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慶南地域 社會福祉館의 住民參與 現況 및 活性化 方案 硏究

        노미진 仁濟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주민참여 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주민참여에 대한 중요성을 환기하며 주체적인 참여의 유도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수행된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경남지역에 위치한 사회복지관 가운데 2003년도 보건복지부에서 실시하는 사회복지관 운영평가의 대상인 개관한지 3년 이상이 되는 사회복지관의 지역복지담당자 12명과 자원봉사자 126명, 당사자단체 회원 4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관의 운영위원회 운영은 지역의 대표자 회의를 통해 제도적으로 정착되어 가는 과정에 있으나, 사회복지관은 운영위원의 위촉, 의견반영 등 에는 실제적인 운영의 어려움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자원봉사자는 직접적인 서비스제공자로서 활용되고 있지만, 사회복지관에서 일상적으로 활동하면서 의견을 제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정착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사회복지관에 의견을 제안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당사자단체의 경우 사회복지관 사업을 잘 몰라서가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해 홍보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넷째, 자원봉사자와 당사자단체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주민참여의 의견반영 정도를 낮게 인식하고 있어서 주민참여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형태를 유도하기 어렵다. 다섯째, 자원봉사자와 당사자단체의 주민참여 인식정도는 낮은 수준인 것에 반해, 그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인식하고 있었다. 주민참여가 필요한 분야에 대해 당사자단체회원이 자원봉사자에 비해 주민참여의 범위를 좀더 구체적인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여섯째, 사회복지관의 지역복지담당자, 자원봉사자, 당사자단체 회원들은 주민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주민참여 제도마련과 지역주민들의 의식변화,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복지관의 주민참여 방안에 관해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복지관에 참여하고 있는 주민의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참여보장을 제도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복지관은 지역주민들이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주민교육과 의식개선을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셋째, 사회복지관 사업운영에 주민참여의 제도적 장치인 운영위원회가 주민참여 실천방법으로 구체화되어야 한다. 넷째, 자원봉사자는 사회복지관 정책결정에 제안, 자문의 역할을 수행하는 적극적인 형태의 참여가 유도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관은 구체적인 주민참여 제도마련과 사회복지관의 적극적인 홍보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This study is performed to awaken people in the community the importance about residents participation and active residents particip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include 12 community welfare center's community workers and 126 volunteer workers, 45 the members of interrelated institu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2003 in Health and Welfare class among the social welfare government situated in Gyongsang-namdo a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peration of management committee of community welfare center is in the process of settling down institutionally through the community's representative's meeting. However community welfare center is suffering trouble of an appointment of committee's commission members, reflection of various opinions, etc. Second, volunteer worker is utilized as a direct service worker in community welfare center, but institutional device that can advance opinion as being active routinely in community welfare center was examined that is not settled perfectly. Third, the reason of not offering opinions, to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by the members of Interrelated institu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are not knowing the services well community welfare center offers. Fourth, volunteer worker and the members of interrelated institu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have difficulty in that recognition of reflection degree of residents opnions are low. Therefore, motivating continue interests and participation are difficult. Fifth, in contrast to the fact that volunteer worker and the members of interrelated institu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degree of recognition is low the recognition of necessity is shared. For the area of necessity in resident's participation, the members of interrelated institu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are specifically recognized the range of resident's participation compared to the volunteers. And sixth, for motivating resident's participation, community welfare enter's community worker, volunteer worker and the members of interrelated institutions in the area of social welfare have to provide specialized institution of resident's participation, the change of thought, active public information. The suggestions for activating resident's particip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need of analying form of residents who can participate in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grasp type special quality and institutionalize participation structure by various way. Second, community welfare center must endeavor effort for residents education and consciousness improvement so that local residents can participate to the subjects. Third, committee which is institution device residents participation in community welfare center business operation should be presented concretely by practice method being residents participation. Fourth, volunteer workers need to have roles such as community welfare center policy decision proposal, active participation of role achievement of inquiry. And Fifth, community welfare center worker in charge has to provide opportunities of specific residents participation and need system preparation and necessity of active public information.

      • 社會福祉館 中簡管理者의 리더십이 社會福祉士의 임파워먼트와 組織沒入에 미치는 影響 分析 : 去來的·變革的 리더십을 中心으로

        하성규 仁濟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들 개개인이 소속된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유형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유형이 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을 높일 수 있는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유형을 찾아내어 제시함으로써 향후 중간관리자들의 리더십을 통해 임파워되고 조직에 대한 애착을 가진 사회복지사들이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사회에서 지역주민들의 복지증진을 이루어 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들은 개개인이 소속된 사회복지관의 중간관리자들의 리더십 유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은 개개인의 임파워먼트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셋째, 사회복지사들은 개개인의 조직몰입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하고 있는지 살펴본다. 넷째, 개개인이 소속된 사회복지관의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유형이 개개인의 임파워먼트와 조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통해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60개의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다양한 통계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가설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사들은 사회복지관의 중간관리자들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경향이 다소 많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들의 임파워먼트 인식정도가 보통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의 인식정도는 보통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변혁적 리더십이 거래적 리더십보다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임파워먼트는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첫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유형과 사회복지사의 조직물입의 관계에서 임파워먼트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유형에서 거래적 리더십보다 변혁적 리더십이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더욱 더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의 증진을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들은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의 증진을 위해서는 임파워먼트의 향상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관 중간관리자들은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을 보완적으로 사용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관 최고 관리자들은 사회복지사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발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중간관리자들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을 증진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최고관리자의 리더십, 조직문화, 사회복지사의 팔로워십(followership)에 대한 연구가 함께 이루어져 보다 폭넓은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조직을 만들어 가는데 실용적인 연구가 지속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how social workers' perceive their middle managerial leadership styles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it tries to find out the middle managerial leaderships' effects on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o improve social work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 and to train social workers with self-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attachments by the adequate middle managerial leadership and to provide high quality social services and to improve people's well-being. The study tries to answer these questions; First, How do social workers perceive the middle managerial leadership? Second, How do social workers perceive the level of their empowerment? Third, How do social workers perceive the level of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s? Fourth, How does the middle managerial leadership effect on social work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made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ocial workers in 60 community welfare cent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workers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perceive that the middle managerial leadership is transformational rather than transactional. Second, social workers perceive that their empowerment level is much higher than the median level. Third, social workers perceive that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is a little higher than the median level. Four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more effects on social worker's empowerment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Fif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more effects on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Sixth, empowerment has positive effect on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eventh, empowerment is intervening variable between the middle managerial leaderships and social worker's organizational commitments. This study suggests: First, the middle managers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have to be interested in improving social worker's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 Second, the middle managers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need to take both transactional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s. Third, the highest managers i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s need to make an effort in order to improve the middle managerial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s.

      • 企業의 靑少年福祉 活性化 方案에 關한 硏究

        홍기표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703

        기업은 기업 본연의 기능, 즉 사회가 필요로 하는 좋은 상품과 용역을 효율적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통해 경제적 이윤추구를 행하는 것이 일차적이고 궁극적인 목적을 갖는다. 그러나 기업의 존속 및 성장이 기업환경으로서의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사회적 목적의 중요성이 부각됨으로써 본연의 경제적 기능 이외에 사회는 기업에 기대하는 역할 수행을 더 요구하고 있다. 기업의 사회적 목표에 따른 기업의 사회참여는 곧 기업의 사회에 대한 의무이며 책임인 것이다. 이런 관점에서 기업의 사회복지참여 기본적 논리는 사회적 책임의 이론적 배경 아래 단기적이고 전략적인 차원인 기업경영전략론적 사회복지 활동과 기업의 시장성을 최대로 배제할 수 있는 공익목적의 장기적인 기업시민론적 사회복지활동 두 가지 지향성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기업의 청소년복지는 지역사회에서 기업의 사회참여 부분에 속한다. 지역사회와의 공동체 관계 즉 지역사회의 심각한 사회문제에 맞추어 사회적 문제상의 이슈로 떠오르는 청소년복지의 주류는 현재까지는 보호와 치료에 중심을 두었다. 물론 보호를 필요로 하는 청소년(비행·일탈·저소득·학교부적응 등)들에 대한 전문적 서비스도 사회복지 실천에 있어 중요한 사안이지만 청소년들의 욕구에 따른 새로운 접근방법을 필요로 한다. 문제 중심의 청소년을 위한 지역 사회 내에서의 통합적 접근방법이 요구되어지는 것처럼 청소년복지 실천에 있어서도 청소년들의 욕구를 수용 할 수 있는 대안적 서비스 체계가 필요한 것이다. 기업의 청소년복지에 대한 현실적 문제점을 검토하여 바람직한 기업의 청소년 복지 활성화를 시킬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내 청소년복지 서비스 체계의 구축으로 지역사회의 기능과 연관되는 새로운 복지 서비스의 개발과 총체적인 청소년복지 서비스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청소년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반의 문화환경을 변화시키는 운동을 활성화하여 지역 기본의 자원과 연계되어야 한다. 셋째, 공간을 활용한 청소년복지 시스템에 협조하여 지역사회 내에서 활용가능 한 시설 및 기업시설물의 공간을 개발하고 프로그램 제공이 되어져야 한다. 넷째, 문화전문가를 중심으로 한 인적자원의 확보 및 인프라 구축이 되어 지역 사회 청소년 문화복지를 함께 고민하고, 변화하며, 실천 할 수 있는 전문 인력자원의 의사소통과 연계통로의 마련 등이다. 기업의 사회복지 가운데 국가의 장래가 걸려있는 청소년복지에 대한 기업의 사회복지공헌은 이런 의미에서 시도해 볼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 기업은 사회복지활동을 통해 일터와 지역사회를 하나로 통합한, 지역사회속의 기업시민으로 공공성과 책임성을 높이 인정받을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점차 특히 기업의 구성원인 근로자들의 삶의 질을 바꿀 뿐 아니라 지역사회의 질, 그리고 기업의 명성까지도 바꿀 수 있을 것이다. A corporate body is supposed to pursue its economical goal by providing goods and services on which a society functions. With the growing perception that a corporate depends on its social environment, it is required to play a role other than to meet its economical purpose. It is a duty and responsibility for a coporate to get involved in other areas of a society in a way it interrelates with the society. From this point of view, a basic notioin of a corporates involvement in social welfare can be found in two activities. A short-term strategy of a corporates administration is invoked by the notion that a corporate owes a resposibility to the society. The other is a long-term activity of a corporate citizenship, which is designed to allow for its least economical pursuit. On this ground, the youth welfare activities falls within the category of a corporates social involvement. Amid a growing concern of social issues, focus of youth welfare has mainly been placed on protection and treatment the youth in trouble. Although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o provide professional service for a range of issues, such as juvenile delinquency, abberration, low-income and poor activities in school, a new approach is needed to meet practical demand of the youth. As the comprehensive method is likely to solve the issues of youth problem, so an alternative solution is needed to meet the demand of the youth in relation with youth welfare. By analyzing social issues that arise in the area of youth welfare, a desirable way of coporates social welfare invovlvement is as follows. Firstly, there is a significant need for a corporate to build up a comprehensive system of youth welfare and develop a new service that interrelates with the function of the society. Secondly, the move should not be limited to youth welfare and it should be further extended to change the overall state of cultural surroundings in the society. Thirdly, a corporate is expected to cooperate with space utilization activity of youth welfare and to provide its available space and program for the activity. Lastly, it is highly recommendable to secure reliable cultural experts who can participate in this activity and to build up social infrastructure that facilitates the communication with those who can make sincere effort to improve youth welfare system. Among other things, the corporate involvement in youth welfare is a valuable contribution to well-being of a nation and its young generation who will play a key role for the future of the nation. Through its participation in youth welfare activities, a corporate can take a credit for its responsibility and publicity as a corporate personhood as it integrates workplaces with the community. On this ground, a corporate will be able to change a quality of life of its workers, the community where it is based and its reputation.

      •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오정남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고 완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과 부산, 울산 지역에 근무하는 이용시설 및 생활시설 사회복지사와 지자체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2020년 2월 17일부터 배부하여 2020년 3월 7일까지 회수하였으며, 수집된 386부의 설문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변수 중에 사회복지사의 학력이 ‘대학원 졸업’인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가 ‘전문대졸 이하’인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원 졸업’인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학력 등 능력에 비해서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대우가 공정하다고 여겨지지 않기 때문에 오히려 이직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대학원 졸업’인 사회복지사에게 알맞은 직무와 적절한 대우가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소속기관이‘공공기관’에 소속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가 ‘사회복지이용시설’에 소속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담당하는 업무의 특성상 상당한 정도의 직무 스트레스와 개인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이직의도가 높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사회복지전담공무원들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여러 방안들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직무관련 요인 중 근무환경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사회복지사들이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일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이직의도가 감소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사회복지사들이 만족할 만한 근무환경을 조성한다면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다음으로 직무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직무만족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나 영향이 없을 때에는 타 직장에 대한 이직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사회복지사들이 직무수행을 통해 보람을 느끼고 직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져 직무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어 보인다. 셋째, 조직관련 요인 중 임금만족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사에게 임금은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다. 공정하고 적절한 급여 제공이 사회복지사들의 업무에 대한 의욕을 높여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조직몰입은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사회복지지사들의 조직몰입이 높을수록 조직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결근율도 낮추어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사회복지사의 조직몰입을 높여 이직의도를 감소시킬 방안들이 필요해 보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를 예방하고 경감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다음 몇 가지를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복지 관련 기관 종사자들의 근무환경을 개선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먼저 종사자들이 담소 또는 휴식 등을 할 수 있는 휴식공간이 별도로 마련될 수 있도록 관련 시설의 개선·정비가 필요하고 또한 일정한 휴식시간을 명확히 부여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혼 여성들이 일과 생활을 균형 있게 병행할 수 있는 탄력근무제가 시행·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높여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회복지조직은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사회복지사에게 주기적이고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직원 교육이나 연수시에 조직 내 인간관계 증진 훈련 프로그램, 효율적인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감성조절 훈련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제공하거나 전문적인 상담 프로그램을 정기적으로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사회복지사는 직무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가져 직무만족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최고관리자는 다양하고 적극적인 지지, 격려, 슈퍼비전을 직원들에게 자주 제공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매년 공무원들이 받는 근무평가의 결과인 성과급 상위 등급자와 5년 이상 장기 근속자에게 2~3개월의 안식월을 제공하는 법적·제도적 장치가 필요해 보인다. 여기서 2~3개월 안식월의 산정근거는 공무원의 법적 연가일수의 3~4배 기간으로 산정하였다. 이는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는 출산휴가자와 육아휴직자의 대체인력을 활용할 수 있으며,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장기간 업무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근무환경만족도, 직무만족, 임금만족도, 조직몰입, 승진기회, 취업 기회, 사회적 지지

      • 釜山地域 改新敎會의 社會福祉 事業에 關한 硏究 : 예수교 長老會 統合측 敎會를 對象으로

        윤기철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703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통합측 교회에서 실시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업의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부산시내에 소재한 통합측 102개 교회의 목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총8개 항목으로 조사하였다. 그 조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교회의 일반적인 사항, 목회자의 일반적인 사항, 목회자의 사회복지 사업에 대한 견해, 사회복지사업의 실시 현황, 사회복지사업예산, 교회의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 평가 및 관련사항, 사회복지사업의 어려움 등이다.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예장 통합측 교회의 사회복지사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의 조사결과를 통해 밝혀진 사실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목회자들이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의식을 갖고 있으나, 사회복지 사업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하여 사회복지사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결과는 목회자들이 대학원 교육이나 특수교육 등을 통하여 자질향상을 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목회자의 82.2%도 교육받기를 원하고 있었다. 둘째, 교회의 사회복지사업에 대한 목회자들의 의식은 긍정적이라고 하더라도, 현재 수행되고 있는 사회복지사업의 실천에 관하여는 소극적인 결과를 나타냄으로서 의식과 실천의 양면에서 커다란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사람이 선을 행 할 줄 알고도, 행치 않으면 죄니라"는 교리에 비추어보면, 하나님의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 교회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회가 본질적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면, 그것은 큰 죄를 짓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회의 사회복지 사업에 대한 인식과 참여에 대한 확실한 변화가 요망되어지며, 지역사회에서 채결해야 할 문제를 조사하고 교회가 가능한 한도 내에서 이에 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셋째, 사회복지사업 추진 시에 교회내 인적자원인 교인의 자원봉사자 활용여부에서 활용하는 교회는 1/3수준에 지나지 않았으며, 자원봉사자에 대하여 교육 및 훈련여부를 조사한 결과 교육 및 훈련을 실시하는 교회는 12.5% 밖에 되지 않았음을 볼 때, 조사대상의 대부분의 교회가 사회복지사업의 가장 큰 동력자원인 인적자원을 발굴하고, 활용하는데 무관심한 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사회복지예산이 대부분의 교회에서 전체예산의 10% 이하라는 조사 결과는 교회는 성도들에게 성경대로 헌금하고 십일조하라고 가르치면서, 정작 현금으로 들어온 재정의 일부를 가난하고 어려운 사람들을 돕는 일에는 성경대로 지출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교회별, 교단별 교회예산의 10%를 사회복지사업 예산으로 내놓는 운동을 하자는 주장도 있음을 볼 때, 교회가 사회 복지사업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보다 적극적으로 예산을 배정하도록 하여야할 것이다. For the purpose of writing this study, pastors of one hundred twenty Tonghab sub-denomination churches in Pusan City were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with eight heads in it in order to investigate actual conditions of social welfare project which is being implemented by Tonghab sub-denomination churches of Pusan area. The contents of the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 The eight heads are church's general profiles, pastor's general profiles, pastor's opinion on social welfare project, present state of actually implemented social welfare project, budget of social welfare project, general status of church's social welfare project, evaluation/related matters and difficulties of social welfare project. On the basis of these investigation results the writer would like to propose a direction which should be taken in future for the social welfare project which is carried out by churches of Korean Christianity Presbyterian Tonghab sub-denomination.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ose facts that were identifi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is study ; First, it was found out that most of the pastors do not implement social welfare project effectively due to their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though they are well aware of the need of social welfare project. This investigation result suggested the need of upgrading their personal quality through either a graduate school education or a special education program. Also, 82.2% of the pastors expressed their desire to be educated in the field. Second, pastors were passive in practicing the social welfare project which is currently carried out by their churches although their awareness of the project is positive. This showed a great difference between their awareness and practice. Viewed from the teaching “Anyone, who knows the good he ought to do and doesn't do it, sins." we can say that it is the church that practices the love of God. Therefore, if the church doesn't play the essential role of doing good, it commits a great sin. This means that there should be definite change in churches' awareness of and participation in social welfare project. It would be desirable for churches to find out the problems to be solved in their local community and to respond to them within their given possible limit. Third, as to whether or not the human resources within the church who are service volunteers from the membership are utilized properly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social welfare project, only one third of the churches were found to utilize the church human resources. The investigation as to whether or not education or training had been done to the service volunteers found out that only 12.5% of the churches had done it. This means that most of the surveyed churches were indifferent in finding and utilizing the human resources, the most dynamic resources for social welfare project. Fourth, the fact that budget for social welfare project in most of the churches was found to be less than 10% of the total budget shows that churches fail to give properly for the works helping the poor and the afflicted as taught in the Bible, although the churches teach the saints to give offerings and tithe as taught in the Bible. Therefore, seeing some claiming that each church and each denomination give 10% of their budget for social welfare project, the writer proposes that churches positively allocate their budget for the project in order to implement it effectively.

      • 敎育福祉優先支援事業에 있어 學校와 地域社會機關 實務者간 네트워크 活動 活性化 方案 硏究

        신단비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03

        외환위기 이후 우리나라는 계층 간 소득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이에 따른 빈곤율의 증가는 취약계층 아동?청소년의 안정적인 가정생활을 위협하여 학교에서의 풍부한 학습활동과 사회적 관계형성 마저 위태롭게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학교와 지역사회 중심의 교육공동체 구축 달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이 등장하였다. 이 사업은 교육격차 해소를 위해 기본적인 교육수준의 보장, 교육부적응 불평등 해소, 복지친화적 환경조성 등을 상위목표로 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서비스 제공과 궁극적 목적 달성을 위하여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의 네트워크 활성화를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기관 실무자의 인식을 통해 학교와 지역사회기관의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이라는 궁극적 목적 달성과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 연계로 성공적인 사업 운영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경남의 5개 지역, 지역네트워크협의체 구성 기관의 지역사회 관련사업 운영 실무자들을 중심으로 선정하였으며, 설문에 유효하게 응답한 42개 기관, 100명을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종속변수인 네트워크 활동을 인적?물적 자원교환, 사업네트워크, 정보교환의 세 가지 세부 항목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네트워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사업 시행연차, 지역사회 자원 환경 인식정도, 교육복지사업 실무자의 전문성 인식정도, 지역사회 기관의 조직체계 장애요인, 업무자율성, 네트워크 필요성 인식정도, 네트워크의 도움정도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적?물적 자원교환에는 네트워크의 도움정도와 지역사회 자원 환경 인식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업네트워크에는 네트워크의 도움정도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보교환에도 네트워크의 도움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전체적인 네트워크 활동에는 네트워크의 도움정도와 교육복지사업 실무자의 전문성 인식정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지역사회기관의 사업 운영에 도움이 될수록, 교육복지사업 실무자에 대한 전문성 인식정도가 높을수록 네트워크 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있어 학교와 지역사회 간 네트워크 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실무자들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현재의 비정규직 고용형태를 안정적으로 전환하고 지속적인 전문 교육과 유료 연수 등의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기관 실무자들의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하여 지역사회기관 및 기관실무자를 포함한 학교 단위의 협의회 구성 및 활성화가 의무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기관 실무자들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 실무자 모두 자신들이 속해있는 지역사회 환경을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전문적 능력을 갖추고, 네트워크 활동에 적합한 자원을 선택할 수 있는 시각을 길러나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 단위의 공동 교육도 구체적으로 계획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교와 지역사회기관 간 공동사업 추진도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적정한 업무 분담과 비용 부담을 통해 서비스 대상자 중복, 프로그램 중복 등의 문제를 예방하고 시간과 예산 또한 절감하여 효율적인 사업 운영을 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가 갖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의 기존 선행연구들은 교육복지사업 실무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연구 결과에 한계가 있으나, 본 연구는 지역사회기관 실무자들의 사업에 대한 인식을 최초로 조사하여 네트워크 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현재 사업 기간이 종료되는 학교가 지역별로 나타나고 있는 시점에서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과 지역사회 네트워크 활동의 중요성을 제고하여 본 사업의 취지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깊다고 할 수 있겠다. Since the foreign exchange crisis, the income gaps between various classes are more deepen, so increased poverty rate threatens the stable family life for the children and teenagers in vulnerable social groups, and even endangers their rich learning activities and establishment of social relationships.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emerged on the purpose of establishing education community around schools and community in order to integrally solve these problems. This project sets the assurance of basic-level education, the elimination of educational maladjustment and inequity, the creation of welfare-friendly environment as its super ordinate goals. For the provision of effective services and the accomplishment of ultimate goals, this project emphasizes the facilitation of network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welfare agency. This study is purposed to contribute in the project's successful operation through the accomplishment of ultimate goals and the linkage with various tailored services by suggesting the ways to facilitate the network by analyzing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network activity of schools and community institutes. The target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around the staff responsible for operating community-related projects in the welfare agency, which are the members of local network council in 5 regions of Gyeongsangnam-do. The investigator conducted the survey and analyzed the results from the effective questionnaires from 100 respondents in 42 welfare agency Meanwhile, this study classified the network activity as the dependent variable into three sub items of the human & material resource exchange, the project network, and the information exchange. In addition,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t as the project period(years), the community's recognition level on the resource and the environment,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staff's recognition level on professionalism, the hindering factors of community welfare agency's organization system, the work autonomy and the recognition level of need for network, and the network's help.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and the used analysis methods were the frequency analysis, the t-test,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z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network's help and the staff's recognition level on the resource & environment influenced on the human & material resource exchange. It was found that the network's help level significantly influenced on the project network as well as on the information exchange. Meanwhile, the network's help level and education project staff's recognition level on the professionalism influenced on the whole network's activities. As the network gives more help to the community institute's project operation and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staff's recognition on professionalism was higher, the network activities were carried out better.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ways for facilitating the network activity between schools and community in operating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will need to transit the employment statute from current temporary positions to regular positions and to give active supports for continual professional education and paid training in order to strengthen the educational welfare project staff's professionalism. Second, it will have to set each school's council including the representatives from community welfare agency and their staff and to support its activities for enhancing the community welfare agency staff's recognition on the educational welfare project. Third, the all staff from welfare agency and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should occupy professional capabilities to accurately analyze their community environments, and raise the viewpoint to select suitable resources for the network activities. For this goal, it needs to be planned the each community's co-education specifically. Fourth, it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to proceed any joint project between a school and a community welfare agency. By suitably dividing the works and costs required for such a project, the problem of overlapped service recipients and programs can be prevented and the reduction of required time and cost enables to operate the project efficiently. The ind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revious studies about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s focused on the educational welfare project staff's recognition and their results had some limits, bu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the ways to facilitate the network activities by researching the community welfare agency staff's recognition on the education welfare project. Besides, at the point that there appears some schools ending current project period in each region,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emphasizes the project's intention b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education welfare project and community network activities.

      • 복지관 근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인선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03

        ABSTRACT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at welfare centers Kim In Sun (Advisor : Prof. Lee, Sun Woo, Ph. D)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Inje University This study, I analyzed the effect of job and organizational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who works at community welfare center, experiencing emotional labor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To this end, I designed structured questionnaires and distributed them to 380 social worker, who work more than 1 year, at 21 general community welfare centers, 12 disabled welfare centers and senior welfare centers in Kyungnam, Busan and Ulsan. I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es, t-tests, one-way ANOVA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3 major points as follow.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showed that their average age was 35.8 years old, their average education level was bachelor, their marriage rate was high and female social workers(72.1%) worked more in the welfare centers. Second, social workers who are 40s compared to their 20s, and social workers who have a master degree compared to those who have a bachelor degree graduates, and social workers who are married compared to social workers who are single show higher job satisfaction. With working period, social workers who have worked more than 7 years(41.1%) than those who have worked less than 7 years show higher job satisfaction, and With rank, general social workers (55.3%) compared to senior social workers and middle level managers, and with employment type, regular workers (83.9%) compared to non-regular workers show higher job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evaluating factors to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higher job exhaustion in the job factors of social workers,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professionalism, the higher the fairness of pay, the higher job satisfaction. Additionally, it is clearly found that regular jobs of social workers have higher job satisfaction than non-regular workers. And also it is found that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of supervision in organizational factor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From this result, 5 novel method to improve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are proposed as followed. First, institutionalization of program for recovering stress and exhaustion along with clear sharing of work is necessary so as to prevent job exhaustion from job overload and job stress. In addition, group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counseling to recover from exhaustion due to stress. Institutionalization and support to the mental health recovery programs from government or agency such as stress management lectures and health-related recovery programs to relieve physical fatigue is necessary. Second, participation of welfare centers in education and training for training experts according to the specialization of the work field shall be guaranteed in order to improve the professional skills of social workers. Third, institutionalization is necessary so that the job performance benefit system can be universalized according to the job evaluation of the welfare. In other words, the social worker's job difficulty, heavy responsibility, and job performance benefit system, which is differentially pai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fforts, can not only raise the morale of the social workers but also recognize the fair salary. Fourth, treatment to non-regular social workers shall be improved so that they can benefit from re-contracts, fair wages, and welfare benefits according to the job evaluation system. Fifth, a systematic supervision system shall be constructed in order to develop and transfer social workers skillful work processing technology and response technology to clients. Key words : welfare center, job satisfaction, social workers, job stress, job exhaustion, professionalism, fairness of pay, reeducation, supervision 국문초록 복지관 근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김 인 선 (지도교수: 이 선 우)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감정노동을 겪고 있는 지역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직무요인과 조직요인의 변수가 직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직무 불만족을 해결할 수 있는 대처 방법을 모색하여 제안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직무 만족을 높이고, 급변하는 사회복지정책에 따른 클라이언트의 욕구에 맞는 질 좋은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내에 있는 종합사회복지관 21개소, 장애인복지관 12개소, 노인복지관 12개소에서 1년 이상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총 38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t-검정, 일원 분산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복지관에는 여자 사회복지사(72.1%)가 남자 사회복지사보다 더 많이 근무하고 있으며, 평균 연령은 35.8세, 학력은 대학교 졸업이, 결혼상태는 기혼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을 제외한 연령은 20대보다 40대인 사회복지사가, 학력은 대학원 이상 졸업보다 대학교 졸업인 사회복지사가, 결혼상태에서는 미혼보다 기혼집단이, 근무년수는 7년 미만 사회복지사보다 7년(41.1%) 이상이, 직위는 선임사회복지와 중간관리자보다 일반사회복지사(55.3%)가, 고용형태는 비정규직보다 정규직(83.9%)이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사의 직무요인에서 직무소진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문성이 높을수록, 급여 공정성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복지사의 정규직이 비정규직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요인에서 슈퍼비전의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 만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직무 만족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업무 과다와 직무스트레스에서 오는 직무소진을 막기 위해 명확한 업무분담과 함께 스트레스 및 소진을 회복하기 위한 프로그램 제도화한다. 또한, 스트레스로 인한 소진을 회복하기 위한 집단상담, 심리치료 상담. 스트레스 관리 특강과 같은 정신건강 회복프로그램과 육체적 피로감을 해소하게 할 수 있는 건강 관련 회복프로그램을 기관 또는 정부에서 제도화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복지관은 업무 분야의 특성화에 따른 전문가 양성교육과 훈련에 참여하도록 보장되어야 한다. 셋째, 복지관의 직무평가에 따른 직무 성과급 제도가 보편화 될 수 있도록 제도화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즉, 사회복지사의 업무 난이도와 과중한 책임감, 노력한 결과에 따라 차등 지급하는 직무 성과급 제도는 시행은 사회복지사의 사기를 올려줄 뿐만 아니라 급여가 공정하다고 인식할 수 있다. 넷째, 비정규직 사회복지사에 대해 직무평가제도에 따라 재계약 및 공정한 급여, 복리후생제도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처우가 개선되어야 한다. 다섯째, 사회복지사 능숙한 업무처리기술과 클라이언트에 대한 대응기술의 발전 및 전수를 위해 체계적인 슈퍼비전 시스템을 갖출 필요가 있다고 제언한다. 주제어 : 복지관, 직무만족, 사회복지사, 직무스트레스, 직무소진, 전문성, 급여공정성, 재교육, 슈퍼비전

      • 社會的 支持가 老人의 自己效能感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강미선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87

        본 연구는 김해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노인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찾기 위한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구체적으로 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들 중에서 성별, 종교, 배우자유무, 근로활동 유무와 자원봉사활동 참여 여부, 그리고 사회적 지지를 구성하는 세 가지 요인인 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 그리고 의미 있는 타인의 지지가 자기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는 김해 지역의 노인대학에 재학 중인 만 60세 이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기초로 5주간 실시하였다. 김해시종합사회복지관과 김해시동부노인종합복지관에서 수집한 총 251부의 설문지가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기술통계기법이 사용되었고, 6개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서 다중회귀분석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들 중에서 가운데 건강상태가 노인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6개의 독립변수들 중에서는 노인에 대한 가족의 지지와 친구의 지지가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 가운데 노인의 건강상태가 노인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년기에도 건강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노인의 질환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체계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마다 노인의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보건복지사례관리서비스모형의 개발이 요구되며, 지역의 보건소나 마을회관 또는 경로당의 적극적 활용이 검토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예방적 복지를 강조하기 위한 차원에서 스포츠 활동 등 노년기의 건강유지를 위한 다양한 체육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바우처 제도 등을 개발하여 노인의 활동 참여에 필요한 비용을 지원하는 것도 바람직한 방안이 될 것이다. 독립변수들 가운데 노인의 사회적 지지척도를 구성하고 있는 가족의 지지정도 변인이 노인의 자기효능감에 의미있는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의 지지는 인간의 기본적인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켜 스트레스 예방과 스트레스 상황을 맞이하더라도 효과적인 완충제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민 상담등의 정서적 지지, 청소, 식사준비, 세탁, 가사노동, 수발 등과 같은 도구적 도움의 교환, 다양한 정보의 교환 등을 통하여 가족의 지지가 노인이 사회에 통합 될 수 있는 구심점이 되기 때문이다. 노년기의 우울증과 급증하는 노인자살의 문제도 가족의 지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가족 간의 유대관계를 복원하고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가족 돌봄지원프로그램을 확대하여 다양한 정보와 교육의 제공 등 노인의 삶을 지원할 수 있는 효율적인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고 구체적으로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연속적이고 통합적인 돌봄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아울러 친구들과의 유대관계 유지를 위해 노인대학에서 노인들의 욕구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현재 노인의 자기 효능감 유지 및 강화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노인대학에 대한 정부의 지원을 확대하는 것도 필요한 방안이 될 것이다. 핵심 용어: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가족의 지지, 친구의 지지, 의미 있는 타인의 지지

      • 지역사회 보건·의료·복지 기관의 연계에 관한 연구 : 301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혜리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687

        최근 차상위계층이나 비수급 빈곤층에서 치료비와 간병비 등 의료적 문제로 자살 등의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 하나의 사회현상이 되고 있다. 이는 경제적 이유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국민이 전체의 1/5에 이른다는 통계(질병관리본부, 2014)로 뒷받침된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역사회 수준에서 경제적 어려움 때문에 의료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2015년 ‘공공보건의료에 관한 법률’에 근거하여 ‘보건․의료․복지 지역연계 서비스사업’(이하 301네트워크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보건복지사무소 등 정부가 그간 시도해온 일련의 보건복지연계사업의 실패를 교훈삼아 진행 중인 동 사업이 얼마나 효과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장애요인이 무엇인지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301네트워크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기관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통해 지역사회 보건․의료와 복지서비스의 연계효과와 과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분석결과, 301네트워크사업에 대해 다음의 네 가지 연계효과와 두 가지 과제를 도출하였다. 먼저 연계효과로는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301네트워크 사업에 대해 기본적으로 보건․의료․복지 서비스를 연계하는 사업으로 뚜렷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의료비 지원 기준이나 신청 과정이 복잡한 제도적 한계로 또 다른 의료사각지대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301네트워크 사업 참여로 폭넓은 의료서비스 제공이 가능하였으며 실무자 간 협력관계가 대상자에 대한 적절한 서비스 제공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례관리를 통해 대상자의 복합적인 욕구에 대응함으로써 보건·의료·복지의 사각지대를 발굴하고 해소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이 같은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첫째, 자체적인 사업비 마련, 지리적 접근성 등의 물리적 한계, 웹 시스템 사용에 따른 한계 등 현실적 어려움도 있었다. 둘째, 지역사회에서 공공보건의료기관에 바라는 가장 큰 역할은 취약계층이 의료서비스에 대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병원의 문턱을 낮추는 것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한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사각지대 발굴을 위한 중앙차원의 사업홍보 및 실무자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공공보건프로그램 예산을 확대 편성하여 치료비 지원을 위한 사업비가 확보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별로 1차, 2차, 3차 병원이 연계된 단계별 치료 연계 체계가 구축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공적 지원제도 미비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 다섯째, 보건서비스에 대한 적극적인 연계가 필요하다. 따라서 보건소와 공동 프로그램 및 연계 사업을 개발하여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여섯째, 시스템의 고도화 및 보건의료복지 연계시스템 사용 확산을 위한 보건복지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방안이 필요하다. 주제어: 301네트워크, 보건의료복지 연계 , 네트워크, 연계 효과성 A Study on Linkage between Health, Medical, Welfare Institution in Local Community - Focusing on 301 Network - Recently, it has been a new social phenomenon which near poverty group or non-beneficiary poor end up with drastic options such as committing suicide due to medical problems including medical treatment cost or nursing fee. It is backed by the statistic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4) that one fifth of the people are unable to get proper treatment due to financial reason. Therefore, the government implemented "health, medical, welfare local connection service program(hereafter 301 network program): based on Public Health Medical Service Act in 2015 to prevent medical blind spot due to financial difficulty in local community level. However, there is a need to review how efficient the program is and what are the problem factors of the program by taking lessons from the health welfare related programs which the government has tried to implement. Thus,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targeting staffs working for 301 network program to analyze the linkage effects of heal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 of local community and its problems. This study drew up 4 linkage effects and 2 problems about 301 network programs as the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First, as for the linkage effects, first, the study participants had clear recognition about 301 network program that it is fundamental program connecting heal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 Second, due to complicated systematic limitation in fundholding standard or application process, there was another medical blind spot. Third, the 301 network program enabled provision of expanded medical service, and the cooperative relationship among staffs led to provision of proper service about study subject. Fourth, by coping with complex demand of subjects through case management, it played efficient role in discovering and solving blind spot of health, medical and welfare service. However, despite such positive effects, there were realistic problems. First, there was physical limitation such as preparing autonomous program budget or geological accessibility, and limitation in using web system. Second, there is a need to make it easier for the disadvantaged class to approach medical servi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program promotion and staff educat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to discover medical blind spot. Second,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public health program budget to secure the program budget for medical cost funding. Third, there is a need to build step by step treatment connection system linking first, secondary and tertiary hospital by each region. Fourth,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supplement to solve problems that are caused by insufficient public support system. Fifth, there is a need for aggressive connection in health service. Thus, it requires systematic support to maintain healthy life by developing joint and connection program with health clinic. Sixth,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support measures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for acceleration of the system and expansion of the use of health, medical, welfare system. Keyword: 301network, connection to health·medical·welfare, network, linkage effectiveness

      • 家庭暴力被害者에 대한 社會福祉的 지원체제의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송희재 仁濟大學校 社會福祉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50687

        가정폭력은 사회경제적 지위와 관계없이 사회전반에 걸쳐 문제화 될 정도로 보편화되어 있으며 폭력의 형태 또한 여러 가지로 다양화되어 가고 있는 것이 지금의 현실이다. 이는 지금 현 사회가 처한 빈곤의 문제보다도 더 심각한 사회적 비용의 지출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개선하고자 시작한 정부의 노력은 가정폭력특례법 제정된지 7년이 경과 한 지금까지도 가정폭력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는 것에 대해 현행 가정폭력특례법이 의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장기간의 가정폭력피해자가 행위자를 살해하는 것으로 또 다른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현행 가정폭력특례법은 여러번의 개정과정을 거쳤지만 여전히 법제정 당시 '피해자의 인권'보다는 '건강한 가정 우선' 정책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정책의 일환으로 장기적인 가정폭력에 노출된 피해자에게는 아직도 많은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이러한 가정폭력이 사회적인 문제화가 되어가면서 피해자에게 제공될 1차적인 사회복지적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강조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피해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는 단기적인 서비스의 기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피해자에게 제공될 사회복지적 지원체계를 좀더 개선하고 정착하기위한 대표적인 방안을 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폭력범죄 역시 사회적인 일반범죄와 동일시하는 인식의 변화와 더 나아가서는 여성에 대한 사회적인 지위나 성역할의 고정관념 등 기존의 사회적인 접근방법에서 성인지적 관점으로의 접근방식이 변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가정폭력피해자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여성에 대한 행정적인 전담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장기간의 폭력에 노출된 피해자를 위한 사회적인 자립지원방안을 마련하여 피해자들의 경제적인 자립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가정폭력피해자를 위한 정부의 다양한 서비스정책과 더불어 더 나아가서는 지역자원의 네크워크를 활성화하여 피해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다섯째, 가정폭력에 대한 예방교육을 의무화해야 한다는 것인데 이는 성교육과 마찬가지로 법적인 의무교육시간이 주어져야 한다는 것에 있어서는 학교, 국가기관 및 공공단체와 일정규모이상의 사업장까지 교육이 의무화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의 지원체계방안을 검토해 볼 때 우리사회에서 가정폭력이 국가적인 문제라는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사회적인 통념을 만들어 내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더 나아가서는 국가의 정책수립은 국가와 그 사회 구성원의 안전과 행복추구라는 기본적인 인권보호에 최대한의 관심을 갖는다는 것에서 출발하여 여성들의 복지에 있어서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것이다. These days family violence has been so widely spread throughout all levels of social, financial statuses that it has become to be considered as common social problem with the types of violations more varied. The social cost of family violence is bigger than the cost of poverty the society is facing these days, but family violence problem has not shown any decrease despite the government's effort since it enacted Family Violation Special Law seven years ago. So there must be some room to think about current Family Violation Special Law. Recently the society witnessed different turn of social problems in which chronic family violence victims murdered their assaulters. Even though current Family Violation Special Law has been revised several time the emphasis is still on "sound family first"policy so that the victims exposed to chronicle family violence suffer from many difficulties. As this becomes a social problem, the necessity for primary welfare supporting system needs to be emphasized, but in reality the services for the victims are still limited to short term effect. The study, therefore, proposes some measures to improve and establish social welfare supporting system for family violence victims and the proposals are as follows: First, family violence offenses need to be considered as serious as other social offenses, and furthermore, existing view on women's social status and roles need t been seen from gender perspective. Second,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victims are women, some kind of women exclusive supporting system is necessary. Third, social support plan for financial independency needs to be strengthened fo□ those victims exposed to chronicle family violence. Fourth, the efficiency of the services needs to be improved by making use of lo□ networks together with various government service policies for the victims. Fifth, preventative education about family violence should be made compulsory a□ this means assigning more than certain hours of education timeto schools, governmental, publicinstitutions, and to more than certain size of work places. On reviewing these various supporting plans, the most important thingis to build social consensus in which family violence is considered as a national matter Further more, the planning of government policy should begin with maximum interest in the promotion of security and happiness of the country and its people and in thins sense, it suggests a lot about women's welfare as wel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