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심한 낙타혹(Hump)의 형성을 동반한 제 2 형 막증식성 사구체신염(Dense Deposit Disease) 1예

        오희정,유민아,이영숙,김미연,김승정,강덕희,윤견일,최규복,성순희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2004 EMJ (Ewha medical journal) Vol.27 No.1

        Dense deposit disease (DDD), known as type Ⅱ MPGN, is an uncommon form of glomerulonephritis. It is an acquired primary glomerular disease, characterised by electron microscopic evidence of a continous, dense membrane deposition replacing the lamina densa. There is associated alternative pathway complement activation and a C3 nephritic factor maybe present. Patients with dense deposit disease tend to be young at clincal onset and more commonly have persistent nephrotic syndrome, gross hematuria, and acute nephritis episode and persistent depression of the serum complement level. The prognosis of dense deposit disease is worse than that of typeⅠMPGN. We experienced a patient with dense deposit disease that presenting persistent nephrotic syndrome, gross hematuria and having subepithelial hump. It is a first report of dense deposit disease having subepithelial hump in Korea, therefore we report this case with the review of relevant literatures.

      • Music Reading as a Highly Skilled Human Behavior

        Chang, Sun-Hee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04 East west education Vol.21 No.-

        Music reading ability is an important basic skill for developing music literacy. It is a rather complex cognitive skill which can greatly enhance musical growth and learning. It is a skill which can enhance not only the elaboration of complex musical experience, but it also enables a broader understanding of humanity through musical experience. The studies of music reading encompass the studies of human perception in which visual perception tasks are involved under cognitive control. Therefore, the perspective of psychological studies give useful insight to understand music reading skill. Psychological studies in music reading frequently use sight- reading skill as a research task, because it characterizes the internal processes involved in music behavior. As music perceptual study, music reading has its theoretical base not only in sognitive psychology but also in Gestalt psychology. In addition, music reading as a skilled sequential behavior, produces sequential responses which involves grouping notes into larger, structured units, and hierarchical-order structure. As cognitive process of visual perception, sight-reading process consists of Gestaltian pattern of visual perception interacting with the hierarchical structural relationships in music.

      • Spiritual Reversal in the Magnificat : Lk 1:46~55

        박선희 베뢰아학회 2007 베뢰아논단 Vol.1 No.4

        PARK, Sun Hee. "A Spiritual Reversal in the Magnificat." Berea Forum 1 (2006): 349~361. The Magnificat in Lk 1:46~5 has a theme of spiritual reversal. Reversals of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terms have been discussed abundantly by scholars so far concerning the text. However, an application of different interpretation methods of 'aorist-tense' expands the spectrum of its theme to include spiritual reversal as well. Verses 51 and 52 are respectively divided up by half and each portion is interpreted with a different 'aorist-tense' usage, namely past-tense aorist or prophetic aorist. As a result of this, image of Satan, who fell from the heaven due to its arrogance, is displayed in contrast with image of Jesus, who is to be exalted in his humility. In fact, it is decision of this author to approach the text as the final object of the study in accordance with narrative criticism. This study also shows how the Christological message is delivered from Mary to Elizabeth successfully with the help of reader-response criticism. Satan's fall is handled in view of Ezek 28:1~19 and Isaiah 14:12~17, which is facilitated through allegorical interpretation method. As a spiritual reversal is discovered along with the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reversals, it is proven that God, men and angel undergo their own unique reversals respectively. On surface, the Magnificat is about the typical Lucan interest for the poor, the oppressed and the humble. At deeper level, however, it deals with the three-dimensional reversal theme involving all of the three spiritual beings who are mentioned in the Bible.(student, Graduate school of theology, Pyongtaek University; NT studies)

      • KCI등재후보

        대유행인플루엔자 대비를 위한 의료기관-바탕 탁상훈련 : 고안 및 평가

        설희윤,김지량,권보란,목정하,이선희,곽임수,정진우,김정수,고옥배,조은희,김성순,신상숙,이상원 대한감염학회 2008 감염과 화학요법 Vol.40 No.2

        목적 : 의료기관의 범유행 인플루엔자에 대한 효과적인 대비를 위한 훈련방법으로서 의료기관-바탕 탁상훈련 (hospital based tabletop exercise)의 유용성과 순응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재료 및 방법 : 탁상 훈련은 부산대학교 병원에서 시행되었으며 병원의 주요의사결정권자 및 주요부서 대표자, 실무자 42명이 지휘부, 진료부, 지원부 3그룹으로 나뉘어 훈련에 참가하였다 탁상훈련의 시나리오는 의료기관의 자체 훈련을 위해서 고안하였으며 현재 동남아에서 유행하고 있는 H5N1 인플루엔자가 국내에 처음으로 유입되어 확산되는 과정에서 의료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3가지 모듈로 구성하였다. 훈련 평가는 훈련 전후에 각각 익명의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훈련에 초청된 참여자 42명 중 37명(88%)이 실제 당일 훈련에 참여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37명의 직원 중에서 훈련 전 시행한 설문에 27명(73%)이 응답하였다. 훈련 전 정가에서는 훈련을 통해 획득하고 싶은 지식이나 기술의 우선 순위를 물었으며, 참여자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은 대유행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지식 향상 22%, 병원 각 부서가 취해야 할 계획 및 의사소통과 관련된 지식 향상 19%, 지역사회 병원들 간의 상호협력을 향상시킬 전략 계발이 19%이었다. 그룹토의 동안에는 환자의 조기 발견 이후 대응에 대한 토론이 많았지만, 구체적인 부분이 미흡하였고, 대유행 인플루엔자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부족하였다. 훈련에 참여한 37명의 직원 중에서 훈련 후 시행한 설문에 21명(57%)이 응답하였다. 훈련 후 평가에서 탁상훈련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대한 질문에서 81%가 만족하였다고 답변을 하였고, 새로운 것을 배우는데 유용했는가 대한 질문에도 86%가 유용했다고 답변하였다. 결론 : 탁상훈련은 의료기관의 대유행인플루엔자 대비에 효과적인 훈련방법이라고 생각되며 훈련을 통해 의료기관 내의 여러 부서들이 각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는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대비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향후 토른 촉진, 구체적인 결과에 도달을 유도할 수 있는 질문, 끼워넣기 개발, 적절한 시간 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o evaluate the usefulness and compliance of a hospital-based tabletop exercise in setting of pandemic influenza in hospitals. Materials and Methods : Tabletop exercise was held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forty two hospital employees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exercise. The scenario for hospital-based tabletop exercise was designed. It consisted of three modules, which simulated the influx and outbreak of H5N1 influenza that was epidemic in Southeast Asia. Pre-, post-exercise surveys were completed by anonymous questions. Results : Thirty-seven (88%) of 42 invited participants attended exercise. AII members of the administration group and the ancillary services group participated. But, only 77% members of the clinical services group participated. In pre-exercise survey, priorities of eight goals regarding skills and knowledge during exercise were inquired., The highest priorities pointed out by the respondents were "Increase the knowledge of pandemic influenza" (22%),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optimal communication among employees within specific department" (19%) and "Development of strategies for improved coordination between facilities within the health system" (19%). Twenty-one (57%) of participants completed the post-exercise surveys. At post-exercise surveys, 81% of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tabletop exercise was extremely or very useful, 86% of the participants also stated that it increased their knowledge of pandemic influenza. Conclusion : Tabletop exercise is an effective modality for increasing pandemic influenza preparedness in hospitals, and this method is useful for guiding preparedness activities within the hospital environment. Further studies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ethod of discussion, questionnaire, duration of exercise and injection are needed.

      • 경연 대회를 통한 초ㆍ중고생의 창의력 신장 효과에 관한 연구

        이희복,육근철,류해일,김현섭,김희수,박달원,유병환,김선효,김여상,서광수,변두원,서명석,배성효,박종석,심규철,이성희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01 과학교육연구 Vol.32 No.1

        미래 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개인의 개성을 존중과 창의적인 능력을 지닌 인간을 양성을 목적으로 충청남도 지역의 초 ㆍ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창의력 경연대회가 공주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에서 개최되었다. 충청남도 초 ㆍ중 ㆍ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창의력 경연대회는 창조적 아이디어를 내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좋은 기회였음이 확인되었으나, 일부의 팀에서만 참신하고 재미있는 아이디어들이 제안되었다. 여학생의 참가자 수가 상당히 증가하였으며, 대체적으로 입상권의 학생들의 상당 부분이 여학생이라는 것이 특이할만하다.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는 양이나 질에 있어서 뒤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토론 학습의 적응력이 미흡하고 발표력 및 청취력에 있어서도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 ㆍ고등학교의 학교교육에서도 학생들에게 프로젝트형 탐구학습 프로그램의 적용은 물론 토론식 수습을 통한 학생들의 사고의 전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creativity competition was held to foster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It was found that the creativity competition effected on the improvement of inventing creative ideas and problem solving activities. But, only some competitors participated in semifinal and final contests, presented original and interesting ideas. More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competition than last year. More female participants were awarded a prize than males. Totally, participants were defective in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and presentation and listening ideas. Increasing grades correlated inversely with creativity and originality. There is need of inquiry project teaming programs and presenting opportunities of conversion of thinking by discussing instructions in school

      • 尹孤山文學思想의 一考察 : 주자학의 수용양상으로 본 with focusing on the aspects of his assimilating JU-JA LEARNING(朱子學)

        장선희 광주보건대학 1991 論文集 Vol.16 No.-

        This study is tended to find out the distinguished value of the Ko-San's(孤山) literature in the light of the specific individuality contained in his literature, and I think its individuality is what Ko-San's outlook as a scholor of the Ju-Ja school appeated in his literature. With the result of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works and that oulook considering the expression of literay consciousness(文藝意識) of the Ju-Ja school, there are many agreements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scnolors of the sil(實) school in the late late Cho-Sun(朝鮮) periods and those of Ko-San, while his status as a scholar of the Ju-Ja school was tinged with quite different aspects from those of other scholars at the time. Furthermore, I find that quite a few( esp. O-BU-SA-SI-SA) of all his works couldn'be cosidered made under the literary consciousness of Ju-Ja school, but that their peculier features match well what the literature based on the Sil Learning (實學) would pursue. In sum, appearing to hold the features with the standirgpoint of a forerunner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s in those days, the Ko-San's literature showed modern aspects found frequently within the literature of the Sil school in the late Cho-Sun periods; that's why his literature hed its own individuality. Therefore, to find out real value the Ko-San's literature has, father then dealt with from the beauty-oriented viewpoint tried so many until now, it should be understook as bridge with the role of a modern-literature forerunner built between the medieval and modern literature, I think.

      • KCI등재

        신의 착용문화와 복식미적 고찰

        조선희(Cho, Sun-Hee)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 No.31

        이 연구는 복식의 한 부분인 신을 주제로 한국 신의 기원과 신의 종류, 형태를 파악하고 시대별 변천을 거쳐 그 착용문화를 복식미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신이 가지는 상징성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신의 구조가 선조들의 착용과 보행문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복식미를 완성시켰는지 고찰하였으며 신에 내포된 인식을 어떻게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는지를 이해하는데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신은 신는 목적으로서 뿐만 아니라 그 기능을 넘어선 복식의 완성에 마침표를 찍는 미적 표현이다. 우리나라의 신은 북방의 기마유목 문화권인 靴와 남방의 농경문화권의 鞋?履가 공존하였다. 고구려 고분벽화와 여러 문헌을 통해 신목이 길고 짧은 형태가 함께 착용된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우리가 부르는 단어인 ‘신’의 어원은 화를 ‘洗’이라 한 기록에서 “신”의 表音으로 시작된 것이다. 이후 신은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거쳐 다양한 재료와 형태로 제작되고 갖가지 명칭으로 착용되었다. 우리의 신은 다양한 재료와 낮은 울이 구조의 특징이다. 낮은 울에서 시작하여 뒤축으로 올라가는 날렵한 곡선미의 신은 착용하면 팔자로 걸어야만 벗겨지지 않게 되어 있어, 자연스럽게 독특한 보행문화로 이어졌다. 착용의 문화를 보면, 왼발?오른발의 짝이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구속되질 않고 발집으로 인해 좌우를 만드는 여유가 있다. 여기에 골고루 해어뜨리고자 바꿔 신으면 오래 신기까지 했을 실용성도 갖추었다. 또한 신분을 나타내고 미적 감각을 만족 시키는 복식미의 또 다른 기능도 충족시키며 발전되어 왔다. 신에 나타나는 원색의 조화는 오늘날 선명하고 강렬한 색채의 한국적인 색조를 만들어 냈다. 신을 통한 희생의 상징성은 16세기 만들어진 미투리 한 켤레가 애절한 편지와 함께 발굴되면서 확인되었다. 병든 남편의 쾌유를 빌기 위해 자신의 머리카락과 삼줄기로 삼은 미투리는 신의 염력을 통한 부인의 사랑의 상징을 보여준다. 조선시대가 되면서 더욱 화려한 신은 비활동적이며 ‘타고 다니는 것이지, 걸어 다니는 신이 아닌 것’으로 생각될 만큼 땅에 딛는 발에 신는 신이면서도 유난히 아름다운 복식미로 표현되었고 바깥 세상에 대한 동경과 경험하지 못한 미지의 세상을 상상케 하는 자유로 인식되었다. 연구를 통해 과거의 신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의 의미의 복식문화가 현재의 전통신으로 올바르게 전달되고 계승되었는지 되돌아 봐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