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Froebel’s Kindergarten Merging Into American Context:What Has Changed and What Has Remained?

        Shunah Chung 한국유아교육학회 2006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12 No.1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how Froebel’s ideas of kindergarten originated in Europe merged into American educational contexts in the 1800s and 1900s. For Froebel, kindergarten stood for an educational place where young children’s learning characteristics were considered to organize the curriculum. Froebel attempted to actualize educational ideas such as education by development and education through play, which still characterize contemporary early schooling. However, Froebel’s kindergarten ideas were differently translated by different groups of American educators: transcendental Froebelians, American Hegelian Froebelians, and developmental Froebelians. Each group of educators translated Froebel’s ideas of kindergarten in their own terms and then transformed his ideas or added new meanings. In spite of different interpretations, all of them remained Froebel’s gifts and occupations which characterized kindergarten. They shared that the significance of play which characterized ways of children’s learning as well as children’s development or nature. They merged into the discourse of Froebel’s kindergarten: education according to children’s development and education through play. However, Froebel’s idea of child-centered education which underpinned the kindergarten had changed and transformed into developmental kindergarten based on child-study developmentalism.

      • KCI우수등재

        한국판 Early Years Toolbox (EYT)의 타당화 연구

        정선아(Shunah Chung),김인경(Inkyung Kim),김희진(Heejin Kim),마유미(Yumi Ma),박보영(Boyoung Park) 한국아동학회 2018 아동학회지 Vol.39 No.6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Early Years Toolbox (EYT), which can measure executive function of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97 3 to 5-years-old children in one kindergarten and two day care centers. An analysis of EYTs the construct validity, the concurre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each tool has a reciprocal static correlation (r = .22~.41, p < .05) appeared to be present, indicating that there was no difficulty in assembling them into a single factor. Also, Mr. Ant and The Eight Boxes Task (r = .19, p < .05), Go/No-Go and Lift Flag Task (r = .28, p < .05), Not This and Dig it span - Backward (r = .27, p < .05), Card Sorting and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DCCS)(r = .57, p < .05), Expressive Vocabulary a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Expressive (REVT-E)(r = .66, p < .05), Numbers and Mathematical Ability Picture Test for Young Children (r = .73, p < .05) all had significant correlation. However, it was impossible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Social Behavior Questionnaire (CSBQ) and Preschool and Kindergarten Behavior Scales (PKBS). Finally, the EYT demonstrated high internal consistency, which enabled the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tool. Conclusions: The Early Years Toolbox is a reliable and valid executive function instrument for children and is recommended for evaluating executive function.

      • KCI등재

        0세 영아반 교사의 ‘돌봄행위’(caring)에서 돌봄통합교육과정 수행성 보기

        정선아(Shunah Chung),박보영(Boyoung Park)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23 생태유아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서 교육보다는 돌봄이 가장 많이 필요한 시기라고 간주하는 0세반 교사의 돌봄행위를 통해 돌봄이 영아의 배움이 수반되는 교육적 행위이므로 돌봄통합교육과정으로 의미 지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0세반 교사의 1년간의 영아의 배움이 담긴 놀이기록과 교사의 돌봄을 포함한 교육적 행위가 담긴 연간 교육계획안을 수집하고, 교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0세반 교사는 신체돌봄, 정서돌봄, 정치돌봄 및 인식론적돌봄행위에서 영아의 배움이 일어나는 교육과정을 수행하고 있었다. 영아는 교사의 돌봄행위에서 배움을 만들며 교육과정을 수행하고 있었다. 이 둘은 서로 교차하고 얽히며 교육과정을 생성하고 있었으며, 이는 곧 돌봄통합교육과정이었다. This study's purpose is to show that care can be defined as a curriculum with caring because it is an educational activity involving infant learning through a 0-year-old teacher's caring behavior who considers caring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in daycare centers. Thus, the play documents containing a year of infant learning by a 0-year-old teacher, an annual education plan containing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the caring of teachers and interviews were collected. ᅠThe 0-year-old teacher was carrying out a curriculum in which infant learning took place in “care for”, “care about”, “care with”, and “epistemological care”. Infants were carrying out the curriculum by learning from the teacher's caring behavior. They were intersecting and intertwining with each other to make a curriculum; thus, a curriculum with caring.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영유아교육에서 관찰과 기록의 차이 탐구 : 영유아 관찰,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기록, 개정 누리과정 놀이 관찰과 기록을 중심으로

        박보영(Boyoung Park),정선아(Shunah Chung)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21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그동안 영유아교육에서 이루어져 온 영유아 관찰, 레지오 교육의 기록작업과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관찰과 기록 간에 차이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영유아 관찰,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기록작업,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관찰과 기록의 목적, 내용, 방법, 활용의 측면에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영유아 관찰은 영유아의 발달을 선결정된 틀에 따라 그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객관적이고 형식적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영유아 관찰은 곧 영유아 평가로 여겨지며 영유아의 발달을 위해 교육 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기록작업은 열린 마음으로 영유아의 학습 과정에 귀 기울이는 것으로서, 영유아의 사진, 글, 그림 등과 같은 다양한 언어를 사용하여 이미지화 하고, 영유아, 동료 교사, 부모와의 소통, 그리고 교사 성찰의 도구로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관찰과 기록은 사건으로서 영유아의 놀이(배움)를 포착하고 의미 짓는다. 놀이 관찰과 기록의 행위주체성을 인정하며, 놀이 관찰과 기록이 교사에게 작용하여 영유아를 이해하고, 교육적 실천을 할 수 있는 교육과정 실행 그 자체로 바라보고 있다. 본 연구는 영유아 관찰, 레지오 에밀리아 교육의 기록작업, 2019 개정 누리과정의 놀이 관찰과 기록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놀이 관찰과 기록의 의미를 명확히 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observation of children, Reggio Emilia documentation and the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lay spoken in th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Accordingly, three aspects were compared: 1) the purpose and contents 2) the method and 3) the utilization. As a result, observation of children was made to explain child development statu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ramework, which was described objectively and formally. In addition, observation of children is considered to be an evaluation of child and was used as a means of developing educational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 The Reggio Emilia documentation is to listen to the learning process of children with an open mind. The documentation was imaged using various languages such as photography, writing, and painting of children. The documentation was used as a tool for communication with children, fellow teachers, and parents, or as a tool for reflection by teachers. Finally, th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s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lay captures and means the play of children as an event. It recognized the agency of the play document and believed that the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lay would act on teachers so that they could understand children and carry out educational praxi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larified the meaning of observation and document by comparing differences in observation of children, Reggio Emilia documentation and observation and document of paly in the 2019 National Nuri curriculum.

      • KCI등재
      • KCI등재

        사립 유치원 원장이 바라보는 특별활동 운영의 의미

        이정화(Lee JeongHwa),정선아(Chung ShunAh)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특별활동을 운영하고 있는 5명 원장들의 관점에서 특별활동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이들 원장과의 심층인터뷰가 채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원장들은 특별활동이 유아들에게 다양한 경험을 주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이는 진정한 경험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다양한 맛보기에 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장들은 특별활동이 단계적인 기능습득이 있는 교육이라는데 그 의미를 두고 있다. 둘째. 원장들은 부모들이 유치원의 수요자이므로 이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 유치원이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이라고 강하게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가 원하는 특별활동을 실시하고, 유치원이 초등학교 준비교육기관으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부모들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며 유치원이 원아모집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수단으로 보고 있다. 셋째, 원장들은 특별활동의 운영에서 유치원 교육이 어떠해야 하는 지에 대한 갈등과 모순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눈에 보이지는 않으나 유치원 교육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므로 가시화 할 수 있는 특별활동이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다. 즉, 원장들의 유치원 교육에 대한 갈등과 모순이 특별활동 운영에서 드러나고 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meanings of extra-curricula activities constructed by kindergarten directors. We conduct in-depth interview with 5 kindergarten directors. The issues emerged are as followings. First, extra-curricular activities are means to provide diverse experiences with young children. But the diverse experiences are superficially provided. Extra-curricula activities are also viewed as a way of building young children's skill. Second, for kindergarten directors, extra curricular activities are means for surviving in the competition with othe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Kindergarten directors assert that listening to parents' need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running schools. Third, from kindergarten directors' voices, discrepancy about meaning of kindergarten education is disclosed. Kindergarten directors view kindergarten education as invisible one, but extra-curricular activities as visible one. Accordingly, kindergarten directors have lack of understanding of what kindergarten education means and purposes. In addition, it's time to listen to parents'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