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다중언어능력 및 다중문화능력의 개념과 적용

        조수진 ( Cho¸ Sujin ),김태나 ( Kim¸ Taena ),강승혜 ( Kang¸ Seunghae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2021 언어와 문화 Vol.17 No.3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plurilingual and pluricultural competence presented by the CEFR(2018) and proposes application metho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learners can improve their competence to target language and culture by understanding that learners have various languages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utilizing such resources and experiences. To this end, the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culture can be facilitated by establishing a pluricultural repertoire. The target language can be learned by utilizing various language resources through plurilingual understanding of plurilingualism. Furthermore, by building a plurilingual repertoire, it is possible to take advantage of the language resources that learners have to take the initiative in language learning. By applying this concept, a teaching-learning method can be proposed so that learners can utilize each other's language and cultural resources in professor learning, which used only Korean, the target language in Korean education. (Sogang UniversityㆍSogang UniversityㆍYonsei University)

      • KCI등재

        18세기 장흥지역 향촌의 위기상황과 대응양상 - <임계탄(壬癸嘆)>을 중심으로 -

        박수진 ( Park¸ Su-jin ) 반교어문학회 2020 泮橋語文硏究 Vol.0 No.56

        이 글은 〈임계탄〉을 중심으로 18세기 장흥지역 향촌의 자연재해인 천재(天災)와 지방 관리들의 폐단(弊端), 학정(虐政)인 인재(人災)로 나누어 위기상황을 살피고, 〈임계탄〉의 상황을 바탕으로 전과 후의 향촌사족의 대응양상에 대해 논하고자 하였다. 천재(天災)는 가뭄과 폭염, 태풍과 해일, 병충해, 전염병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현상으로 등장하였으며, 인재(人災)는 환곡과 요역의 피해, 백성들의 유리도산(流離逃散), 관아의 학정 등으로 제시하였다. 〈임계탄〉에 드러난 위기상황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장안의 대도시에 이 작품을 붙여 백성들에게 장흥지역의 상황을 알리는 것, 맞지 않은 농사법을 개선하는 것, 그리고 임금께 상소를 올리는 것으로 향촌사족이 직접 할 수 있는 가장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설명하였다. 그런 반면, 〈임계탄〉이후의 대응방안으로 위백규(1727~1798)의 《연연행(年年行)》연작을 예로 들었는데, 이유는 이 작품이 향촌사족 의식을 가장 잘 반영하였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위백규는 장흥지역의 대표적인 향촌사족으로 그는 농업의 중요성을 먼저 제시하였고, 부정한 관리들의 횡포를 없애 향촌 개혁의 필요성과 개선론을 주장하였다. 더불어 그는 향촌의 발전과 변화를 모색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지방 관아의 폐단을 없애고자 하여 〈임계탄〉이후에는 스스로 향촌 자체에서 해결방안을 구하고자 하는 모습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논한 두 대응양상은 달랐다. 하지만, 〈임계탄〉의 작자도, 위백규도 모두 자신이 살고 있는 장흥지역을 걱정하는 향촌사족으로 향촌의 발전과 변화를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risis situation by dividing it into natural disasters(天災) in Hyangchon in Jangheung area in the 18th century and disasters caused by human error(人災), focusing on 〈Imgyetan〉. In addition, before and after 〈Imgyetan〉, the response patterns of the Hyangchon Sajok were discussed. Natural disasters(天災) have emerged as various phenomena ranging from drought and heat waves, typhoons and tsunamis, pests, and infectious diseases. In addition, Disasters caused by human error(人災) were suggested as the damage of rebellion and vice, the scattering of the people, and the fierce politics of the government. The countermeasures shown in <Imgyetan〉 are to inform the people of the local situation by adding songs to the metropolis in Jangan, to improve the farming laws that are not suitable, and to raise an appeal to the king. The countermeasures were explained. On the other hand, the countermeasures after 〈Imgyetan〉 took Wei, Baek-gyu (1727~1798)'s 《Yeonyeonhaeng》 series as an example, because this work was considered to reflect the Hyangchon Sajok consciousness best. Wei, Baek-gyu presented the importance of agriculture first, and insisted on the necessity of reform and improvement theory by eliminating the tyranny of unjust officials. In addition, he made an effort to seek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village as a Hyangchon Sajok, and suggested that after 〈Imgyetan〉, he showed that he had gathered himself to resolve the village itself. However, It can be seen that both the author of 〈Imgyetan〉 and Baek-gyu Wei of 《Yeonyeonhaeng》 are a family of Hyangchon people who are concerned about the village where they live, and they have actively worked for the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village.

      • KCI등재

        현대 독일 영화감독 연구 - 안네 초라 베라체트를 중심으로

        조수진 ( Cho¸ Su-jin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1 독일어문학 Vol.94 No.-

        본 논문은 영화 <투 머더즈>(2013)와 <24주>(2016)로 국내 영화계에도 이름을 알린바 있는 독일 여성 감독 안네 초라 베라체트의 영화 세계를 연구·분석한다. 베라체트 감독은 성소수자, 여성, 이주민 등 사회적으로 여전히 약자의 위치에 놓여있는 사람들이 맞닥뜨리게 되는 문제, 또는 사회적으로 민감한 문제나 터부시되는 문제들을 주로 다룬다. 하지만 해결책이나 답을 제시하려는 성급함보다는 개인이 겪는 삶의 역경을 사회적인 문제와의 관계 속에서 섬세하게 재현하는데 집중한다. 그리고 영화적 서사를 통해 관객들에게 그 문제들에 대해 함께 고민하기를 권유하며 담론의 세계를 열어 놓는다. 그리고 이러한 주제 의식을 자신만의 개성을 담은 스타일을 통해 시각화하는데, 관습적인 문법과 비관습적인 문법을 자유자재로 활용하며 내러티브를 전개함으로써 주류 상업영화와는 또다른 영화적 재미를 생산한다. 베라체트 감독은 핸드헬드와 롱테이크의 조합, 비관습적인 편집 등의 영상 언어의 활용과 비전문 배우들의 자기 자신 연기하기와 같은 다큐멘터리적인 요소의 조합으로 영화의 주제의식을 시각화하고 베라체트 감독만의 독특한 영화 세계를 구축한다. Die Regisseurin Anne Zohra Berrached beschäftigt sich vor allem mit den Problemen von sozial Benachteiligten wie sexuellen Minderheiten, Frauen, Migranten usw. Doch anstatt Antworten auf diese Probleme zu geben oder Lösungen vorzuschlagen, stellt sie feinfühlig die Härtefälle von Einzelschicksalen bezüglich ihrer gesellschaftlichen Probleme dar. Berrached gibt damit dem Publikum die Gelegenheit, selbst über das Thema des Films nachzudenken. Die meisten Filmmaterialien beruhen auf sozialen und politischen Themen, doch der Weg, damit umzugehen, besteht darin, tief in das Leben des Einzelnen einzutauchen und zu beobachten, wie das große Ganze im Bereich des persönlichen Lebens funktioniert. Dieser beobachtende Blick entsteht aus der Vermeidung einer analytischen Haltung der Regisseurin, um eigene Schlüsse ziehen zu können, und trägt dazu bei, dass das Publikum selbst den Film analytisch und rational wahrnimmt. Berrached visualisiert das Thema des Films, indem sie dokumentarische Elemente wie die Kombination von Handheld und Long-Take, einen unkonventionellen Schnitt und Laiendarsteller einsetzt. Dadurch formt sie eine einzigartige Filmwelt.

      • KCI등재

        한국 전통 교육에서 ‘학우(學友)’ 개념 검토: 유가(儒家) 교유(交遊)관을 중심으로

        송수진 ( Song¸ Su-jin ) 한국교육사학회 2021 한국교육사학 Vol.43 No.3

        한국 전통 교육에서 ‘학우(學友)’란 단순히 감정에 이끌려 사귀는 친구가 아니라 ‘함께 공부’하는 벗을 뜻한다. ‘학우’의 구체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공자 제자 집단에서 그 기원을 찾아봐야 한다. 공자 학단이 추구했던 배움은 단순한 정치 기술이 아닌, 인문(人文)을 지향하는 도학(道學)이었다. 여기에 ‘우(友)’란 전통적 봉건 질서 속에서 혈연적 친분 관계로 맺어진 특정 신분 계층 간의 사귐이 아니라, 비혈연적, 반계급적 성향을 지닌 만남을 전제로 맺어진 도우(道友)라 할 수 있다. 한편 한국 전통 교육에서 ‘학우’의 실제적 사례는 화랑제도와 유학 교육 기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화랑 집단에서 ‘학우’는 특정 사상을 공부하는 차원을 넘어 일상적 삶의 지침들도 함께 공유하는 사이였음을 알 수 있다. 화랑은 일상의 체험적인 공부를 통해 올바른 삶의 방향과 가치관을 설립할 수 있었다. 이 가운데 학우의 미덕은 전인적 삶의 모범에 있었다. 또한 조선 유교 사회에서 ‘학우’는 서로의 성학을 돕는 자라 할 수 있다. 이를 반영하여 학교 관련 규칙은 학우 간 교유 지도를 포함하였다. 이렇듯 전통 사회에서 ‘학우’는 배움이란 홀로 고립된 성격의 것이 아니라 지행일치를 통한 전인 교육임을 보여준다. 그러나 시간이 지날수록 ‘학우’와 관련하여 공자 제자 집단에서 안회의 위상, 자사와 자공이 함께 나누었던 이야기는 오래된 미담으로 기억될 뿐, 집단의 사익을 내세우며 도(道)를 왜곡 또는 성찰과 검증 없이 아집에서 벗어나지 못하며 반목하는 사례들을 남기고 있다. In th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Hakwu(學友)’ does not mean a friend but a companion one studies with. To understand the correct meaning of ‘Hakwu,’ we need to find the origin of the concept from the group of disciples of Confucius. Learning pursued by his disciples was not about political skills but moral philosophy and humanities. Here, ‘Wu(友)’ indicates ‘Dowu(道友)’ established on the premise of meetings based on non-blood relationship and anti-hierarchical tendency, rather than the friendship between persons who are acquaintances or blood relations and belong to the same or similar classes in the traditional feudal order. Furthermore, in the Korean traditional education, actual examples of ‘Hakwu’ can be found in the Hwarang system and Confucian educational institutions. It can be seen that ‘Hakwu’ in the Hwarang group shared principles of daily life in addition to studying certain ideas together. It was possible for the members of Hwarang to establish proper goals of life and values through daily experiential learning. The virtue of ‘Hakwu’ for them was the presentation of the model for holistic life. In the Confucian society of Joseon, ‘Hakwu’ could be considered as persons who shared political beliefs as well as ideals of life. Therefore, ‘Hakwu’ in the traditional society signified that learning was not something to be pursued in alienation from others. Reflecting this, the school-related rules included instruction for peer-to-peer education. In the meantime, although the stories related to ‘Hakwu’ regarding the position of Yan Hui among the disciples of Confucius and the conversations between Zisi and Zigong are remembered as heartwarming ancient stories, there have been cases in which selfish collective interests were sought, getting in conflict with each other by distorting the truth or sticking stubbornly to one’s own ideas without self-examination or verification.

      • KCI등재

        보건소 간호사의 업무성과 영향요인

        이수진 ( Lee¸ Su Jin ),박남희 ( Park¸ Nam Hee ) 부산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21 글로벌 건강과 간호 Vol.11 No.2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e the job performance of health center nurses.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September 9 to 20, 2020. The participants were 169 health center nurses in city B, C, J and K in Gyeongsangnam-do.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IBM/SPSS/WIN 25.0 by apply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Participants' emotional labo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were scored on a 5-point scale. The average scores were 3.14 for emotional labor, 3.05 for job satisfaction, 3.28 fo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3.34 for work performance. The factor influencing participants’ job performance w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s variables for job performance was 22.6%.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health center nurs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ffected their job performance. Thus,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it is necessary to accurately assess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develop and apply various interventions and programs.

      • KCI등재

        「含資道捴管柴將軍精舍草堂之銘」에 대한 새로운 이해

        김수진 ( Kim¸ Su-jin ) 대구사학회 2020 대구사학 Vol.140 No.-

        「含資道捴管柴將軍精舍草堂之銘」에는 당 황실의 외척인 柴哲威가 ‘龍朔’의 시기에 정사초당을 지었고 함자도행군총관에 제수된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비편에 새겨진 단편적인 정보들과 문헌 사료를 치밀하게 조합하여 대백제전에 참전한 당의 행군총관이 백제가 아닌 신라의 영역으로 언제, 어떻게, 왜 이동한 것인지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먼저 용삭 연간 또 한 명의 함자도행군총관이었던 劉德敏과 시철위의 재직 시기의 선후를 따져보았을 때 유덕민은 함자도총관으로 661년 8월 고종의 칙명을 전달하러 신라에 파견되었다가 김유신, 김인문 등 신라군과 함께 평양의 소정방 군대에게 군량을 전달하는 임무까지 수행하고 662년 2월 당으로 돌아갔다. 661년 8월 이전에는 당과 고구려의 전쟁이 벌어지기 전이었고 예상외로 백제부흥군이 거세게 저항하면서 당군과 신라군이 곤란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가림도총관 시철위를 함자도총관으로 변경하면서까지 고구려 방면으로의 작전을 대비할 현실적 이유가 없었다. 시철위는 유덕민의 후임으로 함자도총관에 제수된 것으로 보인다. 당은 소정방의 평양 회군 과정에서 신라로부터 군량을 보급 받고 앞으로의 대고구려전에서도 신라와의 공조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백제부흥군의 선전이 이어지자 고종은 웅진의 당군에게 신라로 들어가 사태를 관망하거나 여의치 않으면 당으로 돌아오라고 하였으나 662년 7월 유인원은 선택지에 없던 백제 잔류와 증병 요청의 표문을 올렸다. 자칫 고종의 뜻을 거역한 것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 때문에 시철위와 일부 병력은 신라로 보냈다는 내용도 함께 전달하여 ‘王言’을 무시한 것이 아님을 강조했을 것이다. 신라는 당 황실의 외척이라는 시철위의 신분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일단 받아들인 후 웅진과 연결되는 교통로상에 위치하면서 과거의 州治로 군대가 주둔할 수 있는 시설이 갖추어진 감문군에 체재하도록 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문무왕도 662년 7월 동생 김인문을 당에 사신으로 보내 책봉에 대한 사은과 평양으로의 군량 수송, 백제부흥군과의 전투에서 신라의 공적을 전달하고, 감문군에 체재하고 있는 시철위에 대한 지원까지 신라가 당에 협조한 내용들을 강조했을 것이다. 이에 고종은 김인문을 포상했고 시철위에게는 대고구려전을 대비한 새로운 임무를 부여하면서 함자도총관을 제수하고 이를 ‘新羅使’ 김인문에게 전달하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 663년 4월경, 이 신라사가 시철위에게 함자도총관에 제수한다는 칙명을 전달하자 시철위는 충성을 다짐하며 이 비를 새긴 것이었다. In 660 the General Chái zhé wēi(柴哲威) attended war against Baekje as a marshal of the Army for Garim(加林道行軍摠管). During Lóngshuò(龍朔 年間 661~663), he moved to Gam-mun in Silla from Woongjin in Baekje and set up the commemorative stela of General Chái(柴將軍碑) which was found in Mireugam Hermitage, Gimcheon. There have been no many explanations when and how Chái zhé wēi moved to Silla and the reason why. In March 662, Gaozong(高宗) of Tang Dynasty ordered his army in Woongjin either to move to Silla and watch the situation or to retreat to Tang Dynasty as Baekje Restoration Forces(百濟復興軍) had continued to win the battles. However, Liú rén yuàn(劉仁願), the regional military commander, decided to stay in Baekje and continue to fight while he tried to avoid misunderstanding that he disregarded the imperial edict. Consequently, Liú rén yuàn sent Chái zhé wēi and some troops to Silla in July 662. At that time king Mun-mu dispatched his brother, Kim In-mun, as an envoy to Tang Dynasty. It seems that Silla wanted to emphasize their achievement in the battle against Baekje Restoration Forces while delivering the fact that they embraced and supported Chái zhé wēi who is the royal maternal relative. Gaozong appointed Chái zhé wēi to the marshal of the Army for Hamja(含資道摠管) in order for him to prepare for the war against Goguryeo. Gaozong made Kim In-mun convey his mind to Chái zhé wēi. Around April 663, Kim In-mun delivered the appointment of the marshal of the Army for Hamja to Chái zhé wēi. Then Chái zhé wēi built the stela for this appointment. (Research Professor,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okmin University / kistorysj@gmail.com)

      • KCI등재

        극적발레에 나타난 문학성 연구 - 존 크랑코(John Cranko)의 「오네긴」을 중심으로 -

        장수진 ( Chang¸ Su Jin ) 한국무용예술학회 2021 무용예술학연구 Vol.83 No.3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literary value in John Cranko’s Onegin. Onegin, one of the well-known Cranko’s dramatic ballets, was created to ballet work based on Alexander Pushkin’s novel Eugene Onegin. The study examines the literary value, based on the six factors of drama in Aristoteles’s Poetic. ‘Plot’, the plots were revealed in Act 3, at the beginning, middle, and end. ‘Character’, it was described well as the novel characters. ‘Thought’ expressed Pushkin’s belief in love and friendship, and Cranko expressed Ballet D’action idea. ‘Diction’, the character’s personalities were described through the movement and mime of the dancer in ballet. The ‘spectacle’ expressed the situation of the times on the stage through the stage background, lighting, props, and costumes. ‘Music’ heightened the emotions and atmosphere suitable for the scene, further emphasizing the dramatic part. This study proves the Onegin is significantly meaningful in the literary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