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UI 개선에 관한 연구 : 대학 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박지원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스마트폰 시장이 급성장률을 보이면서 온라인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통한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이 학내정보는 물론 학사행정도 연동되어 대학생활에도 활용되고 있다. 특히 교내에는 무선 인터넷 환경이 뛰어나기 때문에 자유롭게 접속해 실시간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서관 빈자리를 확인하고 각종 학내행사와 학생식당 메뉴를 조회하는 등 대학생들의 일상생활의 패턴이 바뀌고 있다. 현재 많은 대학들이 관련 애플리케이션을 꾸준히 개발하고 있고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등록되어 있다. 우리는 이로 인해 한층 발전되고 지능적인 모바일 시대에 살고 있는데 이 대학 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에 어떤 UI가 적합한지에 대해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기존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에 등록되어 있는 숭실대, 인하대, 한양대학교의 애플리케이션을 조사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UI의 편의성, 디자인, 기능 측면에서 각 UI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기타의견을 통해 대학 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UI에 대한 핵심요소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그 핵심요소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메뉴의 이동과 즐겨 찾는 메뉴의 바로가기 등의 효율적인 UI 둘째, 지역기반 서비스를 위한 UI 셋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한 UI 넷째, ‘감성 UI’ 적용 및 UI 개인화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단국대학교 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UI를 제안하였고, 기존 대학 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과는 차별화된 메뉴를 설계한 단국대학교 애플리케이션의 UI는 학생들의 캠퍼스 생활의 편의를 돕고 학교 Name Value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된다. Recently, smartphones such as apple's iphone, google's android phone, and Microsoft's window mobile 7 phone gain a prominent popularity in mobile phone markets. The popularity also gives a new opportunity of smartphone applications, which are uploaded and downloaded actively on the popular online application store (a.k.a AppStores). In particular, lots of universities provide a plenty wireless network on the campus, which enables students to access useful information including school news, cafeteria menu, library condition, and administrative information from the smartphones on real time. In this paper, we have a question about what is the appropriate UI(User Interface) of smartphone applications, especially for university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s. To address the question, we first survey the existing three applications, Soongsil, Inha, and Hanyang university information service applications. Then, we conduct an opinion poll about the UI of the applications and analyze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each application in terms of UI convenience, design, and functionality. From the analysis, we can draw out the key factors about UI of smartphone applications for university information service. They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our: UI effectiveness of menu change and shortcut for frequently-used menu, UI flexibility for location based service, UI extensibility for social network service, and UI sensibility and personalization. Finally, we design a new Dankook university smartphone application that provides distinct UI based on the four factors.

      • 소셜미디어(Social media)에서 기업의 관계형성에 대한 연구 : 국내ㆍ외 기업들의 소셜미디어 활용 사례 중심으로

        김상백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Social media)로 개념화된 커뮤니케이션의 발달이 기업과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관계에서 어떤 변화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에 대해 기업은 어떤 대응을 해야할 것인가를 고민하면서 시작하게 되었다. 기업과 이해관계자간의 관계형성 변화를 확인하고 도출하기 위하여 우선 소셜미디어의 정확한 개념과 등장배경을 알아보고,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발전할 것인지를 서술하였다. 또한, 소셜미디어의 확산에 따라 기업이 대응할 수 있는 방법들을 살펴보고, 소셜미디어에 대한 기업의 대응에 있어 효율성과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어떤 방법들이 모색되고 있는지도 살펴보았다. 소셜미디어 확산의 배경설명과 대응방안을 알아본 후, 실질적으로 기업에서 소셜미디어활용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올바른 소셜미디어 활용을 위해 어떤 부분을 고려해야 하는지 특정기업을 통해 다각적으로 검토해 봄으로써, 소셜미디어에서 기업의 관계형성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으며, 기업의 역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결론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이끌어낸 결론에서 나타나는 시사점을 짚어 보고, 본 연구가 좀 더 발전하기 위해 어떤 부분에 대해 보완해야 할 것인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 문화산업론과 미디어비관주의의 이론적 지형과 대안 연구

        곽영진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래의 비판이론이 지녀온 문제와 현실을 다루었다. 비판이론 계열의 문화산업론 및 미디어비관주의에 집중하였고, 그에 의거한 비관적-엘리트주의적 대중관을 함께 다루었다. 이는 문화산업론과 미디어비관주의의「이론적 지형」과「이론적 대안」이라는 두 가지 연구문제로 분류되었다. 연구 결과로서는, 먼저 문화산업론과 미디어비관주의의「이론적 지형」을 정리함에 있어, 비판철학·비판이론이 지닌 모순된 ‘체계’와 왜곡된 ‘근대성’의 문제를 일정 수준에서 밝히고 비판해 내는 성과가 있었다.「이론적 대안」을 내놓음에 있어서는 사전에 이론의 ‘극복방향’으로서 절충도 중간도 아닌, 진보된 탈脫근대의 비판주의가 필요함을 논증해 보았다. 그리고 그 이론의 ‘대안’으로서는, 미디어 비관주의나 미디어 지배론과 달리 인간의 주체성을 인정하는 ‘미디어 통제’론(비판론)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이 때, 문헌 및 영화(촘스키 등의 학술이론 및 관련 영화작품들) 분석에 의한 예시를 통해서, 더불어 한국적 상황(촛불시위·미디어법개정 등)과 연관 지어서 ‘미디어 컨트롤’ 담론이론의 비판적 수용이 현실적이고 합리적일 수 있음을 논증해 보았다. 이상을 연구하고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역사적 배경으로서 그리고 본 연구의 일부 이론적 근거로서, 미디어―그 산업 및 기술―의 영향력 형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제2장에서 미리 살펴보았다. 연구 프레임으로서는 양면성과 양가성 그리고 중용과 변증의 프레임을 준용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으로서는 전체적으로 문헌 분석의 방법에 의존하면서 미디어 패러다임과 연동된 미디어 인식론, 더불어 일부 영상물 분석 및 대면 인터뷰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연구 과정에서 미디어의 인간지배 이론, 그 암울한 세계(체계)와 논의들에 비판적으로 접근하게 되었고 대신 인간(대중)의 주체성 및 능동성에 상대적으로 무게를 더 싣는 비결정주의적 접근법을 취하게 되었다. 그러한 연구의 결과로, 프랑크푸르트학파 이래의 비판(관)적 문화산업·매스미디어 이론은 양면성·양가성과 일부 현재성이 살아있음에도 탈근대화의 요구와 주체개념의 고양 차원에서 극복의 대상이 됨을 확인케 되었다. This study aims to scrutinize the critical theory since Frankfurt School, especially its theory of cultural industry and its pessimism about media. It also tries to investigate its pessimistic and elitist perspective on the masses. As a product of this investigation of "theoretical elements" in cultural industry criticisms & media pessimism discourses, contradictory system and distorted modernity are scrutinized to result in limitations of critical philosophy and critical theory. And then it is demonstrated logically that there should be move towards advanced post-modern criticism to overcome their theoretical limit. As another result of the investigation of "theoretical alternatives" to them, theory of 'media control' by Noam Chomsky is presented concerning the media subjectivity of the human(masses). Media optimism as well as media pessimism and media’s social domination is proved inappropriate as the alternative : in particular manipulation of public opinion is scrutinized to result in limitations of media optimism. Theory of 'media domination' strongly implying master and slave relations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media determinism, however, it is similar to media pessimism as the other face of the same coin. And discourse-theory of 'media control' has the aspect telling about Korean situation, particularly on controversies on 'the candle light demonstration' in terms of activeness of the masses and their critical consciousness. Prior to this, theore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is reviewed in chapter II. And, some characteristic methodologies are applied in the thesis. That is, ambilaterality and ambivalence, moderation and dialectics as research frame on the one hand; literature review and film(video) analysis, media epistemology, facetoface interview as research method on the other hand. These methodologies lead to the dialectical and ambivalent synthesis of pessimism & optimism about media. As it is clearly demonstrated in the research conclusion, there are nowness and ambivalence in cultural industry theory and media pessimism since Frankfurt School. However, in the thesis, the relative emphasis is put on human subjectivity and activeness approaching the topics critically. Cultural industry theory and media pessimism needs to overcome in terms of post-modernization and uplifting-subjecthood.

      • 소셜 미디어를 통한 고객 소통과 브랜드 로열티 증대에 대한 연구

        김태엽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소셜미디어는 웹 2.0 기술이 접목되어 참여, 공개, 대화, 커뮤니티, 연결의 특성을 갖는 모든 종류의 온라인 미디어를 말한다. 온라인상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소비자는 기업의 정보를 수집, 공유하거나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 및 유통할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됨에 따라 기업의 브랜드에 크고 작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에 기업의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브랜드 관리의 중요성은 점차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소셜미디어 활용을 통해 브랜드의 로열티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향 및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소셜미디어의 정확한 개념과 등장 배경을 알아보고 브랜드 관리 및 사랑받는 브랜드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함께 고찰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통해 소셜미디어의 5가지 특성별 사랑받는 브랜드 감정의 7가지 유형에 따른 브랜드 로열티를 파악하여 어떠한 소셜미디어의 특성이 기업의 브랜드 로열티를 증대시키는데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랑받는 브랜드의 3대 특성은 친근감, 열정, 책임감으로 분류할 수 있다.이 세 가지 요인의 강약 정도에 따라 7가지 형태의 소비자 브랜드 관계 유형이 분류된다. 친근감이 강한 소꿉친구 같은 사랑, 열정이 강한 탐닉적 사랑, 책임감이 강한 실리적 사랑, 친근감과 열정이 강한 낭만적 사랑, 친근감과 책임감이 강한 가족 같은 사랑, 열정과 책임감이 강한 복종적 사랑, 친근감, 열정, 책임감 모두가 강한 완성된 사랑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조사를 통해 위 7가지의 브랜드 사랑 유형에서 완성된 사랑그룹의 브랜드 로열티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그 뒤로 낭만적인 사랑그룹, 탐닉적 사랑그룹, 복종적 사랑그룹, 소꿉친구 사랑그룹이 브랜드 로열티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셜미디어의 5대 특성 중에 커뮤니티 특성을 선택한 그룹이 브랜드 로열티가 가장 강한 완성된 사랑 감정을 느끼는 응답자가 많음을 확인하였다. 결국 기업 브랜드의 로열티가 높은 완성된 사랑의 감정을 느끼도록 하기 위해선 기업의 소셜미디어의 특성 중 커뮤니티 특성을 강화해야함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에 커뮤니티 특성인 특정 주제나 관심사를 중심으로 네티즌들이 함께 모여 그룹이나 커뮤니티를 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기업 소셜미디어에서 지원을 해줘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Social media is all kinds of on-line media such as participation, openness, conversation, community and connection which are grafted onto web 2.0 skill. Customers can collect and share company information or have the ability to produce and distribute new content through on-line social media, which would affect a company's brand large and small. Accordingly, it is coming to the forefront to manage the brand of companies by using companies' social media.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increase brand loyalty through companies' social media. To do this, I first identified the exact concept of social media and looked into the background of its appearance. I then conside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brand management and beloved brand. And I also found out what social media's characteristics could have effect on increasing companies' brand loyalty after I figured out brand loyalty about seven types feelings of beloved brand according to each characteristic of five types of social media through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ed. The three features of a beloved brand are classified as intimacy, passion and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se three factors, seven brand-related types of customers would be classified; ①love with strong closeness like a childhood companion, ②addicted love with strong passion, ③practical love with strong responsibility, ④romantic love with friendliness and passion, ⑤love with friendliness and responsibility like within family, ⑥obedient love with strong passion and responsibility, ⑦complete love with strong friendliness, passion,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study, we could know that the brand loyalty of complete love is the highest among the seven kinds of loves for brand. and we could know that romantic love, addicted love, obedient love, love like a childhood companion have high brand loyalty in order. I found out that among five characteristics of social media, the group which chose community characteristics had the most respondents who felt complete love with strong brand loyalty. As a result, I could draw the conclusion that we need to reinforc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company's social media for customers to feel complete love with high brad loyalty. I expect company social media will have to support netizens so that they could make a group or community for some particular topics and matter of common interest as a community characteristic.

      • 첩보영상물 획득을 위한 항공 융합수신체계 발전방안

        김재훈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In today’s modern society,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maintaining a survival of the fittest form of system where the country would undergo any means and measures for the security and benefits of the country. One of the strongest weapons among the measures taken for maintaining such system would be intelligence. Intelligence can affect a wide range of social hierarchy starting from a person to a industry and even the social economy as well as being used as a tactical measure of safeguarding national security. In South Korea, where the country is standing face to face with North Korea with the DMZ in between,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imagery intelligence is definitely a mission that must be accomplished for the protection of national security. As of now, the collection of Imagery Intelligence on North Korea is being accomplished by a somewhat original aerial reconnaissance system that is composed of the civilian-military multipurpose satellite Arirang No. 5 and a reconnaissance aircraft. The Arirang No.5 satellite is partially being utilized as military reconnaissance unit since its launch on August, 2013, and the imagery is being collected by a synthetic multi-angle radar where it collects a relatively high resolution imagery up to 1m every twice a day for 30 minutes. Intelligence collected via reconnaissanace aircraft has begun since 1998 with the Peace-Krypton program (imagery) and since 2000, with the Baek-Doo (monitoring) program, and the Peace-Krypton reconnaissance aircraft utilizes a SAR Sensor that is un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which allows a 24 hour mission deployment capability. The imagery collected by the aircraft is sent to a ground station in realtime through a data link as soon as it is saved and the U.S. Military has recognized its reliability. However, there is a limit on completely being aware an immediate threat beforehand in the Korean peninsula with our military’s multipurpose (civilian, military) satellite and Peace-Krypton aircraft stated above. That is to say we are undergoing image collection and analysis under the collaboration with the U.S. Military since we don’t have possession of a military satellite as well as a high altitude reconnaissance aircraft. Following this subject, without the U.S. Military’s reconnaissance assets (Mil. Satellite & Aircraft), Imagery Collection on North Korean territory cannot be guaranteed. By analyzing our military’s limiting points during reconnaissance missions, the multipurpose satellite Mu-Gung-Hwa No.5’s is experiencing difficulties collecting imagery due to it being utilized for military purposes only twice a day 30 minutes while the Peace-Krypton Aircraft flies at a low, 10km altitude and must abort mission when detected by a North Korean radar system and is also exposed to enemy fighter jets. Moreover, the aircraft has been experiencing disconnection of the data link due to Terrain Reclusion as well as malfunctioning of airborne image recording equipment due to turbulence created by weather or by taking off and landing. This thesis contains analysis on the limited utilization of the Arirang No.5 (ANASIS) and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reconnaissance aircraft’s image receiving system as well a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four high altitute UAVs expected to be deployed on 2018 and the military satellite expected to be deployed between 2020 and 2021, which will be efficiently integrated with the independent image collection reconnaissance operation as a merged aerial receiving system. The scope of research is limited to the satellite and reconnaissance aircraft surveillance system of the image intelligence collection aerial receiving system and the approach of the research method was to analyze both official and unofficial documents as well as resources while also referring to the expert’s opinions on the pertaining subject. Hence the high altitude UAV and military satellite’s opportune introduction and mission deployment will be commenced under the National Defense Force Development Plan, and if the two systems, the Recon Aircraft and the Military Satellite, are successfully merged as a combined air reception system, the systems will be able to mutually supplement each other’s strengths and weaknesses, which will then allow our military’s image collecting power to increase to a point where we will be able to gain the capability to independently monitor North Korea’s threat level even after the transfer of OPCON from the U.S. Army. Then follows the anticipation that the utilization of the aircraft and satellite system’s merger of image collection system will definitely become the core of deterring war in the Korean Peninsula and for acquiring superiority during wartimes. 현대사회의 지구촌 각 국가들은 자국의 안보와 이익을 위해선 어떠한 수단과 방법들도 가리지 않는 약육강식 형태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체제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과 방법 중 가장 강력한 무기의 하나로 사용하는 것이 바로 첩보능력이다. 첩보전은 소소하게는 개인에서부터 시작해 기업체, 사회경제 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국가안보수호에 중요한 전술방법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DMZ을 사이에 두고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현 안보상황에서는 상대국에 대한 첩보영상물 획득 및 분석은 국가방위를 위하여 반드시 수행해야만 하는 필수적인 요소이다. 현재 우리 군의 대북첩보영상물 수집은 아리랑 5호 민·군 복합위성과 정찰항공기를 활용하는 나름 독자적인 항공정찰 수신체계 자산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아리랑 5호 위성은 2013년 8월에 발사된 이후 군사정찰용도로 부분적인 활용을 하고 있으며, 위성을 통한 대북 첩보영상물 수집은 합성다각도 레이다 방식에 의하여 해상도 1m의 비교적 양호한 영상으로 1일 2회 약 20여분 내로 실시되고 있다. 정찰항공기를 통한 첩보수집은 지난 1998년 금강(영상) 및 백두(감청)사업 통해 2000년부터 현재까지 영상정보와 신호정보를 수집해 오고 있으며, 금강 항공정찰기는 SAR 센서가 탑재되어 기상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24시간 언제든지 독자적 영상수집 임무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항공에서 수집한 영상물을 저장과 동시에 사전 구성된 데이터링크를 통하여 실시간 지상으로 첩보영상물을 전송하는 체계로서 미군도 그 신뢰성에 대하여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 군의 대북 첩보영상 수집능력은 위에서 언급한 다목적위성의 제한적인 군사적 용도 사용과 금강 항공정찰기만으로는 한반도 위기상황을 사전에 완전히 포착하기에는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즉, 우리 군은 군사전용 위성 및 고고도 항공정찰기를 확보하지 못해 주한미군 정찰자산으로 부터 첩보영상물을 제공받아서 정확한 영상정보 수집분석이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미군 항공정찰 자산(군사위성, 정찰기)이 제외되면 대북 영상정보 수집능력은 확신할 수 없을 것이다. 우리 군의 현재 항공정찰 수집임무 시 한계점을 분석해보면 다목적위성인 무궁화5호 군사적 활용도는 1일 2회로써 30분간의 극히 짧은시간에만 운용되어 필요한 첩보영상물을 수집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금강항공정찰기는 10Km 저고도 비행으로 적 Radar에 감지될 경우 수집임무 중단 및 정찰기 요격에 대한 위험이 있으며, 영상표적 수집거리도 80Km 이내 로 제한되며, 또한 산악지형 차폐에 의한 데이터링크 단절 영향과 항공정찰기 이착륙 및 항공기류 등의 진동으로 인한 탑재영상기록장비 등의 결함 발생이 생길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현재 우리 군에서 운용중인 아리랑 5호(ANASIS) 위성의 제한적 군사용도 활용과 항공정찰기의 첩보영상수신체계의 현실태 및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오는 2018년에 도입예정인 고고도 무인정찰기 4대와 2020년 ∼ 2021년에 전력화 예정인 군사정찰위성 5대의 항공수신처리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우리군 독자적인 첩보영상물획득 임무를 완벽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 융합 수신지원체계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영상정보물 획득 항공수신체계 중 인공위성 및 항공정찰기 감시체계로 제한하였으며, 연구방법은 전문가들의 견해와 공개된 문서 등 공식, 비공식의 자료를 분석하는 문헌 탐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향후 국방전력화계획에 의한 고고도 무인정찰기 및 군사정찰위성이 적시에 도입 및 전력화되고 이 같은 두 개의 첩보영상물 수집시스템 상호간 장단점을 보완하는 정찰기·군사정찰위성 항공융합 수신지원체계로 발전시킨다면, 우리 군의 대북첩보영상 수집능력은 현재에 비해 월등히 격상되어 전시작전통제권이 미군으로부터 우리 국군으로 전환되더라도 대북위협 등은 순수한 우리정찰자산에 의해 감시할 수 있는 능력으로 배양될 것이다, 따라서, 군사위성과 항공정찰기를 통한 첩보영상물 수신체계의 융합적 활용방안은 한반도 전쟁억제 및 유사시 전장우위확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 내부정보유출 사례로 본 DLP보안정책에 관한 연구

        인준형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DLP(Data Loss Prevention) 란 내부정보유출방지 솔루션을 의미하며, 기업 내부자의 고의나 실수로 인한 외부로의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솔루션이다. 현재 정보보호 관련 솔루션들을 파악하고 그 중 내부정보유출방지 솔루션 중 DLP를 중점으로 보안운영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최근 정보유출 사건의 주요원인이 내부자 유출이라는 점을 볼 때 내부자에 대한 통제가 우선시 되어야 한다. 국내 내부유출 사례들을 통해 내부정보유출 경로와 취약점을 살펴보고 DLP의 필요성 및 개선방안을 도출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DLP를 자세히 기술하며 국내 기술보호 현황 및 사례를 통해 DLP 솔루션의 구축방안과 기업의 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DLP 도입 및 운영하고 있는 보안 담당자에게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DLP(Data Loss Prevention) is internal 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solutions, a solution to prevent information leaks to the outside due to the deliberate or accidental corporate insiders. Privacy Identify the information protection solutions. DLP as the focus of internal information leakage prevention solution looks at the Security Operation Plan. The major cause of information leakage incidents should prioritize the control of the insider when the insider leaked see the point of. Internal leakage through domestic case looking at the internal information leakage path and vulnerability will need to be drawn and improvement of the DLP. In this paper, when the DLP technology in detail and to present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Enterprises of DLP solutions through local technical protection status and practices. It also hopes to help security personnel and DLP deployment and management.

      • 조직 PR을 위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의 효용성 연구 : KAIST 페이스북 팬페이지를 중심으로

        전형준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최근 무선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발달로 인해 SNS는 빠른 대중화가 이루어졌다. SNS는 전통적인 미디어에 비해 물리적인 제약이 적으며 넓은 범위로 빠르게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는 장점 등으로 인해 개인 간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도구로 자리매김 했으며 기업, 정부기관, 단체 등에서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PR을 위한 도구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케이션 및 PR의 도구로 적극 활용되고 있는 SNS를 DeLone & McLean의 ‘수정된 정보시스템 성공모형’에 기반하여 PR을 위한 SNS의 효용성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안하였으며 KAIST 페이스북 펜페이지에 대한 설문을 통해 그 결과를 분석하여 타당성과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연구모형은 페이스북 팬페이지에서 사용자들의 사용의도/사용과 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항목으로 콘텐츠 유형,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 온라인 공동체 의식으로 나누어 연구했으며 그 결과 페이스북 팬페이지의 정보 품질이 사용자들의 사용의도/사용과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콘텐츠 유형은 사용자들의 사용의도/사용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만족에는 영향이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페이스북 팬페이지를 PR도구로 사용할 경우 정보 품질이 가장 우선되어야 하며 페이스북 팬페이지를 통해 전달하는 정보가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정보라는 인식이 생겼을 때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 제공 및 온라인 공동체 의식 형성으로 인한 긍정적 결과가 나타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PR도구로서 SNS를 활용한 일련의 활동들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모형을 제안하고 SNS가 PR도구로서의 효용성을 측정하기 위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형을 기업 또는 정부기관, 단체 등에서 SNS를 이용한 PR의 효용성 측정에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Due to the recent development of the wireless internet and smartphones, SNS has become wildly popularized in a short period of tim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media, SNS has less physical restrictions and due to the fact that it has an advantage of carrying and spreading information far and wide, it has settled down as a tool for communications between individuals as well as a tool for effective PR usage for business, government agencies, and organizations. In this research, the study has been based off on Delone & McLean’s “Updated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regarding to SNS that are actively using communication and PR tools, and has suggestions as to how to measure the efficiency of those SNS. Also, through the surveys regarding the KAIST Facebook fan page, the results have verified the potential applicability and feasibility. The newly suggested measuring model is a study done through the Facebook fan page with categories to measure the users’ satisfaction and users’ intention. The categories include: type of contents, quality of information, quality of service, and online community spirit. The results show that the “quality of information” of the fan page affected the most on user satisfaction / user intention and that “type of contents” did affect the user satisfaction / user intention but had little to do with the satisfaction itself. If the Facebook fan page is used as a PR tool, the priority should be focused on the quality of information provided. Also, according to our research, when people become aware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Facebook fan page is useful information, it can be concluded that various contents and service provided along with the formation of online community spirit bring positive results. This research has suggested a new measuring model for efficiency of using SNS as a PR tool, and it implies a significant meaning on the fact that this research has suggested SNS, as a PR tool, to be a guideline to measure efficiency. Furthermore, we hope that this model will become the fundamental resource for measuring the efficiency of SNS as a PR tool in business, government agencies, and organizations.

      • 국가지식정보 DB의 활용성에 기반을 둔 유통 모델 설계

        박영숙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인터넷 보급 및 지식정보의 수요는 증대되고 있으며 국가지식정보를 DB화 하는데 수억 원의 비용이 지출되고 있다. 보존가치가 높은 자료의 수집과 축적에 집중되어 활용성면에서 국민을 위한 폭넓은 지식정보 서비스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공공기관에서 생산하고 보유하고 있는 정보는 국민의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으나 활용되지 못하는 것에 대하여 국가가 보유한 국가지식정보DB의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새로운 유통모델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지식정보의 활성화 및 국가와 국민이 소통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될 수 있는 새로운 유통모델에 대하여 설계하였다. 우선 국가지식정보DB 이론적 배경 고찰과 국내외 활용현황 파악을 통해 국가지식정보의 활용성을 기반을 둔 유통모델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국가지식정보의 정의와 국가지식정보의 활용 통해 국가지식정보의 수요를 살펴보았고, 해외 국가인 미국과 일본의 국가지식정보DB의 활용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제3장에서는 국내 국가지식정보DB의 유통의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으며, 국가지식정보를 이용하는 이용자들로 하여금 국가지식정보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하여 온라인설문을 진행하여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제4장에서는 국가지식정보DB의 활용 방안 및 새로운 유통모델에 대하여 설계하였다. 그리고 제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였다. 해외 현황과 국내 실태 파악 및 온라인 설문결과를 토대로 제시된 국가지식정보DB 활용방안 및 새로운 유통모델은 국가지식정보DB의 접근성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유통모델 지식정보DB의 매칭시스템을 통해 관심분야부터 국가지식정보DB의 활성화를 시킨 후 자연스럽게 국가지식정보DB의 대중화 될 수 있는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매칭 된 국가지식정보DB에는 출처가 명시되어 있고 출처를 클릭하면 콘텐츠를 제작한 기관으로 링크를 걸어 정부 기관과 국민이 소통할 수 있는 연결고리가 될 것으로 본다. 정부 기관은 국민들이 많이 클릭한 DB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으며 링크를 통해 방문한 방문자들과의 소통을 통해 그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공공정보의 공개를 통해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고, 국가지식정보의 활용으로 대민 서비스의 개선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국민의 지식향상으로 말미암아 국가경쟁력에 지대한 영향을 가져다 줄 것이다. Hundreds of millions of won has been being spent on building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with propagation of the internet and the demand for knowledge information increasing. But the reality is that too much focusing on collecting and accumulating of worth-preserving data makes the DB not coverwide-ranging knowledge information services for the people on usability basis. The information which public institutions produce and own, has a close relation to the people's lives in a country, but is not utilized widely. To cope with this problem, we are in a circumstances in whic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new distribution model to utilize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owned by nation. In this research, the writer has designed a new distribution model that can utilize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and can be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a country and the people. First of all, a distribution model based upon usability of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has been presented by study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usability. In chapter 2, by considering a concept of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and its utilization, the writer has examined the demand for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and has analyzed the usability of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in foreign countries such as America and Japan. Further in chapter 3, the writer has researched and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of distribution of the domestic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and conducted an online-survey of the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users, arranged the data. In chapter 4, measures for utilizing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and a new distribution model have been designed. And in chapter 5, the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have been arranged. Presented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a domestic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usability and the result of the online-survey, measures for utilizing a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and a new distribution model make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more accessible. Besides, through the matching system of a new distribution model of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beginning with any field of interest, after utilizing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we can achieve an effect that national public knowledge information DB can be naturally popularized. Furthermore, because there are sources specified in matched national public knowledge DB, clicking the sources, you will be able to connect with the institution which produced the contents, matched national public knowledge DB and therefore, can be a useful link between public institutions and the people.

      • 가용성 향상을 위한 프로세스중심 통합모니터링 기법에 대한 연구

        정상덕 단국대학교 정보미디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업무는 정보시스템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고, 정보시스템 장애는 업무 지연을 넘어 기업의 생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장애를 적극적으로 발견하고 해결하며, 결국 가용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다양한 시스템 모니터링이 요구되고 있다. 효과적인 시스템 모니터링은 업무 중심적이어야 하며, 업무는 프로세스들의 집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프로세스 중심적이어야 한다. 기존의 정보시스템에서는 프로세스 모니터링을 위한 다양한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닉스 환경에서는 ps(process state), top, glance 등의 도구를 제공한다. 하지만 이 도구들은 프로세스들의 수행 시간, 메모리 사용율, 자원 사용 등과 같은 프로세스 고유 정보만 제공한다. 최근 정보시스템의 사용범위가 확대되면서 프로세스 고유 정보 뿐만 아니라 연관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함께 분석하였을 때 더욱 효과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즉, 한 수준의 정보만이 아니라 다른 수준의 정보를 통합하여 분석하였을 때 더욱 효과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 정보에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다중모드로 제공하는 통합 모니터링 도구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ps+라는 새로운 도구를 구현하였으며, 이것은 기존의 ps정보에 netstat, lsof, v$session, v$process 등 여러 가지 정보를 함께 제공한다. 이러한 통합 모니터링(프로세스+네트워크+데이터베이스)을 통해서 프로세스에 접속하는 부분과 데이터베이스 작업에서 발생하는 병목을 한 눈에 들어오게 하였다. 기존 CPU 사용시간, 메모리 점유량 이외에 프로세스에 접속하는 QUEUE 상태, 통신 상태, 데이터베이스 Waiting Event와 Waiting Time 등등을 한 라인으로 보여주어 문제의 원인을 찾는데 도움을 주었다. 실제 구현 및 가용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제안한 ps+ 통합 모니터링 도구가 오류 있는 프로그램 발견, 교착 상태, 오랜 대기, 큐 폭증 등의 결함을 효과적으로 발견할 수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도구는 다른 엔지니어가 보지 않는 사각지대의 장애를 발견할 수 있으며 또한 생산성을 높여준다. 엔지니어의 생산성 향상은 곧 업무의 가용성 향상이다. Information system becomes an essential part of business, where failures of information system are not only the delay of business transactions but also the threat of survival of enterprises. A variety of system monitoring are required to detect and overcome the failures proactively, and eventually to enhance the availability of information system. For effective monitoring, it should be business-oriented and, in turn, should be process-oriented since business logics are composed of a set of processes. The previous information systems have already supported diverse tools for process monitoring, for instance ps(process state), top and glance in UNIX environments. However, they provide process-specific data only such as execution time, memory footprint and used resources of processes. Recently, as the usage of information system increases and becomes complicated, a large portion of failures can be monitored by observing not only process-specific data but also associated network and database data. In other words, analyzing integrated data are more effective for better monitor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integrated monitoring tool, called ps+, that provides multimodal data including process, network and database, and their associations. The tool offers not only the traditional ps data but also the associated network and database data such as netstat, lsof, v$session and v$process. In specific, it displays process's execution time and memory usage, queue status, communication status, database waiting time and event in a single line, which allows to detect both process-related failures and network/database-related failures. We have implemented the tool on the real system and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The experimental results have shown that the proposed ps+ tool can actually monitor the erroneous program behavior, deadlock, starvation, and queue explosion. This integration monitoring improves productivity to discover the failure of a blind spot by investigating process and network/database simultaneously.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engineers directly affects the improved availability of bus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