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들뢰즈·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알리타: 배틀 엔젤> 분석 - 욕망, 되기, 탈주의 개념을 중심으로 -

        여수현 ( Yeo¸ Soo Hy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4

        본 논고는 들뢰즈·가타리의 철학을 바탕으로 예술이 생성해낼 수 있는 삶에 대한 사유를 <알리타: 배틀 엔젤>(2019, Robert Rodriguez)을 통해 탐구한다. 본 논고의 목표는 당연하다고 여겨왔던 관념의 동종성을 거부하고, 일원적 중심성으로부터의 탈주하는 삶을 들여다보는 데 있다. 우선 Ⅱ절에서 기계, 배치, 욕망의 세 가지 개념을 논리적으로 풀어나가며 ‘욕망하는 기계’로서 알리타를 분석한다. 들뢰즈·가타리는 모든 행위 주체를 가리켜 ‘기계’라고 부른다. 그 이유는 주체는 다른 것들과 접속함으로써 그 자신의 속성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 기계들이 접속하여 선을 이루고 나아가 면을 이루면, 그 장을 가리켜 ‘배치’라고 하는데, 이러한 배치를 이루는 모든 기계가 바로 ‘욕망하는 기계’이다. 알리타의 욕망을 배치의 두 축인 ‘기계적 배치와 집단적 배치’, ‘탈영토화의 지점과 재영토화된 선’, 그리고 두 축 사이의 ‘감응’으로 분석한다. 다음으로 Ⅲ절에서 알리타의 욕망의 흐름을 ‘-되기’의 과정에서 풀어본다. 들뢰즈·가타리의 맥락에서 욕망은 ‘-되기’가 발현되기 위한 힘 자체이다. ‘-되기’를 통해 알리타의 자아는 분산되고, 해체됨으로써 어떠한 형태도 될 수 있는 잠재성을 띠게 된다. 이는 알리타가 지향해야 할 본질적 속성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알리타의 생성적 속성이 발현됨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Ⅳ절에서 ‘-되기’를 통해 발산되는 알리타의 존재 역량이 ‘탈주’로 드러남을 확인한다. 알리타의 욕망, 그리고 그 욕망의 흐름인 ‘-되기’는 세계에 틈새를 생성하는 ‘탈주’를 향하게 된다. 소위 ‘탈주’라 하면 문제 상황으로부터의 회피를 의미하지만 들뢰즈·가타리의 맥락에서 ‘탈주’는 발산적인 행위 역량이 결부된 차이 생성의 운동으로 ‘나’라는 존재자를 확인하는 관문을 의미한다. 알리타 존재가 지닌 함의를 ‘탈주’로 탐구함으로써 그것이 내포한 진리를 밝혀본다. 이상으로 들뢰즈·가타리 철학에 기반한 <알리타:배틀 엔젤> 분석을 시도하는 본 논고는 ‘기계’라는 개념 규정에서 출발한 알리타 존재의 의미가 ‘탈주’를 통해 확인된다는 점, 그리고 이는 탈위계적 세계를 생성하는 힘이 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the thoughts of life that art can create through < Alita: Battle Angel(2019, Robert Rodrigues) > based on the philosophy of Deleuze·Guattari. The aim of this paper is to reject the sympathy of the ideas that have been taken for granted, and to look into the fuite from the monolithic centrality. First of all, in Section II, the three concepts of machine, agencement and desire are logically solved and Alita is analyzed as ‘a machine of desire’. Deleuze·Guattari refer to acting subject as ‘machine’. The reason is that the subject changes its own attributes by connecting with others. When these machines connect, form lines, and then form faces, the space is called ‘agencement’. Every machine that makes this agencement is a 'machine of desire'. Alita's desires are analyzed by two axes of agencement, ‘collective assemblage of enunciation and machined assemblage’, ‘points of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lines’, ‘affect’ between the two axes. Next, in Section III, we explore the flow of Alita's desires in the process of ‘devenir’. In the context of Deleuze·Guattari, desire is the power itself to express ‘devenir’. Through 'devenir', Alita's ego is dispersed and disintegrated, giving it the potential to become any form. This mean that Alita's creative attribute is expressed. Finally, it is confirmed in Section IV that Alita's ability to exist through 'devenir' is revealed as 'fuite'. Alita's desire, and ‘devenir’ are directed toward the ‘fuite’ that creates a niche in the world. The so-called ‘fuite’ means avoidance from a problem situation, but in the context of Deleuze·Guattari, ‘fuite’ means a gateway to identifying the existence of "I" as a movement to create differences involving the ability to releasable act. Explore the implications of Alita's existence as ‘fuite’ to reveal the truth it implies. This paper found that the meaning of the existence of Alita, which started from the concept regulation of ‘machine’, was confirmed through ‘fuite’, which became a force to produce a Nonhierarchical world.

      • KCI등재

        곤잘레스-토레스의 사탕 연작에 나타난 ‘소모’로서의 ‘비정형’ -조르주 바타유의 이론을 중심으로-

        박수현 ( Park¸ Soo Hyun ),박숙영 ( Park¸ Sook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Felix Gonzalez-Torres)의 사탕연작은 관람자와 소장자의 참여로 인해 정형화된 형태로 고정되거나 구축되지 않는다. 이는 사회의 권위와 주체의 소외에 저항하는 태도를 드러낸다는 점에서 조르주 바타유(Georges Bataille)의 ‘소모dépense’로서의 ‘비정형informe’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것이 곤잘레스-토레스의 사탕연작에서 어떻게 구현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바타유의 ‘소모’와 ‘비정형’을 고찰하고 ‘소모’를 나타내는 ‘비정형’의 양상을 연구한다. ‘소모’는 목적이나 조건 없이 유용한 것을 소비하는 것으로, 사회가 유용한 것을 생산하고 성취하는 데에만 가치를 부여하는 것과 그 안에서 주체가 소외되는 것에 저항한다. ‘비정형’은 본질 없는 저급한 물질의 상태이며, 철학에서 ‘형태’가 가지는 권위와 가치를 위반한다. 소모를 나타내는 비정형은 형태의 분류를 흐트러뜨림으로써 가치 있는 것과 가치 없는 것, 자아와 타자를 연결시킨다. 또한 고정된 형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사회의 권위와 구축된 의미를 공격한다. 그리고 형태가 ‘비개연’적임을 드러냄으로써 결과를 계획하거나 성취할 수 없게 한다. 펠릭스 곤잘레스-토레스의 사탕 연작은 관람자가 사탕을 가져가고 이것이 다시 채워지는 과정을 통해 소멸을 지속한다. 이 변화하는 형태는 작품이 완결된 의미를 획득하지 못하게 하며, 생산을 중심에 두는 사회의 권위가 유한함을 폭로한다. 또한 관람자가 작품을 만지고 먹으며 소장자가 작품의 구성을 바꾸는 등, 작가, 관람자, 소장자는 역할의 분류가 흐트러진 채 작품에 개입하고 서로 연결된다. 작품은 비개연적인 관계와 과정을 통해 통제되지 않는 수많은 방식으로 확장된다. 이와 같이 곤잘레스-토레스의 작품에 나타난 비정형은 ‘형태’를 위반함으로써 ‘생산’을 위반하는 소모를 드러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elix Gonzalez-Torres’ candy works are neither fixed nor constructed into a formulaic form owing to the participation of the viewers and collectors. This shows defiance towards the authority of society and the isolation of the subject, and can be analyzed as reflecting Georges Bataille’s concept of ‘formless’ as ‘expenditure’.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find out how this has been implemented in Gonzalez-Torres’ candy works. For this purpose, Bataille’s theories of ‘expenditure’ and ‘formless’ are contemplated, and the aspects of the ‘formless’ that represent ‘expenditure’ are explored. ‘Expenditure’ is consumption without purpose or condition, and it criticizes society’s inclination towards producing useful things and achieving results, and the alienation of the subject therein. ‘Formless’ is the base material state devoid of essence, which violates the authority and value of ‘form’ in philosophy. The formless that represents expenditure disrupts the classification of forms, thereby connecting the valuable and the unworthy, the self and the other. It also attacks the authority of society and established meaning through ‘alteration’ of the fixed form. And by revealing the mutual ‘improbability’ between form and meaning, achieving a planned result is made impossible. Felix Gonzalez-Torres’ candy works continue to dissipate through the candies being taken by the audiences and refilled. This altering form prevents the work from acquiring a concluded meaning and through the evocation of death, exposes the transience of authority of a production-oriented society. In addition, the artist, viewers, and collectors intervene in the works in ways that unsettle their classified roles such as the viewers touching and eating the works, and the collectors changing the composition of the works, freed from the state of disconnection and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The works expand in numerous unplanned ways through improbable relationships and processes. Thus, it can be ascertained that the formless aspect in the works of Gonzalez-Torres reveals expenditure that violates ‘production’ through the violation of ‘form’.

      • KCI등재

        ECD 기반 평가 문항을 활용한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에 대한 연구

        서수현 ( Seo¸ Soo-hyun ) 청람어문교육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 No.82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을 살펴보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증거 중심 설계 원리에 기반을 두어 개발된 디지털 리터러시 문항을 활용하여 실제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이해 영역과 표현 영역에 속하는 구인을 도출하고 해당 구인을 평가할 수 있는 8개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4명을 대상으로 평가를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각 문항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은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상·중·하 집단의 평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문항 또한 확인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일차적으로는 이 연구에서 개발한 문항이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더 나아가 동일한 학년의 초등학생이라 할지라도 그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양상은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수행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가 필요하다는 점, 디지털 원주민라고 불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내용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s study, digital literacy items developed based on the evidence-centered design(ECD) were used to explore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8 items were developed to derive constructs belonging to the digital literacy understanding domain and expression domain and to evaluate the constructs. Evaluation was conducted on 54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each item were varied, and items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verage scores of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were also identified. This aspect primarily implies that the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reasonably evaluate the digital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shows that ev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same grade show differences in their digital literacy practices. This study suggests that evaluation tool that can determine the digital literacy practic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needed, and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digital literacy education cont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lled digital natives.

      • KCI등재

        정미경 소설에서 ‘타인’의 의미

        박수현 ( Park¸ Soo-hyun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1 No.-

        소설가 정미경은 2000년대 문단에서 중추적으로 활약했으나 온당한 주목을 받았다고 할 수 없다. 타계한 지 4년이 흐른 지금 정미경의 작품세계에 대한 본격적인 논구와 재평가가 절실히 필요하다. 이 논문은 정미경 소설 전반을 관통하는 원리를 찾고자 하는 시도의 일환으로, 그 작품에 드러난 타인의 의미를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정미경 소설에서 타인은 주체의 욕망을 생성하고 구성하며 촉발한다. 또한 타인은 주체의 자존감을 형성하고 존재 의미를 밝혀주며 존재 가치를 부여한다. 한편 정미경 소설은 주체의 정체성이 타인의 시선이라는 그물망 안에서 규정되는 양상을 주목한다. 정미경은 주체의 욕망, 자존감, 정체성 구성에 작동하는 타인의 위력이 막중함을 인식하면서 순수한 주체라는 환상에 의문을 제기하고 주체의 타인 의존성 혹은 타인 상관성을 보여준다. Novelist Jeong Mi-kyung played a pivotal role in literary circles in the 2000s, but she did not receive fair attention. Four years after her death, Jeong Mi-kyung's full-fledged study on the world of works and re-evaluation are urgently needed. This paper focuses on the meaning of others in Jeong Mi-kyung's novel and seeks to find one of the principles that penetrates throughout her works. In Jeong Mi-kyung's novel, others create, organize, and trigger the desires of the subject. Others also build self-esteem, reveal the meaning of existence, and give value to existence. Furthermore, Jeong Mi-kyung's novel focuses on the aspect in which the identity of the subject is defined in the eyes of others. Jeong Mi-kyung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others in the composition of desires, self-esteem, and identity of the subject, questioning the purity of the subject and showing the dependence or correlation with others of the subject.

      • KCI등재

        타자 이해를 위한 문학교육의 방향과 가능성 -박완서의 「너무도 쓸쓸한 당신」을 활용한 중년 여성의 이해-

        박수현 ( Park¸ Soo-hyu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2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9 No.-

        이 논문은 박완서의 단편소설 「너무도 쓸쓸한 당신」을 통해 중년 여성 혹은 실제 어머니의 심리 이해에 기여할 교육 내용을 제안한다. 향후 타자 이해 문학교육의 방향으로서, 학생 자신과 친하고 가까운 타자에게 주목하고, 타자가 자기 이야기를 제삼자의 매개 없이 직접적으로 발화하는 작품을 제재로 사용하며, 특히 심리학을 교육 내용으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제안한다. 결과적으로 부부관계의 위기와 배우자에 대한 염증, 젊음에 대한 상실감과 동경, 총체적인 허무감과 정체성의 위기 등 중년 여성의 보편적인 심리를 교육 내용으로 구축한다. 학생들은 작중인물의 심리를 유추하고 중년 여성의 일반적인 심리를 학습하면서 자신의 어머니를 이해할 수 있다. Through Park Wan-seo's "You are Too Lonely," this paper proposes educational methods that will contribute to the psychological understanding of middle-aged women or real mothers. In the future, the literature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thers should pay attention to those close to the student and use the works describing his or her story directly without any third-party intervention. In particular, it is suggested that psychology be actively introduced as an literature education content. As a result, the universal psychology of middle-aged women, such as crisis of marital relationship, hate about spouse, loss of youth, longing for youth, total futility, and crisis of identity, is established as educational content. Students can understand their own mothers by understanding the psychology of the characters and learning the general psychology of middle-aged women.

      • KCI등재

        다양성과 전문성 진작을 위한 문학교육 연구 -김영하의 「당신의 나무」를 중심으로-

        박수현 ( Park¸ Soo-hyun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7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함께 교육 내용의 다양성과 전문성을 확보할 필요가 급부상하고 있다. 이에 부응하기 위해, 이 논문은 김영하의 소설 「당신의 나무」를 기반으로 청소년의 심리 치유와 정신적 성장을 위한 문학교육, 인문교육과 통섭하는 문학교육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문학교육은 파괴적 사랑을 유인한 작중인물들의 성격을 애착 유형에 관한 심리학적 지식의 도움을 받아 분석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학생들이 자신의 심성구조를 발견하게 한다. 또한 작중인물을 치유하고 성장시킨 계기인 역(易)의 상상력을 발견하게 하고, 자신의 고통과 불행에 대해 역의 상상력을 발휘하여 글쓰기를 유도하며, 역의 상상력이 동서고금을 통해 사유의 주축으로 활약한 인문학적 현장들을 제시하면서 인문교육을 수행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심적 고통을 치유하고 정신적으로 성장하며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고 인문학적 소양을 증진하며 인문학적 통찰력을 계발할 수 있다.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need to secure diversity and expertise in education is rapidly emerging. To contribute to this, this paper proposes a plan for literature education for the psychological healing and spiritual growth of youth, and a plan for literature education in partnership with humanities education, centering on Kim Young-ha’s novel “Your Tree.” Literary education allows students to analyze the character of the characters who caused destructive love with the help of psychological knowledge about attachment types and, in the process, students can discover their own mental structures. It also provides humanities education by allowing students to discover reverse imagination, the motivation for healing and growing the character, inducing practice to exercise reverse imagination for their pain and misfortune, and presenting the humanities in which reverse imagination has been important throughout the East and the West. In this process, students can heal themselves, grow mentally, form selfidentity, promote humanities refinement, and develop humanities insights.

      • KCI등재

        코로나19 뉴노멀 시대의 온라인 전시회 운영에 관한 연구

        배수현 ( Bae¸ Soo Hyun )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2020 이벤트 컨벤션 연구 Vol.16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atus of online exhibition in the era of new normal after COVID-19 by case study on the online academic convention of Y college. This research is performed to examine the management of online graduation exhibition in the era of new normal after COVID-19.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n experimental design was used by case analysis of Online academic convention at Y College. Result -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 this research is performed to manage online graduation exhibition instead of offline graduation exhibition. It will be available to use online forum, webina and online seminar as a clas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curriculum development to increase the production of online contents and practical use of ability. Third, it must be used to study of lecture, feedback, sharing data, interaction. Also, it is not satisfied to learning effect, communication and technical problem in online academic conven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 mutual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Conclusions - The result offer some insights into the management of online exhibition.

      • SCIESSCISCOPUSKCI등재

        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and Hwa-byung in the General Korean Population

        Soohyun Joe,JungSun Lee,SeongYoon Kim,Seunghee Won,JongSeok Lim,KyooSeob Ha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7 PSYCHIATRY INVESTIGATION Vol.14 No.4

        Objective-Posttraumatic embitterment disorder (PTED) is characterized by states of “embitterment”, characteristically similar to “Hwa-byung”, which is a Korean culture-bound syndrome. The present study aimed to assess diagnostic relationships between PTED and Hwa-byung. Methods-A total of 290 participants completed our survey. PTED and Hwa-byung were diagnosed using a diagnostic interview and scale. Scales for depression, suicide ideation, and anger were used for evaluation. Fisher’s exact tests and Mann-Whitney U tests were performed to evaluate diagnostic overlap between PTED and Hwa-byung, and associations of scale scores for depression, suicide ideation, and anger between the PTED, Hwa-byung, and non-diagnosed groups. Associations of these scales between the depressive and non-depressive groups, and suicidal and non-suicidal groups were also evaluated. Results-Among the participants, 1.7% of the sample fi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PTED and 2.1% fit the criteria for Hwa-byung. No individual fit the criteria for both. Anger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wa-byung group than in the non-diagnostic group. There were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ger scores between the PTED and non-diagnostic groups. Depression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TED than in the non-diagnostic groups. In contra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depression scores in the Hwa-byung and non-diagnostic groups. Conclusion-These results suggest that PTED may be a disorder category that is distinct from Hwa-byung.

      • KCI등재

        The magnitude of articulatory gestures for the glide /w/ in Korean: Implications for the phonological representation of /w/

        Soohyun Kwon 한국음운론학회 2020 음성·음운·형태론 연구 Vol.26 No.3

        This study examines the articulatory properties of the glide /w/ in Korean, using ultrasound. While some claim that there is no dorsal glide, others argue that glides have two designated articulators, and that /w/ is both [Dorsal] and [Lab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 that /w/ in Korean consists of both lip and tongue gestures, and that the primary articulatory correlate of /w/ is lip protrusion while tongue dorsum raising serves as a secondary but important articulatory feature. The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phonological representations and articulatory implementation of gli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