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Die interkulturelle Erziehung in Deutschland und ihre Bedeutung für die Bildungskonzepte in Korea

        Youngkun Tschong 한독사회과학회 200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3 No.2

        정보통신과 교통수단의 급속한 발전은 세계의 지구촌화를 가속시키고 있다. 이제는 경제 분야를 위시해서 사회ㆍ문화영역에서 각국의 교류와 협동이 강화되고 있으며 물류뿐만 아니라 전문가를 포함한 노동인력의 국제적 이동이 대규모로 이루어지고 있다.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변화를 통해 낯선 문화와 외국인들을 경험하고 이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해진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이제 우리는 낯선 문화에서 친숙한 요소들을 그리고 잘 알고 있는 자신의 삶과 문화에서 이질적인 요소들을 찾아내곤 한다. 그러나 자신의 직업적 경제활동에서 접하는 지구촌화가 일상화되고 있는데 반하여 다른 문화에 대한 개별적 인간들의 접촉과 상호이해는 아직도 미진한 상태에 있다. 한국의 경우만 하더라도 이미 수십만 명의 외국인 노동자들이 취업하고 있으며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구축의 핵심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아시아 각국과 경제는 물론 문화적 교류와 협력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지만 외국인 노동자들의 문제가 사회현실의 핵심 현안이 아니라 단지 경제정책에 부속된 문제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다 보니 지구촌 경제시대의 인재를 양성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상호문화교육의 중요성마저 충분히 인식되지 못하고 있다.경제발전을 위해 1950년대 후반부터 외국인 노동자들을 받아들여 사회ㆍ문화적으로 통합시켜 현재는 그들이 경제적 세계화정책 수행의 핵심 일원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 독일의 상호문화교육은 오늘날 한국의 세계화 현실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처음에는 외국인 노동자들을 단순한 노동인력으로 생각하여 그들이 독일 사회에 일방적으로 적응하는 것을 목표로 짜여졌던 60년대의 “외국인교육학”이 외국인들에 대한 적대감의 증가를 극복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보호ㆍ장려하기 위해 80년대 이후 “상호문화교육”으로 전환되었다. 이제는 외국인들만 변할 것이 아니라 독일인들 역시 다른 문화를 이해하는 상호학습의 과정을 밟아야 한다는 것이다. 독일 정부는 학교교육 및 사회교육을 통해 그러한 변화를 추구하였고 외국인들의 사회통합은 물론 부수적으로 세계화시대에 경쟁력이 있는 각국 전문가들을 양산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되었다.지난 40년 동안 급속한 경제성장을 이룩한 한국에는 경제발전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수많은 외국인 노동자들이 거주하고 있다. 우리가 피부로 느끼는 것 이상으로 한국은 빠르게 다문화사회로 이동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제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는바, 아직까지는 우리사회의 본질적 현안으로 다루어지지 않고 있는 외국인 노동자 문제가 인권의 침해뿐만 아니라 경제발전 및 사회의 민주화에도 적잖은 저해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독일의 경험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를 검토하여 외국인과 한국인들의 협동과 공존에 현실적이고 효과 있는 사회 및 문화교육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상호문화교육은 서로 다른 집단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정하고 상호대화를 추구하며 그에 필요한 인식의 전환점이 생겨나도록 이끄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으므로 한국의 세계화정책은 지구촌시대의 교육이론 구상에 상호문화교육의 중요성과 시사점을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EXPERIMENTAL STUDY ON THE SPRAY CHARACTERISTICS OF ETHANOL GASOLINE BLENDED FUEL IN A DIRECT INJECTION SYSTEM

        Youngkun Kim,WoongIl Kim,Seungju Baek,Kihyung Lee 한국자동차공학회 2020 International journal of automotive technology Vol.21 No.3

        Global warming and finite amount of oil resources have become serious issues.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vehicles, using biofuel or oher materials has attracted significant attention. In particular, bioethanol has been focused on as an alternative to gasoline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full-scale remodeling of a conventional internal combustion engine. However, the differences i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between gasoline and ethanol can lead to different spray characteristics, which can significantly affect the level of combus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an ethanol-gasoline blended fuel, including its viscosity, density and temperature by measuring the Sauter mean diameter (SMD) and applying a spray visualization. Through these experiments, basic data regarding the fuel characteristics and spray patterns according to the ethanol content required for an optimized combustion of an ethanol-gasoline blended fuel, are provided.

      • KCI등재

        Zukunftsverantwortung und Pädagogik

        Youngkun Tschong(정영근) 한독교육학회 201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8 No.3

        Angesichts des jüngsten Supergaus in Fukushima fällt uns die ungeheure Verantwortung dafür zu, dass die Menschheit in Zukunft weiterhin so existieren kann. Obwohl sich die Idee einer Zukunftsverantwortung bereits in der zweiten Hälfte letzten Jahrhunderts abgezeichnet hat, ist deren Stellenwert aber immer noch umstritten. Die Planbarkeit und Steuerbarkeit der technischen Verfügungsmacht ist mit den eher negativ bewerteten Nebenwirkungen verbunden und zu einem ethischen Problem geworden. Hans Jonas geht diesem ethischen Problem auf den Grund. Er entwickelt eine neue Ethik für die Menschen im technologischen Zeitalter. Die erweiterte, neue ethische Norm von Jonas erhält eine handlungsleitende Funktion für die Übernahme von prospektiver Verantwortung. Wenn man wachsende Schwierigkeiten in der Welt bei der Erhaltung unserer Umwelt als Lebensraum bedenkt, kann Erziehung von den zu bewältigenden Aufgaben unserer Zeit nicht losgelöst werden. In der Schule als gesellschaftlich verankerte Institution und deren Erziehungs- und Bildungsauftrag gesetzlich geregelt ist, sollte daher vielfältige Anlässe geboten werden, die Bildung zur Zukunftsverantwortung gegenüber dem Leben zu lehren, zu lernen und zu praktizieren. 후쿠시마에서 발생한 초대형 핵 재앙은 미래에도 인류가 지금처럼 계속적으로 존재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엄청난 책임이 우리에게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보여준다. 미래의 책임에 대한 생각은 이미 20세기 후반에 나타났지만 그 영향력의 범위나 실천적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의견이 분분하다. 이 이념의 근거에 대한 논의가 철저하게 진행되어왔지만 결과적으로는 우리를 실망시켰다. 그에 따라 미래의 책임에 대한 담론은 시대정신, 시장경제 활동 그리고 첨단화된 기술문명을 비판적으로 검토해야만 한다. 먼저 우리는 기술공학적 개발의 가능성뿐만 아니라 그 한계를 통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생태환경이 인간의 실존적 삶에 불가피하게 영향을 준다는 점을 어떻게 과학적 사고 및 일상 행동에서 실천으로 옮길 수 있을 것인지가 문제이다. 인간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지식을 통해 실천한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질 수 있는 능력을 성장시키며, 이러한 지식에는 자기 행동의 의미 및 궁극적인 목적에 대한 질문이 포함된다. 따라서 인간의 모든 행동뿐만 아니라 자연 에 대한 기술공학적 개입에 따른 책임을 잘 인식해야만 하는데, 이는 미래 세대에 대한 책임이라는 새로운 차원의 발견이다. 기술공학적으로 처리해내는 인간의 능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 직면한 현대 산업사회에서 각 개인은 자신의 영향 범위 안에 있는 것들에 대한 책임이 있는바, 이러한 맥락에서 Jonas에 의해 확장된 새로운 윤리적 기준은 미래의 책임을 넘겨받기 위한 행동을 이끌어내는 기능을 지녔다. 지구에서 인류의 식량 확보, 에너지수급 안정, 삶의 공간으로서의 생태계 보존 같은 문제의 어려움이 증가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해결되어야 할 이 시대의 과제들과 교육은 분리될 수 없다. 그러므로 학교에서는 생명의 미래에 대한 책임을 가르치고 배우며 실천할 수 있는 다양한 계기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농촌지역의 재난관리 민관조직 연계방안 연구

        Youngkune Lee,Miri Park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4

        본 연구에서는 농촌의 재난관리 특징 및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농촌의 재난관리를 위한 민・관 조직의 협력방안을 연구하였다. 농촌의 재난관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 농촌주민과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 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공무원과 주민 모두 주민의 재난관리 참여가 어려우며, 이는 주 업무로인한 시간부족 때문이라고 답하였다. 이러한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를 통해 농촌의 재난관리의 SWOT분석 및 전략을 도출하였다. 추가로 재난관리의 민・관네트워크 체제의 5가지의 유형과 2가지의 운영방식을 도출하여 총 10가지의 재난관리 민・관조직방안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해당 농촌지역에 특성에 맞는 농촌 재난관리 민・관네트워크 운영방안을 설정하여야한다. 향후 각 운영방안에 대한 심도 있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disaster management in rural area were analyzed. Through this study, we tried to find ways to cooperate with public and private organizations to manage disaster in rural are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disaster management in rural areas, we surveyed the residents and disaster management officials of local governments. As a result of the survey, both public servants and residents answered that it is difficult for residents to participate in disaster management. This is due to lack of time due to agriculture as the main business. The SWOT analysis and strategy of rural disaster management were deriv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surveys. In addition, five types of disaster management network and two types of operation were propo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management plan of the rural disaster management public-private network in the rural area. Further research is needed in depth on each of the operational measures in the future.

      • KCI등재

        세계화시대 상호문화교육의 목표와 과제

        정영근(Youngkun Tschong) 한독교육학회 200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6 No.1

        Der Versuch, die Auswirkung der Globalisierung auf Bildung zu verstehen, wird dadurch erschwert, daß die Welt sich widersprüchlich entwickelt. Zum einen stellen wir wirtschaftliche und technologische Konvergenz fest, d.h. daß die Märkte global geworden sind, und daßdie neuen Technologien dabei eine Schlüsselrolle spielen. Zum anderen aber stellen wir in der Gesellschaft politisch, sozial, kulturelle Zentrifugalkräfte fest, d.h. daß die Grenzen der bis vor kurzem monolithischen Nationalstaaten in der Auflösung begriffen sind. Die wirtschaftlichen Implikationen der Glovalisierung sind für die Menschen relativ konkret und fassbar, und daher liegen zumindest Analysen zu den wirtschaftlichen Auswirkungen der Globalisierung auf Bildung und Erziehung vor. Aber die kulturellen und persönlichen Implikationen der Globalisieung für den Einzelnen sind weniger gut fassbar. Hinsichtlich dieser Lage der Globalisierung werden in dieser Abhandlung das Ziel und die Aufgabe der Interkulturellen Erziehung untersucht. Zuerst werden verschiedene Sichtpunkten der Globalisierung und der Begriff der Interkulturellen Erziehung erörtert, um es klar zu machen, warum und wie die Interkulturelle Erziehung mit der Globalisierung der Wirtschaft und Kultur im Zusammenhang steht. In den neunziger Jahren ist die Interkulturelle Pädagogik in Deutschland aus einer Pädagogik für Minderheiten eine Pädagogik für alle geworden, weil soziokulturelle und sprachliche Pluralität im Zeitalter der Globalisierung eine unausweichliche Wirklichkeit darstellt. Daher lassen sich bei den Beiträgen zur Interkulturellen Erziehung unterschiedliche pädagogische Zielsetzungen identifizieren. Vor allem wird hier Interkulturelles Lernen als eine Spezifikation sozialen Lernens verstanden. Eine andere der pädagogischen Zielsetzungen ist richtiger Umgang mit kultureller Differenz. Die Zielvorstellung einer multiperspektivischen Aneignung der historisch-gesellschaftIichen Wirklichkeit fordert eine Revision des Schulcurriculums zur Überwindung der monokulturellen Orientierung. Das Lernziel der Erziehung zum interkulturellen Respekt ist auch ein sehr wichtiger Punkt der Interkulturellen Erziehung, da Interkulturelle Pädagogik in höchstem Maß politisch ist. Als Aufgabenbereiche einer Interkulturellen Erxiehung werden drei Punkte dargestellt: Linguistischer, sozialpsychologischer und philosophischer Schwerpunkt. Abschliessend wird die Erziehung im Globalisierungszeitalter in Korea mit Hinblick auf die Aufgaben der Interkulturellen Erziehung kurz erörtert, um der engsichtigen Einstellung zur kulturellen Erziehung in Korea eine mögliche Korrektur vorzuweisen zu versuchen.

      • KCI등재

        중등교사의 교육적 의미와 역할과제

        정영근(Youngkun Tschong) 한독교육학회 2003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8 No.1

        본 연구는 변화하는 교육여건과 교육정책에 따라 점차 지식전수에만 치우치는 교사의 역할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여 특히 중등학교 교사 자신의 교육적 존재의미와 역할이 무엇이며 또한 무엇이어야 하는가? 라는 질문에 답하려 한다. 교육자 및 교수자의 역할이 통합되었던 교직이 최근 들어 점차 수업 전문가의 역할로 한정됨에 따라 교사의 정체성 혼란이 야기되고 있는바 그 문제의 본질을 밝히고 중등교사에게 요구되는 1차적 및 2차적 역할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교사의 정체성 및 역할갈등에 대한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조직과 교사의 사회적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사회과학적 방법에만 치중하여 연구하는 교사에 대한 연구경향을 보완하여 교육철학적 관점에서의 탐구가 요청되고 있음을 본 연구는 제안한다. Immer wenn es von der Reform der Schule oder des Bildungswesens die Rede ist, wird die Frage nach der pädagogischen Funktion und Rolle des Lehrers erneut gestellt. Mit der modernen Erziehungswissenschaft wird aber die Problematik des Erziehers und Lehrers anders verdeutlicht als früher. Es handelt sich um eine Frage nach der Professionalisierung des Lehrerberufs. Jedoch wird der Lehrer in der Gesellschaft, die sich selbst gerne eine Bildungsgesellschaft nennt, parpadoxerweise zu einer Randfigur. In der Geschichte der Pädagogik erscheint der Lehrer in doppelter Gestalt: Erzieher und Unterrichter. Seit Jahrhunderten muss der Lehrer eine doppelte Aufgabe, nämlich die der Erziehung und die des Unterrichts wahrnehmen. Er muss einerseits die kentnisse und Fähigkeiten vermitteln, die der Mensch braucht, um in seiner geschichtlichen Situation Mensch sein zu können. Andererseits aber muss er die Kentnisse vermitteln, die der Ausgestaltung der Leistungsmöglichkeit dienen. Dieser Doppelcharakter des Lehrerberufs fällt mit seiner Wesensbestimmung zusammen. Im Modernisierungsprozess der Lehrerausbildung in Korea hat sich das Lehrerbild unverhaltnismässig zur Seite des Unterrichter geneigt. Ausserdem sfühlen sich fast alle Lehrer wegen der verschiedenen verwaltungsmässigen Kleinarbeiten überstrapaziert. In Namen der Professionalierung des Lehrers untersucht die moderne Erziehungswissenschaft die Berufsaufgabe des Lehrers durch sozialwissenschaftlichen Methoden und vernachlässigt den Sinn und den Geist des Lehrerseins, welcher notwendigerweise Identitätskrise des Lehrers verursacht. Um die Berufsidentität des Lehrers wiederherstellen zu können, muss daher es immer wieder erneut versucht werden, die pädagogische Funktion und Rolle des Lehrers in bezug auf den Wandel der Zeit zu erörter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