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單獨住宅과 아파트에 對한 住居觀과 時間管理에 關한 比較硏究 : 全州市에 居住하는 主婦들을 대상으로 With Special Emphasis on the Homemakers in Jeon ju, Jeonlabugdo

        柳玉順 群山大學校 1981 論文集 Vol.2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views of the separate house and the apartment as their housing and time spent on household tasks of homemakers living in the house and the apartment. For this purpose, the writer studied a total of 600 families living in 30 Dongs and 8 apartments in Jeonju. Jeonlabugdo, selected at random, and adapted carefully 283 samples for houses, 280 samples for apartments respectively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 In case of house, the degree of satisfaction is higher than that of the apartment. 2. The motive of living in the apartment laid in its convenience and the attraction of the house was to have a garden. 3. About 50% of the respondents living in the apartment and, some 40% house-owned respondents regarded the desirable space for 5 family as 21-25 pyong in view of economy and management. 4. Five variables were found to be most correlated with their homemaking hours and leasure time: the number of children, the employment of the homemakers,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ren, the age of homemakers, the employment of the housekeeper. But income of the family and the degree of education had no relation with time spent on household tasks. 5. The average amount of time spent on house-care varied directly as its space and there was about 10 minutes gap between the amounts spent the house and those in the apartment. 6. The data show that average amount of time spent on the household works was 7.9 hours in case of apartment. 7-6hours in case of house. 7. The leisure time is nearly the same(6-9 hours for house, 6-8 for apartment).

      • 아파트에 關한 意識과 時間管理에 關한 硏究 : 全州市內 아파트에 居周하는 主婦들을 대상으로

        柳玉順 군산대학교 1980 論文集 Vol.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opinions about apartment and time spent on household tasks of homemakers living in apartment.For this purpose, the writer studied a total of 300 families living in 8 apartment in Jeonju, Jeonrabugdo, selected at random, and adapted carefully 280 samples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1.By and large, they satisfied wish living in their apartment and the motives of it is convinience. 2.42.5% of the respondents, about a half of the total, wanted to keep on living in apartment, and about 50% of them regarded the reasonable area for 5 families as 21~30 prongs and appropriate period to live in the same apartment as 5 years 3.Three variables were found to be most correlated with their homemaking hours and leasure time: the number of children (the more children, the greater time spent on household work), the employment of the homemakers (if she is a wage-earner, fewer hours go into work at home), the age of the youngest child (the younger the child, the more work for the family).But income of the family had no relation with time spent on household tasks. 4.This data show that the average amount of time spent on household work is 7.6 hours, leasure time 6.8, sleeping hours 7.2 per a day. 5.The average amount of time spent on house-care ranged for 1.3 hours (in case of less than 15 pyong)to 1.9 hoers (in case of 31 pyong)daily and there were 30 minutes gap between the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증 장애 학생 통합을 경험한 일반 학교 학생의 중증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태도

        노선옥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4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중증 장애 경험이 일반 학교 학생의 중증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것이며 연구 대상은 일반학교 초․중학교 학생 1121명이다. 측정내용으로는 일반학생의 중증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태도의 인지적 요소와 행동적 요소이며 측정도구로는 Bak & Budoff(1980)과 국립특수교육원(1997)에서 만든 설문지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 학생의 중증 지체부자유 아동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소간에는 높은 영향력을 갖고 있으며, 행동적 요소는 긍정적 인지적 요소보다 부정적 인지적 요소에 의하여 결정된다. 둘째, 일반 학생의 중증 지체부자유 아동에 대한 태도는 중증 장애를 경험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하여 인지적 요소 및 행동적 요소 모두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학년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students towards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121 students from 2 elementary schools and 2 middle schools. 569 of them were male and the others were female. The 2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the 1st, 3rd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experienced inclusive settings with a student with severe disabilities. There were two Questionnaires for this. One was designed by Nak & Budoff(1980) and another was designed by the Korean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KISE), titled "I want to have friends with disabilities". To analyze the data, K-means clustering and multiple regression was utili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sub-factor of the attitudes of non-disabled students towards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had strong relation with each other. And the behavioral sub-factor was dependent on a negative cognitive sub-factor. Second, the non-disabled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inclusive settings with severely disabled students had more negative attitudes(cognitive and behavioral sub-factor) than non-experienced students towards students with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but grade and sex had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 KCI등재

        통합 경험 여부에 따른 일반 학생의 중증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태도

        노선옥,전현선 국립특수교육원 2003 특수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는 통합 경험 여부에 따른 일반 학생의 중증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한 태도를 밝히고자 실시되었다. 설문 대상은 초등학교 3곳에서 무선 표집된 1∼6학년 학생 784명으로 그 중 391명은 중증지체부자유 학생이 재학중인 학교 학생이며 393명은 비통합학교 학생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교 학생은 비통합학교 학생에 비해 중증 지체부자유 학생에 대하여 부정적인 태도를 지녔으며, 둘째, 저학년이 고학년에 비해 긍정적인 태도를 지니고 셋째, 태도 요소들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attitude of peers toward children with severely physical disabilities in inclusive setting. This study was used the questionnaires which had two sub-factors about attitude of peers. The sub-one was a cognitive and the other was a behavior factors. The 784 student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in G Gun in Kyungsangnamdo were random selected for this study, 391 of them were in inclusive setting with a child with severely physical disabilities and the others were not in inclusive sett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ho were in inclusive setting had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severely physical disabilities than who were not in. Second, the students who were more lower grade ha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children with severely physical disabilities than who were more higher. Third, attitude of peers toward children with severely physical disabilities are the unity and sub-factors of attitude have co-relation to each others.

      • KCI등재후보

        초등학생의 성공적 학급 생활을 위한 사회적 기술에 관한 교사의 기대

        노선옥,정희섭 특수교육학회 2004 특수교육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성공적 학급 생활을 위한 사회적 기술에 관한 교사의 기대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남과 서울의 일반 초등학교 24개교 교사 특수학교 2개교의 초등부 교사 154명이며, 연구도구로 사용한 설문지는 사회성 기출측정 도구(SSSR: Gresham & Elliott, 1990)를 연구자가 번안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장애 유무와 교사변인(성별, 경력)에 따른 성공적 학급 생활을 사회적 기술에 관한 교사의 기대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학생의 장애 유무와 학생 변인에 따른 성공적 학급 생활을 사회적 기술에 관한 교사의 기대는 학생의 학력정도, 학부모의 지원 정도, 성취동기 정도, 바람직한 행동 정도에 따라 기대하는 사회적 기술의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expectation of elementary students social skills for successful classroom, to identify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s well as teacher's variance(gender, working age), and students variance(academic achievement, parents supporting levels, preference behavior level, motivation achievement level). Teachers(N=154) identified which of 30 social skills were essential for classroom succes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variance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 about the importance of any sub-type of social skills. Second, student's variance(academic achievement, parents supporting levels, preference behavior level, motivation achievement level) and wether having disabilities were associated with the importance placed on sub-type of social skills.

      • p-Aminosalicylate 유도체의 향미생물작용

        임채욱,이극선,오옥희,이현수,임철부 중앙대학교 약학연구소 2000 약학 논총 Vol.14 No.-

        The 15 synthesized p-aminosalicylate esters derivative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microbial activities, in vitro, against Mycobacterium phlei (CACC 75432), Staphylococcus aureus (CHA 78311), Bacillus subtilis (CAUCC 310) and Escherichia coli (P32). Bivalent ligand derivatives (1-6) showed weaker activities than their parent p-aminosalicylate(PAS) in vitro. But some of thiouera derivatives (8 and 10) gave stronger activities against Mycobacterium phlei and Staphylococcus aureus than their parent p-aminosalicylate.

      • 장애학생의 학업성취도 관련변인 연구 : 시각장애·청각장애·지체부자유 학생을 중심으로 with special emphasis on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riment, and physical disabilities

        김은주,김동일,최종근,노선옥 국립특수교육원 2004 연구보고서 Vol.- No.5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 변인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실시된 조사연구로서 시각장애ㆍ청각장애ㆍ지체부자유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 고등부 1학년 학생 중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3)에서 실시한 국가수준교육성취도 평가의 참여가 가능한 707명이 그 연구대상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연구협의회, 전문가 검토, 검사 방법의 수정 및 조정 작업, 평가 실시를 위한 설명회 개최, 학업성취도 평가 실시, 장애 학생의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참여에 관한 설문 조사 실시로 이루어졌다. 자료는 2003년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 선택 형 문항의 득점,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인의 문항별 빈도와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한편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과 성취도에서 얻은 평균의 차이를 변량분석, 또는 상관 분석하였다. 또한 장애 학생들로부터 도출된 결과를 필요한 경우 2002년 국가 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연구-총론-(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3)에서 제시된 일반 학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부 6학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항목별로 결론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성별로 학력차가 나지는 않으며 장애 유형별로도 차이가 크지 않으나 일반 학생에 비하여 학력이 낮은 편이다. 한편 배경변인에 있어 장애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TV/비디오시청, 진학 포부 수준, 대화의 빈도, 취미생활과 집안일을 돕는 정도 등이며 지체부자유 학생은 TV/비디오 시청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진학포부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청각 장애 학생은 집안 일을 많이 거들지만 진학포부 수준은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시각장애 학생은 취미생활에 대한 대화를 많이 나누지만 집안일은 거의 돕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의 배경 변인 중 일부는 장애의 영향을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설명력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청각장애 학생의 경우 수학에 대한 설명력을 지닌 변인은 아버지의 학력, 학교숙제 수행방식, 수업 내용 이해 정도. 학습지 활용 정도, 수학교과에 대한 태도 구성 변인 등이었으며, 국어과의 경우 장서보유 정도, 국어 공부에 대한 대화 빈도, 국어 교과에 대한 가치 인식과 성차 인식이었다. 지체부자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에서는 학생의 중요 덕목에 따라 국어와 수학 두 교과에서 설명력을 지녔으며 교과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의 경우 수학과 에서만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시각장애의 경우 TV/비디오 시청 정도는 영어 교과에서 성취도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2002년 국가수준 교육성취도 평가 결과 보고된 일반 학생의 경우와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는데, 일반 학생의 경우 본 연구에서 제시된 전체 변인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서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었다. 따라서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본 연구의 변인이라고 할 수 있는 학생 개인변인으로 설명될 수 없는 부분이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중학부 3학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와 관련변인과의 관계를 항목별로 결론지어 보면 다음과 같다.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는 초등부 6학년과 마찬가지로 성별로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과에서 집단간 차이가 있을 뿐 다른 장애 유형별 남녀 집단 차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 학생에 비하여 학력이 낮은 편이다. 한편 배경변인에 있어 장애 유형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변인은 TV/비디오시청, 진학 포부 수준, 대화의 빈도, 취미생활과 집안일을 돕는 정도 등이며 지체부자유 학생은 TV/비디오 시청에 많은 시간을 보내고, 진학포부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등부 6학년과 같은 형태를 보였다. 한편 중학부 3학년은 일반 학생과 비교해 볼 때 숙제 도움 대상에서 특히 부모의 도움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진학에 관한 대화가 적은 점은 특히 일반 학생과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일반 학생의 경우 부모의 도움을 받는 경우가 드물고 진학이나 취업에 대한 대화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애 학생의 경우 일반 학생에 비하여 늦은 시기까지 부모의 도움을 받는 한편 진학이나 진로에 관하여 아동과 부모 모두 불투명한 전망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부 6학년과 같이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설명력은 크지 않다 고 할 수 있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 학생의 중요 가치와 진학포부수준, 국어 공부를 하는 이유, 국어 수업 내용 이해 정도에 따라서는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서 활용 정도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수학의 통계적 유의 차가 검증되었을 뿐이다. 셋째, 고등부 1학년의 교과별 평균과 성차는 없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고등부 1학년의 경우에도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과 마찬가지로 일반 학생에 비하여 낮은 성취 정도를 보이는 한편 성취 정도의 차이는 고등부 1학년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대화의 빈도의 경우 진학이나 직업 선택에 대한 대화가 늘어나지만 다른 대화 내용은 줄어들고 진학포부 수준의 경우 특히 청각장애 학생이 낮고 모호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체부자유 학생의 경우 일반 학생 및 다른 장애 유형의 학생에 비해 독서 시간과 TV/비디오시청 시간이 긴 것은 고등부 1학년 학생의 배경 변인에서 나타나는 특성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숙제 도움 대상 면에 있어서도 전 장애 영역에서 여전히 부모의 도움을 많이 받는 점과 학습과 관련한 행동 통제가 어려운 대신 자아 효능 감과 학습전략이 향상되는 점 역시 학생의 배경변인에서 나타나는 특성이라고 할 수 있다. 고등부 1학년 역시 초등부 6학년, 중학부 3학년과 같이 장애 학생의 배경변인에 따른 학업성취도의 차가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그 내용으로는 학생의 중요 덕목과 수학공부를 하는 이유에 따라서는 청각장애 학생의 수학, 진학포부수준에 따라서는 지체부자유 학생의 국어와 수학, 어머니의 학력, 학교 숙제 수행 방식에 따라서는 시각장애 학생의 국어 교과에서만 통계적 유의 차가 검증되었다. 그러나 관련 변인이 증가하거나 감소 하는 정도에 따라서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일관되게 증가하거나 감소하지 않고 특정 항에 있어 증가하는 경우가 많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를 설명하는 변인이라 할지라도 학생의 지원을 위한 일반화 자료로 쓰기에는 무리가 따른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장애 학생은 장애의 강점과 약점이 강하게 반영될 수 있는 배경변인에 있어서 장애 유형별로 빈도의 차이를 나타내지만 그렇지 않은 배경 변인에 대해서는 장애 유형별 차이가 없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학업성취도와 배경변인과의 관계에서 전체 장애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 변인은 없으며 한 장애 유형에서 여러 교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역시 초등부 6학년 과정의 학생의 덕목밖에 없어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의 차이를 가져오는 강력한 변인은 없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학년이 올라갈수록 배경변인에 따른 학력차이가 없어지는 것으로 보아 장애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은 장애 유형과 학년에 따라 달라지며 학생의 개인 변인은 학년이 증가할수록 설명력이 약해진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clarify educational achievement level and related variation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707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hearing impairment, or physical disabilities who were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i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first grade of high school and were able to participate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executed by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As for the methodology of study, this study utilized literature search, research council, expert reviews, correction and adjustment work of research method, information forum for the execution of academical achievement test, poll on national level academical achievement test, etc. Resources were utilized as follows. First,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calculated only from the right answers for multiple choice questions, and one point were granted to each right answer in 6th grade, and two point in 3rd grade in middle school and 1st grade in high school. Second, Variation that could exercise influence o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was analyzed in terms of frequency and percentage. Thir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vari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vari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Also, the outcome from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compared to the outcome from non-disabled students presented by national level academical achievement test, 2002 introduction (Korean Institute of Curriculum & Evaluation, 2003).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process and outcome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ender gap was not significant in scholastic ability of the disabled students except for Korean class of visually impaired middle school third grade students. The gap was not so big for types of disabilities but it was safe to say that more proportion of disabled students showed slow progress in basic education than non-disabled students. Second, the actual condition of variation related to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disabled students are as follows. 1) In terms of individuals and famili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were in worse situation than non-disabled students are, especially in their parents' scholastic ability and jobs. 2)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inly did homework as activities directly related to study and they showed high level of dependency on their parents with their homework. 3)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wed poor scholastic strategies in terms of self-control in learning attitude composed of scholastic strategies, attitude control, and self-efficacy. They suffered difficulties in controlling their attitudes. Also, their self-efficacy was low. 4) Students with disabilities maintained good relationship with classmates and teachers, but they were poor in understanding lessons, preparing for classes, and utilizing materials in their study of school subjects, and they felt a lot of difficulties toward classes.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variation, it was hard to find same relationships as those of non-disabled students in all grades and subjects, so it was safe to say that variations that affected academical achievement level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different from those of non-disabled students.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Antifungal Activity of Five Plant Essential Oils as Fumigant Against Postharvest and Soilborne Plant Pathogenic Fungi

        Sun Og Lee,He Kyoung Lim,Kwang Yun Cho,김진철,최경자,Kyoung Soo Jang 한국식물병리학회 2007 Plant Pathology Journal Vol.23 No.2

        A total of 39 essential oils were tested for antifungal activities as volatile compounds against five phytopathogenic fungi at a dose of 1 μl per plate. Five essential oils showed inhibitory activities against mycelial growth of at least one phytopathogenic fungus. Origanum vulgare essential oil inhibited mycelial growth of all of the five fungi tested. Both Cuminum cyminum and Eucalyptus citriodora oils displayed in vitro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four phytopathogenic fungi except for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The essential oil of Thymus vulgaris suppressed the mycelial growth of C. gloeosporioides, Fusarium oxysporum and Rhizoctonia solani and that of Cymbopogon citratus was active to only F. oxysporum.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five active essential oils were determin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This study suggests that both E. citriodora and C. cyminum oils have a potential as antifungal preservatives for the control of storage diseases of various cro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