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도 연극의 문화적 혼성성 -기리쉬 카나드(Girish Karnad)의 < 하야와다나(Hayavadana) >를 중심으로-

        변영미 ( Byun¸ Youngmi ) 한국연극학회 2021 한국연극학 Vol.1 No.78

        기리쉬 카나드의 <하야와다나>에는 다양한 문화와 가치가 상충하고 융합하는 문화적 혼성성이 잘 드러난다. <하야와다나>는 인도의 원전 『카타사릿사가라』 에 심리학적 해석을 덧붙인 토마스 만의 『뒤바뀐 머리』를 다시 인도의 양식으로 드라마투르기한 작품이다. 카나드는 패러디와 역설로 기존의 가치를 전복시키기도 하고, 역수입한 극의 내용에 반전을 넣어 존재론적 가치관을 다시 인도의 그것으로 되돌려놓기도 한다. 그것은 몸으로 환유한 여신중심의 토착문화와 머리로 환유한 남신중심의 아랴 문화, 그리고 이성 중심의 근대적 서구 문화 사이의 갈등과 혼합이라는 양상으로 드러난다. 세 문화의 혼성성은 산스크리트극, 민속극과 인형극, 연기 양식의 융합으로 형식화했다. 이 극을 이끄는 중심 에너지인 여성적 힘은 빳뜨미니를 통해 모순된 형태로 공존한다. 빳뜨미니 안에 존재하는 창조적인 에너지로서의 샥띠와 모든 것을 신께 바치는 헌신의 박띠는 아랴가 만든 가부장 사회의 이상적 가치인 사띠로 소멸된다. 빳뜨미니가 불로 뛰어든 것은 가부장제에 의해 구조적으로 희생당한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높은 차원의 존재로 탈바꿈하기 위한 몸부림이기도 하다. 카나드는 인도 전통극 미학의 정수인 라사를 구현하기 위해서 진지함과 심각함보다 골계와 해학으로 전개한다. 이는 울음과 눈물, 불과 물로 병치한 삶과 죽음의 경계를 허무는데 기여한다. 모순성도 수용하는 기리쉬 카나드의 연극관을 대변하는 <하야와다나>는 충돌과 혼성의 문화 담론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Hayavadana by Girish Karnad is one of representative drama for the cultural hybridity of Indian Theatre. There are conflict and compound between indigenous and foreign cultures in forms and contents as well. Also there are co-existence of dichotomous concepts and contradictory figures of woman.

      • KCI등재

        폐기물자원순환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 싱가포르 환경서비스 규제샌드박스를 중심으로 ―

        고영미 ( Ko¸ Youngmi ) 한국환경법학회 2021 環境法 硏究 Vol.43 No.2

        우리나라의 환경부는, 2020년 9월, 폐기물의 종합적 관리를 위한 ‘자원순환 정책 대전환 계획’을 발표하였다. 해당 계획의 핵심 내용은 (i)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의 폐기물 감축, (ii) 재활용 가치 및 가능성을 고려한 분리배출, (iii) 폐기물 발생지 책임 원칙 등이다. 다음 해인 2021년, 환경부는 “탄소중립의 실현을 위한 탄소중립 이행계획”을 발표하였고, 이는 (i) 생산ㆍ소비 단계에서의 폐기물 발생의 감축, (ii) 재활용 극대화를 고려한 생산 구조 및 순환 체계의 확립, (iii) 발생지 책임 및 직매립 금지 원칙의 확립 지원 등을 포함한다. 이는 탄소 중립을 위해서는 ‘폐기물 제로’ 및 ‘순환경제 사회로의 전환’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인식을 반영한 것이다. 2018년 싱가포르 환경수자원부(Ministry of the Environment and Water Resources)1)는 ‘Zero Waste’ 정책 비전과 청결하고 살기 좋은 싱가포르 달성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하는 환경 정책을 발표하였다. 구체적인 정책의 실행 방안으로 환경서비스 산업 디지털 계획(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Digital Plan)의 수립과 환경서비스 규제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의 도입을 결정하였다. 본 논문은 싱가포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환경서비스 산업2)”을 위한 정책의 개요, 환경서비스 규제샌드박스의 도입 현황과 쟁점, 환경서비스 규제샌드박스 실증사례, 그리고 한국을 위한 법ㆍ제도적 시사점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한다. In September 2020, Korea's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a “Resource Circulation Policy Transition Plan” for th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waste. Key details of the plan include: (i) reduction of waste at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tage; (ii) separation discharge considering recycling value and potential; and (iii) principles of responsibility for waste generation. The following year, 2021,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d the “Carbon Neutral Implementation Plan for the Realization of Carbon Neutral,” including (i) reduction of waste generation at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stage, (ii) establishment of a production structure and circulation framework considering recycling maximization, and (iii) establishment of direct landfill prohibition principles. This reflects the perception that “zero waste” and “transition to a pure environmental society” must precede carbon neutrality. In 2018,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Water Resources announced its ‘Zero Waste’ policy vision and environmental policies aimed at achieving clean and livable Singapore. As a way of implementing specific policies, the establishment of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Digital Plan and the introduction of the Regulatory Sandbox were decided.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an overview of policies for the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pursued by the Singapore government, the status and issues of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service regulatory sandboxes, demonstration cases of environmental service regulatory sandboxes, and leg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for Korea.

      • KCI등재

        월남 아동작가와 디아스포라적 상상력 -강소천의 195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장영미 ( Jang¸ Youngm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40 No.-

        본 연구는 월남 아동작가인 강소천의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상상력을 고찰한 것이다. 강소천은 북한에서 생활 근거를 박탈당하고 고향을 떠나 남한 사회에 정착하면서 작고하기 전까지 한 시대를 주도하였다. 월남 작가인 강소천의 작품을 규율하는 근본 요소는 디아스포라 의식과 상상력을 부인할 수 없다. 그동안 전후 월남 아동작가의 작품은 유사한 관점으로 균일하게 연구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디아스포라 의식과 연결하여 규명하게 되면 작가 개인의 문학적 정체성을 고찰하는 동시에 해방 이후의 역사와 문학(사)을 보다 비판적이고 객관적으로 직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실, 본 연구는 월남 아동작가들의 디아스포라 의식을 찾고 그것이 작품에 어떻게 현상(現象)했는가를 고찰함으로써 작품을 보다 폭 넓게 읽으려는 데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살핀 바에 의하면, 강소천 작품의 많은 부분에서 디아스포라적 상상력을 띄고 있었다. 작가는 한편으로 이산자로서의 근원적 정체성을 찾지만 다른 한편으로 응축된 몸부림을 내재하였다. 이는 분단 현실에 대한 단순한 대응이 아니라 망명자로서의 죄의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지배문화와 지배체제에 동조하는 작품을 창작하였다. 하지만 이를 망명자라는 기표, 즉 전후 디아스포라 의식의 표상과 작품화라는 측면으로 분석한다면 또 다른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강소천의 작품 곳곳에서 디아스포라 의식에 따른 귀향과 향수의 세계, 전후 현실에 대한 환멸의 서사, 환상의 초월과 탈주의 세계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월남 작가들에게 씌워진 프레임, 즉 반공 이데올로기적 편견에서 벗어나 한층 근원적으로 작가와 작품을 이해하는 시각이 제공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asporic imagination shown in the works of Kang So-chun,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literature writer. Kang So-cheon led an era until his death in North Korea, when he was deprived of his living grounds and left his hometown to settle in South Korean society. The fundamental element of discipline in the works of Kang So-chun, the North Korean refugee writer, cannot deny diasporic consciousness and imagination. It is true that the works of post-war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writers have been studied uniformly from a similar perspective. However, if it is identified in connection with the diaspora consciousness, 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critical and objective to examine the literary identity of the individual writers and to face up to the history and literature after liberation. In fact, this study started with a broader reading of the works by looking at the diaspora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and looking at how it was developed in their works. Based on this problem consciousness, Kang's works contain plenty of diasporic imagination. On the one hand, the author seeks the fundamental identity of the disciple, but on the other, embodies condensed struggl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a sense of guilt as a refugee, not just a response to the reality of division. Of course, he created works that sympathized with the ruling culture and system. However, if this is analyzed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exile, namely the expression and work of post-war diaspora consciousness, it can provide another perspective. Kang So-cheon's works include a world of homecoming and nostalgia following diaspora rituals, a narrative of disillusionment with the post-war reality, and a world of fantasy and desertion.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by evading the frame, or anti-communist ideological prejudice, these existing North Korean refugee writers will provide mor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their works.

      • KCI등재

        언어적 맥락으로 접근한 기리쉬 까르나드의 < 브로큰 이미지즈(Broken Images) >

        변영미 ( Byun¸ Young-mi ) 한국드라마학회 2021 드라마연구 Vol.- No.65

        본고는 기리쉬 까르나드의 <브로큰 이미지즈>를 언어적 맥락으로 분석함으로써 밀레니엄 이후 인도현대연극의 양상을 파악하고 ‘인도다운’ 연극을 모색했던 뿌리연극운동의 기수로서 작가가 그 뿌리를 이어가는 방식과 가치를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리쉬 까르나드의 <브로큰 이미지즈>는 한 작가의 심층에 자리한 모순적인 내면 갈등과 존재의 충돌을 모놀로그 형식으로 풀어내고 있다. 이미지의 비중이 커지고 있는 현 사회를 반영하고 있는 극은 깐나다어와 영어, 욕망의 언어, 영상 언어를 통해 인도의 언어적 맥락을 복합적이고 중층적으로 엮고 있다. 이는 다양한 언어적 배경을 가진 주변인으로서 까르나드의 언어적 상황과 맞닿아 있다. 영어 소설로 세계적 명성과 부를 얻게 된 만줄라가 스크린 속 자신의 이미지와 대화하면서 극은 진행된다. 주체적이고 독립적인 여성으로 보이는 이미지와 달리 만줄라 내면은 집안과 밖에서 경계인으로 떠돌며 상징계인 아버지의 세계로 편입되고 싶어 하는 의존성을 띤다. 타자의 시선은 만줄라가 가진 욕망의 중심축이 되어 동생 말리니가 쓴 작품을 자신의 것으로 만드는 비도덕적 행위를 하게 만든다. 그리고 만줄라 내면 가장 깊숙한 곳에는 말리니와 남편 사이에 존재했을 섹슈얼러티에 대한 혐오와 거부가 존재한다. 극이 진행될수록 이미지는 극을 이끄는 주체가 되고 종국에는 만줄라의 상체로 군림하며 말리니로 화한다. 주객이 전도된 만줄라와 이미지의 합체는 허와 실이 무엇인지에 대한 존재론적 질문을 던지고 파편화하고 황폐한 현대인들의 주체 상실을 목격하도록 만든다. 까르나드는 <브로큰 이미지즈>를 통해 가장 ‘인도다운’ 언어로 현대인들과 소통할 수 있는 보편적인 연극언어를 제시함으로써 인도연극의 ‘뿌리’를 이어가고 있다. Broken Images by Girish Karnad is monologue dramatized the contradictory inner conflicts and desires through dialogues between Manjula and her screen Image. Main motif of this drama is language-Kannada, English, symbolic and virtual-which is woven context complicated and multilayered in India. The Other's gaze generate Manjula's desire and make her commit an immoral act of making the novel of her sister her own. As the play progresses, image becomes the leading subject of the play and eventually dominates the upper body of Manjula and turns into her sister. This subversive combination of Manjula and Image arises existential question about what is the real and the illusion. And it makes us witness the fragmentation of presence and loss of the subject.

      • KCI등재

        식민 권력의 통제, 우회 전략으로서의 개작 ― 『아동가요곡선 삼백곡』을 중심으로

        康泳美 ( Kang¸ Young-mi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5 No.-

        이 연구에서는 小竹 姜信明(1909~1985)이 편찬한 『兒童歌謠曲選 三百曲』의 세 종의 판본을 비교하여 일제의 검열을 우회하기 위해 일부 노래를 삭제하고 다시 수록하는 일련의 과정을 살폈다. 『아동가요곡집 삼백곡』은 일제의 검열 지침에 의해 일부 노래가 삭제된 것이 아니다. 불온 창가라는 일제의 외적 규정 속에서 기독교계 관련자들이 자체 검열을 통해 일부 노래를 삭제한 것이다. 삭제곡은 대부분 조선을 환기하는 단어가 있는 노래였다. 식민지인에게 조국을 환기하는 단어가 일제의 검열 당국에게는 불온한 것으로, 반일의 상징으로 읽히리라 판단한 것이다. 기독교계에서 일반적으로 부르는 금주 금연 등의 절제가 류의 노래도 식민지 조선에서 발생하는 특수한 의미에 주목하여 삭제했다. 이처럼 일제가 규정한 ‘불온 창가’의 내포를 상상하며 미국인 선교사와 교회 관련자가 일부 노래를 삭제하는 과정, 식민지 평양에서 제국의 동경으로 지역을 옮겨 삭제곡의 일부를 편찬자 강신명이 직접 복구하는 과정은 1936~1940년까지의 시차, 미국인과 조선인이라는 국적의 차이, 식민과 제국이라는 공간의 차이, 아동가요 운동을 전개하는 지향의 차이가 ‘불온’의 해석에 영향을 끼쳤음을 드러낸다. 그 결과 일제가 규정하고 조선인이 구성한 아동가요의 불온성은 일시적이고 자의적인 성격을 띠게 된다. In this study, I compared the editions of Kang Shin-myeong’s ‘Three hundred songs for children’s songs(『아동가요곡선 삼백곡』)’. Through this, I examined a series of processes of deleting and re-publishing some songs in order to bypass the censorship of the Japanese Empire. I looked at the process of voluntarily deleting some of the songs while imagining the meaning of ‘resistance’ defined by the Japanese Empire. And the process of restoring some of the deleted songs by changing the publishing area from colonial Pyongyang to Tokyo, the capital of the empire, was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version of the first edition and the restored version of the second edition revealed that the process of deleting some songs by an American missionary and church related people imagining the connotations of the ‘resistance’ stipulated by the Japanese imperialists, and the process of moving the region from colonial Pyongyang to the Imperial Tokyo and recovering part of the deleted songs by the editor Kang Shin-myeong himself. It reveals that the time difference between 1936 and 1940, the difference in space between colonization and empire, the difference in nationality between Americans and Koreans, and the difference in orientation to develop a children’s song movement influenced the interpretation of ‘resistance’ influenced the interpretation of ‘resista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stance’ defined by the Japanese imperialism and reconstructed by the Koreans was temporary and arbitrary.

      • KCI등재

        호곡(壺谷) 남용익(南龍翼)의 생애와 교유관계 - 『호곡만필(壺谷漫筆)』을 중심으로 -

        申英美 ( Shin¸ Young-mi ) 동방한문학회 2021 東方漢文學 Vol.- No.88

        이 논문은 『壺谷漫筆』의 기록을 중심으로 壺谷 南龍翼(1628~1692)의 생애와 교유관계를 고찰한 글이다. 남용익이 17세기 문학사에 상당한 공적을 남겼다는 사실이 공감대를 이루고 있는 것에 비해, 그의 생애와 교유관계에 관한 기초적인 서술은 충분하지 못했다. 본고는 크게 두 갈래로 구성되었다. 우선 ‘17세기와 인간 남용익’이라는 장을 설정하여 첫째, 시대의 흐름에 발맞춘 남용익의 행적을 개략적으로 기술하고, 둘째, ‘詩酒’라는 키워드를 통해 그의 인간적 면모를 살폈으며, 셋째, 재구성된 남용익의 생애를 표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환로와 교유관계’라는 장을 설정하고, 출사시기부터 유배까지의 시간을 기준으로 남용익의 일생에서 유의미하다고 볼 수 있는 인물들과의 관계를 서술했다. 李景奭(1595~1671), 俞瑒(1614~1692), 鄭知和(1613~1688), 金壽恒(1629~1689), 李端相(1628~1669), 李喜朝(1655~1724)를 대표적인 인물로 꼽을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이들에 비해서는 교유밀접도가 떨어지는 여러 인물들을 표로 작성하여 제시하였다. 해당 인물들은 대부분 17세기 서인-노론계로, 이후 200년간 조선후기를 주도한 가문 출신의 인물들이 다수 속해있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and relationship of Hogok(壺谷) Nam Yong-ik(南龍翼, 1628~1692) focusing on 『Hogok-manpil(壺谷漫筆)』. Compared to the consensus that Nam Yong-ik made considerable achievement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17th century, the basic description of his life and relationship was not sufficient. Therefore, in this paper, a chapter called "The 17th Century and Human Nam Yong-ik" was established. Through this, first, Nam Yong-ik's actions in line with the trend of the times were outlined, second, his human aspect was examined through the keyword "poetry and achol," and third, the reconstructed life of Nam Yong-ik was presented as a table. Next, a chapter called "Relationship with the Exchange" was established, and the relationship with the characters that can be seen as meaningful in Nam Yong-ik's life was described. Representative figures were Lee Kyoung-seok(李景奭), Yoo Chang(俞瑒), Jeog Ji-hwa(鄭知和), Kim Soo-hang(金壽恒), Lee Dan-sang(李端相) and Lee Hee-jo(李喜朝). In comparison, several characters with less close friendship were written in tables and presented. There were many Seoin- Noron(西人-老論) figures, and there were people from the family who led the 200th ye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 KCI등재

        박완서 문학 번역의 현황과 한국문학 번역의 새로운 가능성

        김영미 ( Kim¸ Young-mi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9 No.2

        이 글은 번역의 맥락 속에서 한국문학이 지나온 여정을 돌아보며 특히 지금까지 본격적으로 정리된 바 없는 박완서 문학의 번역서지 현황을 정리하는 것을 일차적 목표로 하였다. 박완서는 한국문학의 번역이 이루어진 초창기부터 최근까지 꾸준하게 번역, 출판이 진행되는 작가라는 점에서 주목할 수 있다. 특정 언어권에만 집중적으로 소개된 것이 아니라 여러 언어권에 널리 번역되었으며, 같은 언어권에서 여러 차례 번역이 이루어지기도 했다는 것도 특징적이다. 이와 같은 박완서 문학 번역의 현황과 특징을 토대로 이후 한국문학의 해외 수용과 번역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그동안의 한국문학 번역이 주로 한국문학번역원과 같은 기관 지원 중심으로 이루어졌던 것과 달리 최근의 경향은 수용자의 요구에 적극적으로 호응하여 이루어지고 있다는 차이가 두드러진다. 최근 주목받는 한국문학의 번역들은 한국문학이 세계문학으로서 독자의 공감과 호응을 얻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충분히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례가 일회성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유의미한 독자층을 확보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해당 언어권에서 성공적으로 수용된 사례를 중심으로 그와 연결되는 측면에서 소개할 수 있는 한국문화를 담은 매체로서 한국문학의 번역, 한국문학 내의 관계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박완서 문학의 번역이 최근의 한국문학 번역과 연계되며 지속될 수 있는 전략이 요구된다. 젊은 작가들과 관계성을 고민하여 구성된 한국문학 여성작가 선집 등은 앞으로 한국문학 번역의 새로운 기획 형태로 참고할 만한 사례이다. 또한 그동안 박완서 문학 번역이 초기의 한국전쟁 관련 작품 중심으로 진행된 것과 달리 최근 관심이 집중되는 여성 또는 노년을 다룬 후기의 작품들로 관심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해당 언어권의 특성에 따라 박완서의 소설 외에도 수필, 동화 등 다양한 장르를 번역함으로써 폭넓은 독자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rimary goal of this paper is to assess, for the first time, the current status of translated books of Park Wan-seo while reviewing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Park Wan-seo is a writer whose works have been consistently translated and published since the early days. Her works have several translated versions, and have been introduced to readers around the world without being overly focused on a specific region. This paper examines the international reception of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translated works of Park Wan-seo, and explores new possibilities of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In the past, Korean literature was translated mostly with the support of organizations like the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These days, however, translation is being performed in response to high demand among international readers. Recent works that have received the spotlight demonstrate the vast global potential of Korean literature on the global stage and their capacity to reach out to readers. A stable pool of readers should be secured for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to solidify its position. This can be achieved by examining translated works that were well-received in the target language, and prioritizing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containing aspects of Korean culture that are likely to have international appeal. In this context, a few strategies are needed for Park Wan-seo’s works to continue being celebrated among translations of more recent works. An anthology of works by Korean female writers is a remarkable case for new projects of translation of Koran literature considering relationship between Park Wan-seo and her influence over younger writers. While earlier translations of Park Wan-seo were focused on works set during the Korean War, there is a need to take interest in later works that deal with women or old ag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arget regions, more diverse readers may be attracted by translating not only Park Wan-seo’s novels, but also other genres such as essays and children’s stories.

      • KCI등재

        수행계위(修行階位)에 따른 일미관행(一味觀行)의 이해와 구조

        김영미 ( Kim¸ Young-mi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1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47

        『금강삼매경론』에서 원효가 밝힌 『금강삼매경』의 종요(宗要)는 ‘일미관행(一味觀行)’이다. 관(觀)은 경계와 지혜에 통하는 것으로 속제에서 진제에 이르는 수행이다. 행(行)은 인과(因果)에 걸쳐 있는 것으로, 십신(十信)에서 등각(等覺)에 이르는 육행(六行)을 말한다. 일반 범부와 지전(地前)의 수행자의 경지는 마음이 일어나면 일체법이 생기(生起)되고, 마음이 소멸되면 일체법이 소멸된다는 논리에 머문다. 그러나 ‘만법의 주인이 일심’임을 증득(證得)한 지상보살(地上菩薩)의 경지는 진속(眞俗)이 쌍민(雙泯)이지만 소멸되지 않고, 시각(始覺)과 본각(本覺)이 생기(生起)됨이 없어서, 이러한 관행(觀行)으로 일미(一味)를 증득하게 된다. 원효는 『금강삼매경론』에 진제, 속제, 진제중도, 속제중도, 무이중도를 상정하여 본인의 깨달음의 경지를 설명한다. 인(因)으로 육행(六行)이 구비되어 충족되면, 과(果)로서 오법(五法)이 원만해진다. 육행이 원만해질 때에 팔식(八識)은 전변(轉變)하여 사지(四智)를 이루게 된다. 이렇게 전식득지(轉識得智)하는 과정은 속제중도(俗諦中道)를 의미하고, 그 결과 오법(五法)을 원만하게 이루는 것은 무이중도(無二中道)를 의미한다. 인(因)과 과(果)는 진속의 ‘경계(境界)’와 본각·시각인 ‘지혜(智慧)’를 여의지 않는다. 경계와 지혜는 관행을 수행하여 분별의 상(相)이 사라져서 무이(無二)의 경지에 들어가서 일미인 무이중도를 이룬다. 원효는 지관(止觀)과 관행(觀行)으로 무이중도를 증득하는 것을 일미관행이라고 한다. The main summary of the Vajrasamādhi Sūtra which Wonhyo revealed in the Wonhyo's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is the contemplation practice that has but a single taste. Contemplation is a practice ranging from the conventional truth to the absolute truth, through which transcendent experience and wisdom pass. Practice which spreads over cause and fruition represents the six practices that extend from the ten stages of faith to virtual enlightenment. The stage of the general unenlightened people and the practitioners in stages of the bodhisattva path that is prior to the ten grounds stays in the logic that when the mind wakes up, all dharmas, is created, and when the mind dies down, all dharmas is extinguished. However, the stage of bodhisattvas in the level of the bhūmis, who accomplished that "the master of all dharmas" was one mind, would not be demolished although both absolute and conventional truth disappear, and would be reached to a single taste with the contemplation practice as initial enlightenment and original enlightenment do not appear. Wonhyo proposes the absolute truth, the conventional truth,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absolute truth,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conventional truth and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in the Wonhyo's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to explain his stage of enlightenment. If the cause is met by the provision of the six practices, the five dharmas will be satisfied as fruition. When the six practices are satisfied, eight consciousnesses are transformed into the four kinds of pure cognition attained upon the full enlightenment of the Buddha. This process of the cognition attained as the transformation of the consciousnesses represents the middle way from the standpoint of conventional truth, and as a result, achieving the five dharmas completely indicates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Cause and fruition do not lose the transcendent experience of truth and convention and wisdom of initial enlightenment·original enlightenment. Through the contemplation practice, the transcendent experience and wisdom become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as a single taste by vanishing discernment and entering into the stage where there are no two. Achieving the middle way free from dualistic extremes with cessation and observation and the contemplation practice is called the contemplation practice that has but a single taste.

      • KCI등재

        대도시 감성 공간 시스템으로서의 상하이와 감성의 분할

        김영미 ( Kim¸ Young Mi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1 中國硏究 Vol.88 No.-

        As of 2021, Shanghai has historical time and experience as a quasi-colonial situation that arose from Western Europe in the 1920s and 30s, its character as a planned city of the Kuomintang government, and a socialist industrial complex and worker arrangement in New China after 1949. At the same time, as an economic hub city in post-socialist China, which began after Deng Xiaoping's southern tour, and as a global city following the global movement since 2000, it is gaining its current status. Therefore, Shanghai creates a spatial aesthetic with a unique temporality in which the temporality of the past and the future are intertwined. It is a revival of the past and at the same time denies the past, and has a unique conception of time that aims for the future and embraces the past at the same time. The 'spaces' produced by these overlapping conceptions of time take the visible form of 'The Distribution of the Sensible' and are unified and collaged. In addition, the material spaces that reveal the temporality of each can be called ‘Factory of the sensible in Shanghai’. Here, we look at its aspects by dividing it into the following three spaces. First, as an independent emotional manufacturing facility, it is a ‘cultural creative space’. This is a place where Shanghai residents and non-Shanghai residents directly acquire cultural experiences and confirm spatiality through their cultural activities in the city. Also, these places are the newly created spaces of ‘production-consumption’ in the post-socialist period. This includes the 'cultural creative space' created by the existing government policy and the 'creative space' that emphasizes the city life experience by creating a new space division. The spaces included here are a mixture of culture and art, and the direction of China's national policy befits the new era of China. Second, a ‘complex cultural space’ that forms a visual division of urban emotional space.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spaces are that the daily eating, drinking, and viewing of the people are arranged in one space, while at the same time providing a special time of city experience. This space becomes an everyday space for people living in large cities, but for travelers and people from other countries, it is a place where they can remember the city of 'Shanghai', and they are mainly spaces where they can consume the image of Shanghai. The characteristic of this space is that it evokes a special desire for consumption of everyday items, as well as a visual stimulus of a large city and an experience of time and space. This space is paved as a space for the interests of individuals or business groups who see economic benefits. However, it also has a dual nature of ‘ Private business + government officials’ because it is also within the large category of the government’s urban policy. Third, the ‘specific emotional space’ located in the connecting passageways and points that connect the spaces. Underl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pace are service-oriented economies and intellectual capital-centered economies. In particular, these economies are newly created economic spheres that are derived by combining them with computer technology. Therefore, the spatial nature of 'specific' here includes a wide space that is invisible compared to the narrow space that has a specific place and a specific age group among these ordinary people. Among the large cities of China, ‘Factory of the sensible’, a special space where you can get a glimpse of the consumption patterns and cultural lifestyles of Shanghai city dwellers, occupies space as a new form of capital and reveals urban culture. In addition, these spatial forms can indirectly indicate things about the investigation of the 'popularity' of urban residents who are leading real life in China in the new era. In fact, they constitute a very different class, but ostensibly live under the name of the ‘people’ of the majority of socialist China. Therefore, their “popularity” problem is related to the “socialism” of post-socialist China, which is consistent with global capitalism, yet continues to express itself as socialist. It conceals the impossibility of calling the 'people' in the old socialist style as China brings the socialism of the past as an extension of the socialist er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