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체간안정화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호흡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경진(Kyeong-Jin Lee),정주현(Ju-Hyeoun Jeong),조명래(Myeong-Rae Jo),김세윤(Se-Yoon Kim),김난수(Nan-Soo Kim)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 2019 대한심장호흡물리치료학회지 Vol.7 No.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unk stability training on improving trunk control, respiratory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activa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s : The subject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the intervention group (n=15) and the control group (n=15). Both groups participated in a conventional stroke rehabilitation program, but the intervention group also received trunk stability training for 30 minutes a day, 3 times a week, for 6 weeks. The main trunk stability exercise consisted of the dead bug exercise. Trunk control was assessed using a trunk impairment scale, and respiratory function (pulmonary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function) was assessed using spirometr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Pearson correlation,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test. Results : Trunk control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pulmonary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runk control and respiratory function. Conclusion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a conventional stroke rehabilitation program and trunk stability training have positive effects on respiratory function and respiratory muscle activation in stroke patients.

      • KCI등재

        Exploring Perceptions of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Their Students on Learning Environments

        신명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5 교과교육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과학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의 수업환경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 가를 비교하는 것이다. 즉, 교사들이 자신의 학생들과 어떻게 다르게 자신의 학습환경을 보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는 9학년과 10학년의 354명의 학생과 8명의 중등 과학 교사가 참여하였다. 연구에서 수업환경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활용한 도구는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Survey(CLES) 조사였다. 이 CLES 설문지의 주요 초점은 학생들 혹은 교사가 학생 중심 수업이라는 측면 에서 자신의 학습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다. 이 도구는 6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 다. 각각의 하위 영역은 개인적 적절성, 비판적 나눔, 통제의 나눔, 학생 조정, 과학적 불확정성, 태도이 다. 이 연구를 통해 한국의 중등 교사와 학생 모두 학생이 수업환경의 통제의 나눔 영역을 가장 낮게 평가 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교사와 학생이 모두 수업의 통제를 학생과 나누는 상황이 교실에서 별로 나타나고 있지 않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수업환경 인식 조사 도구인 CLES의 하위 영역별의 점수에 서는 교사와 학생 간의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하위 영역별 점수가 나타내는 양상 면에서는 학생과 교사 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의 과학 교실에서 학생 들이 자신의 과학 학습을 얼마나 조절 혹은 통제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는가와 관련한 사회문화적 제한에 대한 논의를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eir learning environment compared to their students in Korea. This study involved 354 students in 9th and 10th grades and their 8 science teachers, and investigated their perceptions of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The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 was measured by employing the instrument of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Survey(CLES). The main focus of the CLES was to evaluate to what extent the classroom was prepared for student centered learning in six domains personal relevance, critical voice, shared control, student negotiation, scientific uncertainty, and attitude. This research found that both secondary science teachers and their students evaluated their science classes as lowest in the domain of shared control. That is, both teachers and students seemed to view students' sharing control of the learning environment with the teacher as seldom found in their classrooms. In addition, both teachers and students showed a similar pattern in the scores in the domains of the CLES, while the scores in each domain of CLE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also lead to discussions on sociocultural constraints to limit students' sharing control in their learning in science classrooms.

      • 韓國産 擔子菌類의 抗菌成分에 관한 硏究 (II) : 10種의 擔子菌에 대한 抗菌成分 檢索 A Screening Test for the Antibiotic Activities of Ten Basidiomycetous Fungi

        鄭敬壽,申明哲,柳柄泰,金炳珏 충남대학교 약학대학 의약품개발연구소 1986 藥學論文集 Vol.2 No.-

        The ether, methanol, and physiological saline extracts of the dried carpophores of ten basidiomycetous fungi, which were collected in the conifer wood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t Taechon and Keyryoung Mountain Area in Chungcheungnamdo, were subjected to an antibiotic activity test by disc-plate method. Among them, the methanol extracts of Inocybe trechispora, Lactarius velumis, and Laccaria laccata and the ether extracts of I.trechispora showed antibiotic activities against Sarcina lutea; and the methanol extracts of I. trechispora and L. velumis and physiological saline extract of Coriolus versicolor showed antibiotic activities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the methanol extract of L. velumis showed antibiotic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None of the extracts, however, showed any activity against Serratia marcescens and Proteusvulgaris.

      • KCI등재

        과학탐구의 핸즈온 활동 내용, 사고 활동 내용, 논리적 구조 측면에서의 초등 과학 교과서 분석 : 지구와 우주 영역의 사례

        신명경,이수정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2007개정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3학년에서 6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와 우주영역에서 탐구 활동의 핸즈 온 활동(hands-onactivity) 내용, 사고활동(minds-onactivity) 내용 및 논리적 구조가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분석하여 교과서에서 과학탐구 활동이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적합하게 구성되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및 선행 연구 검토과정을 거쳐 과학탐구 활동을 분석하였다. 즉, 탐구의 핸즈 온 활동내용 및 사고활동 내용을 우선 정리하고 논리적 구조가 어떻게 분류․ 제시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선행 연구에서의 탐구 활동 분석연구에서 제안한 분석틀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핸즈 온 활동 내용은 주제별로, 그리고 학년별로 고르게 분배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사고활동 내용 측면에서는 ‘자료에 대해 가능한 설명제안하기’의 비중이 적었음을 알게 되었다. 이는 학생들이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과정을 그대로 따라 하도록 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음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논리적 구조를 분석한 결과 ‘질문이나 예상을 하고 나서 자료를 수집하는 논리적 구조’는 6학년에서만 높은 비중(91.6%)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탐구 활동에서의 논리적 구조가 미래 교과서 개발에서 고려되어야 함을 암시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학생 탐구라는 목적에 걸맞도록 과학적 추론과 사고를 지향점으로 하는 교과서의 변화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analyze the inquiry activities of the area of earth and space in Science textbooks from the third grade to the sixth grade, developed by the revised 2007 curriculum, examine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of textbooks are suitably organized for achieving the purposes of curriculum. To achieve them, it was analyzed how hands-on activity contents, minds-on activity contents and logical structure are by means of a framework suggested by analyzing scientific activities through previous literature reviews. Based on the findings, the hands-on activity contents were evenly distributed throughout the grades and topics. On the other hand, minds-on activity contents involving students in initiating their own inquiry and manipulating their own thinking were rarely found, which means that the proportion of ‘suggestion of the explanation which is possible for materials’ was low in the given textbooks. The logical structure of inquiry activities was only found in 6th grade among 3rd to 6th textbooks. That is, ‘logical structure gathering materials after questions and expectation’ showed 91.6% in the 6th grade. It implies that logical structure of inquiry activities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t was also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how the textbook needed to be changed in order to purchase scientific reasoning and thinking which is the goal of science inquiry.

      • KCI등재후보

        빠딴잘리 요가경에 나타난 인간의 본성과 삶의 목적

        조옥경,김명권 한국동서정신과학회 1999 동서정신과학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빠딴잘리 요가경에서 가정하고 있는 인간관과 인생관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다양한 요가의 기법들과 목표는 단순한 철학적 이해를 넘어 인간 심성의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심리학의 관심사와 일치한다. 그러므로 빠딴잘리 요가경을 심리학적인 시각에서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빠딴잘리는 인간은 순수의식인 뿌루샤와 물질적 요소인 쁘라끄르띠로 되어 있고 이 두 요소는 서로 관련 없이 독립적으로 존재한다고 보았다. 현상적으로 경험하는 심리적 실체인 '나'는 뿌루샤와 쁘라끄르띠의 혼동으로 파생된 것이므로 궁극적으로는 허구임을 강조하였다. 이 혼동을 아위디아(Avidya ̄)라고 하며 이로 인해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온갖 고통이 파생된다. 고통을 피하려는 욕구는 모든 인간에게 공통된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고통의 근본원인인 아위디아를 완전히 뿌리뽑아야한다. 여러 가지 명상법과 고행 법은 결국 아위디아를 제거하여 인간 본연의 실체, 즉 뿌루샤와 쁘라끄르띠의 완전한 분리를 체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사는 삶만이 진정으로 가치가 있는 삶임을 빠딴잘리는 거듭 강조하고 있다. 뿌루샤의 절대적 존재를 깨닫고 직접 체험함으로써 쁘라끄르띠의 무상한 세계를 초월하여 절대 자유와 행복에로 도달하는 것이 인생의 진정한 목적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빠딴잘리 요가경의 인간과 인생에 대한 태도는 언뜻 보기에는 지나치게 비현실적이고 때로는 무모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빠딴잘리는 자신의 시각을 뒷받침하는 이론적,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면서 자유와 행복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설명하였다. 오랜 세월을 거쳐 경험적으로 입증되어온 요가의 실천적 방법들이 최근 심리치료에 적극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실정임을 고려할 때 그 방법들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철학적 가정들을 심리학적인 측면에서 재조명해보고 그 가치를 새롭게 찾는 것이 시급한 일이라고 본다. This theoretical study aims to examine the several basic assumptions that Patan~jali's Yoga Su ̄tra has adopted about the nature of man and the goal of life. The Yoga Su ̄tras are considered the foundation of all Yoga practice and Yoga psychology. People have been practicing Yoga for centuries in order to obtain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benefits that arise out of this discipline. Despite the increasing interest of contemporary Western psychology in the practice of Yoga, comparatively little has been written about its philosophical aspect.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make explicit theoretical points of Yoga's view about man and his life. Patan~jali assumed that man consists of two separate elements; Purus??a and Prakr??ti. The Purus??a is the pure and essential consciousness. Prakr??ti is the term used to designate everything else in the universe aside from the Purus??a, mainly the natural or material world. According to Patan~jali, the cause of all mental pain and anguish is avidya, lack of understanding the distinction between Purus??a and Prakr??ti. This wrong identification with man's material nature as opposed to one's Purus??a, that is Avidya ̄, should be removed by the right knowledge to obtain the absolute happiness and freedom free from all the pain and suffering. Hence the true goal of life is to escape from pain which are yet to come by means of destroying Avidya ̄. As the Avidya ̄ is the fundamental cause of other sufferings, one's whole life should be devoted to the effective and practical ways to root it out. The philosophical presuppositions of Patan~jali about man and man's life seems to be metaphysical and mystical, not deserving of serious scientific comment. But he deals with human sufferings and the practical means to overcome them in a systematic way. His theoretical assumptions helps us to gain an understanding of Yoga psychology's principles of mental health, psychological disturbance, and therapeutic change.

      • 교사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과정을 통한 과학교사의 변화

        신명경 朝鮮大學校 師範大學 附設 敎科敎育硏究所 2004 敎科敎育硏究 Vol.25 No.1

        이 연구는 Iowa Chautauqua 여름 워크삽(rCP)에 참석한 한국과학교사의 교수법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ICP는 다년간 진행되어 온 과학교사의 전문성 개발과 수업 개혁을 위한 과정으로 과학 교수와 학습에 효과적이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미국의 교육부에서 인정한 Iwoa 중등학교 과학 교수와 학습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National Diffusion Network을 통하여 미국 전역에 보급되었다. 2000년도 ICP에 참여한 한국 과학 교사 7명이 자원하여 연구에 참여하였다. 체계화되고 잘 조직된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교사의 바람직한 변화를 유도할 수 있다. ICP는 구성주의 관점에서 참여 과학교사들에게 교수와 학습의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들이 제공되었고, 그러한 경험들을 교사의 현장 실행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노력을 하였다. 교사의 교실 실행과 과학교 육연구가와의 상호협동적 연구는 과학교수와 학습에 있어서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었다.

      • KCI등재

        초등교사의 비형식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

        백소이,노석구,신명경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1 교과교육학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비형식 과학교육의 전반적인 경험실태 분석과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수도권 소재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그와 같은 인식이 교사들의 비형식 과학교육 경험과 어떤 연관이 있는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후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들의 인식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분석을 위해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대부분의 교사들은 비형식 과학교육이 자신들의 과학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고 있으며(73.4%), 프로그램이 재미있었다라고(83.3%) 응답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들의 긍정적인 과학태도를 형성을 위해 학교교육과정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으로 과학캠프를 가장 선호하였다. 이와 같은 교사들의 선호는 교사들의 일반적인 사항이나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체험 유무, 횟수 보다는 교사 개개인의 개인적인 경험과 신념이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로서의 입장에서 벗어나 학부모의 입장에서 본인들의 자녀들을 위해 선택하고 싶은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으로 학교 밖 프로그램을 더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그에 대해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프로그램의 문제점에 대해 잘 알고 있다는 점과 학교 밖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장점을 그 이유로 들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비형식 과학 교육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이제까지 특정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단기적인 효과성에 대해 논의하는 연구가 대다수였다. 장기적이고 총체적인 접근을 한 연구가 부족하다. 실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교사들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과 정규 교육과정의 연계 과정 등에 대한 연구 등 비형식 과학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research attempted to analyze the recognition of informal science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a written survey of 278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national capital region and interviews with seven teachers. It was found from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that the majority of the teachers perceived informal science education 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of mind(73.4%) and that the informal program was fun and interesting (83.3%). Most teachers also recommended science camp as a desirable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 operated within school curriculum rather than outside it. As parents of elementary students, however, they preferred science camp outside the school curriculum. During the interviews with sample teachers, teacher K said that most teachers have some problems with informal science education in school; they preferred an out-of-school program to an in-school program.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regarding specific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s' effectiveness in the short term, but few dealing with a long term or systematic approach. Based on this study, some suggestions are indicated with respect to informal science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formal science education programs and methodology, as well as studies on associating informal education with the school science curriculum.

      • SCIESCOPUSKCI등재

        Sele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cin-Producing Lactobacillus sp. AP 116 from the Intestine of Pig for Potential Probiotics

        Myeong Su Shin,Hyun Jong Choi,Kyeong Hyeon Jeong,Jong Cheol Lim,Kyeong Su Kim,Wan Kyu Lee 한국축산식품학회 2012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solate bacteriocin-producing bacteria with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pathogens from the intestines of pigs for probiotic use. Lactobacillus sp. AP 116 possessing antimicrobial property was selected from a total of 500 isolates. The AP 116 strain showed a relatively broad spectrum of inhibitory activity against Listeria monocytogenes, Clostridium perfringens, Pediococcus dextrinicus, and Enterococcus strains using the spot-on-lawn method. Bacteriocin activity remained unchanged after 15 min of heat treatment at 121oC and exposure to organic solvents; however, it diminished after treatment with proteolytic enzymes. Maximum production of bacteriocin occurred at 34oC when a pH of 6.0 was maintained throughout the culture during fermentation. According to a tricine SDS-PAGE analysis, the molecular weight of the bacteriocin was approximately 5 kDa. The isolate tolerated bile salts and low pH, and also induced nitric oxide (NO)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Bacteriocin and bacteriocin-producing bacteria, such as Lactobacillus sp. AP 116, could be potential candidates for use as probiotics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in the pig industry.

      • A Comparison of the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Myeong-Kyeong Shin 仁川敎育大學校 科學敎育硏究所 2007 과학교육논총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eight science teachers viewed their learning environment compared to their students. This study involved 359 students and their 8 teachers in 9th and 10th grade to investigate their perceptions of learning environment. The perc데tions of learning environment was measured using the instrument of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Survey. The main focus of the CLES was to evaluate how the classroom was prepared for student centered learning environment. This was analyzed in six domains; personal relevance, critical voice, shared control, student negotiation, scientific uncertainty, and attitude.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the overall trends were similar in all the subcategories of the CLES.

      • KCI등재

        Searching for Science Education in On-Line Resources Provided by Natural History Museums

        ( Myeong Kyeong Shin ),( Sun Kyung Lee ),( Ji Eun Choi ),( Chan Jong Kim ),( Chang Zin Lee ),( Ho Seung Byun ),( Jin Young Lim ),( Young Soo Jung ),( Sun Kyu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04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on-line teaching materials on websites of natural history museum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the nature of science. The target resources were selected from the websites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 in London, the Australian Museum in Sydney, the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in Chicago, and the Smithsonian Museum in Washington D,C.. A total of twelve on-line resources from these museums used in this study were selected as representative informal science teaching materials. For the investigation, this study developed a checklist with a total of nine items that were grounded on mostly reviewing previous literature and articles focusing on educational perspectives of natural history museums and science centers. Exciting and positive results were found in all four museums. The analyses, however, indicated weaknesses as well as strengths in on-line resources regarding their usages as informal science teaching ven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