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ocating Narratives of Diasporas and/or Émigré Otherness in National Literatures: With Some Examples from Croatian, Serbian and Korean Émigré Fiction

        보리스 슈크보르쯔(Boris Š kvorc)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5 동유럽발칸연구 Vol.39 No.6

        이 논문은 민족문학과 이민자 문학에 대한 담화가 (그 국가에서) 어떻게 치부되며, 이론적 글쓰기에 의해 정의되는지, 그리고 국민문학으로서 또는 학문적, 정치적 패권에 의해 공표되는지에 대한 과정에 주안점을 둔다. 이 논문은 또한 관심의 중점에 있는 두 가지 사안을제시한다. 첫 번째는 해체주의와 포스트식민주의부터 다문화주의와 젠더 연구까지를 다룬 수많은 문학적, 그리고 문화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방법론적 접근방식의 중심인 ‘다름(이질성)’에 대한 질문이다. 이 사안은 후기 푸코주의 이론의 담화, 권력의 분배, 그리고 소외된공간의 포함과 관련 있는 ‘이민자역사 재구성‘의 맥락에서 논의된다. 여기서, 소외된 공간의 의미는 이주된 글쓴이가 생활했던 타지를 말한다. 두 번째 사안은 자료집과 저서에서 관찰할 수 있는 작가의 소외된 목소리(의견)의 발췌와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이민자 문학이 시간적인(시대적인) 양상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양상도 포함시킨다는 점에서 ‘시공간적인 차이에 대한 교량 역할’과도 관련되어 있다. 이는역동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국민 문학의 현재 상황을 재-시성(再-諡聖), 재평가 하는 과정에 대한 담화를 역사화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저자는 이러한 과정에서 흔히 새로운 의미와 패러다임을 부여하는 모국의 패러다임과 반대되게 해석하는 것으로부터 생기는 ‘다 름’에 역사주의가 박혀있다고 주장한다. 담론적인 상황에서 나타나는 이러한 움직임은 활동적인 망각, 즉, ‘기억하려 하지 않는 것‘에 대한 반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인은 ‘무언가를 대표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것에 대한 창조는 필연적으로 억압의 행위를 포함한다.”라는 주장을 내세우는 후기 니체주의, 그리고 후기 구조주의의 기조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는 발칸반도, 한반도와 같은 두반도라는 공통적 환경에서 겪는 (위에서 언급한)과정의 방식을 다루고 있다. 필자는 또 다른 두 번째 논문에서 개별적인 지역적으로, 또는 담론적으로 뚜렷하게 표시된 지역을 다루게 될 것이다. In this article the emphasis is on the procedures in which the ethnic and émigré literature discourses are considered and defined in theoretical writing and how are they evaluated in the process of canonization in national literatures, or within the circle of their academic and political hegemonic frames1. At the centre of attention will be two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is allied with the poststructuralist question of otherness which nowadays is still central to a number of post-structural methodological approaches i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from deconstruction and post-colonial theory to multicultural and gender studies. Its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ost-Foucauldian poststructuralist theories of discourse, in ideas about the distribution of power and in the context of the re-construction of history of displaced others in relation to the now-alienated imaginary space of possible inclusion. By that I mean the original environment from which the émigré writer is physically excluded. The second question is concerned with the location of the displaced voice in both corpus and cannon, and with the bridging of a gap in time and space which in émigré literature is not only a temporal issue but also spatial. It often represents a poly-ethnic and dispersed discursive realm, rather than an ethno-centric and biased position hostile to the dominant hegemonic order. All this represents a dynamic interaction of fields and includes the process of historicizing discourse in a process of re-canonizing and re-evaluating the current strategies in rewriting national literatures’ histories and their dealings with their own others. I will argue that this process of diverting the traditional historicism of closed communal discourses into a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environment is embedded in the otherness that is produced as a reading against being positioned in a host nation’s paradigms. The fact is that host nations often try to impose new meanings and paradigms onto the foreign body of displaced émigré writing and to forcefully position them in their imagined historic progression. This, in return, becomes a process of reaffirming than postmodern, ideas. In these circumstances the strategies of national re-canonization stipulate the process of active forgetting, not remembering. Following this stream of thought, in this essay I emphasize the post-Nietzschean, poststructuralist thesis which states that the “(…) creation of the new, like representation, inevitably involves an act of repression”.2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actical modes of this complex process in the comparative environment of two peninsulas: Balkan and Korean. Therefore I will also discuss and interpret individual examples from both geographically and discursively diverse locations. Here, the first part of the essay is presented, and the second part will be published in the next issue of this journal.

      • KCI등재

        Locating Narratives of Diasporas and/or Émigré Otherness in National Literatures

        Boris Š,kvorc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5 동유럽발칸연구 Vol.39 No.6

        이 논문은 민족문학과 이민자 문학에 대한 담화가 (그 국가에서) 어떻게 치부되며, 이론적 글쓰기에 의해 정의되는지, 그리고 국민문학 으로서 또는 학문적, 정치적 패권에 의해 공표되는지에 대한 과정에 주안점을 둔다. 이 논문은 또한 관심의 중점에 있는 두 가지 사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는 해체주의와 포스트식민주의부터 다문화주의와 젠더 연구까지를 다룬 수많은 문학적, 그리고 문화적 연구에서 (사용 되는) 방법론적 접근방식의 중심인 ‘다름(이질성)’에 대한 질문이다. 이 사안은 후기 푸코주의 이론의 담화, 권력의 분배, 그리고 소외된 공간의 포함과 관련 있는 ‘이민자역사 재구성‘의 맥락에서 논의된다. 여기서, 소외된 공간의 의미는 이주된 글쓴이가 생활했던 타지를 말 한다. 두 번째 사안은 자료집과 저서에서 관찰할 수 있는 작가의 소외된 목소리(의견)의 발췌와 관련되어 있으며, 또한 이민자 문학이 시간적인(시대적인) 양상뿐만 아니라 공간적인 양상도 포함시킨다는 점에서 ‘시공간적인 차이에 대한 교량 역할’과도 관련되어 있다. 이는역동적인 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국민 문학의 현재 상황을 재-시성(再-諡聖), 재평가 하는 과정에 대한 담화를 역사화 하는 것을 포함한다. 저자는 이러한 과정에서 흔히 새로운 의미와 패러다임을 부여하는 모국의 패러다임과 반대되게 해석하는 것으로부터 생기는 ‘다름’에 역사주의가 박혀있다고 주장한다. 담론적인 상황에서 나타나는이러한 움직임은 활동적인 망각, 즉, ‘기억하려 하지 않는 것‘에 대한 반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인은 ‘무언가를 대표하는 것’과 같은 새로운 것에 대한 창조는 필연적으로 억압의 행위를 포함한다.”라는 주장을 내세우는 후기 니체주의, 그리고 후기 구조주의의 기조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는 발칸반도, 한반도와 같은 두 반도라는 공통적 환경에서 겪는 (위에서 언급한)과정의 방식을 다루고 있다. 필자는 또 다른 두 번째 논문에서 개별적인 지역적으로, 또는 담론적으로 뚜렷하게 표시된 지역을 다루게 될 것이다. In this article the emphasis is on the procedures in which the ethnic and émigré literature discourses are considered and defined in theoretical writing and how are they evaluated in the process of canonization in national literatures, or within the circle of their academic and political hegemonic frames1. At the centre of attention will be two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is allied with the poststructuralist question of otherness which nowadays is still central to a number of post-structural methodological approaches in literary and cultural studies, from deconstruction and post-colonial theory to multicultural and gender studies. Its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ost-Foucauldian poststructuralist theories of discourse, in ideas about the distribution of power and in the context of the re-construction of history of displaced others in relation to the now-alienated imaginary space of possible inclusion. By that I mean the original environment from which the émigré writer is physically excluded. The second question is concerned with the location of the displaced voice in both corpus and cannon, andwith the bridging of a gap in time and space which in émigré literature is not only a temporal issue but also spatial. It often represents a poly-ethnic and dispersed discursive realm, rather than an ethno-centric and biased position hostile to the dominant hegemonic order. All this represents a dynamic interaction of fields and includes the process of historicizing discourse in a process of re-canonizing and re-evaluating the current strategies in rewriting national literatures’ histories and their dealings with their own others. I will argue that this process of diverting the traditional historicism of closed communal discourses into a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environment is embedded in the otherness that is produced as a reading against being positioned in a host nation’s paradigms. The fact is that host nations often try to impose new meanings and paradigms onto the foreign body of displaced émigré writing and to forcefully position them in their imagined historic progression. This, in return, becomes a process of reaffirming than postmodern, ideas. In these circumstances the strategies of national re-canonization stipulate the process of active forgetting, not remembering. Following this stream of thought, in this essay I emphasize the post-Nietzschean, poststructuralist thesis which states that the “(…) creation of the new, like representation, inevitably involves an act of repression”.2 The second part of this article deals with the practical modes of this complex process in the comparative environment of two peninsulas: Balkan and Korean. Therefore I will also discuss and interpret individual examples from both geographically and discursively diverse locations. Here, the first part of the essay is presented, and the second part will be published in the next issue of this joural.

      • KCI등재

        (“대국”이라는) 안정적·담론적 패러다임 속에서의 과거 이념의 영향과 남슬라브 민족 공간의 상상력 만들기에 관한 서술

        보리스 슈크보르쯔(Boris Š,kvorc)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3

        이 논문은 두 가지 주요한 남슬라브 민족의 이념적 서술의 역할을 분석하고 있다. 그 역사와 구조적 질문들은 발칸반도의 슬라브 국가들에있어서의 정치적이며 문화적인 담론에 상당히 영향을 미쳤다. 이 논문은 그러한 과거의 이념들이 문화적 정책에 대한 이해와 발전 그리고 서부 발칸지역의 미래발전에 관한 전략적 사고와 같은 정책기획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세르비아인들과 크로아티아인들에게 있어 이념적으로 차지하고 있는 민족신화와 그들의 서술적 전략들이 지배담론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러한 지배력 획득경쟁이 정치, 권력 또는 문화적 패러다임이 되고 있는 모든 지역들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한다. 또한 그것은 구 유고슬라비아라는 공간 속에서 기억의 상실을 만들어내는 정책들을 지배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러한 신화적 서술들이 오랜 시간을 가로질러 살아남았으며 오늘날의 정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을 연구함으로써, 또한 동양과 서양, 남과 북, 그리고 기독교와 이슬람 세계 간의 문화에 있어서의 지역적 서술의 미래 질문방식을 예측 가능하게 한다. 이 논문은 그러한 지역적 시스템을 분석함으로써, 더 폭넓은 유럽과 중동이라는 맥락 안에서, 어휘 유형화의 오차를 포함하여 민족적 서술의 영역을 새롭게 전통화하고 정치와 분쟁의 영역에 있어서 과거를 순응시키는 절차를 더 잘 이해하도록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서술절차의 정형화된 양식은, 여기서 소중한 민족신화와 소중한 이념 그리고 그것들의 역할에 대한 해석이 가능한 핵심분야를 나타내며, 미셸 푸코는 이를 패권질서의 민족적 담론 내에서의 “권력의 역할”이라고 불렀다. 이것은 사회학, 심리학, 역사기록학과 철학이관심을 두고 있는 쟁점들과 마찬가지로 유사한 주제들에 관심을 두고있으며, 민족적 이데올로기의 복잡한 부분을 다루기 위한 서사학적인방법론적 접근을 가능하게 만든다. 뿐만 아니라 이 논문은 민족적 서사에 대한 연구는 “틈새 사이의 공간”에 대한 학제간 연구의 방법을 견인할 수 있으며, “위대한 서사”와 복잡다단한 그들의 패권장악을 위한 공격성사이에서의 자리잡기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또한 그 점에 있어서 그와 같은 접근은 집단적 기억상실과 적절한 해석의 의미 그리고 자연스러운기억패턴과 같은 연구의 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explores the role of two major South Slavic ideological narratives whose histories and structural interpellations in various interpretations of the past have significantly influenced political and cultural discourse in Slavonic countries on the Balkan Peninsula. In the article it is claimed that these ideologies of the past have not only had a great influence on policy planning and strategic thinking about future developments of the Western Balkans, but also on a whole region where Serbian and Croatian ideologically charged national myths and the tactics of their narratives are used in the hegemonic discourse and its power games. They also dominate the policies of producing memory loss in the space of Former Yugoslavia. By studying the ways in which these mythological narratives have survived through time and influence today’s politics, it also is possible to predict the ways of future interpellations of local narratives in cultures positioned between East and West, South and North, Christianity and the Muslim world. By studying these local systems, the paper claims that it is possible to better understand processes of re-traditionalizing the realm of nation narrations and naturalizing the past in the sphere of politics and conflict, including vocabulary stereotyping in the wider European and Middle East context. The patterns of narrative procedures, it is claimed here, represent a key area in possible interpretation of national mythologemes and ideologemes and their role in what Foucault calls “power plays” within the national discourse of hegemonic order. This enables the narratological methodological approach to tackle the complex area of nationalistic ideologies an position it to share and discuss similar concerns and issues as does sociology, psychology, historiography and philosophy. Furthemore, it is claimed here that the study of national narratives can lead the way in interdisciplinary study of “places in between” and their complex positioning between “great narratives” and their hegemonic aggressiveness. In that respect this approach also provide the tools of the study of collective memory loss and construction of appropriated and naturalised memory patterns.

      • KCI등재후보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all buildings with porous double-skin façades: State of the art and future perspectives

        Petar Škvorc,Hrvoje Kozmar 한국풍공학회 2021 Wind and Structures, An International Journal (WAS Vol.33 No.3

        Double-skin façades (DSFs) have been increasingly implemented on tall buildings with the goal of improving building energy efficiency, natural ventilation and visual appearance. It is commonly known that wind and earthquakes represent major environmental load types impacting tall buildings. However, at this point,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all buildings equipped with porous façades are still relatively unknown, although it may be expected that the addition of porous outer skins will substantially affect the overall building aerodynamics. The scope of the present study is therefore to carefully review all the relevant parameters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all buildings with porous façades. Fluid flow and turbulence through porous surfaces were reviewed first with an emphasis on the wake and pressure drop behind perforated plates to analyze the phenomena of fundamental fluid mechanics relevant for porous surfaces. As the inflow characteristics predominantly dictate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tall buildings, it is therefore useful to review major wind types, including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ABL) and strong local winds, which have previously proved to cause major structural damage and failure. In order to be able to properly assess the aerodynamic loading of tall buildings with porous façad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aerodynamic features of tall buildings with smooth surfaces. For this reason, the aerodynamic performance of smooth tall buildings was reviewed, as were the design features commonly adopted to mitigate adverse wind effects. The existing and rather sparse current knowledge of the aerodynamic characteristics of porous DSFs of high- and lowrise buildings is outlined. Based on the provided information, it is clear that a substantial amount of knowledge still needs to be acquired in the future in regard to various aerodynamic features of tall buildings with porous DSFs, particularly concerning wind loads, building energy efficiency, pedestrian wind comfort, renewable energy aspects, air pollution dispersion and dilution. It is expected that the optimal approach to advancing this topic is in combining field measurements, laboratory experiments and computational mode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