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슈퍼비전 요인과 직무성과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권우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711

        사회복지관은 보건복지부, 지자체로부터의 각종 평가와 재위탁 등으로 경쟁적인 성과위주의 운영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이는 사회복지조직의 목표가 가지는 불확실성과 모호성에 기인한 것으로 사회복지서비스에 관련된 업무를 표준화하고 성과를 측정하는 것은 어려운 과제이다. 슈퍼비전의 목적은 클라이언트에게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직원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책무성을 실현하기 위한 것이다.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은 직무성과 평가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는 슈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말해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슈퍼비전 요인을 슈퍼바이지, 슈퍼바이저, 그리고 슈퍼비전 환경으로 보고 어떤 슈퍼비전 요인이 슈퍼바이지의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혀 사회복지관 슈퍼비전의 발전을 위한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49개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사회복지관의 슈퍼비전을 받는 일선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다. 최종적으로 42개 사회복지관에서 289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슈퍼바이지가 인식한 슈퍼비전 요인과 직무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슈퍼바이지 자기효능감은 슈퍼바이지의 직무성과에 정(+)적으로 유의미(p<.001)한 영향을 주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고, 슈퍼바이저 역량은 슈퍼바이지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p<.01)한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비전 환경과 슈퍼바이지 직무성과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슈퍼바이지, 슈퍼바이저, 슈퍼비전 환경 요인이 각기 다른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슈퍼바이지 직무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슈퍼바이지의 직무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슈퍼바이지의 근무기간(p<.01), 슈퍼바이지의 자기효능감(p<.001), 슈퍼바이저의 성별(p<.05), 슈퍼바이저의 역량(p<.01), 슈퍼비전 정책(p<.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슈퍼바이저가 여성인 경우의 슈퍼바이지는 슈퍼바이저가 남성인 경우의 슈퍼바이지보다 직무성과가 낮고, 슈퍼바이지의 근무기간이 높아질수록 직무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변수인 슈퍼바이지 자기효능감, 슈퍼바이저 역량, 슈퍼비전 정책은 슈퍼바이지의 직무성과에 정(+)적인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슈퍼바이지의 자기효능감이 높고 슈퍼바이저의 역량이 높을수록, 또한 슈퍼비전 정책 즉, 슈퍼비전 관련 규정과 슈퍼바이저 교육체계가 마련되고 슈퍼비전 지침이 개발‧활용되며, 슈퍼바이저의 직무가 명확히 기술되어 구체적인 기록체계를 바탕으로 활용되어지는 정도에 따라 슈퍼바이지의 직무성과가 향상될 것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he social welfare center has been focusing on the competitive performance oriented operation due to various evaluation and reconsignment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local government. This is of the purpose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resulting from uncertainty and ambiguity that it is a very assignment to generalize the social welfare service related work and to measure the performance. The purpose of supervision is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workers to provide the best service to clients and to realize acccountability. Acccountability of social workers is achieved through job performance and evaluation. This signifies that supervision makes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and improvement of social workers. This study considered the supervision factor that make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as the supervisee, supervisor, and supervision environment, and identified how the supervision factor influence the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to provide positive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upervision of the social welfare center. For the questionnaire investigation, this study selected 49 social welfare centers located in Seoul-si and conducted the investigation on front-line social workers who are taking the supervision of each social welfare center. 289 copies of the questionnaire survey were collected from 42 social welfare centers and used on the analysis, and conducte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a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ion factor perceived by supervisee and job performanc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pervisee factor and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it was identified that the self-efficacy of supervisee is an influencing variable that makes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Secondly, as a result of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or factor and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it was identified that the competence of supervisor makes positive influence on the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and is statistically significant(p<.01). Thirdly, when the effect of supervision environment on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was researched, a relationship between the supervision environment and job performance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ly,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with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in a condition of supervisee, supervisor, and supervision environment factor each controlled the different factors, variables that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were the employment period of supervisee(p<.01), self-efficacy of supervise(p<.001), gender of supervisor(p<.05), competence of supervisor(p<.01), and the supervision policy(p<.001). In other words, the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with female supervisor was lower than the supervisee with male supervisor, and when the employment period of supervisee was higher, the job performance was higher as well. Main variables, the self-efficacy of supervisee, competence of supervisor, and supervision policy, were investigated to have positive influencing power on the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that it was identified that the higher self-efficacy of supervise and higher competence of supervisor, the supervision policy, meaning supervision related regulation and supervisor education system are prepared and the supervision guideline is developed and utilized. Also, it was identified that the job performance of supervisee will be improved according to the utilizing level based on the concrete recording system of clearing describing the work of supervisors. This research result verified that an organization preparing structuralized supervision system autonomously for supervisors to provide qualitative supervision is not an additional work invested on organizations or supervisors for external evaluation purpose any longer, but is an important item that can improve the existence of social welfare centers, responsibilities and obligations, meaning accomplishing accountability and efficacy of the social welfare centers.

      • 한국 비혼 독거청년을 위한 대안 공동체의 가능성 :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중심으로

        이사랑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1695

        한국 사회에서 1인 가구가 급증하고 결혼을 미루거나 하지 않는 사람이 급증했다. 그러나 비혼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아직 쉬운 일이 아니다. 이 논문은 비혼의 상태로 홀로 살아가고 있는 이들을 위해 배우자나 가족을 대안할 수 있는 공동체의 가능성을 찾고자 시작되었다. 한국 사회에서는 ‘결혼의 여부’ 를 ‘독립적인 삶’ 을 살고 있는지 확인하는 사회적인 지표 중에 하나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제는 결혼을 성취나 임무로 여길 때보다 자신이 선택하여 만들어가는 관계적인 사건으로 인식할 때 건강한 결혼은 더욱 확산될 것이다. 또한 결혼 여부와 관련되어 있는 잘못된 사회적 편견이 더욱 줄어들 것으로 여겨진다. ‘비혼’이라는 용어의 올바른 이해와 한국 사회의 결혼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 사회 비혼 현상의 급증 요인은 첫 번째, 생물학적 및 심리적인 요인으로는, 성인기에 ‘사랑’이라는 덕목과 독립을 위한 ‘일’을 동시에 성취해야 하는 어려움으로 보았다. 두 번째, 사회문화적인 요인으로는 정보화시대의 도래로 인한 관계성의 하락, 한국의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가치관으로 인해 결혼을 꺼리게 되는 현상, 남녀에 대한 종교적인 가치관의 편협성을 들었다. 결국 ‘비혼’ 이라는 상황에 놓여 있는 독거청년들은 비혼을 자발적으로 선택했을 수도 있겠지만 동시에 사회문화적 및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비자발적인 현상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은 수정된 가족의 의미를 제도적으로 충분히 수용한 해외 사례를 통해, 임무나 성취가 아닌 ‘관계로서의 결혼’ 에 초점을 두는 사회적 분위기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 이론에 비추어보면, 비혼은 타인과의 관계경험을 어렵게 하는 환경으로부터 점점 고갈되는 자기를 지키기 위해 ‘자기애적 균형’을 맞추려는 몸부림일 수 있다. 즉 비혼을 자기를 지키고 성숙시키기 위한 ‘회복적인 발달 과정’ 중에 하나로 볼 수 있다. 이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비혼 독거청년이 접하는 공동체가 어떤 역할을 하느냐이다. 타인과 관계를 이어나가고자 하는 한국 비혼 독거청년에게 어떤 대안 공동체가 필요할 것인가? 바로 참 만남이 이루어지며, 정서적 지지체계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초연결사회를 활용하는 공동체이다. 결론적으로 비혼 독거청년은 외상으로 생긴 자기(self)의 결함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공감의 자리’로서의 공동체를 찾아나서는 태도와 ‘공감적 접촉’을 추구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또한 대안 공동체는 비혼 독거청년을 위한 보상구조로서의 역할(공감의 자리, 포용하며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을 감당하며 공동체와 개인 모두 상호주관적인 성장을 지향해야 한다. In the Korean society, the number of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the people who do not marry or postpone marriage has increased sharply. However, it is still not easy to live as a single by non-marriage. This paper began by looking for the possibility of communities which could alternate spouses and families for the people who are living alone. In Korea, There is a tendency to regard marital status as one of the social indicators by which people can check up whether they are independent or not. Healthy marriages will spread more when people perceive marriage as a relative event that they choose rather than a duty or achievement. Eventually, It is believed that the social prejudices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will decrease. It is needed both understanding appropriately of the term 'non-marriage', and shifting the paradigm of the marrge in korea. There are several factors in the dynamic increasing number of non-marriage in Korea. First, as a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virtue of love with other person and a career for being independent at the same time. Second, sociocultural factors include the decline of the relationship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Third, due to the arrival of the information age, the reluctance to marry caused by the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values ​​of Korea, and the illiberality of religious values of the partner. Considering these, although the single person households with non-marriage may voluntarily choose not to marry, they might involuntarily choose non-marriage because of the cultural and social issues. Therefore, it seems that we need a social atmosphere in which people focus on "marriage as a relationship" rather than a mission or accomplishment through modeling the cases abroad that the modified meaning of family has been sufficiently accepted systemically. In the point of view from Kohut, Heinz 's theory of self - psychology, ‘non–marriage’ can be a struggle to achieve narcissistic balance in order to defend oneself from an environment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experience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other words, it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restorative development processes to protect and mature themselves. What is important in this development process is what kind of community they are facing. Which alternative community would be needed for the non-marriage people in korea who want to keep in touch with (interacting?) community? That is a community where the true contact is done, the emotional support system is activated, and the super connective society is utilized. In conclusion, the non-marriage people living alone need attitudes of seeking the community as a place of empathy and of seeking 'empathic contact' in order to recover the defect of self caused by trauma. In addition, the alternative community should aim for mutual and subjective growth in both the community and the individual, playing the role of the compensation structure for the non-marriage people, developing the community as a sympathy space and embracing and growing together.

      • 한국에서 성 소수자에 대한 기독교상담사의 인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민정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1695

        In South Korea, mental health research regarding homosexuality has tended to focus mostly on the psychological aftereffects thereof, such as depression and suicide. However, few homosexuals visit counseling centers to seek treatment due to counselors’ and therapists’ own personal biases regarding homosexuality. Research has specifically shown that many conservative and Christian counselors have a tendency to feel homophobia and are less likely to be able to fully concentrate on their homosexual clients during therapeutic sessions compared to their heterosexual clients. Thu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erspectives and mindset of Christian counselors on homosexuals and homosexuality, this study will explore the homosexual counseling experiences of Christian counselors and examine the essential meaning of these experiences based on Amedeo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The research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to September 2014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e-mail correspondence with six heterosexual Christian counselor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four phases of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nd through analysis of the meaning units, this study identified five categories, ten themes and thirty-two subject elem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duced the general structural descrip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Christian counselors think that homosexuals are not only considered to be in the minority in society, but also that they are victims of negative perception. Interestingly, most of them do not think, from the perspective of their faith, that homosexuals are sinners. In spite of this, Christian counselors still wonder why those who consider themselves as being LGBT (Lesbian/Gay/Bisexual/Transgender) cannot help choosing homosexuality as a lifestyle, and they believe that counseling can help homosexual clients and lead them to reconsider their sexuality. These attitudes are linked and related to homophobia and heterosexism.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necessary improvements in counselor training, including checks to verify and eliminate any personal biases and prejudices that counselors may have against homosexuals – and homosexuality in general – in said training.

      • 위니캇의 정신분석이론으로 바라 본 반사회적 경향성 : 영화 '굿 윌 헌팅' 사례를 중심으로

        정서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695

        Many recent solutions for Anti-social behavior is not enough to solve problems completely. So this study suggests a necessity for an object-relations understanding about anti-social behavior by the view of Winnicott's psychoanalytic theory. Even anti-social behaviour is an unpleasant fact of many people’s everyday life, but Winnicott said 'Hope'. Anti-social behavior is shown by a attitude to steal something or aggressive and violent behavior of a child who experience deprivation at the infant stage for asking help. A related behavior of Anti-social behavior disturbs a normal child growth and effect on children's guilty conscious and morality. And they used to show their Anti-social behavior by certain form of group when they are in adolescence. And more serious thing is they will be in a dangerous situation if they couldn't get any helps. So it's important to know that Anti-social behavior Adolescence's acting out is not negative symptoms by their parents. Winnicott emphasized the new theory about cure perspective of Anti-social behavior and the environment of satisfactory maternal care in wholistic aspects involved body and emotion. The true relationship for purpose of object-relational cure between counsellor and children who has Anti-social behavior causes a effective results. Such a object-relational theory will be effective for teenager who has Anti-social behavior in Korea. They will be cured their deprivation and get back to normal life through a true relationship out of social prejudice.

      • 사회적 트라우마 사건으로서의 세월호 참사 : 허먼의 트라우마 이론과 보웬의 가족체계 이론을 중심으로

        임예은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1695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후 트라우마 증상으로 고통 받는 생존자들과 유가족들이 정부의 트라우마 치료 서비스를 거부하는 현상과 전 국민이 참사를 목격함으로써 트라우마 증상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치료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는 현실의 원인을 알아보고 세월호 참사 트라우마의 치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세월호 참사가 사회 구조의 모순으로 발생한 사회적 트라우마 사건이며 사회적 트라우마에 대한 이해와 치유를 위해서는 사회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를 위해 허먼과 보웬의 이론을 활용하여 사회적 트라우마와 세월호 참사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허먼과 보웬의 이론을 적용하기 전 트라우마의 유지와 재발현의 핵심 요인이면서 사회 체계의 퇴보를 일으키는 ‘불안’을 6.25 한국전쟁과 IMF 경제 위기로 인한 트라우마와 만성 불안으로 제시하였고 이로 인해 한국 사회와 국민들의 기본불안 수준이 상승하면서 새로운 불안 사건과 그 트라우마에 취약할 수 없었음을 밝혔다. 허먼의 트라우마 이론의 적용을 통해 한국 사회의 모순된 구조와 관념이 세월호 참사를 발생시켰고, 트라우마 사건에 대한 공포 반응으로 과각성된 국민들의 트라우마가 재발현 되었을 뿐 아니라 국민들이 국가에 대한 신뢰를 잃어버린 트라우마의 증상이 있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보웬의 가족체계 이론의 적용을 통해 대한민국은 다양한 사회 구성원들이 정서적 과정을 주고받는 정서체계이며, 세월호 참사와 국민들의 트라우마가 대한민국이라는 사회 체계 안에서 구성원들의 정서적 과정을 통해 발생한 증상임을 밝혔다. 허먼과 보웬의 이론을 적용한 결과를 종합하여 사회적 트라우마의 구성요소를 ‘사회에 내재되어 있는 불안으로 트라우마에 취약한 집단’, ‘사회 구조의 모순으로 발생하는 사건’, ‘사회와 가해자의 부정(否定)으로 강화되고 재연되는 외상’, ‘집단이 공유한 신념을 무너뜨리고 사회불안을 야기함’으로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적 트라우마의 치유의 방향성을 한국 사회 내의 ‘만성 불안’을 낮추는 것으로 제시하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국민들이 사회적 트라우마 사건으로 인한 고통과 불안을 충분히 표출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사회적 트라우마의 치유의 구성요소는 허먼의 트라우마 회복 3단계에 따라 안전, 기억과 애도, 사회적 연결로 제시하였다. 피해자의 안전감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담자가 피해자와 동맹관계를 맺어야 한다는 것과 트라우마 사건과 피해자의 고통을 기억하고 인정하는 사회적 노력이 피해자의 기본신뢰를 회복하게 할 것임을 제안하였다. 또한 사회적 애도와 의례 행위를 통해 피해자가 사회 체계와 다시 연결되고 독립적이면서 주체적인 사회 구성원이면서 사회 체계의 감시자로 회복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심리 상담 분야에서 거의 논의되지 않았던 트라우마의 사회적 관점을 제시하고 트라우마의 치료 대상에서 소외되었던 국민들의 트라우마 치유 방향성과 구성요소를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가족상담에 관한 목회자들의 인식조사 연구

        하현철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1695

        현대사회에서 가족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정도로 우리의 삶에 중요하게 자리잡고 있다. 그 중요성을 인식하는 만큼 문제성도 다양하며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성도들에게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렇기 때문에 목회현장에서 성도들을 상담해야 하는 목회자로서 복잡하고 다변화 하고 있는 가족의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것은 무거운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가족의 중요성을 피력하면서, 1장에서는 연구배경과 목적 그리고 연구방법과 범위와 용어정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2장에서는 가족상담적 배경을 성경에 기초하여 성경 속에서 보여지는 결혼과 가족갈등 그리고 이혼에 관한 문제들을 성경인물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았다. 그러면서 성경인물들의 가족상황과 가족상담의 치료적 기법을 적용해 봄으로써 가족상담의 필요성에 대한 근거를 성경에서 찾아보았다. 3장에서는 본 논문의 중심 주제인 가족상담에 대한 목회자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해 보았다. 가족상담에 대한 전반적인 목회자들의 인식과 전문성에 과한 분석, 그리고 목회현장에서의 가족상담에 대한 자원등에 관하여 분석해 보았다. 또 주요교단별 신학대학원의 상담 및 가족상담에 관한 교과과정도 분석해 봄으로써 신학대학원별로 상담 및 가족상담의 교육의 활성화 및 전문성등을 검토해 보았으며, 신학대학원별 교과과정에 따라 가족상담에 대한 목회자들의 인식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다시한번 신학대학원에서의 상담및 가족상담의 교과과정의 확대필요성을 다루었다. 아울러 목회현장에서 필요한 가족상담의 치료적 기법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4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을 요약하면서 나름대로의 제언을 하였다. As the importance of family is being emphasized in current society, pastors and ministers were surveyed on their perception on the need of family counseling. One hundred pastors and ministers were surveyed and the study delved into their in depth understanding of family counseling. Survey ques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The first questions were regarding the pastors and ministers general perception on family counseling. The second questions were based on their specific understanding on the importance of family counseling, and finally the third questions investigated the tools or methods in family counseling during actual situations. Through careful research, it can be understood that most of the pastors and ministers have an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family counseling, yet still lack professional family counseling. This is especially true due to the fact that each divinity school has its own curriculum and the understanding of family counseling varies from school to school that the pastors and ministers have attended. In other words, pastors with exposure to family counseling education during their time in seminary have shown a more positive perception on family counseling than others that have not. Based on this research, this study presents the following observations. First, as pastors and ministers assume the role of a counselor to many, they should be obligated to possess professional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bout counseling. Second, as all those who have taken the survey have acknowledged the importance of family counseling, more emphasis and activity must be put on the relevant subject. Third, there must be more opportunities to learn more about family counseling, especially in the divinity school and there is a pressing need to extend relevant counseling subjects. Lastly, if churches have professional counselors other than the pastors and ministers, full cooperation is essential from both parties.

      • 발달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환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에 대한 기초 분석

        박인형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1695

        To children school is very important since it is the space where they spent their time most as well as where they learn new knowledge and rules. In particular, an elementary school is the starting point of public education and is an important place where the development of emotions and sociality is made. Hence, it can be said very important for school children to adapt to a new elementary school life. However,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more difficulties in their adaptation to a new environment, as their development in terms of body, intelligence, sociality, emotion and language is delayed, than the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Hence, this study is aimed to assist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dapt to the school life well by developing and carrying out a diversion program so that the fear and stress they feel from elementary school life can be reduced and they can have the technology necessary for the school life adap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iversion program based on a logic model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n the basic level so that it can assist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dapt to their initial school lives. To achieve this purpose of study a diversion program for the adapt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an elementary school life has been developed. The development steps are as followings: the first step was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material collection; the second step was focus group interview with the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going to elementary schools; the third step was focus group interview with experts in which social welfare worker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ordinary teachers are included. And the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eveloped, the comparison analysis on pretest-posttest and the analysis on the individual goal attainment have been made for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program evaluation meeting was made with the parents of the children participated, and the strong points and weak points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have been verified.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8 preschool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llectual or autistic disorder) who were going to enter ordinary elementary schools in March, 2014, and they are divided in two groups for the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ly, a diversion program has been developed for the adapt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lementary schools on the basis of a logic model. The developed program was consisted of 8 sessions so that it can be utilized in the social welfare practicing spots, and the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self-help technology, communication technology, socializing technology and learning technology; secondl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program was intended to be verified on a basic level. For it participant children's pretest-posttest comparison verification was done, but significant effectiveness has not been identified. It is thought to be caused by the limit that a short program of 8 sessions has made it difficult to see the changes in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well as by the big differences between the scale item contents and the contents actually carried out in the program. However, in the evaluation meeting with the parents of the participant children it has been shown that it had a positive influence as they had expectations on school life and they can learn the technologies necessary for the school life. And the analysis of goal attainment scale result by participant child has shown overall rise in 5 children out of participant 8 children. Seen from the result the diversion program for the adapt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lementary school life can be said helpful. The mean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ly, in this study a diversion program has been developed for the adapt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elementary school life and it can influence positively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secondly, family assistance has been made simultaneously by the participation of parents through consultation as well as by the particip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ly, for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any things have been done such as pretest-posttest comparison verification and individual attainment scale analysis of the participant children and evaluation meeting with the parents of the participant children; fourthly, the program can be utilized as a reference when social welfare program is developed in future as the program has been developed on the basis of a logic model that is widely used in social welfare practicing spots. Successive studies on the adapt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school life are expected to be followed starting from this diversion program development for the adaptation of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school life and the investigation on its effectiveness. 아동에게 있어 학교는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자 새로운 지식과 규칙을 배우는 장으로 큰 의미를 갖는다. 특히 초등학교는 공교육의 시작점이 되는 곳으로, 정서와 사회성 발달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곳이다. 이에 따라 초등학교에 진학하여 적응하는 과정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발달장애아동의 경우 비장애아동과 비교할 때, 신체적, 지적, 사회적, 정서적, 언어적 발달이 지연되어 있기 때문에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 속에서 더 큰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취학 전 발달장애 아동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전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초등학교 입학에 대하여 느끼는 두려움과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학교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익혀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취학 전 발달장애아동의 초기 학교생활 지원을 위하여 논리모형을 토대로 전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기초 수준에서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발달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환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졌다. 개발 단계는 1단계 문헌 연구 및 자료수집, 2단계 초등학교에 진학하여 생활하고 있는 발달장애아동의 어머니를 대상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 3단계 사회복지사, 특수교사, 일반 교사 등이 참여한 전문가 집단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다음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사전-사후검사 비교 분석과 개별 목표 성취에 대한 분석이 실시되었다. 또한 참여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평가회의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강․약점 및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014년 3월 일반 초등학교 입학을 앞두고 있는 발달장애(지적장애․자폐성장애)아동 8명 이었으며, 2개 집단으로 나누어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리모형을 기반으로 발달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학교생활 적응에 필요한 신변자립기술, 의사소통기술, 사회성기술, 학업기술의 내용을 다루고자 하였다. 둘째, 개발한 프로그램의 기초 수준에서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참여아동의 사전-사후검사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으나. 유의미한 효과성을 확인하지는 못하였다. 이는 프로그램이 8회기라는 단기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발달장애 아동의 변화정도를 보기에는 어려울 수 있다는 한계점과 더불어 척도 문항 내용과 실제 프로그램에서 다루어졌던 내용에서 오는 차이가 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해볼 수 있다. 하지만 본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평가회의에서는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학교생활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되고, 학교생활에 필요한 기술을 익힐 수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 아동별 목표성취척도 결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8명의 아동 중 5명의 아동에게 전반적인 상승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발달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환 프로그램은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발달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둘째, 발달장애 아동만을 대상으로 개입한 것이 아니라 상담 등을 통하여 부모에 대한 개입이 동시에 이루어짐에 따라 가족 지원이 병행되었다는 점이다. 셋째,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참여 아동의 사전-사후 비교 검증 및 개별 성취척도 분석, 참여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실시한 프로그램 평가회의 등을 실시하였다는 점이다. 넷째,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논리모형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추후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질 때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는 것은 더욱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시도한 발달장애아동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환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를 계기로 발달장애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대한 다양한 후속연구가 확대 실시되기를 기대해본다.

      • 노인상담을 위한 이야기 치료적 접근

        장순자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679

        In overall counseling field, counseling for the aged has been an uncharted territory compared to the counseling for adults, adolescents and children. As the number of the aged grows faster, the number of older clients is inevitably increasing. But the level and specialty of the counseling for the older has not kept up with this changing demography and the study on the aged has continued at a very lacklustre pace due to simple lack of interests in the old, uncertainty in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Also the unspoken but rampant conventional wisdom that the old are just frail and unreliable is a key contributing factor behind this social neglect on the duty of caring more about the old. The difficulties due to these problems are also shown in the clinical are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aged and overlooked distinctiveness of the old have made many counsellors repeat the same methods applied to general clients even while consulting the old. This study is designed to take a close look at desperate needs for specialized and developed counselling for the aged and the potential usefulness of storytelling approach as a counselling therapy for the aged. This therapeutic approach is for the aged to live a better life in their senescence. This study results show the potential usefulness of storytelling approach as a counselling therapy for the aged. The value of this therapy lies in postmodern philosophy and social constructionism. This therapy sets itself apart from other stereotyped approaches that are already used in general counselling in the from of so called psycho dynamics an counselling. First, it has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on persons that they are creative and flexible. Second, it perceives that the problems involved in the old are seamless parts of a society. Third, it has the humble attitude of not knowing. The adovacy for identity of a client, partnership formed between a counsellor and a client, and the pursuit of community life differentiate the narrative therapy from other general therapies. The advantages of this therapy is that it encourages the old to play a central role in solving their problems and the old to become the storytellers. As shown above, the approach of storytelling is distinct in that the counsellor plays a role of helping clients to be more aware of themselves by not being in control of them. Through this process, the old can be more adjusted to their old age with more willingness to enrich their lives. This study is meaningful attempts to develop models for counseling for the aged made by a field specialist in the welfare of the old for a longtime. Even though it's not perfect, the efforts made to reinterpret storytelling approach as a counselling therapy for the old are meaningful for counselling in the making.

      • ADHD 청소년의 행동과 기질적 특성, 환경적 요인의 관계 분석 : 모와의 대상관계 특성을 중심으로

        형지혜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679

        청소년기는 자아정체감과 자기개념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로, 이 시기를 바탕으로 이후 성인이 되어 사회구성원으로 살아나가게 된다. 그러나 이 시기에 청소년들은 급격한 신체 및 정서 변화를 경험하게 되며, 많은 심리적 어려움을 겪기 쉽다. 특히, ADHD 행동 문제를 보이는 청소년의 경우, 이전의 아동기부터 ADHD 증상으로 인해 주변의 부정적 피드백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충동성과 과잉행동 조절 능력의 부족, 주의력 결핍 등의 문제로 인해 부모, 교사, 또래 친구 등 주요 타자와의 관계 문제는 물론, 낮은 자아존중감, 비행, 왕따 경험, 부정적 자기개념 형성 등의 2차적 문제 등에 노출되기 쉽다. 때문에 ADHD 청소년의 행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과 그에 대한 대안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ADHD의 원인으로는 생물학적 원인론과 환경적 원인론, 생물학적 원인과 환경적 원인의 상호작용 등 연구자에 따라 그 주장은 다르지만,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고려했을 때, 기질적 특성과 부모와의 관계 경험 등이 모두 일정 부분 ADHD 유발에 영향을 주었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유전으로 볼 수 있는 기질적 특성의 하위 요인인 자극추구, 위험 회피, 사회적 민감성, 인내력 등과 ADHD 청소년의 행동 특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 중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는 집단과 달리 예외적 특성을 보이는 청소년에 대해 질적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이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주 양육자와의 상호작용 및 관계의 질에 따라서도 ADHD 행동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추측해볼 때, 도널드 위니캇의 대상관계 이론은 기질적으로는 ADHD 행동 특성을 보여야 함에도, ADHD 행동 특성을 보이지 않는 청소년들의 예외적 상황에 대한 설명이 될 수 있다. 상담은 이미 발생한 심리적 어려움에 대한 후속 조치가 될 수도 있지만, 특정 문제가 발생하기 전 이에 대해 예방하는 역할 역시 매우 중요한 학문이다. 그런점에서 본 연구에서 ADHD 행동 특성을 보이지 않는 예외적 상황에 놓인 학생들의 예방적 요인 혹은 보호 요인에 대해 파악하고 분석하는 것은 향후 이들에 대한 개입방안 설정에 중요한 근거가 될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초기 청소년의 기질적 특성(자극추구, 위험회피, 사회적민감성, 지속력)과 ADHD 행동과의 관계 및 영향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기질적 특성과 ADHD 행동과의 관련을 보이지 않은 예외의 결과에 연관이 있는 환경적 요인(촉진적 환경, 안아주기, 놀이하기, 중간대상)은 무엇인가? 먼저 ADHD 행동과 관계가 높은 기질을 알아보고자 서울소재 초등학교 2곳의 6학년 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ADHD 행동과 관련이 있는 기질을 가지고 있음에도 ADHD 행동을 보이지 않는 학생을 선정하여 질적연구를 실시하였다. 기질과 ADHD 행동 간의 상관을 살펴보는 양적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자극추구가 높을 수록 주의력 결핍 행동을 나타냈다. 둘째, 자극추구가 과잉 행동 특성을 나타냈다. 이는 자극추구가 높은 청소년일수록 새로움에 대한 호기심이 높아지므로, 주의를 기울이고 심사숙고하여 결정내리는 것이 어려움을 의미한다. 기질과 ADHD 행동 간에 영향을 주는 환경적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상관을 보인 학생의 경우, 부모의 촉진적 환경을 경험하였다. 부적상관을 보인 학생의 경우, 부모의 심리적 안아줌을 경험하였다. 셋째, 부적상관과 정적상관을 경험한 두 집단 모두 대상제공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부적상관을 보인 학생의 경우, 안아주기, 대상제공, 놀이하기를 경험하였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기질과 ADHD 행동 간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을 고려했을 때, 성장과정에서 아무리 기질적으로 ADHD 행동을 보이기 쉬운 특성을 갖고 태어난 청소년이라 할지라도 어린 시절 모와의 관계에서 제공받은 환경의 질적 경험 차이에 따라 이후 그 행동 경향성이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족상담자는 ADHD 청소년과의 상담과정에서 모에게는 자녀와의 새로운 관계를 설정할 수 있도록 이끌고, 청소년 내담자로 하여금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내담자가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충분히 좋고 안정적이며 질적으로 풍부한 대상관계의 경험을 새로이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소년 내담자가 모와의 관계를 재설정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As an adolescent period is important to form self-identity and self-concept, based on this condition, after that period, they become one of members of society. But in this period adolescent sharply experiences physical and emotional changes and they easily encounter psychological problems. Spacially, ADHD adolescent have high possibilities of exposing to negative feedback on their ADHD symptoms in childhood, and lack of capabilities at controling impulsiveness and overprotectiveness, or attention deficit disorder(ADD) can make the second problems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teachers, or same age ground, self-sense of respect, delinquency, experience of being an outcast, or negative form of self-concept. Therefore suggesting the effective reasons of adolescent behavior characters and its alternatives are the most important thing here. Although the reasons of ADHD are different depending on experts’ opinions of biological etiology and environmental etiology, and interaction of both of them, congenital features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are the causes of having ADH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andard studies. It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genital low causes of stimulation pursuit, evasion of danger, social sensitiveness and patience, and behavioral features of ADHD adolescent. As qualitative studies about the group shown in statistically meaningful correlation and adolescent seen in exceptional features carries into affect, it investigates their differences. Specially when we guess that ADHD features can be shown in accordance with a quality of a main fosterer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andard study, the exceptional situations of the adolescents who don’t show ADHD even though they have temperamentally ADHD behavioral features can be described in object relations theory by Donald Wiscot. Counseling can be follow-up action of psychological problem but before facing with the problem, the role of its prevention is the most necessary study. Precautions and protective factors for some students who don’t show the symptoms of ADHD in the exceptional situation should be apprehended and analysed to be an important basis of intervening plan for them. A subject for inquiries of the study is following. Subject for inquiry 1: How are the relationship and influence on organic features ( stimulation pursuit, evasion of danger, social sensitiveness and patience) of early adolescent and ADHD behavior? Subject for inquiry 2: What is the environmental factors (accelerative environment, bug, play, transitional object) that are not related with the organic features and ADHD behavior? First of all, to investigate the high disposition related to ADHD behavior we investigate 173 6th graders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we selected some students who did not show ADHD symptoms even though they tended to have ADHD. Based on this the qualitative research was began. The result of quantitative research tha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osition and ADHD behavior is following. First, a high stimulation pursuit causes attention deficit behavior. Second, hyperactivity is characterized by overstimulation pursuit. The adolescent who have a high stimulation pursuit can have high curiosity about something new. It means it is difficult for them to pay attention or decide something carefully. Environmental influential factors of disposition and ADHD behavior are following. First, students in negative correlation have experienced the facilitating environment from parents. Students in positive correlation have experienced psychologically caring from their parents. Thir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both of them don't appear the features of the offered target. Fourth, the students in negative correlation have experienced caring, offered object, and playing. Based on the result above we considered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fluence the disposition and ADHD behavior. Although the adolescent was temperamentally born to be the one who have ADHD tendency, the differences of qualitative experience in provided environment made by relationship with mother in childhood can make changes in their behavior tendency. Therefore family counselor lead mother can set up the new relationship with their kids with ADHD in counseling progress . Also the counselor try to give adolescent client stable and qualitatively ample object relations that they have never experienced before. Based on that counselors need to help adolescent clients to reset the relationship with mo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