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SCIESCOPUS

        A Cost-Effective WDM-PON Using a Multiple Section Fabry–Pérot Laser Diode

        Mun, Sil-Gu,Ho-Sung Cho,Chang-Hee Lee IEEE 2011 IEEE photonics technology letters Vol.23 No.1

        <P>We demonstrated a wavelength-division-multiplexing passive optical network using a multiple section Fabry-Pérot laser diode without a seed light. The electrical envelope tuning of the laser enables color-free operation at 1.25 Gb/s with 100-GHz channel spacing. The mode partition noise is mitigated by shifting the signal spectrum.</P>

      • SCOPUSKCI등재
      • KCI등재

        특수교사의 우리성 요인이 교육공동체 역량 요인에 미치는 영향

        구신실(Gu Sin-Sil),황순영(Hwang Soon-Yo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19 교육혁신연구 Vol.29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바람직한 특수교육공동체를 구현을 위한 특수교사의 우리성과 교육공동체 역량 증진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특수교사의 우리성과 교육공동체 역량을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12개의 특수학교와 6개의 일반학교에서 수집된 설문지 총248부를 SPSS 23.0 for window와 Mplus 7.1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우리성 인식은 4가지 요인인 공유된 경험과 수용적 태도, 상대적 인정의 차이, 공감과 배려, 시간의 공유로 나타났으며, 우리성 점수는 6점 만점에 평균 4.88로 나타났다. 그리고 특수교사의 교육공동체 역량은 민주적 참여 및 책임감, 소통을 통한 공유된 목표, 정서적 관계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6점 만점에 평균 5.10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교사의 우리성 요인에 따라 교육공동체 역량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특수교사가 교육공동체 구성원들과 우리성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고 교육공동체 역량을 높인다면 특수교육공동체 구현을 위한 좋은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임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weness and educational community competence, to analyze the effects of weness factors on the educational community competence factor. Method: A survey of 248 questionnaires was analyzed with SPSS 23.0 for windows and Mplus 7.1. Results: First, the perception of weness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four factors: shared experience, acceptance attitude, difference of relative recognition, sympathy and consideration, and time sharing. The weness score was 4.88 in average points out of 6 points. Educational community competenc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four factors : democratic participation and responsibility, shared goals through communication, and emotional relationship factors. The score of educational community competence was 5.10 in average out of 6. Seco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ness factors influenced educational community competency factors.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can be a good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special education community if we maintain and develop weness relations with the educational community members and raise the educational community capacity.

      • KCI등재
      • KCI등재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구신실 ( Sin Sil G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1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경향과 교사의 변인별 인식, 교과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안 및 지원요구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효율적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 지도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와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특수학교 교사 10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필요도와 적용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해 특수교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에 비해 적용하고 있는 정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교사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소속학교 주 장애에 따라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교사의 필요도와 적용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지체장애 특수학교의 특수교사가 시각장애 특수학교의 특수교사보다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과교육에 대한 적용도는 특수교사의 소속학교 주 장애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담당학교 급과 특수교육 경력에 따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에 대한 특수교사의 필요도와 적용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 교과교육의 문제점은 개별지도실시, 기본교육과정 적용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한 개선안이나 지원요구는 중도 및 중복장애아동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교재·교구, 보조기구 개발 및 지원, 정책적 지원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nd to recognize the by variables, curriculum issues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and support needs by examining the recognition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uggesting effective instruction strategies 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and educational foundation for the map data is presented and implications. To this end, this study was investigated 101 teachers working at the special education schools in Busan City.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is study analyz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omes to significant differences teachers` perception 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need to learn to recognize the tendency to help awareness of the difference between apply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showed, compared to what is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e effect was lower degree. Second, it comes to significant differences teachers` perception in each teacher variables(perception in each kind of disabilities in the teachers` school and subject education)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teachers` perception in others teacher variables on subject education of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Third, to implement the subject education for student with multiple and severe disabilities it is suggested as follows; organizing the practical curriculum considered their characteristics, minimizing the number of students in a class. And there are curriculum education conducted tutoring, basic training in the application and the difficulty of the most recognized, and to address these challenges and support requirements for the improvement of the education for severely handicapped children and redundancy curriculum development, textbook parish, aids the development and support, political support, and has provided feedback on.

      • KCI등재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교직헌신도의 관계

        구신실 ( Sin Sil G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5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의 관계를 조사하여, 향후 특수교사의전문성 확보와 질적 향상을 위한 교사교육에 실천적 지식과 심리적 역량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부산시내 8개의 공·사립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중인 특수교사 178명을 대상으로 연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의 성별에 따른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는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직무헌신도와 학생헌신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는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수동적 선택 동기는 교직헌신도에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교사의 능동적 교직선택 동기는 교직헌신도와 하위변인인 학생헌신도, 수업헌신도, 직무헌신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수교사의 교직헌신도를 예측하는 중요한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교직선택 동기 중 능동적 선택 동기 요인에 따라 교직헌신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할 것이며, 특수교육과 관련된 많은 정책과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주체인 특수교사의 심리적 특성인 교직 선택 동기가 교직헌신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변인임을 감안하여, 특수교사의 직전 교사교육과 현직 교사교육에 지원하고 반영해야 할 결과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to arrange practical knowledge and psychological strengthening plan for special school teacher`s training regarding certain professionalism and qualitative improvement with a research of a relation between special school teachers`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ers` commitment. First, in a part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motivation for teaching by gender, the passive motivation and economic motivation were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and the active motivation was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In a part of the commitment to teaching by gender, it was generally higher for women than for men. In a part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by ag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As well, in the occupational commitment and commitment for students, it appears that 20s was the highest, followed by 30s and 40s. Moreover, in a part of the special school teachers`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by careers, the special teachers experienced within 5 years have ranked highest on active motivation, economic motivation, and whole motivations for selecting the teaching profession, but other special teachers experienced over 16 years have ranked highest on passive motivation. Furthermore, special teachers experienced within 6 to 10 have shown highest on the commitment for the students, and other special teachers experienced within 5 years have shown highest on the occupational commitment and whole commitment to teaching. However commitment for classes didn`t have meaningful differences by careers. Second, it appeared that the special teachers` motivation for teaching and their commitment to teaching had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although the active motivation and commitment to teaching had a negative correlation. Finally, the special teachers` active motivation for teaching have influenced commitment to teaching with commitment for students and classes, and occupational commitment. In addition, the active motiva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for expecting the special teachers` commitment to teaching.

      • KCI등재

        특수교사의 공감능력에 따른 교사-학생 갈등관리 방식과 교사효능감

        구신실 ( Sin Sil G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2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공감능력, 교사-학생 갈등관리 방식, 교사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특수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학생 갈등관리 방식, 교사효능감의 관계와 공감능력에 따른 교사-학생 갈등관리 방식,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능력강화와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P시의 일반학교와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9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공감능력은 성별,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학생 갈등관리 방식은 근무유형, 연령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교사효능감은 성별, 근무유형, 연령, 교사경력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특수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학생 갈등관리 방식의 상관은 인지적`정서적 공감 요소가 타협과 협력에서, 교사로서 요구되는 자질은 타협, 협력, 전체 갈등관리 방식에서, 상담자로서 요구되는 태도는 타협, 전체 갈등관리 방식, 협력에서, 전체 공감능력은 타협, 전체 갈등관리 방식, 협력에서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특수교사의 공감능력과 교사효능감의 상관은 인지적`정서적 공감요소는 자기조절 효능감과, 교사로서 요구되는 자질, 상담자로서 요구되는 태도, 전체 공감능력은 자기조절 효능감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특수교사의 공감능력 중 교사로서 요구되는 자질이 전체 갈등관리 방식을, 전체 공감능력이 타협, 협력, 자기조절 효능감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materials to improve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he questionnaires of the differences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empathy ability, teacher-student conflict management styles, teacher efficac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ability, to analyze the impact on teacher-student conflict management styles, teacher efficacy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90 teachers working in general schools and special schools in P Cit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ender and empath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Teacher-student conflict management approach based on the work type and a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eacher efficacy and gender, work type, age, teaching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cond, the special teacher`s empathy and teacher-student conflict management approach empathy the cognitive elements of the mind, emotional empathy element of compromise and cooperation were on the matter. As a teacher, qualities that require compromise, cooperation, conflict management in the way the whole matter appeared. Counselors are required as the attitude of compromise, the whole conflict management methods, cooperation was in the matter. Empathy for the entire settlement, the entire conflict management methods, in collaboration with clear correlation,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eacher efficacy of empathy correlated with the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elements, efficacy factors were correlated with self-regulation. Endowment as a teacher is required, the attitudes are required as a counselors, empathy for the whole self - efficacy and showed a clear correlation. Third, as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variables which affect total conflict management style scores are teacher`s endowment, total empathy ability scores are compromise, cooperation, self-regulation efficacy.

      • KCI등재

        논문 : 피에조 콘 시험과 실내시험을 이용한 점토지반의 투수특성 연구

        구남실 ( Nam Sil Gu ),김영민 ( Young Min Kim ),박재환 ( Jae Hwhan Park ),장지건 ( Ji Guen Jang ) 대한지질공학회 2011 지질공학 Vol.21 No.4

        점성토의 압밀거동은 투수성과 변형성에 영향을 받으며 그 중 투수성은 흙의 종류 및 상태, 특히, 이방성에 영향을 받는다. 연약지반의 투수계수는 피에조 콘 소산시험 및 실내압밀시험(Oedometer test)에 의해 구할 수 있으며, 피에조 콘 시험으로 과잉간극수압 소산측정이 가능하여 수평압밀계수와 수평투수계수 평가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서해안 및 남해안 지역의 해성 점성토충을 대상으로 피에조 콘 소산시험을 실시하였으며, 불교란 시료에 대한 실내시험(Oedometer, Rowe cell)을 실시하고 각 이론해 별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Jamiolkowski(M적용) 등(l985)의 해로 추정한 kh/kv가 이 연구 대상지반의 투수특성과 가장 유사하게 나타나 국내의 연약지반에서 피에조 콘 소산시험 및 실내시험(Oedometer test)에 의하여 투수특성(kh/hv, kh)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이들 이론해의 적용을 추천한다. The consolidation behavior of soft clay is controlled mainly by its compressibility and deformation characteristics. Soil permeability depends on various soi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soil type and anisotropy.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soft clay is determined by using a laboratory test (the Oedometer test) or a piezocone test. The latter test is useful for estimating the permeability characteristics from c(h) and k(h) by performing an excess pore-pressure dissipation test. This study seeks to validate an existing theoretical formula in applying it to marine clay, and to assess the relation between k(h)/k(c)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soft clay. Piezocone tests and laboratory tests were performed using sediment from the Yellow Sea and from the South Sea near Korea. We compared k(h)/k(v) values obtained using the piezocone test and using laboratory consolidation tests. The obtained values are similar to the values obtained by Jamiolkowski et al. (M application); therefore, the latter values are recommended to be used as k(h)/k(v).

      • KCI등재

        장애영재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구신실 ( Sin Sil Gu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장애영재교육에 대한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장애영재 교육에 대한 교사와 교육현장의 관심과 이해를 도모하고, 효과적인 운영 및 발전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가진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P시에 소재한 4개의 일반학교와 3개의 특수학교에 재직 중인 총 142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지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교육진흥법에 대해 자격유형과 상관없이 모두 모르겠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알고 있거나 잘 알고 있는 교사들과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일반교사는 장애영재에 대해 모르는 교사가 더 많았으며, 특수교사는 알고 있는 교사가 더 많아 장애영재에 대한 인지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자격유형과 상관없이 장애영재교육은 대부분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둘째,장애영재아동의 발생율에 대한 인식은 자격유형과 상관없이 1~5%일 것이라고 응답한 교사들이 가장 많았으며, 장애영재교육의 실시현황에 대해 전체교사와 특수교사는 잘 실시되지않고 있다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으나,일반교사는 잘 모르겠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셋째, 장애영재아동 선별시기는 자격유형에 상관없이 초등학교, 유아기, 중학교의 순으로 의견을 나타냈다. 장애영재아동 교육시기에 대해 전체 교사와 일반교사는 초등학교,특수교사는 유아 기와 초등학교를 장애영재아동 교육의 적절한 시작시기로 보았다. 또한 장애영재아동의 교육이일반 영재교육과 차이를 두어야 한다는 의견이 자격유형과 관계없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장애영재교육 담당자는 외부 영재교육 전문가가 장애영재교육을 담당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넷째,전체교사와 특수교사는 장애영재교육 관련연수를 받겠다는 의견이 더 많았으나,일반교사는 받지 않겠다는 의견의 더 많았다. 장애교육관련 연수를 받겠다는 이유로는 자격유형에 상관없이 장애영재아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돕기 위해서라는 이유가 가장 많았으며, 장애교육관련연수를 받지 않겠다는 의견의 이유는 자격유형에 상관없이 현장에서 실시하기 어렵다는 이유가 가장 많았다. 다섯째,장애영재교육 발전방안 우선순위에 대해 전체교사와 일반교사들은 장애영재아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 장애영재아동교육을 위한 정책 및 예산 지원을 우선적으로 생각하였으나, 특수교사는 장애영재교육 발전방안을 장애영재아동에 대한 관심과 이해,장애영재아동의 판별을 위한 적합한 절차개발을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me teachers`` perceptions on educating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about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42 teachers in the 7 schools of P City.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 response was that all of the teachers do not know regardless of the type of qualification about the Gifted and Talented Education Promotion Act, and it was not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know`` or ``are familiar with it``. General teachers were more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do not know about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re was a difference among their recognition. And the most need was recognized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gardless of the type of qualification. Second, the awareness on the incidence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most responding to 1-5% regardless of the type of qualification. And the most common response for all the teachers an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not been carried out well on the status of implementation for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But the most common response for general teachers do not know about the incidence. Third, the time of screening for the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in order of the comments as follows elementary, early childhood, middle schools regardless of the type of qualification. And the tim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elementary for all and general teachers, elementary, early childhood for special teachers. Also the most common response should be differences with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And the most common response the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d to responsible outside experts. Fourth, the opinion that related training would receive were more the all and special teachers than the general teachers. The reason the training would received was the most common response for interest and understanding about the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gardless of the type of qualification. And the reason the training would not received was the most common response for the difficulty of conducting field regardless of the type of qualification. Fifth, the development plan for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in order of the comments as follows interest and understanding, policy, budget support for all and general teachers. But the development plan for education of gifted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in order of the comments as follows interest and understanding, development of procedures for determining for special teachers.

      • KCI등재

        전산화신경인지기능검사(CNT)에 의한 뇌성마비아동의 판별분석

        구신실 ( Sin Sil Gu ),박재국 ( Jae Kook Park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뇌성마비아동과 일반아동의 신경인지특성의 차이를 비교해보고, 이들 신경인지특성이 두 집단을 유의미하게 변별해 주는가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부산시내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8~13세의 뇌성마비아동과 일반아동 총 93명을 대상으로 전산화신경인지기능검사(CNT)를 실시한 후 판별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CNT의 모든 하위검사에서 전반적으로 일반아동이 뇌성마비아동보다 높은 수준의 점수를 보였다. 하위검사인 주의력, 기억력, 고위인지기능검사에서도 일반학생과 뇌성마비아동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CNT 전체 점수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뇌성마비아동은 일반아동과 구별되는 신경인지특성이 있으며,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신경인지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둘째, CNT에 의해 뇌성마비아동과 일반아동을 판별 예측하는 적중률은 주의력검사 94.4%이고, 기억력검사 90%, 고위인지기능검사 96.7%이었으며 전체 CNT는 97.8%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CNT가 뇌성마비에 대한 높은 판별 예측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CNT를 통한 신경인지특성이 뇌성마비아동과 일반아동을 구별하는 주요한 변인으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urocognitive characteristics characteristics’differences betwee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average children, and through th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of two groups by the 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CNT). This study was investigated 93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nd average children in Busan City. The concrete findings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examination neuro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with CP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verage children, and CP group showed lower performance than the average children group on attention test, memory test, higher cognitive function test. Second, the result of th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of two groups by CNT showed that was very powerful discriminating variable of two groups as attention test 94.4%, memory test 90%, higher cognitive function test 96.7%. and total CNT 97.8%.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neurocognitive characteristics by CNT was the powerful discriminators of two groups. And CNT could be applicable to children with CP as a neurocognitive assessment battery of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