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탐색효능감, 부모애착, 학교 진로지원의 인과적 관계

        곽민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career exploration-behavior, parent's attachment, career support from college, and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undergraduates.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to identify the effect of parent's attachment, career support from college, and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on career exploration-behavior, to identify the moderate effect of career support from college and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career exploration-behavior, and identify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between parent's attachment and career exploration-behavior. The population of this study is the 16,325 students attend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according to the 2010 record. The research carried out th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considering the ratio of the characteristics of college, grade and gender of the students who are attending university. Through this process it was sampled 400 students, 380 students from 11 different college. A survey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measure variables of this study. It was consisted of career exploration-behavior scale, parent's attachment scale, career support from college scale,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scale, and demographic items. In this study, the existing scales were used for career exploration-behavior, parent's attachment, and career support from college. career exploration-behavior was consisted of self-exploration and career-exploration.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was consisted of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interview self-efficacy, relation self-efficacy, self exploration efficacy. parent's attachment was consisted of isolation, communication and trust. career support from college scale was developed to measure the levels of career support from college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he scale was consisted of informational support, practic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Through pilot test and final survey, reliability of these scales were examined. The data were collected by mail and e-mail from October 4th to 12th 2011. A total of 400 out of 380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of which 371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data analysis. To estimate parameters of proposed research model,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ere used.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8.0-Win statistics package, and AMOS 18.0 version. A alpha level of 5% was established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fix indexed of causal model among career exploration-behavior, parent's attachment, career support from college, and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were identified suitably. Second, factor loading of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to career exploration-behavior was significant(β=.579, p<0.01) also factor loading of career support from college was significant(β=.196, p<0.01) however the factor loading of parent's attachment to career exploration-behavior was not significant. Third,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ttachment as well as career support from college and career exploration-behavior had moderating effect each as .152 and .142. Forth, the causal model h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ttending college.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major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behavior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undergraduates was under the average. Second, as the level of career exploration self-efficiency was higher, the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as promoted. third career support from colleg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undergraduates has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career exploration-behavior. Fourth, the characteristics of attending college has effect of causal relationships among career exploration-behavior, career exploration self-efficacy and career support from college. fifth, the higher grade undergraduates perceived the level of support from college less sufficient. Som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es were suggested: First, further research needs to investigate personal variables which have effects on the consciousness of career support from college. Second, integrativ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career support from college should develop. Third, future research should consider both attachment a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parents. Fourth, the career support system which can assist undergraduates to explore career practically should be constructed.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탐색효능감, 부모애착, 학교의 진로지원의 인과적 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가설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탐색효능감, 부모애착, 학교의 진로지원의 인과모형은 실증적 자료 예측에 적합할 것이다. 둘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에 진로탐색효능감, 부모애착, 학교의 진로지원은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부모애착과 학교의 진로지원은 진로탐색효능감을 매개로 진로탐색행동에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연구모형이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2010년 서울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전체 학생이다. 2010년 현재 서울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은 16,325명으로, 이 연구에서는 변인의 특성과 불성실 응답 등을 고려하여 총 380명을 표집 하였다. 이는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관련 있는 기준 변수로 집단을 층화하여 비율을 고려하였다. 주요 층화 기준인 소속단과대학의 특성과 성별을 고려하여 할당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조사 도구는 진로탐색행동, 진로탐색효능감, 부모애착, 학교 진로지원,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진로 특성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진로탐색행동 측정도구는 최동선(2003)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나에 대한 탐색 12문항, 직업에 대한 탐색 16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내적 일치도 계수는 .854~912 이었다. 진로탐색효능감 도구는 Solberg(1994)가 개발한 도구를 최옥현(2007)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면접효능감 5문항, 개인적탐색효능감 5문항, 직업탐색효능감 6문항, 관계구축효능감 4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내적 일치도 계수는 .841~.911 이다. 학교 진로지원 도구는 사회적 지지와 진로지지의 측면에서 문헌고찰을 통하여 검사의 하위영역을 결정한 뒤, 기존 측정도구의 문항분석과 개방형 질문지를 이용한 새로운 문항 수집 및 지시문과 응답양식을 결정하여 학교의 진로지원 검사(초안)를 개발하였다. 이후 부적절한 문항을 제거하기 위하여 전문가 검토와 예비조사를 실시하는 순으로 이루어졌다. 이 측정도구는 정보적 지원 7문항, 실제적 지원 8문항, 정서적 지원 1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내적 일치도 계수는 .878~.889 이다. 자료 수집은 자료 수집은 2011년 10월 1일 부터 10월 20일까지 우편조사 및 방문조사를 통하여 실시되었다. 이에 380명의 자료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5.0%), 회수된 자료 가운데 한 문항이라도 응답하지 않았거나, 역배점되는 문항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문항에 한 번호로 응답한 9명을 제외한 371(유효 자료율 92.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for Windows와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모든 분석에 있어 통계적 판단은 유의수준 5%에 따라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진로탐색효능감, 부모애착, 학교의 진로지원 간의 가설적 인과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의 인과관계가 확인되었다. 둘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 학교의 진로지원은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부모애착은 진로탐색행동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학교진로지원 및 부모애착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탐색효능감은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가졌다. 넷째,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단과대학 특성에 따라 연구모형이 차이가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진로탐색행동은 상당히 낮은 수준이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진로탐색행동 수준은 보통 이하이며, 직업탐색 영역이 나에 대한 탐색 영역보다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둘째, 서울대학교 학생의 진로탐색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탐색행동이 촉진된다. 이 연구에서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진로탐색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가장 큰 영향력을 갖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진로지원이 높을수록 진로탐색행동이 촉진된다. 즉, 서울대학교 학생들은 학교에서 인지되는 진로지원의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탐색행동의 빈도가 높다. 이는 직접적인 경로와 간접적인 경로로 모두 설명된다. 넷째, 단일학과로 구성된 단과대학에 비해 다수학과로 구성된 단과대학에서 진로탐색효능감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컸으며, 학교진로지원이 진로탐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도 더 컸다. 다섯째, 서울대학교 고학년 학생들은 저학년학생들에 비해 학교의 진로지원 수준을 낮게 평가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기초로 후속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향후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인지된 진로지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변인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의 진로지원서비스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통합적인 준거 개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셋째, 부모애착과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을 동시에 고려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서울대학교 학생들의 진로탐색과 실제적인 진로지원을 도울 수 있는 진로지원체계가 구축될 필요성이 있다.

      • 법인화를 둘러싼 서울대학교 내부 갈등 원인 분석 : 정책 가치에 관한 논쟁을 중심으로

        박소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서울대학교 법인화 정책 논쟁에서 나타난 핵심가치를 중심으로 법인화를 둘러싼 서울대학교 내부 갈등의 원인을 탐색하였다. 국립대학이 국가기관으로 운영됨으로써 세계화와 지식기반사회라는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지적되며 국립대학 법인화 정책 논의가 형성되었다. 그 결과 한국 국립대학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었던 서울대학교는 2011년 12월 28일, 법인 등기 신청을 마침으로써 ‘국립대학법인’으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서울대학교 법인화 정책은 추진과정에서 첨예한 내부 갈등을 겪었다. ‘서울대학교법인화반대공동대책위원회’라는 공식적 반대집단이 출현하여 반대의사를 지속적으로 표명하였으며, 서울대학교 행정관을 점거하며 농성을 벌이고, 공청회를 저지하는 투쟁을 벌이는 등 추진집단과 반대집단의 갈등의 정도가 매우 심각하게 나타났다. 갈등이 생겼을 때 이를 긍정적으로 풀어내지 못하면 해당 조직의 통합과 조화를 저해하여 조직발전에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 갈등에 대한 적절한 해결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국립대학 법인화와 관련된 선행연구에서 법인화 정책 갈등을 다룬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기존의 연구물은 대개 국립대학 법인화 추진 배경 및 과정과 국립대학 법인화의 특징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법인화 정책 논쟁에서 나타난 핵심가치를 중심으로 법인화를 둘러싼 서울대학교 내부 갈등 원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갈등의 원인을 밝히고 갈등 해소 및 법인화 정책 추진 시 고려해야 할 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취지에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인화에 관한 서울대학교 내부 논쟁에 나타난 핵심가치는 무엇인가? 서울대학교 법인화 정책 추진집단과 반대집단이 법인화 논쟁에서 주요하게 다룬 가치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두 집단 모두 주되게 제시하고 있는 정책 관련 가치가 무엇인지 확인하여 정책 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논쟁의 핵심가치를 알아보았다. 둘째, 법인화에 관한 서울대학교 내부 논쟁에 나타난 핵심가치의 의미 연결망은 어떠한가? 추진집단과 반대집단이 논쟁의 핵심가치와 함께 어떤 어휘를 사용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추진집단과 반대집단이 서울대학교 법인화 정책과 핵심가치에 관해 어떠한 논의를 전개하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법인화를 둘러싼 서울대학교 내부 갈등 원인은 무엇인가? 추진집단과 반대집단이 정책 논쟁에 나타난 핵심가치에 관해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러한 두 집단의 인식을 비교 분석하여 서울대학교 법인화 정책 갈등 원인을 탐색하였다. 설정한 연구 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에 제출된 2009년 12월 11일부터 법인 등기 신청을 마친 2011년 12월 28일을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고 추진집단과 반대집단이 발행한 문서를 분석하였다.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준비위원회가 발행한 홍보문서와 서울대학교법인화반대공동대책위원회가 발표한 성명서를 분석대상으로 삼아 서울대학교 법인화에 관한 내부 갈등 원인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인화에 관한 서울대학교 내부 논쟁에 나타난 핵심가치를 탐색하고자 빈도분석을 시행한 결과, 두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자율성이 빈도수 상위 15위 안에 들어 논쟁의 핵심가치로 나타났다. 홍보문서에서는 자율성이 25회 사용되어 빈도수 상위 4위로 나타났다. 성명서는 ‘국립대학법인 서울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안’이 국회에서 통과되기 이전과 이후를 나누어 분석을 시행하였다. 법률안 통과 이전에 발표된 성명서에서는 자율성이 22회, 민주성이 21회 사용되어 각각 빈도수 상위 14위와 15위였다. 법률안 통과 이후에 발표된 성명서는 민주성을 16회, 자율성을 12회 사용하여 각각 빈도수 상위 13위와 15위를 차지하였다. 둘째, 서울대학교 법인화 내부 논쟁의 핵심가치로 나타난 자율성이 포함된 문장의 의미 연결망을 분석한 결과 추진집단과 반대집단이 자율성과 함께 사용하고 있는 어휘가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추진집단은 ‘자율성’과 함께 ‘법인화’, ‘자율성’, ‘제고’, ‘훼손’, ‘아님’ 등이 함께 사용하여 법인화가 대학의 자율성을 제고한다고 보았다. 반면 반대집단이 발표한 성명서에서는 ‘자율성’이 ‘법인화추진’, ‘명분’, ‘강변’, ‘기만’, ‘훼손’ 등과 연결되어 법인화로 인하여 대학의 자율성이 훼손된다고 보고 법인화가 대학의 자율성을 제고한다는 것은 추진집단이 법인화를 추진하기 위한 명분일 뿐이라고 강조하였다. 셋째, 자율성에 대한 두 집단의 논의를 통해 법인화를 둘러싼 서울대학교 내부 갈등 원인이 무엇인지 탐색하는 분석을 시행한 결과 두 집단이 대학의 자율성의 주체, 상대, 대상, 통제의 형태에 관해 상이한 인식을 보였다. 추진집단은 법인이 대학의 자율성의 주체라고 보고 있었으며 반대집단은 교수, 직원, 학생을 뜻하는 대학구성원이 대학의 자율성의 주체로 보았다. 대학이 자율성을 확보해야 할 상대로는 추진집단은 국가(정부)를, 반대집단은 국가(정부)뿐만 아니라 시장과 외부 인사를 대학이 자율성을 확보해야 할 상대로 인식하였다. 또한 대학이 어떤 부분에서 자율성을 발휘해야 하는가에 대해 추진집단은 대학이 인사·재정·조직 등 대학운영에 관해 자율성을 지녀야 한다고 보았는데 반대집단은 대학운영에서 인사·재정 뿐만 아니라 계획의 수립 및 실행과 학문교육체제구축의 자율성을 가져야 한다고 보았다. 대학에 대한 통제가 어떤 형태로 일어나는지에 대한 인식차이도 나타났다. 추진집단은 법을 통한 통제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대학의 자율성이라고 보는 반면 반대집단은 국가(정부)의 감사가 대학의 운영기구에 파견되고 대학 운영기구 인사를 임명하며 평가기반 재정지원 정책을 사용하는 것이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한다고 보았다. 또한 대학구성원의 선출이 아닌 외부인사가 임명되어 대학 운영기구가 구성되는 형태는 대학의 자율성을 침해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대학의 자율성에 대해 추진집단과 반대집단은 각각 상이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차이는 결국 법인화가 대학의 자율성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올 것인가에 대한 인식차이를 불러일으켰다. 즉, 추진집단은 법인화가 대학의 자율성을 제고하는 것으로 반대집단은 대학의 자율성을 훼손하는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대학의 자율성에 대한 두 집단 간 인식 차이는 법인화를 둘러싼 서울대학교 내부 갈등을 유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대학의 자율성을 두 집단 모두 중시하고 있지만 인식의 차이가 나타나기 때문에 법인화 이후 서울대학교의 자율성이 제고되는가 훼손되는가에 대한 정책의 본질에 관한 논의에서 갈등을 겪은 것이다. 이는 서울대학교 법인화 추진 시 해당 정책이 이루고자 하는 정책 가치에 대해 서울대학교 구성원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고려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이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이 연구는 문헌의 내용분석 방법을 통해 기존에 부족했던 법인화 정책 갈등을 규명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정책 추진집단과 반대집단의 문서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및 의미 연결망 분석 등을 시행함으로써 대학의 자율성의 주체, 상대, 대상, 통제의 형태에 관한 두 집단의 인식을 비교분석하여 법인화에 관한 서울대학교 내부 갈등 원인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의 자율성에 관한 두 집단의 인식 차이가 정책 갈등을 야기했음을 도출하고 법인화 정책 추진 시 정책 대상인 대학구성원들이 대학의 자율성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고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이끌어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법인화에 관한 서울대학교 내부 갈등 원인을 탐색하는 데 정책 논쟁에 나타난 핵심가치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다양한 갈등 원인을 포괄하지 못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이 연구는 분석대상으로 문서를 활용하였기에 면담과 설문을 통한 갈등 원인 탐색 연구가 후속연구로 제언된다.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is a government’s strategic approach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rigid and uniform university operation system and sharpen their international competitive edges. Yet, since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involves formidable changes including a legal status and identity of the institution, incorporation requires a social consensus. In cas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wever, there was a sharp conflict over several core values. Conflict resolution is important in that conflict sabotages integration of the organization if not resolved properly. Nevertheless, preceding studies have only explained characteristics of incorporation of national universities with few policy suggestions. In such circumstanc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internal conflict focusing on incorpor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policy value dispute because the policy value dispute is a core factor analyzying the policy conflict cause. For this purpose, brochure, data from the implementing group and statements, data from the dissenting group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frequency test and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major findings from the analysis are listed as follows. First, both groups considered autonomy the core policy value supporting their positions. The word ‘autonomy’ was used 25th times in all brochures, which ranked 4th in terms of frequency. In statements issued before legislative bill was passed used the word ‘autonomy’ and ‘democracy ’22nd times and 21st times, which led their frequency ranked 14th and 15th respectively. In statements issued after legislative bill was passed used the word ‘autonomy’ and ‘democracy’ 16th and 12th times, hitting 13th and 15th in terms of their frequency. Overall, the word ‘autonomy’ was ranked in top 15 frequent words used in both groups, which implied that autonomy was considered the core value in policy conflict between two groups. Second, the semantic network of the word ‘autonomy’ shows different aspects between implementing group and dissenting group. For instance, implementing group used such words as ‘incorporation’, ‘enhancement’, ‘damage’, ‘not’ with the word ‘autonomy’, which argues incorporation enhances autonomy. In contrast, ‘incorporation drive’, ‘legitimacy argument’, ‘deception’, ‘damage’ were collocated with the word ‘autonomy’ in statements of opposition forces, which in turn argues that incorporation damages autonomy and the statement that incorporation enhances autonomy is just contention of implementing group to get legitimacy for driving incorporation. Third, each group has different perception of university autonomy regarding subject, object, and type of control. For example, while the implementing group recognize corporate body as a subject of university autonomy, opposition forces regard university member including professors, staffs, and students as a subject of university autonomy. Perception gap about university autonomy between two groups leads to different perception about the consequences of incorporation. That is, implementing group perceives incorporation would enhance university autonomy, whereas dissenting group considers incorporation an obstacle to university autonomy. In conclusion, the overall results show that how they define university autonomy has led to the internal conflic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over incorporation. These findings suggest it should be made to inquire how policy object perceives the core policy value in policy-making process to prevent and resolve conflict.

      •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학생들의 연구윤리의 기초지식에 대한 연구

        박준규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학생들의 연구윤리 인식정도를 파악하여, 이들에게 전달해야 하는 연구윤리 정보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하여 연구윤리의 기본 요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치의학대학원 학생 1-4학년(348명)을 대상으로 하여 개별 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조사법으로 조사하여,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학생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62부 (응답율 75.3%)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오의금(2010)이 연구에 사용한 설문도구를 저자의 동의를 구하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조사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 나이, 학력, 연구경험, 연구윤리교과 수강경험 및 논문 출판 경험으로 조사하였으며, 연구윤리에 대한 지식과 인식수준 조사를 위해, 연구자가 필수적으로 알아야 하는 연구윤리영역별 인지정도, 인간대상 연구의 자발적 동의 필요성, 연구 부정행위, 올바른 통계처리, 연구 데이터 관리, 저자표시, 출판 윤리, 피험자보호, 임상시험 연구윤리제도 및 응답자의 인구학적 특성과 연구경험으로 구성된 설문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조사대상자의 54.6%(n=143)만이 연구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다고 하였고, 1인당 평균 0.78회의 연구경험이 있었다. 이들의 연구 경험은 1회가 가장 많은 71.7%(n=99) 를 차지하였는데, 주로 학부과정에서 자신의 학위 논문을 수행하면서 참여했다는 응답이 66.1%(n=72) 를 차지하였다. 2. 연구윤리 교과목 수강 여부에 대해 약 80%(n=209) 의 학생이 교과목 수강경험이 없다고 하였고, 연구윤리 과목을 수강하였다고 응답한 53명 중 83%인 44명은 1회만 수강하였다고 응답하였다. 3. 논문을 출판해본 적이 있다고 응답한 인원은 54명(21%)이었고, 이 중에 82.4%(n=42) 는 한 번 출판해 보았다고 응답하였다. 전체적으로 연구기록물 관리, 연구 데이터의 보관, 소유권, 데이터의 공유, 대상자 비밀 보장, 바른 문헌 인용 및 IRB 서류 준비 과정 등에 대해 대부분의 응답자가 잘 알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모든 인간대상 연구에서 자발적 동의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에 대한 인지도는 학년, 연구경험, 연구윤리 교과 수강 경험 여부 및 논문 출판 경험 여부와 무관하게 필요하다고 응답한 사람의 비율이 더 높았다. 5. 연구부정행위에 대한 인식도에서 각각의 개념에 대한 의미를 인지하고 있는 정도를 조사한 결과, 논문 출판 경험이 있는 사람에서 약간 더 위조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변조나 표절에 대해서는 학년이나 연구경험, 연구윤리 수강경험, 논문 출판경험에 따른 인지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6. 자기표절에 대한 인지도는 저학년 학생들이 자기표절의 개념을 좀 더 정확하게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논문 출판 경험에 따라 자기표절에 대한 개념을 정확히 인지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려운 것으로 조사되었다. 7. 인용에 대한 인지도는 학년, 연구경험, 연구윤리 수강경험 및 논문 출판 경험에 따른 차이가 없었고, 올바른 통계처리방법에 대한 인지도는 4학년의 경우에 보다 정확한 개념을 인지하고 있는 반면에 3학년의 경우는 정확한 개념을 인지하고 있지 못하여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8. 연구데이터의 관리 부분에서도 연구 경험이 있거나 논문 출판 경험이 있는 학생의 대부분은 정확한 개념을 확립하고 있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9. 저자표시에 관해서는 비교적 정확한 개념을 지녔으나, 출판윤리에 관해서는 학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부정확한 개념을 지니고 있는 학생들이 많아 이에 대한 정확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연구경험이 있거나 출판 경험이 있는 경우에도 정확한 개념을 지니고 있는 경우가 50%에 미치지 못하여 이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10. 피험자 보호와 임상시험 연구윤리에 대한 각종 제도와 법률에 대해서도 ‘알고 있다’ 는 응답보다 ‘모른다’ 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어서 이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전체적인 조사 결과에 따르면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학생들은 연구윤리 교과목을 수강해본 경험이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간 대상 연구에서 자발적 동의가 필요하다는 점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출판윤리에 대해서는 부정확한 개념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이 많았으며, 피험자 보호와 임상시험 연구윤리에 대한 각종 제도 및 법률에 대해서도 알지 못하는 학생들이 많아 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검토되었다. 더불어,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연구윤리에 대한 교육이 실효성을 거두고 있다고 하기 어려우며,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분석 :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사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 문 요 약 한국과 중국의 교육대학 음악교육과정 비교 분석: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양 사 청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장기범)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한국 서울교육대학교와 중국 하남사범대학교의 음악교육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양국 교육 현황을 파악하여 그 교육과정을 비교함으로써 양국이 서로 참고할 만한 부분을 찾는데 있다. 이 연구는 한중 양국의 음악 교육과정 중에서 각 과목의 교육 목적을 비교 분석하여 그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양국 교과교육의 교류와 협력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학교 교육과정과 관련된 선행 연구, 문헌자료, 관련 서적, 인터넷 조사 등의 문헌 조사를 통해서 교육대학교 음악교육학과의 설립배경과 발전 과정, 대학교의 기능 및 교과과정 운영의 기본 방향을 알아본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한국 대학교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동일한 틀에 넣고 분석한다. 셋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두 학교 교육과정 설치, 교과목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및 심화과정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으로 분류해서 비교하여 분석한다. 서울교육대학교와 하남사범대학교 음악교육과정, 학점 수, 교육과정 해설, 실습배치 등의 비교분석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교육실습 제도가 다르다. 한국은 2학년부터 학기마다 교육실습을 실행하는 데 반에 중국은 4학년 2학기 때만 8주간에 교육실습을 실행한다. 하지만 중국은 수습 기간을 필수로 하며 한국은 교육실습을 대체로 한다. 이러한 점은 양국 서로 참고할 가치가 있다. 둘째, 한국과 중국의 음악 교육과정을 비교할 때 가장 두드러지는 차이점은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중시하는 정도이다. 한국 대학교는 국악과정의 설치가 교육과정에서 서양 음악과 대등한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중국 대학교의 전통음악에 관한 과정을 차지하는 비중은 아주 적었다. 이와 비교할 때 중국 사범대학교의 민족 음악 교육과정의 체계는 아직까지 미흡한 상황이다. 주요어: 교육대학교, 음악 교육 과정, 비교, 분석 *본 논문은 2018년 8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임.

      •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 분석

        김명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current study sought to investigate the adjustment proces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by focusing on the factors that affect such process. The research question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what does a SNU student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experience and how does he or she adjust?” For this, 15 SNU students who had been under academic probation at least once during the first and second year in college but have been off the academic probation afterward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All participants have attended at least 5 college semesters.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 (Strauss & Corbin, 1990). The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Upon categorization through the open coding process, a total of 85 concepts, 40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were extracted. Category analysis using coding paradigm revealed that the causal conditions in the adjustment process of participa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s were ‘transition to an ordinary life’ and ‘difficulties of studying for excellence.’ Core phenomena were ‘experience of self discrepancy’ and ‘not living up to the name of a SNU student.’ Contextual conditions that affected these core phenomena were ‘feeling responsible to live up to expectations of a SNU student,’ ‘privileges of having the SNU label,’ and ‘environment where one needs to be responsible for oneself.’ Intervening conditions that either facilitate or repres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regarding core phenomena were ‘receiving help once academic problems were known,’ ‘occurrence of unexpected problems in reality,’ ‘searching for the direction to follow.’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appeared to be ‘confronting the reality and transforming thoughts’ and ‘focusing on one’s studies.’ As a result, they reported ‘feeling responsible for one’s studies’ and ‘feeling the need to find a career that fit the status of a SNU student.’ The adjustment process of SNU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consisted of ‘conflict stage,’ ‘reflection stage,’ ‘action stage,’ and ‘integration stage.’ The ‘conflict stage’ refers to the period when students experienced academic difficulties due to their previously formed perceptions regarding self and studies. During this stage, they found themselves different from their past selves who had been smart and diligent. Because they had met expectations for high-level performance and achievement up until college entrance, they tended to refuse to accept their mediocre academic results in college. Instead, they chose to give up midway in consideration of retaking the courses. The ‘reflection stage’ occurred after the students were put under academic probation. Once their academic failure was made official through academic probation, the students began to reflect on their school life. Gradually, they came to accept that their abilities are considered ordinary at SNU. They redefined what college studies mean to them and set realistic academic goals. The ‘action stage’ occurred when students confronted their reality and began to behave differently with transformed thoughts about themselves and studies. Participants tended to avoid extreme competitions with other students and chose classes that fit their interest and aptitude. Moving away from the rote memorization approach of studying, they began to study strategically by proactively searching for information and developing skills to discern important lecture materials. They now focused on their studies by fulfilling basic academic requirements such as attendance, homework submission, and longer study hours. The ‘integration stage’ refers to the gradual stabilization of their newly gained perspective on their studies. At the same time, the participants started to seriously think about their career paths after experiencing academic failure which led them to prepare for their post-college life. In other words, the result of academic adjustment entails both feeling responsible for their studies and preparing for post graduation life. In particular, the participants selected and prepared for career directions that seemed fitting for SNU students. The core criterion in the adjustment process of SNU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appeared to be ‘performing academic tasks by reducing the discrepancies through changed perceptions regarding self and studies.’ Upon analysis of relevance among criteria around this core criterion, four types emerged: ‘fast transition type,’ ‘slow transition type,’ ‘perspective conflict type,’ and ‘perspective maintenance type.’ The ‘fast transition type’ immediately awakens after experiencing academic failure due to lack of motivation. This type assesses his reality at SNU and sets new goals that fit his career direction. The ‘slow transition type’ slowly transitions by regulating his compulsive behaviors that affect his academic performance after experiencing academic failure. The ‘perspective conflict type’ gets gradually adjusted academically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trial and error in establishing a career path. The ‘perspective maintenance type’ regards college graduation as meaningful itself since he cannot receive positive support from parents or family and is seriously conflicted in his career deci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the SNU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first underwent the ‘experience of self discrepancy’ and found themselves ‘not living up to the name of a SNU student’ because they were affected by ‘feeling responsible to live up to expectations of a SNU student,’ ‘privileges of having the SNU label,’ and ‘environment where one needs to be responsible for oneself.’ However, they came to ‘receive help once academic problems were known,’ face ‘unexpected problems in reality,’ ‘search for the direction to follow.’ Through such experiences and various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hey gained ‘responsibility for their studies’ and prepared for ‘careers that fit the status of a SNU stud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counseling for these students. The potential vulnerability of college students who had achieved great academic successes in high school is noted and directions for helping them through counseling were discussed. In sum, this study sought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conditions that affect the adjustment of SNU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cademic fail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highlighted the possible vulnerabilities of academically competent students and provided direction for systematically helping them through specific counseling interventions. 본 연구는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이 적응해 나가는 과정과 그 과정에 작용하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은 무엇을 경험하고 어떻게 적응하는가?’ 로 요약 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의 학생 중 1, 2학년 시기에 1회 이상 학사경고를 받고 그 후 학기에서는 학사경고를 받지 않고 있는, 등록학기로 5학기 이상(졸업생 포함)의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 결과는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방법(Strauss & Corbin, 1990)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 과정을 걸쳐 면접 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85개의 개념, 40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4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패러다임에 의한 범주분석 결과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에서 인과적 조건은 ‘평범한 삶으로 전환함’ 과 ‘늘 탁월해야 하는 공부의 힘겨움’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은 ‘내적인 불일치를 경험함’, ‘서울대생답지 않게 생활함’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영향을 주는 맥락적 조건은 ‘서울대생으로서 높은 기대와 책임을 느낌’, ‘쉽게 얻을 수 없는 서울대학교 타이틀’,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환경’ 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촉진시키거나 억제하는 중재적 조건은 ‘학업문제가 알려지고 도움을 받음’, ‘예상치 못한 현실문제가 생김’, ‘생각하며 나아갈 방향을 모색함’ 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현실을 직면하고 생각을 바꿈’ 으로, ‘학업에 집중함’ 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는 ‘학업에 대한 책임을 느낌’ 과 ‘서울대 위상에 맞는 진로를 찾고자 함’으로 나타났다.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은 ‘갈등 단계’, ‘반성 단계’, ‘실천 단계’, ‘통합 단계’로 나타났다. ‘갈등 단계’는 연구 참여자들이 학업과 자신에 대해 대학 입학 이전에 형성된 관점에 의해 학업에서 갈등과 어려움을 경험하는 시기를 의미한다. 갈등 단계 동안 이들은 고교 시절까지 형성되었던 공부 잘 하고 똑똑하며 성실한 자신과는 다소 동떨어진 자신의 모습을 경험하게 된다. 아울러 고교시절까지 형성된 완벽한 수행과 성취에 대한 기대가 높은 탓에 다소 나태한 학업으로 인해 나타난 어중간한 결과들을 인정하지 않고 재수강을 고려하여 중도에 포기하는 현상을 드러냈다. ‘반성 단계’는 학사경고를 맞은 이후에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들은 학사경고를 통해 최종적으로 자신이 해당 학기에서 실패를 경험했다는 것을 확인하면서 학교 생활을 반성적으로 돌아보게 되었고, 학업에서 서울대학교에 소속된 자신의 실력이 평범함을 인정하고 대학의 학업에 대한 정의를 내리게 되며 현실에 맞는 학업 목표를 설정하게 된다. ‘실천 단계’는 현실을 직면하고 생각을 바꿈으로 인해서 변화된 행동들이 나타나는 단계를 말한다. 참여자들은 다른 학생들과 비교되거나 심한 경쟁을 하는 상황은 피했고 되도록 자신의 적성이나 관심에 맞는 학과목을 찾아 선택하였다. 고등학교 때의 암기식 공부 방법에서 탈피해 적극적으로 정보를 찾았고 강의 내용 중 무엇이 중요한 것인지를 구분하는 능력을 기르는 등 전략적인 공부를 하게 되었다. 또한 출석, 과제 제출, 공부 시간 늘림 등 기본적인 학업 요구를 만족시키는 등 학업에 집중하였다. ‘통합 단계’는 학업에 대한 관점이 전환 되어 점차 안정되어 가는 단계를 의미한다. 동시에 이들은 학업 실패 과정을 경험하게 되면서 진로에 대한 고민을 시작하고 이것은 학업적응 과정의 결과에서 졸업 이후를 준비하는 것으로 연결된다. 즉, 학업 적응의 결과는 대학에서 겪고 있는 학업에 대한 책임을 느끼는 동시에 졸업 이후를 준비하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졸업 이후의 진로를 선택함에 있어서 이들은 서울대 출신 학생이라는 점을 감안한 진로를 찾아 준비하였다.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에서 핵심범주는 ‘학업과 자신에 대한 관점 전환을 통해 불일치를 줄이고 학업을 수행함’으로 나타났다.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나타나는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빠른 전환형’, ‘느린 전환형’, ‘관점 갈등형’, ‘관점 유지형’ 의 4개 유형이 나타났다. ‘빠른 전환형’은 동기 없음의 상태에서 학업실패 경험한 후 즉각적인 각성을 통해서 서울대학교에서 자신의 현실을 파악하고 그에 기반한 목표를 설정하고 자신의 진로 방향성을 감안하여 학업에 적응하는 유형이다. ‘느린 전환형’은 학업에 대한 강박적 태도로 인한 학업실패를 경험한 후 학업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강박적 태도를 조절해 나가며 서서히 전환해 나가는 유형을 말한다. ‘관점 갈등형’은 학업실패 후 적응하는 과정에서 기존의 관점으로 인해 학업과 진로에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적응해 나가는 유형을 말한다. ‘관점 유지형’은 부모, 가족 등의 의미 있는 관계에서 긍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하고 진로에 대한 갈등이 심한 상태에서 기존의 관점을 유지한 채 서울대학교 졸업에 의의를 두는 유형을 말한다. 본 연구 결과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은 ‘서울대생으로서 높은 기대와 책임을 느낌’, ‘쉽게 얻을 수 없는 서울대학교 타이틀’, ‘스스로 책임져야 하는 환경’ 의 영향을 받아 ‘내적인 불일치’를 경험하고 ‘서울대생답지 않은 생활’을 하지만 ‘생각하며 나아갈 방향을 모색함’, ‘학업문제가 알려지고 도움을 받음’, ‘예상치 못한 현실 문제가 생김’ 에 따라 다양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통해 ‘학업에 대한 책임’을 갖고 ‘서울대학교 위상에 맞는 진로’를 찾아 준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청소년기에 학업에서 우수한 성취를 보인 학생들의 잠재적 취약성을 보완하고 이들을 돕기 위한 전문적인 상담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통합적으로 이해함으로써 이들의 적응과정 전반에 대한 구체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최근 10년간(2008~2017)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의 분포와 사회-경제학적, 물리적인 변수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남동희 서울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의 수를 출산율, 소득 등의 사회­경제학적인 변수와 거리 등의 물리적인 변수로 나누어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과 변수 간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역학적 조사를 통해 소아치과 진료의 현재와 미래를 조망해보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의료정보시스템(Order Communication System)을 이용하여 내원환자수를 주거지별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지난 10년간 내원횟수가 중복되지 않도록 하였다. 사회-경제학적 변수 중 서울시 25개 자치구 월평균 소득은 통계청을, 각 자치구의 인구수는 서울특별시 정보기획관이 제공하는 서울서베이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변수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시간에 따른 내원환자수 및 내원비율의 변화, 거리에 따른 내원환자수 및 내원비율의 변화, 소득에 따른 내원환자수 및 내원비율의 변화 등 3가지의 가설을 세웠고 필요시 통계학적으로 검정하였다. 2008년부터 2017년까지 10년간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모든 환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국 내원환자수는 지난 10년간 15.7% 증가하였고, 서울의 경우 내원환자수의 추세는 비교적 일정하였으며, 경기도와 인천의 경우 지난 10년간 각각 45.6%, 102.0% 증가하였다. 0∽14세 전국 인구수는 지난 10년간 20.3% 감소하였고, 서울, 경기도, 인천의 경우 27.6%, 14.0%, 17.0% 감소하였다. 인구수에 따른 전국 내원비율은 지난 10년간 46.8% 증가하였고, 서울, 경기도, 인천의 경우 41.6%, 67.1%, 122.1% 증가하였다. 주거지로부터 병원 간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내원환자수와 내원비율은 감소하였고 통계적 유의성을 갖는다(p<0.05). 단, 거리가 멀어질수록 소아외과치료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한편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가구별 월 소득이 증가한다고 해서 내원환자수와 내원비율이 증가한다고는 통계적 유의성을 갖고 말할 수 없다(p>0.05).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number of patients visiting pediatric dentistry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SNUDH) changes in time according to socio-economic factors, including a birth rate and an income, and a physical factor, a distance. Also, it looks at how three factors are correlated to each other.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tell the current situation of pediatric dentistry and its future.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three hypotheses were made and statistic evidences were provided when necessary. The hypotheses are how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patients change according to the time, distance and income respectively. The data of the number of patients visiting pediatric dentistry of SNUDH based on their residential area was collected from SNUDH Order Communication System, and multiple visits within 10 years were counted as a single visit. Also, the average income data of 25 districts in Seoul was collected from Statistics Korea. Lastly, the population data of each district was collected from Seoul Information Communication Plaza. The research reviewed the number of patients visiting SNUDH pediatric dentistry in the last 10 years from 2008 to 2017. The result showed a 15.7% increase in the number of patients nationwide, 45.6% increase in Gyeonggi, 102.0% increase in Incheon and steady number of patients in Seoul. The population aged 0-14 decreased nation-wide by 20.3%, Seoul 27.5%, Gyeonggi 14.0%, and Incheon 17.0% in the last ten years. The proportions of patients to the population in creased by 46.8% nationwide in the last ten years. Seoul, Gyeonggi, Incheon shows a increase of 41.6%, 67.1%, 122.1% respectively. The number and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live in Seoul decreased when they lived farther away from the hospital, a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p<0.05). Yet the ratio of surgical treatment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income and their visit to the hospital both proportionally and numerically(p>0.05).

      • 서울대학교 캠퍼스 녹지공간을 활용한 도시생태계 수분(受粉) 작용 활성화 식재 계획에 관한 연구

        김이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7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꽃가루 수분 위기(Pollination Crisis)는 도시의 문제와 무관하지 않으며 그 위험성은 계속해서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 1970년에서 2010년까지 세계 지구생명지수가 52% 하락했다. 이는 40년 전과 비교해서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종 수가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음을 의미하며 현재 생물종의 멸종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 수분매개자와 식물 다양성이 줄어드는 현상은 도시에 사는 인간의 생존에도 치명적이다. 국내에서는 2021년 겨울 78억 마리의 꿀벌이 사라지는 꿀벌 군집 붕괴 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이 나타났으며 이는 전체 꿀벌의 약 18%가 사라진 것으로 대규모 꿀벌 감소 양상을 보여준다. 인간의 생존에 있어 꽃 피는 식물과 농작물의 번식을 위한 꿀벌, 나비와 같은 화분매개곤충은 필수적인 존재이다. 그러나 서울과 같이 고밀도 도시화가 이루어진 도시생태계에서 화분매개곤충의 보전에 관한 연구는 활발하지 못하다. 그동안 국내 밀원식물은 화밀의 양에 집중하여 제안해왔으며 도시 양봉이나 양봉업의 수요가 비교적 적은 편에 속하는 서울과 같은 도시 지역에서는 타당하지 않다. 특히 고밀도 도심 지역에 해당하는 서울시는 산지 안으로 파고들어 도시를 개발해왔으며 화분매개곤충의 자연 서식처가 되는 도시숲의 야생 서식지의 상실을 초래하였다. 특히 더 이상의 녹지공간 확충이 어려운 현시점에서 기존 녹지공간 중 도로 건설,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난 주변부 녹지공간을 활용한 수분 친화 녹지 조성 및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부분에 있어서 기여하고자 도시 지역 내 수분매개자의 서식처와 먹이원이 되는 도시 주변부 녹지공간 발굴 및 식생 요인을 도출하여 산지를 중심으로 도시공간을 개발한 서울대학교 캠퍼스 녹지공간을 적용 사례로 하여 수분 친화 식물종 선정 및 식재 계획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화 과정에서 나타난 주변부 녹지공간을 도로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선형 녹지공간, 주변부 녹지공간과 초지정원 해당하는 면적 공간으로 구분하였다. 선형 녹지공간은 도로 주변부로 도로를 따라 수분매개자의 서식지와 은신처의 생태통로로 기능할 수 있다. 서울대학교 캠퍼스는 도로 건설로 인하여 절단된 숲 가장자리와 도로가 만나는 경계부가 생긴다. 이러한 도로 가장자리는 주요 수분매개자의 생태계뿐 아니라 숲 식생이 노출되기 때문에 도로와 수분 친화 식재를 통해 수분 친화적 식생을 만들어 준다. 주변부 공간은 도로와 도로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으로 크게 도로 완충녹지와 건물 앞 녹지에 해당한다. 주차장의 주변부 녹지공간과 운동장 주변부 녹지공간도 포함하였다. 정원 공간은 초지에 해당하는 곳으로 자생 야생화로 수분 친화적이며 경관을 개선할 여지가 있는 공간을 선정하였다. 둘째, 도시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수분 친화 초본 식물을 제안하였다. 기존에는 밀원숲 조성을 중심으로 밀원수를 식재했다면 도로를 통한 주변부 녹지공간과 선형공간에 적용할 수 있도록 문헌 관찰을 통하여 수분 친화 식물종으로 밀원식물, 나비목 먹이식물, 나비목 흡밀식물, 서식처 지원식물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특정 수분매개자와 일반적인 나비목, 벌목의 서식처에 따라 식물종을 제안하였다. 밀원식물은 주로 꿀풀과, 국화과, 콩과, 붓꽃과에 속하는 식물종이 해당하며 나비목은 종마다 선호하는 먹이식물과 흡밀식물이 다양하지만, 장미과, 콩과, 백합과 운향과 식물로 선정하였다. 나비목의 흡밀식물의 경우에는 선호하는 식물종의 제안보다는 자생종을 중심으로 한 늦가을까지 꽃 필 수 있는 중부지역에 해당하는 식물종을 제안하였다. 셋째, 화분매개 곤충의 먹이원이 되는 녹지공간의 거리를 연결하고 풍부도를 높일 수 있는 자생 초본류, 협업 초본류를 중심으로 수분 친화 식물종과 식재 방법을 제안하였다. 파편화된 녹지공간은 주요 수분매개 곤충인 꿀벌이 인식하는 먹이원의 면적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적용 대상지인 서울대학교 캠퍼스는 신축 건물 조성, 오픈 스페이스의 확장, 신규 기숙사와 주차장 조성 등의 개발로 관악산 주연부를 파괴하며 녹지공간 파편화가 이루어졌다. 갈수록 극심해지는 폭염은 도시 지역에서 열섬현상으로 심화시키고 이에 건조에 비교적 강하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저관리형의 자생 수분 친화 식재 수종을 씨드 혼식 식재 계획을 제안하였다. 수분 친화 씨드 혼식 식재 계획은 꿀풀과, 콩과 국화과의 비율을 설정하여 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꽃가루매개자 위기와 식물 다양성 감소 현상에 주목하여 산지를 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진 서울대학교 캠퍼스 녹지공간을 대상으로 관악산의 야생 서식처와 연결하여 녹지공간을 조성 및 관리할 수 있는 수분 활성 식재 계획을 제안하였다. 한편,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가 위치한 서울 지역을 사례 대상지로 꿀벌, 나비목에 해당하는 주요 수분곤충에 해당하는, 다소 개괄적인 화분매개 곤충에 대한 수분 활성화 식물종을 제안한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향후 발전된 후속 연구를 통해서 도시 지역에 서식하는 다양한 화분매개 곤충에 대한 기초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꽃가루 매개자의 다양성을 고려한 도시 내 수분 친화 수종의 발굴과 식재 계획의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 기초적인 자료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수분매개자의 관점으로 도시 환경을 바라보고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위한 보다 실천적인 가능성이 제기되기를 기대한다. The pollination crisis, which is emerging worldwide, is not unrelated to urban problems, and the danger continues to be serious. From 1970 to 2010, the global life index fell 52 percent, meaning that the number of species on Earth has halved compared to 40 years ago, and the extinction rate of species is now accelerating. The decline in pollinators and plant diversity is also fatal to the survival of humans living in cities. In Korea, the Colony Collapse Disorder (CCD), in which 7.8 billion honeybees disappear in the winter of 2021, showed a large-scale honeybee decline, with about 18% of all honeybees disappearing. Potted insects such as honeybees and butterflies for the reproduction of flowering plants and crops are essential for human survival. However, research on the conservation of pollination insects in urban ecosystems with high-density urbanization such as Seoul is not active. Until now, domestic wheat plants have been proposed by focusing on the amount of nectar, which is not valid in urban areas such as Seoul, where the demand for urban beekeeping or beekeeping is relatively low. In particular,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which is a high-density urban area, has dug into the mountains to develop the city, causing the loss of wild habitats such as urban forests, which are natural sites for pollination insects. In particular, at a time when it is difficult to expand green spaces anym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manage Pollination-friendly green spaces using the surrounding green spaces that appeared in the process of road construction and urbanization. This study was applied to this part of green spac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which is the habitat of pollinators in urban area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rrounding green space that appeared during the urbanization process was divided into a linear green space corresponding to the roadside, a marginal green space, and a meadow garden. The linear green space is the periphery of the roadside and can function as an ecological path for the habitat and shelter of pollinator along the road.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campus has a boundary where the cut forest edge meets the road due to road construction. Since these road edges expose not only the ecosystem of pollination friendly corridors but also forest vegetation, they create pollination-friendly landscape through roadsides. The marginal green space is a space that exists between roadsides, and largely corresponds to road buffer and abandoned green spaces in front of buildings. It also included green spaces around the parking lot and green spaces around the playground. The meadow garden corresponds to grasslands, and a space that is pollination-friendly with native wildflowers. Second, a pollination-friendly herbaceous plant that can be applied to urban areas was proposed. The pollination-friendly plants are mainly plant species belonging to the Lamiaceae, Asteraceae, Legumes, and Irises. Host plant was selected from Rosaceae, Legumes, Liliaceae, and Rutaceae plants, although preferred super food plants of honeybees vary for each species. In the case of the host plants of Lepidoptera, rather than suggesting a preferred plant species, plant species corresponding to the city of Seoul region, which can bloom until late autumn, centered on native flower species, were suggested. Third, it proposed a method of pollination-friendly plants that can connect the distance of green space in urban areas, which can improve abundance and diversity of flowering native plants species. The green spac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ampus has been carried out by developing a new dormitory, expansion of Gwanaksan Mountain and parking spaces. As more extreme, the heat island effect has been raised in the city area, therefore, a seed mixed native flower planting plan was proposed for low-management, pollination-friendly plant species that are relatively resistant to drying and easy to maintain. The mixed planting plan for the bean-friendly seeds was planned without grass by setting the ratio of Lamiaceae, legumes and Asteraceae. This study proposed a pollination-friendly planting plan that can create and manage urban green spaces in connection with the wild habitats of Gwanaksan Mountain and the green spac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developed around forest, focusing on the global pollination crisis and reduced plant diversity. However, it also has its limitations as this study looks into a somewhat general pollination-friendly plant species that correspond to honeybees and butterflies as a case study in Seoul, where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located. Despit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understand pollination habitat in extensively human-dominated landscapes. In addition, we look at the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lens of pollinators and expect more practical opportunities for nature and humans to coexist.

      •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녹지 투어 앱 제작 : Establishment of campus green space tour application for the University of Seoul

        유미희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87

        이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상황에서 대학 캠퍼스에 오지 못하는 학생들에게 캠퍼스 녹지의 수목, 식물의 사계절을 체험하게 하여 학생들의 소속감과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아름다운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녹지를 사진과 영상으로 제작한 앱으로 간접 체험함으로써 서울시립대학교 구성원 모두가 소통할 수 있는 공간 구축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서울시립대학교 재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녹지 투어 앱에 관한 설문을 조사하여 그 결과를 앱 제작의 기획 단계에 적용하여 제작 범위와 내용설정에 반영하였다. 이후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2020년 6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카메라와 드론, 액션캠 등을 사용하여 서울시립대학교 캠퍼스 내 수목과 식물을 4천 장의 자료사진을 홈페이지와 모바일 앱을 만드는 이미지 자료로 사용하였다. 주요 구성 내용으로 계절별 캠퍼스 풍경을 담은 계절 이야기, 수목으로 이루어진 산책길 이야기, 다양한 테마로 구성된 정원 이야기, 오래되고 아름다운 나무 이야기 등이다. 사진 이미지와 함께 드론과 스트리밍 액션캠을 사용한 영상 이미지를 추가 함으로써 생동감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어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모든 자료와 조사된 내용을 기반으로 학생들 스스로가 진화시킬 수 있는 형태의 모바일 커뮤니티를 만들 수 있도록 게시판의 기능을 링크와 업로드가 가능하도록 구성 제작하였다. 주요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코로나19, 녹지 투어, 대학 캠퍼스, 소통과 치유, ABSTRACT Since early 2020, most of the students did not come to the university campus due to COVID-19. Except for the special occasions, e.g. midterm and final exams, most of the lectures were done untact, which made students lose sense of belong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beautiful campus greenery.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a campus green space tour application for the University of Seoul so that all members of the university can communicate under untact situation COVID-19 caused. Scope and contents of the application was decided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by some 20 students. Some 4,000 image materials of the campus greenery were prepared by cameras, drones and action cams from June 2020 to November 2021. A homepage and a mobile application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image materials. The main compositions of the application include stories of seasonal campus landscapes, tree-based walks, old and beautiful trees, and garden stories with various themes. This mobile application and the homepage would be a starting point for green cummunications of the members of the University of Seoul. Key words: application, homepage, COVID-19, campus green, commun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