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잎 추출물이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쥐에서 체중 및 지질대사와 비만 유전자에 미치는 영향

        정미영 동덕여자대학교 비만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쥐를 이용하여 감잎 추출물이 체중 및 체내 지질 대사와 비만관련 유전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간 비만을 유도하였고, 4주 후 체중이 증가된 실험동물을 선택적으로 취하여, 고지방식이섭취군(High fat diet; HFD), 감잎추출물 1%섭취군(Persimmon leaf extact 1%; HFD+PLE 1%) 감잎추출물 3%섭취군(HFD+PLE 3%)으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하였다. 대조군으로는 4주간의 비만유도 기간부터 일반식이(Standard diet; STD)를 준 군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뇌, 간, 부고환지방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5주 후 체중증가율을 비교해 보면, HFD+PLE 1%와 3%군이 포함된 식이를 섭취한 군이 2배이상 체중감소가 유의하게 관찰되었다(p<0.05). 각각 실험군의 식이섭취량은 HFD군과 비교하였을 때 HFD+PLE 1%와 3%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식이효율 또한 HFD군에 비하여 HFD+PLE 1%군이 2배정도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뇌와 간의 무게는 변화가 없었으며 부고환지방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였을 때 HFD+PLE 1%, 3%군에서 2배가량 감소함을 관찰하였다(p<0.05). 혈중의 TC, TG, HDL, LDL, VLDL의 경우, HFD+PLE 1%와 3% 추출물이 포함된 식이를 섭취한 군의 혈중 TG와 TC가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HDL의 경우, HFD+PLE 3% 군에서만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LDL의 경우 HFD+PLE 1%와 3%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이지 않았다. VLDL의 경우 HFD 군과 비교하였을 때 HFD+PLE 1%와 3%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보였다(p<0.05). 또한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화와 관련된 유전자인 PPAR-γ의 변화를 부고환지방에서 관찰한 결과, HFD+PLE 1%군에서 PPAR-γ가 다소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양에 비례하지는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써, 감잎추출물이 비만시에 나타나는 체중증가, 혈액내 지질변화,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축적에 영향을 미쳐, 비만예방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i-obesity effect of Persimmon leaf extract(PLE) on diet-induced obesity animal model. Persimmon leaf was extracted with 95% ethanol and evaporated. This study used diet induced obese animal model, which fed 66% high fat diet for 4 weeks. After 4 weeks, animals were assigned with four groups with 10 mice per group and was fed treatment diet for 5 weeks: STD was fed standard diet. HFD was fed high fat diet. HFD+PLE 1% was fed high fat diet containing PLE 1%. HFD+PLE 3% was fed high fat diet containing PLE 3%.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HFD+PLE 1, 3% groups compared with HFD group(p <0.05). PLE added diet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HFD induced food intake amount(p <0.05). Also, the organ weight of epididymal fa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FD+PLE 1, 3% groups compared with HFD group(p<0.05). Futhermore, PLE were also effective in improving the lipid profile. That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and VLDL-cholesterol (p<0.05), while that markedly increased the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p<0.05). PLE adminstration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PPAR-γ), as known as gene related to fat accumulation, compared to HF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LE have an anti-obesity effect, which can decrease the effects of HFD on body weight, adipose tissue weight, plasma lipid contents and the expression of PPAR-γ.

      • 석창포 추출물의 항비만효과에 관한 연구

        강현선 동덕여자대학교 비만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3T3-L1 전지방세포를 이용하여 석창포 추출물이 지방축적에 대한 효과와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쥐를 이용하여 석창포 추출물이 체중 및 체내 지질 대사와 비만관련 유전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3T3-L1 세포를 배양한 후, AGE 50㎍/㎖, 100㎍/㎖ 처리군으로 나누어 시료처리 후 중성지질의 축적됨을 관찰하기 위해 Oil Red O staning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Oil Red O staining 방법으로 얻은 흡광도는 전지방세포군에 비해 AGE 50㎍/㎖, 100㎍/㎖에서 지방세포들이 현저하게 감소함을 볼 수 있었으며, AGE 50㎍/㎖ 농도보다 AGE 100㎍/㎖ 농도에서 약 40%정도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 실험동물은 4주간 비만을 유도하였고, 4주 후 체중이 증가된 실험동물을 선택적으로 취하여, 고지방식이섭취군(HFD; High Fat diet), 석창포 추출물 1%섭취군(HFD+AGE 1%; Acorus Gramineri Rhizoma Extact 1%), 석창포 추출물 2%섭취군(HFD+AGE 2%)로 나누어 5주간 사육하였다. 대조군으로는 4주간의 비만유도 기간부터 일반식이(STD; Standard Diet)를 준 군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간, 부고환지방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5주 후 체중증가율을 비교해 보면, HFD+AGE 1%와 2%군이 포함된 식이를 섭취한 군이 3배 이상 체중감소가 유의하게 관찰되었다(p<0.05). 각각 실험군의 식이섭취량은 HFD군과 비교하였을 때 HFD+AGE 1%와 2%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식이효율 또한 HFD군에 비하여 HFD+AGE 1%와 2%군이 2배 이상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간의 무게는 변화가 없었으며 부고환지방의 경우, HFD군과 비교하였을 때 HFD+AGE 1%, 2%군에서 25%정도 감소함을 관찰하였다(p<0.05). 혈중의 TC, TG, HDL, LDL의 경우, HFD+AGE 1%와 2%추출물이 포함된 식이를 섭취한 군의 혈중 TG와 TC가 HFD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HDL의 경우, HFD+AGE 1%와 2%군에서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다. LDL의 경우 HFD+AGE 1%와 2%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또한 지방세포에서 지방분화와 관련된 유전자인 GPD 1, aP2, ACC, PPAR-γ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HFD+AGE 1%와 2%군에서 네가지 유전자 모두 HFD+AGE 1%와 2%군에서 감소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써, 석창포추출물이 고지방식이 섭취에 의한 체중증가를 감소시키고 총중성지질, 총콜레스테롤 등의 혈청지질을 개선하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지방조직에서의 지방축적에 관여하여 비만예방에 유용성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i-obesity effect of of Acorus Gramineri Rhizoma Extract(AGE) on diet-induced obesity animal model. Acorus Gramineri Rhizoma was extrated with 95% ethanol and evaporated. This study used diet induced obese animal model, which fed 60% high fat diet for 4 weeks. After 4 weeks, animals were assigned with four groups with 10 mice per group and was fed treatment diet for 5 weeks: STD was fed standard diet. HFD was fed high fat diet. HFD+ AGE 1% was fed high fat diet containing AGE 1%. HFD+ AGE 2% was fed high fat diet containing AGE 2%. Weight gain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HFD+ AGE 1, 2% groups compared with HFD group(p<0.05). AGE added diet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HFD induced food intake amount(p <0.05). Also, the organ weight of epididymal fa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HFD+ AGE 1,2% groups compared with HFD group(p<0.05). Futhermore, :AGE were also effective in improving the lipid profile. That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s of plasma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p<0.05), while that markedly increased the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p <0.05). AGE adminstration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GPD1(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1), aP2(adipocyte fatty acid binding protein), ACC(Acetyl-CoA carboxylase), PPAR-γ(peroxisome proliferators-activated receptor) as known as gene related to fat accumulation, compared to HFD group.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GE have an anti-obesity effect, which can decrease the effects of HFD on body weight, adipose tissue weight, plasma lipid contents and the expression of GPD1, aP2, ACC, PPAR-γ.

      • 저작횟수에 따른 식사속도, 식품섭취량 및 포만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김윤정 동덕여자대학교 비만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는 대사성 질환이 없는 건강한 남녀대학생 각각 25명을 대상으로 저작횟수에 따른 식사시간, 식사속도, 음식 섭취량 및 허기도와 포만도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바람직한 체중조절을 위한 저작의 유효성을 입증하여 비만인의 식습관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남학생 25명과 여학생 25명을 대상으로 볶음밥을 충분히 제공하여 평소대로 섭취하도록 하고, 저작횟수, 한입분량, 식사시간, 식사속도 및 섭취량과 열량을 조사하여 성별에 따른 식행동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저작횟수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유의적으로 많았으며(p<0.001), 한입분량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많았고(p<0.001), 식사시간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짧았으며(p<0.05), 식사속도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유의적으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총섭취량과 열량은 남학생(619.2 g, 1342.4 kcal)이 여학생(315.3 g, 683.6 kcal)보다 2배 정도 유의적으로 많은 양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다음으로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 23 kg/m2을 기준으로 하여 BMI 23 kg/m2 이상군을 비만군, 23 kg/m2 미만군을 비비만군으로 분류하고, 두 그룹간의 저작횟수, 한입분량, 식사시간, 식사속도 및 볶음밥 섭취량과 열량을 조사하여 BMI에 따른 식행동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저작횟수는 비만군보다 비비만군이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한입분량은 비만군이 비비만군보다 유의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식사시간은 비만군이 비비만군보다 짧았으며(p<0.01), 식사속도는 비만군이 비비만군보다 유의적으로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p<0.01). 볶음밥 섭취량과 열량섭취량은 비만군(559.8 g, 1213.6 kcal)이 비비만군(427.6 g, 927.0 kcal)보다 유의수준에서 많은 양을 섭취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그리고 비만군이 비비만군에 잘 씹지 않고 빨리 먹으며, 한입에 많은 양을 먹고 섭취량도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저작횟수를 평소대로 하였을 경우와 평소의 2배 이상으로 하였을 경우 간에 섭취량과 식사속도 및 포만도의 변화를 알아보고 섭취조절에 있어 저작의 유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볶음밥 섭취량과 열량 섭취량은 평소저작의 경우(465.7 g, 1009.6 kcal)보다 2배저작의 경우(359.3 g, 778.9 kcal)에 유의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또한 식사시간이 평소저작의 경우(19.4 min)보다 2배저작의 경우(24.5 min)에 유의하게 길어졌으며(p<0.001), 식사속도는 평소저작의 경우(26.1 g/min)보다 2배저작의 경우(16.2 g/min)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01). 숟가락횟수도 평소저작의 경우(22.9 회)보다 2배저작의 경우(15.7 회)에 유의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저작횟수를 달리한 두 경우간의 허기도와 포만도는 저작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볶음밥 섭취량이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는 포만감이 섭취량과 반드시 비례하는 것이 아니며, 저작의 생리적 작용기전에 의한 식욕과 포만감의 균형에 의한 것으로 오래 씹을수록 천천히 먹을수록 포만감이 증대되는 것에 기인한 결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섭취조절 기전에 있어 오래 씹어 천천히 먹는 저작방식이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의 증대에 작용하여 음식섭취량의 감소에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반복되는 매끼의 식사에서 오래 씹어 천천히 먹는 저작의 훈련을 통하여 포만감을 느끼면서 섭취량을 조절하는 것은 비만인의 식습관 개선 및 체중감량에 가장 기초적이고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Experiments were performed on 50 healthy college students, 25 males and 25 females without any digestive malfunction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times they chewed during food consumption and their corresponding total mealtime, rate of eating, intake volume, and their change in hunger and satiety rat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research offers a method for improving eating behavior for those that are obsess by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chewing frequency and weight control. First, 25 males and 25 females were provided with abundant amount of “Fried rice” and allowed to consume at their own pace. Then, chewing frequency, amount of one bite, total mealtimes, rate of eating, total intake and calories were measured as well as analyzed between the gender. The females had significantly higher chewing frequency than males (p<0.001). Males had larger amount of one bite compared to females (p<0.001). Males also had shorter mealtime compared to females (p<0.05). And males had a significantly faster rate of eating compared to females (p<0.001). Males also had about twice the total intake and calorie compared to females (619.2 g, 1342.4 kcal vs 315.3 g, 683.6 kcal), and this found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well (p<0.001). Furthermore, upon setting body mass index of 23kg/m3 as a standard, the group was divided between “obese” and “non-obese”, and their data were analyzed. The non-obese had more chewing frequency than the obese. The obese had significantly bigger amount of one bite than the non-obese (p<0.05), and the obese also had shorter mealtime compared to the non-obese (p<0.01), and the obese had faster rate of eating than the non-obese as well (p<0.01). As for total intake and calorie, those of the obese were significantly more than those of the non-obese (1213.6 kcal vs 927.0 kcal, p<0.01). Males tended to chew less, consume faster, consume in larger amount of one bite and consume more than females. And the same relationship held true between the obese and non-obese. Secondly, the group was made to alter their chew count to examine its effect on the change in food consumption, rate of eating and satiety rate. The group's data were compared between when they chewed at their own pace to when they chewed more than twice as many times. When they chewed twice the number of times as their norm, their total intake and calorie, became significantly reduced than when their usual chewing frequency (1009.6 kcal vs 778.9 kcal, p<0.001). And spooning up frequency became reduced from 22.9 to 15.7 (p<0.001). Also, their total mealtime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9.4 minutes to 24.5 minutes (p<0.001). Their eating rat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26.1 g/min to 16.2 g/min (p<0.001). Yet eve as total intake decreased as the number of chews increase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 hunger and satiety rate. These results can be explained as the degree of satiety not necessarily correlating with intake volume, while chewing for an extended time does in fact correlate with higher satiety rat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chewing for an extended time helps suppress appetite and increases the satiety rate, resulting in a reduction in to food consumption. The repetition of chewing numerous times over an extended period of time every meal provides means to increasing satiety rate and reducing food consumption, thereby improving eating behavior for those that are obese and help them with their weight control.

      • 약물 및 식이요법을 병행한 아미노필린주사와 생리식염수주사가 비만여성의 체지방량에 미치는 효과

        최윤선 同德女子大學校 肥滿科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7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병의원에서 많이 사용하며 비만치료를 원하는 여성비만 환자들이 선호하는 경구투여제와 저열량 식이요법을 병행한 아미노필린 주사와 생리식염수 주사의 처치전과 처치후의 체지방 및 혈중지질성분 감량 효과 검증 및 사용량의 표준화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기간은 2003.6∼2003.9월까지 총 7주간 실시하였고, 연구조사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G의원과 H의원의 비만클리닉을 내원하는 체지방율 25%이상의 여성 과체중자로 하였다. 대상자는 에페드린 및 식이요법을 병행한 아미노필린 주사군(AP군이라 칭함)과 에페드린 및 식이요법을 병행한 생리식염수 주사군(SL군이라 칭함)으로 분류하였다.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7주간 연구에 따른 허리둘레의 변화는 AP군에서 (p<.01)와 SL군에서 (p<.05)로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의 차이가 있었다. 2) 7주간 연구에 따른 체성분비의 변화는 AP군과 SL군 모두 체중, 체질량지수, 비만도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p<.01), 체지방율과 제지방량도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p<.05). 단, 체지방량은 AP군에서는 (p<.01)로 감소하였으나 SL군에서는 (p<.05)로 감소하였다. 3) 7주간 연구에 따른 혈중 지질성분 변화의 수준에서 총 콜레스테롤 감소는 AP군에서만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고(p<.05), 중성지방은 약간 감소하였으나 두 군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4) 7주간 연구에 따른 혈중 기타성분의 변화에서 AP군과 SL군 모두 GOT, GPT, RBC, Hb, Hct의 유의성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본 연구의 결과로 아미노필린군과 생리식염수군 모두 체중감량과 체지방의 감량 및 체질량지수, 비만도, 제지방량에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 (P<.05), 혈중 총콜레스테롤량 감소는 아미노필린 군이 생리식염수 군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5), 중성지방은 두군 모두 약간씩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5). 이는 에페드린을 병행한 아미노필린과 생리식염수주사요법이 체중감소 및 체지방량의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직 효과의 검증을 위한 장기간의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며, 장기간 사용시 부작용의 측면이 우려되므로 비만치료의 기본이 되는 식이요법이 행동수정요법과 병행되는 개개인에게 맞는 비만관리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약물치료는 주치료가 아닌 보조적인 요법으로 사용되어야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aminophylline or saline injections with combined oral drug administration and low caloric dietary intake on the blood lipid profiles and body fat contents in the female obese population. The study was extended for seven weeks (2003. 6. - 2003. 9), and the subjects selected were moderately overweight women (25%< body fat) who were out patient of the G and H clinics located in the Gyungki provinc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minophylline injection with the combined dietary and drug treatments (AP group) and saline injection with the combined dietary and drug treatments (SL group). The results were followings; 1) The waist circumference after seven weeks was reduced in AP (p<.01) and in SL (p<.05) and the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2) The weight, body mass index, and obesity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AP and SL (p<.01), and the %body of fat and fat free mass were also reduced significantly (p<.05). The fat mass was reduced in AP (p<.01) and in SL (p<.05) and thes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3) The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reduced only in AP (p<.05). The triglycerides were not changes in both groups (p>.05). 4)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GOT, GPT, RBC, Hb, and Hct in both AP and SL groups (p>.05). The results showed that body weight, fat mass, body mass index, obesity, and fat free mass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AP and SL (p<.05). The total cholesterol was significantly lowered in AP than in SL, but no differences in triglycerides levels were noticed in both groups (p>.05). Based on the results, it could be suggested that the aminophylline and saline injections influenced on the body weight and body fat reduction. However, studies of longer duration are warranted to verify the effects of aminophylline administration and the side effects. Dietary intervention and behavioral treatments are recommended for the primary overweight management program and the drug administration appeared to be appropriate for the secondary treatment.

      • 몽골 울란바타르시 일부 성인여성의 식문화와 식습관 및 식행동에 관한 연구

        엄지예 동덕여자대학교 비만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몽골 음식은 가축에서 얻을수 있는 유제품과 육식으로 채소와 관련된 식품이나 음식이 발달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른 몽골인의 식습관, 식행동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잘못된 전통적 식습관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하므로써, 몽골인들의 올바른 식품선택과 바른 식사행동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여 그 방향을 제시 하고저 한다. 몽골 울란바타르 일부 성인여성 총 22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일반적 사항은 평균나이 38.12±9.92세, 키 160.86±5.14cm, 몸무게 62.10±11.90kg으로 나타났고, 과체중 이상이 20대 5.6%, 30대 31.2%, 40대 65.0%, 50대 66.7%로 연령이 높아지면서 비만 유병율이 많이 증가됨을 관찰 할수 있었다. 또한 조사대상자 전 연령대에서 동물성 단백질, 동물성 지방의 섭취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채소류, 과일류의 섭취는 적었고, 두류의 섭취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나 전통 식습관의 영향이 큰 것임을 알 수 있었다. 해조류 섭취 빈도 조사에서 거의 안 먹는다는 응답이 77.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1), 이는 해조류에 대한 정보부족과 지리적, 환경적 여건상 해조류의 섭취할 기회가 없었던 것으로 사료된다. 짜게 먹는다는 응답은 50대가 26.7%로 가장 높아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1), 고혈압 비율 또한 50대에서 47.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조사 대상자의 신체적인 질병이나 과거에 앓았던 질환별 조사는 전체 질환중 순환계 질환이 53.8%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신장질환 25.5%, 갑상선질환 7.5%순으로 나타났으며, 2006년 몽골인의 사망원인을 보면 1위가 순환계질환으로 남자 34%, 여자는 43%, 2위가 종양(악성 신생물)으로 남자 17%, 여자 21%로 사망했고, 순환계질환은 남.녀 모두 1위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데, 동물성지방, 과도한 육류섭취와 다량의 염분섭취등 불균형한 식품섭취로 인한 개연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 따르면 전통적 식습관에 의해 불균형한 영양섭취로 많은 몽골인들이 높은 과체중 유병율과 성인질환에 노출되어 있었고, 몽골인들의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올바른 식품선택으로 균형적인 식사섭취 및 바람직한 식생활 행동을 할 수 있는 영양 교육과 식습관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Mongolian food consists of dairy products and meat obtained from domesticated livestock. In order to obtain sufficient information concerning education based on nutrition and the need to have such information, a research was conducted including a suvey for 225 adult Mongolian women in Ulaanbaatar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targets are as follow, Age 38.12±9.92, Height 160.86±5.14cm Weight 62.10±11.90kg, Total BMI 24.03±4.55. When the targe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BMI, more than half the people were healthy, while about 45.3% were overweight overall. When asked about the frequency of eating meat, 81.3% replied they eat it nearly everyday, while many people in their 50's replied they eat meat seldom, showing a satisfactory difference in the figures. The causes of death in 2006 in Mongolia shows that the number one cause of death was circulatory system problems, killing 34% males and 43% females. Number two cause of death was stomach tumor, killing 17% males and 21% females. Circulatory system problems reflected the number one spot for both men and women, and it shows correlation to excessive consumption of meat, fat, salt and irregular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is research, many Mongolians were exposed to ailments and illnesses due to unbalanced nutrition. For Mongolians to achieve a bealthy life, it is essential to be conscious of balanced nutrition, sensible food selection, nutrition education and a change in diet.

      • 운동과 식이제한의 병행이 염증성 인자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 성분에 미치는 영향

        정아영 동덕여자대학교 비만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운동과 식이제한에 대한 구체적인 변화를 살피고자 4주간의 운동과 식이제한을 통해 염증관련 인자인 CRP, IL-6, TNF-α와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 성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과 가설을 입증하기 위하여 20대 젊은 성인남성을 운동집단(EG, n=10), 식이제한집단(DG, n=10) 및 운동과 식이제한 병행집단(EDG, n=10)으로 분류하였고, 식이제한을 해야 하는 EDG와 DG는 일일 칼로리를 1,800㎉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한편, 운동을 수행해야 하는 EDG와 EG는 오후 5시부터 7시까지로 하여 준비운동 10분, 걷기 30분(HRR 50%), 웨이트트레이닝 60분(1RM*50-80%*8-15회*4세트) 및 정리운동 10분으로 실시하도록 하였다. 전술한 운동프로그램과 식이제한은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 성분 등에 변화를 보일 수 있다는 자료에서 참고하였다(ACSM, 2002). 4주의 실험종료 후 실험전과 동일하게 염증관련 인자인 CRP, IL-6, TNF-α와 신체구성 및 혈중지질 성분을 검사한 결과, CRP는 EDG에서만 유의하게(P<0.05) 감소하였고, IL-6는 EDG와 EG에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TNF-α는 EDG와 DG에서 감소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EG는 유의하게(P<0.01) 증가하였다. 또한 신체구성 중 체중은 EDG에서만 유의하게(P<0.01) 감소한 반면, 근육량은 EG에서만 유의하게(P<0.05) 증가하였다. 그리고 체지방량은EDG(P<0.01)와 EG(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체지방률은 EDG와 EG에서 유의하게(P<0.01) 감소하였다. 복부지방률은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중지질 성분 중 TG에서만 EDG(P<0.01)와 DG(P<0.05)에서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TC 및 HDL-C와 LDL-C은 모든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로 젊은 성인남성을 대상으로 4주간의 운동과 식이제한을 병행할 경우 신체구성과 혈중지질 성분이 대체로 개선되고, 염증인자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지어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 4-wk exercise program combined with diet limitation was able to alter obese-related factors or inflammatory mediators (CRP, IL-6, TNF-α), body composition, and lipid profiles (TC, TG, LDL-C, HDL-C) in male adults. Fo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parated by three groups, who the first group participated to exercises combined with diet limitation program (EDG, N=10) and another group participated to only exercise program (EG, N=10) and then the other group participated to only diet limitation program (DG, N=10), respectively. All subjects, regardless of group assignment, were tested before and after experiment for each of the former variables. All pre- and post-training testing procedures were completed within 3 days. Subjects in EDG and DG limited their calories to 1,800㎉ and subjects in EDG and EG exercised 5 days per a week for 4 weeks. EDG and EG always completed a 10 min warm-up or warm-down before or after exercise routine, respectively. The duration of aerobic exercise and resistance training session did not exceeded 30 min and 60 min, respectively. The aerobic exercise training consisted of brisk walking (50% of HRR) on a treadmill(0% grade). A resistance exercises were composed of leg press, chest press, lateral pull down, leg extension, leg curl, abdomen curl, back extension, biceps curl, and triceps curl. These program consisted of individualized daily workouts of 4 sets of 8?15 repetitions on 9 exercises designed to train all the major muscle groups of the body, and generally patterned after recommendations by ACSM (2002). The intensity and number of repetitions performed for each exercise were progressively changed weekly.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PC 12.0 program for Windows. Values reported are means ± SEM. One-way ANOVA were performed on each dependent variable to detect difference among groups. Different letters means were analyzed with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ccepted at P < 0.05. Results are as followed: 1) after a 4-week of experiment, CRP concentration of EDG was significantly reduced and IL-6 was decreased in EDG and EG but the changing ratios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after 4 weeks. TNF-α was decreased in EDG and DG but the changing ratios was not significant different after 4 weeks. 2) body weigh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DG. Muscle mas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EG. Then fat mass and percent fa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DG and EG. 3) TG out of lipid-profil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DG and DG. In conclusion, I think that the exercise combining diet limitation for a 4-week improved inflammatory mediators, body composition, and lipid profiles in young male adults. These results could have important health implications for them in the future.

      • 원지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유전적 당뇨동물모델에서 혈당강하에 미치는 영향

        최만회 동덕여자대학교 비만과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원지추출물(Polygalae Radix Extract; PRE)의 항산화능 및 제 2형 당뇨동물에 4 주간 제공하여 원지추출물이 체중 및 식이섭취량 변화, 혈당강하, 그리고 내당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원지추출물의 항산화능을 관찰하기 위해 1,1-diphenyl-2-picrylhydrazy(DPPH), conjugated di-enoic acid(CDA), p-anisidine value(p-AV), and 3-(4,5- 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methods로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은 일반 식이를 준 당뇨대조군(Control; CON)과 원지추출물 1, 3% 식이섭취군(Polygalae Radix Extract; PRE 1, 3%)으로 나누어 4주간 사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원지추출물(PRE)의 DPPH 라디칼 소거율은 시료농도 0.1, 0.25, 0.5, 1mg/mL 시에 각각 14.66, 25.09, 41.46, 71.32%의 라디칼의 소거 활성을 보여 농도의존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1차 지질산화생성물 측정치인 CDA값은 0, 30, 60, 90분에 각각 lard의 경우 0.594, 0.749, 1.039, 1.124을 보인 반면 PRE를 첨가한 경우는 0.566, 0.715, 0.968, 1.091로 나타나 1차 지질산화생성물 생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2차 지질산화생성물 측정치인 p-AV값은 0, 30, 60, 90분에 각각 lard의 경우는 18.4, 115.5, 174.1, 183.0인 반면 PRE를 첨가한 경우는 14.7, 131.3, 169.5, 180.0로 나타나 lard의 경우와는 30분후에만 유의적으로 억제능이 있었으나(p<0.05), 전반적으로 2차 지질산화생성물인 alkenal류 측정이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MTT 결과 alloxan대조군은 세포생존율이 56.8%인 반면, PRE 1, 25, 50 μg/mL를 처리한 경우에는 각각 세포생존율이 56.5, 71.0, 77.5%로 나타나 농도의존적으로 유의하게 세포생존율이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이러한 항산화능을 갖는 원지추출물(PRE 1,3%)을 첨가한 사료를 제2형 당뇨동물에 4주간 섭취시킨 경우 각 군당 체중증가율은 CON군은 45.0%, PRE 1%군은 39.5%, PRE 3%군은 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PRE 3%군은 CO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증가율이 감소하였다(p<0.05). 혈중 포도당의 변화의 경우는, CON군은 301.80±14.60 mg/dL, PRE 1%군은 322.89±42.42 mg/dL, PRE 3%군은 226.20±33.24 mg/dL로 나타나 PRE 3%군은 CON군에 비하여 유의적인 차이로 감소하였다(p<0.05). 또한, 고농도의 포도당에 대한 내당능 검사결과, PRE 1, 3%군은 각각 검사 시작 15분에는 최대 혈당을 보이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p<0.05). 이상과 같은 결과로 원지추출물의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유전적인 당뇨실험쥐에서 원지추출물이 과다한 체중증가 감소, 혈당 감소 및 내당능 개선을 보여, 비만이 원인이 되는 제2형 당뇨병에 유효한 효과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Hypoglycemic effect of Polygalae Radix extract(PRE) on in db/db mouse. The PRE was extracted with ethanol. The PRE was analyzed via 1,1-diphenyl-2- picrylhydrazy(DPPH), conjugated di-enoic acid(CDA), p-anisidine value (p-AV), and MTT methods, which can be to predict the antioxidative and anticytotoxic effects of PRE.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assigned with three groups with 10 mice per group: The control(CON) group was fed standard diet. The PRE 1% group was fed containing Polygalae Radix extract 1% diet. The PRE 3% group was fed containing Polygalae Radix extract 3% diet. The PRE were found to be sensitive to oxidation of radicals and cytotoxicity of alloxan, on basis of the DPPH, CDA, p-AV, and MTT measurements. The Weight gain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in PRE 1% group, but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PRE 3% group compared with the CON group(p<0.05). The PRE 3% group added diet significantly suppressed the CON group induced food intake amount(p<0.05). The blood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PRE 3% groups compared with the CON group by 0.69 fold(p<0.05). The effect of Polygalae Radix extract on the blood glucose level was the CON group 301.80±14.60mg/dL, the PRE 1% group 322.89±42.42mg/dL, and the PRE 3% group 226.20±33.24mg/dL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s in db/db mice. Furthermore, the PRE 3% group were also effective in improving the glucose tolerance in db/db mice. That significantly reduced the glucose tolerance levels in db/db mic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E could increase the hypoglycemic effect and improve the glucose intolerance in db/db mice.

      • 일부 여대생의 식품 선호도가 비만과 피부 상태에 미치는 영향 및 체중 조절 태도

        홍양희 同德女子大學校 肥滿科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의 목적은 외모에 관심이 높은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신장과 몸무게를 측정하여 실제와 인지하고 있는 체형과의 차이를 알아보고, 식품 선호도에 따른 비만과 피부 상태에 미치는 영향과 각 체중군과의 체중조절태도를 관찰하여 피부 · 비만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여대생들은 자신이 기록한 신장과 체중과 실제 측정한 신장과 체중 사이에는 차이가 있었다. 신장은 늘이고, 체중은 줄이는 경향을 모든 체중군에서 보였는데 특히 파체중군의 경우가 그 정도가 높았다. 이로써 여대생들은 사이에는 뚱뚱한 사람을 아름답지 못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외모 지상주의가 만연해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식품 선호도와 체중군과의 관계는 저체중군언 경우는 규칙적인 식사, 흰 쌀밥 선호, 단 음식 선호, 육식 선호, 기름진 음식 선호, 과일 선호, 해조류 선호, 비타민제의 복용, 스트레스 정도, 변비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정상체중군인 경우는 편식 정도, 인스턴트 식품 선호, 야채 선호, 녹차 선호, 변비 정도, 규칙적인 생리 주기에 대한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체중군의 경우는 편식 정도, 밀가루 음식 선호, 우유의 선호도가 다른 체중군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체중군간 피부 유형은 저체중군의 경우 복합성, 중성, 지성, 건성의 순이였고, 정상체중군의 경우 복합성, 건성, 지성, 중성의 순으로 과체중군의 경우는 복합성, 지성, 건성, 중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체중군, 과체중군, 정상체중군 순으로 피부 상태가 촉촉한 편이다 라고 응답하였다. 식품 선호도 중 고열량의 섭취가 높을수록, 미용 성향의 섭취가 낮을수록, 섬유질 성향의 섭취가 높을수록 피부 상태로는 피지가 많이 나오도록 하여 여드름이 생성될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고, 고열량 성향의 음식물 섭취가 낮을수록, 미용 경향의 섭취가 높을수록 피부의 수분 함유를 많이 가질 수 있는 경향이 높아지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섬유질 성향의 음식물 섭취가 높을수록 피부의 민감한 경향이 높아지는 변수임을 알 수 있었다. 본인의 체형에 대한 인지도는 모든 체중군에서 실제 자신의 체형보다 더 뚱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즉 본인 체형 인지도가 왜곡되어 있으며 이런 인식이 식생활의 질을 저하시키고, 체중 조절 시도로 이루어지고, 과체중군 일 수록 체중 조절 경험이 많았다. 체중 조절을 하는 이유는 저체중군 일 수록 멋진 체형을 위해서, 과체중군 일 수록 살 빼기 위해서 체중 조절을 한다는 이유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으로 체중 조절 한 경우 피부가 좋아졌다고 응답한 경우가 26.6%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칼로리 조절은 거칠고, 피부색이 칙칙해졌다고 응답한 경우가 10.9% 순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체중 조절을 시행할 때 어떻게 하면 더 아름답고 건강하게 살을 뺄 수 있는지에 대한 답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또한 체중 조절 방법으로는 운동과 칼로리 조절이 가장 많았으나 마사지라고 응답한 경우도 많아 단순히 살을 빼는 것이 목적이 아니라 아름답고, 탄력 있게 빼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앞으로 피부 관리실 시장에 어느 정도 잠재적인 소비층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컨대, 젊은 여성의 경우 미의 기준이 지나치게 마른 체형으로 치우쳐 있으며, 이것은 식사의 질을 저하시킨다고 할 수 있다. 각 개인의 식품 선호도에 의해 선택되어 섭취된 음식이 영양의 균형을 이루지 못했을 때는 빈혈이나 비만 등의 건강상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이것은 곧 피부 상태를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된다. 또한 단순히 마른 몸매를 선호하는 것이 아니라 섹시하고, 날씬한 체형을 선호해서 운동, 칼로리 조절 같은 전통적인 다이어트 뿐만 아니라 마사지로 살을 빼고 싶다는 의견도 많았다. 즉 올바른 식품 선택의 가치관 정립은 피부는 물론 비만 등 건강 전반에 걸쳐 다각도로 영향을 미치므로 자신의 몸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바탕으로 잘못된 식생활은 본인을 위해서도 재고해야 할 것으로 보이고, 올바른 식품 선택과 체중 조절을 지도하는 방향으로 사회 구성원 모두의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이고, 단순히 날씬한 사람을 선호하는 것이 아니라 건강한 사람을 아름답다라고 하는 가치관으로 바뀌어 사회 구성원 모두가 외모를 바라보는 관점 이 좀 더 건강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개선해 가야 하겠다. This study is for investigating the food preference of college women, inquiring of the connection the fatness and the condition of skin with the food preference, understanding the state of the weight control among each weight group. In case of young women, they think that they must keep extremely slight build to be a beautiful women, but this can cause to fall off in quality of eating habits. When we keep having an unbalanced diet by each Food Preference, we can have a serious problem like an(a)emia or fatness. This problem is the main cause of the deterioration of the condition of skin. College women weights and heights were different from formally measured weights and heights, they intended to increase 0.7㎝ in height and cut down 2.1㎏ in weight. In connection between food preference and weight group, in case of under weight group, they get higher points about regularity of meal time, boiled white rice, preference of sugary food, meat food, oily food, fruit and seaweed, taking vitamin, the state of stress, constipation than other weight groups. In case of normal weight group, they get relatively higher pints about unbalanced diet, menstruation cycle and the preference of instant food, vegetable and green tea than other weight groups. Over weight group, they enjoy more wheat flour food and milk in with other weight groups. The skin type among weight groups is that to begin with, concerning under weight group. the first is mixed type, the second is oily type and the last is dry type. And then in case of normal weight group, we can notice that the order is mixed, dry, oily type. In the end, in case of over weight group, we know that there are the most number of people that have mixed type, the second is oily one, the last is normal one. Skin features of the subjects were hydrated of under weight group. Thus, this supports the significance. Food preference, the analysis of factors having impact on the skin status showed that propensity for pursuit of high calorie higher, of beauty lower, of fiber higher had effected on the tendency to be acne. Propensity for pursuit of high calorie lower, of beauty higher had effected on the tendency to be hydrated. Propensity for pursuit of higher had effected on the tendency to be sensitive. Among under weight groups, they think they have a normal weight (9.9%) or even think a little fat (3.9%) even though having a slight build. In case of normal weight group, 31.1% people think that they have a normal weight, 17.3% people think that they are very fat. But in case of over weight group, only 6.1% people think that they are very fat. That is to say, this mistaken recognition of personal figure can low the quality of eating habits and have people follow the weight control (p<0.001). In case of under weight group, 67.6% people say that they have never tried weight control. Concerning normal weight group, about 50% people have an experience of weight control. In case of over weight group. 75.6% people say that they have an experience of weight control. What makes people control their weight? In case of under weight group, shows that the firsts for charming shape (58.8%), the second is for health (23.5%). In case of normal weight group, the most number of people say that they control the weight for charming shape (49.6%), others say that they do that for becoming thin (26.8%). Over weight group, it shows that to lose weight is the first purpose (39.1%), to have a charming shape is the second purpose (31.7%) and to have a self-confidence is the last one (22.0%). In case that they reduced weights by exercising, 26.6% answered 'my skin conditions are improved, and 23.4% answered that they were not doing exercise. Under calory-control, 'tough skin', 'dark skin' were shown highly to 10.9% order, and it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p<0.001). In other words, eating habits influenced not only skin conditions but also obesity as general health conditions. Amounts to this that people have under weight usually have an interest in charming shape and people have over weight is for the purpose of losing weight and becoming thin when they control their weight. Therefore, all social members should be educated in the direction of correct eating habits and weight-control, on the basis of exact cognition of their own bodies.

      • 카르니틴 섭취와 유산소 운동의 병행이 신체 조성과 활동시 대사 활성에 미치는 영향

        양은숙 동덕여자대학교 비만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655

        L-carnitine은 운동을 포함한 모든 생리적인 조건하에서 지방산의 산화에 필수적인 영양소이다. 또한 유산소 운동은 생리적은 적응을 유도하여 운동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에너지 기질 사용의 패턴을 변화시키는데 특히 지방산의 산화를 촉진한다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4주간 카르니틴 섭취와 유산소 운동의 병행이 혈액의 에너지 기질 농도, 카르니틴 함량, AT(anaerobic threshold)와 RER(respiratory exchange ratio)및 신체조성과 혈중 지질함량에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는가를 과체중자를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남자 체지방 20% 이상, 여자 체지방 25% 이상인 과체중자 20명을 대상으로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Control군, 운동프로그램은 참여하지 않고 카르니틴을 섭취한 카르니틴 섭취군, 카르니틴은 섭취하지 않고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운동군,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프로그램에 참여한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 병행군으로 각각 5명씩 분류하였으며, 카르니틴 섭취는 1일 3회 식전에 정제를 섭취하였고, 유산소 운동은 주 3회 60분간 실시하여 4주 후 혈중의 FFA(free fatty acid)농도, 카르니틴 농도, AT의 시점과 안정시 RER및 신체조성과 혈중 지질 함량을 비교 측정하였다. 집단별 혈중 FFA 농도는 운동에 의해 증가되고, 카르니틴 섭취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적 감소는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 병행군에서만 나타났다. 혈중 카르니틴 농도는 카르니틴 섭취로 혈중의 카르니틴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리카르니틴 농도는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총 카르니틴 농도와 아실카르니틴 농도는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 병행군만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카르니틴 섭취로 지방대사가 활성화 됨을 시사하였다. AT의 시점은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의 효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RER은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의 효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 차이는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 병행군에서만 나타났다. 신체조성은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으로 체지방은 감소하고, 제지방은 증가경향을 보였으나, 운동과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 병행이 유의적으로 체지방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체지방 감소를 위해서는 운동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량의 감소로 일반적인 비만 지표로 이용되고 있는 체지방율과 허리둘에 있어서도 운동군과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병행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함이 나타났다. 제지방량에 있어서는 운동의 효과로만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중과 BMI는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병행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 병행으로 혈중 지질 농도의 변화를 살펴보면 TG(triglyceride)농도는 카르니틴군과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병행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TC(total cholesterol)농도와 LDL-C(LDL-cholesterol)는 단순 카르니틴 섭취군, 운동군과 카르니틴 섭취와 운동 병행군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HDL-C(HDL-cholesterol)의 수준은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운동의 효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르니틴 섭취는 지방산 산화를 증가함으로써 지방대사를 활성화 시켜 혈청의 TG, TC, LDL-C의 감소 효과가 나타났다. 유산소 운동은 혈중의 FFA의 농도를 증가시킴으로서 TG의 이용을 증가시켜 체지방량의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혈중의 LDL-C의 감소 효과와 혈중의 HDL-C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카르니틴 섭취와 유산소 운동의 병행으로 나타난 혈중 지질 농도의 감소는 혈관의 지질 상태가 개선되었음을 시사한다 할 수 있다. 또한 카르니틴 섭취와 유산소 운동의 병행은 지방 대사를 활성화 하여 체지방량의 감소시킴으로써 체중 감량에도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The L-carnitine is the essential element for oxidation of fatty acids in most of the physiological conditions including exercise. An aerobic exercise leads physiological adaptation promoting physical performance and changes the energy substrate utilization such as elevating fatty acid oxid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4-weeks of carnitine administration and aerobic exercises on energy substrate utilization, blood carnitine levels, anaerobic threshold (AT), and respiratory exchange ratio(RER),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profiles in the overweight subjects. A total of 20 overweight subjects (20%< body fat for men, 25%< body fat for women) was equally divided into four groups; exercise and carnitine ingestion group (CAR-EX), exercise only group (EX), carnitine ingestion only group (CAR), and no treatments group (CON). The oral ingestion of carnitine was administered 3 times/day before meals, and the exercise was performed 60 min/session, 3 times/week for four weeks. Before and after the four weeks of treatment, blood free fatty acid, carnitine levels, AT, RER,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profiles were evaluated. The free fatty acid levels were elevated after exercise. The blood carnitine levels were elevated after carnitine ingestion. but only the total carnitine and the acyl carnitine were elevated only in CAR-EX indicating promoted fat metabolism by carnitine ingestion. The time point of AT was attenuated by carnitine ingestion and the exercise and the RER was reduced by both carnitine and exercise in CAR-EX only. The carnitine ingestion and exercise reduced body fat mass and increased fat free mass, but it was only significantly changed in CAR-EX suggesting the effectiveness of exercise for weight management. The body fat contents and the waist circumference were reduced in CAR-EX. The fat free mass was changed only by the exercise and the body weight and the body mass index were reduced significantly by both exercise and the carnitine ingestion. The triglycerides(TG)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CAR and CAR-EX and the total cholesterol(TC) and low-density lipoprotein(LDL) were reduced in CAR, EX, and CAR-EX. The high-density lipoprotein(HDL) was not changed but it has a tendency of increment by the exercise. The carnitine ingestion led a reduction of TG, TC, and LDL, and activated fatty acid oxidation. The exercise elevated the free fatty acid mobilization leading an increment of TG and HDL as well as reduction of LDL. Subsequently body fat contents were reduced. The changes of blood lipid profiles after the carnitine ingestion and exercise suggested a beneficial effect of vascular lipid levels. The combined carnitine ingestion and exercise modified an activation of fat metabolism causing body fat content and weight reduction.

      • 폐경기 여성의 호르몬 대체 요법 기간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와 체중의 변화

        유춘금 同德女子大學校 肥滿科學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호르몬 대체 요법이 폐경기 여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폐경기 여성의 혈중 지질 농도와 체중의 변화를 호르몬 대체 요법 전후호르몬 투여 요법별로 비교해보고, 호르몬 대체 요법 시행전 체질량 지수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 체중과 체질량 지수의 변화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996년 7월부터 2002년 7월 까지 서울 시내 종합병원 산부인과 갱년기 클리닉을 방문하여 호르몬 대체 요법(12개월 이상)을 받고 있는 폐경기 여성 1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호르몬제 투여 방법에 따라 단일 요법군(에스트로젠 단독 투여, Premarin 0.625mg) 20명, 병합요법군(에트로젠과 프로제스테론 병행 투여, Premelle2.5) 91명으로 분류했으나, 호르몬 대체 요법 기간에 따라 대상자의 수는 변동이 있다. 체질량 지수는 체질량 23이상 군과 23미만 군으로 분류하고, 호르몬 투여전과 투여 후, 년 단위로 혈중 지질 농도와 체중을 측정 비교 했으며, 체질량 지수는 호르몬 투여 전 과 투여 후 2회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는 폐경 연령과 호르몬 대체 요법 시작 연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호르몬 대체 요법 기간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와 체중의 변화 1) 단일 요법 총 콜레스테롤은 전 기간에서 유의하지 않은 증가를 보였으며,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전 기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체중은 유의하지 않은 증가를 보였다. 2) 병합요법 총 콜레스테롤은 투여 2년 후부터 유의하지 않은 증가를 보였다.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전 기간에서 증가를 보였다.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전 기간에서 감소를 보였다. 중성지방은 전 기간에서 유의하지 않은 증가를 보였다. 체중은 전 기간에서 유의하지 않은 증가를 보였다. 3. 호르몬 투여 요법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와 체중의 변화 비교 총 콜레스테롤은 투여 1년 후에서 병합요법이 더 많은 감소를 보여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투여 1년과 2년 후에서 단일 요법이 더 많은 증가를 보여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저밀도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체중은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초기 체질량 지수에 따른 혈중 지질 농도, 체중, 체질량 지수의 변화 1) 단일 요법 변화량의 차이에서 총 콜레스테롤은 체질량 지수 23이상 군과, 23미만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23미만 군의 증가량이 더 많아서 투여 1년 후부터 4년 후까지 두 군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23미만 군의 감소량이 더 많아서 투여 2년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중성 지방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체중은 23미만 군은 시간이 지날수록 체중의 증가 변화가 많았으며, 투여 5년 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체질량 지수의 호르몬 대체요법 전 후 변화의 차이에서는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병합 요법 변화량의 차이에서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콜레스테롤, 저밀도 콜레스테롤, 중성 지방, 체증, 체질량 지수 모두 호르몬 대체요법 전 후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는 폐경기 여성에 있어, 호르몬 대체 요법이 단일요법, 병합 요법 모두 유의하게 고밀도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고, 저밀도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우리나라 여성의 주요 사망 원인인 관상 동맥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호르몬 대체 요법후의 체중의 변화는 대상자들의 체감 정도, 혹은 우려와 달리 유의한 증가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르몬 대체 요법 시행 전 항상 호르몬 대제요법으로 인한 득실을 고려하고, 이득이 더 많다고 판단되는 여성을 대상으로 호르몬 대체 요법을 시행하며 대상자가 가질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 시키고 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폐경 관리 수행 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This study is to compare lipid profile and the changes of weight of menopausal women taking HR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HRT and the type of hormone therapy, and to compare the changes of blood lipid profile, weight and BMI according to the initial BMI before HRT. Subjects are 111 menopausal women taking HRT and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20 subject of single regimen and 91 subjects of combination regimen. In accordance of the duration of HRT, the number of subject is not remained unchanged. the data about BMI is measur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HRT and classified with two group at the level of BMI 23 (over 23 and below 23). The study includ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 changes of blood lipid profile and weight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HRT, comparisons of changes in blood lipid profile and weight according to HRT, and comparisons of changes in blood lipid profile, BMI and weight according to initial BMI. As a result, the facts that HRT of menopausal women increaseas HDL cholesterol, and decreases LDL cholesterol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increase of weight according to HRT is statistically no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