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드라마에 재현된 치매의 사회적 상상 : 드라마 〈천일의 약속〉과 〈기억〉을 중심으로

        Pok Visalboth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1999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on the social imagination about dementia that was reflected in two recently produced and broadcasted Korean dramas; <A Thousand Days’ Promise>and <Memory>. In both these dramas, dementia was regarded as their central focus which is recently regarded as the cause for nervousness and fears among people in this aging society. For this, we analyzed social problems of dementia based on dramas’ cultural function and emotional communication function. Particularly, we focused on carrying out a reflective research on sensitivity, or sensibility on dementia to analyze the pain and social imagination from this disease. We analyzed the sensitivity of pain and the social imagination shown in the above two mentioned dramas. Through an analytical perspective, we aimed to convert the problems of dementia, which reflects on the sufferings of others, into a universal human problem. In the process of doing that, we intended to raise the public understanding and awarenesson the pain caused by dementia, and to provide a reflective perspective on dementia by analyzing the aspects of social imagination surrounding it. Therefore, first, we analyzed the discourses on dementia in mass culture to explore on the contextual tendency to topicalize dementia in these two dramas with regard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Korean society and its mass culture. Second, we paid attentions to its symptoms and individual experiences of dementia as well as the responses from their acquaintances on the disease that appear in the current Korean media. By doing this, we aimto explore the dramatic imagination from this dementia that extends to causing problems at the individual, family and societal levels. We also analyzed that each drama has its own ways and intentions of dealing with dementia when it comes to dramatic imaginations about the responses of a family and society to the problem of dementia. Lastly, we considered the stigmatization on the gendered social imagination on dementia. We have also focused on the narrative reproduction of emotions of dramas in order to discover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n the emotional experi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patients who suffer from dementia. Thus, we shed light on the social norms and ideologies inherited on the gendered society. Moreover, we analyze don the perspective of social imagination on dementia by looking atthe expectations and prejudiceson masculinity or a patriarchal system, and on femininity or female roles and maternal instinct, which are inherent in the narratives in a drama that is highly influencedby sociocultural ideologies on the gender roles. In addition, by analyzing and exploring these two dramas, we derived the sociocultural value of understanding other peoples’ sufferings. By approaching the problems of dementia from the psychological dimension, we investigate and reveal the sensibility of the patients to the pain when using the method of sentiment analysis. Ultimately, through this, we could examine the psychological structure where a patient’s pain from anger, refusal, negligence, admittance, fears, nervousness, and frustration interact each other. This analysis of a patient’s psychological structure provides viewers with insights not only on the cognitive understanding onut also on the importance of being empathetic towards the dementia patient who experiences great hardships every day. At the same time, it also enables the viewers to acknowledge that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dementia are not confined to an individual patient, but to the problems ofthe society; and, thus, it helps reach to the common understanding of the public on the importance of jointly resolving these issues. Nevertheless, we also further provide a reflective point for a nursing care. The two dramas highlight on the situations where families should be mainly responsible for the nursing care for patients. This has positive impacts on ensuring the love and passion from the family members towards the patient that subsequently prevents from the marginalization of the patient. This ultimately contributes to the production of a touching and happy narrative of the story from the family perspective. However, the two dramas do not explicitlymention about the welfare system or nursing care. On the contrary, the lack of social welfare system is portrayed through the situation when family members have to take necessary responsibilities in taking caring of the patients. other words, through the expression of certain actions and situations, these dramas perfectly conceal on the need for a better welfare system and its effective policies. Thus, these dramas fail to reflect the reality of the Korean publics’ need for a better welfare system. At the same time, the expression of some expectations and desires for the social care also reflects the problem of dementia where the responsibility of taking care of the patients was limited to individuals and his or her family members. This effectively opens up for the possibility of introspection which enables the society to actively proceed towards a demanding a welfare state. To conclude, this research proposes a possibility of introspection through social imagination by approaching the problem of dementia from the emotional dimension or perspective through dramas, which is one of the main factorsin influencing the mass culture.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한국 사회에서 새로운 불안과 공포의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는 치매에 대한 사회적 상상력을 이해하기 위해 치매를 소재로 삼아 최근에 제작, 방영된 두 편의 한국 드라마를 대상으로 하여 해당 드라마들에서 재현된 치매에 대한 사회적 상상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를 위해 드라마의 문화적 기능과 감성적 소통의 기능을 바탕으로 하여 치매에 대한 사회적 문제를 분석하되, 치매에 대한 감성 또는 감수성을 성찰적 관점으로 조명하는 방식으로 드라마에 재현된 치매의 고통과 사회적 상상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텔레비전 드라마 <천일의 약속>과 <기억>을 주요 분석 텍스트로 삼아 여기에 재현된 치매 당사자의 고통의 감수성을 분석하고, 당사자와 주변인이 치매를 대하는 사회적 상상을 해명해 보고자 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치매 문제를 노인 문제가 아니라 인간 보편의문제로 전환함으로써, 타인의 고통을 성찰하는 해석학적 시각을 제안해 보려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 과정에서 드라마가 시청자로 하여금 치매의 고통이 무엇인지를 사유하도록 안내한 매개가 되는 지점에 대한 대중적 이해를 도모하고, 드라마와 시청자 간에 공유된 치매에 대한 사회적 상상의 양상을 분석함으로써,치매를 바라보는 성찰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현대 한국사회 현상과 한국 대중문화의 특성을 도태로 두 편의 드라마에서 치매를 주제화하는 맥락성을 탐구했다.이를 통해 대중문화에서 치매담론이 구성되는 방식을 해명했다.둘째, 오늘날 한국의 미디어에서 재현되는 치매의 증상, 개인의 체험, 주변인의 대응에 주목하고,이것이 개인과 가족, 사회문제로 확장되는 드라마적 상상력을 성찰했다. 이때치매에 접근하는 가족과 사회적 대응에 대한 드라마적 상상력에 주목함으로써,각 드라마에 치매를 재현하는 방식과 의도가 상이하다는 것을 해명했다.셋째, 젠더화된 치매에 대한 사회적 상상력에 대해 고찰했다. 본고는 드라마의 서사적 감정재현 설정에 초점을 두고 대중매체에서 상상되는 치매당사자 남녀의 감정 경험을 둘러싼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고,그 이면에 내재된 여성과 남성에 대한 사회적 이미지와 이데올로기를 조명하였다. 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드라마 서사에 내재된 남성성• 가부장 체계와 여성성• 여성의 역할과 모성에 대한 기대와 편견을 살펴봄으로써 젠더화된 치매에 대한 사회적 상상의 시각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타인의 고통에 대한 이해가 수반하는 문화사회적 가치가 무엇인지를 해명했다. 드라마에서 치매 당사자가 지닌 고통에 대한 감수성을 감정 분석을 통해 규명함으로써 심리 구조적 차원에서 치매 문제에 접근하였다. 이를 통해 치매 당사자가 느끼는 분노의 고통, 거부, 회피, 인정, 공포, 불안, 좌절 등이 발생하며 상호 간섭하거나 중첩되는 심리 구조를 살펴볼 수 있었다. 본고가 수행한 심리에 대한 구조 분석은 치매 당사자가 일상 생활에서 겪는 문제와 심리적 고통에 대해 시청자가 인지적으로 이해할 뿐만 아니라 감성적으로 공감할 수 있게 하는 바탕을 제공한다. 동시에 치매에 대한 문제를 당사자 개인이 아닌 사회의 문제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가 됨으로써, 모든 사회 구성원이 이 문제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해결해야 할 사회적 문제라는 인식에 도달하게 하였다. 본 연구가 수행한 주변인에 대한 연구는현실에서의 치매 간병과 돌봄에 대한 성찰 지점을 제공한다. 두편의 드라마에서는 간병과 돌봄이 주로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치매 부양 가족에 대해 격려와 지지의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치매 당사자가 가족으로부터 소외되지 않도록 가족의 사랑과 열정을 부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이는 결과적으로 감동적이고 행복한 가족 서사의 재현을 창출하는 데에 기여한다.동시에 개인의 불행을 가족이 책임지는 것을 당연시하는 가족주의적 인식을 강화하는 역기능 또한 생성하고 있었다. 한편, 두드라마는 복지 시스템이나 돌봄에 대해 적극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나 가족의 전면적인 책임을 내세우는이면에서 적절한 사회적 복지시스템의 부재를 드러낸다. 즉, 복지와 사회에 대한 기대를 억제하는 표현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현실에서 많은 사회적 관심을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정책과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는 적극적인 인식을 누락시켰다. 동시에 사회적 돌봄에 대한 기대와 욕망을 표현함으로써 개인과 가족의책임으로한정되는 치매 문제를 지적하고 사회가 적극적으로 복지국가로 나아갈수 있는 성찰의 가능성을 열어 주는 역할을 했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는 대중문화인 드라마를 통해 치매에 대한 문제를 감성적 차원에서 접근함으로써 사회적 상상력을 통한 성찰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제주4·3평화기념관과 쯩아익학살기념관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 : 다크 투어리즘의 시각을 경유하여

        Visalboth Pok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1999

        제주4·3평화기념관과 쯩아익학살기념관에 대한 비교문화적 연구 -다크 투어리즘의 시각을 경유하여- 본 연구는 제주4·3과 킬링필드 학살사건을 재현한 ‘제주4·3평화기념관’과 ‘쯩아익학살기념관’의 공간적 의미와 체험의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기념관이 사회·문화적으로 환기하는 가치와 성찰의 차원을 해명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이를 통해 민간인 대학살 사건으로 발생 된 양국 국민의 트라우마가 관광화 된 다크 투어리즘 체험을 통해 문화적이고 감성적 이해를 어떻게 이끌어내는지에 대해 해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기억의 공간, 몸(주체), 감수성, 역사와 공간, 체험자의 신체 경험을 교차하는 개념으로 활용했다. 이로써 제주4·3과 킬링필드 사건이 야기한 트라우마가 다크 투어리즘을 매개로 한 관광과 관람 행위를 통해 어떠한 성찰의 지점을 생산해낼 수 있는지, 또한 고통과 상처로 이어진 트라우마가 과연 이를 통해 치유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구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각국의 역사적 맥락 속에서 형성되고 각인되며 공유되어 온 트라우마의 문제가 관람을 통하여 국적성과 역사성이 분리된 타인에게 공명되어 동시대를 살아가는 세계 시민에게 어떠한 사유와 성찰의 지점을 제안할 수 있는지를 사유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연구의 개념적 틀로 세 가지의 개념을 제시한다. 첫째, ‘역사적 기억’, 둘째, ‘역사적 트라우마’에 대한 시각, 셋째, 기념관을 ‘트라우마의 장소’로 개념화하여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접근의 수단으로 다크 투어리즘을 문화적 체험의 행위로 개념화했다. 연구의 개념적 틀을 바탕으로 ‘기념관’의 개념에 대해 조명하고 이해한 뒤 트라우마와 다크 투어리즘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트라우마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역사적 기억의 개념에 대해 논의하고 트라우마와 트라우마 치유에 대한 개념을 조명했다. 연구의 핵심 개념을 이해 한 뒤 본격적으로 연구대상인 제주4·3평화기념관과 쯩아익학살기념관에 대해 분석했다. 기념관에 대한 분석은 해당 두 개의 기념관이 어떤 맥락 및 과정에서 만들어졌는가에 대한 질문에 해명한 것이다. 각각 기념관의 설립과정을 조명하기 위해 먼저 제주4·3과 킬링필드에 대한 역사적 이해를 제공했다. 또한, 본 연구는 제주4·3과 킬링필드 기억-트라우마의 재구성과 재현에 대한 이해를 탐구했다. 즉, 연구대상인 해당 두 개의 기념관을 어떤 방식으로 재현하였고, 그러한 재현을 통해 드러내는 기억-트라우마에 대한 재구성은 어떠한 것인지 그리고 기념관을 접촉한 경험을 바탕으로 기억-트라우마의 재구성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가능한지에 대한 것을 분석했다. 이를 해명하기 위해 해당 두 개의 기념관의 전시공간과 재현에 대해 정치적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그 과정에서 기념관의 전시공간의 설계와 참여자의 행위와 감성에 대해 분석했다. 여기서 참여자의 행위에 대한 분석은 참여자들의 인터뷰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했다. 전시공간의 설계와 참여자의 행위에 대해 분석한 작업은 문화적 행위로서의 다크 투어리즘 즉, 기념관 체험을 통해 주체에게 어떤 변화가 있는지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기념관을 접촉한 뒤 주체의 변화에 대해 모색하는 것은 문화적 체험으로서의 다크 투어리즘과 트라우마 공간의 접촉을 통해 공간과 몸(주체)이 교차되는 ‘횡단신체성’의 가능성에 대해 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토대로 체험으로서의 다크 투어리즘을 통한 트라우마의 성찰적 수용에 대해 해명했다. 이를 위해 연구대상인 기념관의 동선 경험을 통해 방문객의 횡단신체성과 감성적 수용에 대해 살펴보았고, 그 과정에서 해당 기념관이 지닌 역사성과 정치성에 대한 성찰의 시각을 제언했다. 이때 각각 기념관이 장소성과 세계와의 연결성 및 확장성을 지니고 있음을 조명했다. 더불어 주디스 루이스 허먼의 트라우마 치유의 개념을 바탕으로 트라우마로 조성된 가념관의 공간과 전시물 감상을 통해 트라우마와 직면하는 것에 대해 조명했다. 이를 통해 성찰적 차원에서 다크 투어리즘의 체험이 문화적 치유의 가능성으로 볼 수 있는가에 대한 모색을 해명했다. 본 연구는 각각 두 개의 기념관의 공간과 트라우마의 재구성과 재현을 이해한 뒤 각각 기념관이 소유한 차이점을 통해 비교하여 분석했다. 세 가지 측면으로 비교하고 분석한 점은 첫째, 역사성과 정치성에 대한 비교이며, 둘째 예술적 재현과 교육적 효과에 대한 것이며, 셋째 문화적 가치에 대한 비교이다. 이와 같은 지점들을 분석함으로써 각각의 기념관이 지니는 특성과 그 의미를 조명했다. 그 과정에서 해당 두 개의 기념관의 차이점에 대한 조명은 역사, 기억-트라우마에 대한 재현과 재구성이 양국의 국가 성향, 정치, 교육적 효과, 문화, 종교 등을 동시에 이해하는 시각을 탐색해 보았다. 더 나아가 해당 두 개 기념관의 차이점 속에 내재되어 있는 공통성을 모색하고, 그 공통성 속에서도 엄밀한 차이점을 발견함으로써 사회·문화적 의미를 해명했다. 마지막으로 결론에서 연구의 결과를 다루면서 킬링필드 트라우마 경험자로서 학살사건의 포스트메모리는 어떻게 이야기가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다음 연구의 과제로 남겼다. 이는 학살사건의 포스트메모리를 갖는 2세 연구자로서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성찰적 시선으로 트라우마와 포스트메모리에 대해 사유하는 것이다. 핵심되는 말: 역사, 기억, 재현, 기념관, 제주4·3, 킬링필드, 트라우마, 다크 투어리즘, 치유, 성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