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 교육을 위한 쟁점 협상 모형에 관한 연구

        노경주 ( Kyung Joo Roh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09 시민교육연구 Vol.41 No.2

        본 연구는 국내 학계에서 제안된 시민 교육 모형의 비판적 검토, 시민성의 본질로서 고등사고 능력의 개념화, 그리고 한국인의 사고방식에 대한 고찰을 통해 시민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고 시민 교육을 위한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한국 시민 교육의 방향과 관련하여 본고는 쟁점을 다루면서 고등 사고 능력의 함양과 협상 능력의 제고를 지향하는 `쟁점 협상 모형`을 제안한다. 연구 결과, 수업 전개 과정은 문제 인식의 공유(문제 여부 확인, 문제 진술의 명료화, 개념의 정의와 명료화), 개인별 대안 결정(대안 모색, 대안의 결과 예측, 대안 선택 및 정당화), 모둠 협상안 결정(대안 공표 및 모둠 구성, 모둠 협상안의 모색, 모둠 협상안의 결과 예측, 모둠 협상안의 우선순위 결정 및 정당화), 최종 협상안 도출(모둠별 우선순위 1 협상안 공표, 최종 협상안의 모색, 최종 협상안의 결과 예측, 최종 협상안 결정 및 정당화), 실천 행위 및 반성 등 5단계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모형은 이 과정에서 쟁점을 다루면서 고등 사고 능력의 속성인 도전성, 준거성, 맥락성, 역동성, 온당성을 추구하고 지식, 비판적·창의적 사고와 메타인지, 가치, 그리고 토의 및 토론 기법 등을 의미 있게 가르칠 것을 강조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model for citizenship education. To develop the model,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d several models designed by Korean scholars, conceptualized higher order thinking as the nature of citizenship, explored Koreans` way of thinking, and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citizenship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suggests `Issues negotiation model` for cultivation of higher order thinking and promotion of negotiation skills through issues-centered education. This model consists of five steps: Sharing of problem recognition(identifying the problem, clarifying problem statement, defining and clarifying terms), reaching individual decision(identifying alternatives, predicting consequences, making and justifying individual decision), reaching group`s decision(presenting individual decision to the classmates and forming groups, formulating group`s proposal, predicting consequences, making and justifying the priority), drawing final decision(presenting group`s preferred proposal to the classmates, identifying the final decision of the whole class, predicting consequences, making and justifying final decision), and acting and reflecting. Through this process, this model pursues challengeability, criteria, contexts, dynamics, reasonableness as the critical attributes of higher order thinking, and emphasizes teaching knowledg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metacognition, values, and discussion and debate techniques meaningfully, dealing with the issue.

      • KCI등재

        사회과교육을 받은 인간: 사회과교육의 관점에 관한 재고찰

        노경주 ( Kyung Joo Roh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4 시민교육연구 Vol.46 No.3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교수도 학습도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 점에서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 관한 관점을 재고찰하고, 그 관점들이 추구하는 ‘사회과 교육을 받은 인간’을 재조명하며, 관점 정립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 사회 교과의 존재 이유로서의 우리가 길러내야 할 인간상을 제안하고 그에 따른 교사교육과 교육과정 및 교수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사회과교육에 관한 관점을 문화유산 전수, 사회과학 탐구, 개인 발달, 반성적 탐구, 사회 변혁 관점으로 규명하고, 각 관점이 사회과교육을 받은 인간으로 순응적 기능인, 사회과학적 탐구자, 사회적 자아실현인, 반성적 의사결정자, 변혁적 실천가를 추구하는 것으로 밝힌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본 연구는 변혁적 실천가를 길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반성적 탐구를 그 목적에 부합하는 수단으로 삼는 사회과교육이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그리고 그에 따른 교사 교육, 교육과정과 교수법,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한다. This study starts from the awareness of problem that teaching and learning do not occur in social studies classrooms, revisits the perspectives on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explores ‘the educated person in social studies’ which each perspective expects through teaching social studies. Based on this review, this study distinguishes the perspectives on social studies education as transmission of cultural heritage, social scientific inquiry, individual development, reflective inquiry, and social transformation. And this study identifies conformist functional person, social scientific inquirer, social self-actualizer, reflective decision maker, and transformative vanguardist as‘the educated person in social studies.’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social studies education of which goal is to foster transformative vanguardist and method is reflective inquiry. And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for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teaching, and further research.

      • KCI등재
      • KCI등재

        교사의 개인적 실제적 이론 구성과 교사 교육의 과제

        노경주 ( Kyung Joo Roh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9 초등교육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예비 및 현직 초등 교사들의 개인적 실제적 이론과 그 구성 과정을 이해하고 교사 교육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자연주의적 패러다임에 기초하여 질적 사례 연구로 수행되었다. 그리고 연구 반응자 각 개인의 실제적 이론과 그것의 구성 과정, 예비 교사, 1년 경력 교사와 그녀에게 가장 큰 도움이 되었던 8년 경력 교사, 3년 경력 교사와 그녀에게 가장 도움을 많이 준 10년 경력 교사 간에 이론과 그 구성 과정에서의 공통점과 영향, 예비 교사 교육과 현직 경험이 그들의 이론 구성에 미친 영향, 그리고 교사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예비, 초임, 3년 경력 교사에 비해 8년과 10년 경력 교사는 보다 다양하고 구체화되고 세련된 이론을 보유하고 있었다. 초임 교사와 8년 경력 교사, 3년 경력 교사와 10년 경력 교사 간에 이론 구성과 관련된 결정적 영향은 발견되지 않았다. 예비, 초임, 3년 경력 교사는 이론 형성의 배경으로 자신의 성격, 초·중등학교에서 교육받은 경험, 교육 실습 경험을 떠 올렸지만 8년과 10년 경력 교사는 교육 현장에서의 경험을 강조했다. 이 점에서 예비 교사 교육에서는 강의와 교육 실습의 질 제고를 통해 교사의 개인적 실제적 이론 파악과 구성에 도움을 주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관 정립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또한 현직 교사 교육에서는 탐구의 공동체로서 교육 연구 모임과 동료 장학의 활성화를 통해 교사의 이론 파악과 구성 및 세련화에 기여하고 그 과정에서 반성을 통한 연구자로서의 교사 능력 제고에 보다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sonal practical theories and the process of their construction, and to offer the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as a naturalistic case study explored the research respondents` personal practical theories and their theorizing processes; the common features and effects in the theories and theorizing processes among a pre-service teacher, a novice teacher and a teacher with 8 years teaching experience who has been greatly helpful to her, a teacher with 3 years and a teacher with 10 years teaching experience who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her; the influence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experiences on those respondents` theorizing; and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A teacher with 8 years and a teacher with 10 years teaching experience have more diverse, concrete, and refined theories than a pre-service teacher, a novice teacher, and a teacher with 3 years teaching experience. The evidences which a teacher with 8 years teaching experience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a novice teacher`s theorizing are not found. The same is said of a teacher with 10 years and a teacher with 3 years teaching experience. A teacher with 3 years and a teacher with 10 years teaching experience emphasized teacher experiences, while a pre-service teacher, a novice teacher, and a teacher with 3 years teaching experience pointed out her character, their own experienc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years, and student teaching as the background of theory construction. The analysis suggests that pre-service education should help students to construct their theories through the improvement of lectures and student teaching, and to establish their views of education. In-service education should help teachers to construct and refine their personal practical theories by activating teachers` group study and peer-supervision as communities of inquiry. And it should help teachers, as researchers, to promote their own teaching abilities through reflection in group study and peer-supervision.

      • KCI등재
      • KCI등재

        고등 사고 능력(higher order thinking) 과 사회적 상황에서의 연구

        노경주 한국사회과교육학회 1998 시민교육연구 Vol.27 No.1

        고등 사고 능력은 구체적인 상황(context) 속에서 이해되고 해석되고 그리고 가르쳐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회과교육 내에서의 연구는 그런 점에 큰 관심을 기울여오지 않았다. 이 연구는 고등 사고 능력의 사회적 상호 의존성을 밝히고 연구 수행에 있어서 상황의 고려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는 우선 고등 사고 능력과 사회적 상황에 대한 철학적, 심리·사회적, 그리고 사회과 교육 내에서의 논의를 검토하고, 사회·문화적 상황, 가정 환경, 동료 관계, 교실 상호작용과 같은 사회적 상황에 대한 개념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에 기초하여 끝으로 사회과 교육에서의 고급 사고 능력에 대한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