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OPUSKCI등재
      • 예수님의 스토리텔링과 기독교교육

        김영래(Younglae Kim) 감리교신학대학교 2018 신학과세계 Vol.- No.94

        예수님의 가르침과 스토리텔링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진다. 왜냐하면 예수님께서 비유라는 형식으로 말씀을 전달하실 때 소통의 기술적 형식으로 채택하신 것이 바로 스토리텔링이었기 때문이다. 제자들에 의해 예수님의 말씀과 행적이 기록되고 기억될 때에도 스토리텔링은 가장 중요한 보존과 공유의 수단이 되었다. 그렇다면 예수님과 스토리텔링 사이에는 어떠한 교육적 함의가 내포되어 있는가? 이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 본 연구는 예수님 당시의 스토리텔링의 형성 환경을 살펴보고, 예수님의 스토리텔링이 어떠한 특징과 효과를 갖는지를 파악하며, 예수님의 스토리텔링의 실천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예수님의 스토리텔링이 가르침을 주면서 자신을 내어주고, 보고 배우고 묻고 배우며, 인격적 만남과 상호적 탐구를 하게 하고, 제자가 되고 친구가 되어 예수님을 배우고 닮아가게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는 예수님도 공유하셨던 랍비전통의 표현에서 드러나듯 “예수님의 발 앞에서 제자가 되고”(Becoming talmidim at the feet of Jesus), “자신의 친구를 찾으며”(Finding our own haverim) 하나님의 말씀을 배우고 실천하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예수님의 말씀은 단지 지적이해와 의식적 응답의 대상이 아니라, 행위와 실행의 가시적 준거로 받아들이고 타인과 공동체의 맥락속에서 실천해야 할 은혜의 과제인 것이다. Jesus’ teaching and storytelling have an inseparable relationship. This is because storytelling was adopted as a technical form of communication when Jesus delivered the Words in the form of parable. Even when Jesus’ Words and actions were written and remembered by his disciples, storytelling became one of the most important means of preservation and sharing of them. What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there between Jesus and storytelling? In order to find out the answer to this question, this study examines the formative environment of storytelling in the times of Jesus, grasps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Jesus ‘storytelling, and presents the practices of Jesus’ storytelling. This study reveals that Jesus’ storytelling is teaching us the Words and giving us Jesus Himself, letting us learn from seeing and helping us learn from questioning, allowing us personal relationship and leading us reciprocal inquiry, and supporting to us be talmidim and encouraging us to find haverim. This is because, as evident in the rabbinic tradition that Jesus shared, “becoming talmidim at the feet of Jesus” and “finding our own haverim” should be the goals of learning and doing God’s Words. Therefore, the Words of Jesus is not merely an object of intellectual understanding and conscious response, but a task of accepting grace as a visible standard of action and practice and practicing in the context of others and communities.

      • KCI등재
      • 히브리적 사고와 기독교교육: 히브리적 사고에 기초한 성경 스토리텔링

        김영래(Younglae Kim) 감리교신학대학교 2019 신학과세계 Vol.- No.96

        성경이 히브리 역사와 문화에 기초를 두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근대의 이성과 합리성은 희랍적 해석을 더욱 신뢰하게 만들었다. 그 결과, 히브리 사상의 복합성과 통합성은 상대적으로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이는 단순히 성경해석에서의 불완전성을 넘어 성경말씀 실천의 행위 준거를 제공한 히브리 문화에 대한 무관심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말씀의 이해와 실천을 도모하는 성경학습에서 있어서 치명적 약점이 되었다. 본 연구는 성경의 근간을 이루는 히브리적 사고가 추상적이고, 외향적, 비인격적, 수동적인 희랍적 사고와 달리 구체적이고, 기능적이며, 인격적이고, 능동적이라는 사실을 밝히려 한다. 물론 히브리적 사고와 희랍적 사고의 양극성은 성경을 통전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한다. 그러나 오늘날의 성경학습의 환경은 개념의 이해를 학습이라고 여기는 희랍적 성향이 지배적이다. 다시 말해 명제적 성경학습은 성경의 원형적 전달방식인 히브리식 사고의 결여를 초래한 것이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 밝히듯이 성경학습의 통전성 회복은 히브리적 사고의 재발견을 통해 시도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히브리적 사고가 성경학습을 이야기적이고 논쟁적으로 이끌고, 관계적이며 실천적 결과를 추구한다는 것은 성경을 배우고 가르치는 행위가 삶과 행위의 구체적 변화와 실행이 동반될 수 있도록 해야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히브리인들이 성경을 학습했던 방법인 미드라쉬의 스토리텔링적 접근과 시도가 절실히 요구된다. Although the Bible is based on the Hebrew history and culture, the reason and rationality of modernity have made Greek thinking more reliable. As a result, the complexity and unity of Hebrew thinking were bound to be relatively weakened. This leads to an indifference to Hebrew culture, which has provided a reference to the practice of Bible teachings, beyond merely its imperfectio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his situation has become a fatal weakness in Bible education, which promotes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God’s Words.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at Hebrew thinking underlying the Bible is concrete, functional, personal and active, unlike Greek thinking of being abstract, appearance, impersonal, and passive. The polarity of Hebrew thinking and Greek thinking provides a basis for experiencing the Bible in its entirety. However, today’s environment for biblical learning is dominated by a Greek way of reading the Bible to regard understanding of concepts as learning. In other words, the propositional learning of the Bible has resulted in the lack of Hebrew thinking, the archetype of the Bible. Therefore, as this study suggests, restoring the wholeness of Bible learning can be attempted through rediscovery of Hebrew thinking. The fact that the Hebrew thinking leads to the study of the Bible in a narrative and argumentative manner, and that the pursuit of a relational and practical outcome means that the act of learning and teaching the Bible should be accompanied by concrete changes in life and behavior. And we contend the storytelling approach and attempt of Midrash, the way the Hebrews learned the Bible, is required in Bible education.

      • 스토리텔링과 기독교교육

        김영래(Younglae Kim) 감리교신학대학교 2017 신학과세계 Vol.- No.91

        성경 이야기는 처음부터 글이나 문자가 아닌 스토리텔링으로 전해졌다. 그런데 글과 문자로 변한 성경은 안타깝게도 의미의 보존이 아니라 의미의 축소의 길을 걸어왔다. 그래서 성경 이야기는 다시 스토리텔링으로 전달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글과 문자에서 사라지거나 왜곡된 이야기는 스토리텔링을 통해 복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성경회복(ReBible)의 과제는 하나님의 음성이 다시 들려지는 “청취-탐구-실천”의 스토리텔링으로 성경을 만나게 하는 것이다. From the beginning, the stories of the Bible has been handed down to us as a form of stories not that of words. Yet once it took a form of words, the Bible has taken a path of reduction of meaning instead of its preservation. That is why the Bible has to be delivered in the form of storytelling again. Disappeared or distorted stories can only be restored by storytelling. The task of ReBible (the recover of the Bible) is to help us encounter the Bible through a storytelling that sounds God’s voice with a deliberate process of “listening-exploring-practicing.”

      • 성경 시대의 교육사상과 기독교교육: “듣고 복종하는” 쉐마

        김영래(Younglae Kim) 감리교신학대학교 2022 신학과세계 Vol.- No.103

        성경 시대의 교육사상은 의미론적 중의성과 함께 개념과 행위의 복합체로 형성되었다. 이는 히브리적 사고방식의 전형적 형태이다. 따라서 성경의 교육적 이념과 실천은 서로 분리된 것이 아니라 연결되어 있으며, 더 나아가 동일한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성경적 교육사상의 핵심이 되어 온 쉐마에서 분명해진다. 쉐마(shema)는 “듣는 것(hear)”과 “복종하는 것(obey)”을 모두 포함하는 중의적 표현으로 지극히 히브리적 사상인 셈이다. 만일 이러한 성경 사상의 특성을 가감 없이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할 수 있다면 소위 이론과 실천, 이해와 행동, 앎과 삶의 이분법적 괴리는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실은 여전히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 사이의 불일치로 발생하는 신앙교육의 실패와 한계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연구에서 밝혔듯이 성경 시대의 히브리 사상은 신앙과 삶을 구별하지 않았고, 이념과 행위를 분리시키지 않았다. 이를 타협 없이 반영한 히브리적 교육사상은 앎과 삶의 괴리를 허용할 수 없었던 것이다. 바로 이러한 성경 시대의 교육사상은 오늘날 신앙교육이 절실히 요구하는 지표가 될 것이다. Educational thoughts in the biblical times were formed as a complex of concepts and actions along with semantic ambiguity. This is a typical characteristic of the Hebrew mindset. As such, the educational thoughts and practices of the Bible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but are connected, and moreover, they are the same. This becomes clear from the Shema, which has been the core of biblical educational thoughts. Shema is an ambiguous expression that includes both “hear” and “obey” and is a very much Hebraic thought. If these characteristics of biblical thoughts can be understood and actively practiced, the so-called dichotom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understanding and action, and knowing and doing will no longer be a problem. Unfortunately, however, the reality is still not free from the yoke of failure and limitations of Christian education caused by the discrepancy between what we know and what we do. However, Hebrew thoughts in the biblical times did not distinguish between faith and life, and did not separate thought and action. Every educational thought that reflected this truthfully could not allow the gap between knowing and doing. Such very educational thoughts in the age of the Bible will become the indicator that Christian education urgently calls for today.

      • 순례와 기독교교육: 예수님의 삶을 따르고, 닮고, 따라 살면서

        김영래(Younglae Kim) 감리교신학대학교 2020 신학과세계 Vol.- No.99

        순례는 가장 오래된 종교적 전통 중의 하나이다. 구약성경의 하나님은 아브라함을 순례의 길로 불러 믿음의 조상으로 삼으셨다. 애굽에서 종살이 하던 백성들을 약속의 땅으로 이끄시기 위해 하나님은 모세를 지도자로 세워 40년간의 순례의 여정을 밟도록 하셨다. 그리고 이때부터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남자들이라면 누구나 매년 세 차례, 유월절, 초막절, 칠칠절에 성막 그리고 후에는 성전으로 와 자신을 만나도록 명하셨다. 이렇듯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순례는 핵심적인 신앙적 표현이 되어 왔다. 더 나아가 하나님은 순례를 단순히 신앙적 표현으로만 여기지 않으시고 교육의 기회로도 삼으셨다. 물론 하나님의 부름에 응답하는 순례는 신앙의 순수성에 대한 시험이었지만, 응답의 과정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와 사랑을 깨닫는 변화와 성장의 기회가 되기도 했다. 이러한 의미에서 성지순례, 선교여행, 교육여행, 또는 수련여행은 교육적 의미와 가치가 있다. 순례는 하나님과 우리 사이의 이야기를 물리적, 정신적, 영적으로 경험하고 확인하는 기회이다. 하나님께서는 순례라는 길에서 우리를 부르시고, 구원하시고, 연단하시고, 온전케 하신다. 그리고 예수님의 구원을 값없이 은혜로 주시고 그 길을 가게 하셨다. 또한 순례의 교육을 통해 변화와 성장을 얻어 스스로 정화되고, 깨달음을 얻으며, 하나님과 교감하게 되는 단계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예수님을 따르고, 예수님을 닮으며, 믿음의 성도들의 삶을 따라 사는 순례의 삶이 그리스도인들의 목표가 되어야 한다. 특별히 영성의 체험을 갈구하는 오늘날 순례를 통한 기독교교육은 많은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신앙적 학습이 될 것이다. Pilgrimage is one of the oldest religious traditions. God called Abraham as a pilgrimage route and made him the father of faith. In order to lead the people who had been slaves in Egypt to the Promised Land, God made Moses a leader to go on a 40-year pilgrimage journey. And from this time on, God commanded the men of Israel to come to the tabernacle and later the temple three times a year: Passover, Feast of Booths, Feast of Weeks meet God Himself. In this way, pilgrimage, in our relationship with God, has been a key expression of faith. God did not view pilgrimage as a mere expression of faith, but as an educational opportunity. Of course, the pilgrimage in response to God"s call was a test of the purity of faith, but it also became an opportunity for change and growth to realize God"s grace and love through the process of faith response. In this sense, a pilgrimage to the Holy Land, a mission trip, an educational trip, or a training trip has educational meaning and values. Pilgrimage is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confirm the story between God and us physically, mentally, and spiritually. God calls, saves, refines, and perfects us on the path of pilgrimage. And God gave the way of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with grace freely and let us follow the Way. In addition, through the education of pilgrimage, we are at the stage of purgation, illumination, and communion with God through change and growth. Based on this learning experience, the pilgrimage life of following Jesus, imitating Jesus, and en-acting the life of believers should become the goal of Christians. Christian education through pilgrimage, especially for spiritual excercise, will be a meaningful learning of faith for many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