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실무자와 기자의 언론관계에 관한 상호인식 비교연구

        김미현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기업을 둘러싼 공중과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그 역할을 수행하는 PR실무자들은 다양한 PR활동 중 공중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언론관계를 가장 중요하게 다룬다. 취재원과 정보원으로서의 PR실무자와 기자의 관계는 상호 이해나 인식의 차이 때문에 부정적인 오해와 편견을 가져오기도 한다. IMF 이후 외국기업의 국내진출 증가, 벤처 기업의 성장과 몰락 등 최근 몇 년간 국내에는 PR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 보다도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여전히 친맥이 우선시 되는 국내 PR환경은 달라지지 않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시점에서 PR실무자와 기자의 언론관계에 관한 상호인식의 차이는 다시 한번 검토해 보아야 할 연구 과제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신 호창 교수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PR실무자와 기자들의 상호인식의 차이점을 규명하였다. 언론관계는 PR실무자가 펼치는 전술에 따라서, PR실무자와 기자 각자가 생각하고 있는 PR관이나 언론관 또는 상호관계에 따라서, 언론관계활동에 따라서 상호간의 인식차이가 있을 것으로 보여진다. 언론관계의 윤리성에 대한 상호간의 인식에도 차이가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신호창 교수가 1994년도에 제시한 언론관계전술과 한국의 PR모형이 현 시점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첫째, PR실무자들이 수행하는 언론관계 전술의 중요도에 관한 PR실무자들과 기자들의 상호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언론관· PR관· PR실무자와 기자와의 관계에 관한 PR실무자들과 기자들의 상호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언론관계에 대한 PR실무자들과 기자들의 윤리의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넷째, 언론관계활동에 관한 PR실무자들과 기자들의 상호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다섯째, 1994년도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현재 PR실무자의 언론관계전술 및 PR모형의 변화는 무엇인가?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설문조사 방법을 주요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설문조사는 PR실무자와 기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PR실무자는 1년 이상의 경험을 가진 국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 외국계 기업, PR대행사의 PR실무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자는 1년 이상의 국내 주요종합 일간지, 경제 일간지, IT전문 일간지의 신문사 기자 중 PR실무자의 접촉이 가장 빈번한 경제부, 사회부, 문화부 기자 200명을 대상으로 하여 총 40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언론관계 전술에 대해서는 PR실무자와 기자들 모두 보도자료에 가장 많은 비중을 두고 있었으며 '부정적 사건 발생시 보도자료 억제'나 '기자에게 식사나 향응제공'등과 같은 부정적 항목에 대해서는 중요하지 않다는 생각을 하고 있어 선행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언론관에 대해서는 PR실무자들은 기자의 전문성과 책임감을 중시하고 있으나 상대하기에는 어려운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기자들은 스스로를 전문적이며 도덕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느끼지만 존경 받을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R관에 대해서는 PR에 대한 우호적 인식은 PR실무자가, 부정적 인식은 기자가 더 많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R실무자와 기자와의 관계에 대해서 PR실무자들은 자신들이 기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고, 기자와는 동료적 관계라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기자들은 PR실무자를 뉴스 제공원으로서, 상호 의존적 관계로만 인식할 뿐 신뢰하거나 경쟁 상대로는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언론관· PR관· PR실무자와 기자와의 관계를 적률상관관계로 분석한 결과 PR실무자들은 기자에 대한 인식(언론관)이 긍정적일수록 PR의 역할 및 효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였으며, 기자들은 PR실무자를 신뢰하지는 않지만, 도움은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윤리의식에 대해서 PR실무자들은 식사대접이나 때에 따른 선물, 기사 수정 요청 등 그 정도가 약할 경우는 해도 괜찮다는 인식을 가지고 있으나, 과거에는 가능하다고 생각했던 금품제공을 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고 있어 언론윤리에 변화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기자들 또한 금품제공을 제외하고는 서로의 관계증진을 위해서 PR실무자로부터 식사나 선물, 향응 등의 접대는 받아도 괜찮다는 인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론활동에 대해서 PR실무자들은 기자들에게 적극적으로 협조하며 회사이미지 상승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위기시 과장이나 회피보다는 객관적이고 적극적인 해명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자들은 이와 달리 PR실무자들의 언론관계활동에 대해 어느 정도의 불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긍정적인 면은 PR실무자가, 부정적인 면은 기자들의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1994년도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국내 PR실무자의 언론관계전술 및 PR모형의 변화는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PR실무자의 언론관계 전술의 중요도와 언론관계 활동에 대해서 추가로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국내 PR실무자들의 언론관계 전술은 기자지향 전술, 언론윤리 전술, 회사이미지 전술, 뉴스가치 전술 등 4가지 전술로 설명됨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합리적 전술, 비합리적 전술, 언론연구, 효과적 전달과는 다른 요인으로 분석되어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것은 언론관계가 과거에 비해 더욱더 기자 중심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적극적이고 구체화된 전술로 나타나고 있음을 설명해 주는 것이라 하겠다. 또한 한국의 PR모형은 기자 중심형, 보도 자료형, 정보 왜곡형, 정보 관리형, 적극적 홍보형 등 5가지의 모형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선행 연구에서 밝혀진 한국의 PR 5모형인 합리적 정보 처리형, 상호 이해형, 정보 왜곡형, 적극적 홍보형, 보도자료 의존형과는 다소 다른 요인으로 분석되어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결과적으로 기업체 PR실무자들과 언론인 사이에는 부정적 상호인식의 차이가 변함없이 존재하고 있으며, 국내의 언론관계가 그루닉이 주장한 PR의 가장 이상적 형태인 쌍방균형모형(Two-way symmetric)으로 가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확인 되었다. 아직까지도 국내의 PR상황에는 비윤리적인 수단들이 개입되어 있고, PR실무자들이나 기자들 또한 이러한 비윤리적 언론관계를 어쩔 수 없이 받아들이고 있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PR의 중요성이 더욱 증대될수록 오히려 이러한 기자중심적 언론관계는 심화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것처럼 PR실무자들은 발전적인 형태의 PR활동을 지향하나 언론관계가 상호 긍정적, 협조적인 관계로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 종속적인 관계로 유지,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어느 한쪽만의 일방적인 변화는 무의미함을 설명하는 것이라 하겠다. Media relations to take deep effect to audience is the highest priority for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to increase the high contact with their public. Indeed, this process remains the misunderstanding and prejudice between journalists and PR practitioners. This study is attempt to compared the perception about media relations between journalists and PR practitioners based on the pre-study executed by professor H. C. Shin in 1994. Media relations would be recognized differently by five major factors as strategy, point of view of public relations or media relations, correlations and ethical value between two groups, journalists and PR practitioners. And we will also research that how the theory has been changed since H. C. Shin suggested the Korea’s public relations model and media relations strategy in 1994. The research questions to define the perceptions gaps with journalists and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re as follows: First, the perception about the important degree of media relations strategy. Second, the perception about a point of view of public relations or media relations and correlations. Third, the perception on ethical value. Fourth, the perception on the activities for media relations. Fifth, the changed result compared with the pre-study suggested by H. C. Shin in 1994. Questionnaires were surveyed for this study to 200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nd 200 journalists. The results of on the above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of media relations consists mainly of obtaining publicity is considered important by journalist and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 And they think that the negative factor such as treats including dining or restriction of press release is not important. This result show the different thing compared to the pre-study. Second, public relations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disagree regarding the point of view of media relations. Practitioners perceive journalists a specialized and high-responsibility man. But journalist has lower respects about themselves than practitioner perceive them. The two group reported different perception of public relations’ view. It is found that practitioner has more positive thinking on the public relations’ view than journalist. In the correlations,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perception on each other shows significant difference. PR practitioner recognize journalist as a partner at a same level. But journalist consider PR practitioner an information source. Third, practitioner and journalist have similarity on their ethical value. If its degree is low, it is possible that activities such as treat, presents and request to correct news to enhance relationship between two groups. Fourth, in media relations, practitioners are tends to corporate with journalists for company’s positive image. And they also react objectively to the crisis. But journalist is reluctant to agree the various activities of PR practitioners in media relations. This may account for PR practitioners are in more positive attitude than journalists in media relations. Fifth, the finding for media relations strategy here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 in 1994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journalist - oriented strategy 2) media ethic strategy 3) company image strategy 4) news value strategy. And the result here for PR model of Korea compared to pre-study can be suggested as follows. 1) journalist - oriented 2) media coverage 3) information distortion 4) information management 5) positive public relations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still negative perception between practitioners and journalists. And journalists-oriented PR is bigger in the circumstance along with the rapidly developing PR industry in Korea.

      • 신문사설 기호와 신화분석 : 한겨례신문과 조선일보를 중심으로, 언론개혁 사안을 중심으로

        이한미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언론은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일반사람들이 사회를 가장 손쉽게 이해할 수 있는 창이고 안경이다. 어느 안경을 쓰느냐에 따라서 사물의 본질이나 모습이 달라 보이 듯이 어느 신문을 보느냐에 따라 어떤 사안에 대해 평가를 다르게 내릴 수 있다는 가정 아래 이 논문을 시작했다. 언론의 목소리는 각 회사의 이데올로기에 따라 각기 다르다. 한 사회 안에 들어가 있는 같은 언론이라도 언론은 꼭 그 사회의 지배적인 이데올로기를 따라가지는 않는다. 물론 이것은 민주주의 사회의 언론으로 당연한 모습이다. 2001년 시작된 정부의 언론개혁은 언론계에 커다란 파문을 일으켰다. 이번 개혁으로 인해 언론개혁에 대한 대대적인 논쟁이 촉발되었다. 이중에서도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이 언론개혁 사안에 대해 민감하면서도 대립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언론 중에서도 동일한 사안을 언급함에 있어서 진보적인 이데올로기를 갖고 있는 신문과 보수적인 이데올로기를 갖고 있는 각각의 신문이 있다는 전제 하에 그러한 이데올로기를 만들어 내는 기호를 분석하여 각 신문사설이 지니고 있는 이데올로기와 신화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각 신문의 사설의 내용은 어떠한 이데올로기적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가? 그리고 공통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언론이데올로기는 무엇인가? 둘째 각 신문사간의 갈등의 내용은 무엇인가? 셋째 위의 내용을 토대로 이 두 신문사가 표방하고 있는 이데올로기 및 신화를 분석해내기로 한다. 이를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 언론과 이데올로기와 신화의 특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고 그 이론들을 토대로 본 논문의 분석대상으로 삼은 신문사설의 특징과 이데올로기적 차별성을 연구하고 신화를 분석하기로 한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우리나라에서 발행된 신문 중 사회적 영향력이 크고 이데올로기적으로 상반된 태도를 보여 온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그 대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분석기간은 2001년 김 대중 대통령이 언론개혁을 언급한 다음 날부터 언론세무조사, 공정위 조사를 거쳐 신문고시 시행령이 발표된 4월 18일까지로 잡았다. 분석기간을 3개월로 잡은 것은 이 기간 내에 언론개혁에 대한 논의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분석방법은 기호학적 분석 중 범주화와 과어휘화 전제분석을 시도하고 계열체와 통합체 분석을 겸하기로 한다. 그리고 보다 정확한 수치를 통한 분석을 이끌어 내기 위해 등간 측정을 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사설을 분석함으로 드러나는 신화를 알아보기로 한다. 분석 결과 2개의 신문은 각기 다른 이데올로기 성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신화 분석에서는 공통으로 드러내고 있는 신화가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이데올로기 성향을 보면 조선일보는 보수적이고 현실 안주적인 태도를 보였고 한겨레신문은 진보적이고 개혁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두 신문 모두 독자주의와 객관주의 언론이데올로기를 표방하고 있었다. 사설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그 신문의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부에 대해 비판이나 지지 등의 태도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사설만을 분석함으로 보다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가 아쉬움으로 남는다. The press is regarded as window and glasses which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se complicated modern times. I started this study in the question if, as expected, the press can imposed their newspaper's will on readers. I began this paper to conform the assumption whether the editorial which were written skillfully without expressing any political colors would distort the fact and whether the tone and direction would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political view of the press. The tone of each press is always different by their company's own ideology. even if they are the press in the same society, they don't obey the society's main ideology. needless to say, in the democratic state, that would be right. With a government' reformation of press as a start, that makes create a stir in the press. due to this reformation, a heated controversy arose. It brought about serious antagonism between especially Chosun-ilbo and Hankyeorae. On the assumption that each newspaper has their own different viewpoint, I'm going to analyze the ideology and mythology in a concrete plan by sign analysis. So this treatise sets up an a subject of study as follows. the first, what is the main difference of each press's ideology? and what is the common ideology which they apply. the second, what is discord between two press. the third, based upon substance of my study I'm about to analyze the ideology and mythology. To analyze these subject ,at the outset, I'll observe carefully existing studies related to ideology and mythology. On the basis of these theory, this essay will make a study of each company's editorial and different ideology. besides I'll analyze the mythology. This study's subject of investigation is Chosun-ilbo and Hankyeorae which have a great power of influence on the reading public. This study makes a start since 2001,1,11. and put an end 2001,4,18. The ground of this period of time is because they had a lively discussion about the press reformation within a fixed period of time. As the method of analysis, I carried out the quantitative analysis which is targeted on the editorials printed in those above two newspapers. and content analysis of the title and the tone of editorial side by side. The last I'll feel out revealed mythology by resolving the editorials. The final result shows that they have a different kinds of ideology and I can make clear commonly revealed mythology. By examining the editorials, both papers have an inclination. Chosun-ilbo shows an inclination toward conservatism. Hankyeorae leans toward the left and progressivism. also both papers adopt a same platform sort of objectivism. We learned that we understood the organ of public opinion'view and ideology by resolving the editorials. but I'm unsatisfied with the lack of synthetic analysis. because I choose the editorials as subject of investigation.

      • 國民年金에 대한 言論의 報道性向과 報道內容 分析 :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중심으로

        강수영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언론은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일반사람들이 사회를 가장 손쉽게 이해할 수 있는 창이고 안경이다. 어느 안경을 쓰느냐에 따라서 사물의 본질이나 모습이 달라 보이 듯이 어느 신문을 보느냐에 따라 어떤 사안에 대해 평가를 다르게 내릴 수 있다는 가정 아래 이 논문을 시작했다. 본 연구는 국민연금에 대한 신문의 보도성향과 내용분석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우리나라에서 발행된 신문 중 사회적 영향력이 크고 이데올로기적으로 상반된 태도를 보여 온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을 그 대상으로 한다. 분석방법은 두 신문의 논설과 칼럼의 표제어와 기호학적 분석 중 범주화와 과어휘화 전제분석을 시도하고 겸하기로 한다. 본 연구의 분석기간은 도시자영자 확대전인 1999년 2월부터 연금법개정안의 논란이 되고 있는 2003년 8월까지로 잡았다. 분석기간을 이 기간으로 잡은 것은 국민연금에 대한 논의가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내용분석의 주제는 국민연금제도, 소득파악, 기금운용, 보험료 상승 연금액 축소의 연금법 개정안에 대한 4가지 국면을 다뤘다. 분석 결과 2개의 신문은 각기 다른 이데올로기 성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국민연금에 대한 이데올로기 성향을 보면 조선일보는 다소 부정적이고 보수적인 태도를 보였고 한겨레신문은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또한 두 신문 모두 독자주의와 객관주의 언론이데올로기를 표방하고 있었다. 한겨레는 사회보험인 국민연금정책에 대한 당위성을 강조하며 지지하고, 반면에 조선일보는 선정적이고 비판적인 표제어를 사용하며 부정적 이미지를 표출하고 있다. 사설과 칼럼을 분석하면, 그 신문의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국민연금 정책에 대한 평가태도가 잘 나타난다는 것을 연구결과 분명히 드러났다.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공정하고 일관된 보도가 이루어진다면 정책에 대한 인식과 정책의 효율성은 증대될 것이다. 언론의 복지정책에 대한 공공성과 전문성이 확립되어야만 국민은 정책에 대해 올바른 인식을 할 수 있게된다. 사설과 칼럼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는 그 신문의 이데올로기적 성향과 정책에 대해 비판이나 지지 등의 태도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사설과 칼럼만을 분석함으로 보다 심층적이고 종합적인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한계가 아쉬움으로 남는다. 위에서 지적한 한계를 다각도로 보완한 심층적인 후속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ress is regarded as window and glasses which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se complicated modern times. I started this study in the question if, as expected, the press could impose their newspaper's will on readers. I began this paper to confirm the assumption whether the editorials which were written skillfully without expressing any political colors would distort the fact and whether tone and direction would differ according to the political view of the press.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difference and inclination of reporting attitudes about National Pension. The objects of investigation in this study are Chosun-ilbo and Hankyoreh which have a great power of influence on public readers. On the assumption that each newspaper has its own different viewpoint, I want to analyze the ideology and contents in a concrete plan by sign analysis. As a method of analysis, I carried out the contents analysis which is targeting on the editorials and columns printed in those above two newspapers, and contents analysis of the title and the tone of editorials side by side. By using content analysis, this study started from Feb. 1. 1999. ended at Aug. 31. 2003. The reason why I chose this period of time is because they had lively discussions upon the national pension scheme. The contents analysis is composed of 4 items which contain general features. And reporting context can be divided in four parts,'National Pension Scheme','Income Investigation', 'Financial Balance', 'Adjustment of Pension Amoun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By examining the editorials and columns, both papers have an inclination. Chosun-ilbo shows an inclination toward negative and conservative respectives. Hankyoreh reveals a positive attitude. Each newspaper shows difference of ideology. Both papers adopt a same platform sort of objectivity as well. In terms of report attitudes on assessment of National Pension policies, Hankyoreh shows a supportive attitude about social insurance in reporting context and emphasizes necessity of National Pension Scheme. On the other hand, Chosun-ilbo puts a negative title on reporting context that is critical to the National Pension principles.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analysis of the editorials and columns show an ideological tendency and report attitudes on the assesment of the National Pension policies. If media report social welfare policies fairly and consistently, people can understand social welfare better. And the efficiency of social policy will be improved as well. On the basis of my analysis, this study will give several suggestions. First, media should make a fair judgement and report on welfare policies. Second, professionalism of report should be established. In other words, they have to male an effort to form social welfare consciousness. We learned that we understood the organism of public viewpoints and ideology by resolving the editorials and columns. However I am not satisfied with the lack of synthetic analysis, because I chose the editorials and columns as objects of investigation. It is my strong desire and expectation that future studies will overcome these limits in more comprehensive ways.

      • 고급 찌라시와 기존 매체의 의제 유사성 : text mining을 통한 고급 찌라시와 뉴스 콘텐츠 빅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배소명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Advanced rumors have a huge impact on society. However, there is a constant controversy over the selection of advanced rumors. The ripple effect is similar to those of the existing media. Advanced rumors can also be viewed as a para-news media, or media outlet that delivers and exchanges information and distributes specific information and issues. The press agenda becomes increasingly similar as it is shared among the media. Through the analogy of the agenda, we discuss whether advanced rumors training can be media.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subject of traditional media outlets, which were established by conventional media outlets and the media, but the illegal content is excluded from the subject. The distinction criteria for the medium were derived from the polling Council in 2015 to extract the advanced milestones for the accuracy of the thesis comparison. The data for analysis included the six most frequent issues derived from 133 high-quality advanced rumors and 7,000 stories from newspapers, television, and Internet-only media. The data consisted of 1.3 million keywords. This study extracted the most frequent nouns by using the Korean Morphological Analyzer and visualized them with WordCloud. Specifically, the rankings of the contents were compared between the rumors and the news media, and their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Out of 36 correlations, 38% were significant. Keywords of newspapers were the most freque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the rumors, followed by Internet-only media and television. Among the news media, 83.3% of the keyword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ne another. Politics constituted 58.3% of the keyword agendas covered by bois th the rumors and news media, while there was no economic agenda. Politics constituted 75.0% of the keyword agendas covered by the news media and economics was the common agenda covered by the news media. This is a timely study given that advanced rumors have such impact on the public opinion of the overall society that people need to evaluate the implications of its impact. 사회 전반적 찌라시의 인식에 대해 고민해 볼 필요성이 있다. 찌라시는 사회적으로 큰 파급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찌라시의 선정성에 대해선 끊임없이 논란이 되고 있다. 그 파급력은 기존 언론들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찌라시도 적극적으로 정보를 전달하고 교환하며 특정 정보와 현안을 유통하는 유사 언론(para-news media), 즉 매체로 간주할 수 있다. 언론들의 의제는 매체 간 공유되면서 점차 유사해진다. 의제의 유사성을 통해 찌라시가 매체가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기존 매체 간 의제 설정 이론으로 전통 언론사와 인터넷 전용 언론 소셜 미디어까지 확장되어 연구되었지만, 비합법적 콘텐츠인 찌라시는 논의 대상에서 제외됐으므로 이에 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매체의 구분 기준은 여론조사 위원회의 2015년도에 점유율 조사로 의제 비교의 정확성을 위해 동일 연도 고급 찌라시만을 추출하였다. Text mining으로 형태소 전처를 통해 유효 명사 기본 어형을 추출하여 WordCloud로 시각화하였다. 추출한 자료는 고급 찌라시 중 빈도수가 가장 많은 6가지 현안 총 133 의제와 동일한 현안을 9개 언론사의 뉴스 콘텐츠 7,000여 건 중 대규모 130만 키워드 빅데이터 분석이다. 고급 찌라시와 언론사의 뉴스 콘텐츠 중 키워드들의 상위 순위를 도출하고 결과 값으로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유의미한 값과 유사성을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고급 찌라시와 언론사 의제 설정 분석에서는 전체 38% 뉴스 키워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문, 인터넷 전용 언론, 방송 순서의 영향 값을 보였다. 매체 간 의제 설정 분석 결과 각 언론사 방송, 신문, 인터넷뉴스 간 같은 6개의 의제 중 5개의 의제 83.3% 높은 뉴스 키워드 상관성이 나타났다. 고급 찌라시와 언론사 분류에서 정치 관련 의제가 연관된 비율은 58.3%이고 경제 관련 의제가 연관된 비율은 0.0%로 언론사 간 정치 관련 의제가 연관된 비율은 75.0% 경제 관련 의제는 전체가 다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찌라시가 사회 전반적인 파장에 일조하고 있고 어느 정도까지 흡수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시점에서 이 연구는 시의적절하다.

      • 언론수용자운동과 사회운동 측면에서 고찰한‘안티조선운동’에 관한 연구

        정정일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언론은 사회 전반에 걸쳐서 막강한 힘을 행사하고 있다. 특히 언론은 사회를 반영하기도 하고 현실을 규정하기도 하는 등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그 지위가 어느 때보다도 극대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와는 반대로 언론의 민주화와 이를 통해서 사회의 민주화를 추동해 내는 언론 본연의 역할에 있어서는 '총체적 위기'로 표현될 만큼 많은 난맥상을 보이고 있다. 언론은 사회를 인식하고 여론을 확대 조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사회의 문제나 이슈를 어떻게 의제화하고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는가에 따라 사회의 발전과 민주화의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언론은 어디에도 종속되지 않고 언론본연의 진실되고 공정한 보도로 독자들의 바른 인식과 판단에 일차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부여 받아 온 것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한국 언론이 '제4부'로 불릴만큼 막강한 힘을 행사하는 위치에 있고, 또한 언론기업이 다른 사기업과는 다른 사회적 책임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힘을 자사의 이익이나 지배권력을 공고히 하는데 이용하고 있는 현실에 주목하며, 특히 조선일보로 대변되는 한국언론의 폐해를 안티조선운동을 통하여 고찰하였다. 안티조선운동은 언론수용자운동과 사회운동의 측면에서 의미있는 운동으로 평가할 수 있다. 1986년도의 방송에 대한 시청료거부운동이 있었지만, 신문을 대상으로 구독거부와 기고거부가 조직적으로 집중된 경우는 최근의 안티조선운동이 드문 예에 속한다. 그 동안 언론에 소극적, 수동적인 자세를 보여왔던 수용자들이 적극적으로 하나의 신문에 대해 압박수단을 가하며 구독거부와 반대선언을 이루어낸 것은 이제 수용자들이 더 이상 언론의 객체가 아니라 주체임을 확인시켜 주는 것이었다. 또한 언론의 공기업으로서의 사회적 책임과 역할을 다할 때 비로소 사회의 발전과 개혁이 이루어진다는 것은 자명한 일로, 안티조선운동은 언론개혁과 사회개혁을 목표로 조선일보로 상징되는 한국언론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개혁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계기로 작용하였다. The press today exerts a tremedous influence on the whole of the society. Specifically it sometimes reflects the society or prescribes the reality. The status of the press became more enlarged than ever in view of politics and economy. Contrary to this, the original role of the press has been in trouble called 'general hazard', which leads the democratization of the press and through it propels the democratization of the society. The press recognizes the society and makes the public opinion enlarged. Therefore, it becomes a lever which can measure the degree of the development of our society and the democratization according to how the matters and issues of the society become agendas and what directions and alternatives are suggest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press was conferred a primary source for the just recognition and judgment of readers, for it has not been subject to anything and made its own true and just release. This study is about the evil influences of Korean organs of public opinion, which are represented as Chosunilbo, through Anti-chosun Movement. Through the study, I noticed that in reality they were exerting a powerful influence and their status is nearly 'The Fourth Administration'. Furthermore, I understood that, though they had more social responsibility than any other private companies, they used their power to gain their own profit and establish their ruling authority. Anti-chosun Movement can be estimated as a meaningful one in view of the press recipient movement and social movement. Anti-chosun Movement has been a very rare one, for it is a systematic concentration of the subscribers in rejecting contributions as well as subscriptions, since in 1986 people rejected to pay TV subscription fees. Recently those negative and passive recipients were changed into positive ones, applying pressure on a newspaper and rejecting subscriptions and expressing themselves against it. It shows the readers are no more an objective, but a subjective for sure. Moreover, Anti-chosun Movement provided an important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problems of Korean organs of public opinion and reform them, for it is self-evident that the development and reform of the society are accomplished when the press take a social responsibility and duties of a public enterprise. Accordingly, through the study, I analyzed the background of Anti-chosun Movement and its aftermath development and thought over the meaning in terms of speech as well as its social meaning.

      • 언론수용자운동 단체의 미디어 교육특성 분석연구

        문미원 서강대학교 언론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논문은 우리나라 언론수용자운동 단체에서 실시한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연구한 것이다. 논문의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를 위주로 전화인터뷰와 참여관찰, 직접 방문을 통한 심층인터뷰 방법을 병행하였다. 분석대상은 비교적 단체성격이 뚜렷하고 지속적으로 미디어 교육 실시해온 다섯 개 단체를 선정하였다. 언론수용자운동 단체 미디어 교육을 시대별로 나누어 연구하고 미디어 교육을 7가지 교육유형별로 분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시대적 분석은 각 단체가 생성된 시기와 미디어 교육의 성격변화, 발달과정을 고려해 제 1기(생성기: 1984-86), 제 2기(성장기: 1987-90), 제 3기(도약기: 1991- 95)와 제 4기(발전기: 1996-2000 현재)의 네 단계의 시대구분을 하였다. 각 시기의 시대적 상황과 언론수용자운동 단체 출범시기를 살펴보고 분석대상 단체별로 운동목표, 조직구성, 운영방식을 비교분석하였다. 단계별로 각 시대의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제 1기는 여협 모니터회와 언협, 서울 Y의 세 단체만이 활동하던 시기로 비판·감시를 목적으로 하고 자체 모니터 요원을 양성하기 위한 모니터 교육 위주로 운영되었다. 이시기는 주제 중심의 교육과정의 도입기로 대상매체는 텔레비전에 한정되었다. 제 2기는 교육대상매체가 영상매체로 확대되었고 어린이와 청소년 등 교육대상이 확대되었으나 교육내용이나 교육과정이 제 1기와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다. 제 3기에는 미디어 교육이 단체의 활동 전면에 부각되어 교육대상이 다양해졌으며 실습 형식의 교육이 실시되었다. 또 개념중심교육과정이 도입되었으며 범위도 활용교육과 제작교육까지 확대되었다. 연대활동과 캠페인 등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제 4기는 급속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 따라 교육대상이 확대되었고 이에 따라 미디어 교육도 급속히 발전하였다. 매체중심교육과정과 개념중심미디어 교육과정이 활발해져 미디어 활용과 제작교육이 실시되었다. 교육대상이 확대, 세분화되고 피교육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형태의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또 하나의 연구문제인 교육유형별 분석은 교육과정, 교육방식, 교육장, 교육기간, 교육행태, 대상매체, 교육대상별로 구분한 것이다. 교육과정별 분석 중 주제중심교육과정은 감시비판 운동을 위한 모니터 교육을 포함하며 매체중심교육과정은 텔레비전 바로보기, 영화 읽기, 광고 바로보기, 대중음악 읽기, 시청일기 쓰기 등의 미디어활용교육을 말한다. 개념중심교육과정은 미디어 제작교육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교육과정별 특징은 감시비판교육에 치중해왔고 충분한 활용교육과정을 거치지 않은 채 바로 제작과정으로 넘어갔다는 사실이다. 교육방식별 분석은 강의식교육과 실습식 교육으로 나누었는데 대부분의 어린이·청소년대상교육은 실습식이고 성인대상교육은 강의식이었다. 교육장별 분석은 불러들이는 교육과 이벤트 형식의 교육, 찾아나서는 교육으로 구분하였다. 불러들이는 교육은 성인 대상교육이었고 이벤트 형식의 교육은 어린이·청소년, 학교교사 대상의 캠프나 영화제형태였으며 찾아나서는 교육은 청소년, 학부모, 단체 등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기간별 분석은 한달 10회를 기준으로 단기적인 교육과 장기적인 교육으로 나누었다. 단기교육은 모니터 교육과 여름방학을 이용한 학생들과 교사대상교육이 포함되었고 장기적인 교육은 청소년대상의 특활반 교육이 포함되었다. 교육행태별 분석은 정기적인 교육과 부정기적인 교육으로 분류하였다. 교육행태는 개별 교육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유형을 보였다. 대상매체별 분석은 방송, 신문, 영상, 광고, 만화, 뉴미디어가 교육대상에 포함되었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점점 다양해지는 추세를 보였다. 그러나 아직도 대부분 방송에 편중되어있으며 영상에서도 활발한 편이다. 상대적으로 인쇄 미디어는 소홀히 취급되며 최근 들어 매체 환경변화에 따라 인터넷 대상교육도 도입되고 있다. 교육대상별 분석은 어린이, 청소년, 대학생, 학부모, 교사, 사회단체 미디어교사, 종교지도자, 노인, 비디오숍 경영자 등 다양하고 세분화된 대상구분을 하고 있다. 논문연구결과 우리나라의 미디어 교육은 사회 운동의 차원에서 수용자 의식화를 위한 한 방편으로 실시되어 왔기에 교육 측면보다는 사회운동 측면에서 접근해왔다. 이 과정에서 모 단체 소속 언론수용자운동 단체들은 활동에 비해 과대포장 되어있었고 순수언론수용자운동 단체의 미디어 교육 사례가 더 적극적이고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또 미디어의 활용을 통해 미디어와 친해지는 일이 우선임을 간과하고 감시비판 교육에서 바로 미디어 제작교육으로 건너뛰는 경향이 있었다. 미디어에 대한 기본적인 생각이 없는 상태에서 실시하는 제작교육은 기술 교육일 뿐이다. 최근 들어 정보와 통신이 통합되는 이 시점에 우리의 미디어 교육은 아직 뉴미디어 환경에 대처할 교육 커리큘럼을 제대로 갖추고 있지 못하다. This thesis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education program in Audience Awareness Movement Organizations. Five major organizations that have been offering media education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method of study includes reference research, direct interview, phone interview and observation, Media education can be historically divided into four stages. In the first stage (Formation: 1984-1986), the major purposes of media education were to criticize and supervise media and to train monitors. TV was the only media researched at this stage. In the second stage (Growth: 1987-1990), the type of media was extended to visual images including motion pictures and videos. The subject of education also extended to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e third stage (Take-off: 1991-1995), media education became one of the major issues for audience awareness movement. The subject of education was extended to teachers and video shop owners. Conceptual Curriculum has been introduced at this stage, and application of media and production training had become parts of the media educational curriculum. The fourth stage (Development: 1996-2000 present) can be characterized as a rapid developmental stage. Media-centered curriculum and conceptual curriculum were widely used, and media program was developed to motivate audiences' participation. Media educational programs are analyzed by their curriculums, methods, places, periods, forms, types of media and educational subjects. Three types of curriculum include subject matter-centered curriculum, media-centered curriculum and conceptual curriculum. They focused on how to criticize media, and had some tendency to skip to production training without proper application exercises. Educational methods can be analyzed by lecturing and exercising. Lecture is for adults where as exercise is usually used to educate children. Educational places are Calling-in for adult, Rent for camping or film festival and Visiting for teenagers, parents, or organizations. Educational period can be varied from short-term to long-term. The forms of education can be regular or irregular depending on the individual program used. The types of media include TV, newspaper, visual images, commercial, animation and new media. TV and visual images are two major types that have been focused on. Internet is a rapidly growing media which recently gets a lot of attention. The subjects of education has been extended to children, adolescents, college students, parents, teachers, social organization members, religious leaders, the aged and video shop owners. In conclusion, media education has been focused on developing audience awareness on different types of media. Since it was approached from social movement level, it was ended to put less attention on educational approach. One of the important things in media education is for audience to be friendly with media through applications. It can merely be a technical training if the audience doesn't have philosophIcal background. New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in near future to cover our new media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