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자 대학생의 얼굴계측에 따른 유형별 헤어 컷 디자인 연구

        김미정 東明情報大學校 情報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남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헤어스타일링 완성에 기초가 되는 헤어 컷 디자인 연구이다. 실제 헤어 컷 디자인에 필요한 요소들과 선호 헤어스타일을 토대로 헤어 컷 디자인을 함으로써 헤어 컷 디자인 과정의 결과를 제시하여 연구자들에게 헤어스타일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남자 대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얼굴부위의 직 · 간접 계측과 머리부위의 직접 관측,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던컨(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얼굴 부위의 직 · 간접 계측 항목에 대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5개의 요인을 독립변수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군집 분석에 의해 분류된 얼굴 유형별 특성을 살펴보면 이마 각, 아래턱 끝각, 뒤통수 각, 키가 p<.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마시작 너비, 하안부 길이는 p<.05, 얼굴길이 및 이마너미, 턱결절간 직선거리, 귀 볼점 · 턱끝점 길이에서는 p<.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형 1은 장방형에 가까운 유형으로 얼굴길이가 가장 길고, 얼굴너비는 가장 좁았고, 하안부 길이와 신장이 가장 컸다. 유형 2는 사각형에 가까운 유형으로 하안부 길이가 가장 짧고 이마각은 작은 편이고, 아래턱 끝각은 가장 작았다. 유형 3은 둥근형에 가까운 유형으로 얼굴길이, 얼굴너비, 하안부 길이 모두 평균값에 가깝고, 이마각은 가장 작고, 아래턱 끝각도 작게 나타났다. 유형 4는 계란형에 가까운 유형으로 이마각과 아래턱 끝각이 약45˚로 가장 크며 전체적으로 갸름한 형태로 나타났다. 이마각과 아래턱 끝각이 얼굴유형 분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볼 수 있었다. 헤어 컷 디자인 요소의 머리부위 관측 분석결과 조사 대상자인 남자대학생의 경우 평균적으로 오른쪽에 하나의 가마를 가지며 방향 또한 오른쪽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프론트 헤어라인은 M형이 네이프 헤어라인은 ∩형이 많았으며, 가마에 의해 가르마가 생기므로 대부분 가르마를 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발을 관측한 결과 반 곱슬, 곱슬, 강한 곱슬이 전체의 약 74%로 곱슬이 많았으며, 보통 굵기에 숱이 많고, 짧은 길이의 모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 대학생들의 헤어스타일 선호에 관한 결과 깔끔하면서 세련되며 손질이 편하고 남성적인 이미지의 스타일을 선호하였다. 가장 하고 싶은 헤어스타일이 자신에게 어울린다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행에 앞선다고 생각되는 스타일은 인지하고 있으나 손질이 어렵고, 튀는 스타일이라서 선호도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제 헤어 컷 디자인을 하기 위해 군집 분석에 의해 분류된 4개 유형으로 직접 관측한 헤어 컷 디자인 요소들과 선호 헤어스타일을 분석한 것을 적용시켜 모델의 얼굴유형과 자신의 용모에 잘 어울리는 커트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haircut design tha is the basis for the completion of a hair styling mainly with case of male college student. It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presents the basic model of the haircut design process based on required elements for the actuat haircut design and preferred hair styles. For the purpose of thls, I carried out direct and indirect observation and measurement for faces and heads of 293 male college student who attended universities in Busan and conducted questionnaires for them. The analysis of data was done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study, factor analysis, clustering analysis, anova and Duncan's back test(multiple compans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paper conducted the element analysis in regard to the direct and indirect items of face, and it pulled out 5 elements. As a result of group analysis with 5 elem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y are classified into 4 types. If we examine the feature of face types, classified by group analysis, the angle of forehead, chin, the angle of end, the angle on the back of head show the meaningful gap in the level of p<.01 in height, and the width of forehead start, the length of bottom portion of face show p<.05, and there are meaningful gap in the level of p<.0.5 in the face length, the forehead width, the distance of straight line, the bead point of ear, and the width of the end point of jaw. The type 1 is close to the type of rectangular its face was the longest, and the face width was narrow the most, while the angle of bottom portion of face and height are the longest. The type 2 is close to the square. Its length of bottom portion of face was the shortest, the angle of forehead was small, and the end angle of the lower jaw was the smallest. The type 3 is close to the round. Its face length, face width, and the length of bottom portion of face are close to the average value, and it represented that the angle of forehead is the smallest and its end angle of lower jaw is small. The type 4 is close to the egg type. Its angle of forehead and end angle of lower jaw is about 45˚, and generally, it appeared as thin form. In this study, we can see that the angle of forehead and end angle of lower jaw influence the classification of face type. According to the result of measurement analysis for haircut design elements of the head, respondents of the research, male college students averagely have just a single hair whirl on the right side and the right side is much often in its direction. Moreover, in case of the front hair line, M type was common and the ∩ type was common for the nape hair line. Garuma(the line appeared when you combed your hair from the vertex to the forehead) was naturally formed by a hair whirl, most students were found that they made Garuma. In case of hair, roughly 74% of all students had curls including half-curls, curls and hard curls. And the thickness of their hair was regular and it was revealed that they preferred short haircut. Second, in terms of preferred hair style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they preferred the hair style that was sophisticated and easy to manage and had a masculine image, and the most preferred style was something they thought that it was the most suitable for them. They recognized the up-to-date style, but they did not prefer it, because they regarded it as something hard to manage and that it was somewhat distinctive style. Thirdly, this paper suggested the suitable cut for the face type and appearance of model, through application of hair cut design elements, measured by 4 types, which were classified by the group analysis and the analysis of preferred hair style in order to do actual hair cut design.

      • 심리도식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화상통화 심리도식치료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권문선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시대에 화상통화 방식으로 실시한 심리도 식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하였다. 이를 위해 Farrell, Shaw, & Reiss (2013)의 심리도식치료 프로그 램을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매주 1 회기씩, 회기당 60∼90분 으로 진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부산광역시에 있는 D대학교 대학생 중 자발적으로 신청을 받아 무선 표집으로 29명을 선정해 통제집단 15명, 온라인집단 14명을 배정하였다. 이 중 온라인집단 1명, 통제집단 5명이 탈락하여 최종 2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온라인집단은 심리도식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대기집단으로 무처치하였다. 그리고 화상통화 프로그램은 14명의 집단원을 동시에 실시간으로 진행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우울 척도와 자아존중감 척도를 작성하였고, 프 로그램 종료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은 각 종속변인의 사전점수를 일원 배치 분산분석 (One-Way ANONA)으로 하였다.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온라인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점수를 비교하는 이원 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 (Two-Way RM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도식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온라인집단의 대학생은 통제집 단과 비교해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했다. 그리고 우울 하위영역에서는 인 지적 요인에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신체-정신적 요인이 통제집단과 비 교해 유의하게 감소했고, 추후에도 그 효과가 지속되었다. 둘째, 심리도식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온라인집단 대학생은 통제집단 과 비교해 자아존중감에 대한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그리고 자아존중 감 하위영역인 긍정적 요인과 부정적 요인에서는 온라인집단과 통제집단 에서 차이가 없었다. 본연구결과, 화상통화 방식으로 진행한 심리도식치료 프로그램은 대학 생의 우울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그래서 코로나19 시 대에 화상통화 방식으로 진행된 심리도식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정신 건강을 증진 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among college students due to the of psychotherapy schematic therapy programs through video calls during the Covid-19 era. For this, the psychological schematic therapy program of Farrell, Shaw, & Reiss (2013) was used.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8 sessions and was conducted once a week, with 60 to 90 minutes per session.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among D University college students in Busan, voluntarily, and selected 29 of them through wireless sampling, and assigned 15 of them control groups and 14 of them online groups. Of these, 5 of them were excluded from the control group, 2 of them were eliminated from the online group, and a final group of 22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online group and the implemented psychological schematic therapy programs. And the video call program proceeds in real time to a group of 14 of them at the same time.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he schematic scale, the depression scale, and the self-esteem scale were prepared, and after the program was terminated, Pos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rogram effectiveness. To test the homogeneity between the three groups, pre-testing of each dependent variable was used as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wo-way analysis of variance (Two-Way RMANOVA) control to validate examination problems, performed to compare pre-examination of online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in the online and who participated in the psychological schematic therapy program had a significant decrease in depress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sub-region of depression, Body-mental factors hav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controls. Second, online group colleg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sychological schematic therapy programs have not been verified for their self-estee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online and control groups in the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which are subregions of self-esteem.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sychological schematic therapy program conducted by the video call method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In the Covid-19 era, psychological schematic therapy programs conducted by video calls can be useful as programs for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짧은 애니메이션 동영상 이용동기와 정보특성이 만족도와 지속적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삐리삐리와 유튜브의 애니메이션 채널을 대상으로

        이동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After comprehensively introducing the satisfaction theory, this paper comb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hort animation videos to analyze the degree of influence of influence factors on the satisfaction of short animation video applications through empirical analysis methods such as surveys and data analysis.The concept, type, and characteristics of short animation videos were generally introduced to clarify the research subject. In addition, based on the theory of satisfaction and literature research on short videos, the influencing factors affecting short animation video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were analyzed,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raised.This paper devised a measure of short animation video satisfaction and continuous use intention and conducted a survey.And based on thi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rationality of the hypothesis and model raised was verifi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wo factors were derived to examine the motivation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to watch short animation videos on YouTube.It is "intellectual exploration and workability" and "rest and spend time."There were three incentives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to watch short animation videos of Piri Piri animation.Compared to Korean university students, one more incentive is "information usefulness and communication.“ Second,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only the number of channel us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in term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erms of motivation for use, it was found that only 'intellectual inquiry and work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In terms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 four factors, including 'workability' creator attractiveness curation service 'univers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nd aesthetic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satisfaction.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factor that significantly affected satisfaction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Chinese university students.In the motivation for use, it was found that two factors, 'information usefulness' and 'spending ti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In terms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 three factors, 'work', 'aesthetics', 'curation service', and 'universality',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satisfa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did not have a sub-factor that determines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n motivation for use. In terms of information characteristics, it was analyzed that 'workability' was the only one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It was found that 'watching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For Chinese university studen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howed that daily usage ti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This means that the more daily usage time, the more positive the intention to continue using it. 본 논문은 만족도 이론을 총괄적으로 소개한 후, 짧은 애니메이션 동 영상의 특징과 결합하여 설문조사, 데이터 분석 등 실증 분석법으로 영 향 요인이 짧은 애니메이션 동영상 신청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였다.짧은 애니메이션 동영상의 개념, 종류과 특징을 전반적으로 소개하여 연구 대상을 명확하게 하였다. 그리고 만족도 이론과 짧은 동 영상에 대한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짧은 애니메이션 동영상 만족도와 지 속적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연구 가설을 제기하 였다. 본 논문은 짧은 애니메이션 동영상 만족도와 지속적 사용의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고안하고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을 하고 제기한 가설과 모델의합리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한국 대학생이 유튜브에서 애니메이션의 짧은 애니메이션 동 영상을 시청하는 동기를 살펴보기 위해 2개 요인이 도출되었다.‘지적 탐 구와 작품성’과 ‘휴식과 시간보내기’이다.중국 대학생들이 삐리삐리 애니 메이션의 짧은 애니메이션 동영상을 보는 유인은 세 가지로 나타났다.한 국 대학생에 비해 하나의 유인이 더 생기는 것이 ‘정보 유용성과 소통’이 다. 둘째,한국 대학생에 대해 인구통계학 특성에서는 채널이용회수만이 만 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용동기에서는 ‘지적 탐구와 작품성’만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특성에서는 ‘작품성’ 크리에이터 매력성 큐레이션 서비스 ’ ‘편재성’ 등 4개 요인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심미성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 은 것으로 분석되었다.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중국 대학생에 대해인구통 계학 특성에서는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 타났다. 이용동기에서는 ‘정보 유용성’과 ‘시간 보내기’의 2개 요인이 만 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특성에서는 ‘작품성’, ‘심미성’, ‘큐레이션 서비스’, ‘편재성’ 등 3개 요인이 만족도에 유의한 영 향을 미치는 결과를 보였다. 세째,한국 대학생에 대해 인구통계학 특성이 이용동기에서 지속적 사용 의도를 결정하는 하위요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특성에서는 ‘작 품성’이 유일하게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 석되었다. ‘시청 만족도’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 로 나타났다. 중국 대학생에 대해 인구통계학 특성에서는 일일 이용시간 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 일 이용시간이 많을수록 지속적 사용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용 동기에서는 ‘정보 유용성과 소통’과 ‘시간 보내기’의 2개 요인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정 보특성에서는 ‘작품성’만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결 과를 보였다. ‘시청 만족도’는 지속적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것 으로 나타났다.

      • 중국 패션디자인 전공자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효동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중국 CIER (Chung-Hua Institution for Economic Research- 중국의 경 제 및 산업연구기관) 에 따르면 2020년 1분기 대졸 신입사원 채용 수요 는 1,237만 명으로 전년도 대비 대학생 구인은 감소하였고, 2021년 3월 에 졸업하는 대학 졸업생의 구직 신청자는 전년 동월 대비 43.25%나 늘 었다. 코로나 사태의 충격이 있다고는 하나 전 세계의 경제불황 여파로 패션기업의 고용상황은 원활하지 않아 대학생 취업에 큰 영향을 주고 있 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직업 환경의 역동적인 변화 초래와 더불어 취업 여건도 예측하기 어렵기에 대학생들이 취업 및 진로를 결정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어려움이 있고 더불어 대학생들은 취업스트레스를 겪게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을 앞둔 중국의 4년제 대학에서 패션디자인을 전공한 학생들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스트 레스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대한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중국 천진시(天津市) 소재의 4년제 대학교(3개 대학)의 패션디자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남학생 135명, 여학생 191명을 대상 으로 실시하였으며, 이중 최종분석에는 남학생 125명, 여학생 175명이 사용되었다. 설문조사 기간은 2020년 9월 20일부터 2020년 9월 30일 기 간 동안 실시하였다. 총 327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300부가 회수되었고 최종 분석에도 300부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하여 SPSS 25.0을 이용하여 변수들 확인적 요인분석 및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방적 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 다. 첫째,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그리고 취업스트레스는 상관관계가 있 을 것이다. 둘째, 전공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스트레스가 매 개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론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디자인 전공자들의 전공만족도에 관련하여 교과만족도, 교 수-학생 간 의사소통, 전공에 대한 관심, 전공에 대한 사회적 인식 등 4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들째, 진로정체감 영역에서는 진로 명확, 진로 불평확의 2가지 요인으 로 분류되었다. 셋째. 취업스트레스 영역에서는 외적요인, 내적요인, 취업준비요인의 3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넷째, 전공만족도, 진로정체감, 취업스트레스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과만족도, 교수-학생 간 의사소통, 전공에 대 한 관심과 전공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진로정체감과는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전공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을 통해서 취업스트레스 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공만족도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취업스트레스의 매 개효과가 있으며 전공만족도가 직접적으로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주기도 하며, 더불어 높은 수준의 전공만족도는 취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이 러한 취업스트레스는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 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전공만족도가 진로정체감 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직접적인 영향도 있지만, 취업스트레스를 매개 로 하는 간접적인 영향도 간과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교과 내용에 대한 만족과 교수와의 의사소통과 전공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수록 진로정체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공만족도가 높을 경우 취업과 관련된 스트레 스이 요인들은 줄어든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According to China's CIER (Chung-Hua Institute for Economic Research, China's Economic and Industrial Research), the demand for new college graduates in the first quarter of 2020 was 12.37 million, down from the previous year. And the number of job applicants for college graduates graduating in March 2021 increased by 43.25 percent year-on-year. Although the Korona crisis is said to be a shock, the employment situation of fashion companies is not smooth due to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which has a huge impact on college students' employment. This social atmosphere, coupled with dynamic changes in the job environment, is difficult to predict.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determining employment and career paths for college students. And college students suffer from job st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effects of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of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on their sense of career stagnation at a four-year university in China ahead of graduation and suggest ways to do so.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f 125 male and 175 fe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at a four-year university (three universities) in Tianjin, China, and the survey period was 2020. It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 2020 to September 30, 2020. A total of 307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300 copies were collected, and 300 copi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there will be a correlation between major satisfaction level, career suspension and job stress. Second, job stress will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impact of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stagnati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of fashion design majors, it was classified into four factors: curriculum satisfaction, professor-student communication, interest in majors, and social awareness of majors. In the field of career settlement, the career path was classified as two factors: clearness of the career path and uncertainty of discontent. Third, in the field of job stress,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external factors, internal factors, and job preparation factors. Fourth,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career congestion, and job stress, the degree of curriculum satisfaction, professor-student communication, interest in major and social awareness of major were related to career congestion. Fifth, in order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effects of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congestion, the mediated effects of job stress were verified through Bootstrap,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diated effects were significan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which is a factor affecting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communication with professors and interest in their majors, the higher the sense of career stagna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high satisfaction in majors reduced the stress associated with employment.

      • 수용전념치료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및 정서표현양가성에 미치는 효과 : 화상통화 수용전념치료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김민지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interpersonal problems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among college students of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CT) programs through video calls in the prolonged Corona era. For this, the ACT program developed by Moon Hyun-mee (2005) was used.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eight sessions, once a week and 60–90 minutes per session.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20 university students from among D University college students in Busan by wireless sampling, and wirelessly allocated 10 students to experimental group and the remaining 10 to control group. Of these, 2 experimental group, 1 control group were eliminated, and the final 17 people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implemented ACT programs. And the experimental group also invited 10 members implemented video calls through a video call program.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interpersonal problem scale,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were conducted, and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post-test and add-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the program effectiveness. To test the homogeneity between two groups, pre-testing of each dependent variable was used as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One-Way ANOVA). And two-way repeat measurement analysis of variance (Two-Way RMANOVA)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to validate the study proble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ACT program had a significant decrease in emotional expressivene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ect has continued during the add-testing. And in the sub-region of interpersonal problem, love was significantly reduced. However, have not identified significant changes in control-domination. Second, colleg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ACT program had a significant decrease in interpersonal problem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effect has continued during the add-testing. And in the sub-region of emotional expressiveness, relationship-focused ambivalence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the effect has continued during the add-testing. However, Have not identified significant changes in relationship-focused ambivale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ACT program conducted by the video call method was effective in reducing the interpersonal problems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f college students. And, in the era of prolonged Corona, ACT programs conducted by video calling can be usefully utilized as a program for the mental health of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화된 코로나 시대에 화상통화 방식으로 실시한 수용전념치료(ACT)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및 정서표현양 가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문현미(2006)가 개발한 ACT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되었고, 매주 1회, 회기 당 60~90분으로 진 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D대학교 대학생 중 신청을 받아 20명을 무선표집으로 선정한 뒤, 10명을 실험집단, 나머지 10명을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이 중 실험집단 2명, 통 제집단 1명이 탈락하여 최종 17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은 화 상통화 프로그램으로 10명의 집단원을 초대하여 화상통화 방식으로 진행 하였다.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대인관계문제 척도, 정서표현양가성 척 도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와 추수 검사를 실시하여 프로 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두 집단 간 동질성 검증을 위해 각 종속 변인 의 사전점수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실시하였다. 그리고 연구문제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점수를 비교하는 이 원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M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 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CT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대인관계 문제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그리고 대인관계문제 하위영역 중 친애는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그러나 통제-지배에서 유의한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둘째, ACT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정서표현 양가성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그리고 정서표현양 가성 하위영역 중 관계관여적 양가성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추후에도 지속되었다. 그러나 자기방어적 양가성에서 유의한 변화는 확인되지 않 았다. 본 연구 결과, 화상통화 방식으로 진행된 ACT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 및 정서표현양가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 다. 따라서 장기화된 코로나 시대 속 화상통화 방식으로 진행된 ACT 프 로그램은 대학생의 정신건강을 증진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외로움과 삶의 의미가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신경증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현주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neurosis, meaning of life, and suicidal thoughts in 351 college students. We tried to verify the direct effect of loneliness on suicidal thoughts, as well as the indirect effect of loneliness on suicidal thoughts through neurosis and the meaning of life. Accordingly,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for 351 college students using loneliness, neurosis, meaning of life, and suicidal thoughts scales, and finally, 351 copies of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3.0 and SPSS Macro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the meaning of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uicidal thoughts was verified. Second, it was found that neuroticism controls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the meaning of life. Third,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specific value of neurosis showed that the group with high levels of neurosis had a lower meaning of life, and the group with low levels of neurosis perceived a greater change in meaning of life according to the level of loneliness than the group with high levels. This study sought a more integrated understanding of loneliness in college students by verifying the comprehensive pathways in which loneliness affects suicidal ideation, and confirmed the influence of neurosis as a factor that lowers the meaning of life. Therefore, it was suggested that if we examine neurosis and the meaning of life to reduce suicidal ideation along with loneliness of college students, we can make positive interventions for college students' suicidal ideation. 본 연구는 대학생 351명을 대상으로 외로움, 신경증, 삶의 의미, 자살 생각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외로움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직접 적 영향을 비롯하여, 외로움이 신경증과 삶의 의미를 통해 자살생각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학생 351명을 대 상으로 외로움, 신경증, 삶의 의미, 자살생각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 보고 식 설문을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51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과 SPSS PROCESS macro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과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로움과 삶의 의미와의 관계를 신경증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외로움과 삶의 의미, 자살생각 간의 관계에서 신경증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신경증의 특정 값에 따른 분석 결과, 신경증 수 준이 높은 집단에서 삶의 의미가 더 낮았고, 신경증의 수준이 낮은 집단 은 높은 집단에 비해 외로움의 수준에 따른 삶의 의미의 변화를 더 크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로움이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종합적인 경로의 검증 을 통해 대학생의 외로움에 대해 보다 통합적인 이해를 도모하였으며, 삶의 의미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신경증의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따라 서 대학생의 외로움과 함께 자살생각을 낮출 수 있도록 신경증과 삶의 의미를 살펴본다면, 대학생 자살생각에 대한 긍정적 개입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과 그릿을 매개로

        이정애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 효능감 및 그릿 각각을 매개로 하여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 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소재하는 대학생 353명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그릿, 진로준비행동 척도를 사용하여 자기 보고 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53부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 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매개효과 검 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전공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인식만족과 관계만족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일반만족과 교과만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 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인식만족과 자기조절효능감 간에는 자기조 절효능감이 부분매개를, 관계만족과 자기조절효능감 간에는 자기조절효 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가 부분매개를 하였다. 반면, 일반만족, 교과만족, 자신감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 과를 살펴 본 결과, 인식만족과 관계만족은 노력의 지속성을 매개로 진 로준비행동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일반만족, 교 과만족 및 흥미의 일관성은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개인 내적인 변인으로 전공만족도, 자기효능감, 그릿의 영향력과 자기효능감과 그릿의 매개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 기 위해서는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 그릿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더불어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상담 적용 시 기초자 료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whether it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self-efficacy and Grit. To this end, 353 college students from universities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using major satisfaction, self-efficacy, gri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s, and 353 copies of data were finally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calculated using SPSS 26.0 to calculate the peninsula and percentag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obel Test was conducted for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looking at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ception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which are sub-factors of majo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le general satisfaction and subject satisfaction did no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lf-regulation effica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ere partial mediated between perception satisfaction and self-regulation efficacy. On the other hand, general satisfaction, subject satisfaction, and confidence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perception satisfaction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continuity of effort. On the other hand, the consistency of general satisfaction, subject satisfaction, and interest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These findings confirmed that major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Grit were among the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at self-efficacy and Grit were mediators that affec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order to improve college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is meaningful to develop programs that increase major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nd Grit, and provide basic data when applying career counseling.

      • 코로나 19 스트레스, 우울 및 대인관계문제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박동윤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대학생을 5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 19 스트레스, 우울, 대인 관계문제 및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SNS 중독경향성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비롯하여,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우울 및 대인관계문제를 통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간 접적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코 로나 19 스트레스, 우울, 대인관계문제,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 여 자기 보고식 설문을 사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00부의 자료가 분석 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사 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 19 스트레스는 SNS 중독경향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 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 19 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우울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로나 19 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우울을 통해 SNS 중독경향성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코로나 19 스트레스는 대학생의 우울 및 대인관계문제를 통해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를 통해서, 코로나 19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으 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개인 내적 요인 우울과 개인 외적 요인인 대인관 계문제의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SNS 중독경향성으로 이어 질 수 있는 대학생들을 돕기 위해 우울과 함께 대인관계문제를 낮출 수 있도록 상담의 초점을 맞춘다면, SNS 중독경향성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 양한 변인들이 존재하므로 새로운 변인을 탐색하고, 경로를 모색하는 후 속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stress, depressi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college students.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COVID-19 stress on depression, we tried to verify the effect of COVID-19 on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Accordingly,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for 500 college students using the scale of COVID-19 stress, depression, interpersonal problems, and social network SNS addiction tendency, and 500 copies of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results show that COVID-19 stress has no direct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Second, it was found that COVID-19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college students’ depression. Third, it was found that COVID-19 stress had a direct effect on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depression of college students. Lastly, it was found that COVID-19 stress affects college students'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influence of individual internal factor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s, which are external factors, in the path that COVID-19 stress affects depression and SNS addiction tendency of college students.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if the counseling is focused on lowering interpersonal problems along with depression to help college student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due to SNS addiction, it can help prevent SNS addiction tendency. In addition, since there are various variables that affect SNS addiction tendency, it suggests the need for follow-up studies to explore new variables and seek paths.

      • HTML5기반 대학 모바일 웹 구축 사례연구

        남지혁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07

        기존방식의 홈페이지에 있던 컨텐츠를 모바일단말기를 통해 서비스할 때 속도가 느리거나 일부 컨텐츠가 누락될 수 있기 때문에 모바일 특성을 고려한 홈페이지 설계가 되어야한다. 행정안전부는 모바일 웹페이지를 단말기나 웹브라우저의 구애받지 않고 이용가능 하도록 HTML5를 적용한 웹페이지 구축을 권고하고 있다. 입시자원의 고갈로 인한 학교홍보와 더불어 재학생들의 모바일 단말기 사용 확대로 기존 방식의 대학 홈페이지는 모바일 환경을 고려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모바일 웹과 달리 앱(App)을 설치할 경우 단말기 형태에 따라 각기 다르게 개발하거나 한정된 자원의 제공으로 인한 불편성을 포함한다. 본 연구는 대학 홈페이지의 HTML5적용가능성을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기존에 대학 웹사이트를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접속할 때 발생되는 오류를 극복하기 위하여 D대학은 HTML5을 이용하여 웹사이트를 구축하였다. 구축이후 학생을 비롯한 교직원들 설문을 통하여 만족도 부분에서 높은 점수를 취득하였고 접속률 또한 높아졌으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로딩 속도에도 개선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기에서만 구현 가능한 위치기반 지도제공과 검색결과 얻어진 전화로 바로 전화걸기 등의 추가 기능을 구현할 수 있었다. Website creations and their renewal process are very difficult due to ever-changing mobile environments such as various operating systems and mobile devices. In this regard, HTML5 serves as the solution and guideline to developing well-functioning websites. Mobile websites using HTML5 can provide consistent contents and services even though users access them through various OS or device types. This paper examines a possibility of the HTML5-based website for a local private college located in Busan. For this, location-based map service and semantic auto dialing webform service have been implemented. After making the website available, students and staff members were satisfied with the improvement in the speed of loading time and error free contents service. In the future, the rest of HTML5 functionalities are planned to be implemented sequentially.

      •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그릿(Grit)의 조절효과

        김연숙 동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아분화, 진로태도성숙, 그릿(Grit)과의 관계를 살 펴보고,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 릿(Grit)의 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전국에 소재하고 있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25명을 대상으로 온라 인 및 오프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로 자아분화, 진로 태도성숙, 그릿(Grit) 척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23명의 자료 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에 따른 t 검증과 ANOVA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분석, 단순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따른 자아분화, 진로태도성숙, 그릿(Grit)의 차이에 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요인에서 부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성별에 따른 차이로는 자아분화의 인지적 기능 대 정서적 기능, 가족 퇴행과 진로태도성숙의 독립성에서 여학생보 다 남학생이 더 높게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차이로는 자아분화의 자아통합, 정서적 단절과 진로태도 성숙의 결정성, 독립성이 학년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분화, 진로태도성숙, 그릿(Grit) 간에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분화, 진로태도성숙, 그릿(Grit)은 모두 서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이 진로태도성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이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에서 그 릿(Grit)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그릿(Grit)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자아분화 수준이 진로태도성숙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아울러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으로 그 릿(Grit)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는 대학생들의 진로상담 시 진로태도 성숙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 및 개입 방안을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differentiation, career maturity, and grit in university students, and uses grit as a regulation effect to prove how the students’ identity differentiation affects career maturity. This was achieved by surveying 325 students both online and offline from a variety of four year course universities all around South Korea. From this survey, we tested the degree of identity differentiation, career maturity, and grit, coming up with an evaluation of 323 of the students who took the survey. The data that was collected utilized SPSS 25.0 to see how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ffects t-tests and one-way ANOVA, a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ough the gap in identity differentiation, career maturity, and grit due to demographic influence seemed to be meaningless for the most part, a slight relation worth regarding was perceived. From difference due to gender, observing cognitive function versus emotional function in identity differentiation, and family regression and independence of career maturity, there was a wider variation in male students than in female students. From difference due to grade, there seemed to be a difference in unity of self differentiation, emotional cut off, decisiveness of career maturity, and independence between different grades. Second, evaluating the relation between identity differentiation, career maturity, and grit by taking into account mutual relationships, identity differentiation, career maturity, and grit all seemed to be at a static state. Third, identity differentiation affects career maturity. Fourth, studying the level at which identity differentiation affects career maturity while grit was the control variable, grit showed to have regulation effect. From this research, the fact that university students’ identity differentiation has a big impact on career maturity was proven, in addition, we were able to see the importance of grit in improving career maturity. This data will have a big significance in career counseling as a database as well as way to get involved in improving career matu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