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遁翁韓汝愈의 『中庸』解釋과 그 意味

        崔錫起 (Choi, Seok-ki) 대동한문학회 2009 大東漢文學 Vol.30 No.-

        이글은 경주지역에 살던 17세기 재야 학자 韓汝愈의 『중용』해석의 특징을 논한 것이다. 그는 師承 없이 독자적으로 공부해 지역 사회에서 眞孝悌人 , 樸實君子로 추중을 받았다. 그의 학문자세는 의리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천하의 모든 일을 알아야 한다는 박학주의를 택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경전의 본지탐구를 추구하기 때문에 自得을 중시하는 자세를 가지고 있다. 또 한 앞 시대 先儒의 주석을 墨守하지 않고, 한 글자에 대해서도 근원을 탐구하고 소급하여 眞知實得을 추구하는 경학태도를 견지하였다. 그의 『중용』해석의 특징은 크게 두 가지로 구별된다. 하나는 주자의 『중용장구』33장 체제를 수용하면서도 주자의 4대절설을 따르지 않고 饒魯의 6대절설에 근거하여 독자적인 分節을 하면서 새로운 설을 제기하였다는 것이며, 하나는 제5대절설(제21장~제32장)에 대해 『중용장구』의 편차를 개정하였다는 것이다. 전자에서는 제1대절(제1장)과 제6대절(제33장)을 수미관계로 파악하고, 제1장이 전체의 강령이 되는 것으로 보며, 제4대절(제20장)을 독립된 대절로 파악하여‘中庸의 淵源’으로 보고, 그 앞쪽 제1,2,3,대절(제1장~제19장)은 順說로 그 뒤쪽 제 5,6대절은 逆說로 논리전개를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고 주장하였다. 후자에서는 逆說의 논리구조에 근거해 제 24장~26장을 智仁勇을 말한 것으로, 제26장~제32장을 費隱을 말한 것으로 보아 순서를 바꾸어 놓았다. 이 두 가지는 그가 독자적으로 자득한 독창적인 설이다. This article is about the features of [Jung-yong] interpretation by an out-of-office scholar, Han, Yeo-yu(韓汝愈) who had lived in Gyeong-ju(慶州) province in 17th century. He admired as a outstanding scholar so-called ‘Jin-hyo-je-in’(眞孝悌人) or ‘Bak-sil-gun-ja’(樸實君子) from local society although he had no relation of master and pupils. He chose the studying way of eruditionism(博學主義) to know all facts of the world, and he paid attention to get self-acquirement to inquiry the original meaning of scriptures. Moreover, he did not stick to the former scholar's comments so he drilled the exact meaning by himself with the attitude of seriousness even just one letter. The significance of his [Jung-yong] interpretation are classified next two features. 1. He developed the his own partition of [Jung-yong] following the theory of Yo, Ro(饒魯)'s 6 partition way not Ju-ja's 4 partition way. He insisted that the 1st part and 6th part link each other, so the 1st part is to be main principle. And he regarded the 4th part(separated Chapter 20) as 'the origin of [Jung-yong], so from 1st to 3rd part(Chapter 1∼19) is to be the orthodox, and from the 5th to 6th part is to be paradox. 2. He reformed the order of the 5th part [Jung-yong-jang-gu] from the chapter of 21 to 32. In this part, on the base of paradoxical structure, he insisted that from Chapter 24 to 25 is about ‘ji-in-yong’(智仁勇) and from Chapter 26 to 32 is about ‘bi-eun’(費隱).

      • KCI등재

        기획주제: 소통 부재의 시대, 한문학에서 길을 찾다 : 16세기 학자들의 산수(山水)와의 소통(疏通) -천인합일(天人合壹)의 지향(志向)을 중심으로-

        최석기 ( Seok Ki Choi ) 동방한문학회 2015 東方漢文學 Vol.0 No.65

        글은 16세기 학자들이 士禍期를 살아가면서 山林에 精舍를 경영하여 은거하거나 산수자연을 유람하면서 산수와 疏通을 한 점에 주목하여 그들이 산수를 어떻게 인식하고 산수 속에서 무엇을 추구하였는지를 논구한 것으로, 天人合壹의 志向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孔子·曾點·子思·孟子로 이어지는 山水認識의 전통을 충실히 계승하여 천인합일을 지향함으로써 산수를 인격수양의 대상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공자의 樂山樂水, 맹자의 觀水有術의 정신을 충실히 계승하여 산수를 통해 仁智를 體得하고자 하였다. 셋째, 朱子의 「觀書有感」의 정신을 본받아 현실세계에서 천인합일을 구현하고자 주거 공간에 연못을 조성하고 天理를 늘 體察하려 하였다. 넷째, 주자를 본받아 산수가 좋은 산림에 은거하여 정사를 경영하고서 심성수양에 주력하여 천인합일을 지향하였다. 다섯째, 주자의 「武夷櫂歌」·「武夷精舍雜詠」 등에 차운하여 주자의 삶을 본받고 따라하려 함으로써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性命을 온전히 하는 구도적 삶을 선호하였다. 여섯째, 樂山樂水, 鳶飛魚躍, 天光雲影에 대한 전통을 계승하여 일상 속에서 늘 천리를 체찰하고자 하였다. 일곱째, 산수자연을 통한 전통적인 天理體察의 外延을 확장하여 언제 어디서나 접할 수 있는 山色溪聲을 통해 천리를 체찰하려고 하였다. 여덟째, 눈으로 사물을 인식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눈과 귀 등 여러 감각기관으로 천리를 체찰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16세기 조선 학자들은 동아시아 산수인식의 전통을 충실히 계승한 바탕 위에, 천리체찰의 외연을 더 넓힘으로써 일상 속에서 언제 어디서나 천리를 체찰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산수와의 소통은 자신들이 살고 있는 현실 공간에서 늘 천인합일을 추구하고자 한 도학자적 정신을 반영한 것으로, 조선시대 선비문화의 精華라고 하겠다. Considering that scholars managed political affairs by retiring to hermitage in the mountain or interacted with nature by travelling in it during the massacre of scholars in the 16th century,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how the scholars recognized nature and what they sought in the mountain, and the study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aim of Choenilhapil (the unity of Heaven and Ma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nature was regarded as the object needed for self-discipline, while scholars inherited thoroughly the tradition of Sansuinsik (Nature Recognition) passed down from Confucius, Tseng Tien, Zi Si, and Mencius and they had the aim of Choenilhapil. Second, virtue and wisdom were gained through nature by inheriting thoroughly the principles of Confucius` Yosanyosu and Mencius` Gwansuyusul. Third, ponds were constructed at scholars` home in the 16th century and the scholars tried to study heavenly principles in order to realize Choenilhapil in the real world by inheriting the principle of Zhu Xi`s 「Gwanseoyugam」. Fourth, the goal of Choenilhapil was set by scholars, while they managed political affairs by retiring to hermitage in the mountain with scenic beauty like Zhu Xi and devoted themselves to moral self cultivation. Fifth, the scholars tried to study heavenly principles through Sansekgye- seong, which they met everytime and everywhere, by expanding the denotation of Cheonrijechal (studying heavenly principles) through landscape and nature. The scholars of Joseon in the 16th century had thoroughly inherited the tradition of Sansuinsik in the East Asian region, and they tried to study heavenly principles everytime and everywhere in their daily life by expanding the denotation of Cheonrijechal. The interaction between scholars and nature was a reflection of moralists` principle, which they always sought Choenilhapil in the real world, and it was regarded as the essence of Seonbi (gentry) culture in the Joseon Dynasty era.

      • KCI등재

        곽종석(郭鍾錫)의 『중용(中庸)』 분절설(分節說)

        최석기 ( Seok Ki Choi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5

        이글은 19세기 말 경상우도 학자 郭鍾錫(1846~1919)의『中庸』해석 가운데 分節說에 주목하여 고찰한 것이다. 이 논문의 결론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곽종석의 四支六節說의 내용을 분석해 본 결과, 기본적으로 스승 李震相이 사지·육절을 통섭해 해석하는 관점을 그대로 수용하면서도 4大支의 명칭은 이진상의 설을 그대로 따르지 않고 제1대지의 명칭을 ‘中庸大支’로 바꾸었고, 6大節의 명칭은 이진상의 설을 모두 따르지 않고 「독중용법」의 6대절 요지에 근거해 바꾸었다. 또한 곽종석은 선배 許愈와 제1大支의 명칭을 두고 수년 간 여러 차례 논쟁을 하였는데, ‘中和大支’로 해야 한다는 주장을 끝내 수용하지 않고 ‘中庸大支’로 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리하여 「中庸支節別圖」를 작성하여 ‘中庸’이 全體-四支-六節의 명칭이 모두 될 수 있다는 자신의 설을 정립하였다. 곽종석의 사지육절설의 특징은, 첫째 4대지설과 6대절설이 모두 「中庸章句序」의 ‘支分節解’에서 근원한 것으로 보아 둘 다 버릴 수 없다는 관점에서 통섭적으로 이해하려 하였다는 점, 둘째『중용』의 논리구조를 大旨 중심으로 파악하여 全體-四支-六節로 체계화하였다는 점, 셋째 이진상·허유와 다른 관점에서 「中庸支節圖」를 작성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그의 「중용지절도」의 특징을 정리하면, ①『중용』의 天과 「太極圖說」의 太極을 동일시하여 원을 그려 天을 형상하고 그안에 네모를 그려 地를 형상하였으며, ②「중용장구서」의 ‘支分節解’.‘脈絡貫通’과 함께 ‘繼天立極’을 더하여 그 의미를 드러내고 있으며, ③주자가 「중용장구서」에 ‘支分節解 脈絡貫通’이라고 한 것과 程子가 ‘始言一理 中散爲萬事 末復合爲一理’라고 한 것을 합하여 『중용』의 논리구조를 분석하고 있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The paper presets an investigation into the Bunjeolseol of the Jungyong interpretations by Gwak Jong-seok(1846-1919), a scholar from Gyeongsang-woodo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content of Gwak`s Sajiyukjeolseol show that he basically accepted his master Lee Jin-sang`s viewpoint of interpretation to put together Saji and Yukjeol and, at the same time, changed the names of the four major Jis different from Lee`s theory. He changed the name of the first major Ji to “Jungyongdaeji. It was the same with the names of six major Jeols. He changed them based on the six major Jeol Yoji of Dokjungyongbeop instead of following Lee`s theory. Gwak had many arguments over the name of the first major Ji with his predecessor Heo Yu over several years. He maintained his position on “Jungyongdaeji,” never accepting Heo`s argument for “Junghwadaeji” to the end. He wrote Jungyongjijeolbyeoldo, establishing his own theory that “Jungyong” could be the name of all including the whole, Saji, and Yukjeol. Gwak`s Sajiyukjeolseol can be characterized as follows: first, given that his theories on the four major Jis and six major Jeols were based on the “Jibunjeolhae” of Jungyongjangguseo, he tried to put them together to understand them from the perspective that both of them could not be discarded. Secondly, he understood the logical structure of Jungyong centered around Daeji and systemized it into the whole-Saji-Yukjeol. Finally, he wrote Jungyongjijeoldo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from Lee Jin-sang and Heo Yu. The characteristics of his Jungyongjijeoldo are as follows: ① he identified the Heaven of Jungyong with Taegeuk of Taegeukdoseol and embodied the Heaven by drawing a circle and the Earth by drawing a square inside the circle; ② he added “Gyecheonipgeuk” to “Jibunjeolhae” and “Maekrakgwantong” of Jungyongjangguseo, thus highlighting its meanings; and ③ he analyzed the logical structure of Jungyong by combining Zhu Xi`s statement of “Jibunjeolhae Maekrakgwantong” in Jungyongjangguseo and Jeongja`s statement of “Shieonili Jungsanwiman-samalbuhapwuiili.”

      • KCI등재

        하빈(河濱) 신후담(愼後聃)의 『중용』 해석과 그 의미

        崔錫起 ( Choi Seok-ki ) 한국한문학회 2020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77

        이 논문은 愼後聃의 『중용』 해석을 논한 것이다. 신후담이 『중용』을 해석하는 기본적인 관점은, 1)주자의 『중용장구』를 저본으로 구조를 분석하고 요지를 파악하며, 2)諸家의 설을 두루 참조하여 합리적 해석을 하며, 3)본지탐구를 통한 의리발명을 중시하는 것이다. 또 그의 『중용』 해석태도는, 1)古典을 폭넓게 인용하여 논증하는 태도, 2)字書、韻書 등을 인용하여 原義에 적합한 뜻을 찾는 태도, 3)문장이나 단락의 논리구조를 파악하면서 조응관계를 중시하는 태도로 집약된다. 신후담의 『중용』 해석의 특징은 구조분석의 측면에서 『중용장구』의 4대절설, 「독중용법」의 6대절설, 원대 이후의 5대절설 및 조선 선유의 설 등을 모두 따르지 않고, 스승 李瀷의 설에 의거하여 독자적인 5대절설을 주장한 것이다. 신후담의 구조분석에 따른 요지파악은 中庸圖에 잘 나타나 있는데, 「首章圖」는 率性之謂道를 中으로 不可須臾離를 庸으로 보는 시각에 의해 中庸을 요지로 파악한 것이 특징이며, 「末章圖」는 주자의 설과는 달리 衣錦尙絅을 요지로 보고 風之自ㆍ遠之近ㆍ微之顯을 공부로 파악한 것이 특징이며, 「中庸總義圖」는 누구에게나 통용되는 도인 費와 우주 본연의 도인 隱을 두 축으로 하여 하단 중앙의 誠으로 귀결되게 한 것이 특징이다. 『중용』의 핵심명제에 대한 독자적인 해석으로는, 1)中庸을 주자와는 달리 時中과 常久로 해석한 것, 2)제1장을 『대학』의 三綱領ㆍ八條目에 비의하여 해석한 것, 3)전편의 요지를 性、道、敎의 공부로 파악한 것, 4)中庸은 道體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도를 체득하여 덕을 이룩한 것으로 해석한 것, 5)孔子中庸은 時中을 말한 것으로 보아 行事에 나타나는 실상이라 한 것, 6)費ㆍ隱을 體用論의 관점으로 보지 않고 일반인도 알고 할 수 있는 것은 費로, 성인도 모르고 할 수 없는 것은 隱으로 해석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해석은 天道보다는 人道에, 天理보다는 人事에 초점을 둔 것이 특징이다. 이런 신후담의 해석은 이익의 영향을 다분히 받은 것으로 성호학파의 실학적 사유를 반영하고 있다. This paper provides Shin Hu-dam's interpretations of The Doctrine of the Mean. Shin was a literary figure under Lee Ik and left many books about Gyeonghak. His interpretations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re found in three-volume Jungyonghuseol. The present study analyzed Jungyonghuseol,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hin's interpretations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examining their meanings in the interpretation history of the book. Shin had a couple of basic perspectiv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of the Mean: 1) analyzing the structure and identifying the points based on the original script of Zhi Xi's Jungyongjanggu.; 2) seeking after rational interpretations by consulting the theories of various masters; and 3) putting an emphasis on Uiribalmyeong through Bonjitamgu. His attitud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Doctrine of the Mean were summarized into the followings: 1) demonstrating through the broad citation of classical works; 2) finding proper meanings for the original ones through the citation of Jaseo and Woonseo; and 3) putting an emphasis on corresponding relations by examining the logical structure of sentences or paragraphs. The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Shin's interpretations of The Doctrine of the Mean in the analysis of structure and found that he argued for his own 5 Daejeolseol based on the theories of his master Lee Ik, not following the 4 Daejeolseol in Jungyongjanggu, 6 Daejeolseol in Dokjungyongbeop, 5 Daejeolseol since Yuan, and theories by old scholars in Joseon. It is a unique theory that deserves a mention as a theory in the interpretation history of The Doctrine of the Meanㆍ The points according to Shin's analysis of structure are well found in Jungyongdo: Sujangdo understands Jungyong as the point based on the viewpoint of taking Solseongjiwido as Jung and Bulgasuyui as Yong; Maljangdo sees Uigeumsangyeong as the point unlike Zhu Xi's theory and understands Pungjija, Wonjigeun and Mijihyeon as learning; Jungyongchonguido arranges Domunhak, Jondeokseong, JiㆍInㆍYong, BakhuㆍGomyeongㆍYugu, Sodeok, and Daedeok at the bottom and drives them toward Seong at the middle of the bottom under the two axes of Bi, which is the truth common to everybody, and Eun, which is the fundamental truth of the universe. Shin provided new and independent interpretations about the core premises of The Doctrine of the Mean: 1) he interpreted Jungyong as Sijung and Sanggu unlike Zhu Xi; 2) he interpreted Chapter 1, comparing it to Samgangryeong and Paljomok of Daehak; 3) he regarded Seong, Do, and Gyo of Chapter 1 as the keywords of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understood the points of the first volume as the study of Seong, Do, and Gyo; 4) he interpreted that Jungyong did not point to Doche and was the acquirement of truth and achievement of virtue; 5) he said that Gongjajungyong was the actuality in Haengsa, regarding it as the mention of Sijung; and 6) he did not adopt the viewpoint of Cheyongron for Bi and Eun and interpreted Bi as something that common people could know and do and Eun as something event sages could not know and do. His interpretations are characterized by his focus on Indo rather than Cheondo and Insa rather than Cheonri. Shin's interpretations were under the huge influence of his master Lee Ik and reflected the Silhak thinking of Seongho School.

      • KCI등재
      • KCI등재

        문학(文學) : 「무이도가(武夷櫂歌)」수용양상과 도산구곡시(陶山九曲詩)의 성향

        최석기 ( Seok Ki Choi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4 퇴계학논총 Vol.23 No.-

        이 글은 조선시대 「武夷櫂歌」 수용양상에 대해 다양한 논의를 한 기왕의 연구성과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독자적인 설을 제기한 것으로, 그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왕의 연구에서 「무이도가」 수용관점을 入道次第·托興寓意·因物起興으로 분류하거나 因物起興·入道次第로 분류한 것은 층위가 맞지 않는 상관물을 비교 대상으로 삼아 설득력이 떨어지며, 분류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재고되어야 한다. 둘째, 조선시대 「무이도가」의 수용관점으로 언급한 설은 因物起興·托興寓意로 양분하는 것이 타당하다. 인물기흥으로 본 대표적인 인물은 奇大升이고, 탁흥우의로 본 대표적인 인물은 金麟厚·趙翼이다. 종래의 수사법으로 볼 때, 인물기흥은 興에 초점을 둔 것이고, 托興寓意는 比에 초점을 둔 것이다. 요컨대 「무이도가」 수용관점은 기본적으로 比로 볼 것인가, 興으로 볼 것인가에 있다. 입도차제를 주장한 사람들은 比로 본 것이고, 그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興으로 본 것이다. 셋째, 이황의 「무이도가」 수용관점은 기본적으로 인물기흥의 興으로 본 데에 있다. 다만 이황은 제9곡시에 대해서만 탁흥우의로 보아 比의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제9곡을 極處로 보지 않고 다시 妙處를 구하는 寓意가 있는 것으로 본 것이다. 이 점이 기대승과 의견을 달리 하여 논쟁한 부분이다. 그리고 이황의 이러한 견해에 대해 송시열·이익·조술도 등은 동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황의 「무이도가」 수용관점을 전적으로 탁흥우의로 보는 것은 옳지 않다. 또한 이를 두고 양자를 절충한 설로 보거나 진일보한 설로 보는 것도 실상과 부합되지 않는다. 넷째, 후대 창작된 도산구곡시에 이황의 관점이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가를 고찰한 결과, 그 성향이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9세기 도산구곡시를 지은 18인의 18수 가운데 8인의 8수만이 이황이 妙處를 상정한 관점을 수용하고 있고, 그 나머지 10인의 10수는 제9곡을 極處로 보고 묘처를 구하지 않는 관점을 드러내고 있다. 도산구곡시를 지은 작가 가운데 절반 이상이 제9곡을 극처로 생각하는 인식을 드러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 이황이 제9곡시에 묘처를 상정한 것보다는 제9곡을 극처로 인식하는 시각이 퇴계학파 내에서도 보편적으로 수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critically review the accomplishments of the existing studies that offered a variety of discussions about the acceptance patterns of "Muidoga" during Joseon and set up an independent theory. The findings we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the existing studies classified the acceptance perspectives of "Muidoga" into Ipdojache·Takheunguui·Inmulgiheung and Inmulgiheung·Ipdojache, but the classification was characterized by ambiguous criteria and compared correlatives with wrong layers, thus losing its persuasive power and requiring reconsideration. Second, it seems valid that the acceptance perspectives of "Muidoga" during Joseon should be divided into Inmulgiheung and Takheunguui.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 that advocated Inmulgiheung was Gi Dae-seung, and his counterparts on the side of Takheunguui were Kim In-hu and Jo Ik. Considering the old rhetoric, Inmulgiheung and Takheunguui focused on Heung and Bi, respectively. In short, the acceptance perspectives of "Muidoga" were dependent on whether it was basically Bi or Heung. While the advocates of Ipdojache saw it as Bi, its opponents saw it as Heung. Third, Lee Hwang`s acceptance perspective of "Muidoga" basically saw it as Heung as in Inmulgiheung, but he argued that only No. 9 Gok poem had the meanings of Bi as Takheunguui. He reckoned that No. 9 Gok contained Uui seeking after Myocheo again, not being Geukcheo, for which he voiced different opinions from Gi Dae-seung and had a dispute with him. His opinions, however, were not agreed on by Song Si-yeol, Lee Ik, and Jo Sul. Thus it is not right to say that Lee Hwang`s acceptance perspective of "Muidoga" was solely in the line of Takheunguui. It is not true either that his theory was a compromise between the two or an advanced one from them. Finally, the study further examined how Lee Hwang`s perspective was accepted in the Dosangugok poems created in later days and found the following tendencies: only eight of 18 Dosangugok poems created by 18 people in the 19th century accepted Lee Hwang`s perspective of assuming Myocheo, whereas the remaining ten revealed a perspective of regarding No. 9 Gok as Geukcheo and not pursuing Myocheo. Given that more than a half of the Dosangugok poets exhibited a perception that No. 9 Gok was Geukcheo, it is apparent that the position of regarding No. 9 Gok as Geukcheo was universally accepted within the Toigye School rather than his assumption of Myocheo in No. 9 Gok po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