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식기반 확대를 위한 인천광역시 및 지역대학의 역할에 관한 연구

        서상호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세계경제는 지식을 기반으로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즉 지식의 축적이 개인이나 국가적 차원에서 부의 원천이 되고 있다는 말이다. 기존 노동 · 자본이 중심의 경쟁력과 양적 가치 중심으로 대표되는 아날로그 시대의 패러다임에서 급속한 변화와 지식 · 기술중심의 경쟁력 질적 가치 중심의 기술혁신으로 대표되는 디지털시대의 도래라는 환경변화와 과학기술 발달에 따른 공간구조의 변화는 지역이라는 개념을 희석시키고 세계가 하나의 공간이라는 개념이 필요한 의식의 변화를 요구하는 것이다. 특히 경제구조의 변화는 기업활동의 국경을 넘어 인프라 및 기술혁신 여건이 가장 잘 완비된 지역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이게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인천지역의 지식기반 확대를 위해서 인천시와 지역대학이 어떠한 역할을 하여야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이라고 하겠다. 우선적으로 본 연구를 위해 인천지역의 지식기반산업화에 따른 문제점과 인천시와 지역대학이 지역 지식기반 산업 및 경제에 미치는 역할에 대해 지역산업의 특징, 자료분석, 통계분석, 문헌연구 등을 통하여 인천지역 지식기반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고 지식기반경제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인천시와 지역대학들이 어떠한 역할을 해야되는지 분석하였다. 인천지역 산업의 특징은 수도권의 공업을 분담해 주는 생산도시 및 제조업중심의 산업지역으로 지식기반산업의 경쟁력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원인은 인천지역 지식기반 인프라의 미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인천지역의 경우 잘 발달된 산업기반 시설에 비해 4년제 대학, 국공립 시험연구기관이 매우 부족하며, 다른 지역보다 적은 졸업생을 배출하는 등 양적으로는 부족한 인력을 공급하고 있으며, 아울러 대학원생 등 석·박사급의 고급 연구인력 양성에 있어서는 매우 미흡한 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인천지역 산업 및 지역대학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연구의 결론으로 인천지역 지식기반 확대를 위해서는 인천시 및 지역대학이 역할이 매우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지식기반시대에 인천지역은 전자정보기기, 메카트로닉스, 생물, 신소재, 환경, 물류산업을 인천산업정책의 새로운 기본방향으로 설정하고 이를 핵심전략산업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특히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따른 송도 지식정보단지 조성에 필요한 지역대학의 IT·BT등 첨단산업 육성에 필요한 전문인력 인재양성과 지역산업 수요에 맞은 맞춤형 인력양성, 그리고 인천시의 지식기반사회로 전환하기 위한 첨단 전략산업 육성 계획의 실현과 연구개발 예산의 확대 지원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하겠다. 따라서 이러한 노력들이 인천의 전형적인 제조업 중심의 산업구조를 지식기반산업 구조로의 변환이 가능하며, 경제자유구역내 첨단정보 산업단지의 육성 및 발전을 가속화하여 인천진역 산업을 첨단지식산업 중심으로의 경쟁력을 키워줄 것이다. Contemporary global economy is charactedzed as a knowledge-based one. In other words, the accumulation of tnowledge becomes the most critical source of individual and national wealth. Rapid paradigm shift from the analogue age represented by emphasis on the competitiveness around labor and capital and the quantitative values to the digital age accentuating the competitiveness around knowledge and technology and the qualitative values. and the changes in spatial structure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dilute or blur the term of regional boundary as well as require us to rethink the space in the broader, global sense. In particular, it is expected that changes in economic structure will lead and accelerate the movement of business activities beyond the national boundary in a traditional sense into those regions that establish infrastructure and provide advantageous business environment for technical innovation. Thus, the pu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for the expansion of regional knowledge base.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in relation to the shift of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into knowledge-based one and the influences of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on regional knowledge-based industries and economy, and proposes the roles of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to enhance the competitive power of regional knowledge-based industries and to lead their incremental development. For this analytical purpose, this study carries out th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industy, data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and literature study. Incheon Metropolitan City area plays a role of industrial base for Seoul Metropolitan Area, a base that can be marked by both the preponderance of manufacture industries and the weak competitiveness of knowledge-based industries. Thes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Incheon areas are primarily caused by the insufficiency of the regions infrastructure. In additiort Incheon area undergoes shortage of four-year universities and the national or local testing and research institutions, compared to the relatively well-established industrial infrastructures in that region. The shortage of advanced educational and research institutions results in the shortage of industrial manpower due to the quantitatively ingueicient supplr of university graduates and the feilure to foster the advanced research manpower such as doctoral or masters degree holders. To solve these problems of the irtdustries and local universities in Incheon region, this study proposes following measures on the basis of analis result that the expansion of regional knowledge base and the role of city government and local universities are positively correlated: (1) To keep pace with the pogression toward knowledge-based economy, city government is required to set its fundamental industrial policy direction forusing on industries such as IT equipment, meckatronics, biology, new materials, environment and logistics and to foster these industries strategically: (2) In pareicular, the establishment of Songdo knowledge and Information Industrial Complex according to the designation as Free Economic Zone is expected to create a vast demands on advanred manpower. Thus, local universities should to equipped with the sufficient capabilities to supply advanced manpower that the state-of-the-are industries induding IT and BT requires and should mate every effort to foster the customized manpower in accordance to the demands of regional industries; and (3) Incheon city government should formulate and implement the strategic plans for fostering the state-of-the-art industries required in shifting regional economy to knowledge-based one. In addition, the expansion of city budget for supporting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activities in the region should be not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the expansion of regional knowledge base. These efforts is expected to lead the changes in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from manufacture-centered to knowledge-based one and the acceleration of the fostering and development of state-of-the-art information industries within the free Economic Zone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ncheon region as a hub of state-of-the-art industries.

      • 인천시 예산결정과정에 관한 연구 : 인천대학교 특별회계를 중심으로

        정형섭 仁川大學校 行政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인천시예산결정과정을 인천대학교의 예산결정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대학의 자율성 확대와 교육수요의 증대에 따른 재원배 분의 합리성 추구, 예산제도 및 운영의 현실화에 기여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은 인천광역시 예산결정에 관한 첫 번째 심층적 사례 분석으로서 여타 특별회계뿐 아니라 인천광역시 일반회계 예산결정 과정에도 도움을 줄 것이다. 아울러 이 논문은 공공기관의 예산결정과정의 합리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우선적으로 본 연구를 위해 인천대학교의 재정현황과 실태에 대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인천시로부터 지원되는 전입금의 결정과 특별회계제도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기 위해 분석 틀을 정립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대학교 예산의 일반현황과 조직 및 기구, 대학의 의사결정의 특징과 3개 년도에 걸친 예산결정과정을 기초로 분석하였다. 인천대학교의 예산결정과정은 우리나라의 다른 공공기관 예산결정과정과 같이 점증주의적 특성을 보인다 할 수 있다. 대학의 의사결정은 하향적인 의사결정의 형태로 우선 행정자치부의 지침이 인천시, 인천대학교를 통해 전달되는 과정과 예산요구에 대한 사정의 과정 속에 나타났다. 상향적 의사결정 형태로서의 예산결정과정은 단과대학 및 행정부서의 요구가 기획 예산과에서 조정되어 인천시에 전달되고 있음을 통해 확인 할 수 있다. 인천대학교의 재정규모는 특별회계의 비중이 67%, 기성회계의 비중이 33%로 특별회계 예산이 대학 재정의 2/3를 점하고 있다. 특이할 사항은 특별회계 예산 중 시로부터 지원되는 전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대학교의 예산중 전입금의 결정은 곧바로 특별회계 예산의 편성 및 결정으로 이어지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전입금의 결정은 대학의 자율성과 총장의 재량권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제도적으로 인천대학교의 특별회계는 대학 예산운영의 자율성 확보와 재원확보 면에서 타 국·공립 대학과 같이 일반회계로의 운영으로의 검토가 필요한 시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인천대학교의 예산은 예측이 가능한 예산으로 편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대학의 경쟁력 신장을 위해 시의 관심과 대학의 자구노력이 필요한 점과 대학예산 구조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며 대학내부의 의사결정 구조를 정비하여야 함도 아울러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연구로서 분석의 결과를 일반화시키는 데는 제약이 있으며 자료수집 과정에서 부분적으로 오류가 있음을 밝혀둔다. 이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인천대학교 예산결정과정에 관한 최초의 체계적 연구라는 데 큰 의의를 찾고자 한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budgetary process of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with a case study on the special account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which is an affiliate of the city. With its expanding autonomy and an increasing demand for college education in the region, the university is required to rationalize its resource allocation process and to improve both the system and operation of its budget-making.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is an attempt to find a right direction to that end and to address policy implications. This is perhaps the first in-depth research on the city's budgetary process and is expected to shed light on the complicated process of budget formulation not only in special accounts but also in the general account of the city. Also, it will serve as a basic data source for those who are interested in rationalizing the budgetary process of public organizations.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a frame of analysis which mainly comprises: a) current financial status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the organizations involved in budget preparation, and the many weaknesses and problems therein; b)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city's transfer to the university; and c) the need for and the method of changing the budget account type.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literature review, data analysis, and interviews. Financial data were collected for the past three years, from 1999 to 2001, and a series of interviews were designed to provide qualitative information. The major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ity's budget is its incremental nature, which can be found in almost all public organizations in this country. Budgetary decision-making process has both downward and upward aspects. The downward features are found in delivering the guidelines of budget-preparation issued by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in the examination of the submitted budget by the city's budget officials. On the other hand, the demands of colleges and administrative agencies usually move in an upward fashion from lower echelons of the university all the way to the city council. Another significant characteristic of the university's budget is that the proportion of the special account has steadily grown in recent years, and the ratio of special account to the own-source account is approximately two to one as of 2001.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proportion of the city's. transfer out of the total size of the University of Incheon Special Account has become substantially large. Indeed, over the years, the decision of transfer amount has constituted the core of the university's budget preparation. The way how the transfer is determined, in turn, has implied enormous effects on the degree of the university's autonomy as well as on the president's discretionary power. The most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therefore, a shift from a special account into the general account as is now adopted by other public universities in the nation; the alteration of the account type is believed to strengthen the university's autonomy, the possibility of securing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and particularly, the predictability of the city's transfer amount. This study also addresses a few additional policy implications: a> the city's attention and care should be echoed by the university's revenue-raising effort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iversity; b) the structure of the university budget should be modified; and c> the process of the internal decision-making is to be improved in such a direction as to expand economic rationality.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such as, for being a case study, a possible lack of external validity or some methodological errors i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Despite these possible constraints, the study has generated a number of important findings which could be very useful to researchers as well as to practitioners.

      • 노선과 품목을 고려한 해공복합운송 이용자 유지전략에 관한 연구 : : 인천항과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이혜원 인천대학교 동북아 물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높은 경제성장률과 정보통신 인프라 및 노동력 등의 강점을 가지고 있는 한국과 WTO 가입이후 급속한 경제성장을 바탕으로 동북아 교역 및 해운, 물류시장에서 중추적 변화를 주도하고 있는 중국을 중심으로 세계경제에서 동북아의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총무역량은 세계 전체 교역량의 약 30%에 달하고 있으며, 그 교역량이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등 양국을 중심으로 동북아 비즈니스권이 형성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최근 몇 년간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 해공복합운송물동량 유치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세계경제발전에 부정적인 요소들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인천지역 해공복합운송 수요부분에 직·간접적인 영향이 미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따라서 인천지역의 해공복합운송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다각적인 전략수립과 실행이 필요할 것이며, 해공복합운송 이용자들의 선호요소를 파악해서 고객을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해공복합운송 개선방안에 관한 이론을 체계화하고 현재 인천항-인천공항을 현재 이용하고 있는 포워딩업체를 대상으로 해공복합운송 선호요인에 대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론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명제를 설정하고 컨조인트분석을 통해 명제를 확인하였으며, 요인별로 구분한 해공복합운송 개선방안에 대해 IPA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노선뿐만 아니라 취급품목의 종류에 따라 운송수단을 선택하는데 각각 어떤 요소를 중요시하는지 파악함으로써 각 요소별로 주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향후 해공복합운송 이용자들을 유지시키기 위한 전략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Presently, the importance of Northeast Asia is getting more highlighted in world economy centering around Korea having advantages of high economic growth, information communication infrastructure, and manpower and China initiating critical changes in the markets of trade, marine transport, and logistics in Northeast Asia based on its rapid economic growth after joining WTO. In addition, business areas of Northeast Asia are being formed centering around these two countries as their total trade reaches about 30% of total global trade and the trade is being constantly increased year after year. Korea also has paid attention to inducing Sea&Air transportation for several years lately centering around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and Incheon Port. However, as negative factors have appeared in developing global economy, it is analyzed that it could affect the Sea&Air freight demand in the Incheon area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implement multilateral strategies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in the Incheon area and also conduct researches to maintain and develop it through figuring out the preferences of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users. This study has systematized methologies for improving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through documentary research and also conducted positive research targeting forwarders presently using Incheon Port - Incheon Airport. This thesis establishes propositions based on the result of theoretical research, verifies them through conjoint analysis, and conducts IPA analysis on the methods for improving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characterized by factors. From the researches obtained in this study, we suggest major measures to improve each factor by figuring out which factor is valued when selecting means of transportation by items carried as well as routes.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help establish strategies to maintain Sea&Air intermodal transportation users afterwards.

      • 대학도서관 사서직의 일반행정부서 경험을 통한 대학도서관 기여도 및 만족도 조사연구 : 국립대학교를 중심으로

        전영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립대학교에 재직중인 일반사서직원들은 대학 내의 인사발령에 의하여 일반행정부서에서 순환근무를 경험한다. 본 연구는 그 결과가 직․간접적으로 도서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일반설문과 심층면담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조사한 자료를 대상으로 SPSS로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국립대학 내에서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전문성을 고려하지 않는 순환근무제와 관련한 인사행정의 문제점을 밝히고 사서직에 대한 효율적 인사관리 방안을 제안해 보고자 한다. 먼저 대학은 민주적이며 합리적인 대학운영을 위해 국가공무원인 사서직의 전문성과 개인이 가지는 역량 등을 인정하여 인사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또한 대상자인 사서들은 소극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일반행정부서 인사의 부당성을 제기하고 도서관 조직을 정보화 사회의 변화에 맞게 개선 및 활성화하여 대학의 중심으로 우뚝 설 수 있도록 가일층 노력해야하며, 사서행정업무를 자동화하고 정보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전문성을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그렇게 해야 대학 내에서 사서의 위상 제고가 가능해질 것이고 대학조직 내에서 도서관의 위상 역시 높아질 것이며, 아울러 사서직에 대한 일반행정부서 인사에 이러한 측면을 고려하게 될 것이다. 이것은 또한 대․내외적으로 대학이 효율적인 인사관리시스템을 확립하는 데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결과적으로 대학 내 구성원들에 대한 질적 서비스와 도서관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 인천지하철 역세권 TOD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역별 통행수요 예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정소연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55

        역세권 TOD환경 관련 연구를 보면 토지이용계획 뿐만 아니라 녹색교통수단을 포함한 대중교통 활성화에 주목하고 있지만, 중심생활권 측면에서 바라본 역세권 TOD환경과 통행수요 영향요인을 고려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그리고 인구밀도 와 산업 집적도가 높은 인천시는 대규모 신도시와 기존도심의 상대적 격차심화로 인한 불균형 발전과 원도심의 인구정체 및 고령화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역 세권 TOD환경요인을 고려하여‘도시철도역 중심 생활권’으로 재구성 할 필요성이 있고 실질적으로 역세권의 대중교통 통행수요를 증진시키기 위한 비교와 통행수요 예측이 가능한 모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도시철도 1호선의 역별 평균 수송실적을 설명하기 위해 다 중회귀분석 예측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독립변수 선정 결과 타수단(버스) 환승통행과 관련이 있는 버스정류장수, 버스노선수, 버스평균 배차간격, 정류장 출구거리 등의 변수와 직접 이용수요에 관련이 있는 역세권 주변 현황 변수로 인구수, 직장인수,유동인구수, 상업수, 학교유무 등의 변수를 선정하였다. 이외에 인천도시철도 1호선 과 다른 노선과의 환승에 영향 변수로 환승역 유무에 대한 변수를 선정 하였다. 모형식 구축결과, 전진선택법과 단계적 선택법은 동일한 모형식이 구축 되었으 며, 이때의 조정된 결정계수(Adj. R2)는 0.655, D-W검정(Durbin-Watson Test) 결과 2.156으로 나타났다. 후진제거법(backward elimination method)을 이용한 다중회귀분 석 모형식을 구축한 결과에서는 조정된 결정계수(Adj. R2)는 0.747로 전진선택법(forward selection method)과 단계적 선택법에 비해 모형의 설명력이 높게 나타났으 며, D-W검정(Durbin-Watson Test) 결과는 2.175로 나타남에 따라 후진제거법으로 구축된 모형식을 최종 예측모형식으로 선정하였다. 후진제거법에 의한 모형식 구축결과를 살펴보면, 주요 독립변수로는 직장인수, 유동인구수, 인구수, 환승역유무, 버스평균배차간격 등 당초 인천지하철 1호선 이용특성으로 선정된 직접이용수요, 간접이용수요 등이 모두 고려되었다. 또한 독립변수 의 다중공선성(VIF) 검토결과, 독립변수마다 일부 차이는 있으나 약 1.20~1.96 수준으로 다중공선성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모형 검증 결과에서는 상관계수는 약 0.792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역별로 살펴보면, 관측치와의 오차에서 계양역, 갈산역, 부평시장역, 부평삼거리역, 간석오거리 역, 인천시청역, 예술회관역, 인천터미널역, 선학역, 인천대입구역 등에서 오차율이 약 ±15% 이내로 나타났다.

      • 인천광역시 독거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

        이미애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산업화가 진전되면서 독거노인 증가는 노인문제의 심각성을 배가시켜 주며 사회복지서비스의 적극적인 개선이나 확대를 요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는 독거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연구로서 인천의 독거노인인구 구성비와 사회복지서비스 실태, 사회·심리적 상태 등 그들의 욕구를 살펴보고 그들의 생활안정대책을 모색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문헌연구와 실증조사연구를 병행하여 인천광역시독거노인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보다 구체적인 이론적 배경과 설문조사의 구체적인 설계를 위하여 기존의 문헌을 중심으로 독거노인의 개념, 특성, 독거노인복지의 의의, 인천광역시 독거노인복지제도를 제시하였고, 실증분석을 위해서는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147명을 사회복지사와 조사자가 직접 1대1 면접 조사하여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t-test분석하였다. 실태조사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인천지역 독거노인의 특징으로는 인천지역의 독거노인 구성비는 타지역에 비하여 조금 낮고, 독거노인의 30%만의 기초생활 대상자인 타지역에 비하여 독거노인의 50%가 기초생활보호대상자로 보호되고 있다는 점과 남성독거노인이 여성독거노인보다 독거로 인한 고통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 지역에는 여성독거노인이 남성독거노인보다 독거로 인한 소외감과 외로움으로 인한 고통이 높게 나타나지만 인천지역에는 이것은 인천지역 독거노인이 타지역 독거노인보다 경제적으로 더 어렵고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운데서는 남성이 여성보다 독거로 생활하기가 힘든 것으로 판단되지만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또한 소외감으로 인한 자살충동에서는 기독교인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심리적인 문제에 기독교의 사회참여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상의 조사결과를 토대로 인천광역시독거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의 문제점으로 경제적인 문제, 건강 및 의료서비스 문제, 사회복지 서비스 문제, 사회 심리적인 문제를 도출하였고, 개선방안으로 첫째, 최저생활을 유지하지 못하는 독거노인의 보호대책으로 생활보호 수준향상과 노령연금확대지금, 간병수당과 빈곤가족을 위한 정부보조금 지급, 노인의 취업기회 확충의 경제적인 지원이 있어야 하고, 둘째, 제한적이고 수동적인 독거노인 의료서비스전달체계를 다양화시 가정중심으로 서비스가 제공되는 체계로서 먼저 치료중심의 가정간호, 재활요법치료, 작업치료, 개인요양이나 수발을 위한 기본서비스 등이 필요하다, 셋째, 효과적인 서비스를 위해 사회복지서비스 전달의 체계의 일원화, 독거노인을 위한 별도의 사회복지서비스 지원, 자원 확보 및 요원전문화, 서비스 홍보 및 제공기관의 설치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독거노인의 소외감과 고독감을 없애고 성취감, 소속감등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독거노인여가활동 증진을 위해 친구, 친척, 이웃, 교회, 사회복지관 자매결연 등을 통한 사랑과 관심의 지원확충이 필요하다. 다섯째, 노인 스스로가 그들 자신의 권익을 찾고 지키기 위해서 노인권익운동 등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노력을 해야 할 것이며, 마지막으로 독거노인들의 경제적, 사회·심리적 등의 지원을 위해 지역사회 안에 있고 지역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지역교회의 사회복지참여가 필요하다. As industrialization progresses, the increase of lonely elderly adds to the seriousness of senile problems and demands activ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social welfare servicesfor the lonely elderly in Incheon. It examines the compositional ratio of the lonely elderly, the current situations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their socio-psychological conditions, and purposes to search for stabilizing measures for their living situations. The study combines documental studies and substantial researches to examine the problems in social welfare services for the lonely elderly in Incheon and to propose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In order to provide a more concret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o design a more thorough survey, th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lonely elders as well as the welfare policies of Incheon were organized and indicated based on the existing documents, for the substantial analysis, 170elder1y of ages 65 and older and who are living in Incheon were surveye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four districts in Incheon Nam-gu, Namdong-gu, Bupyung-gu and Jung-gu and by social welfare workers for one-on-one interviews. The results were analyzed for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and t-test by Spss Program. The realit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nely elderly in Incheon revealed the following: their compositional ratio in the social consensus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50% of them were supported by the government support for basic living when most of other regions only supported 30%; and male elderly were more distressed by their lonely living than female elderly were. Although other regions reported that female elderly were experiencing more distress due to isolation and loneliness, it is assumed that males in Incheon were more prone to becoming distressed because those living in Incheon were experiencing more financial difficulties and because males have less resistance to financial problems than females. However, this assumption requires further studies and researches. Additionally, those who had Christianity as their religion showed less impulse to commit suicide due to isolation. Therefore, social participations as Christians were necessary for their psychological problem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economic problems, social welfare service problems and socio-psychological problems of the lonely elderly in Incheon were examined and the possible improvement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ly, in order to protect the lonely elderly who failed to guarantee minimum living expenses, quality of support shall be improved; pension provision shall be expanded, financial supports for care-givers and/or poverty-level families shall be provided; and the social employment of elderly shall be achieved. Secondly, the provision of the services shall be systemized and uniformed for effectiveness and additional services shall be provided solely for the lonely elderly. Al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resources and professionalize the staffs and to expand the service providers. Thirdly, in order to vitalize the leisure activities of the lonely elderly to eliminate their feeling of isolation and agony and to satisfy their needs toward the feeling of achievements and attachments and the social participations, more love and concerns shall be devoted to help them make friends, find relatives and/or neighbors, and participate in activities in churches and/or in sister welfare centers. Fourthly, the elderly themselves shall have the motivation to make actual and concrete effort to search for their social rights. They shall form movements for their social rights, trigger social welfares of the elderly, by the elderly and for the elderly, and spontaneously accumulate knowledge and intellectuality for social activities. Lastly, the local churches that are within the communities and closely related to the communities shall participate in the social welfare activities to provide financial and socio-psychological supports for the lonely elderly.

      •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장서 구성에 대한 연구

        옥정원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55

        세계화와 통신기술의 발달로 최근 우리나라는 다문화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다양한 국가에서 유입된 외국인들은 우리 사회 전반에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이에 따라 사회적 기관인 지역사회 공공도서관에서는 양질의 다문화서비스에 필요한 다문화장서보유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다문화장서는 양과 유형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며 도서관 서비스의 기본이 되는 다문화장서의 관한 연구도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연구와 사례조사를 통하여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의 다문화장서의 현황을 정밀하게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인천광역시의 특성을 살린 다문화장서의 구성과 운영을 위한 장서구성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문화장서를 구비하여 제공하고 있는 인천광역시 구·군의 대표격인 12개의 도서관을 대상으로 다문화장서보유현황을 분석하고, 다문화인구대비 다문화장서구성 비교 및 국가별 1인당 장서수를 분석하였다. 이를 SPSS 23 (Statistical Packages for Social Science)으로 도서관이 위치한 지역의 국가별 등록외국인 비율과 국가별 장서비율의 상관성을 피어슨 상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평구와 중구가 특별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나머지 구도 0.7이상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 나타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천광역시의 구·군의 대표도서관격인 12개 도서관의 다문화장서보유현황을 조사하여 실증 분석한 결과 영미자료 및 중국어자료에 편중되어 있었다. 둘째, 각 도서관의 다문화장서의 수집방안 및 장서구성기준이 명확하게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다문화장서구성에 대한 예산편성이 정례화 되어있지 않았다. 넷째, 다국어 능력을 갖춘 전담인력의 부족으로 다문화장서 수집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 관련법과 시행령에 다문화인들을 지식정보취약계층으로 지정하여다문화장서구성과 다문화서비스의 근거를 마련하여야 한다. 둘째, 인천광역시 지역적 특성에 적합한 다문화장서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도서관과 유관기관이 협력하여 정확한 장서구성기준을 갖춰야 한다. 셋째, 다양한 다문화장서를 구성하기 위해서 국제도서전참여, 국제도서교류, 도서기증, 인터넷서점 등 수집방안을 통해 양질의 장서를 폭넓게 구성하도록 한다. 넷째, 부족한 인적자원을 해결하기 위해 다문화전문사서의 배치가 필요하며 지역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다문화인력을 활용하여 정체성확립에 도움을 주는 자료선정을 하도록 한다. 다섯째, 다문화장서의 구입예산의 부족함을 해소하고자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 간의 협동수서정책을 마련하도록 한다. 여섯째, 인천광역시의 다문화대표도서관을 설립하여 모든 도서관을 컨트롤하며 이용자와 다문화장서를 연결하고 각 도서관들의 정보교류를 통한 협력으로 지속적으로 다문화장서를 구축하여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인천광역시 공공도서관들의 양질의 다문화장서를 구성함으로써 다문화인들과 우리 국민이 함께 우리나라를 이끌어나가는 사회구성원으로 서로 발전적인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유휴부지 활용을 통한 원도심 역세권 도시재생 방안

        연건우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최근 인천은 성장과 변화의 과정에서 인천의 원도심은 쇠퇴현상, 역세권의 슬럼화 진행, 방치된 근린상권, 철도역사의 노후화와 더불어 부평, 구월, 송도, 청라 등의 신시가지 발달과 중심지 이동이 심화하면서 원도심 쇠퇴현상도 급격 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철도역사 주변부는 인천의 원도심에 위치해 과거 경제 성장을 견인하며 도심과 도심을 연결하며 도시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하지만 현재 원도심 지역을 이분화시키는 특징과 현대의 다기능 복합화된 철도역사들과 다르게 철도역사의 기능만 하는 원도심의 철도역사들은 외면받기 시작했다. 이러한 이유로 슬럼화를 가속하는 역할을 하는 역세권의 방치된 근린상권 및저층주거지는 도시 내 환경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과거 개화와 산업발전을 위하여 서울을 항구와 직접 연결해주는 중요한 대량운송 수단이었으나 현재는 그 가치가 예전만큼 높지 않아 중심지의 역할을 못 하고 있어 주변 부의 재생을 통해서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도시재생전략 및 유휴공간 활용 방향을 수립하고자 한다. 따라서 역세권의 유휴 공간 발생 요인과 특징의 분석을 통해 역세권에서 유휴공간을 활용한 도시재생의 구체적인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원도심을 배경으로 한 도시재생 뉴딜사업 중 2030 동인천 역전 프로젝트에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된 동인천역 일원으로 한다. 연구의 과정은 먼저 이론연구를 통해 도시재생과 유휴공간에 대해 이론적 으로 정리한 후 역세권에서 유휴공간의 잠재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한 결과와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역세권 도시재생에서 유휴부지 활용의 필요성을 iv 검토하고 역세권 유휴공간을 도시의 지역성을 나타내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앞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대상지인 동인천역 일원의 유휴부지를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유휴부지의 발생요인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대상지 현황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동인천역 일원의 도시재생전략 수립을 위한 기본구상을 설정하고 유휴부지의 발생요인 및특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도시재생 전략을 제안한다. 도시재생전략은 기본방향을 크게 세 가지로 설정하였고 그 내용은 동인천역 역세권 일원의 기존 뉴딜사업계획과 오래된 도심의 기반시설 정비계획, 대상지내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고려하는 계획, 도시적 특성을 반영하는 계획이다. 계획목표는 기본방향을 반영하여 1) 근린상권 개선을 통한 도시경제 활성화, 2) 지역 커뮤니티 조성을 통한 도시활력 회복, 3) 쾌적한 정주환경 조성을 통한 주민 삶의 질 향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현황분석을 반영한 효과적인 전략을 위하여 공간을 단독주거지역, 주거 및 상업 혼재지역, 혼수거리지역, 상업지역으로 나누어 진행하였고 도출한 유휴부지는 각각 공간의 입지 및 특성에 맞게 새로운 기능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된 동인천역 일원을 대상으로 쇠퇴가 가속화되고 있는 역세권 단절지역의 유휴부지 분포상태와 원인을 파악 하고 결과를 통해 도시재생 전략을 수립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또한, 유휴 부지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도시재생전략을 수립했 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전략수립의 결과는 유휴부지 활용을 통한 도시재생 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유휴부지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도시재생계획 시 일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최근 인천은 성장과 변화의 과정에서 인천의 원도심은 쇠퇴현상, 역세권의 슬럼화 진행, 방치된 근린상권, 철도역사의 노후화와 더불어 부평, 구월, 송도, 청라 등의 신시가지 발달과 중심지 이동이 심화하면서 원도심 쇠퇴현상도 급격 하게 진행되었다. 특히 철도역사 주변부는 인천의 원도심에 위치해 과거 경제 성장을 견인하며 도심과 도심을 연결하며 도시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하지만 현재 원도심 지역을 이분화시키는 특징과 현대의 다기능 복합화된 철도역사들과 다르게 철도역사의 기능만 하는 원도심의 철도역사들은 외면받기 시작했다. 이러한 이유로 슬럼화를 가속하는 역할을 하는 역세권의 방치된 근린상권 및저층주거지는 도시 내 환경을 저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과거 개화와 산업발전을 위하여 서울을 항구와 직접 연결해주는 중요한 대량운송 수단이었으나 현재는 그 가치가 예전만큼 높지 않아 중심지의 역할을 못 하고 있어 주변 부의 재생을 통해서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도록 도시재생전략 및 유휴공간 활용 방향을 수립하고자 한다. 따라서 역세권의 유휴 공간 발생 요인과 특징의 분석을 통해 역세권에서 유휴공간을 활용한 도시재생의 구체적인 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원도심을 배경으로 한 도시재생 뉴딜사업 중 2030 동인천 역전 프로젝트에서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된 동인천역 일원으로 한다. 연구의 과정은 먼저 이론연구를 통해 도시재생과 유휴공간에 대해 이론적 으로 정리한 후 역세권에서 유휴공간의 잠재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한 결과와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역세권 도시재생에서 유휴부지 활용의 필요성을 iv 검토하고 역세권 유휴공간을 도시의 지역성을 나타내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앞서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대상지인 동인천역 일원의 유휴부지를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유휴부지의 발생요인및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대상지 현황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동인천역 일원의 도시재생전략 수립을 위한 기본구상을 설정하고 유휴부지의 발생요인 및특성을 고려하여 구체적인 도시재생 전략을 제안한다. 도시재생전략은 기본방향을 크게 세 가지로 설정하였고 그 내용은 동인천역 역세권 일원의 기존 뉴딜사업계획과 오래된 도심의 기반시설 정비계획, 대상지내 커뮤니티의 활성화를 고려하는 계획, 도시적 특성을 반영하는 계획이다. 계획목표는 기본방향을 반영하여 1) 근린상권 개선을 통한 도시경제 활성화, 2) 지역 커뮤니티 조성을 통한 도시활력 회복, 3) 쾌적한 정주환경 조성을 통한 주민 삶의 질 향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현황분석을 반영한 효과적인 전략을 위하여 공간을 단독주거지역, 주거 및 상업 혼재지역, 혼수거리지역, 상업지역으로 나누어 진행하였고 도출한 유휴부지는 각각 공간의 입지 및 특성에 맞게 새로운 기능으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지정된 동인천역 일원을 대상으로 쇠퇴가 가속화되고 있는 역세권 단절지역의 유휴부지 분포상태와 원인을 파악 하고 결과를 통해 도시재생 전략을 수립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또한, 유휴 부지를 활용하는 데 있어서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도시재생전략을 수립했 다는 것에 큰 의의가 있다. 전략수립의 결과는 유휴부지 활용을 통한 도시재생 면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유휴부지를 활용했다는 점에서 도시재생계획 시 일부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rocess of growth and change, Incheon's original city center declined sharply as the development and movement of new cities such as Bupyeong, Guwol, Songdo, and Cheongna intensified along with the slumization of the station area, neglected neighborhoods, and railroad stations. In particular, the area around the railway station was located in the original city center of Incheon, which led to economic growth in the past and played a role in connecting the city center and the city center. However, unlike th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the original city center from the modern complex railway station, the railway station in the original city center, which only functions as a railway station, began to be ignored. For this reason, neighborhood commercial areas and low-rise residential areas neglected in the station influence area, which play a role in accelerating slumization, have a problem of worsening the urban environment. In the past, it was an important means of public transportation that directly connected Seoul and the port for enlightenment and industrial development, but now it is not as high as before, so it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through regeneration by establishing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and directions.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idle space in the station area, we intend to derive a specific urban regeneration strategy using idle space in the station area. The spatial scope of this study is the East Incheon Station area designated as an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area in the 2030-dong Incheon Station area project among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set in the original city center. The process of the study first attempts to theoretically organize urban regeneration and idle space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and then analyze the potential of idle space in the station area. The analysis results and previous studies will be reviewed to review 89 the necessity of using idle land when urban regeneration in the station area, and to review ways to use idle space in the station area as a representative space of the city. In addi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ceding analysis, idle sites in the area of Dongincheon Station, the target site of this study, were investigated, and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idle sites were analyzed. In addition, a basic plan for establishing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in the East Incheon Station area was establishe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target site, and specific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were pres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idle land. The urban regeneration strategy is carried out in three main directions: the existing New Deal project plan in the East Incheon Station area, the old city infrastructure maintenance plan, the target community revitalization consideration plan, and the urban characteristics. Reflecting the basic direction, the goal was to 1) revitalize the urban economy by improving the neighborhood, 2) restore urban vitality by creating a local community, and 3)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by creating a pleasant settlement environment. For an effective strategy reflecting the current status analysis, the space was divided into detached residential areas, residential and commercial areas, marriage street areas, and commercial districts, and the derived idle land was proposed as a new func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distribution and cause of idle land in the area where the decline is accelerating for East Incheon Station, which is currently designated as an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area, and established an urban regeneration strategy through the results. In addition,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an urban regeneration strategy was established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residents in using idle land. The results of strategy establishment can be used as basic data that can be helpful in terms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use of idle land, and can be used as some basic data for urban regeneration plans in that it uses idle land by reflecting residents' opinions.

      • 청소년의 직업선호경향 이해와 진로지도에 대한 방향성 : 청소년직업흥미검사를 바탕으로

        용소현 인천대학교 행정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55

        직업은 개인의 삶 전체에 걸쳐서 미래와 가정, 사회 전반에 영향력을 행사한다. 많은 사람들이 직업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지만 진로준비와 선택과정 만큼은 교육의 분야로 미루는 경향이 크다. 그러나 입시위주의 교육에서 학생 스스로 자신의 선호경향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 마련과 선호경향을 존중한 진로지도는 어렵기만하다. 결국 목적의식의 부재와 부적응으로 휴학, 편입, 재입학, 정신질환 등 시간적, 경제적, 정신적, 개인의 노력 면에서 많은 에너지 손실은 물론 졸업 후 전문성과 무관한 직업선택과 잦은 이직 등 지속적인 문제발생의 가능성도 높다. 최근 급격한 사회변화와 직업관의 변화, 선호경향의 변화는 사회문화와 가치관의 변화와 함께 취업재수생, 청년실업자, 고학력실업자라는 노동시장의 불균형을 가져왔다. 이런 현상들은 직업과 관련되어 파생된 것으로 청소년들의 진로지도와 무관하지 않다. 이에 미래의 진로지도는 사회문제와 사회적 손실을 최소화하고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한 개인의 생애 전반에 걸친 계획이자 지역사회의 다면적 접근으로 거듭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사회구조적 변화와 인간의 심리성향을 배경으로, 특히 학교의 진로지도와 학생들의 진로선택과정 및 진로의식의 분석을 통해 진로지도를 지역사회의 사회복지 시스템과 연계하는 등 새로운 방향을 찾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크게 세가지 분석으로 이루어겼다. 첫째, 인천지역 남녀 고등학생 총 448명을 대상으로 노동부 청소년직업흥미검사를 실시하고, 홀랜드의 유형별을 기준으로 결과를 분석해 학교별, 성별에 따른 흥미유형과 청소년들의 미래 직업선호경향을 예측하였다. 둘째, 30대 전후의 다양한 직업을 가진 직장인과 대학생 247명을 대상으로 진로경험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과거 진로선택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고 고등학생집단의 선호경향과 비교하여 고등학생들이 진로선택과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문제점과 가능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셋째, 인천의 고등학교 교사 89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대학생, 직장인집단과 비교해 두 집단간 인식 차이와 함께 심리검사의 활용도, 진로선택과정과 학교진로지도에서의 한계점, 지역사회와 사회복지시스템과의 연계가능성 둥 방향성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고등학생들은 전체적으로 탐구형이 높고 사회형이 낮았으며 집단간 비교에서는 상대적으로 인문계 남학생이 탐구형에, 실업계 여학생이 사회형에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었다. 적합분야는 탐구형의 과학, 연구분야와 예술형의 미술, 음악분야으로, 졸업 후 대학진학이나 취업시 탐구, 연구영역 중에서도 '컴퓨터 웹디자이너'처럼 미술적 음악적 감각을 요구하는 직종으로의 선호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대학생, 직장인집단의 고등학교의 선호경향은 주로 사회형이 높았고, 선택계열은 대학과 직장에서의 선택과정에 계속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특히 사회형은 고등학생들에게 가장 취약하지만, 대학생 및 직장인 집단에서는 강세를 보였는데, 이는 선호유형이 학업위주의 고등학생집단과 대인관계 위주의 대학생, 직장인집단의 환경적 특성이 반영된 것이라는 추측을 가능하게 했다. 한편, 교사집단과의 비교에서 대학생, 직장인집단은 적성과 흥미에 대한 자기이해 부족에 대해 많은 아쉬움과 필요성을 보인 반면, 교사집단은 이를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생각지 않고 있었고, 오히려 학생들에게 문제되지 않는 부모와의 갈등이나 의견이 더 많이 고려하는 듯 보였다. 또한 교사들은 성적과 적성 외에 안정된 취업, 폭넓은 취업, 높은 전망을 고려해 주로 인문, 교육분야의 추천을 많이 하고 있었는데, 이는 교사의 전공 및 강의과 목과도 관계가 있어 보였다. 이러한 진로지도과정은 객관적이고 중립적이기 어려우며, 지나치게 형식적이거나 성적에 치우칠 경향이 높기 때문인지 대학생, 직장인집단의 만족도는 훨씬 낮았다. 이처럼 자기이해부족과 선호를 고려하지 않은 진로지도는, 진학과 취업, 성적의 문제로 편중되면서 일방적이고 형식적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에 교사들은 일관된 정부정책과 구체적인 정보, 효과적인 자기이해 증진과 능력배양을 위한 프로그램개발 등 새로운 개념의 전문화된 진로지도의 필요성에 동의하였다. 만일 공공기관, 사회복지기관, 상담센터, 종교단체 등 사회복지서비스 차원에서 공동 지원되는 등 지역사회가 참여한다면 진로지도의 효과는 높아질 것이다. 이러한 사회적인 토대와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생각의 전환'과 '새로운 개념의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 학교는 창의력과 적응력을 키우는 방법을 찾아가는 '과정으로서의 교육'으로 전환하고, 학생 스스로 자기이해를 높여 의사결정을 할 수 있는 진로태도를 준비시켜야 한다. 가정에서는 경험과 선택의 기회를 넓혀주고, 그 기회는 학생들이 방학을 이용해 지역사회 및 사회복지시스템, 혹은 국제 협력단체로부터 제공받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함께 가동되어야 한다. 또한 정부는 이를 제도적으로 밑받침해 줄 수 있는 정책을 마련해야 하는데, 교육부와 노동부, 보건복지부의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행정지원과 함께 계획되어야 한다. 학교는 이런 전반적인 사회구조 속에서 전문성을 갖춘 지역사회 시스템과의 연계함으로서 학생들이 자기진로를 합리적으로 선택하게 하는 등 성숙한 사회인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An individual's job has an influence on his or her future, family, and society in general throughout his whole life. Through aware of its importance, many people have a tendency to think that the preparation for and choice of an occupation is what education should do. But in a college-entrance examination-oriented society it is very difficult to do the guidance counselling, providing and respecting the circumstances for students to develop their own preference tendency. Consequently, due to a lack of aim and maladiusonent, students come te be absent from school, transfer, reenter, get psychotic troubles, etc., causing the loss of a lot of time and energy in their economic and mental efforts, as well as making the students, after graduation, choose a job irrelevant to their majors and change occupations frequently. The rapid change of society, vocational attitude and preference tendency of late, along with the cultural and ethical change, has brought about imbalances in the labour market such as jobless college graduates waiting to be employed, the unemployed young, and the unemployed of high academic career. These phenomena, derived from occupations, are not irrelevant to the guidance counselling for youth. The guidance counselling for the future needs to be reborn as a life-long personal plan and multilateral concerns of a local community to minimize the social problems and loss, and guarantee a decent life. This thesis, therefore, aims at finding out new ways of guidance counselling, with structural change of society and psychological tendency of humankind its background, by connecting guidance counselling with social welfare system of local communit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school guidance, the choice of occupation, and the attitude towards it. The study is mainly composed of three analyses. First, I gave a test for job interest to a total of 448 boy and girl students from high schools in Incheon City and, by analyzing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types classified by Holland, made a prediction for interest types and future job preference tendency of teenagers by schools and sexes. Second, I made up questions about a job experience to 247 company workers and college students in their thirties or thereabout, analyzing from their answers how they came to get their jobs, and comparing it with that of highschool groups to confirm wllat the possible problem is when they are trying to choose one. Third, I made up questions to a total of 89 high school teachers, and compared the result with that of the group of company workers and college students to find out a right direction from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how useful the psychological test is, what the limitations are both in the job-choosing process and school guidance counselling, the possibility of connecting local community with social well-being systems, etc.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present high school students as a whole are high in the inquiry type and low in the social type, and, in the comparison between groups, boy students from academic high schools are comparatively high in the inquiry type while those from vocational and girls' highs were high in the social type. I could predict that students in inquiry type will prefer science and research while those in the art type will choose fine arts and music, and that especially among those in inquiry and research trpe, many will, after graduation, choose as a job an area like a "computer web designer," which requires senses both plastic and musical. Those in the group of workers and college sdents showed a high preference tendency in social type, and their choice of broad division of major in high school had a continual influence in their choice of college and occupation. Particularly, the social type was lowest among high school students while high among college students and company workers, which shows that the preference types are influenced by the situations of each schoolwork -oriented high school group and personal relation-oriented college student and worker group. Meanwhile, in the comparisons with the group of teachers, college students and company workers shciwed themselves much unsatisfied with a lack of aptitude and interest in self-understanding, whereas those from the teacher group didn't think it important because they seemed to be more concerned with conflicts with parents which couldn't be a problem at all to students. Teachers seemed to be in a tendency to recommend, regardless of students' school achievements and aptitude, the area of humanities and education for its stability, variety, and prospect as a job, which seemed to have something to do with the teacher's mor and the subject he is teaching. This kind of guidance, far from being objective and impartial, or perfunctory and inclined towards schoolwork achievement, rarely satisfied the group of college students and workers. This guidance counselling disregarding self-understanding and preference poses a problem by thinking itself only as a matter of achievement or by being one-sided and perfunctory. Aware of this problem, teachers agreed that there should be a consistency in government policy, that they should be given more concrete information, and that a program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effective self-understanding and competence. The effect of guidance counselling would be greater if governmental agencies, social welfare centers, counselling institutions, and religious organizations should all participate in it conjointly as a social welfare service. To secure a social consensus and atmosphere concerning this, an introduction is necessary of "a change of mind" and "a system of a totally new concept" never tilought of in the past. Schools should change themselves and find a new "education as a process" in which creativity and adaptability will be raised, preparing students to increase their own self-understanding and decision -making capability. Students should be given at home more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choose, along with the program they can participate in during vacation which is provided by the local community and social welfare systems 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 government, too, should provide policies to help with this systematically in which the ministries of Education, Labor and Health and Welfare should cooperate to support with a systematic and concrete administration. Schools should help students choose their courses in a more rational manner, enabling them to be reborn as a mature social being, by being in connection with a local community system equipped with expert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