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조직사회화와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기주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카리타스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50719

        본 연구는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조직사회화와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관련된 조사와 분석을 실시하고,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조직사회화와 조직몰입의 요인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의 직무만족의 향상을 그 목적으로 둔다. 연구문제는 이러하다. [연구문제 1]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사회화,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를 확인한다. [연구문제 2]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조직사회화, 조직몰입 그리고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다. [연구문제 3]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조직사회화와 조직몰입이 직무만족의 각 하위요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충북지역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 220명을 대상으로 2023년 9월 25일부터 10월 6일까지 약 2주에 걸쳐 218부를 회수하였다. 측정도구로 직무만족은 직무기술지표(Job Description Index, JDI), 조직사회화는 조직사회화 척도(Content Areas of Socialization: CAS), 조직몰입은 Meyer & Allen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각각 Cronbach's α = 0.87(직무만족), 0.85(조직사회화), 0.88(조직몰입)의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는 이러하다. 조직사회화는 연령, 직위, 최종학력, 월 평균급여, 사회복지 총 근속이, 조직몰입에서는 연령, 직위, 월 평균급여 사회복지 총 근속 연수, 현 기간 근속 연수, 사회복지 자격등급이, 직무만족에서는 직위, 현기관 근속 연수, 사회복지 자격이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발생시켰다. 상관관계에서는 조직사회화와 조직몰입이 모두 직무만족과 정적(+)인 관계성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조직사회화의 하위요인인 목표가치는 직무만족의 직무자체, 감독, 동료, 승진 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조직몰입의 하위요인 정서적 몰입은 직무자체와 관련이 있고, 규범적 몰입은 승진과 관련이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서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이 목표가치를 가지고 직무를 수행하는 것에 큰 만족감을 느끼고, 그럴 때 정서적으로도 조직에 대한 애착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톨릭 사회복지기관 종사자들에게 가치중심의 교육과 업무실천은 여전히 중요하며,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교육과 조직 적응 과정을 추구할 필요가 있다.

      • 한국 가톨릭 여자수도회의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연구

        김경숙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50703

        1888년 한국에 진출한 가톨릭 여자수도회는 이 땅의 가톨릭 사회복지의 시작과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현재도 가톨릭 교회내이 가장 비중이 큰 사회복지서비스의 전달주체로 자리하고 있다. 이처럼 가톨릭 사회복지 안에서의 수도회의 역할이 매우 큼에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사회복지위원회에서 조사한 기초적 실태분석 외에 선행연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가톨릭 여자수도회의 사회복지사업 실태를 파악하여 현재의 상황을 이해함으로써 보다 나은 사회복지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체의 효과성을 논의하는 포괄적인 틀인 투입(input), 실천과정(throughput) 및 산출(output)의 체계와 평가를 적용하여 구성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1997년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사회복지위원회에서 발간한 천주교 사회복지편람에 사회복지시설 운영체로 기재되어 있는 52개의 수도회 중 조사에 응한 40개의 여자 수도회였다. 조사에 응한 수도회 가운데 57.5%가 설립된 지 30년 이상이었으며, 과반수는 회원이 100명을 넘었고 회원수가 400명 이상이 되는 수도회도 7개나 되었다. 지역별 분포를 보면 농어촌지역보다는 도시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었고, 각 수도회에는 평균 12명의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지닌 회원이 있었다. 수도회의 사회복지활동의 투입요소로 살펴본 설립목적과 전문인력양성, 재정은 다음과 같다. 설립목적은 '가난하고 고통받고 소외된 자에 대한 우선적 선택과 봉사'라는 뚜렷한 대상과 가치관으로 사회복지활동의 기반이 되고 있었다. 또한 수도회는 다양한 회원양성계획으로 전문지식과 기술을 소지한 전문인력을 양성하여 사회복지활동에 참여시키고 있었다. 재정으로는 전체수도회의 재단법인 예산 중 평균 25.7% 를 사용하고 있었다. 수도회 사회복지사업의 실천과정은 사업의 계획을 먼저 살펴보았다. 수도회가 새로운 사회복지사업을 시작하는 중요한 계기는 회원과 교구의 요청이었다. 관련을 맺고 있는 교회내의 사회복지 기관도 대부분 주교회의 사회복지위원회와 교구 사회복지기관 뿐이었다. 그러므로 수도회는 좀 더 다양한 네트웍을 통해 교회와 수도회라는 일정한 관심과 틀을 넘어 사회문제를 폭 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많은 지식과 정보를 얻게 되기를 바라고 있다. 또한 65%의 수도회는 사회복지 전담 책임자를 두고 분명한 역할과 책임을 부여하고 있었으며, 모임을 통한 전체의 지지 및 동의를 얻어 의견을 수렴함으로써 사회복지의 서비스 자원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다. 수도회 사회복지활동의 서비스 산출은 구체적으로 시설의 형태를 세분화하여 파악하였다. 전체의 시설 수는 329개로 집계되었으며 그 중 비인가 시설이 80개로 약 25%를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비인가 소규모 시설의 증가는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면서도 법 규정에 맞지 않는 사회의 약자들을 돌봄으로 복지의 사각지대를 없애려고 수도회가 노력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분야별로는 아동과 노인을 위한 시설이 가장 많았고 청소년문제와 요보호 여성문제에 대한 활동은 저조하게 나타났다. 수도회의 대부분은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을 느껴 자체적으로 평가를 하고 있었고, 일부 수도회는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평가를 하고있다. 평가의 기준은 설립목적과 복음정신,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만족도 순서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는 다음 활동을 계획할 때 반영되고 있다. 위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1. 수도회의 설립목적에 맞추어 수도회는 자신들의 사회복지활동을 검토하며 시대의 징표를 연구하여 새로운 사회문제에 신속히 대처해야 한다. 2. 인적자원과 재정자원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인력양성을 위한 수도회의 지속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또한 안정된 재정자원을 위해 시설이나 기관자체의 노력과 함께 사회여론형성 및 사회교육을 실시하는 등의 다양한 노력을 해야한다. 3. 수도회 사회복지 전담 책임자를 두고, 이들의 모임을 활성화시켜 수도회들간의 정보교환 및 협조와 서비스 조정을 이루어야 한다. 4. 수도회의 사회복지활동은 복지서비스의 사각지대에 있는 사회적 약자들을 우선으로 돌보는 노력과 관심을 지속해야 한다. 5. 정부나 행정기관과의 상호공존체계로 설립, 운영하는 체제가 늘어나고 있다. 이런 체제아래 사회복지 활동에 대한 더욱 전문적인 평가를 통해 질 높은 서비스의 제공과 투명하고 건실한 운영으로 자율적인 운영권리를 보장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In 1888, catholic convent put their first step in Korea to help the poor and people who desperately need their help. They became first group who start social welfare program in Korea. They are trying to promote social work and that's the most important part of all social work in Korean Catholic Church. Unfortunately, we found out that no study officially has done for them even though their action gave many influence to social welfare program now days in Korea except only one basic case study existed by Committee-Bishop, Conference of Korea(C.B.C.K). So this study was done to present the data for social work activities better than before by understanding about the realities of social work of Korean Catholic Convent. For the purpose, this study was surveyed by three factors; Input (Begin), Throughput (Performance), Output (Outcom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40 convent out of all 52 congregations that registered as social work facility in the book called Social Work Statistics published by Committee-Bishop, Conference of Korea (C.B.C.K) in 1997. 57.5% of convents who answered survey founded in Korea more than 30 years. Half of conv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urvey have more than 100 people as their member and those who have more than 400 people of member were 7 congregation. For their active area, they located in urban area more than rural area. They actively work more in urban area. Each convent has average of 12 people who have official qualification of social work in their group member. The first is the content of 'Input' by the social work activities of the convent. Foundation of Convent Goal is to help the poor and people who isolate from society. They chose above goal to be their priority concern in their activities. They also have many social work educational programs education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get more people to involved in social work field with professional knowledge. In the financial aspect, they spent average 25.7% of their spending from convent corporation budgets. The second factor is 'Throughput'. Let's look at how they start their activities. Actually, many convents start their social work by members request or parishes request. There is some concern that their source is too limited to start their action in other areas because they only use Committee-Bishop, Conference of Korea.(C.B.C.K) and parishes social work facility as their source. So convent put more efforts these days to have more sources to get in touch with many social issues and many different source of information. 65% of convent put professional person in charge of handling only social welfare work to improve their service and communication. In the Output side, this study divide convents activities as follow. Totally they are 329 facilities in Korea and 25% of facilities are not approved (80). Increasing of this kind of facilities show that convent put a lot effort to help more people who are not eligible for help officially. They have many facilities for children and elders. However, their activities on teenager and women are very few. Most of convents feel that they need to evaluate their facility by themselves and a few of them get evaluation from professional evaluator in outside. The purpose of this evaluation is to find their purpose of foundation, spirit of gospel and satisfaction of their clients. Thus, their evaluation used as good source to improve their future activities. The following are suggestions from this study. 1. A convent has to deal with new social issues promptly for the purpose of foundation. 2. To overcome with lack of men power and financial source, they must keep their efforts on educating their member and to make their finance source stable. They have to make efforts with coordination of creating social issue for importance of social work activities and social work education. 3. A convent must make professional person in charge of only for social work to improve their communication with other convent as sharing information, cooperation with other facility and modification of their service. 4. A convent must look for the people who need their help and must help them without any prejudice. 5. Recently, many social work facilities increasingly are being created by government or administration. Under this kind of system, convent must work hard to get their system moving as effective as before throughout self-evaluation with more professional eye to provide high value service and to maintain stable performance in order to guarantee their authority of running social work program.

      • 사회복지조직의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와 종교적 기반이 사회복지사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희정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03

        This study starts with a premise that social workers' active and innovative practice will help to increase the quality level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be ultimately effective for achieving the goals of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ne of the factors influencing social workers' practical actions is organizational culture. The present study made an assumption that if an organization creates a culture of placing importance on democratic communication and mutual trust and consideration to make proper reactions to a changing environment, it will boost the morale of its social workers, help them increase their trust and sense of duty for their organization, and eventually lead to their innovative behavior to promote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Given that a majority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 nation were managed by religion-based organization, the study recognized a need to investigate empirically whether social workers' innovative behavior would be affected by their organization's religion-based. The study thus set out to search for effective plans for human resource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to improve organizational achievements by facilitating the expansion of research o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encouraging social workers to do creative and innovative activitie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sampled social workers at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eoul according to religion and conducted a survey with them. Total 201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recorded average 3.65 in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indicates that there was a strong tendency for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 nation; second, social workers' innovative behavior were assessed based on three factors including two activities within the organization, service innovation and work innovation, and an activity outside the organization, advocacy for social welfare. They scored mean 3.47 in innovative behavior. Each of the variables had a mean score higher a median value, which suggests that social workers considered their innovative behavior to be positive;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ve behavior according to the religion of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m, either, according to the religion(religious order) of the management corporation; and last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 that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had positive(+) effects on social workers' innovative behavior and that the religion-based of their organization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innovative behavior.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benefit from positive mutual concern and consideration and develop fellowship, solidarity, and attachment for their organization in its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to valu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based on trust. These factors, in turn, increase their sense of duty and lead to their innovative thinking and practical activities. That is, when social workers recognize that their organization has a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 culture, they will feel that they receive proper aid, support, respect, and consideration from the organization and thus have a greater tendency for innovative behavior based on their increased trust in the organization. These findings raise a need to create a relation-oriented culture at an organization and introduce an organizational system to support it so that it will achieve its goals as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effective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vided the following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irst,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an organizational culture to value interpersonal relations based on trust, consideration, and communication can have impacts on social workers' professional practice based on their interactions with clients and proposed effective human resource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plans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second, it was a strong belief that a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places importance on the maintenance of the internal system and is passive about environmental changes, would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members' innovative behavior. The present study, however, showed that there were positive(+) connections between them, thus contributing to the reestablishment of theoretical relations between the concept; third, the study raised a need for a systematic human resource management system based on accurate personnel information and data in addition to the reinforcement of an activity support system within the organization including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the network so that social workers could think and perform in a creative and innovative way; fourth, given the finding that the religion-based of an organiza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members' innovative behavior, it is needed for a religion-based social welfare organization to do ethical management for changes and innovations and provide its members with supports as a professional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o that they will practice profession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social welfare values; and finally, if an organization creates an atmosphere and system to encourage and support innovation within it, it will help its members take interest in innovation and make an attempt at various activities to realize it. There is a need to keep developing the factors to have positive influences on innovative behavior in a relation-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and create an organizational atmosphere and supportive system to facilitate and reinforce such innovative behavior. There is a big possibility of conservative and passive organizational culture at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due to their standardized activities according to the related policies and institutional frameworks and their structural characteristics as an organization supervised by managed corporation. There should be ongoing researches to figure out which organizational culture will be useful for improving organizational achievement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roles of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upposed to make sensitive reactions to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client needs. Such researches will provide more empirical concepts and richer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social workers' practical activiti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능동적이고 혁신적인 실천이 사회복지서비스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궁극적으로 사회복지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효과적일 것이라는 전제로부터 출발한다.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실천적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하나가 조직문화이며, 변화하는 환경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하여 조직이 민주적인 의사소통, 상호 신뢰와 배려 등을 중시하는 문화를 조성한다면 이는 사회복지사의 사기 증진과 더불어 조직에 대한 신뢰를 고취시켜 결국 조직의 효과성을 높이는 사회복지사의 혁신적인 활동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또한, 국내 사회복지조직의 다수가 종교기반 법인에 의해 운영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이러한 사회복지사의 혁신행동이 조직의 종교적 기반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의 조직문화 연구의 확장을 도모하고, 사회복지사들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활동을 통해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인적자원 및 조직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의 사회복지 이용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종교기반 사회복지조직과 비종교기반 사회복지조직으로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집된 201명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조직의 관계지향적 조직문화는 평균 3.65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국내 사회복지조직에서는 관계지향적 조직문화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혁신행동은 사회복지사들의 조직 내 활동인 서비스 혁신행동과 업무 혁신행동, 그리고 조직 외 활동인 사회복지옹호활동의 3가지 요인을 통합적으로 바라본 것으로써 평균 3.47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들의 평균값이 중앙값 이상으로 도출되어 사회복지사들이 스스로의 혁신행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사회복지조직의 종교적 기반에 따른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으며, 운영법인의 각 종(교)단별에 따른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와 혁신행동의 차이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관계지향적 조직문화는 사회복지사의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조직의 종교적 기반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신뢰를 기반으로 소통과 참여를 중시하는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에서 구성원들은 상호 간의 긍정적인 관심과 배려를 받으며, 조직에 대한 유대감과 결속력, 애착심 등을 느끼게 되고 이러한 요인은 구성원들의 사명감을 높여 혁신적인 사고와 실천적 활동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사회복지사들이 자신이 속한 조직이 관계지향적 조직문화라고 인식할수록 조직으로부터 적절한 지원과 지지, 존중과 배려를 받고 있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고, 이에 조직에 대한 신뢰가 높아져 혁신적인 행동을 수행하려는 경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조직에서 조직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직 내 관계지향적인 문화 조성과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조직 체계가 필요함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따른 이론 및 실천적 함의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신뢰와 배려, 소통을 기반으로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조직 내 문화가 클라이언트와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하는 사회복지사의 전문적인 실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사회복지조직의 효과적인 인적자원 및 조직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둘째, 내부 체재 유지에 가치를 두고 환경 변화에 소극적인 관계지향적 조직문화가 구성원들의 혁신행동에 부정적일 것이란 인식이 높았으나 본 연구 결과에서 정(+)의 관계로 나타남에 따라 각 개념들 간의 이론적 관계를 재정립하는데 기여하였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의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사고와 업무 수행이 가능하도록 교육 및 네트워크 참여 등의 조직 내 활동지원 시스템과 더불어 정확한 정보와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넷째, 조직의 종교적 기반이 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종교기반 사회복지조직에서는 변화와 혁신을 위한 윤리적 경영이 요구되며, 전문적인 사회복지조직으로써 조직구성원들이 사회복지적 가치에 따른 전문적인 활동을 실천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조직 내 혁신을 장려하고 지원하는 분위기와 체계를 조성하면 구성원들은 혁신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을 시도할 것이다. 따라서 관계지향적 조직문화에서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계속 발전시키는 것과 더불어 혁신행동을 촉진하고 강화할 수 있는 혁신적인 조직 분위기와 지원체계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사회복지조직은 관련 정책과 제도적 틀에 따른 정형화된 활동 수행과 운영법인의 산하 조직이라는 구조적인 특성 때문에 보수적이고 수동적인 조직문화가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변화하는 환경과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민감하게 대응해야 하는 사회복지조직의 역할을 고려하여 어떠한 조직문화가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유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는 사회복지조직 특성에 따른 조직문화 연구와 사회복지사의 실천 활동에 대한 보다 실증적인 개념과 풍성한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주요어 : 관계지향적 조직문화, 종교기반, 혁신행동

      • 개인적 특성과 환경적 특성이 사회복지분야 자원봉사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서울지역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희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고등학교에서 시행되고 있는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제도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통해 고등학생들의 자원봉사 참여 실태를 파악할 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저조하게 나타나는 사회복지분야 자원봉사 참여율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했다. 또한 사회복지분야 자원봉사 참여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찾아 인관관계를 규명하여, 사회복지분야 자원봉사 참여율을 높여 쏠림현상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 참여한 조사 대상자는 서울 지역의 고등학교로서 한강 북쪽에 위치한 2개 고등학교와 한강 남쪽에 위치한 2개 고등학교, 총 4개 학교 410명의 고등학생이다. 각 학교 교감 선생님의 도움을 받아 직접 설문지를 배포하고 회수했지만, 불성실하게 응답한 학생이 65명으로 집계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통계분석 등 연구결과 도출을 위해 사용된 설문지는 345부이다. 자료분석 시 사용된 통계프로그램은 SPSS(ver.15.0 : SPSS Inc., 2000)이며, 이 프로그램을 통해 기술적인 통계분석, 단순.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및 다중공선성을 확인 하였다. 사용된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크롬바하-α 계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의 자원봉사 참여 실태를 보면, 주로 학교 수업이 없는 토요일(놀토)과 방학기간을 이용하여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연평균 자원봉사활동 참여시간은 설문 응답자 중 약 70%가 10시간 이상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시 교육청이 권장하는 20시간 이상을 참여한 학생은 설문 응답자 중 30% 미만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평균 적정 자원봉사 참여시간을 묻는 질문에도 절반 이상인 56.2%가 20시간 미만이 적정한 수준이라고 답변했다. 둘째,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참여의 쏠림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사회복지분야에서의 자원봉사활동 참여율을 높여 나가야 한다. 이를 위해 정부와 교육기관은 청소년들의 개인적인 특성 중 본 연구에서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난 자원봉사의 긍정적 효과성 인식을 높이기 위해 반드시 자원봉사 활동의 이해를 돕는 교육을 받은 후 자원봉사 활동에 임하도록 해야 한다. 좀 더 높은 교육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 사회복지기관 및 시민단체 등에서 활동하는 기관 종사자들을 강사로 초빙하여 교육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청소년의 여러 환경적 특성들 중 사회복지분야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부모의 학습참여로 나타났다. 이 부분은 부모가 자녀에게 갖는 관심으로 해석될 수 있는 만큼, 부모는 학교에서의 학습활동 뿐 아니라, 자원봉사 활동을 통한 소중한 경험들도 청소년기에 반드시 습득해야 할 또 하나의 중요한 과업임을 자녀가 알게 하고, 자원봉사 활동 참여를 지속적으로 권유해야 할 것이다. The research is based on a youth volunteer service system that is currently operating in a high school. Through this investigation, I’ve understood the actual condi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volunteer service, and also pointed out problem of low rate of participation in society welfare volunteer service. This research is also to offer basic information to find out the cause of problem on volunteer service and help to restore the lack of participation of volunteer service from students. This is the summary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looking at the real conditions of students, they participate the volunteer service during Saturdays, when they don’t go to school or during the holiday. Second, in order to get students involve in the society welfare volunteer service and increase the participation rate, rather than changing the student’s environment characteristic, making a policy that increases the spontaneity and altruism of students, which are the personal characteristic, and also understanding the positive effect of volunteer service will be more effective. Educating students to recognize the positive effect of volunteer service is very important. Third; To change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 we can progress practice program regularly. Rather than using staff in the school, it will be more useful to use a staff that’s in charge of society welfare work field or citizen organization, will be more effective for the student’s education.

      •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남은정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통합적 관점에서 학습조직을 분석한 Watkins & Marsick의 학습이론을 수용하여 7가지의 학습조직 구축요인을 바탕으로 조직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서울시 소재 지역사회복지관의 학습현황과 학습조직구축 정도를 살펴보았다. 특히 직무만족과 직무성과를 중심으로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조직 구축요인을 분석함으로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조직구축과 조직효과성의 제고 방안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하여 학습조직과 조직효과성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고,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조직 구축요인 및 조직효과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기간은 2010년 9월 15일부터 10월 25일까지 하였으며, 총 40개의 사회복지기관 총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조직효과성 전반적인 수준을 분석한 결과 학습조직 구축요인에 대한 인식수준은 전략적 리더쉽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고,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수준은 평균 5점 만점에 3.72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조직 구축요인에 대한 인식수준을 살펴보면, 학교법인, 여자, 대학원 재학이상, 과장급 이상이 학습조직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수준은 학교법인, 대학원재학이상, 과장급 이상, 6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사회복지사가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성별 간에는 유의한 평균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조직 구축요인, 조직효과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조직효과성 하위변인 간의 관계에서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직무만족,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직무성과 간에 유의한 정적으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조직 구축요인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복지조직에서 학습조직 구축요인은 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전략적 리더쉽과 팀학습이 조직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팀학습과 지식공유 시스템이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조직을 대상으로 학습조직 이론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한 결과 학습조직이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회복지사들은 전략적 리더쉽을 통해 팀학습과 지식의 공유를 통해 전문가로서의 실력을 갖추기 위한 지속적인 학습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한 사회복지조직의 학습조직 구축요인과 조직효과성에 대한 함의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Watkins & Marsick의 학습이론을 수용하여 통합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고, 특히 학습조직 구축요인 7가지 중 전략적 리더쉽과 팀학습, 지식의 공유가 사회복지조직의 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미를 부여할 수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조직과 사회복지 모두 학습조직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높이며 학습조직을 실천하는 조직문화 형성의 기회를 제공하여 지역사회에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대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사회복지기관으로서 전문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 사회복지조직에서 다양한 형태로 진행되는 학습을 보다 체계화시키고, 사회복지조직의 향후 학습조직 활동은 활성화될 것이고, 궁극적으로 사회복지조직의 학습효과를 높혀 조직의 효과성을 창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 Eun-Jung Nam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upervisied by Prof. Jung-Ho Park This research studied about the status of learning and extent of study organization building of general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t Seoul city to find out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based on 7 learning building factors by taking the Watkins & Marsick's learning theory to analyze learning organization in the aspect of integration. Putting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suggesting implication on the building of learning organization and improvement of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by analyzing the learning organization's building factor that effect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focused in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To achieve the goal of this research,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suggested through literature consideration on learning organization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and survey was implemented concerning factors of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Data collection term for this research is from September 15, 2010 to October 25, 2010, surveying total of 27 people in 40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he analyzed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ly, after analyzation of overall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s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e awareness level of learning organization concerning strategic leadership proved the highest, and the awareness level of organization effectiveness turned out to score 3.72 out of 5. Secondly, looking at the awareness level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s, the school corporate, female, acquired degree of masters or higher, position higher than managers had the highest awareness level. The awareness level of effectiveness in organization turned out the school corporate, acquired degree of masters or higher, position higher than managers, social worker with more than 6 years work experience scored the highest, however there wasn't much difference in the average between genders. Thirdly,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arning building factor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 and performance, and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 and job satisfaction correlated static turned out in the relations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lower rank of organization effectiveness. Fourthly, studying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zation to find out the effect of learning building factor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it turns out that there is a significant effect of learning building factor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n organization effectiveness. It could be seen that strategic leadership and team learning positively effects organization effectiveness especially, and team learning and knowledge sharing system gives positive effect also. In conclusion, the analysis of the applicability of learning organization theory to social welfare organization says that learning organization significantly affects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Especially, the analysis shows that social worker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need to learn continuously for professional ability through the team-learning based on strategic leadership and the knowledge-sharing.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 concerning the learning organization's learning building factor and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irstly, this research has a meaning on the point of accepting the learning theory of Watkins & Marsick on the integrating aspect. It especially has a meaning in showing empirical data that strategical leadership and team learning from the 7 learning organization factors, affects organization effectivenes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effects significantly. Secondly, social welfare organization can have professionalism handling the change of the times and provide professional service to local community by enhancing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nd social workers understanding and interest as well as providing opportunity to develop organization culture and practical learning organization. Finally, this research can systematize current learning with various types, and invigorate the future learning organizational activitie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Furthermore, it can contribute ultimately to create organization effectiveness through improving the learning effect of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 Key Word : Social Welfare Organization, Learning Organization, Learning Organization Building Factor, Job Performance, Organization Effectiveness, Job Satisfaction

      • 전인적 사회복지교육에 관한 사례 연구 : 구산후생학교를 중심으로

        김정환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상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1956년 설립된 한국 최초의 사회사업전문여성학교인 구산후생학교가 지닌 전인적 사회복지교육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이 오늘날의 사회복지, 특히 가톨릭 사회복지 교육에 지닌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산후생학교 교육과정이 졸업생들에게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1950년대 후반 한국 사회복지교육계의 상황과 구산후생학교의 상황을 정리했다. 이어서, 구산후생학교 졸업생들의 생생한 증언을 얻기 위하여 인터뷰 대상자 10명을 선정하여 반구조화된 심층 인터뷰를 한 후에 녹음한 인터뷰를 사례연구로 분석했다. 질적 연구를 통해 도출된 7가지 범주는 다음과 같다. ‘자신의 참 행복 추구인 나 하나의 세계’, ‘도움이 필요한 사람과 함께 살고 돕는 실습’, ‘클라이언트 중심의 실천을 찾아가는 실습’, ‘체험을 통한 재학 중 인식 변화’, ‘인간 존중’, ‘서로를 통한 성장’, ‘구산후생학교 교육의 내면화와 실천’이다. 사례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에서 바라본 구산후생학교 교육의 의의를 식별했다. 끝으로 구산후생학교 교육이 가지는 의미를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그것이 가진 실천적 함의를 정리했다. 연구결과 사회복지교육에 제안하고 싶은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교육은 인간에 관한 근본가치와 인문학적 소양교육이 중요하다. 이론과 더불어 생활에서 그 가치를 체험하고 실천하는 것을 학생들에게 모범으로 보여줄 수 있는 역할 모델이 필요하다. 둘째, 현장실습이 이론중심에서 실천중심의 교육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그로 인해 실습 시간이 특정 기간에 이루어지는 집중 실습이 아닌 전 교육과정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실천의 질을 높이기 위해 사회복지 기본가치와 현장 감각이 풍부한 슈퍼바이저(실습전담교수)가 배정되어 실습 동반이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복지대학은 졸업생을 위한 추수교육(follow-up service)을 통해 사회복지사로서 소명의 기준점을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지지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 조직문화 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종합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신운화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조직문화 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사이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의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수준을 알아보고,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특성을 비교해 봄으로서 조직문화와 직무만족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기업체나 공공조직과 구별되는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사회복지조직은 효과성을 증대하기 위한 방안에서도 일반기업과는 차별적인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사회복지조직은 서비스 전달과정에서 서비스 제공자와 서비스 대상자 간의 신뢰관계가 우선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의 대면접촉과 상호관계 속에 사회복지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다. 이에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조직에 대한 적응도, 만족도에 따라 서비스 수준에 많은 차이가 발생하므로,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최일선의 실무자들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을 알 수 있다. 사회복지조직의 이러한 특성을 감안할 경우 사회복지조직에서 복지서비스를 계획하고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은 조직 내의 사회복지사이며,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 활동의 성과는 일선기관 사회복지 실무자들의 전문성을 어떻게 발휘하느냐에 달려 있다. 결국 사회복지 서비스는 문제를 가진 개인이나 가족이 사회복지사의 인간적 상호작용이라는 수단을 통해 전달되는 것이어서 그 사업의 성패는 유능한 인력의 확보와 전문적인 인력이 계속적으로 일을 할 수 있도록 유지하는 것에 달려있다고 할 수 있다.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나타나는 조직문화 유형이 사회복지사의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의 수준은 어떠한가?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조직문화와 직무만족 특성이 달라지는가? 조직문화 유형과 직무만족이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를 연구문제로 상정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한 분석 자료는 서울시 소재 2002년 이후에 설립된 2개 복지관을 제외한 90개 종합사회복지관에 종사하고 있는 부장급·과장급 1명, 대리급·팀장급 1명, 일반사회복지사 1명으로 기관별 3명씩 총 270명의 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2005년 1월 방문조사와 우편조사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가운데 주요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의 구성요소인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중에서는 '집단문화'(3.95)가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긍정적 경향으로, '합리문화'(3.15)가 상대적으로 낮은 긍정적 경향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리더쉽, 보수, 승진, 기관, 동료관계 등 직무만족의 구성요소 중에서는 '동료관계'(3.96)에 대해 가장 만족하는 것으로, '보수'(2.58)에 대해 덜 만족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인구사회학적 특성별로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을 비교분석한 결과 남성이 여성보다 직무만족과 조직문화에서 높은 수치로 나타났고, 연령이 많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직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넷째, 조직문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직무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문화 중에서 집단문화와 개발문화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분석결과로부터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은 구성원들 사이의 신뢰감, 친밀감, 인간적 유대감, 인간적 배려를 우선시하는 집단문화 경향이 강한 조직문화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료들의 지지와 우호적 관계를 내용으로 하는 동료관계와 관련된 직무만족에 가장 만족하고 있다. 그리고 남성 사회복지사이면서 연령이 많고 직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문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즉, 서울시 지역사회복지관 그리고 복지관 구성원 상호간에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며 개방적 상호작용을 하고 신속하고 융통성있는 업무처리가 잘 이루어질수록 직무만족 정도가 높고, 집단문화와 개발문화는 직무만족의 하위범주인 기관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강하게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조직문화가 조직구성원들의 만족도가 크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사회복지조직에 있어서의 조직문화는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은 직무성과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조직문화를 조성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사들 사이의 친밀감·인간적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인간적 배려를 함으로써 사회복지사들의 소속감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이 직위에 대한 부담 없이 자신들의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다양화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도록 한다. 셋째, 복지관의 업무처리 절차와 규칙 등을 정하지만 융통성 있게 운영하도록 한다. 첫째 방안은 집단문화를, 두 번째와 세 번째 방안은 개발문화를 강화하는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이를 통하여 직무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집단문화와 개발문화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사회복지사들의 직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무환경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을 살펴본 결과 먼저, 장기근속자가 조직내에서 자연승급, 승진하는 문화를 형성하기 보다는 기관내 공정하고 객관적인 직무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에 기반 하여 공정하고 형평성 있게 승진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다섯째, 정기적인 직원면담을 통해 직원의 능력과 자질을 파악하고 그에 적합한 직무배치가 이뤄져야 하며 전문가로서, 조직의 소리더로서 자기개발을 위한 정규 교육, 워크샵 등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직원복지에 관심을 갖는 리더쉽을 발휘함으로써 동료 간 일반사회복지사와 선임사회복지간의 지지적 수퍼비전 체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 사회복지 관련법규들을 준수하면서 투명하고 합리적인 운영과 전문가적 기술함양을 통해 사회복지 기관 내, 사회복지 관련조직, 지역사회 내에서 기관의 공신력을 쌓아갈 때 사회복지사들의 소진을 예방하고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planned to analyze empiric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ssification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ocial workers focused on the community centers in Seoul. That is, this study checks the connection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job satisfaction by identifying the level of them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and compa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m. To accomplish effectiveness in operatio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must use peculiar alternatives in that they have totally different organization structures from other organizations like common enterprises and public organizations. First of all, social welfare organization have to make trust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providers and recipients in the service delivery process because social welfare services are provided under the face-to-face interactions and mutual relationship. In that regards, Social worker's stress level, affected by the organizational adaption rate and job satisfaction rat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deliver effective services. Considering this characteristic,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which are targeted for clients depends on how to spring up the specialty of the stress level social workers who plan and provide the welfare services in the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success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which are delivered through mutu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ers and clients depends on the possession of competent manpower. To check the influence and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job satisfaction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this study sets research questions as follows: "How is the level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Does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ke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and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job satisfaction? The data in this study is gathered from visiting and mailing survey to 270 social workers in 90 community welfare centers(3 social workers in each) in Seoul except 2 centers which were built after 2002 by direct interviews and mailing interview. The main analysis is able to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ut of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y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which are 4 classifications in organizational cultures, group culture(3.95) shows the most affirmative tendency and rational culture(3.15) result in low affirmative tendency comparably. Second, out of job, leadership, salary, promotion, organization and colleague-relationship which compose job satisfaction, colleague-relationship(3.96) acquire the highest number and salary(2.58) ranked at the lowest level. Third, in socio-demographic comparison analysis, male, old-age and high position social worker have the higher scores i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job satisfaction than the others. Fourth, the more positive evaluation the social worker makes with regard to organizational culture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he has. Moreover,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mak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 job satisfaction which is dependent variable positively. By this analysis result, we can identify th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have a group culture centered organizational culture which has a priority to confidence, intimacy, solidarity, consideration between social workers, and colleague-relationship centered job satisfaction which is composed by support and affirmative relation with colleagues. Furthermore, male, old-age and high position social worker have the higher scores in organizational cultures and job satisfaction than the others. That is to say, job satisfaction can be raised in the situation where the workers can make opened mutual works, fast and flexible works, group and development culture make an affirmative influence on a center characteristics which is the sub-category of the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organizational cultures make a significant influence to workers' satisfactions. Especially, this result is important that organizational cultures in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ffect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this satisfaction can draw the job performance. Hence, it is needed to make new organizational cultures which raise job satisfaction. With regard to these results in this study, I suggest something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attachment have to be increased by giving chances to make intimacy, solidarity, consideration between social workers. Second, the organization have a open structure in which social workers can express their opinions regardless of their hierarchy and these ideas can be used in reality. Third, flexible operation in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are needed even though there are work formality and regulation. These alternatives makes a positive result in part of group culture and development culture in a social welfare organization. By developing these cultures which are affirmative factors to job satisfaction, the work environment can be improved positively for social workers. Forth, base o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ongtime workers need to be more concerned with the objective test system of their work than their promotion. Fifth, the leaders catch workers' abilities and business faculties by having interviews regularly, and divide duties efficiently. As a leaders or experts, they need to provide workers with opportunities of professional education. These make the supervision system more effective between co-workers and seniority. In addition, when they operate the organization fairly, build up expert skills and get the trust in communities, they can prevent social workers' burn-out and get much higher job satisfaction.

      • 대안교육과 사회사업실천 : 지역사회복지기관의 역할을 중심으로

        이영옥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50703

        이 연구는 사회사업 실천의 한 부분으로 기존의 지역사회 자원인 지역사회복지기관을 대안교육의 장으로 활용할 수 없을까라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사업 실천이 대안교육 실천을 포함할 수 있음을 밝혀 대안교육의 장이 어떤 형태에 얽매이지 않고 기존의 지역사회 자원인 사회복지기관에서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제로 실천되고 있음을 밝히고자하며 아울러 대안교육이 일상생활 내의 교육으로 자리잡을 수 있는 시사점을 지역사회복지기관에 제시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사회복지계가 대안교육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배경과 지역사회복지기관에서도 대안교육 실천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히기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 수집을 위하여 문헌을 조사하였다. 조사대상 지역사회복지기관의 선정은 연구자의 면접조사가 가능한 서울 시내 5개 지역사회복지기관으로 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1998년 3월 23일부터 3월 25일 까지 총 3일이 소요되었으며, 담당 사회복지사의 면접시간은 30-60분씩 소요되었다. 자료수집 방법은 우리의 대안교육실천 유형의 교육목표를 면접지침으로 사용한 구조적 질문과 함께 프로그램의 실천 방법, 목표, 실천 특성을 조사하고자 개방적 질문을 병행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면접조사 자료의 누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장노트에 기록하였다. 연구결과는 사회복지계가 대안교육 실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배경으로 첫째, 아이들의 교육욕구 충족과 교육권 보장 둘째, 사회문제의 예방과 해결 셋째, 공동체 의식과 지역복지의 향상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러한 배경을 근거로 사회사업 실천에 있어 대안교육 실천 포함 가능성이 밝혀졌다. 대안교육 실천이 어떤 형태에 읽매이지 않고 지역사회복지기관에서도 이루어 질 수 있음을 밝히기 위한 조사에서 제도권내 대안교육 실천 유형과 유사성이 있는 지역사회복지기관의 프로그램으로는 학교부적응학생을 위한 학교사회사업으로 나타났다. 제도권밖 대안교육 실천 유형에서 자연친화적 계절프로그램형 대안교육 실천 유형과 유사성이 있는 지역사회복지기관의 프로그램으로는 자원봉사활동, 청소년 쉼터, 청소년 상담, 약물 상담, 문화기행, 문화활동, 캠프활동, 동아리활동 등이 나타났다. 취학전 아동을 위한 유아교육프로그램인 대안교육 실천 유형과 유사성이 있는 지역사회복지기관의 프로그램으로는 문화활동, 문화기행, 캠프활동, 재능교육 등이 나타났다. 가출청소년을 위한 가정학교형 대안교육 실천 유형과 유사성이 있는 지역사회복지기관의 프로그램으로는 청소년 쉼터, 약물상담, 문화활동, 학업 중단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응훈련, 정서부적응아동 교정집단활동 등이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으로 첫째, 학생들의 특성과 욕구에 적합한 다양한 유형의 대안교육 실천이 이루어져 모든 학생들의 교육욕구와 교육권이 보장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복지기관에서 교육과 그에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때 지역공동체적인 장소로서의 지역사회복지기관의 역할이 적극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사회사업활동의 역할을 확대시켜 나아가기 위해 학교 밖에서도 전문직으로서의 지역사회복지기관의 사회복지사 역할이 증대되어야 할 것이며 넷째, 지역사회복지기관에서 지역내 학교와 적극 연계하여 자원봉사교육 및 활동에 참여하여야 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starts from a critical mind whether we may utilize the local social welfare agencies, the established resource of local society, as the place of a alternative education. And first we reveal the social work practice may include the alternative education practice, second, we reveal the place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may be done in the social welfare agencies, the established resource of local society without being restricted to any forms, and third, we suggest the issues for enlarging the base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into the education within daily life to the local society welfare agenc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iterature and seminar data as the study methods to ow the background having the concern on the alternative education by social welfare body and to collect the basic data of study revealing that the alternative education practice may be done even in the social welfare agencies. As the investigation subjects, Researcher selected 5 local social welfare agencies in Seoul where the interview investigation is possible by researcher. The total three days were taken from May 23, 1998 to May 25, and the interview time of charged social welfare personnel was taken 30-60 minutes. As the data collection method, the interview investigation running parallel with opening question to investigate the practice method, aim, and practice peculiarity of program together with the structural question using the education purpose of the type of our alternative education practice as the interview guide were practiced, and we wrote it on the site note to prevent the data omission of the interview investigation. The result of study is first the satisfaction of the education desire of children and the security of education right, second, the prevention of social problem and solution, third, the improvement of the association mind and the local welfare, etc. as the background having the concern on the alternative education practice by social welfare body, and the possibility including the alternative education practice in the social work practice on the basis of these background was revealed. In the research of revealing that the alternative education practice may be done in the local society welfare agencies without being restricted to any forms, the type of alternative education practice within the circle of institution and the program of local society welfare agencies having similarity were appeared as the school society work for the students not adapting to school. In the type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practice outside the institution, there are the type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practice of seasonal program friendly with nature, and there are the activity of volunteer service, the counseling of the youth, the counseling of the drug, the culture journal, the camp activity, the circle activity, etc. as the program of the local society welfare agencies having similarity. As the program of the local society welfare agencies having similarity and the type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practice which is the infant education program for the infant before entering school, there are the culture activity, the culture journal, the camp activity, the talent education, etc. As the program of the local society welfare agencies having similarity and the type of the alternative education practice of the home school type for the runaway youth, there are the youth shelter, the counseling of drug, the culture activity, the social adaptation training for the youth leaving school, the group activity correcting the infant not adapting emotionally. The issue of study is like followings; first, the education desire and education right of all student should be secured by accomplishing the alternative education practice of various types which is suitable to the peculiarity and desire of the students. Second, in providing the education and the service related to it, the role of the local society welfare agencies as the place of local association should be groped positively. Third, to enlarge the role of school society work activity, the role of the social welfare worker of the local society welfare agencies as the professionalist even outside the school should be increased, and fourth we suggest to participate in the volunteer service education and activity by connecting with the school within the province positively by the local social welfare agencies.

      • 특수학급아동 어머니의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욕구에 관한 연구

        조경윤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사회적 인식재고를 위해 특수학급 아동 어머니의 방과후 아동지도에 대한 욕구를 측정하여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고 궁극적으로는 본 연구를 통하여 특수학급 아동의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감과 사회적응력 향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문헌연구를 통하여 특수학급의 입급대상 아동들이 지닌 발달장애의 개념,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 특수학급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았고 다음으로 조사연구를 통하여 서울과 수도권지역 소재 25개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어머니 115명을 대상으로 특수학급 자녀의 어머니에 관한 일반적인 사항, 특수학급 자녀의 현재 방과후 시간 활용에 관한 사항,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인식도에 관한 사항,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사항을 알아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아동의 어머니인 경우 취업주부와 전업주부 모두 장애자녀를 방과후에 가정 내에서 보살피고 있었고 특수학급에서 여아보다 남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특수학급아동이 방과후 시간을 집밖에서 혼자 지내거나 일반학원을 보내는 경우 특수학급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를 하는 곳이 있다면 보내고자 하는 욕구가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기관이 필요한 이유로는 장애아동이 전문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기 때문으로 조사되었으며, 프로그램의 실시기관으로는 장애인종합복지관을 희망하였고, 반구성은 한 반에 동일 연령대 5-6명의 장애아동으로 구성되어 개별지도와 그룹지도를 병행하기를 원하였다. 프로그램 이용은 하교 후부터 6시까지로 주 3일 내지 4일이 적당하다고 하였으며 점심식사와 간식은 방과후 아동지도 기관에서의 급식을 원했다.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교사의 자질을 최우선으로 선택하였다. 셋째,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들의 필요정도는 사회, 언어, 인지, 건강, 예능, 기타의 6가지 영역 중에서 사회영역에 대한 필요정도가 가장 높았다. 세부 프로그램 중 사회영역에서는 친구 관계와 협동심 프로그램이 중시되었으며, 언어영역에서는 기본적인 생활대화, 인지영역에서는 주의집중 향상, 건강영역에서는 여가 및 오락활동, 기타부분에서는 일반아동과의 통합에 대한 필요정도가 가장 높았다. 넷째, 영역별 프로그램에서 유의미한 관계성을 보인 것으로는 자녀의 연령이 높을수록 건강영역에 대한 필요성을 강조하였고, 자녀의 장애유형중에서는 정서장애가 예능영역을 가장 필요로 하였으며, 어머니가 취업주부인 경우 언어영역을 강조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학력이 높을수록 사회영역과 건강영역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을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에 대한 전문적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요구된다. 장애아동은 일반아동과 다른 발달적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반아동과 차별성을 지닌 다양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장애자녀 교육의 남녀 차별에 대한 부모의 인식재고가 필요하다. 초등학교 특수학급의 취학아동 중 남아가 여아보다 높은 비율을 나타내 교육의 기회가 남녀 차별적임을 보여 주며 이는 사회복지 서비스의 수혜면에서도 남아가 우선 시 되는 결과를 얻게 된다. 이를 위해 앞으로 장애여아 부모의 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특수학급 아동을 위한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인 종합복지관의 활용이 중요하다. 부모들이 가장 신뢰하는 기관으로 장애인종합복지관을 선택하였으며 앞으로 장애인종합복지관의 전문적인 서비스와 학교생활을 연계하여 장애아동을 위한 이원적인 서비스지원을 모색하여 볼 수 있으며 나아가 프로그램에서 일반아동과의 통합을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넷째, 사회복지 서비스의 제공이 필요하다. 어머니들의 특수교육적인 측면 강조는 사회복지에 관한 인식의 부족 때문이라 생각되며, 부모교육이나 상담, 부가적인 서비스, 지역사회와의 교류 등 통합적인 사회복지서비스를 제공하여 사회복지에 대한 어머니들의 인식을 전환시켜야 할 것이다. 다섯째, 정부차원에서 영유아보육법의 방과후 아동보육시설 운영기준을 장애인복지법에도 명시하여 각 구청의 가정복지과와 사회과와의 상호연계를 이루어야 할 것이며 부대적으로 재정적인 지원도 뒤따라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y materials that develop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in a special class by measuring their mothers' needs on their children's after school program and to provide rehabilitation services that improve children's satisfaction at a school life and social adaptation skills and that reduce stress in a bid to reconsider social perception on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in a special class. I firstly studied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disability,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and a special class by doing literature research and examined the general information on the mothers of children in a special class, what the children in a special class currently do after school, and how the mothers perceive an after- 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their children in a special class by surveying 115 mothers of children in the special classes of 25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s. As a result of my study, the fellowing was found. First, both the mothers with jobs and without jobs usually take care of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t home after school and the percentage of school attendance for boys was higher than for girls. Specially, when the children spend their time alone outside home or in a private institution after school, their mothers wanted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in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in a special class, if there is any. Second, the mothers needed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in order to offer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ized education. The mothers considered'a social welfare agency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s the best place to educate their children after school. They wanted that each class in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has 5-6 same age group children with disabilities, gives both individual lessons and group lessons, starts after school and finishes around 6 p.m., opens three to four times a week and provides snacks and lunch. Third, as for the mothers' demand 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 social domain out of 6 domains in the program was most wanted. The mothers' detailed needs on each domain are as follows: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cooperation among the social domain, basic daily conversation among the language domain, entertainment and leisure among the health domain, and the integration with children without disability among the other domains. Fourth, there were certain factors related to the mothers' preferred domains of the program. The older children are, the more the mothers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he health domain in the program. When the children have emotional disability, the entertainment domain was most needed. When the others have a job, the language domain was most demanded. Also, the higher the mother's education background is, the more the mothers needed the social domain and health domai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 present my suggestions on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in a special class in the following: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alized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in a special class and to delivery the program broadly. It is needed to develop various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at distinct from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for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considering different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Parents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 on their children's education. The higher percentage of school attendance for boys than for the girls among children in a special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shows the discriminated education opportunities between boy's and girls and this will result in making boys prior recipients of social welfare services. The parents need to change the perception on their daughters' education. Third, it is important to utilize 'a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s a place for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We can look for a way to elaborate a binary service support system that relates specialized services provided at a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with the children's school life because the mothers chose a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s the most reliable place for an after-school child care program. We can further implement the integration of children with children and without disabilities. Fourth,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s. The mother's concentration on special education is caused by the lack of perception on social services. The integrated social welfare services including parent education or counseling, extra services and community interactions should be offered to change the mothers' perception on social welfare services. Fifth, the government should include a criterion for operating an after school child-care facilities currently incorporated in the Nursery Care Act in the Rehabilitation Act. Also, a family welfare division and a social division in district offices should collaborate together while giving the financial support.

      • 서울시 사회복지관 홈페이지(웹사이트) 구축 및 운영에 관한 연구

        신철민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 중 서울시의 부분적인 지원을 통해 웹사이트를 개설하고 있는 서울지역의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했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시 사회복지관 웹사이트 운영 실태에 관한 문헌 고찰을 통해 사회복지정보화 및 복지관 웹사이트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서울시 사회복지관 웹사이트 운영 실태를 분석하여 전담 사회복지사의 유무, 주요 사업내 정보화 사업의 포함 여부 그리고 운영지침의 유무 등의 요인이 사회복지관 웹사이트 구축 및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더불어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하거나 인트라넷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트를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지역사회복지관에 적합한 웹사이트 구축 및 운영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방법으로는 연구과제를 규명하기 위한 관련문헌 탐색과 인터넷의 각종 검색엔진을 활용하였으며, 문헌 연구를 통해 정보화 개념과 사회복지정보화 개념 등을 살펴보았으며, 인터넷을 통한 웹 설문지(http://www.nokpon.or.kr/sin/intro.asp)를 활용하여 복지관 웹사이트의 현황을 파악했다. 사례분석으로는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웹사이트를 통해 지역 자원망 형성을 시도하고 있는 '기술도구 은행' 웹사이트(http://stbank.giveu.net)와 인트라넷을 구축 운영하고 있는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http://www.taiwha.or.kr) 그리고 지역주민과 웹상의 다양한 의사소통 채널을 통해 쌍방향커뮤니케이션을 이루고 있는 녹번종합사회복지관(http://www.nokpon.or.kr)을 선정, 분석하였다. 상기한 연구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한 사회복지관 웹사이트의 운영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사회복지관들은 웹사이트를 운영할 기술능력을 보유해야한다. 웹사이트를 운영할 기술력을 보유하지 못한 경우 재정확보를 통한 아웃소싱을 마련하거나 자체인력을 확보하여야 하며, 이와 함께 교육정책을 마련하여 기술능력을 보유해야할 필요가 있다. 둘째, 전담인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조사에 의하면 전담사회복지사의 업무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에 관심을 가지고 웹사이트를 운영하는 사회복지사들의 경우 기존의 업무와 더불어 과중한 업무로 인해 웹사이트를 지속적으로 운영할 수 없기 때문에 웹사이트 구축 및 운영에 관한 독자적인 업무 영역이 인정되어야 한다. 구체적으로 해당 업무의 독자성을 인정하여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웹사이트가 운영되어야 하고, 정책적으로 전담사회복지사 또는 웹마스터가 복지관에 임용되어 전담업무로 웹사이트를 운영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관련 웹마스터 모임을 통한 해당 정보공유와 나눔의 장을 만들어야 한다. 이러한 정보공유를 통해 사회복지관의 웹사이트의 구축과 운영의 노하우, 새로운 기술의 적용, 웹사이트 평가, 발전방향 등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지속적으로 논의하는 과정을 가져야 한다. 넷째, 지역주민과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 연대의식 조성 및 지역사회 지지자원망을 확보하고, 이에 대한 수행 평가 및 연구작업을 통해 적합한 모델을 개발하고 보급 및 확대에 기여하는 웹사이트를 개발해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지역통화제'나 '기술도구 은행'의 운영방식과 같은 지역사회 기반의 운영(품앗이의 일종)과 함께 정보제공 및 쌍방향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한 웹사이트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인트라넷을 기반으로 운영하는 홈페이지가 구축되어야 한다. 현재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 만이 이와 관련한 초기 형태를 구축하고 있는 실정이나 향후 그 밖의 다른 복지관들도 업무의 향상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인트라넷 형태의 홈페이지가 구축되어야 한다.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social service agencies running web sites through a partial support by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first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informationalization in social work and the situation of maintenance and administration of the web sites of social service agencies. Furthermore, by analyzing current web sites operated in social service agencies in Seoul,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ssential factors such as availability of staff, inclusion of information management in main agency task, and availability of management guideline that play an integral part in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the web sites. Along with that, this study also aimed to suggest measures to develop an effective and efficient web site on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 by analyzing existing web sites and intranet. Survey of the existing web sites were administerd online using the web site operated by a community welfare center (http://www.nokpon.or.kr/sin/intro.asp). Three cases were selected for case studies. One is the web site called Skill & Tool Bank which is dedicated to forming resources network through online (http://stbank.giveu.net). Another is the intranet of Taiwha Christian Social Service Agency (http://www.taiwha.or.kr). Last one is a web site designed by Nokpon Social Service Agency that enables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agency and the people living in the region through a various communication channels online. This study proposed five ways in promoting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web sit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First, the staff of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need to obtain technical skills in order to effectively manage web sites. Otherwise, there have to be alternative ways such as acquiring outside management resources or training of internal staffs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m to learn. Secondly, it is essential to have staff taking exclusive responsibility for the web site ope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ose who operate website were also responsible for other work, thus interfering more productive management. Thus, it is imperative that staff is allowed to exclusively focus on the management of web site in order to develop the system and continue with systematic administr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twork that allows to share information and experiences among web masters. This network would function as a channel for ongoing communication regarding creation of new web sites, management know-hows, application of new technology, program evaluation and other suggestions for improvements. Fourth, by connecting community resources available to people, it is important to stimulate community solidarity and connectivity. Evaluation of and research on these new models of web sites would enhance resource mobilization contributing to further community development. In addition, it would be very useful to establish Community Money and Skill & Tool Bank grounded upon community basis and a web site providing information and mutual communication. Lastly, more home pages based on intranet should be construct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community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