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례연구를 통한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 성공요인 분석

        정혜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03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중요성과 효과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전문적학습공동체가 활성화되지 않은 학교도 있으며 구체적인 실행 방안이 수립되어 있지 않는 학교들도 있다. 따라서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학교 현장에서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운영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실질적인 지원과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사례 연구를 통하여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구성원들이 어떠한 역할과 노력을 하였는지,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었던 요소들은 무엇인지, 전문적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이 어떻게 성장하였는지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성공요인을 도출하고 전문적학습공동체를 지속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 구성원은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가? 나.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성공요인과 한계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사례연구를 통해 구성원들이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 살펴보고 성공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문적학습공동체 두 팀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반구조화된 심층면담을 실시한 질적 연구를 진행하였고, 주요 연구 결과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성공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성공요인에는 활동을 열정적으로 이끌어 가는 리더가 있었다. 리더교사의 열의와 탐구정신이 주변 구성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한 인간관계를 바탕으로 신뢰를 쌓고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인식시키고자 하는 리더교사의 노력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전문적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의 의견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 발전적인 활동이 되도록 하기 위해 촉진자의 역할을 하였다. 리더교사는 지속적으로 전문적학습공동체의 필요성에 대해 구성원들에게 인식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며 학교의 긍정적인 문화 형성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동력을 제공하고 있었다. 둘째,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성공요인은 교사 스스로의 성장에 대한 갈증이라고 할 수 있다. 자신의 수업을 공개하고 공동으로 자료를 연구하는 과정 속에서 전문성을 신장시키려고 하는 자발적이 노력이 중요하게 드러났다.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을 공개하고 다른 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이야기를 들으면서 공동으로 자료를 연구하고 개발하는 과정 속에서 전문성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 이런 과정을 통해 교사의 교수학습 능력과 생활지도 능력이 향상되었고 학생들을 바라보는 시각도 변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은 교사를 성장하게 하는 시간이자 교육의 방향과 철학 등을 재정립할 수 있게 하였다. 공동수업 디자인과 실천을 통해 수업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과정은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고 교사들의 소진을 극복하게 하며 동료애와 협동성을 가지고 성장하도록 하였다. 셋째, 신뢰와 소통의 문화는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성공요인이라 볼 수 있다. 다른 교사들도 마찬가지로 고민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전문적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은 위안을 얻으며 활동이 발전할 수 있었다. 비공식적인 활동 속에서도 친밀감을 쌓으며 서로에게 힘이 되어 주는 동료애를 키워 나갈 수 있었다. 친밀한 관계 형성을 통하여 학교 생활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적 안정과 연대감을 형성하며, 구성원 간의 신뢰와 소통의 문화 속에서 연구 분위기가 일상화되어 수업을 함께 공유하고 공동디자인을 구성하면서 집단 지성의 힘을 키워나갈 수 있었다. 동료애를 바탕으로 함께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경험은 학교의 교육활동에 긍정적 역할을 하게 하며 구성원들을 성장하고 변화하게 하였다. 넷째, 전문적학습공동체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학교장의 관심과 제도적인 지원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장의 전문적학습공동체에 대한 인식은 학교의 민주적 의사결정체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학교의 문화적 토양 위에서 전문적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은 더욱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참여하게 되며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학교장의 전문적학습공동체에 대한 지원은 학교의 민주적인 의사결정 체계를 확립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러한 학교의 민주적 문화 속에서 전문적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은 적극적으로 활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 해 약 1000시간의 수업으로 교사와 학생이 만나고 있다. 학교의 본질을 살리고 미래를 준비하는 살아 있는 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학교의 교육과정과 수업 및 생활지도 등이 변화해야 한다. 이러한 변화의 시대 속에서 교사 개인의 역량으로만 학생들을 교육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고 볼 수 있다. 전문적학습공동체를 통한 교사의 협력을 통해 교육의 질을 높여가는 것은 이제 필수가 되었다. 교사들은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전문성을 가진 교사들로 성장하고 거듭나길 바라고 있다. 성장을 위한 열정은 교사의 전문성을 신장시키는 데 원동력이 되며 동료애를 바탕으로 한 협력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기존의 연수가 가지던 여러 가지 한계를 극복하는 좋은 대안이 되고 있다. 또한 교사 간의 소통과 나눔을 통해서 친밀감을 형성하고 고민을 공유하는 등 위로와 위안이 되는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분석

        조은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Through a case stud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operation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 school, which is a small school, an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 small school. Through this, we would like to find out how teacher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ccording to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research presented above, the following problems will be studied through research. First, what is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small school schools? Second, what kind of experience did you have in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 small school school?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a small school for teachers?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mall schools is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financial support to a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Currently, the budget for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not distributed separately by the Office of Education. Therefore, each school is preparing its own budget for operat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However, since the school budget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chool, it is difficult for small schools to distribute the necessary budget to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separately. Therefore, in order to revive and maintain the spontaneity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mall schools, it is necessary to organize budgets at the level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Only then will there be no financial burden on running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small schools that lack the school's own budget, allowing them to operate a meaningfu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Second, the criteria for completing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hould be eased. Unlike middle-level or higher schools, small schools often have one person in charge of various tasks. As a result, there are more business trips and work per person than middle-level or higher schools. As a result, the schedule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often overlaps with business trips. Whenever that happens, it is not easy to change the schedule of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ere are participants who think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s a compulsory community, not in terms of spontaneity or autonomy. Due to this negative perception, it may be difficult to operate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eacher spontane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standard for the completion rate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mall schools or to recognize non-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due to business trips as participation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ird, additional points should be introduced to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is is why additional points for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re needed for small school teachers who devote time and passion to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r schools and individuals despite difficult conditions.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at has the meaning of maintaining schools beyond the meaning of a forma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impossible without the spontaneity and passion of teachers. If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articipants who strive to create a meaningfu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re given extra points in various ways, such as training points or regional movement points, teachers who share school goals and share students' directions in many tasks will feel rewarded. In order to prevent the additional point itself from being the purpose, it is also necessary to consult at the education office about how a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operated, share excellent cases, and give additional points if they meet the purpose of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f additional points are introduced for a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operated as a school-wide community rather than a formal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run by a few teachers, teacher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Fourth,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administrative procedures of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urrently, in order to operate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a plan for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submitted at the beginning of the semester, and operational results such as the end of the semester, budget usage,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completion rate are submitted in the form of a report. From the standpoint of the Office of Education, these processes are said to have been simplified a lot, but even these tasks are sometimes burdensome in small schools. Demanding formal plans and reports from teachers who already have difficulty voluntarily participating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due to other heavy tasks hinders voluntar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articipation. 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a small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that is meaningful to teachers' spontaneity, it is necessary to simplify administrative procedures in consideration of the situation of small schools, not data uniformly required by all schools. In order for teachers' spontaneity to be expressed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mall schools, it is necessary to change and support the perception of all educational communities as mentioned in this study. This is becaus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small schools can be developed and expanded in this environment. However, in many small schools,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s often considered a meaningless task. The internal structure and perspective of the school that can unfold the teacher's spontaneity change, and th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tself should grow into an organization with expertise by expressing internal motivation in the midst of these changes. If it develops into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in this direction, it will be able to overcome various limitations of being a small school and become a tru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based on the spontaneity of teachers. 본 연구는 사례 연구를 통해 소규모학교인 본교에서 이뤄지고 있는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운영 모습을 살펴보고 소규모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보이는 특징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찾아보고자 한다. 앞에서 제시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따라 연구를 통하여 아래와 같은 문제를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소규모 초등학교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 동기가 무엇인가? 둘째, 소규모 초등학교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어떤 경험을 했는가? 셋째,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어떤 의미인가? 소규모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재정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전문적 학습공동체 예산은 교육부나 교육청에서 따로 배부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는데 필요한 예산을 학교별로 자체적으로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학교 예산은 학교 규모에 따라 정해져 있기 때문에 소규모학교에서 따로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필요한 예산을 배부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므로 소규모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하는 교사들의 자발성을 살리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교육부와 교육청 차원에서 예산을 편성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야 학교 자체 예산이 부족한 소규모학교에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는 것에 대한 재정적 부담이 없어 유의미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둘째,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이수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 소규모학교는 중급 이상의 학교와 다르게 여러 업무 담당자가 1명인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1인당 출장 및 업무가 중급 이상 학교보다 많은 편이다. 그러다 보니 전문적 학습공동체 일정이 출장과 겹칠 때가 빈번하다. 그럴 때마다 전문적 학습공동체 일정을 변경하는 것은 쉽지 않다.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자발성이나 자율성의 측면이 아닌 강제적인 공동체라고 생각하는 참여자들이 있게 된다. 이러한 부정적 인식 때문에 교사 자발성에 근거한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이 어려워지기도 한다. 그러므로 소규모학교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이수율에 대한 기준을 낮추거나 출장 등으로 인한 전문적 학습공동체 미참여에 대해서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로 인정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가산점을 도입해야 한다. 쉽지 않은 여건 속에서도 학교와 개인을 위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시간과 열정을 쏟는 소규모학교 교사들에게 전문적 학습공동체 가산점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형식적으로 이뤄지는 전문적 학습공동체 의미를 넘어선, 학교를 유지하는 의미를 가진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교사들의 자발성과 열정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유의미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자들에게 연수 가산점 또는 지역 이동 가산점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가산점을 부여한다면 많은 업무 속에서도 학교 목표를 공유하고 학생들의 삶의 방향을 나누는 교사들에게 기꺼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보람을 느낄 수 있게 해줄 것이다. 가산점 자체가 목적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해서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교육청 차원에서 컨설팅을 하고 우수한 사례를 공유하면서 전문적 학습공동체 취지에 맞는 경우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것도 필요하다. 형식적이고 몇 명의 교사들에 의해 운영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아닌 학교 전체의 공동체로서 운영되는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대한 가산점을 도입한다면 교사들의 자발적인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행정 절차의 간소화가 요구된다. 현재는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기 초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대한 계획서를 제출하고 학기 말, 예산 사용 현황과 전문적 학습공동체 이수율 등 운영 결과를 보고서 형식으로 제출하게 되어 있다. 교육청 입장에서는 이러한 과정들이 많이 간소화되었다고 하지만, 소규모학교에서는 이러한 업무조차 부담이 될 때가 있다. 이미 다른 과중한 업무로 인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에 어려움을 느끼는 교사들에게 형식적인 계획서와 보고서를 요구하는 것은 자발적 전문적 학습공동체 참여를 저해하는 요소가 된다. 그러므로 교사들의 자발성에 의미를 둔 소규모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기 위해서는 모든 학교들에게 획일적으로 요구하는 자료가 아닌, 소규모학교의 상황을 고려한 행정 절차의 간소화가 필요하다. 소규모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교사의 자발성이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발현되기 위해서는 이번 연구에서 말한 것과 같이 모든 교육공동체의 인식의 변화와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환경에서 소규모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발전하고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도 다수의 소규모학교에서는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하나의 의미 없는 업무로 여겨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교사의 자발성을 펼칠 수 있는 학교 내부적 구조와 바라보는 시각이 변화하고 이러한 변화 속에서 교사 스스로 내적 동기를 발현시켜 전문적 학습공동체 자체가 전문성을 가진 조직으로 성장해야 한다. 이러한 방향으로 전문적 학습공동체게 발전된다면 소규모학교라서 가진 여러 한계들을 극복하고 교사의 자발성을 바탕으로 한 진정한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나는 교사역량의 변화 탐구 : 이해중심교육과정 실천을 바탕으로

        오윤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이해중심교육과정을 실천하며 나타나는 초등학교 전문적 학습공동체 안에서 교사역량의 변화를 탐구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이해중심교육과정이라는 교육과정 설계 모형을 전문적 학습공동체에서 어떻게 실천하는지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교사역량의 변화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해중심교육과정의 실천을 위해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자발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학교와 그 모임에 참여하는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서로 다른 수준의 교사역량을 가진 9명의 연구 참여자를 9개월 동안 참여관찰 하였고, 심층면담, 이메일, 메신저 등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안에서 이해중심교육과정의 실천 양상을 지식, 기능, 가치의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지식의 측면에서는 서로 다른 초보적, 능숙한, 숙련 수준의 교사는 이해중심교육과정이라는 교육과정 설계 모형에 대한 이해를 달리하였다. 백워드 설계의 1단계 핵심질문을 구성하는 과정, 2단계 수행과제를 제안하는 과정, 3단계 수행평가에서 교사들은 어려움을 경험했다. 서로 다른 역량을 가진 교사들은 각기 다른 이해와 실천 양상을 보였으나 각 수준마다 유의미한 발달을 보였다. 기능의 측면에서 교사들은 반성적 사고, 교수적 기능, 의사소통 기능, 교육과정 문해력 등의 발달을 경험했다. 가치의 측면에서 교사들은 학생의 잠재력 함양을 위한 헌신을 바탕으로 열정, 교사 전문성, 개선을 위한 노력 등을 펼쳤다. 이 과정에서 교사역량은 지식, 기능, 가치 측면이 상호보완적, 총체적 특성을 보이며 다차원적으로 발달해 나갔다. 둘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안에서 교사역량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서로 다른 수준의 교사역량을 지닌 교사들은 문제를 해결하는 의사소통 과정을 경험하며 동료교사와 공동연구, 공동실천의 상호작용을 통해 변화를 경험하거나 교사 개인의 내적 변화를 경험하며 교사역량을 발달시켰다. 형식에 얽매이는 초보적 수준을 넘어 창의성을 발휘하여 유연성을 높이는 숙련 수준으로 발달했다. 또한 교육과정에 대한 거시적 안목을 갖게 되며, 교사들 간의 소통 문화를 형성하였다. 백워드 설계는 혼자보다 함께 설계할 때 풍부한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경험은 백워드 설계의 지속성을 높이고, 협력적 유대관계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교사 내적 성장 측면에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해 열정이란 가치를 되찾고, 도전하고, 교사로서의 성찰을 경험하게 만들었다. 따라서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통한 이해중심교육과정 실천은 교사 개인보다 협력을 통한 실천에 주목했고, 서로의 비전과 가치를 공유하고, 집단창의성을 발휘하며 교사역량의 발달을 가능하게 했다. 연구 결과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역량의 발달은 지식, 기능, 가치의 여러 특성이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며 이뤄진다. 둘째,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을 통한 교사 간 상호작용과 내적 성장에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활용될 수 있으며, 교사역량의 총체적 발달을 모색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현재 운영되는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물론 연구회, 동아리 등 교사들의 소통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모임 등에 활용되어 교사역량의 발달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 영역 내용 구성을 위한 제안

        이경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우리나라 국가 교육과정은 다양한 국가·사회적 요구 및 교육 수요자의 요구 변화, 과학기술 및 학문의 발전, 교육 여건과 환경의 변화 등 교육 내·외적인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정되어 왔다. 2015 개정 교육과정(교육부, 2015b)은 특별히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 및 ‘학습 경험의 질 개선’을 목적으로 개발되었으며, 미술과 교육과정(교육부, 2015a)의 경우 이러한 총론의 방향에 따라 ‘미적 감수성’, ‘시각적 소통 능력’, ‘창의·융합 능력’, ‘미술 문화 이해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을 교과 역량으로 정하고 내용 체계를 ‘체험’, ‘표현’, ‘감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해당 교육과정에 따라 수업을 구성하고자 하는 수많은 교사들이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및 내용 요소들을 오해 없이 쉽고 잘 이해하도록 하려면 무엇이 어떻게 변해야 할 것인가라는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를 이론(이해)과 실제(표현)로 구분해볼 때 교사로서 직접적인 이해가 어렵다고 느낄 수 있는 교육과정의 감상 영역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사들이 이해하기 쉬운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 영역의 내용 구성을 고민하고자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 영역의 핵심 개념, 내용 요소의 적합성 여부를 점검하고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제안을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선행 연구를 통해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 영역의 내용 구성 등을 살펴보았으며, 현장 및 연구 분야의 미술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3차에 걸쳐 설문 및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 영역은 내용 요소의 변경을 제안하였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 영역의 내용 체계에서 핵심 개념과 내용 요소에 대한 교육과정 현장 전문가와 교육과정 연구 전문가들은 핵심 개념과 일부 내용 요소에 대한 변경에 일치된 의견을 보였다. 둘째,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 영역 내용 구성시 구체적인 설명을 제안하였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 영역의 내용 구성에 대한 교육과정 현장 전문가와 교육과정 연구 전문가의 의견이 차이를 보인 일부 내용 요소들은 구체적인 설명 부족으로 인한 해석 차이로 보였다. 셋째, 감상 수업 시수 확보를 제안하였다. 충분한 성취기준 수로 감상 영역이 비중이 적지 않다는 교육과정 연구 전문가들과 감상 영역의 특성상 태도와 방법을 학생들이 얻기 위해서는 충분한 수업 시수가 필요하다는 교육과정 현장 전문가들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 내용의 적정화로 감상 수업 시수 확보가 중요하다. 넷째, ‘미디어 아트’ 내용 반영을 제안하였다.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미술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의 확장을 반영하는 ‘시각 문화’ 차원의 미술 교육을 반영하는 교육 내용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는 새로운 내용 구성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미술과 국가 교육과정은 미술 교과 교육의 하나의 지침이자 큰 영향력을 가진다. 변화하는 사회상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이 시대의 변화에 부응하면서 사회와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해야 한다. 학생들이 미래 사회에서 의미 있는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내용을 담는 것은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이다.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구성에 대한 많은 긍정적인 논의와 보완할 점에 대한 변화 시도는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 구성에 도움이 될 것이며 미술 교과의 경쟁력과 교육적 가치 향상에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주요어 :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감상, 핵심 개념, 내용 체계, 내용 구성

      • 전문가 시스템 중심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정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인공지능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전문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개발하고 초등 교육 현장에 적용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4차 산업혁명이 가져온 인공지능의 중요성은 소프트웨어 교육과 더불어 그 위상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교육 현장에서는 소프트웨어 교육, 그중에서도 코딩 교육이 활성화되고 있고 발 빠른 교수자나 학습자는 인공지능 교육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방대한 인공지능 교육에 대해 뚜렷한 방향성과 합의된 학습 내용이 부족하다. 따라서 학교 수업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콘텐츠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연구 내용으로 인공지능의 한 분야인 전문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교육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융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설정하였다. STEAM 교육 준거 틀을 사용했으며 관련 문헌을 참고하여 개발 방향, 학습수준, 학습순서, 내용구성의 4가지 개발 기준을 설정하였고 파일럿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1차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하여 타당도를 검증받고 이후 세부 기준에 따라 6차시의 기본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구성한 프로그램 내용은 2차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하여 타당도를 검증받았고 개방형 응답에 따라 2차 수정을 가하였다. 2차 수정을 거친 교수·학습 자료는 실제 수업 현장에 적용하였으며, 적용 과정 중 교수자의 기록과 학습자의 산출물 및 설문지 분석을 시도하였다. 맥락을 기반으로 교육 프로그램에 3차 수정을 가하여 최종 교수·학습 자료가 완성되었으며,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구성되었다. 두 번째 연구 내용은 컴퓨팅 사고력을 기반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는 것이었다. 실과 성취기준과 컴퓨팅 사고력의 내용 분석을 통해 현 교육과정에서 컴퓨팅 사고력 교육을 인공지능 교육을 통해서도 도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인공지능 교육의 소재로는 전문가 시스템을 선정하였으며 전문가 집단에게 두 차례 타당도 검토를 받고 학생 적용 후 각 차시별 산출물과 수업 과정에서의 피드백, 3차 타당도 검토를 통해 전문가 시스템이라는 인공지능 영역을 초등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은 학습자에게 적용 가능함을 보였다. 수행된 연구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과정적 틀을 통해 초등 인공지능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였고,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교육 17차시를 받은 학생에게 적용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초등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교사 · 학부모의 인식 비교

        한형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교육 주체인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가 초등교사의 전문성에 대하여 각각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여 그들 인식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밝힘으로써 초등교사의 전문성이 무엇인지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교사의 배경별 특성에 따른 초등교사 전문성에 관한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둘째, 학부모의 배경별 특성에 따른 초등교사 전문성에 관한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교사와 학부모의 초등교사 전문성에 관한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10개 초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320명과 동일한 10개 초등학교에서 각각 3학급씩을 선정하여 학부모 32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10개 학교별로 무선 표집으로 세 학급을 선정하여 학부모에게 27부씩 배포하였고, 교사는 전 교직원을 상대로 32부씩 배포하였다. 교사 311부, 학부모 809부를 회수하여 유효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교사 309부, 학부모 799부를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보다 교사의 전문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교사의 전문성에 비하여 학부모가 인식하고 있는 교사의 전문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연구에서 준비한 설문응답에 높은 점수를 얻은 교사가 반드시 뛰어난 교사라고 할 수 없으며, 학교현장에서 발생한 문제에 대해 맥락과 상황을 고려해서 유연성 있게 해결하는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다. 또한 학부모가 자녀의 교육상황과 환경 등에 대해 접할 수 있게 교육정보가 더 많이 제공되어야 한다. 둘째, 자질 및 태도, 학급경영 및 생활태도에서 남교사보다 여교사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교사의 응답수가 적은 점을 감안해야 하겠지만 남교사 스스로 교육활동의 주체로서 갖게 되는 전문성에 대한 관심과 이해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저학년에 해당하는 교사와 학부모가 교사 전문성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이고 신경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자녀가 학교에 입학을 하면 교실 앞까지 와서 수시로 교사의 수업을 관찰하는 학부모가 있을 정도로 관심이 많다. 그리고 교사는 이에 대응하여 교육과정을 계획하고 학급을 운영하며 학부모는 교사의 전문성에 대해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저학년 담임교사가 어떻게 다른 전문성을 보이는지, 왜 그런지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만큼 후속 연구에서는 저학년 담임교사의 전문성 또는 학급운영 행태 등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교사의 교직 경력은 전문성에 큰 의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경력 교사는 자기 연찬과 연수를 통해 교사 전문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저경력 교사는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을 통해 훈련을 받고 현장에 투입된다는 뜻이다. 다만, 경력에 따라 쌓이는 지혜와 노하우를 다른 방식의 추후 연구를 통해 밝혀내야 한다.

      • 경기도 지역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와 인식

        양수련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us of music teacher system and perception of elementary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in elementary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actual status of the music teacher system in Gyeonggi Province? (2) How do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in elementary schools perceive music teacher system? (3)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s of music teachers and the perceptions of school administrators regarding the music teacher system? (4) Based 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points of the music teacher system perceived by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what actions could be taken to stimulate the music teacher system? For this study, references about subject teacher system, music teacher system, and professionalism of music teachers were reviewed. Subsequently, the transition of music teacher system was divided into preparatory stage, implementation stage I, and implementation stage II. In addition, theoretical basis for this study was retained by exploring professionalism of music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Consequently, surveys for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were developed to investigate the actual status and perceptions of music teacher system. Furthermore, an interview tool was develop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music teacher system from music teachers who had experience.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275 music teachers and 253 school administrato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elementary schools affiliated with Gyeonggi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that have music teacher system. Surveys were distributed to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from December 30, 2020 to February 5, 2021. 172 copies (62.5%) of the surveys for music teachers and 220 copies (87.0%) of surveys for school administrators were retrieved. For in-depth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interviews with 22 music teachers were conducted from May 24, 2021 to June 18, 2021 who wished to be interviewed among the survey respondents. The survey analysis on the actual status and perception of music teacher system was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chi-squared test(χ²) using SPSS 28. The interview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by coding data from recorded transcription and interview not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status of music teacher system and perceptions of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status of music teacher system, music teachers preferred music subject and wanted to be music teachers due to their professionalism. However, there were difficulties resulting from burden of school work and teaching multiple subjects. School administrators tried to operate music teacher system by selecting professional music teachers according to the needs of classroom teachers. There are a number of music teachers who teach music in a music classroom that is not equipped with musical instruments and soundproofing. In addition, contents from online were being used in class instead of musical instruments. Music teachers value practical skills and they are developing their professionalism by applying music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to their music classes. For music teacher system to be activat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nditions for music teachers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and to teach music subject intensivel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erception of music teacher system,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are aware of needing music teacher system for students' musical growth and development. However, music teachers have difficulties due to other school work, student guidance, music classroom environment, teacher treatment, and relationship with classroom teachers. School administrato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usic subject specialization of music teachers, but it is difficult to secure teachers with music professionalism and classroom teachers do not prefer music teacher system which makes it hard for the school to operate music teacher system. In order to stimulate music teacher system, music classroom environment and treatment of teachers are important, but it is important that professional music teachers are assigned priorly so that school members are aware of necessity for music teacher system.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actual status of music teacher system and perceptions of music teachers and school administrators, there were perception gap in criteria for music selection, music room facilities, perception of the activation of music teacher system, and support from the school and Office of Education. There must be a clear standard for objective judgment as to whether a teacher has the right qualification for being a music teacher. School administrators consider music teacher system more important than that of music teachers and perceive that music classroom facilities and support for music classes are in good condition. There should be support for musical instruments and learning materials required for music class through communication with music teachers who actually teach music classe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terview survey conducted with music teachers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music teacher system, the music teachers feel rewarding and satisfied while teaching music but face various difficulties as a music teacher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tinue to be music teachers. In spite of the difficulties, music teachers are continuously striving for musical growth of their students and developing their professionalism. School members are requir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professional music teachers to do better in music classes, and to cooperate so that the music teacher system could be well established to provide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tual status and perceptions of music teacher system, music teachers must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with passion and sense of duty and work hard to do well in music classes in order to stimulate the music teacher system. School members should raise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music teacher system, and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consider music subject specialization preferentially when assigning music teachers. The Office of Education should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so that professional music teachers can continue to take charge of music subject. At the beginning of implementation of subject teacher system, training was conducted at the Office of Education so that music teachers could have professionalism along with other support. The Office of Education needs to create a talent pool to manage music teachers as part of supervision over the operation of music teacher system. It is necessary to secure professional music teachers priorly, so that music education can be continuously conducted with enough music teachers. With the efforts of music teachers, school members’ awareness, and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good quality music education will be realized systematically by the music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 지역 초등학교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와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학교 관리자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문제는 1) 경기도 지역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는 어떠한가? 2)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에 대한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의 인식은 어떠한가? 3)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에 대한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의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4)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가 인식한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바탕으로 한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교과전담제, 음악교과 전담교사제, 음악교사의 전문성에 관한 문헌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교과전담제의 변천과정을 준비 단계와 시행 Ⅰ단계, 시행 Ⅱ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음악교과 전담교사의 전문성을 탐색하여 연구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에 따라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기 위하여 음악교과 전담교사 설문지와 관리자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음악교과 전담교사의 경험을 통한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 도구를 개발하였다. 설문 조사 연구 대상은 경기도교육청 소속 초등학교 중에서 음악교과 전담교사제를 운영하는 학교의 음악교과 전담교사 275명, 관리자 253명이다. 2020년 12월 30일부터 2021년 2월 5일까지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음악교과 전담교사 설문지는 172부(62.5%)를 회수하였고, 관리자는 220부(87.0%)를 회수하였다. 설문결과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위하여 설문 응답자 중 면담을 희망한 음악교과 전담교사 22명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24일부터 2021년 6월 18일까지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음악교과 전담교사제 실태 및 인식에 대한 설문 조사 분석은 SPSS 28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t검정, 일원 변량분석(ANOVA), 카이검정(χ²)으로 양적 분석하였다. 면담 조사 결과는 녹음 전사, 면담 메모 등의 자료를 코딩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와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음악교과 전담교사는 음악을 선호하고 전문성이 있어서 음악전담을 희망하였으나, 학교 업무 부담과 복수 교과 지도로 어려움이 있다. 관리자는 학급담임들의 요구에 따라 전문성 있는 음악교과 전담교사를 선정하여 음악교과 전담교사제를 운영하고자 하였다. 악기 구비와 방음시설이 안 된 음악실에서 음악수업을 하는 음악교과 전담교사가 다수 있고, 악기 외에도 온라인 콘텐츠를 수업에 많이 활용하고 있었다. 음악교과 전담교사는 음악교사의 전문성으로 실기 능력을 중요시하며, 음악교수법과 자료를 수업에 적용하면서 전문성을 개발하고 있다. 음악교과 전담교사제를 위하여 전문성이 있는 음악교과 전담교사가 전문성을 개발하며 음악교과를 집중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는 학생의 음악적 성장 발달을 위해 음악교과 전담교사제가 필요하다고 인식한다. 하지만, 음악교과 전담교사는 학교 업무, 학생지도, 음악수업환경, 교사 처우, 학급담임과의 관계 등으로 어려움이 있다. 관리자는 음악교과 전문성이 있는 교사를 전담교사로 배정하고자 한다. 그러나 음악교과 전문성이 있는 교사 확보가 어렵고, 학급 담임들이 음악교과를 전담교과로 비선호하여 음악교과 전담교사제 운영에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한다. 음악교과 전담교사제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음악실 환경, 교사 처우도 중요하지만, 전문성 있는 음악교과 전담교사가 우선 배정되어, 학교 구성원들이 음악교과의 전담교육 필요에 대한 인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와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관리자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음악전담 선정기준, 음악실 시설, 음악교과 전담교사제 활성화에 대한 인식, 학교 및 교육청 차원의 지원에 대하여 인식의 차이가 있었다. 학교마다 음악교과 전담을 선정할 때, 음악교과 전문성을 갖춘 교사라는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는 명확한 기준이 있어야 하겠다. 관리자는 음악교과 전담교사제 활성화에 대한 인식이 음악교과 전담교사보다 높고 음악실 시설, 음악수업을 위한 지원이 잘 된다고 인식한다. 실제 수업을 하는 음악교과 전담교사와 서로 대화와 협의를 통하여 음악수업에 필요한 악기와 학습자료에 대한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하여 음악교과 전담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면담 조사를 분석한 결과, 음악교과 전담교사는 음악을 가르치면서 보람과 만족을 느끼지만, 전담교사로서 겪는 여러 가지 어려움은 음악전담을 지속하기 어렵게 한다.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음악교과 전담교사는 학생들의 음악적 성장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노력하며 전문성을 개발하고 있다. 학교 구성원들은 전문성 있는 음악교과 전담교사가 음악수업을 잘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며, 음악교과 전담교사제가 잘 이루어져 아이들의 음악적 성장이 있는 음악교육이 될 수 있도록 협조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음악교과 전담교사제의 실태와 인식을 분석한 결과, 음악교과 전담교사제가 활성화되기 위하여 음악교과 전담교사는 열정과 사명감을 가지고 전문성을 개발하며, 음악수업을 잘 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학교 구성원들은 음악교과 전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관리자는 음악교과 전담교사 배정 시 음악교과 전문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교육청에서는 전문성 있는 음악교과 전담교사가 음악전담을 지속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을 해 주어야 한다. 교육청에서는 음악교과 전담교사제 운영에 대한 관리 감독의 일환으로 인력풀을 만들어 음악교과 전담교사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전문성 있는 음악교과 전담교사를 먼저 확보하여, 음악전담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학교에 음악전담 정원이 확보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음악교과 전담교사의 노력과 학교 구성원들의 인식, 교육청의 지원이 있을 때 음악교과 전담교사제는 음악교과 전담교사에 의해 체계적으로 음악교육이 잘 이루어질 것이다.

      • 영어교사 관련 정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연구

        이은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03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English Teacher Related Policies Lee, Une-hee Major in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primary school teachers about English Language Education Policies: Native English assistant instructors, English conversation specialists, and English language 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s. There were 80 questionnaires which were analysed to have the data wha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nk about three policies. Five interviewees I talked with about the subjects in person. Sixty percent of the teachers who have answered the questionnaire were majored in Elementary English Language Department whether it is graduate or undergraduate. Among 80 teachers, 43(54%) people works in Gyeonggi province, 32(40%) people from Incheon, and 5(6%) from Seoul. 69(86%) women and 11(14%) men are the teachers who answered. According to age, 25(31%) in twenties, 27(34%) is in their thirties, 22(27%) in forties, and 6(8%) in their fifties. The primary school teachers have positive opinions about native English instructors who co-teach with domestic English teachers in the classroom and think they can also develop their English abilities through the native English teachers needless to say that the students have the more exposure to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The strong negative opinion about the native English instructors is the high expense for one person and over work for the domestic Engish teacher because they are in charge of the whole job of the instructor. I think the students in the suburb area need to have native instructors more than those in the big city. We need to manage this system more regionally in terms of equal opportunity. On the contrary to native English instructors, the opinion of English conversation specialists is not that positive. The most big issue why the teachers have some negative views of them is the basic qualification that they don’t have the right to teach in the elementary school legally, although the teachers can’t ignore that the specialists are better in English abilities and have qualification in the field too. What I carefully suppose here for the problem is that the related experts, administrators, and school teachers need to have more discussion whether this system should be maintained or not and what more we need to compensate the defeat if it goes on. Over 80% of the teachers want to continue English language training course constantly and persistently regardless of policy change and more than 90% teachers welcome new English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for them. For the flow of times, new terms of the 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s is needed. We know that language ability is not built in one day, slow and steady is the answer. It tells all not only about English language policy but also about training program for the teachers how we plan to do. (Key words: Native English assistant instructor/ Domestic English teacher/ English conversation specialist) 영어교사 관련 정책에 대한 초등교사 인식 연구 이 은 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초등영어교육 전공 본 연구는 1997년에 우리나라 초등학교에 영어가 정규 과목으로 도입된 이후 시행되었던 주요 영어교육 정책들 중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제도, 영어회화전문강사 제도, 초등영어 교사 연수 제도에 대한 초등학교 현직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그 시사점을 찾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5명을 포커스 그룹으로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과 인터뷰 결과를 통한 관련 내용은 교사들의 근무 지역, 성별, 나이(경력), 영어 연수 경험 등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제도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원어민 보조교사와의 협력수업은 영어 노출량의 증대, 학습 동기 증가, 문화적 체험 기회의 확대 등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장점과는 달리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으로는 높은 고용 경비와 원어민 보조 교사 고용과 관련한 행정적 업무의 증가가 있다고 하였다.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제도를 통한 협력수업이 지속적으로 필요한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지역별로 다소 다르게 나타났는데 서울 지역의 교사들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는데 가장 높은 의견을 보였고, 다음으로 인천, 경기도 지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어를 담당하는 교사들보다 일반 교사들이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제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았는데 이는 원어민 업무를 맡는 담당 영어교사들의 과중한 업무 때문이라고 하였다. 둘째, 영어회화전문강사 제도 실시에 대해서는 경기도, 인천, 서울 지역의 순으로 높은 채용 현황을 보였다. 교사들은 이미 학교에서는 이 제도가 나름대로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강사들의 수업을 수행할 수 있는 영어능력은 인정하였다. 하지만 이 제도의 초기 도입에 대한 의견은 긍정과 부정 비율이 거의 대등하게 나타났다. 부정적 의견의 이유로 가장 큰 것은 이들 영어회화전문강사들이 초등학교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기본적 자격에 다소 문제가 있다는 것이었다. 초등학생 지도를 전문으로 하는 교사 자격증이 없이도 영어교육 자격증이나 영어권 국가의 체류 경험(연수, 유학)이 선발 기준에 포함되어 선발되었기 때문에 일부 강사들에게서는 초등학교 교사로서의 학생들을 지도함에 있어서 아동에 대한 이해 등 기본적인 자질에 문제가 발생되곤 한다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을 위한 영어 연수 제도에 대해서는 80% 이상의 응답자들이 이러한 연수 프로그램 운영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일관성 있게 추진되어야 하며 교사들의 영어 능력 개발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에 실시되었던 연수 가운데 6개월 심화연수가 교사들이 가장 선호하는 연수로 조사되었으며 급변하는 영어교육의 상황에 맞는 연수 방식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상의 영어교사 관련 정책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나라 초등학교 현장에 필요한 영어교육과 관련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제도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활용할 필요가 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원어민과의 접촉이나 개인적 학습 기회가 적은 지역을 중심으로 우선적으로 실시할 것을 제안한다. 산촌이나 도서 벽지와 같은 소외된 지역의 학교에서는 원어민 영어보조교사를 통한 영어 노출, 영어 학습 동기 부여, 타문화적 체험의 기회가 더욱 절실하기 때문이다. 둘째, 영어회화전문강사 제도가 비교적 효율적으로 진행되어왔다고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제도에 대한 불만도 다양하게 제시되었으므로 이에 대한 보완 및 개선이 필요하다. 영어회화전문강사 제도와 관련한 여러 가지 문제점들에 대해서 관련 행정가와 전문가, 그리고 현장 교사들과의 협의를 통하여 이 제도의 유지 방안 혹은 폐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절실하다. 마지막으로, 초등영어 교사 연수 제도 또한 영어교육 패러다임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탄력적 운영이 필요하다. 다양한 상황에 따른 맞춤형 연수에 대한 꾸준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교사들의 영어교육 능력 개발을 위한 해외 연수나 유학의 폭넓은 기회 부여도 심도있게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원어민 영어보조교사, 영어회화전문강사, 교사 영어 연수

      •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전상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50703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 측정도구 개발 전 상 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컴퓨터교육전공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요구를 분석하여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 측 정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PCK(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와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의 교사 전문성 정도 측정 등 선행연구를 통해 요인과 하위요소를 탐색하고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델파이 조사를 2회 실시하여 도출된 요인, 하위 요소, 문항을 수정·보완하였으며 중요도, 타당도 등을 검토하였다. 이후 최종 적인 초등교사의 정보교과 수업전문성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현장 초등교사 를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생들의 요구 분석을 위해 경기도와 인천 소재 초등학교에서 정보교 과 수업을 받고 있는 3~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또한 델파이 조사에는 초등교육 전문가 그룹, 정보교과 전문가 그룹, 정보교 과 현장 전문가 그룹으로 구분하여, 15명의 전문가 패널이 참여하여 의견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측정도구는 경기 및 인천 지역에서 근무 중인 979명의 초등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데이터는 SPSS 프로 그램으로 분석하여 성별, 교직경력 등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평균 차이 및 상관관계 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요구와 현재 초등교육 현장에서 근무하는 교사들 사이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부 터 문제점과 발전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할 수 있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교사의 관계 전문성과 교육방법 전문성을 가장 중요 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보교과 수업에서는 문제해결 과 학생 중심의 수업이 강조되며, 학생들은 효과적인 교육방법 전문성과 관 계 형성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새로운 기술과 도구에 대한 개 선노력 전문성도 요구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1차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델파이 조사를 통해 최종 도구를 완성하였다. 이 도구는 7개 요인(교육내용, 교육방법, 평가, 학생이해, 환경 이해, 유연성, 개발노력)로 구성되어 있으며, 35개 문항으로 이루어져 있다. 설문조사 결과에서는 초등교사들이 일부 영역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주제어: 수업전문성, 초등교사, 정보교과, 측정도구, 학생요구, PCK, 개선방안

      •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실태와 효과적인 운영 방안

        황기욱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03

        국문 초록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실태와 효과적인 운영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교육행정·교육사회전공 황기욱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공동의 가치와 비전 아래 지속적이고 협력적인 연구, 실천 및 성찰, 공유를 통하여 공동체 구성원의 전문성 신장과 학생의 행복한 성장을 추구하는 학습 조직으로 정의되며 학교 교육의 질 제고를 위하여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인천의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교사 중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양적 연구를 통해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실태와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2.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위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문적 학습공동체에 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고, 다양한 선행연구의 설문지 문항을 바탕으로 재구성한 문항을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영역은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운영 실태를 묻는 설문, 교내형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을 묻는 설문으로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인천광역시 일반학교 초등교사 75명, 혁신학교 초등교사 50명의 설문을 취합한 후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 분석, Cronbach-α 신뢰도 계수 산출, 독립 표본 t검정, χ2 검정(교차분석),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배경 변인별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실태와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대하여 분석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분석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의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실태에 대하여 학교 유형과 상관 없이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잘 운영되고 있는 영역은 학교의 비전과 교육철학의 공유, 자발성과 동료성, 공동 연구, 실천과 성찰, 협력과 정보 영역이었다. 하지만 일반학교의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는 혁신학교보다 행정업무 경감을 위한 인적 지원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모두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적정 인원 수, 구성원, 조직 방법, 운영 횟수, 운영 방식에 대하여 공통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일반학교와 혁신학교 모두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가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지원 과제인 교원업무경감 지속적 추진, 정기적인 학습공동체의 날을 지정하여 운영시간 확보, 전문적 학습공동체 연구를 위한 예산 지원, 전문적 학습공동체 연구를 위한 공간 마련, 전문적 학습공동체 예산 집행 업무 협조 및 지원, 학교 구성원의 비전 공유와 공감대 형성, 학교장의 리더십과 리더 교사의 솔선수범, 민주적 학교문화 조성, 성과급이나 근무평가와 연계되지 않은 교사의 참여 확보,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의 자율성 강화, 교내 전문적 학습공동체 우수사례 공유 모두에 동의하는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성별, 교육경력, 직위, 학교 규모에 따라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실태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집단 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성별, 교육경력, 직위에 따라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효과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집단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리더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전문적학습공동체의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운영 방안에 대하여 깊게 고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핵심어: 교내형 전문적 학습공동체, 운영 실태, 효과적인 운영 방안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