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기주석화합물의 신경독성연구 : Neurotoxicity of Tributyltin and Dibutyltin in Sprague-Dawley Rat brain

        송치원,오재호,박기숙,박성규,송예리아,서수경,홍진태,정수연,정해관 식품의약품안전청 2001 식품의약품안전청 연보 Vol.5 No.-

        유러주석화합물은 산업·기나 농업분야에서 플라스틱 안정화제, 촉매, 살근제. 살진균제, 살충제 또는 폭재나 섬유방부제로서 광범위하게 사웅되고 있으며 monobu?·Itin, dibua·Itin, trimeth!·Itin, rieth!-luF.tribut!·Itin, triphen?·Itin 등이 있다. 운기주석화합물의 독성은 유기group의 개수 및 성질과 관계가 있으며, 특히 유기그룹이 씨 개인 triorganotin 일 때 독성이 가장 큰 겄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주석화합물중 tributt·Itin 과 dibutl·Itin을 대한 신경독성에 관하여 이 들 물질이 중추신경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연구하여 기초자료로 찰용할 수 있게 하고자 곯였다. Tribut:·Itin 과 dibut?-ltin을 지속투여군과 단회투여군으로 나누어 실험을 실시하였다. 지속투여군에는 7일간 TBT를 1, 3,3mg,·'kg/da?', BBT를 20, 40. 80mg/kg/da?용량으로 각각 구강으로 투여하였고, 단회투여는 787 10mgAg, OBT 80mg,/kg의 용량으로 투셔하고 1, 3, 3일군과 1. 2. 3. 4주군으로 구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각각의 체중과 행등검사 그리고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이들의 독성을 판정하꾹다. 체증은 지속투여군에서 TBT군에서는 고용량인 3. 5mg 군fi서 갚소를 나타내고 있밌고, DBT의 80mg제1 감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단회투여군에서는 1주군가지 가볍게 감소하다 정상적인 체증으로 돌아가는 것이 관찰되었다. 행동검사에서는 지속투여군에서 용랸에 따라 Distance treveled71- 갇소하고 Resting time이 증각학는 양상을 나타내었고, 단료투여군fl서는 TBT, DBT 들다에서 1주일군까지 Distance-treL·eled가-감소하고 Resting tirrle이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다. a주후분터는 검상적인 양상 으로 관찰되어 체중과 유사한 결파를 나타내고 있었파. Cell viabilitt·는 TBT와 DBT 모두에J.』 1 r)l 이서 뚜꼿한 세포의 갇소를 관찰할 수 있었다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응한 결과 Substantial 리igra 부위의 T러는 TBT 지속추여군에서 용량의존성을 4타내며 감소하고 있었고. GF.tP는 증가하였으며, EO끈 역시 증가곯고 있었다. 하지만 Calmodulin과 틀.4B.4는 변화를 라타내지 않았다. B묘T 꼭속투여군에꺼는 약간의 TH감쏘와 fF.If증가만을 관찰할 수 글꼰고, 용량의 변화에 따차 COX-』의 밭글이 증가하핀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소뇌 Pur운e cell에서는 TBT,D모T 지슥투여군 모두에 f,」 Calmodㄴilill과 C.4또4 함유세포들의 발현이 갇소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EO근 발현 변확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현재라지 알려진 T묘T나 D조T가 EalciㄴIn)-mediated at)optosis를 츄밭한Ci는 널고가 즌개하였는데 이는 Calmodulin 항유#:1포의 갇소를 보이는 소뵉 Purlfnje cell의 경푸에 해당할 것이며 ubstantia nigra 부분에는 CO-』의 영향을 받음으호 이들이 같은 물질예서도 다른 기을 받아들이고 있음을 제시한다. The biocidal agent of the organotins such as tributyltin(TBT), dibutyltin(DBT) are used mainly in wood preservation, marine antifouling paints, disinfection of circulating industrial cooling waters, and slime control in paper mills. There also were some reports indicating that exposure to organotin compounds causes epilepsy and amnesia in human and experimental animals. However, neurotoxic effect and its mechanism were not fully understood. Therefore, we investigated neurotoxic effect of TBT and DBT in SD rat, and it's mechanism in the study. All animal were bred with commercial pelletted diets in accordance with the guidelines for Animal Facilities of Korea FDA. Adult (12weeks of age) mal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ive groups of 4 animals each given normal, 0, 1, 3, 5mg/kg TBT and 20, 40, 80mg/kg DBT diluted in 0.3ml corn oil orally for 7 consecutive days and 1, 2, 3, 4 weks after treated 10mg/kg TBT and 80 mg/kg DBT diluted in 0.5ml corn oil orally for single dose. And locomotoer activity, Cell viability and immunohistochemical studies were examined. The body weight changes of TBT-treated rats were found to slightly loss of two higher dose groups. The distance traveled of TBT treated rats were decreased dose-dependent manner but resting time slightly increased dose-dependent manner. In in vitro experiment treating TBT and DBT of 1μM, cell viability were decreased at 24h after treatement. Meanshile the cell viability at 48h was more severed. The numbers of tyrosine hydroxylase immunoreactive (TH-IR) neurons of all TBT, DBT-treated rats slightly decreased dose-dependent manner in SN and VTA. TH-IR neurons process were slightly decreased dose-dependent manner in compacta part and reticulosa part of SN, respectively. However,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IR) cell numbers increased dose-dependent manner in compacta and reticulosa part of SN, and VTA. And GFAP-IR cells of 3 and 5mg TBT and 40 and 80mg DBT treated groups were remarkably swollen and dense astrocytes. However. PPAR-γ and COX-2 IR cell numbers were increased dose-dependent manner in compacta and reticulosa part of SN and VTA. The GABA-IR cells number of 3 and 5mg TBT treated groups were decreased in purkinje cells of cerebellum. And single dose treated groups also decreased 1, 3, 5 day but increased from 2week treated TBT and DBT groups. However, Cox-2 IR cell was not expression in purkinje cells of cerebellum. These results were suggest that TBT and DBT have different cell toxictity pathway. Maybe, dopaminergic neuron has inflammatory pathway and purkinje cell has calcium mediated apoptosis pathway by organotins treatment.

      • KCI등재

        Social Capital and Health in South Korea : Considering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Yea-Li-A Song,Eun-Woo Nam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9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6 No.5

        목적: 이 연구는 사회자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동의 관계, 그리고 이 요인들이 한국인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통계청의 2006년 사회통계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통계조사는 표본규모 33,000 가구내 15세 이상 가구원 약 7만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 가운데에서 25세 이상 59세 이하 인구중 결혼 경험이 있는 37,928명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자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동의 관계, 그리고 이 요인들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교육 (0.069), 주관적 계층(0.108), 결혼(0.054), 가족관계 만족도(0.087), 기관신뢰(0.020), 시민참여(0.021), 운동(0.037), 그리고 금연(0.011)이 주관적 건강에 긍정적인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절주(-0.067)는 직접효과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사회자본이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 분명한 만큼, 건강증진사업 개발시 사회자본을 고려하여, 이의 유지 및 증진을 통해 건강수준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절주사업에서는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 이외에, 전반적인 사회 음주문화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사회적 문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This research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and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self-rated health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The data of the social statistics survey that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onducted in 2006 were chosen and 37,928 people from them, who were 25~59 years old were sampled. This paper made path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lifestyle and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self-rated health. Results: In relation to the overall influences of socioeconomic factors, social capital, and health-related lifestyle on self-rated health, the following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education(0.069), subjective class(0.108), marriage(0.054),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0.087), reliability of institutions(0.020), citizens' participation(0.021), exercise(0.037), and refrain from smoking(0.011). However, abstinence from alcohol(-0.067)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on self-rated health.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can suggest that the plan of keeping and building up social capital should be considered in the whole aspects of the society and the project promoting drinking moderation is required to consider social culture than individuals.

      • KCI등재

        A comparative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a health promotion policy through an analysis of the mortality rates in Korea and Japan, 1983~2003

        남은우,YEA-LI-A SONG,Masaki Moriyama,Akiko Ishihara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2007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4 No.5

        본 연구는 1983년부터 2003년까지 21년간의 한국과 일본의 사망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두 나라간의 사망원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망률은 일본의 2003년 인구를 표준인구로 한 직접법을 통해 표준화되었다. 분석 결과, 2001/2003년에 한국과 일본의 주요사인의 순위가 크게 바뀌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한국에서는 악성신생물, 당뇨, 신부전, 추락, 자살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였 고, 일본에서는 당뇨보다는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었다. 또한, 2001/2003년에는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의 비율이 급성질환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 한국의 건강증진사업은 악성신생물, 당뇨, 신부전, 추락사고, 그리고 자살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다양한 사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 인구가 많은 일본의 경우, 폐렴으로 인한 사망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볼 때에, 한국의 경우도 노인의 경우 폐렴 관련 건강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tempt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a health policy and health services by looking at the trends and types of the mortality rates in Korea and Japan. In this study, data of the death statistics of Korea and Japan over the 21-year period from 1983 to 2003 are analyzed. Mortality data are standardized 100,000 to the 2003 Japan population, according to the direct method. In 2001/203, the ranking of major causes of death in Korea and Japan has ben greatly changed. In Korea, mortality rates from malignant neoplasms, diabetes melitus, renal failure, fals and suicide have increased. In Japan, the mortality rates from pneumonia increase more than those from diabetes melitus. In 2001/2003, the proportions of the mortality rates from chronic diseases are higher than those from acute diseases. In the Korean health promotion policy "Health Promotion 2020", a more intensive goal management is needed.

      • KCI등재

        한국과 일본의 사망률 비교 분석을 통한 건강증진정책 함의

        Nam, Eun-Woo,Song, Yea-Li-A,Moriyama, Masaki,Ishihara, Akiko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7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4 No.5

        본 연구는 1983년부터 2003년까지 21년간의 한국과 일본의 사망통계자료를 이용하여 두 나라간의 사망원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망률은 일본의 2003년 인구를 표준인구로 한 직접법을 통해 표준화되었다. 분석 결과, 2001/2003년에 한국과 일본의 주요사인의 순위가 크게 바뀌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한국에서는 악성신생물, 당뇨, 신부전, 추락, 자살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였고, 일본에서는 당뇨보다는 폐렴으로 인한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었다. 또한, 2001/2003년에는 만성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의 비율이 급성질환으로 인해 사망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상의 분석 결과, 한국의 건강증진사업은 악성신생물, 당뇨, 신부전, 추락사고, 그리고 자살의 예방과 관리에 대한 다양한 사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노인 인구가 많은 일본의 경우, 폐렴으로 인한 사망자가 증가하는 경향을 볼 때에, 한국의 경우도 노인의 경우 폐렴 관련 건강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for a health policy and health services by looking at the trends and types of the mortality rates in Korea and Japan. In this study, data of the death statistics of Korea and Japan over the 21-year period from 1983 to 2003 are analyzed. Mortality data are standardized ${\times}100,000$ to the 2003 Japan population, according to the direct method. In 2001/2003, the ranking of major causes of death in Korea and Japan has been greatly changed. In Korea, mortality rates from malignant neoplasms, diabetes mellitus, renal failure, falls and suicide have increased. In Japan, the mortality rates from pneumonia increase more than those from diabetes mellitus. In 2001/2003, the proportions of the mortality rates from chronic diseases are higher than those from acute diseases. In the Korean health promotion policy "Health Promotion 2020", a more intensive goal management is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Social Capital and Health in South Korea: Considering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Song, Yea-Li-A,Nam, Eun-Woo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9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Vol.26 No.5

        Objectives: This research intend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lifestyles and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self-rated health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The data of the social statistics survey that the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onducted in 2006 were chosen and 37,928 people from them, who were 25~59 years old were sampled. This paper made path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capital, socioeconomic factors, and health-related lifestyle and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on self-rated health. Results: In relation to the overall influences of socioeconomic factors, social capital, and health-related lifestyle on self-rated health, the following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 education(0.069), subjective class(0.108), marriage(0.054), satisfaction with family relationships(0.087), reliability of institutions(0.020), citizens' participation(0.021), exercise(0.037), and refrain from smoking(0.011). However, abstinence from alcohol(-0.067)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on self-rated health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can suggest that the plan of keeping and building up social capital should be considered in the whole aspects of the society and the project promoting drinking moderation is required to consider social culture than individuals. 목적: 이 연구는 사회자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동의 관계, 그리고 이 요인들이 한국인의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통계청의 2006년 사회통계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통계조사는 표본규모 33,000 가구내 15세 이상 가구원 약 7만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 가운데에서 25세 이상 59세 이하 인구중 결혼 경험이 있는 37,928명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자본, 사회경제적 요인, 건강행동의 관계, 그리고 이 요인들이 주관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교육 (0.069), 주관적 계층(0.108), 결혼(0.054), 가족관계 만족도(0.087), 기관신뢰(0.020), 시민참여(0.021), 운동(0.037), 그리고 금연(0.011)이 주관적 건강에 긍정적인 직접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절주 (-0.067)는 직접효과가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사회자본이 건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 분명한 만큼, 건강증진사업 개발시 사회자본을 고려하여, 이의 유지 및 증진을 통해 건강수준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절주사업에서는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업 이외에, 전반적인 사회 음주문화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사회적 문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Social Support: An Effective Resource for Reducing the Disparities in Depression across Socioeconomic Strata

        Jin-Young Kim,Yea-Li-A Song 한국사회학회 2011 韓國社會學 Vol.45 No.6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upport in terms of its effect in reducing the SES-based disparity of depression. Using data from a national probability sample of 14,850 South Korean adults aged 18 or older in 2006, we examined whether or not and how social support has different effects on depression across SES groups. The variables which corresponded with the five aspects of social support were taken into account. We found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all the social support variables on depression were stronger in groups with lower educational attainment or lower household income. Social support is an effective resource in terms of reducing depression in lower socioeconomic groups. Alleviating the specific health disparities arising from SES factors is possible. This study proposes that social support provided through social intervention be focused on in order to realize this goal.

      • KCI등재

        학력과 주관적 건강의 관계

        김진영(Jinyoung Kim),송예리아(Yea-Li-A Song),백은정(Eunjeong Paek) 한국사회학회 2013 韓國社會學 Vol.47 No.2

        기존 연구들이 학력 혹은 교육에 따른 건강 격차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발견해 왔으나, 대학학위의 질적인 차이를 고려하여 대학졸업자 내부에서의 건강 차이를 검토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또한 국내 기존 연구의 경우 학력과 건강의 관계를 건강 행위 요인이나 심리적 요인으로 설명하고자 한 시도는 있었으나 보다 사회구조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는 노동시장 요인이나 경제적 요인으로 설명한 연구는 별로 없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동일 학력인 4년제 대졸자 중에서 졸업 대학의 소재지와 국공립/사립 여부에 따라 주관적 건강에 차이가 있는지 검토하며, 학력 혹은 출신 대학의 특성에 따라 주관적 건강에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가 고용지위(정규직 여부, 고용 안정성), 직업지위(전문관리직 여부, 일자리 만족도, 일 만족도)와 경제적 지위(본인소득, 가구소득, 가구자산)에 의해 얼마나 설명되는지를 검토한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며, 주 연구대상은 11차년도 조사에서 만 25세 이상이면서 직업을 가지고 있는 응답자 5,306명이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학력수준이 높을수록 대체로 주관적 건강의 수준이 높았으나, 중졸 이하와 고졸 간의 차이가 두드러진데 반해 고졸과 대학수준 집단들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작았다. 둘째, 4년제 대학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보면, 서울/인천/경기 지역 대졸자에 비해 서울/경기/광역시를 제외한 지방 사립대 졸업자의 주관적 건강 수준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수도권 지역 대학 졸업자에 비해 고졸 혹은 중졸 이하 집단의 주관적 건강 수준은 유의미하게 낮았다. 셋째, 상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간주되는 학력집단으로 갈수록 노동시장 지위와 경제적 지위 역시 상위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었다. 수도권 4년제 대졸자를 준거로 한 학력집단 간 건강격차는 고용지위, 직업지위와 경제적 지위 관련 변수들에 의해 상당 정도 설명되었으며, 특히 일 만족도과 일자리만족도에서의 차이에 의해 가장 많이 설명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한국사회에서 학력에 따른 건강 격차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력과 학벌에 따른 노동시장에서의 불평등과 같은 사회구조적 측면에 대한 연구와 개입이 필요할 수 있다는 함의를 제시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elf-rated health. Particularly, this study intends to reveal the potential difference in self-rated health among degree holders of four-year universitie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concerned universities and whether they are private or public institutes. Where differences do exist in health status according to education or characteristics of graduated universities, this study inquires how much of such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by employment status, occupation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are used and the main subjects of study are the 5,306 respondents who are over 25 years old and currently employ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the better the level of subjective health. Secondly, an analysis of the different four-year universities reveals that the level of health for graduates from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outside of the Seoul/Incheon/Gyeonggi area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for graduate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the Seoul/ Incheon/Gyeonggi area. The level of health among graduates from universit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ose from public universities is higher than that of high school graduates. However, the level of health among graduates of private universities located outside of the metropolitan area is similar to that of high school graduates. Thirdly,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better the economic and labor market status.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self-rated health is, in large part, explained by the variables related to employment status, occupational status, and economic status; especially by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at work and the workpl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understand and reduce the health disparity related to education in the Korean society, more research are needed to understand the problems in the social structure such as inequalities in the labor market due to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