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발과 그 공부에 관한 정조와 정약용의 문답 연구 - 호락논쟁과 관련하여 -

        이종우 ( Yi Jong-woo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3 퇴계학논총 Vol.41 No.-

        正朝는 朱熹가 聖人과 衆人의 未發이 같다고 말하기도 하고 다르다고 말하기도 한 것에 대하여 일관적이지 않은 모순이라고 여겨 정약용에게 질의했다. 이것은 호락논쟁의 쟁점이었는데 성인의 미발은 항상 中이지만 중인의 미발은 不中이면서도 중일 때도 있다고 한다. 이 때문에 성인과 중인의 미발은 같기도 하고, 다르기도 하다는 것이다. 정조의 질의에 대하여 정약용은 미발은 중인에게 없고, 성인에게만 있다고 답변하였다. 또한 주희는 미발을 復卦라고 말하기도 하고, 坤卦라고 말하기도 했는데 이에 대해서도 정조는 주희의 말이 일관적이지 않은 모순이라고 생각하여 어떤 것이 주희의 定論인지 丁若鏞에게 질의했다. 이것도 湖洛논쟁의 쟁점이었다 정조의 질의에 대하여 정약용은 곤괘라고 답변하였고, 그것은 洛學 李顯益의 주장과 비슷하였다. 하지만 정약용은 복괘와 곤괘를 미발의 중으로 설명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여겼는데 왜냐하면 괘는 『周易』, 중과 和는 『中庸』에 나오는 용어로서 반드시 서로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것이 李顯益과 달랐고, 주희 뿐만 아니라 정조에 대해서도 비판했다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또한 주희는 미발시 공부에 대해서도 필요하다고 말하기도 하고, 가능하지 않다고 말하기도 했는데 이에 대하여 정조는 어떤 것이 정론인지 정약용에게 질의했다. 이것도 호락논쟁의 쟁점이었는데 이현익은 미발이란 최상의 경지이기 때문에 그 공부가 가능하지 않고 靜의 상태에서 필요한 공부라고 주장한 반면에 朴弼周는 미발시 공부는 필요하다고 주장하였고, 당시 낙학의 종장 金昌翕은 박필주를 지지하면서 이현익을 비판하였다. 이에 대하여 湖學의 한원진은 김창흡을 지지하면서 이현익을 비판하였고, 그것이 주목할 만하다. 정조의 질의에 대하여 정약용은 미발시 공부는 필요하다고 주장하였고 그 공부를 愼獨이라고 말했다. 그것은 주희 뿐만 아니라 호락과 다른 맥락에서 미발시 공부가 필요함을 주장한 것이다. 왜냐하면 주희는 신독을 已發공부로서 여겼기 때문이다. 이러한 정조의 질의와 정약용의 응답에서 전자는 호락논쟁과 주자학에 의심을 통하여 엄밀한 학문을 하였고, 후자는 그들을 넘어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고 할 수 있다. King Jeongjo regarded Zhu Xi’s mentions, the Not-Yet Aroused State in Mind of sage and ordinary person is the same or not, as contradiction. This was a controversial issue in Horak debate. That of sage always is equilibrium, whereas ordinary person equilibrium or non-equilibrium, according to Horak scholars. To King Jeongjo’s inquiry, Jeong Yakyong responded only sage has the Not-Yet Aroused State in Mind, whereas the ordinary person not so. Zhu Xi’s the Not-Yet Aroused State in Mind has been described Fuqua (復卦) or Kunqua (坤卦). King Jeongjo also regarded the descriptions of Zhu Xi as contradiction. This also was one of main issues in Horak Debate. At the time, Yi Hyeonik, a Rak scholar, claimed the State is Kunqua, not Fuqua, and the former is a decided theory in Zhu Xi’s latter years. By contrast, Gwon Sangha and Han Wonjin, a Ho scholar, criticized Yi’s claim, arguing it is not Kunqua but Fuqua. To King Jeongjo’s inquiry, Jeong Yakyong responded it is Kunqua, not Fuqua. This is similar to Yi’s claim. However, he argued the State cannot be described the Kunqua or Fuquau, because the terms are the different Confucian classics. This is different from Yi, and implies criticism of Zhu Xi and King Jeongjo. Also, Zhu Xi said the need self-cultivation in the State or not. For that matter, King Jeongjo inquired which to be a decided theory in Zhu Xi’s latter years. He regarded those of Zhu Xi as contradiction. This also was a main issue in the Horak Debate. At the time, Yi Hyeonik’s claim was not to need self-cultivation in the State because the State is the highest stage. By contrast, Park Pilju’s claim was to need self-cultivation in the State. About their debate, Kim Changhueup supported Park’s claim, criticizing Yi’s. Also, Han Wonjin supported Kim’s claim, criticizing Yi’s. In response to the inquiry of King Jeongjo, Jeong Yakyong’s claim is the need of self-cultivation in the State, and this is “watchful over oneself when one is alone”(愼獨 shendu). The need of self-cultivation in the State is similar to Park and Kim’s claim but self-cultivation as the Shendu is different from. This implies crticism of King Jeongjo’s mention and followed Zhu Xi. In the debate of King Jeongjo and Jeong Yakyong, the former sought an accurte study through criticism of Horak debate and Zhu Xi’s Neo-Confucianism, whereas the latter created a new horizon beyond them.

      • 중·고등학생 장애이해 교육

        우이고,이유훈,권택환,김희규,유장순,최세민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3

        본 연구는 중등통합교육현장의 장애이해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고 바람직한 장애 이해교육 자료를 개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중등 통합교육 현장에 근무하는 208명의 교사로 하였으며 이들에게 설문과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통합교육 현장의 장애이해교육 현황과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학교관리자의 인식이 긍정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교육현장에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시간확보와 이해교육을 실시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학교관리자가 장애인식 개선을 위한 장애이해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확보하기 어려워 장애이해교육을 형식적으로 실시하거나 실시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담당 장학사나 국립특수교육원과 같은 연구기관에서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과 그에 따른 시간확보 방안 등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필요가 있다. 셋째, 장애이해교육 실시 대상이 대부분 일반학생 중심으로 되어 있어 일반 교사나 학부모 그리고 학교 관리자에 대한 장애이해교육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반학생의 장애이해교육과 더불어 교사와 학부모 그리고 학교 관리자를 대상으로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자료의 개발과 더불어 교수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장애이해교육 자료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점이다. 즉 학생에게 실시하는 장애 이해교육 자료와 교사나 학부모 그리고 학교관리자에게 실시하는 장애이해교육 자료는 그 내용뿐 아니라 전달 방법도 달라야 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학교에서는 동일한 자료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교육대상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조속히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자료의 수량이 부족할 뿐 아니라 기존의 자료의 질에 대한 만족도가 낮기 때문에 효율적인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서는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질 높은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지속적으로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장애이해교육활동 시기가 대부분 학기 초나 장애인의 날과 같은 특성 기간에 집중되어 있으며 실시하는 시간 또한 대부분 재량활동시간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와 같이 장애이해교육을 특정 기간에 집중적으로 실시할 경우 교육의 효과가 지속적으로 나타나기 어렵고 일회성 행사에 그칠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 연중 계획을 세워 실시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장애이해교육을 할 때 사용하는 모델이 시각장애, 청각장애 및 지체부자유 같은 특정 장애영역 중심으로 되어 있다는 점이다. 그런데 대부분 교육현장에는 이러한 장애보다는 발달장애학생이 많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이해교육이 보다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장차 보다 깊이 있게 다루어져야 할 내용과 정책 결정시 고려해야 될 내용을 중심으로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장애학생과 통합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필요하다. 장애학생의 통합을 위해 물리적인 편의시설과 설비, 교재 교구의 확보도 중요하지만 함께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학생과 교직원 그리고 지역사회가 장애학생과 통합교육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갖도록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장 중심의 다양한 통합교육관련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할 필요가 있다. 일반교육 현장에서의 보다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실시하는데 도움이 되는 연구 프로젝트를 다양하게 제안하고, 통합학급교사와 특수교육교사의 협력방안과 장애학생 가족지원 방안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현장교사와 심층면담 결과 장애이해교육에 필요한 자료를 어디에서 구입해야 되는지 알 수 없다고 하는 교사가 많았다. 따라서 기존의 장애이해교육 자료를 활용할 수 있는 도서 목록이나 자료집을 발간하여 현장에서 보다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넷째, 설문조사와 면담 결과 아직까지도 장애이핵육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시간이 없어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지 못한다는 교사도 있었다. 따라서 장애이해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안내와 교육현장에서 장애이해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develop materials to teach secondary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disab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a survey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208 teachers of secondary inclusive schoo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as follows. First,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tends to be not positive abou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erefore, there are difficulties in time allocation and implement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t schools. Measures are needed to improve school administrators' perception to encourage them to suppor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econd, difficulty in allocating time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a problem which hinders the implementation of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Special education inspectors or KISE(Korea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 need to provide directions to time allotment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ird, most of curr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fo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parents, teachers and administrators lacks in quantity and quality. Therefor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at are appropriate for teachers, parents and school administrators should be developed and continuous concern should be followed. Fourth, there are not various types of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different groups of people. Though different contents or methods work for different groups, most schools actually use the same materials for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Various types of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effici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for different groups of people. Fifth,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lack in quantity and also the quality of current materials is not considered satisfactory. More materials of good quality should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to the field successively. Sixth, the time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concentrated on specific times such as the beginning of a school year or the Day for the disabled.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s implemented mostly during discretionary activities classes at schools. It is difficult to expect sustained effects of the education when it happens only at specific times of a year and in specific classes. It is encouraged that schools should set up plan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roughout the year. Seventh, the current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ends to concentrate on specific disability category such as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or physical disabilities. Howeve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found more often at schools than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mentioned earlier. Therefore,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bout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regarded as more important. Based on these results here are some suggestions which need to be considered for further research and policy making. First, a positive attitude on disability and inclusive education is most important for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inclusion. Besides convenient facilities and materials for the disables students various efforts should be exerted to promote disability awareness of students, school staff and community. Second, various programs related to inclusive education need to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Research projects and programs to support inclusive education such as programs to promote collaborative among regular educators and special educators and family support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ield. Third, teachers said that they had no information about where they could get material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in the interviews. Handbooks with lists of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and provided. Fourth, the result shows that there are teachers who do not understand reason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or can not find time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Therefore, guidance of the reason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nd measures for disability awareness education at schools should be continuously provided in efficient ways.

      • 토마토식물의 꽃, 화경 또는 어린열매에 처리된 GA₃가 잎생장과 액아발육에 미치는 효과

        이영병,구우서,정순재 東亞大學校 1996 東亞論叢 Vol.33 No.-

        When gibberellin A3(5㎍·??) was applied to the flower of 1st inflorescence of Lycopersicon esculentum at anthesis, growth of young leaves and axillary shoot elongation of 6th leaf were promoted later. Growth of the leaves and axillary shoot were also accelerated, as flowers of inflorescence were removed, while the application of GA₃(1㎍+agar 200㎕) to the peduncle without flowers promoted their growth. And young fruit treatment with GA₃(5㎍·??) increased lightly leaves growth.

      • 중·고등학교 교과용도서 장애관련 내용분석 : Focusing on the Views of Disability

        우이구,김수연,권택환,박은영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4

        제 7차 교육과정은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강조하여, 교과용 도서에서도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않게 수록되어 있다. 장애관련 내용이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어떤 내용이 어떠한 관점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학생들의 장애이해교육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2003년 유ㆍ초등학교 교과용 도서의 장애관련 내용 분석 연구의 후속연구로,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의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등교육에서의 장애학생 통합교육은 초등에 비해 양적인 면에서도 매우 부족하고 질적인 면에서도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또한 교사양성 교육에서도 중등교사는 특수교육 관련 과목을 제대로 이수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장애인에 대한 태도는 어릴 수록 용이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청소년은 초등 학생에 비해 개인의 능력이나 외모의 차이에 더욱 민감한 시기이다. 또한 중등교육의 목표 중에 대학 입학 준비가 주요한 비중을 차지하므로, 장애학생 통합 및 개인의 다양성 수용을 강조하는 인성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힘든 조건이다. 따라서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 장애관련 내용이 어떠한 수준으로 제시되어 있는지 분석하고, 매일의 수업에서 접하는 교과서를 통해 장애이해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절실하게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 수록된 장애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 분석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가장 장애관련 내용이 많은 국어, 사회, 도덕 교과목을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내용분석으로 총 52권의 교과서에서 장애 관련 내용(장애관련 용어, 삽화, 인물, 시설, 소계 등)내용을 학년별, 교과별로 분류하였다. 분류한 내용을 바탕으로 장애관련 용어는 별도로 정리하고 장애인 묘사를 통해 드러난 장애인관을 분석하였으며, 주제별 분석을 하였다. 주제별 분석을 하기 위해 공통 주제어를 추출하였다. 두명의 연구자가 독립적으로 내용을 읽으면서 관련 주제어를 기록하고 연구자 협의를 통해 공통으로 기록한 주제어를 추출한 다음, 다르게 기록한 주제어는 합의를 거쳐 최종 분석 주제어를 도출하였다: 1) 장애체험활동, 2) 장애관련 인물, 3)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 4) 개인의 차이 수용 및 인권 존중 장애인 묘사는 다시 세부적으로 분류하였다: 1) 봉사활동의 대상으로서의 장애인, 2) 장애인을 돕는 장애인, 3) 장애인 본인의 목소리, 4) 문학작품 속에 그려진 장애인, 5) 장애인과 비장애인과의 관계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 나타난 장애관련 용어와 삽화, 장애인 묘사, 그리고 4가지 주제로 분석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관련 용어는 몇 가지 수정되어야 할 용어가 있었다. (예, 장애자, 벙어리, 귀머거리, 장애 기사) 국어교과서에는 현대에는 사용하면 안되는 장애관련 용어가 문학작품이라는 이유로 빈번하게 언급되었다. 이는 교과서의 각주와 교사용지도서에 별도의 안내가 보강되어야 하겠다. 둘째, 장애관련 삽화는 휠체어를 탄 장애인이 가장 많이 등장하였다. 또한 중등교과서는 그 내용이 심화되고 분량이 많으므로 장애 관련 내용이 직접 언급되기보다 삽화와 삽화설명을 통해 제시된 경우가 많았다. 본문의 내용에 적합하지 않은 삽화는 수정되어야 하며, 장애인 수용시설의 사진은 좀더 신중하게 선정되어야 하겠다. 미국의 사회 교과서와 비교하였을 때 삽화에 있어서 분명한 차이를 느낄 수 있었다. 미국의 사회 교과서에도 휠체어 탄 장애인이 많이 등장하였는데, 다른 사람이 휠체어를 밀어주는 모습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장애인 묘사에서 드러난 장애인관을 살펴보면, 장애인 개인 또는 집단의 목소리를 통해 주체적인 모습을 느낄 수 있는 내용도 있기는 하였으나, 많은 내용은 일반인의 봉사나 도움의 수혜자로서 그려지고 있었다. 성공한 장애인이라 할지라도 장애는 극복의 대상이며, 초인간적인 영웅의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넷째, 공동체 사회의 구현과 정의로운 복지사회의 실현을 위해 장애인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현대 사회의 다양한 집단의 권리 존중의 측면에서 장애인의 권리가 보호되어야 한다는 내용을 사회교과서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각 출판사마다 장애관련 내용의 비중과 수준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음이 드러나 장애 관련 내용에 대한 표준 지침이 마련되어야 함이 지적되었다. 이 연구결과에 의하면 초등학교 교과용 도서와 마찬가지로 중ㆍ고등학교 교과용 도서에도 장애관련 내용이 적지 않게 수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통합교육이 확산되어가는 현 시점에서 매우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올바르지 않은 용어와 삽화, 그리고 지문의 내용은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청소년들에게 장애이해 교육이 좀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세한 지도방법과, 교과용 도서 출판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condary textbook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ies. We employ content analysis as our research method, 3 different subject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 according to grades and subjects. We devise five frameworks of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description of disabilities (2) the simulation of disabilities (3) accommodative devices and facilities (4) the acceptance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5) people with disabilities. To summarize our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me words that need to be changed (e.g. cripple, handicapped person). Second,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y appear predominantly in the illustrations depicting disabilities. For the most part, they receive help from others. To increase illustrations that portray person with disabilities to participate actively in inclusive community is required. Third, they suggest the simulative experience of disability as the major way to understand the uncomfortable situation of disability. They also propose that the expansion of accommodative devices and facilitie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main support for disabilities. In conclusion, we find out that current instructional materials for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secondary textbooks of 7th national curriculum contain a considerable amount of contents concerning disability. We regard this as very encouraging. When the textbook is revised, our study will help to choose more proper words, illustrations, and contents. We suggest that more detailed guidelines for understanding disability that help teachers to teach appropriate contents in a more effective and perceptive way in the classrooms of secondary school should be provided.

      • 수종의 식물섬유의 급이가 고콜레스테롤 혈증 흰쥐의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 1.간장의 지질성분 및 지방산 조성 Lipid Compon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liver

        이호신,서인숙,김우준 麗水水産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5 産業基術硏究所 論文集 Vol.4 No.-

        This study was designed to observe the effects of feeding dietary fiber on the improvement of the lipids and the fatty acid metabolism in liver in dietary hypercholesterolemic rats. Experimental groups with 5% level of cellulose(A group as control group), chinese cabbage root(B group), tora stalk(C group) and sweet potato stalk(D group) were adminstered to the male rats of the Sprague-Dawley for 4 weeks. The results obtaind are as follows. Concentrations of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phospholipid in liver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all experimental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particularly, the lowest in the B group. Concentrations of free cholesterol and cholesteryl ester in liver were lower in the B group than in the other groups.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otal lipid, phospholipid, triglyceride and cholesteryl ester in liver, oleic acid in the MUFA was major fatty acid. From the above result, the feeding of chinese root was effective on the improvment of the lipid composition in liver.

      • KCI등재후보
      •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우리말 음소분리에 관한 연구

        이우선,이승훈 國立 昌原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1993 基礎科學硏究所論文集 Vol.4 No.-

        This thesis describes the segmentation of korean speech using a neural network. This neural network model is MLP(Multi layer perceptron) with one hidden layer and uses BP(Back propagation) for its learning algorithm. This model has 29 input nodes, 15 hidden nodes and 3 output nodes. the 25 filter bank output, the back to total cavity volume ratio(BTR), the root mean square(RMS) energy, the zero crossing rate(ZCR) and the filter bank output difference of adjacent frames are used as input parameters. The output pattern is divided into three group (vowel, consonant, voiced consonant). The result shows that this model is suitable for the segmentation of korean speech.

      • KCI등재

        구강외과 수술용 스텐트 기반 영상유도 수술 시스템의 개발

        이우진,김대승,이원진,이삼선,최순철,허민석,허경회,김명진,이지호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 2009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39 No.3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ent-based image guided surgery system and to apply it to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ies for anatomically complex sites. Materials and Methods : We devised a patient-specific stent for patient-to-image registration and navigation. Threedimensional positions of the reference probe and the tool probe were tracked by an optical camera system and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handpiece drill tip to the reference probe was monitored continuously on the monitor of a PC. Using 8 landmarks for measuring accuracy, the spatial discrepancy between CT image coordinate and physical coordinate was calculated for testing the normality. Results : The accuracy over 8 anatomical landmarks showed an overall mean of 0.56±0.16 mm. The developed system was applied to a surgery for a vertical alveolar bone augmentation in right mandibular posterior area and possible interior alveolar nerve injury case of an impacted third molar. The developed system provided continuous monitoring of invisible anatomical structures during operation and 3D information for operation sites. The clinical challenge showed sufficient accuracy and availability of anatomically complex operation sites. Conclusion : The developed system showed sufficient accuracy and availability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ies for anatomically complex sites. (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9; 39 : 149-56)

      • SCIE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