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Precision-TPA를 이용한 구치부 회전시 근심 및 원심삽입법에 따른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에 관한 실험 연구

        양성재,정성권,노준,전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4

        회전된 구치를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precision-TPA(transpalatal arch)를 삽입방법들-근심삽입법, 원심삽입법, 확장력을 부여한 근심삽입법 (이하 근심확장법) -에 따라 동적인 치아이동의 양상과 치열궁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본교실에서 개발, 제작한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실험한 후 회전된 치아와 고정치간의 이동양상을 계측하여 통계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치간 폭경은 근심삽입법에 의해 감소하였고, 원심삽입법과 근심확장법에 의해서는 증가하였다. 2. 원심삽입법에 의해서 치열궁 장경이 가장 증가하였고, 근심확장법, 근심삽입법순으로 증가하였다. 3. 근심삽입법의 회전중심은 근심소와(mesial pit)와 중심소와(central pit)사이에위치하였고, 원심삽입법에서는 원심소와(distal pit)와 원심설측교두 (distolingual cusp)사이에, 근심확장법은 원심소와(distal pit)에 위치하였다. Dr. Youn-Sic Chun and coworkers invented the new machine for getting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he orthodontic appliances and we named it Calorific machine. The author and colleagues used this machine to compare with tooth moving mechanism by 3 types of the insertion method of precision-TPA for derotating the posterior teeth. We measured the distance of tooth movement and found out the rotational center on the occlusal X-ray film and the tooth movement on the occlusogram and then processed paired t-test by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the intermolar width, the mesial insertion method showed the loss of distance, and the other methods (-distal insertion method, mesial expansion method-) showed the increase of distance. 2. In the arch length, the distal insertion method was exhibited as most recommandable way for increasing the arch length. 3. The rotation center of the mesial insertion method for derotating the molar, was located between mesial pit and central pit of the lower 2nd molar. And, in the distal insertion method, it was located between distal pit and distolingual cusp. and in the mesial expansion method was located at distal pit.

      • Precision lingual Arch를 이용한 구치부 교차교합(scissor bite) 치험예

        전윤식,조기수,오준승 의치학사 1991 치과임상 Vol.11 No.12

        Many orthodontists and general dentists have suffered from scissor bite which means a type of posterior cross bite, exhibiting linguoversion of lower molar and buocoversion of upper molar. Criss-cross elastic has been used to correct this problem but this method has many side effects. For example, extrusion of involved tooth and opposing apron. tooth, those induce increasing vertical dimension and rotating the mandible forward and downwardly. To reduce the bite raising, occlusal reduction and endodontic therapy must also be done. The other way is the conventional Lingual arch ( sheath type ) as an anchorage and sectioal wire to upright the involved tooth. Unfortunately, for interfering with the bite it is impossible to weld or bond the tube to the buccal side of tooth. To correct the scissor bite precisely the precision lingual arch was developed recently by Dr. Burstone ( 1988 ). The precision lingual arch uses a pretorqued .032 ' X .032 ' wire that fits accurately into a pretorqued .032 " slot. Stiffness can be varied by choosing either a stainless steel wire for high stiffness or TMA for low stiffness. Unilateral torque can be used to correct molar cross-bite. The distance across the lower arch is so great that the vertical side effects are small and would likely be eliminated by the force of occlusion. The next two scissor bite cases were corrected using the precision lingual arch.

      • KCI등재

        下顎 臼齒部 分節骨切斷術에 依한 臼齒部 交叉敎合의 治驗例

        金允植,蔡平培,金命來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 1990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12 No.3

        This is to report a case of surgical and orthodontic of posterior scissor bite, deep bite and gummy smile by the segmental osteotomies. The surgical thechnics procedures used are Peterson's mandibular posterior segmental osteotomy, modified K??le technic for mandibular anterior segment and Wunderer's maxillary anterior segmental osteotom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Peterson's mandibular posterior segmental osteotomy could be achieved by the buccal approach with some difficulties in accessbility. 2) Upper and lower anterior segmental osteotomies were followed separately to correct the deep curve of Spee, deep bite and gummy smile in shortened period. 3) All alveolar segments were immobilized in preplanned position by the prefabricated palatal and lingual resin splint, therefore intermaxillary fixation was not necessary.

      • SCOPUSSCIEKCI등재

        안정골구조물 중첩법(stable structural superimposition method)을 사용해야 하는 합리적 근거 및 그 중첩방법의 소개

        전윤식,황충주 대한치과교정학회 199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7 No.5

        Bjork와 Skieller는 상, 하악골에 임플란트를 매식하여 안면골 성장유형을 관찰한 결과 성장으로 인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된 골구조물(stable structure)의 존재를 확인했고 성장중에 있는 환자의 안면골을 중첩할 때에는 반드시 이러한 부위를 기준으로 중첩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0여년이 흐른 지금까지 대부분의 교정의들은 안정골구조물을 이용한 중첩법(structural method)보다는 최적중첩법(best fit method)을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Angle씨 부정교합 Ⅱ급 2류의 하악골과 같이 특징적으로 전상방 성장을 하는 골격구조를 갖는 증례와, 치료후 장기관찰 증례에서는 두 중첩법 사이에 현저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부인할 수는 없다. 이제는 윤리적인 문제때문에 더이상 임플란트를 매식하여 관찰하여 연구를 할 수 없게 되어 Bjork가 연구해왔던 임플란트 자료를 근거로 안정골구조물 중첩법을 사용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안정골구조물 중첩법의 실용화를 위하여 본 저자들은 안정골구조물 중첩법의 합리적 근거를 제시하고 중첩방법을 자세히 소개하고자 한다. Bjork and Skieller concluded after following facial growth patterns using implants in upper and lower jaw bones that stable structures, which are not influenced by the growth to exist and so these must be the reference landmarks in the process of superimposition. In spite of such facts, for the last 40 years since the discovery of stable structures, most orthodontists have preferred best fit superimposition method to structural method. Case such as Angle's Class Ⅱ division 2 malocclusion that show characteristic forward and upward growth or one under long period of post-treatment observation demonstrate that distinct differences exist between the two methods of superimposition. Today, ethical concerns prohibit further growth studies that use implants, and so there is no choice but to use stable structural superimposition method based on Bjork's data. Thus, to encourage clinical use of stable structural superimposition method, logic for the use of stable structural superimposition method will be demonstrated, and its technical methods of application will be introduced step by step.

      • SCOPUSSCIEKCI등재

        상,하악 제1소구치 발치 후 하악치열의 생리적 치아이동에 관한 연구

        전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6 No.1

        소구치 발치 직후 일정기간 동안 고정식 장치를 이용한 치료를 의도적으로 연기함으로써 이외의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었고 이러한 연구결과를 입증하는 임상경험을 교정의들도 가끔 하게 된다. 소구치 발치 후 하악치열의 생리적 치아이동현상을 연구한 논문에 의하면 이를 생리적 치아이동(driftodontics)이라 명명하였다. Driftodontics의 개념이 교정학 영역에서 조심스럽게 소개되고 있는 이유는 driftodontics의 성질과 이동되는 양에 대해서는 아직 조사가 미흡한 실정이며 이러한 치아이동을 이용하기 위한 지침서가 거의 소개되어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대상은 제1급 부정교합자 중 이전에 교정치료를 받은 경험이 없고, 상, 하악 치열궁에 crowding이 있어 상, 하악 제1소구치를 발이하기로 한 57명(남자 16명, 여자 4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제1군은 26명으로, 평균연령은 13.5세(12.7-14.9세)였으며 제2군은 31명의 환자로 평균연령 21.3(18-22.1)세였다. 두군 모두에서 소구치 발치 후 약 7개월 정도의 driftodontics 기간을 유지한 후 측모 두부방사선사진 및 석고모형 계측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2군(18세-22세)에서는 주로 하악 전치 및 견치의 후방이동이 일어났으며 하악구치는 상대적으로 이동이 미약한 정도로 나타났다. 2. 1군(12-15세)에서는 전치부 변화 비율이 2군에 비해 더욱 많이 일어났으며, 구치변화는 2군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양은 조금 컸다. 3. 하악 전치부의 생리적 이동으로 불규칙지수(irregularity index)가 감소하고 crowding양이 감소하였다. Retrostpective study of two groups of patient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hysiologic drift, of the mandibular teeth following the extraction of four first premolars. The concept of physiologic drift, commonly referred to as "driftodontics", following first premolar extractions has been gaining acceptance in the orthodontic community, the exact nature and amount of drift has not been adequately documented. There were also no guide lines as to when drift should be allowed to occu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quantify physiologic drift of the untreated mandibular dentition stages. The early permanent dentition extraction sample(Group 1) included 26 patients and the mean age at pretreatment was approximately 13.5 years. The observation period following extraction was approximately 6.96 months. The late permanent dentition extraction sample(Group 2) included 31 patients. The mean age at pretreatment was 21.3 years, followed by a observation period of 7.26 months.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except for the extractions, no other mandibular therapy was rendered. Pre-and post-treatment lateral cephalograms and dental casts were analyze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Group 2 showed marked changes in movements of the mandibular incisors and canines but minimal changes in molars. 2. The amount of changes in movements of the mandibular incisors and canine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Group 1 than in Group 2. The results showed no differences in rates of molar movements between groups. 3. Physiologic drift of the dentition produced desirable changes such as decreased Incisor Irregularity.

      • SCOPUSSCIEKCI등재

        두 종류의 구치직립 스프링 사용시 저항원 및 근심경사치의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에 관한 연구

        전윤식,노준 대한치과교정학회 2000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1200g.mm의 모멘트를 발생시키는 두 종류의 canti-lever형 구치직립 스프링 중 치관직립형(crown uprighting)과 치근직립형(root uprighting)을 Calorific machine상에 각 각 5회씩 적용하여 나타난 저항원 및 근심경사치의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을 좀더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는데 있다. 열 발생 및 온도조절 장치, 실험용 치아, 그리고 실험용모델로 구성된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치아이동 전,후에 얻어진 2장의 교합X-선사진 상에 X-선 불투과상으로 나타난 두 개의 임플란트를 기준 표지점으로 중첩함으로써 치아이동 전후의 시상면과 교합면 상에서의 위치변화를 확인하였다. 각 스프링의 변화량을 2회씩 계측한 결과 조사자내 동의율(intra-examiner agreement)과 조사자간 동의율(inter-examiner agreement)은 96.54%와 97.73%였으며 각 스프링의 실험 전, 후의 유의성 검증과 두 스프링간의 유의성 여부를 짝비교(paired t-test)로 통계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1. 치관직립 스프링 보다 치근직립 스프링을 사용할 때 저항원의 상실량이 원심 및 혈측방향으로 크게 나타났다. 2. 치관직립 스프링 사용시 경사치 치관의 원심이동량은 3.29mm 였으나 치근직립 스프링은 1.68mm 였다. 3. 치관직립 스프링 사용시 경사치의 근, 원심 치근의 전방 이동량은 각각 3.91mm, 3.60mm였으나 치근직립 스프링에서는 각각 6.76mm, 6.26mm였다.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of two canti-lever springs by using a new simulation system. This was done using a Calorific machine that compared crown uprighting spring and root uprighting spring. The Calorific machine was designed to allow observation of the whole process of tooth moving, and is composed of three parts(a temperature regulating system, electro-thermodynamic teeth, and an artificial alveolar bone component). The experiment of both mechanics were repeated five times and measured two times. The intra-examiner agreement and inter-examiner agreement were 96.4% and 95.73% and these data were statistically tested by paired t-test.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Distal and buccal movement of the anchor teeth were observed greater in the root uprighting spring than the crown uprighting spring. 2. Crown uprighting spring showed distal movement of the crown of lower second molar for 3.29mm but root uprighting spring showed only 1.68mm. 3. Crown uprighting spring exhibited forward movement of mesial and distal root of the lower second molar for 3.91mm, 3.60mm but the root uprighting spring showed 6.76mm, 6.26mm.

      • SCOPUSSCIEKCI등재

        상악견치 후방견인시 저항원 조절을 위한 MAS(Molar Anchoring Spring)의 초기 응력분포에 관한 광탄성학적 연구

        전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6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6 No.4

        저자는 마찰견인법으로 상악견치 후방견인시 저항원상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근심경사된 구치를 직립시키는 Molar Uprighting Spring의 작용기전을 응용하고 마찰견인법의 장점을 이용하여 임상적으로 사용이 용이하며 저항원상실이나 견치의 조절되지 못한 경사이동(uncontrolled tipping)등의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치인 Molar Anchoring Spring(MAS)을 고안하였다. MAS를 임상에 적용한 결과 비교적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어 이에 장치를 소개하며 MAS의 저항원 조절능력과 견치의 이동향상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탄성 모형을 제작한 후 주호선에 diameter 0.009″ lumen size 0.030″ NiTi closed coil spring만을 장착하여 250mg의 견인력이 발생하도록 한 경우와, 같은 NiTi closed coil spring으로 동일한 견인력이 발생하도록 제작한 MAS를 제1대구치 auxiliary tube에 삽입하고 견치 전방에 걸어준 경우를 비교실험 하여 견치견인시 초기응력분포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호선(main arch wire)에 저항원 조절을 위한 조치없이 견치에 수평견인력만을 가했을 때 구치부에 심한 저항원상실은 물론 견치의 원심이동양상도 조절되지 못한 경사이동(uncontrolled tipping)으로 나타났다. 2. 구치부의 저항원 조절을 위해 사용한 MAS는 견치의 원심이동 초기에 구치부 저항원 조절효과와 견치의 정출없는 조절된 경사이동(controlled tipping)을 유도할 수 있는 장치로 나타났다. The efficiency of maxillary canine retraction by means of sliding mechanics along an 0.016 continuous labial arch and an 0.009 inch in diameter with a lumen of 0.030 inch NiTi closed coil spring was compared with that using the same NiTi closed coil spring and Molar Anchoring Spring(MAS) which was designed by author. MAS was made of .017″ X .025″ TMA wire and was given 60 degree tip-back bend on the wire close to the molar tube.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molar and canine root control during retraction into an extraction site with continuous arch wire system. Two techniques were tested with a continuous arch model embedded in a photoelastic resin. A photoelastic model was employed to visualize the effects of forces applied to canine and molar by two retraction mechanics. With the aid of polarized light, stresses were viewed as colored fringes. The photoelastic overview of the upper right quadrant showed that stress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its photoelastic model.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Higher concentration of compression can be seen clearly at the distal curvature of the canine and mesial curvature of the molar and premolar when NiTi closed coil spring was applied only, which means severe anchorage loss of the molar and uncontrolled tipping of the canine. 2. The least level compression was presented at the mesial root area of the molar and premolar, and mesial root area of the canine when NiTi closed coil spring and MAS were used simultaneously. Especially mesial alveolar crest region of the canine was shown moderate level of compression that means MAS can be used as a appliance for anchorage control and prevention of canine extrusion and uncontrolled tipping during canine retraction.

      • SCOPUSSCIEKCI등재

        두 종류의 Precision Lingual Arch(PLA)로 구치부 교차교합 치료시 발생할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의 차이를 Calorific Machine으로 실험한 연구

        전윤식,노준,서문석,박인권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1

        교정치료란 동적인(dynamic) 진료행위 임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교정장치의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는 정적인(static)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 대부분의 교정의들은 동일한 치료목표를 위해 여러종류의 장치가 제시될 때 과연 어떠한 장치가 상대적으로 치료결과 및 치료기간 면에서 상대적으로 더 우수한가를 알고 싶어한다. 이에 본 저자들은 구치부 교차교합 해결을 위해 사용하고 있는 PLA중 Burstone식 PLA(single force응용)와 구치직립식 PLA(couple 기전 응용)간의 치아이동 기전과 치아이동 시간의 상대적 차이를 규명하고 얻어진 결과를 임상에 적용하기 위하여 본 교실에서 개발, 제작한 Calorfic machine을 이용하여 실험한 후 정상치와 경사치의 이동양상과 치아이동시간을 계측하여 paired t-test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를 얻었다. 1. 구치직립식 PLA가 Burstone식 PLA보다 경사치의 정출량과 치근의 수평이동량이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p=0.0000). 2. 구치직립식 PLA 사용시 정상치(upright molar)의 치아이동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3475) Burstone식 PLA는 미미한 양(0.2mm)이지만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001). 3. 경사치의 치아이동시간이 Burstone식 PLA의 경우 약 17.8분정도 소요되었으나 구치직립식 PLA는 3.8분으로 나타났다(p=0.0001). Despite orthodontic treatment(tooth moving) is dynamic act, many orthodontists have used mainly static evaluation method for evaluating effectiveness of the orthodontic appliances. They want to find which is better appliance, especially in the treatment results and treatment period, when they chose one appliance from sugessted appliances for obtaining same treatment goal. The author and colleagues invented and manufactured new machine for getting information about the relative effectiveness from many suggested orthodontic appliances and we named it Calorific machine. We used this Calorific machine to find the relative differences about tooth moving mechanism and tooth moving time between the Burstone' s PLA(single force mechanism) and Molar-up's PLA(couple mechanism)for correcting the posterior cross bite. We measured the distance of tooth moving on the occlusal X-ray film and recorded the moving time of the anchored(control elctro-thermal tooth)and lingually tipped lower second molars(experimental electro-thermal tooth)and then processed paired t-est by SA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olar-up's PLA showed more extrusive and horizontal movement than Burstone's PLA at the lingually tipped molar(p=0.0000). 2. There is no finding of tooth movement by Molar-up's PLA at the uprighted molar(p=0.3475) but Burstone's PLA showed a little change(0.2mm) at the same molar(p=0.0001). 3. Bustone's PLA took 17.8 minutes for tooth moving but Molar-up's PLA took only 3.8 minutes(p=0.0001).

      • SCOPUSSCIEKCI등재

        청소년 교정환자들의 치은염 및 치아탈회 조절을 위해 사용한 겔형 불화주석(SnF_2 gel)의 장기간 평가

        Boyd, Robert L.,전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5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5 No.3

        이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 교정환자들의 치은염과 치아탈회를 조절하기위해 사용된 수종의 화학요법들에 관해 최근에 보고된 2개의 연구를 재검토하기 위함이다. 첫번째 연구(치은염 연구)는 고정성 교정장치를 장착하고 있는 경우, 기존의 칫솔법에 매일 2회 유효 주석이온이 90%이상 함유된 0.4%의 겔형 불화주석(SnF_2 gel)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와 기존의 칫솔법만을 사용하는 것 중 치내침착과 치은염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어느 것이 더 효과적인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시행 되었다. 두번째 연구(치아탈회 연구)는 교정환자들을 대상으로 1100 ppm의 불소가 함유된 치약만을 사용할 때와 이와 똑 같은 치약과 0.05% 불화나트륨 양치액(NaF rinse)을 병용하여 양치하거나 이 치약과 함께 0.4% 겔형의 불화주석을 사용할 때 치아탈회의 조절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시행 되었다. 치은염 연구에서는 모든 치아를 고정성 장치로 계속 치료를 받고 있는 청소년 교정환자 65명을 연령과 성별에 따라 두 군으로 지정하였다. 마찬가지로 치아탈회 연구에서도 30명을 추가(총 95명)하여 제 3군으로 지정하였다. 제1군(대조군, 35명)은 단지 표준화 불소(1100 ppm 불소) 치약만 사용하였다. 제 2군은 1 군과 같은 치약에 겔형의 0.4% 불화주석이 함유된 치약을(겔형 불화주석군, 표본수=30) 매일 2회씩 18개월 동안 사용하였다. 제 3군은(단지 치아탈회군만으로 이용) 같은 종류의 치약과 0.05% 불화나트륨 양치액을 사용하였다(불화나트륨 양치구, 표본수=30). 치태침착의 임상평가는 Plaque Index로, 치은의 염증은 Gingival Index로, 치관의 착색은 단일맹검(single-blind)으로, 고정성 교정장치를 장착하기 전과 장착한 수 1, 3, 6, 9, 12, 18 개월마다 실시하였다. 치아탈회의 임상평가는 맹출한 모든치아의 순측면에 고정성 교정장치를 장착하기 전과 장치 제거 3개월 후에 단일맹검으로 실시하였다. 치은염 연구에서 겔형 불화주석군(SnF_2 gel group)이 대조군에 비해 교정치료 기간동안 시행한 모든 검사에서 Plaque Index(p<0.01)와 Gingival Index(p<0.001)가 상당히 낮은것으로 나타났다. 겔형 불화주석군에서 한 증례는 미미한 치관착색을, 두 증례는 보통정도의 치관착색을 보였다. 치아탈회 연구에서는 겔형 불화주석군과 불화나트퓸 양치액군이 치료후 치아탈회값에서 치료전 치아탈회값을 뺀 치아탈회값이 대조군에 비해 구강전체및 제1대구치에서 현저하게 낮은 값(p<0.05)을 보였다. 비록 겔형 불화주석군이 불화나트륨 양치액군보다 일관되게 낮은 치아탈회값을 보였을지라도 통계적으로 그 차이는 단지 유의성을 보이는 정도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wo recently reported, long-term studies of several chemical methods to control gingivitis and decalcification in adolescent orthodontic patients. The first study(gingivit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whether conventional toothbrushing and twice daily use of a brush-on 0.4 per cent SnF_2 gel containing more than 90 per cent available Sn^2+ would be more effective for controlling plaque accumulation and gingivitis in the presence of orthodontic appliances than conventional toothbrushing alone. The second study(decalcification study) was designed to compare the effectiveness of controlling decalcification in orthondontic patients with either a 1100 ppm F tooth paste used alone, this same toothpaste and a 0.05 percent NaF rinse or this toothpaste and a 0.4 percent SnF_2 gel. In the gingivitis study, sixty-five consecutively treated adolescents who were to receive full-mouth fixed orthodontic appliance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according to age and sex criteria. In the decalcification study and additional 30 subjects(95 total) were similarly assigned to a third group. The first group(control, n=35) used only toothbrushing with a standard fluoride(1100 ppm F) toothpaste. The second group used toothbrushing with a similar dentifrice supplemented with a 0.4 percent SnF_2 gel(SnF_2 gel group, n=30) used twice daily for the entire 18-month study period. The third group(in the decalcification study only) used a similar toothpaste and 0.05 percent NaF rinse(NaF rinse group, n=30). Clinical assessments of plaque accumulation using the Plaque Index, gingival inflammation using the Gingival Index, and coronal staining were completed single-blinded before appliances were placed and 1, 3, 6, 9, 12 and 18 months after appliances were placed. Decalcification was assessed single blind on all labial surfaces of all erupted teeth before appliances were placed and 3 months after appliances were removed. The results of the gingivitis study indicated that the SnF_2 gel gorup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s for the Plaque Index(p<0.01) and Gingival Index(p<0.001) at all examinations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than did the control group. In the SnF_2 gel group, one subject developed mild coronal staining and two subjects developed moderate staining. In the decalcification study, when pre-treatment levels of decalcification were subtracted from post-treatment values, significantly lower decalcification scores(p<0.05) were found for both whole mouth and first molars in the NaF rinse and gel groups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toothpaste alone). Although the gel group consistently had less decalcification than the rinse group, this difference only approached statistical significance.

      • SCOPUSSCIEKCI등재

        치간 법랑질 삭제방법에 따른 치아표면 거칠기에 관한 비교연구

        노준,전윤식 대한치과교정학회 1999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9 No.4

        다양한 부정교합의 원인 중에서 치아의 형태적 이상이나 크기의 부조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치간 법랑질 삭제(interdental enamel stripping)가 임상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런 치간 법랑질 삭제술식은 특히 상하악의 전치부위에서 적은 량의 치아 밀집을 해결하거나, 교정치료 말기에 상하악 치아 크기의 부조화에 의한 견치 또는 구치의 바람직하지 못한 교합관계를 개선하는데 유용하지만 치아삭제가 비가역적인 술식이며, 삭제 후 남게 되는 거친 법랑질 표면으로 인한 치주적 부작용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법랑질 삭제 후 표면에 남게 되는 거칠기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치과용 마모기구를 이용한 방법들이 소개되었지만 그 결과에 대한 해석은 주사현미경(SEM)상에서 관찰되는 표면소견을 통한 비교분석에 국한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자주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법랑질 삭제방법들의 결과를 주사현미경적 소견과 함께 표면조도측정기를 이용하여 표면의 거칠기를 정량화하므로서 좀 더 구체적인 임상적 결과를 비교 평가하고자 함이다. 치간 법랑질 삭제방법은 기계적 방법 및 기계화학적인 방법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으며, 기계적 방법은 회전기계삭제와 치과용 마모지를 이용한 삭제로 구분하고, 기계화학적 방법을 위해 37% 인산이 사용되었다. 교정목적으로 발거된소구치의 인접면을 이용하여 기계적 및 기계화학적인 법랑질 삭제방법에 따른 표면 거칠기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회전기계 및 치과용 마모지를 이용한 기계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의 법랑질 표면이 다른군들에 비해 거칠게 나타났다. 2. 산 부식을 이용한 기계화학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이 기계적 방법으로 1차 삭제한 군에 비해 양호한 표면을 보였다. 3. 기계적으로 1차 및 2차 삭제한 군의 표면은 대조군과 유사한 정도로 표면이 양호하였다. 4. 표면 활택 목적으로 사용된 미세 연마제는 표면 거칠기나 표면의 연마 또는 가공정도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Interdental enamel stripping is an usual method for correction of abnormal tooth shape and tooth size discrepancy which is one of the etiologic factors of malocclusion. Clinically it is useful to correct the minor crowding in anterior teeth and posterior occlusion during finishing stage of orthodontic treatment. But this procedure has risks such as irreversible tooth reduction and remaining roughness of enamel surface can accumulate plaque which can evoke periodontal problem. Even if various methods were introduced to minimize the enamel surface roughness, their evaluation was limited in morphologic differences by scanning electronic microscope(S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various interdental enamel stripping method by SEM and to quantify the difference of surface roughness by use of Surfcorder SEF-30D(Kosaka Lab, Ltd.) which can measure the roughness of surface. The stripping methods were divided into mechanical and mechanical-chemical method. Air-rotor stripping and separating strip were used for mechanical stripping and 37% phosphoric acid was used for chemical stripping. The enamel surface roughness after mechanical or mechanical-chemical stripping of interproximal surfaces of premolars which were extracted for orthodontic purpose were measured and compared by means of SEM and Surfcord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namel surface of primary treated by coarse diamond bur and separating strip groups showed highest value of roughness. 2. To compare the primary treated groups between mechanical and mechanical-chemical method, the latter group showed lower value of roughness remarkably. 3. Mechanical stripping groups which were treated both coarse and fine instrument showed lower value of roughness as much as non treated group. 4. The use of pumice for final polishing did not show significantly smoothening the stripped enamel surface any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