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교과과정과 교사임용고사와의 상관성 연구 : 중등 미술과를 중심으로

        박소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study is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and the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is study considers strengths and problems, which the curriculums of fiv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have and suggests an improvement plan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s of fiv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that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rt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secondary school and the third phase evaluation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from 2012 to 2015.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educational satisfaction of students at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provide helpful data as a systematic foundation for future curriculum revision. The analysis result of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questions shows that the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enrich the substance, based on a deep understanding, not fragmentary knowledge. The classes, which integrate theory and practice, improve efficiency of understanding and education of each subject. Moreover, education with pre-service teachers and many professional art teachers provides a variety of educational experience. However, the major subjects included in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are not offered in the curriculums, the similar names of the subjects in the curriculums are little ambiguous, or the number of the subjects in the curriculums is small and they are concentrated in particular domains. For this reason, the choice of students is limited. On the basis of this finding, this study throws out the following suggestion to improv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urriculums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nd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For equal course organization, at least 1 to 2 subjects should be added to the major subjects included in the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based on the current curriculum of each school. If there is a shortage of students attending new courses, there is a need to connect students to undergraduate lectures flexibly rather than developing new courses for keeping balance among the courses.

      • 예술경영학과의 교육과정 비교연구 : 한국과 영국·미국대학을 중심으로

        신은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history of the art management is not that long. The art management that is supposed to be newly- born and fused study has only 50 years of global history. The improvement of private life standard begun from capitalism increased the role of cultural art and locally, nationally, internationally and world-widely, the social and economic profits from such an enlarged cultural art field may give birth to the concept of art management and paradigm. Because art management, compared with the other studies, owns comparatively short history, we can say it seems nascent research on the incalculable spectrum. Moreover, after the introduction into Korea, it has not passed over 30 years. Nevertheless, What is the reason that the various kinds of art organizations emerged rapidly and swiftly without special grounds? The question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thesis. The most important role is to try to aim at causing consumers to meet most effectively with artists and artistic works. Likewise, art organizers mediate cultural contact between consumers and artists, between local community and nation. Meanwhile, since 1960 as Art management became a faculty, after having introduced administration into art area, centering on the advanced countries. Since art management clothed with academic colours was introduced into the Korean educational institutions, About 30 universities activated and utilized the undergraduate and postgraduate courses. I will try to research into the items as follows; Sorts of the preparation for the educational courses and the actual offering to the students in each university, so called, the living academy of instruction. The contents of the detailed curriculums. The difference between curriculums of foreign universities and those of Korean universities. The efficacy and value of that faculty. The careful probe into positive orientation for education after capturing on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Korean universities through the analysis of each course. This thesis will put especial emphasis on history and curriculum of art management within Korean universities, the comparison of art management of Korean universities with that of universities in the U.S.A and U.K and the curriculum in art management of the famous foreign universities, in particular, stressing on the internship as the sharp difference both in the past and presence. With this, in prologue, I will try, in conclusion, to disc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art management and the future orientation of it. 자본주의에서 시작된 개인적 삶의 질 향상이 사회에서의 문화·예술의 역할을 증대시키고, 이처럼 확대된 문화의 영역은 지역적, 국가적, 세계적, 사회적, 경제적 이익을 창출함에 예술경영의 개념과 패러다임을 양산했다. 예술경영학의 역사는 그리 길지 않다. 예술과 경영이 합해진 세계적인 신생 융합 학문으로 여겨지는 예술경영학은 그 역사가 50년이 채 되지 않는다. 1960년대 이후 선진 국가들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이 탄생했고, 한국 대학에 도입된 지는 20여년 정도로 현재 학사·석사 과정으로 약 30개의 대학교에 설치 운영되고 있다. 이처럼 예술경영이 단 기간에 우후죽순으로 생겨난 이유가 무엇일까. 이 논문에서 비중있게 다뤄질 부분은 한국의 대학 내 예술경영학의 역사와 교육과정이며 그를 통해 결론에서 도출 할 것은 한국 예술경영학의 특징과 앞으로의 방향성 제시이다. 예술경영학이 우리나라 대학교 안에 예술경영이란 이름으로 석사과정에 공식적으로 생겨나기 시작한 때는 1990년대 후반으로 2000년대 초에 가장 많이 형성되었으며 지금까지도 매년 꾸준히 생겨나고 있다. 융합학문이라는 특징으로 다양한 장르의 단과대학 안에 편재되어 있으며 가장 많은 비율의 단과대는 28개 대학 중 11개인 문화예술대학(주로 석사과정), 8개의 예술대학(주로 학사과정)이다. 학사는 예술전공 위주의 교과편색을 드러냈으며, 석사에서는 학과 간 연계과정 대학을 따로 운영됨으로 각 학과간의 상호연계성을 강화한 다양한 분야의 예술경영 수업이 진행되었다. 이처럼 학교 간 일반 교과 항목의 차이는 크게 없으나, 학과별 장르의 특성이 존재했다. 장르의 구분을 통해 예술경영의 영역을 분명히 알 수 있게 했는데 그 내용인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미국의 예술행정교육자협회(Association of Arts Administration Educators: 이하 AAAE)의 대학원 표준 커리큘럼을 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비교국은 예술경영선진국이자 출발지인 미국과 영국이다. 영국, 미국의 대학과의 비교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인턴쉽이다. 대부분의 대학 필수 항목으로 사회 기업과 연계하여 운영실무와 현장경험을 쌓을 수 있게 구체적 내용과 기간이 명시되어 있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의 인텁쉽 교과과정은 28개 학교 중 9개에 불과했으며, 규격화 되어있지 않고 뚜렷한 방법도 제시하고 있지 않음으로 보아 과목제도 도입은 이루어졌으나 아직 정착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대학은 인턴쉽의 체계를 재정비하고, 국가·산업관 연계 강화로 학부와 실무와의 연계성의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새로운 융합학문 형태인 예술경영학의 근본 목적은 양질의 컨텐츠 연구와 현장에서 필요한 예술경영인력을 충족시키는 것이다. 그를 위해서는 첫째, 전문적인 예술경영을 위한 인재를 양성해내기 위한 핵심 활동 중 하나로 대학의 전공 설치와 연구를 꾸준히 확대해 나가야한다. 둘째, 학문적인 예술경영의 형태인 ‘문화콘텐츠’가 양질의 컨텐츠 연구를 이룸과 동시에 산업적인 소득 창출의 예술경영이 합일점을 이루는 통합 교과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효과적·생산적 경영을 위한 정책·학술 연구가 각 학교와 기관에 활발하게 이루어져야한다. 넷째, 문화체육관광부나 산하 공공기관에서 지원하는 문화예술 기획경영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들을 학교 내에서 강화하며 그것을 체화하기 위해 국내 예술현장에서 현장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실무역량을 배양하는 인턴쉽이 필요하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예술경영을 크게 세 단계로 분류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문화컨텐츠라는 ‘예술경영 재료’로써의 준비, 두 번째는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의 직접적 ‘실행 단계의 예술경영’과, 세 번째는 예술경영행정이란 ‘제도의 정립’이다. 위의 내용처럼 대학 내에서 이 세 단계(예술의 재료, 경영, 제도)에 합당한 학과의 적절한 증설이 필요하며 재료와 경영의 소득창출을 위한 교과목의 다양화와 학과간, 대학간, 기관 간 학술간의 연계가 중요하며, 정부의 예술 기관을 연계하여 인턴쉽을 강화하는 교과목 프로그램 강화 운영의 확대가 필요한 시점이라 볼 수 있다.

      • 대학도서관 여성학장서 연구 : 부산대학교 도서관과 부산여자대학교 도서관을 중심으로

        오영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8655

        This study's purpose is aimed to escape from the underdeveloped Korea university library collection. In order to achieve well-developed collection, We must consider that University Library's Collection is the basis to support the whole university process and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s designed to be unified this research and studying course. The case choose for research is Women's Studies Collection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nd Pusan Women's University Library. The findings resulted in investigation of Women's collection problem is as followed : 1.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about women's collection development. at between library staff and user. - This is a big trouble to develop women's collection. 2. Insufficient collection and low quality 3. So many Anti-Women's studies materials To get rid of the cause that make the poor and alienated state of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The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in this study is designed as follows : 1. The librarian should develop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to be collected comprehensively 2. To remove the anti-women's studies materials, so that raise the level of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3. The women's studies collection should support diverse subjects of women's studies, not just a few subject areas. 4. The collection development librarian should acquire various selection tools, and offer them to the faculty in time. 5. To collect all kind of materials that agency of Korea Women's development produce.

      • 부산대학로 청년문화지구 조성 방안 연구

        박승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부산대학로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장전동에 위치하고 있으며, 관내에 있는 4개 대학교(부산대학교ㆍ부산가톨릭대학교ㆍ부산외국어대학교ㆍ대동대학교)의 학생들. 3개의 공공기관(금정구청ㆍ(재)금정문화재단ㆍ(재)부산정보산업진흥원)에서 운영하는 4개의 문화시설(금정예술공연지원센터ㆍ부산 음악창작소ㆍ부산 콘텐츠 코리아 랩 금정서브센터ㆍ부산 청년창조발전소 꿈터플러스)가 집중되어 있다. 현재 상황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문화지구의 제도적 근거 및 국내 문화지구 조성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외 청년문화 지원 및 공간 운영사례를 조사하였다. 또한 현재 지역의 청년문화 현황 분석을 통해 지속 가능한 청년문화지구 조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지역 청년들의 도시 이탈 현상을 방지하고 지역문화예술 진흥을 도모하는 한편, 청년들의 다양한 실험과 창의적 활동을 장려하는 지역으로서 부산대학로가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다양한 방안들을 제시함으로서 지속발전 가능한 시스템구축을 통해 청년문화에 특화되어있고, 지역을 대표하는 특화된 청년문화지구를 조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부산대학로 청년문화지구 가능성에 대해 아래의 결과들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첫째, 부산대학로는 지역 청년들이 활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이미 갖추고 있다. 둘째, 부산대학로는 청년들을 위한 다양한 문화 인프라 시설이 위치하고 있으며, 이러한 공간들을 기반으로 청년문화지구를 조성할 수 있다. 셋째, 부산대학로는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청년에 특화된 문화지구로서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부산대학로 청년문화지구 조성 방안을 연구하였고, 지속적인 지원 정책 마련과 문제적 인식을 통하여 청년들을 위한 문화지구로서, 부산을 대표하는 문화중심지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地域社會에 있어서 大學의 役割 : 부산대학교의 자원활용을 중심으로

        차정현 釜山大學校 行政大學院 1996 국내석사

        RANK : 248639

        Community Development puts an emphasis on improving the values of human life as well as promoting the economic growth of the community per se. Since the community is a basis of human life for its residents it is desirable to achieve a balanced development and spiritual enhancement. Of a variety of community functions, the universities located in a community should be one of the key organizations in serving this development goal. As a mater of fact, universities these days are requested to have a share in social services and to pay a serious attention to the community affai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 way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university resources be it human or physical, in order to strengthen its function of social services towards the community development. The findings are in the following. First, for the university to meet the community residents' needs and perform the service function, university facilities such as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should be open to public any time unless classes are interrupted and to do this, there should be administrative and systematic support from the university and collegians' understanding towards this goal should change as well. Second, the university should make solving the community problems as its research project, heighten the community's self-confidence by producing the knowledge the community wants and saving it and strengthen the tie between the community and university by making them believe they, too, are the hosts of the university. Third, the university should develop an adult education program which focuses on changing residents thinking positively and carry out the social education by adjusting to its peculiarity of the community. Fourth, the university should make its effort to give a chance for social education to everyone, not a few managers or directors only. Fifth, it is required of the university to make the contents of the program constituted beneficial for the residents' life, directly related to the community social development and substantially contributable to the development. Sixth, the university should hold a variety of experts and contribute to the social growth of the community by giving advice for the community growth planning and policy-making of the public organizations, business firms and various social organizations, basing upon the expertise and research results. Seventh, the university should take the leading role in bettering the current lifestyle of the community, provide a cultural space to the residents, satisfy the desire for knowledge, offer the up-to-date information and do a program for the people to lead a cultural life. The survey of this thesis was subjected to Pusan National University so it has its limit, however, I believe that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of the university would help develop the community and furthermore the nation.

      • 화학자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 연구 : 부산대학교를 사례로

        정선미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s purpose is aimed to research information need and use behavior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chemist and to suggest better service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as to achieve education and research of high quality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chemist. This study accomplished as case study and the case choosed for research is Chemist and Library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The finding resulted in Investigation of information need and use behavior of Pusan National University's Chemist is as followed : 1. For research, they need more analytical and methodic information than special data. 2. For search, they generally depend on journal, CA and monograph. 3. As to obtain of information material, they use information system to access easily. 4. They give up the finding information material easily. 5. Their information use behavior will be changed soon. 6. The student feel more inconvenient than profession in the library use. The suggestion to develop library service for Pusan National University's chemist is designed as follows : 1. Library should be developed the its collection, specially journal, CA and monograph. 2. Library should be developed Journal Contents Delivery Service and Document Delivery Service. 3. Library should be done its notice and use education. 4. Library should be introduced partial librarian. 5. Library should be developed the environment of library.

      • 부산대학교도서관 교육학장서 연구

        김종성 부산대학교 대학원 199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is aimed at setting an example of the most relevant method of collection development to Korean University Libraries. Researcher practiced experimental study at a standpoint of librarian who, generally, has no specific subject background. Until now University libraries´ collections are not developed but accumulated. It is an undeniable fact. In this situation the vest work we can or should do for collection development is to understand present collection and it´s user situation correctly. It is the first step for systematic collection development. And this study accomplished as case study. The case choosed for research is Education Collection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This study can be classified as qualitative research. Researcher analyze user structure and collection situation descriptively based on the empirical materials produced by the University authorities, departmental office and library. This study made up of four parts as follow: 1. User analysis Researcher analyze history of department, curriculums of not only undergraduate but also graduate course and research tendency of graduate students and faculty. 2. Present collection analysis In this part, firstly, whole education collection analysed statistically according to sub-subject, publication year, language etc. secondly, surveied the usefulness of collection by checking reference lists which related to every user levels and interview with students, faculty and librarians. 3. Factors of present collection building analysis The analysis about factors of present collection building is performed based on the survey of empirical resources and interview with students, faculty and librarians. 4. Setting an example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Statement Researcher tried to set an example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Statement. It is, of course, descriptive and a part of Collection Development Policy Statement every local University library should have.

      • 치과의료기관 접근성에 따른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의 신환 분포

        이해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의료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은 불균등하게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의료이용의 공간적 접근성을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신환을 대상으로 치과의료기관에 대한 접근성을 분석하여 이에 따른 신환 분포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2020년에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부산 및 경남 지역의 신환을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이용하여 연령, 성별, 거주지, 초진 시 주소(Chief complaint), 내원 경로, 의과적 병력 등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였다. 신환의 거주지에서 가장 가까운 치과의원, 소아전문 치과의원 및 부산대학교 치과병원과의 거리에 측정하여 이에 따른 환자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의료기관 접근성 평가를 위해 거주지에서 치과의료기관까지의 거리를 10 km를 단위로 분류하였고, 소아치과의원의 경우 10 km 내 의원 유무도 분류하였다. 신환의 거주지와 부산대학교 치과병원 사이의 거리가 증가할수록 치아우식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감소하였고, 교정치료를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증가하였다. 치아 우식이 주소인 환자는 부산대학교 치과병원과의 거리가 10 km 이내일 때 27.9%를 차지하였고, 30 km 이상일 때 20.5%를 차지하였다. 교정치료가 주소인 환자는 거리가 10 km 이내일 때 25.4%를 차지하였고, 30 km 이상일 때 27.3%를 차지하였다. 외과적 치료를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는 거리가 10 km 이상인 경우 약 33%의 일정한 비율로 유지되었다. 환자의 거주지 반경 10 km 이내에 소아치과의원이 없는 경우에서 치아 우식을 주소로 내원하는 환자가 28.6%로 있는 경우의 22.9%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부산 및 경남 지역의 치과의료기관의 분포를 파악하고, 지리적 접근성에 따라 의료기관별 내원하는 환자의 비율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소아치과에 내원하는 환자들의 물리적, 지리적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진료 대책을 수립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사학자의 정보요구와 이용에 관한 연구 : 부산대학교 연구자를 대상으로

        박윤경 부산대학교 일반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study examines historians´ needs and uses of information. The subject is confined to historians of Pusan National University(PNU). It analyzes how they satisfy their need of information and how the university library should serve their research. To be more specific,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aculty members of the History Department and History Education Department as well as Ph.D candidates and part-time lecturers. Historians favor data-centered research. It means that to discover and collect data is very important in the history research. In the case of the History Department of PNU, its department library is used very actively. This study examines how its department library has an effect on history researcher´ demand and use of information and how it is related to the university library. This study´s ultimate goals are to analyze researcher´s demands and uses of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ir various experi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methods to help support historian´s research as follows. (1) To make sure that the university library performs its proper function, the systematic development of a data collection process for supporting historian´s research is needed and can be done by examining in detail users needs. (2) Library service should include education and advertisement (3)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in which history researchers use data personally and so obtain the data immediately. (4) To give users easy access to data through various and specialized list is as important as its collection.. (5)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classical library more actively through organizing the classification and system of old books which belong to the university library and making a list of it. (6) Extension of library facilities is necessary. (7) Librarian should become more service oriented.

      • 지역 대학 공연장의 활성화 방안 연구 : 동서대학교 소향씨어터를 중심으로

        송대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2012년 7월 해운대구 센텀시티에서 작곡가 이영훈의 노래를 쥬크박스(Juke Box) 형식의 뮤지컬로 제작한 작품 ‘광화문 연가’ 공연의 화려한 막을 올리며 동서대 소향씨어터의 문을 열었다. 소향씨어터는 그간 부산지역에서 무대시설 인프라의 한계와 운영상의 제약 등으로 인해 시도할 수 없었던 대형뮤지컬 작품의 장기 공연을 기획·제공하였으며, 이는 부산지역 공연예술시장이 확장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동서대 소향씨어터가 설립된 배경은 기업의 메세나 활동과 그 맥락이 같다고 볼 수 있다. 예술대학을 보유한 동서대학교는 부산지역의 전문공연시설 부재에 대한 인식과 시민들의 공연 향수 환경 개선을 위해 기존의 시설과 차별되는 공연 공간 구축을 목표로 소향씨어터를 설립하였다, 부산지역에 제대로 된 무대설비를 갖춘 최초의 공연장인 부산시민회관이 세워진지 50년이 지난 2022년 현재 부산지역에는 국·공립 공연장 31개와 민간 공연장 포함 97개의 공연장이 운영 중이며, 2,000석 이상의 대형 공연장 두 곳이 현재 건축 중에 있다. 공연장의 설립과 운영에는 막대한 재원이 소요된다. 2024년 완공 예정인 북항 오페라 하우스의 건축비는 3,050억 원이며 연간 운영비는 151억 원으로 추산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가 공연장 건립을 통해 지역 예술 생태계의 균형 있는 발전과 시민들의 문화 복지를 실현한다는 계획은 환영 받을 일이지만 국가 예산 집행의 비용효율적인 차원에서는 다각도의 연구와 검토를 통해 신중한 판단이 전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부와 지자체의 무분별한 공연장 건립을 지양하고 국가 예산의 효율적인 집행을 위한 대안으로써 대학 공연장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산지역에는 현재 22개의 대학교가 교통이나 편의시설 면에서 입지 조건이 잘 갖추어진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이들 학교는 대부분 학내·외 행사를 위한 강당이나 공연장을 보유하고 있다. 시설의 규모와 수준은 대학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공연장의 기본 인프라인 객석과 무대시설을 모두 갖추고 있어서 얼마간의 시설 개보수와 확충을 거치면 문화 공간 활용에 있어 훌륭한 대체 자원이 될 수 있다. 또한 음악인과 연극인을 양성하는 예술 학부를 두고 있는 대학에서는 공연 예술가 인큐베이터 역할 수행에 최적의 장소이다. 본 논문은 대학 공연장 활성화 방안 연구를 위해 먼저 관련 선행연구의 분석과 문헌조사를 통해 대학 공연장의 개념과 범주를 살펴보고, 부산지역의 대학 공연장과 민간 공연장의 통계자료 분석과 현지실사 및 실무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부산지역 공연 예술 관련 전문가들의 대학 공연장에 대한 객관적이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학교, 언론, 공연 기획사, 예술인, 문화재단 등에 소속된 관련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해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와 함께 2012년 개관한 동서대 소향씨어터를 주요 사례로 선정하여 시설현황과 운영현황을 분석하여 대학 공연장이 지역의 주요 문화 거점으로써 어떠한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대학 공연장의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필요한 전제 조건과 실현 방안을 모색하였다. 동서대 소향씨어터는 공연장 인프라의 전문성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높은 만족도를 실현하고, 대학의 브랜드 가치를 상승시켰으며, 부산지역 공연산업 성장을 견인하였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는 반면 내부적으로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경영전략의 필요성과 함께 지역 문화공간으로써의 역할 부족 등이 문제점으로 파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의 중심 사례인 동서대 소향씨어터의 운영 사례를 통해 도출된 성과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전문가들의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지역대학 공연장의 사회적 기능 확장과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대학은 공연장의 건립과 운영에 있어 전문적인 시설과 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운영할 전문 인력의 확보를 통해 양질의 공연예술 콘텐츠를 개발하여 제공한다. 둘째, 대학 공연장의 사회적 기능 확산 방안으로써 대학 공연시설과 교육시설 인프라를 활용하여 학생들과 지역민들 대상 예술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지역 예술인들의 양성을 지원하는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활성화 한다. 이와 함께 대학 공연장과 민간공연단체, 정부가 연계하여 지·산·학 협력 사업 추진으로 지역 예술 생태계의 선순환 환경을 조성한다. 셋째, 대학 공연장 경영의 효율성 강화를 위해 안정적인 재원 조성 방안을 마련하는 한편 관객 개발을 위한 전략적 마케팅 활동을 전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