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iming and Sequencing of Reforms for Human Rights Protection

        Youngsoo Yu(유영수)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2016 평화연구 Vol.24 No.1

        전쟁, 내전, 대량학살 등을 겪은 실패한 국가에 평화와 인권향상을 가져오기 위해 민주주의가 먼저 제도화되어야 하는가 아니면 사법제도와 언론의 자유 같은 자유주의 제도나 행정력이 선행되어야 하는가 하는 최근의 논쟁에 대해 본 연구는 민주주의 제도, 자유주의 제도, 국가능력이 인권 보호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인권 발전 수준에 따라 각각의 효과를 분석하고 각 요소의 상호작용관계를 살펴본다. 본 연구는 인권 침해 정도에 따라 각 요소의 영향이 다를 것을 전제하여 모수의 이질성을 고려한 퀀틀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고 각 요소가 다른 요소에 영향을 받는 조건부 효과를 가질 수 있음을 전제로 상호작용관계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분석 결과를 통해 민주주의가 자유주의나 행정력보다 시기적으로 나중에 역할을 하지만 행정력이나 자유주의 확대에 도움이 되므로 가능한 빨리 제도화되는 것이 좋다고 추론한다. Recent studies suggest that democratic institutions without proper government capacity or liberal institutions are hard to be consolidated and do not increase or may even decrease peace, prosperity, and human rights protection. If not democratic institutions, what factor(s) initiate(s) human rights protection? When should democratic institutions be built? Does democratic institution building have to precede or follow state building or liberal institution building?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explores two issues: parameter heterogeneit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rights protection and its determinants; (inter)dependence between the democratic effect and other effects. The quantile regression results show that institutional democracy does not work in countries with serious human rights problems whereas judicial independence, press freedom,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 ameliorate human rights problems in those countries, which suggests that democracy should come later. However, the analysis of interaction effects shows that democracy and other factors condition each other, which in turn suggests that democracy had better come as soon as possible.

      • KCI등재

        체제 전환 과정의 제도, 선호, 그리고 인권 보호

        유영수(Youngsoo Yu),서창록(Changrok Soh)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5 국제관계연구 Vol.20 No.2

        민주주의가 책임 정치, 견제와 균형의 제도, 비폭력적 정치과정을 통해 인권 보호를 가져온다는 인권의 국내정치모델은 민주주의 국가와 비민주주의 국가의 국내정치 제도의 간명한 차이를 드러내는 방식으로 두 가지 정치체제의 인권 상황을 잘 설명한다. 따라서 20세기 후반 체제 전환을 겪은 국가들의 인권 행동은 비민주주의 체제에서 민주주의 체제로의 제도변화로 잘 설명되리라 예상된다. 하지만 예상과 달리 체제 전환 국가들의 전환 과정과 이후의 인권 상황은 나라들에 따라 향상, 정체, 후퇴의 변이가 심해 제도 변화로 설명하기 힘들다. 본 연구는 제도의 변화보다 선호의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폴란드, 타이완, 슬로바키아, 몽골의 체제 전환과 인권 보호를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제(국내) 정치환경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가 인권 행동에 대한 선호를 형성하거나 변화시키고 이것이 인권 보호와 침해를 포함한 행동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주장한다. Domestic politics models of government human rights protection/violation explain human rights behavior as a consequence of institutions, highlighting democratic accountability, checks and balances, and nonviolent political process, that are institutional elements which separate democratic regimes from non-democratic ones. Contrary to what is expected, however, tremendous variation in human rights practices in transition countries in the late 20th century are not sufficiently explained through changes in institutions. This article argues that human rights practices in transition countries are better understood through the formation and changes in the preferences of the masses, elites, and political leaders. This article also explains the human rights practices during transition in Poland, Taiwan, Slovakia, and Mongolia focusing on preference changes instead of institutional chang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article suggests that domestic actor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international political environments affect their preferences and this leads changes of government human rights behavior.

      • KCI등재

        국내 월드컵경기장 부지 내 외부공간 현황조사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유다솔 ( Yu Dasol ),유영수 ( You Youngs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국제 스포츠 이벤트 중 하나인 월드컵은 개최국 및 개최도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월드컵 이후 시설 유지 및 관리는 주최 측에 큰 부담이 되기 때문에 월드컵경기장에 대한 활용방안이 중요하다. 국내 월드컵경기장은 월드컵 이후 시설 활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를 위해 월드컵경기장 외부공간에 주목하여 전략적인 활용방안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FIFA의 월드컵경기장 시설기준 검토와 선행연구를 통해 월드컵경기장 외부 공간 활용을 위해 분석에 필요한 기준을 도출하였으며 법/제도 검토를 통해 경기장 활용에 대한 제한사항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월드컵경기장의 공간적 특성, 활용현황, 도시적 맥락을 통한 활용방안의 유형을 설정하였다. 먼저, 공간적 특성에서 경기장의 시설현황 및 단지의 형태를 파악하고 외부 공간면적과 경기장 관련 시설 외 연면적의 비교를 통해 비슷한 유형의 경기장을 분류하였다. 두 번째로 경기장스탠드 하부공간과 경기장 관련 시설 외 별도시설의 경기장 외 용도 현황으로 분류하였다. 마지막으로 접근성, 경기장 주변 토지이용 현황 및 유동인구 등 도시적 여건을 기준으로 각 경기장을 분류하였다. 이후 3가지 기준에 따른 분류를 토대로 각 경기장의 최종유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국내 10개 월드컵경기장을 4가지 유형과 다소 예외적인 2개 도시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 유형에 따라 생활형 SOC 또는 공원 등 옥외시설 설치, 집객을 위한 이벤트 및 상시 운영 가능한 프로그램 도입 및 옥외활동의 지원시설, 주변 환경을 이용한 프로그램 도입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옥외시설, 경기장 시설 자체의 가변성을 높여 경기장 및 외부공간에 다양한 이벤트를 통한 활용 및 각 경기장의 주변 환경 및 경기장조사를 통한 활용이 가능하다. (결론) 본 연구는 월드컵경기장 외부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유형에 맞는 활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최근 자료를 통해 기존의 연구 및 자료를 비교, 검토 가능하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월드컵경기장의 외부공간 활성화를 위한 접근으로써 앞으로 개별 월드컵경기장의 개선이 필요할 때 외부공간 활용방안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World Cup, one of the international sports event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host count ry and the city. However, the utilization of the World Cup stadium is important because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facilities after the World Cup is a heavy burden to the host. Domestic World Cup stadiums have not been properly utilized si nce the 2002 World Cup.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uggest a strategic utilization direction by paying attention to the outsi de space of the World Cup Stadium. (Method) This study reviewed FIFA's facilities standards and the restrictions on the us e of the stadium through related regulations. Based on this, the types of utilization methods through the spatial characteristic s, programs other than sports facilities, and urban context of the World Cup Stadium were examined. First, feature of the sp atial on 10 stadiums were classified by identifying the types of complexes and comparing the exterior space area with the fl oor area other than the stadium-related facilities. The status of non-related use of the facilities other than the lower space of the stadium stand and the facilities related to the stadium was classified. Finally, each stadium was classified based on urb an conditions such as accessibility land use around the stadium and day-time population. The final types of each stadium we re deriv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se three criteria. (Results) Ten World Cup stadiums in South Korea cl assified into four types and two exceptional stadiums. Depending on each type, there are various types of outdoor facilities s uch as living SOCs or parks, events for visitors and programs that can be operated on a regular basis, support facilities for o utdoor activities, programs using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outdoor facilities that can support them, and use them thr ough various events in stadiums and outdoor spaces by increasing the variability of the stadium facilities themselves and by conducting surveys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stadiums.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utilization measures for the type of revitalization of the outside space of the World Cup Stadium. It is meaningful that existing research and data can be compared and reviewed through the latest data. Moreover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the basic data of how to utilize the external space when individual World Cup stadiums need to be improved in the future as an approach to vitalizing the out side space of the World Cup Stadium.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기업의 자발적 국제인권규범 채택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김민우(Minwoo Kim),서창록(Changrok Soh),유영수(Youngsoo Yu)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6 동서연구 Vol.28 No.2

        이윤을 추구하는 기업들에게 인권책임의 이행은 기업 활동의 우선순위로 간주되기 어렵다는 것이 일반적인 인식이었다. 하지만, 국제사회에서 인권책임규범을 자발적으로 채택하는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기업들은 왜 인권 책임규범을 채택하고 이행보고서를 공개하는 것일까? 본 연구는 변화하는 국제 경제·사회·정치 환경에서 지속적 사업성과를 추구하려는 기업들에게 기업명성과 정당성 확보가 중요하다는 이론적 설명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도출된 변수들과 기업의 인권책임규범 채택 및 이행보고와의 관계를 한국의 상장·비상장 기업 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2006년부터 2014년까지의 자료를 이용하여 중다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한다. 사회적 가시성, 정부의 압력, 외국인 지분보유율, 동종업계의 압력, 소비자 근접성 등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들로 분석되었으며, 이는 국제사회의 점증하는 기대와 상응해 높아지는 취약성을 상쇄하기 위해 기업 들이 선제적으로 규범을 채택하여 기업 활동의 사회적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한다는 함의를 담고 있다. Profit, rather than human rights, is generally regarded as the first priority in business. If so, why have a number of companies voluntarily engaged themselves with human rights commitments? This article examines the motivations behind increased conformity to corporate human rights guidelines using the data from both listed and unlisted Korean companies from 2006 to 2014. Our multi-theoretical framework adopts the perspective of reputation and legitimacy for better business performance under new international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environments. Under this framework, our explanation is subject to empirical tests includ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visibility, government pressure, foreign share ownership, peer competition, and consumer proximity positively influence compliance levels, which suggests that companies preemptively legitimize their activities to counter rising public expectations and increasing vulnerability within international society.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