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교통약자들을 위한 산책 정보 제공 앱 서비스 설계

        공상택(SangTaek Kong),김동휘(DongHwi Kim),김어진(EoJin Kim),박희지(Huiji Park),조유정(Yujung Cho),최민규(Minkyoo Choi)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6

        대부분의 사람들은 길안내에 중점을 둔 기존의 산책로 안내 서비스를 불편함 없이 이용할 수 있다. 하지만 교통약자들은 다양한 불편 요소들로 인해 산책과 가벼운 걷기 활동에 어려움을 겪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교통약자들의 안전한 산책을 도와주고, 건강을 증진시키는 앱 서비스 ‘늘솔길’을 설계한다. Most people can use the existing application, providing walking courses, that focuses on directions. However,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have difficulties in walking due to various factors. To solve this problem, we designed an application service that helps people with reduced mobility to take a safe walk and promotes their health.

      • KCI등재

        조사논문 : 충청지역 농축산 농가들의 회계기록 인식 조사 분석

        서상택 ( Sangtaek Seo ),전익수 ( Iksu Jun ) 한국축산경영학회,농업정책학회(구 한국축산경영학회) 2014 농업경영정책연구 Vol.4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rmers` recognition on accounting record and its related policies to promote the record keeping. Ninety farmers from Chungcheong province were survey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accounting record keeping was practiced during their farming and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to see any differences in the attitude and preferences through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 shows that the attitude and preferences of the two groups were very similar except for the usefulness of the accounting record especially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participation in governmental subsidy programs. The positive rate of record keepers toward the usefulness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non record-keepers implying that the incentives for the accounting record keepers were not properly provided. This study also suggests some policy-related ideas to increase the rate of accounting record keeping.

      • KCI등재

        저장사과 출하시기별 기대소득의 확률우위성 분석

        서상택(Sangtaek Seo),김태후(Taekhoo Kim) 한국농업경제학회 2009 農業經濟硏究 Vol.50 No.1

        Stochastic dominance approach is used to help farmer s sales decision-making for stored apples in Korea. Sales periods are segmented into six sub-periods according to farmers salse behaviors, which are assumed to have different storage cost, physical loss, sales price, and thus expected income from storage decision-making. The results show that for risk neutral farmers sales periods with far distance from harvesting period are dominant to the periods close to harvesting period. As farmers risk aversion increases, the opposite results are obtained. Farmers expected income and the efficiency of storage facilities will be increased when results from stochastic dominance are appropriately incorporated in apple farmers sales decision-making according to their risk attitude.

      • KCI등재

        북한의 궁산문화 연구 과정과 편년 논리

        임상택(Lim, Sangtaek) 중부고고학회 2015 고고학 Vol.14 No.3

        본고는 처음으로 빗살무늬토기 유적이 발굴되고, 신석기시대 편년을 주도한 지역인 평남, 황해지역의 궁산문화 연구 과정과 편년 논리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북한의 고고학은 해방 후 1960년대에 이르기까지 정권 수립과 전후 복구 과정 속에서 제도 및 기구 정비, 개발에 따른 발굴조사의 폭증, 연구 인력의 양성과 함께 비약적으로 성장하였다. 궁산문화의 설정 및 편년 역시 이러한 과정 속에서 가능하였다. 서북조선에 보이는 유문의 원저・환저 토기만을 지칭하던 ‘빗살무늬토기’ 개념은 1960년 이후 신석기시대의 토기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었으며, 북구 및 시베리아 계통으로 처음부터 인식되었다. 이러한 계통론은 1960년대 중후반 주체사상의 전면화 및 도유호의 숙청과 함께 자취를 감추고 문화 발전의 고유성이 강조된다. 궁산문화 편년 연구 추이는 60년대의 궁산문화 설정 및 전・후기 세분, 4기 편년, 70년대의 궁산 4기 체제 공식화 및 편년 조정, 80년대 궁산 3・4기의 세분 시도 및 5기 체제 확립, 90년대 이후 운하 문화 설정 및 5기 세분 시도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1960년대 중반 이전은 도유호가, 그 이후 1980년대까지는 김용간, 김용남, 서국태가 연구를 주도하였다. 궁산문화의 절대연대는 문화명 설정 이후 1960년대 서포항유적 발굴(유적 발굴 성과), 1980년대 중국 동북지역 포괄(대상 범위 확장), 1990년대 단군릉 발굴과 대동강문화론(정치 논리 개입) 등의 주요한 계기들을 겪으면서 상한은 기원전 2천년기에 서 5천년기를 거쳐 7천년기로, 하한은 기원전 2천년기 말에서 4천년기 전반으로 변화되었다. 1990년대 정치 논리개입 이전까지는 조사와 연구 성과의 확대에 힘입은 긍정적 변화 과정이었지만 그 이후는 학문 적으로 평가하기 어렵게 되어버렸다. 북한신석기고고학 분야는 1960년대 이래 도유호의 유산을 극복하였 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문화종태를 중시하여 편년하는 입장, 태토의 차이를 편년에서 매우 중시하는 입장 등 주요 방법론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정치적 환경 변화 속에서 전파론적 해석을 대신한 국수주의적이 고 교조적인 해석틀은 오히려 도유호가 원했던 자유로운 학문 발전을 저해하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understand the logic of chronology and the study of Goongsan culture in the Pyeongnam and Whanghae Provinces where Chulmun(comb-pattern) pottery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Peninsula.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in the 60’s, archaeology in North Korea had developed along with increased excavations following the development of works as national projects, as well as the growth of the number of researchers despite confusion about restoration under the new regime. The study of Goongsan culture had been done in this situation. The term Chulmun pottery, originally meaning pottery with a round base in the Pyeongnam and Whanghae Provinces, has been expanded to all kinds of Neolithic pottery after the 60’s. Chulmun pottery had been recognized as the one from the north of Korea or Siberia. However, the theory of origin was changed in accordance with regularized North Korea’s Juche ideology and purge of a leading archaeologist, Yuho Do. Rather from the north or Siberia, origin of the comb-pattern has been believed to come from North Korea itself, which emphasizes its originality. The chronological study of Goongsan culture has been changed; it has been divided into two phases or four phases in the 60’s, formulated into four phases in the 70’s, subdivided third and fourth phases and formulated into five phases in the 80’s and designated as Woonha culture and subdivided the five phases. Yuho Do had taken the lead in this chronological study until the mid 60’s, and then Younggan Kim, Youngnam Kim and Guktae Seo followed him and took the lead until 80’s. The absolute date of Goongsan culture had been changed according to discovery of Seopo-hang site in the 60’s, and excavations around the northeast part of China in the 80’s, and excavation of Tangun’s tomb and the discussion about Dae-dong river culture in the 90’s. The upper limit of the absolute date changed from 2000 B.C. to 5000.B.C. and back to 7000 B.C., and the lowest limit from the end of 2000 B.C. to the first half of 4000 B.C. After the 90’s, the study of chronology in pottery still continues under the modern political-cultural situation. This nationalistic and doctrinal interpretation within an abruptly changing political situation hinders the development of academic freedom that Do aimed for.

      • KCI등재후보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 상대편년 형성과정 검토

        임상택(Lim, Sangtaek) 중부고고학회 2008 고고학 Vol.7 No.1

        이 글은 한반도 첨저 빗살무늬토기문화의 출발지이자 중심지라 할 수 있는 중서부지역의 상대편년 연구성과를 학사적 측면에서 검토한 것이다. 중서부지역의 상대편년 연구는 층위를 이룬 유적의 부재로 인해 주로 유적간 편년이나 토기의 문양분석에 입각한 편년의 주를 이루어왔다. 이로 인해 현재까지도 안정된 대별편년안이 도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편년의 형성과정을 학사적으로 검토하여 현재 제기되고 있는 논란들이 가지는 학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향후 편년연구의 진전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이 이글이 목적이다. 신석기시대 중서부지역의 상대편년은 1950~ 60년대 북한 학계의 활발한 발굴조사와 연구를 통해 ‘궁산문화’ 의 4기 편년체제가 구축되면서 기본적인 틀이 갖추어진다. 궁산문화는 초기의 명명단계, 2기 편년단계를 거쳐 내용적으로는 60년대 중반에, 공식적으로는 70년대 중반 이후에 4기 편년체제를 완성한다 북한의 편년은 문화종태 또는 유물갖춤새의 차이 확인을 통한 유적간 편년, 유구별 편년이라는 특정을 가진다 남한에서는 6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인 편년연구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며 70년대 후반 및 80년대 전반을 거치면서 중서부지역 편년의 기본 틀이 만들어진다. 여기에는 북한의 60년대 연구성과들이 반영되기도 하며, 문양론적 접근을 통한 편년 및 절대연대자료의 사용이라는 북한과는 다른 접근방법이 구사된다. 이를 통해 남한 학계에서는 중서부지역을 크게 3 ~4단계로 편년하게 되었으며, 시문부위의 축소경향, 구분계토기에서 통일계토기로의 변화 등 기본적인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게 된다. 북한이 %년대 중반 이후 이렇다할 편년연구의 진척이 없는 것과 대조적으로 남한에서는 90년대 후반 이후 기존의 편년안에 대한 비판적 수용과 세분, 새로운 문제제기가 이루어지기 시작하여 중서부지역 상대편년 연구는한단계 진전하는상황을맞이하고 있다. 아직 중기설정의 문제,통일계토기의 변화과정 , 금탄리 1식토기의 계보 및 존속기간문제, 소위 변형빗살무늬토기의 편년적 위치문제 , 주변지역과의 병행관계 둥 해결해야 할 문제가 산적해 있으나 최근 서해안을 따라 양호한 취락유적이 속속 확인되고 있어 중서부지역의 상대편년 연구 전망을 밝게 해주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establishment of Neolithic pottery chronology at central-westem/CW) Korea with historical perspective, Lack of stratigraphic evidences lead to unstable situation of pottery chronology of study area. So it is helpful to review the past researches to paint out chronological controversies, Chronology of study area was established during 1950' s and 1960' s by North Korean researchers at first, They gave a name to material cultures of CW region with 'Gungsan Culture' , and divided it into four phases(Gungsan 1 - 4), TI1is chronological scheme is authorized fomally in the 1970' s, Their approaches is characterized by the comparison of whole material assemblages among sites and features to establish chronological order. In South Korea, they started to investigate chronology of this area in late 1960' s, and established basic chronological order through late 1970' s and early 1980' s, They divided whole CW neolithic period into three (or four) phases (early-middle-late), This chronological order was influenced by results of North Korean researches greatly, but different approaches to North Korean researches was also adopted like pottery design analysis and active use of the data acquired from absolute dating, Owing to these researches, we acknowledged the tendency that design area of me pottery reduced and horizontal division of design area disappeared through time. There are many questions that answered like setting up me middle phase, genealogy and duration of Geumtanri 1 type pottery, parellel relation with surrounding regions and so forth, But owing to fine data recently acquired like settlement sites that seems to have short duration and accumulation of absolute dating data, advances in chronological study in study area can be achieved in me near future.

      • KCI등재

        신석기시대 서해중부지역 상대편년과 취락구조의 특징

        임상택(LIM, Sangtaek) 한국상고사학회 2010 한국상고사학보 Vol.70 No.-

        본고는 최근 취락유적을 중심으로 자료가 급증하고 있는 서해중부지역을 대상으로 신석기시대 상대편년을 재검토하고 취락구조의 특징을 분석한 글이다. 본고에서는 취락유적의 자료들이 서로간에 토기상에서 차이를 보이는 점을 중시해 유적간 상대편년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크게 I 기(전기)에서 IV기(만기)에 이르는 4단계의 편년안을 마련할 수 있었다. 서해중부지역 I기는 영종도 운서동 I, 대연평도 까치산 유적등으로 대표되며 전형적인 3부위시문 중심에 구연부 문양대가 좁고, 단사선문, 조문, 종주어골문 등의 문양을 중심으로 하는 시기이다(기원전 4000~3600년). II기는 크게 두 단계로 세분되며 전반은 저부 문양이 생략된 2부위시문이 유행하며 구연부 단사선문, 동체부 찰과상 다치횡주어골문이 유행하는 시기로 시흥 능곡유적으로 대표된다(기원전 3600~3400년). 후반은 서해안식의 동일계 횡주어골문이 등장하여 2부위 시문, 구연한정 시문 토기와 공반하는 시기이다. 삼목도 III유적으로 대표된다(기원전 3400~3100년). III기는 크게 세단계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전엽은 단사선문이 잔존하나 동일계 횡주골문이 중심이 되는 시기이고, 중엽은 단사선문 등 구분문계 토기가 사라지고 동일계 단치횡주어골문이 중심이 되는 시기이다. 후엽은 동일계 어골문 내에서도 어골문 시문각도가 예각화되는 시기에 해당된다. 각 분기는 대체로 기원전 3100~2900년 2900~2600년, 2600~2300년에 해당된다. IV기는 아직 취락유적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동일문계 토기의 문양이 난삽화하고 무문양이 증가하는 시기이다(기원전 2300~1500년). 이상의 상대편년안을 기초로 서해중부지역의 취락구조의 특징을 검토해 본 결과,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한단계 더 이른 I기 후반에 이미 취락은 대규모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초기농경 수용시기가 기존의 생각보다 한단계 이를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취락의 소규모화가 진행되는 III기에도 일부에서는 대규모 취락이 잔존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이와 함께 취락 배치에서도 중기 이전에는 기본적으로 구릉상에서 열상배치의 형태를 띠고 있으나 후기가 되면 3동 내외의 주거지가 하나의 단위를 이루면서 일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형태로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서해중부지역 상대편년은 이제 매우 안정된 틀을 가질 수 있게 되었으며 이에 기초해 이 지역 취락의 전개과정을 구체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향후 과제가 될 것이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chronological sequence and characteristics of settlement pattern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n peninsula during the Neolithic period. Based on the differences of potteries among settlement sites, studied area is divided into 4 phases(I~IV). Phase I is characterized by the potteries that have divisional design field (區分系) with design element such as Dansaseonmun(短斜線文), Jomun(爪文), vertical herring bone(縱走魚骨文) etc(4000~3600 B.C.). Phase II is divided into 2 sub–phases(early and late), and early sub–phase is characterized by the potteries that have divisional design field from top to middle with Dansaseonmun, Amsadong style scratched horizontal herring bone(擦過狀橫走魚骨文) etc(3600~3400B.C.). Late sub–phase witnessed on the appearance of west coast style horizontal herring bone without the division of pottery body(同一系). This design coexist with divisional one and design element such as dansaseonmun(3400~3100 B.C.). Phase III divided into 3 sub–phases(early, middle and late / 3100~2900, 2900~2600, 2600~2300 B.C. respectively). West coast style horizontal herring bone design have come to fashioned during the phase III but Dansaseonmun remains until early sub–phase. Middle and late sub–phases distinguished by the angle of horizontal herring bone design with more acute angle during the late sub–phase. Phase IV chracterized by the deterioration of design element and the increase of non–decorated potteries(2300~1500 B.C.). Based on this sequence, the characteristics of settlement pattern examined especially focused on the size of settlement and distribution of houses within the settlement. From the examination, it is revealed that the large sized settlement considered to appear during the phase II already appeared during the phase I and lasted until phase III. This may related with the fact that time of adoption of incipient agriculture earlier than we have thought. Distribution of houses within the settlement from phase I to II form a line(곢狀配置). But by the phase III, line distribution changed to sparse distribution of small units consisted of several houses. The reason of this change is a problem to be solved.

      • KCI등재

        미 항공모함 루즈벨트호의 코로나19 사태시 함장의 지휘조치에 대한 법적 검토

        이상택(Lee, Sangtaek)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法學硏究 Vol.24 No.1

        2020년 1월 미국의 핵추진 항공모함 시어도어 루즈벨트호(Theodore Roosevelt, CVN-71)가 4,860명의 승조원을 태우고 인도-태평양 지역에 배치를 위해 모항을 출항하였다. 그 후에 남중국해에서 임무수행 중이던 루즈벨트호의 승조원 3명이 3월 24일 코로나19(COVID-19)에 확진되는 사태가 발생하였다. 루즈벨트호에서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되자 함장인 브렛 크로지어(Brett Crozier) 대령은 3월 30일 미군 수뇌부에 승조원들의 하선 및 격리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냈다. 다음날 일간지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이 함장의 서한내용을 보도하였고, 미국 해군지휘부는 언론에 서한을 유출한 책임을 물어 함장을 경질시켰다. 루즈벨트호의 코로나19 사태는 미국 군사력의 상징인 핵추진 항공모함이 전염병에 의해 사실상 무력화된 사례이며, 함장의 지휘조치가 항공모함의 전투태세에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도 인식시켜 주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항공모함 루즈벨트호의 코로나19 발병시 함장인 크로지어 대령의 지휘조치가 한국의 법률 ‘군인의 지위 및 복무에 관한 기본법’ 상에 불법성이 있었는지 여부에 대한 법적 검토를 거쳐 그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함장의 지휘조치에 불법성이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연구는 한국 해군 또는 함정과 유사한 근무환경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한국군 지휘관들이 코로나19와 유사한 감염병 사태가 발생할 경우에 합리적인 지휘조치를 할 수 있도록 안내할 것이다. In January 2020, the US nuclear-powered aircraft carrier Theodore Roosevelt left its home port for deployment in the Indo-Pacific region with 4,860 crew members aboard. Later, three crew members of Roosevelt, who were on duty in the South China Sea, were confirmed to be in COVID-19 on March 24. As the COVID-19 spread rapidly in the Roosevelt, Captain Brett Crozier sent a letter to the US military leadership on March 30 asking for the crew"s disembarkation and isolation. The next day, the daily San Francisco Chronicle reported the Captain"s contents of letter, and the US Naval Command dismissed him for leaking the letter to the media. The COVID-19 incident on the Roosevelt also recognized that the nuclear-powered aircraft carrier, a symbol of US military power, was virtually incapacitated by the epidemic, and that the Captain"s command measures had a profound impact on the aircraft carrier"s combat readines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raw its implications after a legal review of whether the Captain Crozier"s command measures in the event of COVID-19 on the US aircraft carrier Roosevelt were illegal under the Basic Law on the Status and Service of Soldier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judged that the command action were illegal. And the study will guide ROK military commanders performing their duties in a working environment similar to the Korean Navy or battleships to take reasonable command measures in the event of an infectious disease similar to COVID-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