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용자 참여 방식의 초등학교 실내공간 색채디자인에 관한 연구

        신선영 ( Shin¸ Sun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오늘날 학교 실내공간의 색채는 교육적 생활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사항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학교 실내공간 색채디자인 적용 방식은 건축적 설계의 편의성과 시공의 경제적 이윤을 위한 일편적 방식이 적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한 세대인 어린이들이 생활하는 서울 창동초등학교 실내공간을 대상으로 교육활동을 위한 환경색채에 대한 디자인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색채디자인 연구에 있어 사용자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워크샾을 통하여 실질적 사용자 참여에 대한 색채 결과를 디자인에 적용하여 향후 색채연구의 기초자료로 역할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성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 과정의 내용을 정리하면 1단계로 답사를 통하여 학교의 현재 공간의 색채 환경에 대한 문제점 및 개선방안 등의 디자인 계획을 수립하였다. 2단계로 학교 실내공간 사용자를 대상으로 교육 색채에 대한 강의 및 디자인 참여 워크샵을 실시하여 세부적인 참여의견을 도출하고 정리하였다. 3단계로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기반으로 한 색채디자인 컨셉과 방향을 도출하여 공간별 내용을 정리하였다. 4단계로 참여 내용과 색채 디자인 이론 및 분석을 기반으로 여러 유형을 디자인하여 관계자 협의를 통한 의견 조율을 통하여 최종안을 선정하였다. 5단계로 색채디자인 최종안에 대한 색채 코드 및 샘플을 기초로 도장 공사를 실시하고 만족도 및 디자인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교실에 적용된 색채는 주조색으로 S 0520-R90B는 벽체와 기둥에 적용하였으며, 또한 보조색으로 S 0520-R90B는 게시판 영역에 적용되었고, S 0530-R90B는 창문 선반 하부에 적용되어 공간 구분의 기능을 적용하였다. 복도에 적용된 색채는 층별 구분을 위하여 두 가지 형식으로 적용되었는데 주조색은 S 0520-R90B와 S 0530-R90B, 0520-B30G, S 1030-B30G, S 1050-B30G, S 0560-Y, S 0520-G50Y, S 0540-G50Y, S 1060-G50Y이 적용되었다. 또한 계단실에는 각 층별로 1층에는 Y 계열인 S 0520-Y와 S 0540-Y, S 0560-Y를 그래픽 형식의 강조색으로 적용하였으며, 2층에는 BG 계열의 S 0520-B30G, S 1030-B30G, S 1050-B30G를 적용하였고, 3층에는 GY 계열의 S 0520-G50Y, S 0540-G50Y, S 1060-G50Y를 적용하였다. 또한 4층에는 YR 계열의 S 0520-Y40R, S 0550-Y40R, S 0570-Y40R을 적용하여 전체적인 계단실 색채가 층별로 다른 인지 효과를 창출하게 하였다. (결론) 연구를 통하여 초등학교 실내공간의 색채디자인에 있어 참여 워크샵 과정은 매우 의미가 있으며, 긍정적인 결과에 도달한다는 사실을 도출할 수 있었으며 사용 시 심리적으로 중요한 역할과 긍정적 결과에 도달하므로 향후 지속적인 참여를 통한 교육공간 색채디자인 연구가 지속되어야 하겠다. (Background and Purpose) Although the color of the school interior space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educational life, the existing color design application method of the school interior space has been applied to the convenience of architectural design and the one-sided method for economic profit of construction.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conducted a design study on environmental colors for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interior space of Changdong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ere children, who are very important generations in education, live.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rm a database for future color research by applying the color results of actual user participation to design through wor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 In the first step, the study set up a design plan such as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for the color environment of the current space of the school through exploration. In the second stage, lectures on educational colors and workshops for design participation were conducted for the users of the indoor space of the school, and detailed opinions were drawn and arranged. In the third stage, the color design concept and direction based on the user’s requirements were derived and the contents by space were arranged. In the fourth stage, the final draft was selected through coordination of opinions through consultation with the participants by designing various types based on the participation contents, color design theory and analysis. (Result) The color applied to the classroom was the casting color, and S0520-R90B was applied to the wall and column. Moreover, S0520-R90B was applied to the bulletin board area as the auxiliary color, and S0530-R90B wa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window shelf. The color applied to the corridor was applied in two types for the classification of each floor. The cast colors were S 0520-R90B and S0530-R90B, In addition, the first floor of each staircase was applied with Y series S0520-Y, S 0540-Y, S0560-Y as graphical emphasis colors. On the second floor, BG series S0520-B30G, S1030-B30G, were applied. On the third floor, GY series S0520-G50Y, S0540-G was applied. 50Y, S1060-G50Y were applied. In addition, the fourth floor was applied with YR series of S0520-Y40R, S0550-Y40R,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different cognitive effects by floor. (Conclusion) Through the study, it was possible to draw the fact that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workshop in color design of interior space of elementary school is very meaningful and that it reaches positive results. As it reaches psychologically important role and positive result when using i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color design of educational space through continuous participation in the future.

      • 운동부 ‘합숙소’ 경험에 대한 셀프 내러티브 탐구

        전선영 ( Jun¸ Sunyoung ) 국민대학교 스포츠윤리연구소 2021 스포츠와 윤리 Vol.1 No.1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직·간접적 운동부 합숙소 생활 경험을 셀프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이야기를 풀어나감으로써, 운동부 ‘합숙소’생활 경험을 탐색하기 위함이었다. 이를 위해서 운동부 ‘합숙소’에 관련된 사진, 강의 일지, 강의 내용, 기사, 근무 일지 등이 자료 수집되었고, 기억 상자(memory box)가 자료의 중심이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시·공간에 따라 신분이 변화함에 따라 ‘합숙소’의 경험은 직·간접적으로 나눌 수 있었고, 크게 3분기로 나누어진 신분에서의 합숙소 경험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을 거쳤다. 그 결과로 첫째, 운동부 합숙소는 관리자, 생활규정, 규칙없이 운영되는 위험한 공간으로 선배가 후배를 괴롭힐 수 있는 공간이었다. 둘째, 운동부 합숙소에서 생활하는 운동부는 답답한 합숙소 생활로 스트레스가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빨래, 청소 등으로 합숙소 생활에 고총이 있었고, 대부분 선배 때는 편하지만 후배 때는 지옥과 같은 곳으로 인식했다. 20201년 현재 시점에서 바라본 운동부 합숙소에서 발생하는 일들은 과거와 다르지 않고 여전히 인권 사각지대로 남아있다.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tells the story through a self-narrative inquiry about the life experience of the ‘training camp’, It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living in the ‘training camp’ of the elite sport club. To this end, photos, diaries, lecture contents, articles, related to the ‘training camp’ of the sport department were collected, The memory box became the canter of the material. As the status of the collected data changed according to time and space, the experience of the ‘training camp’ could be shared directry or indirectry, It went through the process of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camp experience in the status divided into three quarters. As results, the first, the training camp was a dangerous space that was operated without managers, living regulations, and rules, and was a space where seniors could harass junior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exercise department living in the training c amp was stressful due to the stuffy camp life. Lastly, there was a lot of life in the camp due to laundry, cleaning, etc, most of them were comfortable when they were seniors, but when they were juniors, they recognized it was nightmare, As of 2021, the training camp for the sports department, which has not yet changed in human rights history, remains a human rights camp.

      • 임신중지의 법적 자유화와 의료서비스의 공적 보장을 중심으로 본 임신중지 정책의 국제적 동향

        최선영 ( Choi¸ Sunyo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국제사회보장리뷰 Vol.18 No.-

        1994년 이후 50개 국가가 임신중지의 법적 허용 범위를 더 넓히는 자유화 방향으로 낙태법을 개혁하였다. 이에 따라 2021년 현재 임신중지 자유화 국가는 약 70개 국가에 이르게 되었다. 임신중지의 자유화(합법화)는 안전한 임신중지를 위한 필수적 요건이지만, 임신중지 자유화 국가들 사이에서도 임신중지 의료서비스를 공적으로 보장하는 정도와 방식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임신중지 비용을 공적 의료보험으로 전액 지원하는 자유화 국가는 전체의 20%에 해당되는 14개 국가이고, 공공의료시설에서 무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는 그보다 많은 19개 국가이다. 그 외 9개 국가는 의료 비용을 공적 보험과 개인이 분담하고 있으며, 18개 국가는 임신중지 사유나 인구사회적 기준을 충족하는 일부 여성에 대해서만 의료서비스 비용 전체를 지원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9개 국가는 법적으로 임신중지를 허용하면서도 공적인 지원은 전혀 제공하지 않고 있다. 여성들이 사회경제적 차별 없이 안전한 임신중지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의료서비스의 공적 전달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초등학생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2011년과 2019년 시기별 독서시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이선영 ( Lee¸ Sunyoung ),정명은 ( Jeong¸ Myungeun ),임혜정 ( Lim¸ Hyejung )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71 No.-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의존도와 학업성취도의 관계에서 초등학생 독서시간의 매개효과가 2011년과 2019년의 기간에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표본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0(KCYPS 2010)』과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초4 패널 2차 자료로 2011년 기준 2,378명, 2019년 기준 2,607명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이다. 연구 결과 첫째, 2011년과 2019년 모두 스마트폰 의존도는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부적 효과를 나타냈다. 그런데 통제변수를 투입한 모형에서 2011년에는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스마트폰 의존도 영향력이 유의하지 않았고 2019년에는 유의했다. 그리고 독서시간을 추가로 투입한 모형에서 독서시간은 2011년과 2019년 모두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정적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학업성취도에 대한 스마트폰 의존도의 영향력을 독서시간이 얼마나 완화하는지를 확인한 결과 2019년 스마트폰 의존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력의 13.9%를 독서시간이 완화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스마트폰 의존도가 심각해지는 시점에 독서시간의 교육적 의미와 중요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으며 국어교육에서 초등학생의 독서활동 증진을 위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및 정책을 시행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identify how the mediated effects of reading tim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martphone depend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changed over the period 2011 and 2019. The samples of this study are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2,378 students as of 2011 and 2,607 as of 2019, from the secondary data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KCYPS 2010) and 2018 (KCYPS 2018) of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both 2011 and 2019, dependence on smartphones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academic achievement. However, when control variables were put in the model, the influence of smartphone dependence on academic achievement was not significant in 2011, but it was significant in 2019. In addition, in the model in which additional reading time was input, reading time was identified as a positive factor that increases academic performance in both 2011 and 2019. In addition, as a result of checking how much reading time relieves the negative impact of smartphone depend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t was confirmed that reading time alleviated 13.9% of the negative influence of smartphone dependence on academic achievement in 2019. At this time wh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martphone usage time continues to increase and their smartphone dependence becomes serious, the educational meaning and importance of reading time was confirmed once again, suggesting that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olicies need to be implemented to promote the reading ac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공립유치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교직논술 내용분석: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유선영 ( Yu¸ Sunyoung ),박선혜 ( Park¸ Seonhye ),조해연 ( Cho¸ Heayou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21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8 No.4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공립유치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교직논술의 특성 및 경향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1학년도부터 2021학년도까지 임용시험에 출제된 교직논술 문항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워드클라우드, 연결망 시각화, 빈도, 연결정도중앙성, 사이중앙성을 제시하고 주요 핵심 단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1기(2001-2008학년도)에는 교육, 2기(2009-2012학년도)와 3기(2013-2021학년도)에는 교사가 가장 중요한 단어로 나타났다. 1기에서는 교육, 학교, 학습과 관련된 주제에서 2기와 3기에서는 교사에 관련된 주제가 주로 출제되는 것으로 경향이 변화하였다. 교직논술 시험 문항이 교과학습지도와 관련성이 높으며, 이론과 지식을 복합적으로 통합한 형태로 출제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2001학년도부터 2021학년도까지 임용시험에서 등장 순위가 가장 높은 핵심 키워드 5개는 교사, 유아, 부모, 교육, 유치원이었다. 각각의 단어들은 매 시기별로 반복해 등장하지만, 연결된 단어들을 살펴보면 중점을 둔 방향이 서로 상이하다. ‘교육’ 중심 네트워크는 1기에서 가장 강조되었다가 상대적으로 점차 등장 빈도가 줄어들었고 3기에는 인성이 새롭게 등장하였다. ‘교사’는 2ㆍ3기로 갈수록 빈번하게 출제되는 경향으로 변화하였고, 3기에서는 교사를 중심으로 부모, 유치원, 유아, 교육, 상담 등 단어가 제시되는 등 교사 전문성 향상 관련 단어들이 나타나 교육 현장에서 경험할 상황이 출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직논술 시험이 현장을 토대로 고차원적이고 창의적 사고를 평가하는 방향으로 개선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the essay type kindergarten teacher appointment examination questions using network analys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essay type examination questions that were carried out from the year of 2001 to 2021. The text network analysis was used for investigate the key words, work clouds, frequency, degree centrality, and between centra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ain key word in the first term(from the year of 2001 to 2008) is ‘education’. The main key words in the second term(from the year of 2009 to 2012) and third term(from the year of 2013-2021) are ‘teacher’. The topics in the first term was related to education, school, and learning and most of the essay questions in the second and third term were related to teacher. Second, the top frequency key words from the year of 2001 to 2021 were teacher, children, parents, education, and kindergarten. The ‘education’ centered network was most emphasized in the first term, but the frequency of its appearance gradually decreased, and the ‘personality’ newly appeared in the third term. The ‘teacher’ appeared frequently in the second and third term, and the words related to improving teacher professionalism were presented in the third term. Through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essay questions need to improve in the direction of evaluating higher and creative thinking based on the education field.

      • KCI등재후보

        3.1운동 및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특별전 전시디자인 비교 연구 -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독립기념관을 중심으로 -

        윤선영 ( Yoon¸ Sunyoung ) 대한전시디자인학회 2020 전시디자인연구 Vol.17 No.2

        본 연구에서는 3.1 운동 및 임시정부수립을 주제로 한 4개의 기관(대한민국역사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서대문형무소역사관, 독립기념관)의 전시디자인에 관하여 둘러보고 특성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소재로 진행된 전시디자인을 비교하여 콘텐츠 및 연출방법에 따라 연출효과 및 의미전달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박물관은 공통된 역사적 사실을 다루었기 때문에, 각 박물관의 입장이나 관점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공통적인 내용과 유사한 연출이 나타났다. 하지만 기관별로 강조하고자 하는 부분에 따라, 동일한 내용이라도 다른 연출과 효과를 보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designs of four different institutions that have exhibitions dealing with the theme of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and establishment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the Museum of Korean Contemporary History, the Seoul Museum of History, Seodaemun Prison History Hall, and the Independence Hall of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compare exhibition designs conducted with the same material and to find out how the directing effect and meaning transfer differ according to the content and display. Because the museums deal with the same historical theme, some degree of commonality in content and direction in the exhibitions is unavoidable, although each museum presents these themes a bit differently. However, depending on the part to be emphasized for each institution, even the same contents showed different direction and effects.

      • KCI등재

        청소년·청년 뉴딜정책

        박선영 ( Park¸ Sun Young )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21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7 No.4

        배경: 한국의 뉴딜정책이 추구하는 주요 핵심 영역중의 하나인 청소년교육 불평등 완화와 청년 일자리 확대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전 세계적으로 공통된 관심사이다. 코로나 19가 초래한 경제 불평등과 양극화는 모든 세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특히 미래세대인 청소년과 청년에게 미친 부정적인 영향이 훨씬 크다고 할 수 있다. 청소년과 청년이 팬데믹 이후 건강한 성인으로서의 삶을 영위하기 위하여 국가적 지원이 필요한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지만 아쉽게도 한국의 뉴딜 정책에는 청소년 지원을 위한 내용이 교육에만 국한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한국의 뉴딜 정책 실현을 위한 영국의 청소년과 청년 대상의 뉴딜정책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목적: 첫째, 청소년 대상의 뉴딜 정책을 기획하고 실시한 영국의 사례를 분석하고 둘째, 이를 통한 한국 뉴딜 정책에 필요한 시사점과 정책 제언을 도출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방법은 질적연구로서 관련 문헌을 바탕으로 문헌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영국은 청소년 대상 뉴딜 정책을 통해 대상을 세분하고 실질적인 교육과 직업관련 경험을 구체적으로 제공하고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이 학교로 복귀하거나 고용시장에서의 취업으로 연계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팬데믹 상황에서 다시 청소년은 물론 청년의 고용과 일자리 확보, 이를 위한 구체적 훈련지원과 예산지원을 해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시사점: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한국의 뉴딜정책의 성공적 구현을 위해서 청소년 대상 교육 불평등 해소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진로지도와 훈련기회의 제공이 필요하며, 청년 대상 정책 중에서도 20대 후반 이후의 청년들 대상의 일자리와 경제적 지원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하향 확대하여 청소년을 적극적으로 포함하는 정책과 사업제안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Korean government introduced the New Deal 2.0 to reform the society, in particular, relive the inequality issues in education for young people and increase of youth employment became a very important agenda n0ow a days. This kind of social reform is common across the co0untries during the pandemic. Covid 19 has bought the inequality issues into many areas, and influenced younger generation more heavily and negatively. Young people need more support than any time in order to have safe transition to the adult life. However, this research realised that Korean New Deal 2.0 does not include enough support for young people’s preparation for employment. The government only provide employment and economic fund, however younger generation should have opportunity to explore their potentiality and competences Therefore, this research tried to find a good example of support young people to prepare their employment in the UK. Purpose: Firstly, this study aims to analyse the New Deal Policy in the UK, and then suggest what can be included in the Korean New Deal 2.0 for the younger generation. Methodology: This study chos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using document analysis. Findings: This study found that New Deal in the UK has the different programme according to the different needs of young people. Secondly,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New Deal Policy impact young people’s life and showed positive results for the New Deal programmes, Further, during the pandemic new version of New Deal programme called ‘Build Back Better’ was introduced and implemented. It means young people are key player for the national reform and sustainable development. Conclusions: Therefore, if Korean government want to support young people, they should have different levels of programme in order to meet their all different needs.

      • KCI등재

        트라우마 기억의 관점에서 분석한 보수 기독교인들의 태극기집회 참여 현상

        전순영 ( Jeon¸ Sun Young ),김완기 ( Kim¸ Wan Ki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0 기독교사회윤리 Vol.48 No.-

        본 연구는 보수 기독교인들이 적극적으로 정치집회에 관여하는 현상을 역사적 트라우마에 따른 과도한 심리적 불안으로 분석하는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교회내 이념갈등의 해결책으로 트라우마 기억의 치유와 극복을 모색하였다. 한국전쟁이라는 거대한 악행과 핍박의 트라우마 기억은 여전히 극복되지 못한 채 대다수 보수 기독교인들에게 두려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전쟁체험은 너무나 강력하기 때문에 세계관적 신념으로 자리잡는 경향이 있으며, 이렇게 내재화된 신념은 한반도 분단구조 하에서 전쟁을 직접 경험하지 않은 후세대에도 지속적인 영향을 끼쳐왔다. 이와 같은 분석은 보수 기독교인들이 타 종교에 비해 정치집회 참여도가 높은 이유가 무엇이며, 그들의 정치의식이 어떻게 종교적 신념과 결합되었는지에 대해 많은 것을 설명해준다. 미로슬라브 볼프의 기억담론에 의하면 기억은 구속(redeem)되어야 한다. 트라우마 기억의 치유는 첫째, 안전의 확보와 통제의 회복, 둘째, 트라우마 기억을 인생사의 일부로 수용, 셋째, 외부와의 재연결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태극기집회에 참여하는 보수 기독교인들을 무조건 비판하기보다는,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안정성에 대한 확신을 심어줌으로써 전쟁과 기독교 박해, 빈곤으로의 회귀에 대한 공포를 완화시켜줄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to overcome traumatic memory of conservative Christians as a solution to ideological conflict within the church by presenting a view to analyzing their active involvement in political rallies as excessive psychological anxiety caused by historical trauma. The traumatic memory of the great misdeeds and persecution of the Korean War has not yet been overcome, causing fear to most conservative Christians. War experiences are so powerful that they tend to become worldview beliefs, and these internalized beliefs have had a lasting impact on the next generations who did not directly experience war in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Such an analysis explains a lot about why conservative Christians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political rallies than other groups, and how their political consciousness is combined with religious beliefs. According to the memory discourse of Miroslav Volf, memory should be redeemed. The healing of traumatic memory consists of three steps: securing safety and restoring control, accepting traumatic memory as part of life, and re-connecting with the others. Therefore, rather than unconditionally criticizing conservative Christians participating in Taegeukgi rally, it would be necessary to help them to have confidence in the stability of the liberal democratic system, in order to relieve their fear of war, persecution of Christianity, and return to poverty.

      • KCI등재

        ‘북미정상회담’에 관한 한일 신문 사설 비교 연구 -조선일보, 한겨레, 요미우리신문, 아사히신문을 중심으로-

        김선영 ( Kim¸ Sun-young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4

        이 연구는 한일 주요 신문의 사설을 통해 양국의 언론이 동일 사안인 북미정상회담을 어떻게 보도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대상은 한일 양국의 보수와 진보 신문을 대표하는 <조선일보> <한겨레> <요미우리신문> <아사히신문>으로 삼았으며, 분석 방법은 빅데이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KH Coder’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별 보도량에서는 한국 신문들이 일본 신문들보다, 이념 성향별 보도량에서는 보수신문들이 진보 신문들 보다 북미정상회담과 관련하여 더 많은 사설을 게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회담 시기별 보도량에서는 1차 회담이 2차 회담보다 사설의 보도량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한일 양국 신문의 보도 양상은 국가 이익과 언론의 이념적 성향에 따라 차이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한국 언론의 경우 사설을 통해 설정한 의제는 대동소이했지만, 의제를 바라보는 방식과 해법은 신문의 보수, 진보 성향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인 북핵 문제는 한국 신문의 이념적 성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표출하는 이슈였으나, 이번 연구 결과에서도 비핵화 문제를 두고 신문의 이념적 편향성이 확인되었다. 반면 일본 언론의 경우 비핵화 문제 등 국제 공동 의제와 관련해서는 신문의 이념적 편향성이 드러나지 않았지만, 자국 문제와 관련한 의제에서는 신문의 이념적 편향성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이는 일본 언론이 납치 문제와 연계하여 북한 문제 더 나아가 정상회담을 바라보고 있었기 때문에, 정상회담 보도에 대한 신문사별 정파성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았다고 분석된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는 국제 뉴스 보도의 올바른 역할을 성찰하게 하는 계기가 되는 동시에, 국제화 시대를 살아가는 수용자에게 국제 뉴스를 어떠한 시각으로 읽어야 하는가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rough the editorials of the major newspapers of the two countries, how the press media of Korea and Japan view their same issue, North Korea-the US Summit Talk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were < The Chosun Ilbo > and < Hankyoreh >, < Yomiuiri Shimbun > and < Ashahi Shimbun > representing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newspapers of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As the research methods, the big data open source software ‘KH Coder’ was utilized. The analytic results revealed that for the report volume of each country, Korean newspapers report more editorials about North Korea-the US Summit Talks, compared to Japanese newspapers, and for the report volume of ideological predisposition, conservative newspapers dealt with more editorials about the summit talks, compared to progressive newspapers. For the report volume of talks period, it was revealed that the 1st summit talk reports more editorials about the summit talks, compared to the 2nd summit talk.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report pattern of newspapers of the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about North Korea-the US Summit Talks, according to national interests and press media’s ideological predispositions. In the press media of Korea, the agendas set in the editorials were generally similar but the views and solutions for the agendas were clearly different depending on whether the newspaper had conservative and liberal stances.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was the key agenda for the Summit Talks and such issue expressed the ideological inclinations of the Korean newspapers the most directly. In the research results, the Korean newspapers showed the ideological bias over the denuclearization issue. Meanwhile, Japanese newspapers did not show the ideological bias over the common international agendas such as the denuclearization. However, Japanese newspapers clearly showed the ideological bias over the agendas related to issues in Japan. It is analyzed that the Japanese newspapers did not show the partisanship on the Summit Talks reports clearly because the Japanese press media viewed the Summit Talks in relation to the abduction issues. The analysis results implied on the needs for contemplating about the roles of the international news report and think again about the standpoints of the readers living in the era of internationalization on the international news.

      • KCI등재

        데카르트의 신 -주체 안에 있는 신-

        김선영 ( Kim¸ Sun-young ) 한국가톨릭철학회 2012 가톨릭철학 Vol.0 No.19

        데카르트가 제시하는 신은 이전의 철학자들이 다루던 신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의 신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리고 데카르트 철학에서 신의 문제는 그의 철학이 이전의 스콜라철학과 어떤 점에서 다른지를 잘 드러내는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데카르트가 단순히 한 신앙인으로서가 아니라 철학자로서 신의 인식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신의 인식을 자아 인식과 동일한 맥락에서 파악하고 있다고 해석한다. 내 안에 있는 신을 느끼는 것으로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지성에 의해 파악하는 것이다. 데카르트는 신을 감정 혹은 정념에 의해 인식하는 것에 부정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그는 이교도와 미신 그리고 신성 모독 등을 정념에 의해 설명한다. 왜냐하면 감정, 정념에서 우리가 갖게 되는 인식은 애매하고 모호한 인식이고 이러한 인식에 의해 우리는 신의 본성에 이를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정신, 지성에 의해 신의 본성을 파악할 수 있을 뿐이다. 필자는 데카르트에서 지성에 의한 신의 본성 인식이 결국 자아인식과 분리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한다. 나의 창조주이며 나의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존재가 바로 신이라는 것이다. It is known that for Descartes God is characterized by a new form compared to earlier philosophers. And the question of God in Descartes is a topic that can show in what sense the Cartesian philosophy is different.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knowledge of God in Descartes. In fact Descartes discusses the knowledge of God in the same way that knowledge of me. according to him, we can grasp the God in me not by sentiment or passion, but by the mind. Because the feeling or passion is confused and ambiguous knowledge, therefore knowledge of the nature of God is impossible with this. We can only by the mind. And for Descartes, the knowledge of God and knowledge of self are inseparable. It is the God who is creature of me and preserves my ex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