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제도 개선방안 모색 : 명지대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 전공을 중심으로

        이하나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교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 많은 현재 교육대학원의 인기는 높을 수밖에 없다. 교육대학원은 교원의 자질과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계발시키고자 설치된 특수목적 대학원이기에 현직교사에 대한 연수 기능은 물론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사양성 교육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육대학원의 상황에서 각 대학원에선 시행되고 있는 그 제도가 문제점이 없는지 살펴보고 점검해 보고 문제점을 개선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너무나 방대하기에 다 살펴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참여관찰 조사 방법론을 원용하여, 필자가 경험한 바 있는 명지대학 일반사회과의 교육시스템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고 점검해보고, 명지대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일반적인 교육대학원의 현황도 살펴봄으로서 문제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아울러 피교육생들에게서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다면 그것은 교육대학원 제도 시스템 자체에서 연유하는 것인지 혹은 명지대 내에서의 적용상의 문제인지를 규명할 필요도 있다. 문제에 대한 규명은 원인과 함께 해결 방안 제시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다른 전공과 비교했을 때 일반사회전공은 인기가 매우 낮은 편에 속한다. 타전공과 비교했을 때 공부해야 하는 전공분야가 많고 그럼에도 과목당 취업경쟁률은 높다. 게다가 주요과목이 아니기에 중요성도 타 주요과목에 비해 떨어지기에 인기가 낮고 그러다보니 교육대학원 내에서 일반사회전공의 중요도는 떨어지고 학생들의 지원도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일반사회전공이 나아가야 할 길은 어디에 있는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찾을 필요가 있고 그 결과로 일반사회전공도 다른 주요과목전공과 같은 주목도와 관심을 받을 수 있게 되리라 본다. 아울러 이 연구는 명지교육대학원 일반사회전공이란 작은 범위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기에 이 한 가지 연구만으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을 평가한다던지 교육대학원을 평가한다던지 하거나 일반화하기는 어렵고 미흡하다. 그러나 이런 연구를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한다면 일반사회전공이 발전하고 명지대학이 발전하고 나아가 교육대학원까지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하며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한 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일반사회전공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현재 2007년도까지 전국 소재 교육대학원의 설치학교는 국공립과 사립 모두를 포함하여 134개 대학이며 그 중 총45개 대학(공립 1, 국립 15, 사립 29)에 일반사회교육전공과정이 설치되어 있다.(중앙대의 일반사회 및 윤리교육전공은 제외시켰다) 그 중 사립 대학원 중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최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해 보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회교육 전공의 교과과정이 실 수요자인 학생중심으로 재편성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수요자의 특성이 반영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위취득요건이 대학원생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융통성 있게 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전공의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 논문지도 과목이 개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경우에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도서관 이용과 관련하여 대출권수 확대와 대출기간의 연장과 열람실의 확충이다. 여섯째, 전임교수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박사학위 과정을 설치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생 스스로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만들어 가야 한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교육대학원의 설립 배경 및 설치 현황과 교육대학원의 이념과 기능 그리고 양적 성장과 교과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대학원의 문제점 등을 자료로 제공하고 개선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조사대상의 중심이 특정 대학의 특정 전공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고 대부분 이차 자료만을 활용하고 필자의 개별적 경험에만 의존한 자료도 있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기에 교육대학원 제도 개선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엔 많은 보완을 요구한다. 본 필자는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앞으로는 다양한 대학원을 대상으로 각 대학원의 일반사회교육과정을 비교 분석 연구하고 나아가 교육대학원 모든 전공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우리나라 교육대학원뿐만 아니라 좀 더 전문화 된 외국 교육대학원의 분석과 비교 연구 등의 후속 연구가 계속 필요하다고 보며 이를 통한 교육대학원의 바람직한 교육과정 정립과 제도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후속 연구를 기약하는 수밖에 없음을 기록으로 남겨둔다.

      • 국내외 과학(화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정지은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95

        국내 교육대학원의 화학 교육과정과 미국 대학원의 화학 교육과정을 분류하여 바람직한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을 구성하기 위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교육대학원 9곳과 국외 대학원 3곳을 대상으로 교과 내용학과 교과 교육학, 실험 및 평가로 나누어 교과과정과 총 이수학점을 분류하였다. 국내 교육대학원과 국외 대학원을 비교․분석한 결과 국내 대학원은 교과명칭이 단순하고 교과 내용학에 치우친 경향을 보이며, 교과 내용학과 교과 교육학으로 교과과정이 분류되어 있는 반면 국외 대학원의 경우 교과명칭을 분류하기 쉽지 않았고 실험과 실습에 주된 관점을 보였으며, 석․박사 학위 과정과 교육실습 과정으로 분류되어 있다. 또한, 국내 교육대학원은 일반 대학원 형식의 교육과정을 보이며, 연구․기타라는 다소 애매한 교과목을 보이는 반면에 국외 대학원은 집중양성 또는 차별화 된 프로그램 형식의 교육과정을 보이고, 필수․연수라는 대학원에서 제시하는 교과목을 이수하게끔 하는 교육과정을 보인다. 총 이수학점의 경우 국내는 30학점 이상인 교육대학원의 대다수이고, 국외의 경우 대학원에 따라 이수여부의 다양함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국내는 연구법과 같은 교육의 개념이 대부분인 반면에, 국외의 경우 실습과 연수, 학생들을 가르치는 기술이 대부분이다. 교과과정 및 학점이수 상황에서도 미국의 교육대학원은 그 기준이 다양하며 각 교육대학원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형식을 보였다. 이와 같이 교과 내용학에만 치중해 있는 국내의 화학 교육과정에 대해 본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화학 교과과정의 체계적인 정립을 위하여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해 본다. A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cal education curriculum in US and Korean universities is being performed to gain useful reference data so as to develop a newly organized and improved system for the next generation in Korea. Chemistry courses and credits in a total of nine chemistry departments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three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to be compared based on major course, professional course, experiment, and valuation. Each university in Korea has a simple name for its curriculum, tends to lean to major course, and has divided the curriculum into major course and professional course. However, it was not easy to classify the name of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US universities, which mainly pay attention to experiment and practice and classify their courses into major course and professional course. In addition, Korean universities show general graduate school and somewhat ambiguous courses such as study/etc., but US universities show intensive or their own specialized courses as well as courses such as requirement/ internship, which their graduate school requires. Concerning total number of credits for a major, most Korean universities require more than 30 credits, while US universities have a variety of standards. As a whole, while Korea mostly has concepts of education such as comparative, the U.S. mostly has techniques of teaching such as practice. Korean chemistry curriculum, leaning mostly to major course, seem to need to be studied for the systematic thesis which suits the current graduate school situation and character. However, the condition of the curriculum or credits in US universities have diverse standards and reflect their own uniqueness.

      • 음악치료 교과과정에 대한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의 인식도 조사 연구

        박민경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As the need for music therapy is increasing, the significance and professionalism is strongly emphasized while the demand for music therapy is growing.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music therapy curriculum, the survey with 100 music therapy graduate students was conducted. All subjects were currently enrolled in 4 different graduate programs, each of which has a full-time professor,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 to improve current music therapy curriculum to be effective for music therapy graduate students by surveying the students' opinion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ents, the perception of music skills, the perception of therapeutic skills, and the music therapy curriculum. The subject ‘music therapy techniques'(23.2%) was identified as highly regarded topic as important subject matter. Respondents showed different levels of skills and confidence according to their previous major areas; music vs. non-music major. Therefore,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alternatives for the diversity of one's undergraduate major was raised in the graduate level. Regarding the therapeutic skills analyzed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um, students in the third level practicum showed the highest average score, whereas students in the observation level presented the lowest average score. Also ’Counseling and psychology related subjects' was the most preferred subject (19.7%). 'Professionalism as a music therapist'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dicated by the respondents(51.8%), the most preferred population was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adolescents(42.3%), and the most preferred workplace was hospital(48.3%). Overall, general information and perception regarding music therapy curriculum was described, and the results implies the importance and needs of future music therapy curriculum development. 음악치료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음악치료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 음악치료 교육의 전문성 및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음악치료 교과과정의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의 음악치료 전임교원을 확보한 4개의 대학원 SM대, EH대, MJ대, SS대의 음악치료전공 학생들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음악기술영역에 대한 인식도, 치료기술영역에 대한 인식도, 음악치료 교과과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대학원생들에게 효율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개선의 방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대상자들이 가장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과목이 음악치료기술(23.2%)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원 진학 전 전공이 음악전공인 학생들과 음악 외 전공인 학생들의 음악기술영역에 대한 역량 및 자신감이 다르게 나타나, 학부 전공의 다양성에 대한 석사과정에서의 적절한 대안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치료기술 영역에 대해 실습단계별로 분석한 결과, 세 번째 실습단계에 있는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고, 관찰단계의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은 학생들이 개설을 희망하는 과목은 전체 응답자의 19.7%로 상담 및 심리학 관련 과목으로 조사되었다.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들은 현재 음악치료사가 되는데 가장 염려되는 부분이 ‘음악치료사로서의 전문성’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51.8%), 가장 많은 학생들이 졸업 후 희망하는 대상군은 장애아동 및 청소년(42.3%), 기관은 병원(48.3%)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들이 인식하는 음악치료 교과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초지식과 역량에 맞는 효율적인 교과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를 갖는다.

      • 地方敎育自治制下에서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改善方案

        김정호 明知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9679

        1. 問題提起 정보화·세계화시대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여 계속적으로 그들이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교육보다는 지역에 따라 다양화된 새로운 형태의 교육이 운영되어야 한다. 앞으로 교육은 보다 다양하고 질 좋은 교육내용을 학교 현장에 제공하여 개개인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활동이 되어야 한다. 사회 각 분야가 요구하는 다양한 능력과 자질을 갖춘 개성 있고 참의성을 함양한 인재를 양성·관리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전문적 식견과 전문가로서의 교육공무원의 자질과 능력이 더욱 증요히 되고 있다. 따라서 교육공무원으로서 교육자다운 품성과 창의성을 갖추고 책임감 있게 교육활동을 전개해 갈 수 있도록 교육공무원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현직교육은 지방교육자치제가 활성화됨에 따라 매우 중요히 되고 있다. 특히, 교육공무원들이 교직 생애의 전 과정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함으로서 전문직 종사자로서의 전문적 책임을 다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현직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이러한 현직교육의 중요성에 비추어, 본 연구는 교육공무원의 전문적 자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지방교육자치제하에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 硏究內容 지방교육자치제하에서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중요성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내용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지방교육자치제하에서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이론적 배경의 분석 ② 주요국가의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현황 비교·분석하여 발전과제 추출 ③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현황 분석 ④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문제점 분석 ⑤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개선방향 및 개선방안 수립 3. 硏究의 方法 및 節次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국내·외의 문헌을 분석하여 지방교육자치제하에서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세우고,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물은 물론이고, 각종 연람, 법령, 전문잡지, 교육신문 등을 분석하였다. ② 지방교육자치가 활발한 주요국의 교육공무원 현직교육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 문헌에 의존하여 이를 통해 앞으로 우리 나라의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발전과제를 추출하여 분석·정리하였다. ③ 이러한 기초자료를 토대로 현행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제도에 내포된 문제점을 추출하여 그 개선방향 내지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④ 본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에 의존함으로써 연구전개방식은 연역법 내지 귀납법을 적용하였다. 4.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問題點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문제점을 추출·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교육공무원들은 현직교육을 전문성 신장이나 자질함양보다는 승진이나 승급 및 자격을 취득하는 수단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많다. ② 현직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이 직전교육과 상당부분 중복되어 있으며, 교육내용이 교육현장의 실제문제와 연계성이 없어 교육활동의 문제 해결에 구체적으로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③ 계절적 요인에 의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어려움은 물론 일방적인 강의가 주로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④ 각 연수기관은 연수요원의 역할을 전담할 수 있는 전문성과 능력을 갖추고 경험이 풍부한 자체 또는 외래 연수요원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었다. 또한, 성적평가 기준이 서로 다르고 강사에 따라 평가결과의 차이가 심하다. ⑤ 자격획득에 필요한 법적 현직교육에 비하여 현재의 교육기회는 전반적으로 부족한 편이며, 자격획득까지 기간이 너무 길어 체계적인 현직교육을 받는 데 지장을 주고 있다. 또한 일반연수의 기회 마저 교과별로 균등하게 부여되지 않고 있다. ⑥ 현재 교육전문직의 특수성은 누구나 인정하면서도 교육전문직으로서의 전문성을 확보하려는 현직교육에 대한 제도적 장치는 아직 없다. ⑦ 연수의 내용이 학교교육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선정되어야 하는데 교장의 일방적 결정에 의해 운영되는 사례가 많아 교육공무원들의 연수활동이 다양하지 못하다. ⑧ 학교 자체에서 시행하는 연수는 그 계획수립과 추진과정이 형식적이며 교직원의 전체 의사와 욕구가 반영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그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의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⑨ 현장연구에 필요한 여건이 현재의 학교현실로는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를 하고자 하는 현장 교육공무원들은 큰 고통을 받고 있다. ⑩ 현실적으로 교육공무원의 연구생활을 촉진시켜줄 수 있는 재정적 보조가 미흡한 실정이다. 5.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改善方素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발전을 위한 방안의 도입 및 실행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언한다. ① 앞으로 지방교육자치제하에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한 제반여건 조성, 세부계획 수립, 현장적용 가능성, 평가 및 수정·보완 등의 기능을 담당할 기구를 설치하고 여기서는 표준 교육과정의 작성, 연수과정의 타당성의 심의, 자격제도 및 승진제도와의 관련을 맺어 가면서 종합적으로 연수제도를 연구·검토하도록 한다. ② 통합 학점제의 도입과 자격연수과정의 이원화, 교원대학원의 설립 등을 통하여 교육공무원의 상위학위 취득에 관한 방안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③ 교육공무원의 전문성 확보와 지방교육자치제의 활성화, 제7차 교육과정에 대비하여 복수 및 부전공 교사 자격연수, 교과전담제의 확대방안에 대해 제도적으로 정비할 필요가 있다. ④ 학교중심 현직교육을 올바로 정착시키기 위하여서는 지도교사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각종 연수의 강사로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석교사제의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⑤ 장기적 만목으로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습교사제를 도입하며, 예비남교사들을 공익요원화하여 수습교사로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⑥ 장학담당요원의 전문적 능력배양을 위한 국가체제의 양성기관을 설치 운영하는 방안이 법·제도적 차원에서 모색되어야 한다. ⑦ 교육공무원들의 현직교육을 위하여 교원젠터를 설립하여 어느 때고 필요를 느낄 때 전문적인 활동을 하도록 장소와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⑧ 개인중심 현직교육의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행·재정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진학을 통한 계속교육에 대해서는 학교장의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⑨ 방송통신매체 등을 통한 다양한 연수형혀를 개발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⑩ 앞으로 제시한 각종 개선방안이 조속히 실행될 수 있도록 관련 행정부처에서는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강화한다. 1. Statement of the Problem In order to bring up talented persons leading the future informationalized and globalized era, and cultivate their specialties, a diversified new education rather than a nationally standardized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Future education should be an activity to provide more diverse and better contents to the school fields and activate individual personality. For training and managing the competent persons with voiles abilities which society requires, the highly specialized vision and quality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as an expert are even more valued. Thus, as the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is activated, the re-training for pubic educational personnel is highly required to develop their specialities to perform responsible education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raining for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should be more emphasized in that it can make them to fulfill their special responsibility as experts by acquiring new knowledge's and skills in process of teaching activities. In the light of the significance of training the public educational in service,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the problems of training them for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and exploring the reform plan for it under the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2. Contents of the Study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re-training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unde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the , content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The analy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e-training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unde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② The extract of developmental task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training system of other leading countries ③ The examination of the current system of re-training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④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current re-training system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⑤ The establishment of reform direction and plan for re-training 3.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Study The methods and procedures used in this study are ; ① To formulate theoretical base and understand the current system and its problem, this research conducts the literature review about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nuals, magazines, statutes, and research papers. ② To explore better direction for re-training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and to extract the developmental tasks for it,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 of re-training system of leading counties by analyzing American, English, French, German and Japanese literatures. ③ Based on these materials, this research points out the problems of current re-training system and searches for direction and plan of its reform. ④ This study uses both inductive and deductive methods as research method. 4. Current Major Problems Major problems blocking the development of re-training system for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can be suggested as follows: ① Public educational personnel's in service are more likely' to view the re-training as a means of promotion rather than as a means of fostering specializes for qualified experts. ② Most of the curricula and subjects of current re-training system are overlapped, and the contents are not related with the actual scene of education, therefore they do not give much help in solving the problems of educational activities. ③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gned effect due to the seasonal factor and the unilateral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④ Each training institution does not have its own or external trainers with specialty, ability and experience to take charge of their roles. Also, the evaluation standards are varied, so the outcomes of evaluation by each lecturer is different as well. ⑤ The re-training opportunity is generally less sufficient than legally guaranteed standards, and the larger period needed for qualification achievement hinders systematic re-training. Also, the opportunity of general training is not equally given to the subjects. ⑥ Despite everyone broad recognition for the particularity of educational professionals, there is still no institutional mechanism for re-training system to guarantee the educational specialities. ⑦ In spite that the contents of training should be selected based c the necessity of school education, the training activities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s not diverse because of school principal's arbitrary decision about the contents. ⑧ The training performed by school itself is fox mad in planning and process, without reflection the personnel's opinion and desire, so it causes the lack of their concerns and active participators. ⑨ Because the necessary condition for field study is not prepared in present school,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le can't perform field study. ⑩ Financial support to facilitate the research activity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s generally insufficient. 5.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This paper would suggests followings concerning c the introduction and practice of plans for development of re-training system. ① It is needed to establish an institute to take charge of constituting all necessary conditions, deviling detailed plans, availability to the field and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re-training system unde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and the institute would study and review the training system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 up of standard curricula, deliberation of validity and qualification and promotion. ② The continuing research is required for the plan on the achievement of higher degree of public education personnel's through introducing integrated grade system, dualization of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 and establishing graduate program of education. ③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expanding the training plans for major and minor teacher's qualification and exclusive responsibility system in preparation for the specialty acquisition is required fo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and the 7th curricula. ④ In order to settle down the school centered re-training,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senior teacher system which is available as guide teacher and training lecturer. ⑤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junior teacher system as a plan of acquiring specialized teachers and utilizing preliminary men teachers as a junior teacher by making them public personnel on a long-term basis. ⑥ The plan of establishing and managing national training institution for cultivating specialized ability of personnel in charge of encouragement of study should be searched for on a legal and institutional level. ⑦ The teacher's center for re-training should be set up, and it will have to provide the place and opportunity for teachers to do profession activities whenever needed. ⑧ For individual centered re-training to be effect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principal's recognition to the continuous study through entering higher educational program changed. ⑨ Various training patterns through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media be developed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⑩ For the rapid execution above mentioned reform plans, government should reinforc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 중학생의 진로교육 참여와 만족도가 진로·직업역량에 미치는 영향 : 서울특별시 마포구 사례를 중심으로

        박선숙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진로교육 참여와 만족도가 진로·직업역량에 어느 정도 관계가 있고 설명력을 보이는지를 검증하고자 함에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마포구 소재의 전체 중학교 14개교의 1∼3학년의 모집단 중 3,046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에 사용한 측정도구는 ‘2009년 한국 청소년지표 조사Ⅳ: 청소년 진로직업 지표(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중 ‘진로·직업교육의 학교 진로교육 유형별 참여 및 만족도’와 ‘진로·직업역량’ 척도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적용된 통계기법은 첫째, 성별, 학년, 학교설립형태, 학생구성형태, 진로교육 참여와 만족도, 참여수준에 따른 진로·직업역량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진로교육 참여, 만족도, 진로·직업역량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통제변수), 진로교육 참여와 만족도가 진로·직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직업역량은 ‘성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진로·직업역량의 하위구성요인 중 남학생은 ‘진로직업지식’이, 여학생은 ‘합리적 의사결정’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의 경우는 1학년의 진로·직업역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성별에 따른 진로·직업역량의 요구에 맞춘 지원 방안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진로·직업역량이 높아지는 중학교 1학년 시기에 진로교육을 적극 확대해 주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진로교육 참여수준’에 따른 진로·직업역량은 모든 유형(6개)을 경험한 그룹이 제일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진로교육 참여 효과가 입증된 만큼, 중학생의 진로·직업역량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진로체험을 확대하여 충분한 진로탐색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중학생의 진로·직업역량에 대한 인구사회학적인 변수를 통제하고 진로교육 참여와 진로교육 만족도의 설명력을 검증한 결과 ‘진로교육 만족도’가 진로교육 참여 보다 진로·직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진로교육의 만족도가 높으면 진로·직업역량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중학생의 진로교육 체험 등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현장의 적극적이고 다양한 노력이 제시되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중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교육 설계의 차별화와 진로교육의 참여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 및 불만족 요인을 낮추기 위한 교육과정 개선 등의 연구도 보완되어져야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on the career·vocational competency for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from 3,046 students in the first to third grades of all the 14 middle schools in Mapo–gu, Seoul.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questionnaire were adapted from the '2009 Korea Youth Indicator Survey IV: Career and Occupation of Youth Indicator(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statistical methods of this study were to crosstab, t-test, ANOVA,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in general career·vocational competency according to 'gender'.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sub factor ‘career job knowledge' was higher in boys and ‘rational decision making' was higher in girls. As for the ’grade’ variable, the career·vocational competency of the first grade was the highes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upport plan tailored to the needs of career·vocational competence according to gender is needed. So, career education should be actively expanded in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for increasing the career·vocational competency. Second, the career·vocational competency according to 'participation level of career education' was highest in the group that experienced all the six types of career education programs. 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the career·vocational compet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various career educational experiences and the programs should be expanded. Third, ‘the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had a greater effect on career·vocational competency than participation itself in career education. Therefore, active and diverse efforts should be made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career education exper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urth, we suggested a method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and an improvement of curriculum to lower the factor of dissatisfaction in order to differentiate the career education design according to the gender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ncrease the effect of career education.

      • 역사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개선방안 연구 : 중학교 과정을 중심으로

        박태열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Among increasing interest in status of our History education and its improvement, study on History education for domestic middle and high school showed considerable progress. But study on 'recognition of student' which should be preceded has been somewhat neglected. This study began based on this point. In the process where History education is made, students are affected by various people. Development of 'educational curriculum' that suggests basic frame and content of History education is affected by historical recognition of a nation or developer. And, historical recognition of students is affected by historical recognition of the author according to content or composition form of textbook. Above all, 'content or development process of teaching in a classroom' is naturally affected by teacher's historical recognition. According to teacher's historical recognition, learning activity plan is established and learning material can be changed. Such different historical recognition naturally affects recognition formation of students in all stages from a stage where frame of school education is arranged, to actual teaching. To investigate student's recognition about History subject from above perspective would have important meaning in study of History education. For this, recognition of students about History subject was shortly examined with questionnaire sheet with 20 items. Of course, it would be hard for students themselves to specifically recognize various phenomena and problems across whole History education process such as ‘educational curriculum’, ‘content and composition form of textbook’, ‘content or development process of teaching in a classroom’ etc. However, in the process of analyzing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comprehensive opinion of students about History subject could be known. And in the process, the author can embody various problems and improvements pointed out by many researchers practically and efficiently. Furthermore, improvement measures of History education environment can be suggested. Especially, recently History in the middle school is operated within Social subject independently again. So, comprehensive history can be learned so that history can be understood on the whole. And the History in the middle school was selected as subject of this study because History in the middle school is comparatively less affected by the situation of repeated learning dur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nd entrance examination. For problems of educational curriculum pointed out by researchers, this study considered work to specifically explore these things - How students think about the problems, about which parts they feel problems, or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students about atmosphere in a classroom for History education. And based on recognition of students about History subject, my own improvement direction about History education was suggested. First, it is necessity of selecting content where viewpoint of students is reflected. Now content of History content is selected by expert group only. But everyone has one's own thinking and standard about what is important, what is valuable or has meaning. This thinking began from a question, 'is it reasonable for the education content to be one-sidedly selected by expert group only ?' In turn, this thinking came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about improvements necessary for efficient History education with students. Recognition of students about textbook with 'dry writing style' would be an answer about the question, 'how much students feel interest in the one-sidedly selected content?' It would be actually impossible to select content that reflects all the interests of every students. And it is not easy to arrange various opinions in one significant result. But students as subject of History education, need to collect, analyze, and interpret material to draw historical image. Accordingly, until students can play a role as subject to select content, much discussion and study, a number of trials and errors are needed. One of things pointed out was 'setting clear value and goal of History education'. Under present educational system, historical knowledge and recognition of students are focused on entrance examination. This made recognition on necessity of History education be obscure. Goal of Social subject gives attention on present meaning while goal of History subject includes present, past, and the future. And goal of history subject does not stay in simple present value standard but should include long term perspective. Accordingly, to develop goal of History education properly with unique individuality based on rich and vast history, integration with Social subject should not be mentioned again as the past. Therefore, some device to make students accept context and individuality of history should be arranged. Then, recognition of students about History subject can be developed. The improve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or History class is another method for more interest and concern about History subject, furthermore, this is necessary to cultivate right recognition about History subject. This method also based on result of questionnaire survey with students can be broken down in front of limitation of educational system focused on entrance examination. But continuous trial is needed based on capacity and efforts of teacher and this could contribute to improving class participation and interest of students. 우리 역사교육이 처한 처지와 그 개선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가운데, 국내 중, 고등학교 역사교육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進陟을 보여 왔다. 하지만 여기서 우선 선행되어야 할 ‘학생들의 인식’연구에는 다소 소홀했다는 점을 근거로 하여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역사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학생들의 역사인식은 다양한 이들에 의해 영향을 받게 된다. 역사교육의 기본적인 틀과 내용을 제시하는 ‘교육과정’개발은 국가나 개발자가 가지고 있는 역사인식에 영향을 받는다. 또한 ‘교과서의 서술내용이나 구성 형식’에 따라, 집필자의 역사인식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무엇보다 ‘교실수업의 내용이나 전개과정’은 교사의 역사인식의 영향을 받게 됨은 물론이다. 교사의 역사인식에 따라 학습 활동 계획이 세워지고, 사용하는 학습 자료도 달라질 수 있다. 학교 교육의 틀을 마련하는 단계에서부터 실제 수업에 이르기까지 모든 단계에서 서로 다른 차원의 역사인식이 학생들의 인식형성에 영향을 주기 마련이다. 이런 관점에서 학생들의 역사교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 역사교육연구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실시한 20개의 설문문항을 통해 학생들의 역사교과에 대한 인식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물론 학생들 스스로가 ‘교육과정’, ‘교과서의 서술내용이나 구성형식’, ‘교실수업의 내용이나 전개과정’ 등 역사교육과정 전반에 걸친 다양한 현상 및 문제점 등을 구체적으로 인식하기는 사실상 무리가 있다. 하지만 설문결과를 분석해 나가는 과정에서, 학생들이 역사교과에 대한 종합적인 의견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연구자들이 지적한 다양한 역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보다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구체화 할 수 있었으며, 역사교육환경의 개선방안에 대해 나름 제언해 볼 수 있었다. 특히 중등학교 역사는 최근 재차 사회과 내에서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본격적인 통사 중심의 역사를 배울 수 있고, 이에 역사를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초·중·고의 반복적 학습과 입시라는 상황의 영향을 그나마 적게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연구자들이 지적하는 교육과정의 문제점에 대해 실질적으로 학생들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으며, 어떤 부분에 대해 문제점을 느끼는지, 혹은 역사교육의 수업분위기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와 인식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살피는 작업을 고려해 두었다. 또한 학생들의 역사교과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나름의 역사교육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언해 보았다. 우선 학생들의 관점이 반영된 역사교과의 내용선정에 대한 필요성을 들었다. 현재와 같이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이 전문가 집단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상황 속에서, 무엇이 중요하고, 무엇이 배울만한 가치와 의미가 있는가에 대한 생각과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다. 일방적으로 ‘전문가집단에 의해서만 교육 내용이 선정되는 것이 합당한가?’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된 이와 같은 생각은, 학생들이 효율적인 역사교육을 위해 필요한 개선점에 대한 설문결과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건조한 문체’로 구성된 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일방적으로 선정된 교육내용이 학생들에게 얼마나 흥미를 느끼고 관심을 보일까?’ 라는 물음에 대한 답변이 될 것이다. 학생 개개인의 관심과 흥미를 모두 반영한 내용선정이 이루어지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다양한 의견을 하나의 유의미한 결과로 정리하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학생들은 역사학습의 주체일 뿐 아니라 수업과정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며, 해석 판단하여 역사상을 그려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생이 내용선정의 주체로서 역할을 담당하기까지는 많은 논의와 연구, 수많은 시행착오가 필요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논의와 더불어 지적한 또 한 가지는 ‘역사교육의 뚜렷한 가치와 목표의 설정’이었다. 현행 교육제도 하에 학생들의 역사지식과 인식은 입시에 초점이 맞춰져 실제로, 역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모호하게 만들어 버렸다. 사회과의 목표가 현재적 의미를 주목하는 데 반해, 역사교과의 목표는 현재와 과거, 그리고 미래를 포괄한다. 또 그것은 단순히 현재의 가치 기준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장기적인 전망을 담아야 한다. 따라서 풍부하고 광대한 역사를 바탕으로 독특한 개성을 갖는 역사교육의 목표를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 사회과와의 통합은 과거와 같이, 재차 언급되어서도 안 될 것이다. 역사의 맥락과 개성을 학생들의 머릿속에 담을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만 역사교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진전이 있을 것이다. 역사수업의 교수· 학습 방법의 개선은 역시, 학생들의 역사교과에 대한 흥미와 관심도를 높이고, 나아가 올바른 역사교과 인식의 함양을 위해 필요한 또 하나의 방법이다. 역시 학생들의 설문결과에 바탕 한 이와 같은 생각은, 입시위주의 교육제도의 한계 앞에 무너질 수도 있겠다. 하지만 교사의 역량과 노력을 바탕으로 한 지속적인 시도가 필요할 것이며, 그에 따라 학생들의 수업참여도와 흥미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

      • 대학 교양골프수업의 교육제반 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옥성철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양 골프수업에 참가하는 학생들의 교육제반환경 만족도에 대하여 알아보고, 교양골프 수업현장에서 작용하는 효율적인 지도방법과 교육내용, 그리고 여러 환경을 토대로 학생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수도권에 있는 교양체육으로 교양골프를 개설한 대학 4개교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K대, H대, M대, Y대학교의 교양골프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였다. 개인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실시하였고, 설문지의 신뢰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Cronbach'α를 적용하여 문항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교육제반환경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검증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성별에 따른 교육제반환경 만족도에 관한 내용의 분석결과 지도방법에서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평균적으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교육내용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대체적으로 높은 평균을 나타내었다. 시설에 있어서는 남자, 여자 모두 비슷한 평균을 나타내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교육제반환경 만족도에 관한 내용의 분석결과 지도방법에서는 학년이 낮을수록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교육내용에서도 2학년의 평균점수가 대체적으로 높았으며, 시설에서는 3학년에서 대체적으로 높은 평균점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taking golf classes as one of general education courses with the overall educational setting, teaching methods and the content of education in a bid to provide some systematic information on ways of boosting their satisf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0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a population of students at four different colleges in the metropolitan area which were K, H, M and Y colleges. The colleges offered golf classes as one of general P.E. cours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selected students who took the golf courses. A frequency analysis was made to figure out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Cronbach alpha coefficient of the questionnaire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item internal consistency of the questionnaire to test its reliability. Besides, independent-sampl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o find out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al setting by gender, the female students gave higher marks than the male students to teaching methods, and the latter gave higher marks than the former in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 of education. Both groups gave similar scores to the facilities, and the intergroup ga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educational setting by academic year, the students whose academic year was lower expressed better satisfaction with teaching methods. The sophomores gave more marks to the content of education in general, and the juniors gave higher marks to the facilities on the whole. The intergroup gap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 키워드를 활용한 경제 교과서 비교 연구

        유승우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는 문제는『경제』이며, 우리 주위에서 발생하는 모든 일들은『경제』라는 단어를 빼놓고는 이야기 할 수 없다. 그만큼 경제는 우리의 현실 생활과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분야로서 중요함을 알 수 있다. 현행 경제 교육은 중등학교 수업 현장 속에서 교과서를 매개로 이루어지고 있다. 교과서는 교수자로 하여금 교수내용을 인지하게 하고 그것을 학생들에게 어떤 방식으로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한편, 학습자에게는 교사의 설명과 더불어 중요한 학습창구로 기능한다. 이렇듯 경제 교육에서 교과서와 교과서 집필 기준이 되는 교육과정을 떼어 놓고 설명 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사를 통해 경제 교육에 대해 재조명 할 것이며, 현재 검·인정제도로 편찬되고 있는 중학교『사회1』,『사회2』, 고1『사회』교과서 6종과 2009개정 교육과정시기『경제』교과서 2종, 7차 교육과정시기『경제』교과서 2종: 총 12종을 대상으로 한 키워드 분석을 하고자 한다. 교과서 키워드와 사회과 교육과정을 통한 분석의 결과물을 토대로 경제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첫째로, 현행 사회과 교육과정안에서 경제교육은 점차 축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로, 각 출판사 별 고1『사회』교과서 내에서 경제용어 분량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일부 교과서는 중요한 경제용어임에도 불구하고 서술되어 있지 않고 있다. 셋째로, 수많은 검·인정 교과서 중 어떤 교과서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경제 교육의 빈부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넷째로, 경제용어가 어렵고, 실생활과 괴리된 교수자의 수업방식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경제교육 문제점을 개선의 방안으로서 학생들 사이에 높은 인기를 끌고 있는 온라인 게임을 활용한 수업 방법을 통해 경제 교육의 대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Recently, Economy is the issued problem around the world. The term ‘Economy’ is so closely related to all of the things that occur around us. The economic education is carried by textbook in the secondary school. The textbooks allow teacher to be aware government guidelines for teaching, and it will be passed on to students in any way to provide idea. It can also provide study guide to students with the teacher’s description. Also, the economic education is so closely related to curriculum as the writing standard of textbooks. In this study, I analyzed keyword using the twelve kinds of textbooks published by official approval – the social study textbook One and Two for middle school student, six kinds of social study textbooks for high school junior students, two kinds of economic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two kinds of economic textbook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seventh period. As I analyzed the textbooks keyword and the social study curriculum, I deduce a four problem. First, it is reduced the size of economic education in the social study curriculum. Second, the economic word frequency of social study textbooks in the each publisher is big difference. And some important economic terms don’t describe in the textbooks. Third, economic understanding is different from selecting some textbooks published by official approval. Finally, economic term is difficult, and the school education is a gap with the reality. In the improvement of economic educational issues, I suggest alternative economic education utilizing online game which is highly popular among the students.

      • 융합 인재교육(STEAM)에 기반 한 조형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 움직이는 조형활동을 중심으로

        유윤정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미래 사회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 직업에 종사하고, 현재 존재하지 않는 물건들이 만들어 내는 사회에서 살아야 한다. 이러한 미래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는 융합적 사고 능력을 통해 스스로 생각할 수 있고, 자신의 생각을 담아, 큰 그림을 그려낼 수 있는 앞서 가는 사람이라 할 수 있다. 앞서가는 사람을 기르기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접목하고 학문간, 지식 간 융합을 통해 주어진 문제를 보다 창의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창의성과 융합적인 소양이 중요하며 선진국에서도 이러한 융합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융합 인재교육(STEAM)에 기반 한 조형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유아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창의성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융합 인재교육(STEAM)에 기반 한 조형 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창의성과 융합 인재교육에 대한 문헌고찰 및 선행 연구 분석을 토대로 융합 인재교육(STEAM)에 기반 한 조형 활동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를 선정하고 내용을 구성하였다. 융합 인재교육(STEAM)에 기반 한 조형 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대상을 서울시 은평구에 있는 H 어린이집 만 5세 반 유아 28명으로 선정하였고, 검사 도구는 TTCT 한국판 표준화 창의력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실험처치는 사전검사 후에 각 14명씩을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 집단에게는 융합 인재교육(STEAM)에 기반 한 조형 활동을 10차시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은 어린이집의 일과에 따른 자유선택 활동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아의 유창성, 독창성, 정교 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 제목의 추상성, 창의적 강점의 집단 간 사전 사후 점수 에 대한 독립 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융합 인재교육(STEAM)에 기반 한 움직이는 조형 활동 수업은 유아의 연령이 많아질수록 다양한 학습을 통해 자칫 떨어질 수 있는 유창성을 유지 혹은 발전시키며, 창의성의 하위 요소인 정교성, 제목의 추상성, 창의적 강점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지속적인 융합 인재교육(STEAM)에 기반 한 움직이는 조형 활동은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아동 대상의 융합교육 연구에서도 아동의 창의성이 신장되는 같은 결과들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융합 인재교육(STEAM)에 기반 한 움직이는 조형 활동 수업은 유아의 창의성을 신장 시키는 결과를 나타내므로, 유아 교육 현장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We will live in the society that works in a job which doesn't exist in the future. the talented people in the future can think themselves through the convergent thinking ability and they will be people, who have comprehensive thinking. To train the talented people, we have to include various information and solve the various problems creatively through the integration between study and intelligence. In fact, advanced countries make an effort to introduce the integration education. The purpose in this study is that we should develop the program of crude activity and apply the infantile education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creativity. To develop the Convergence human resource(STEAM) based on crude activity program, I compose the contents which are based on studying a analysis about creativity and convergence human resource(STEAM) through the including the crude activity. To verify the study, I selected a research object which is a H nursery. the detail research object is twenty eight children, who are under 5 years old. So, I use a test tool, which is a Korean TTCT standard creativity tester. First, I divided a experiment group and a comparable group that belongs to each eleven forty children after a preliminary test. the experiment group conducted the crude activity for tenth stages and the comparable experiment group conducted the selective activity based on curriculum in the nursery. I used a SPSSWIN 18.0 program to research the material. so I conducted a survey to verify the independent model about preliminary scores and after scores of the creativity, resistance about quick end, originality, fluency of the children. There is a result of the study, the crude activity, based on the convergence human resource develop the fluency when the children's age is older and there is the effect of the creativity of the sub-theory that is the creative strength, the accuracy, the abstractness of the topic. according to this result, there is a positive effect whose the crude activity enhances the child's creativity. so we could see that the study of the convergence education can enhance the child's creativity. Thus, the crude activity based on convergence human resource(STEAM) enhances the child's creativity, so it is actively necessary to use the crude activity in the infantile education field.

      • 미국과 일본, 핀란드의 교육과정을 통해 본 한국 중등 경제 교육의 현황과 과제

        임정민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2012년 사회과 개정교육과정의 경제교육에 관해 정리하고, 경제사회의 변동 가운데 향후 보완해야 할 사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2개정교육과정에서 규정하는 경제교육의 목표는 ‘책임 있는 민주시민’의 육성이다. 경제과목이 지향하는 3가지 민주시민상은 ‘경제의 기본 원리와 이론 체계를 실제 생활과 관련지어 이해하는 사람, 현실의 경제문제를 사회 전체적인 맥락에서 합리적인 해결 기준과 방법을 모색하는 사람, 경제 환경의 변화를 이해하고 대응 방향을 탐색하는 사람’이다. 2012개정교육과정의 근간이 되는 2009개정교육과정의 경제교육은 7차 교육과정보다 쉽고, 적용하기 쉬운 것으로 평가 받고 있으나 아직 학생들의 실생활에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새로운 경제적 흐름을 반영했다고 하기는 역부족이다. 이에 본 연구는 앞서 경제적 성공을 이룬 미국과 일본, 그리고 교육 강국이라고 불리는 핀란드의 교육과정을 통해 한국의 경제교육과정을 살펴보았다. 한국 경제교육과정의 현실에 비추어 적용이 가능한 부분을 중심으로 제안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① 교과 선택제와 집중 이수제에 따른 교과 선택 과정에서 발생하는 경제교육비중 감소를 해소해야만 한다. 이는 대학 입시 전형에 경제 과목에 대한 항목을 추가하는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② 학생의 경험에서 시작되어 현실의 경제문제에 적용 가능 하도록 교과내용이 구성, 운영되어야 한다. 고등학교의 교과 내용을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거나 활동 중심의 교과운영, 수업에 필요한 자료의 지원이 필요하다. This research examines the 2012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of economic education and indicates the issues that need to be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s in economic environments. The purpose of the 2012 Economic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is to nurture ‘dutiful democratic citizens’. this is meant as the people who are ‘understanding the basic theoretical rules of economy and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the rules and actual life’, ‘comprehending problematic economic issues in the social context and finding solutions to overcome the issues’, and ‘understanding the constantly changing economic environment and preparing to the changes’. The 2009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which is based on 2012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of economic education is considered as a progression from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but it is still inadequate to be applied in real life. Therefore, this research examines economic education of Japan, the United States, and Finland in order to suggest alternatives to Korean economic education system; because these countries are regarded to have high-level education systems by succeeding in economic development. In conclusion, there are four feasible and realistic suggestions in this study that reflect realities of the current state of Korean economic education system. First suggestion is to prevent the little importance of economic education. This problem has arisen during selection of education curriculum from The Concentrated Subject System and Curriculum Selection System. Second,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operated applicable to reality derived from students’ experiences. The final suggestion is to revise the curriculum at high schools. More activity-oriented curriculum and more support of class materials seem to be ne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