은 매우 중요하고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어방문지도사들이 한국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소유하기를 원하는 여성결혼이민자(24명, 33.3%)가 많은 만큼 한국어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겸비한 한국어지도사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서 고급수준의 한국어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을 강력히 제안한다. 셋째, 남편의 프로그램 동참을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여성결혼이민자 배우자의 지지가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에 미치는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결과가 검증되었다(r=0.311, P-value-0.009). 넷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가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인 홍보활동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프로그램 인지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지만 한번 프로그램에 참가하게 되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r=0.321, P-value=0.007)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과 더불어 인터넷, SNS 등의 매체 활용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방문교육의 수요자인 여성결혼이민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한 탄력적인 방문교육 기간 설정을 제안한다. 여성결혼이민자 72명 중 36명(50.0%)이 방문교육을 통해서 한국어를 배우고 싶으면 계속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거주기간이 긴 여성에게서 더 많이 분포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대부분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학습에 대한 기회 및 시간의 연장을 원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문적이고 정확한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학문 연구 목적을 위한 제도적 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실태조사를 통해서 향후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그러나 논문 연구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인 여성결혼이민자 정보가 개인정보법에 따라 제한되어 있어서 표본 추출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도출한 결론을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 위와 같은 한계 및 연구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조사가 많지 않은 가운데 안동지역에서 한국어 교육에 참여한 7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요구에 관한 요인들을 구체화하였고 한국어교육 효율성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향후 연구에서 본 논문의 한계를 극복하고 적절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보다 수준 높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밑바탕이 되길 바란다.

      • 안동 문화자원 활용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

        이재일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안동 문화자원 활용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문화예술경영 전공 이재일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안동의 공연관광 콘텐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공연은 현장성이 중시되고 관광 상품화에 적합하므로 새로운 관광시장 창출이 가능하다. 공연관광 상품은 고부가가치형 콘텐츠로 관광시장 성장을 위한 주요 상품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장르와 첨단 기술을 결합한 융⋅복합 공연 관광의 성공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유명 관광지에서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콘텐츠를 개발했을 때 그 효과가 배가 된다는 사실을 해외는 물론 국내의 특정 관광지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연관광의 국내사례로 넌버벌 퍼포먼스인 난타와 점프를 통해 국내 공연관광의 성과와 현황을 파악했다. 전통예술 공연을 진행한 워커힐 상설공연과 정동극장 그리고 최근의 광주 국악 상설공연 등도 같은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전통예술진흥재단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콘텐츠발굴을 위한 활발한 지원 사업을 확인하였으며 국내 각 지방의 공연관광 콘텐츠 제작사례를 분석하였다. 해외 사례로는 중국 인상 시리즈와 우견 시리즈, 프랑스 퓌뒤푸 테마파크의 공연을 비교 분석하여 각 지역의 고유한 문화자원의 긍정적인 활용사례와 흥행요소, 발전상황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사례 연구를 통해 공연관광 콘텐츠가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의 발굴과 활용에서는 일정 부분의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특정 장르의 편중 현상과 대부분 단발 공연으로 끝나는 현실적 문제와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안동은 지역 문화자원이 풍부한 문화관광 도시이다. 전통문화 공연관광 콘텐츠로 하회별신굿 탈놀이 상설공연, 안동차전놀이 정기공연, 하회선유줄불놀이 정기공연을 분석했다. 대표적 기획 제작 공연관광 콘텐츠는 모두 뮤지컬로서 왕의 나라, 퇴계연가, 이육사, 신 웅부전(고등어 찜닭에 빠진 날)을 분석하였다. 안동은 다양한 공연관광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지만 하회별신굿탈놀이 상설공연 이외의 콘텐츠는 아직은 주목할 만한 성과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꾸준한 공연 활동을 통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등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보완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안동차전놀이 상설공연과 원도심 야간 공연관광 콘텐츠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안동의 지역 공연관광 콘텐츠의 창작과 유통의 활성화, 공연관광 콘텐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토대의 구축을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했다. 본 연구는 안동의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을 고찰함으로써 공연관광 콘텐츠가 안동 브랜드와 이미지 제고에 보탬이 되는 데 일조하고자 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안동, 지역 문화자원, 공연관광, 공연관광콘텐츠

      • 재정 분권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세외 수입 확충 방안 : 안동시의 세외수입을 중심으로

        권정순 안동대학교 행정경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success of decentralization depends on fiscal decentralization. The Fiscal decentralization of Andong city depends on how much finance it can supply itself. Because Andong city has not enough capacity for self-reliance, it relies on finance from the central government. We must accurately analyze non-tax revenues in Andong city to progress the fiscal decentralization of Andong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current ‘best practices’ of expending non-tax revenue via the analysis of the non-tax revenues of Ando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I carry out an analysis on types of non-tax revenue and their fiscal management. The analysis of non-tax revenues includes rent revenue, charges, fees, collection grants revenue, and interest. The fiscal management analysis of non-tax revenue includes operations, collections and tax-rates. These ar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statements. To expend non-tax revenue best: ① We have to enforce the study and research of expenditures. ② We have to expand revenue interests through efficient fiscal management. ③ We have to introduce a technique of fiscal management and use it as strategy. ④ we have to import techniques of management renovation used by private enterprise and inspire the management mind. In addition, we have to find out a plan for renovating the system. First, we must build up the sovereignty of a decentralized tax and develop new sources from current non-tax revenues. Second, we must enlarge a tax target while inporting flexcible tax rates. Third, we must reduce the number of tax exemptions. Finally, city officials and managerial staff engaged in this endeavor need to apply creative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