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 패러다임 전환과 독일학의 방향

        이미영 ( Lee¸ Miyoung ) 한국독일어문학회 2021 독일어문학 Vol.92 No.-

        본 연구는 정보화시대의 미래교육을 준비하는 독일학의 방향 설정을 위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5년에 전면 도입되는 고교학점제의 추진 방향 중 하나인 ‘학교교육의 경계 확장’ 측면에서 접근하여, 고등학교와 대학과의 교육공동체 구축에 대한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독일학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전망 모색 차원의 다양한 연구를 살펴본다. 또한 고교학점제 도입과 관련한 연구를 통해서 고교학점제에 관한 각 교과 및 분야별 연구를 파악한다. 3장에서는 고교학점제의 도입 목적, 추진 방향 및 계획 그리고 교육과정 등을 살펴보며 고교학점제가 우리 교육에서 어떠한 변화를 일으키게 될지 자세히 알아본다. 4장에서는 고교학점제의 추진 방향 중 하나인 ‘학교교육의 경계 확장’으로 접근하여 대학의 독일학 분야 학과에서 미래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3가지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교육과정 과목 재구성 방안을 통한 고교학점제와 대학 독일학과의 연계성 확보, 둘째, 고교-대학 연계 프로그램 도입, 셋째, 현직 교원에 대한 독어학 관련 연수를 통한 고교학점제의 전문강사를 양성하고 지원하는 것이다. Das Ziel der vorliegenden Arbeit ist es, eine Richtungsbestimmung der Deutschlandforschung zur Vorbereitung auf die zukünftige Schulbildung im Informationszeitalter vorzunehmen. Zu diesem Zweck wird ein realistischer und konkreter Vorschlag für den Aufbau einer Bildungsgemeinschaft zwischen Oberschulen und Universitäten präsentiert. Dabei nähert sich die Deutschlandforschung dem Oberschul-Punktesystem unter dem Aspekt der „Grenzerweiterung der Schulbildung“, das 2025 vollständig eingeführt wird. Diese Arbeit beschäftigt sich mit früheren Untersuchungen zur Deutschlandforschung und dem Oberschul-Punktesystem, unter anderem der Definition, dem Einführungsziel und der Antriebsrichtung des Oberschul-Punktesystems sowie einer einzuschlagenden Richtung der Deutschlandforschung nach dem Paradigmenwechsel im Bildungsbereich. Zum Schluss werden folgende drei Vorschläge gemacht: Erstens die Verknüpfung von Oberschul-Punktesystem und dem Studium Deutschlandforschung durch die Rekonstruktion der Fächer, zweitens die aktive Einführung von Verknüpfungsprogrammen zwischen Oberschulen und Universitäten(gemeinsame Online-Lehrpläne, mit Universitäten verbundene Fortgeschrittenenkurse usw.) und drittens im Rahmen von Angebot und Nachfrage die Unterstützung von Lehrkräften des Oberschul-Punktesystems, die als Experten und Ausbilder hinsichtlich des Deutsch- und Kulturunterrichts beschäftigt sind.

      • KCI등재

        폴리페놀을 다량 함유한 커피박 및 녹차박 추출물의 수준별 첨가가 반추위 발효 및 메탄 발생량에 미치는 영향

        원미영 ( Won¸ Miyoung ),류채화 ( Ryu¸ Chae-hwa ),박혜련 ( Bak¸ Hyeryeon ),채병호 ( Chae¸ Byungho ),장승호 ( Jang¸ Seung-ho ),최승신 ( Choi¸ Seung-shin ),최봉환 ( Choi¸ Bong-hwan ),이성수 ( Lee¸ Sung-soo ),이진욱 ( Lee¸ Jinwook 한국유기농업학회 2021 韓國有機農業學會誌 Vol.29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dition levels of coffee and green tea by products extract including polyphenols through hot water extraction on rumen fermentation. The treatment groups consisted of coffee extract (CO), green tea extract (GR) and mixed extract (MIX), and the addition level was 10 μL, 20 μL and 30 μL of three levels. The experiment consisted of a total of 10 experimental groups including the control group, and a full factorial design was used. The effect of polyphenol addition in coffee and green tea by-products was analyzed through main and interaction effect of statistical analysis.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extracts was 106.15, 79.10 and 185.25 μg GAE/g DM for coffee by-product, green tea by-product and mixture, respectively. Total ga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treatment groups than in the control (114.00 mL/gDM) (p<0.05). Methane emission tended to decrease as the polyphenol addition level increased. Moreover, the MIX showed the lowest methane emission when 30 μL was added (p<0.05). Volatile fatty acid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treatment group as a control (98.06 mM) (p<0.05), but there was no change according to the level of polyphenols. As a result of the main effect and interaction, it is thought that the effect on methane reduction and improvement of rumen fermentation in MIX20 can be expected. In a series of studies, the addition of 20 μL of a blended extract of coffee and green tea by-products is thought to reduce methane to levels that do not inhibit rumen fermentation.

      • KCI등재

        경기도 지자체 도시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위한 CI, BI, VI 차별화에 관한 연구

        류미영 ( Ryu¸ Miyoung ),장영호 ( Jang¸ Youngho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경제 구조와 사회 변화로 도시의 중요성이 강조되자 지자체는 도시를 인식하고 기억하기 위해 CI나 BI, 캐릭터, 마스코트 등 도시브랜드를 만들어 상징물로 관리하고 있다. 다른 지자체와 차별화된 도시정체성이 잘 반영된 상징물은 지자체의 큰 자산이므로 다투어 상징물을 개발하고 있으나, 경계가 모호한 CI. BI, VI 개발로 지자체 안에서도 차별화되지 않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자체 상징물 중 CI와 BI, VI 등의 현황 분석을 통해 수요자의 아이덴티티 혼동 가능성과 지자체 간 비차별화의 문제점을 밝힘으로 향후 지자체가 상징물을 개선하거나 새롭게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관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시, 군 등의 경기도 지자체 31곳 홈페이지에 게시된 CI, BI, VI 현황을 조사해 CI와 함께 BI나 VI가 있는 지자체는 심벌, 심벌마크와 로고타입, 워드마크 등 시각 아이덴티티 구성 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적용 범위, 관리부서를 정보 공개 요청해 지자체 상징물이 실제로 어떻게 활용되는지 조사하고, 혼동의 개념과 혼동 이론, 브랜드 혼동을 지자체와 연관해 시각 구성 요소가 혼동을 일으키는 이유를 고찰하였다. (결과) 경기도 지자체는 CI, BI, VI 등의 상징물이 있으며 시각 아이덴티티 구성 요소가 다양하다. CI, BI, VI를 같은 부서에서 관리하거나 다른 부서에서 관리하기도 하며, 적용 대상이 같거나 다르고 그 경계가 명확하지 않으며 각 지자체 마다 적용 범위가 다르다. (결론) CI, BI의 시각 아이덴티티 구성 요소인 로고타입은 특정 글 자체로 만들어 상표 기능을 겸한 상징적 형태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글자체로 만들어 상표의 상징적인 기능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BI가 지자체 명칭이거나 다른 수식어가 붙는 워드마크인 경우는 CI와 시각적으로 구분되지만, CI와 같은 심벌 및 심벌마크와 로고타입의 시각 구성 요소인 경우에는 CI와 혼동될 가능성이 높다. 각 지자체마다 CI, BI의 적용 범위가 다르고 한 지자체 안에서 CI와 BI, VI가 범위 경계 없이 같이 적용하는 경우도 있어 혼동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바탕으로 지자체가 상징물을 개선하거나 새롭게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관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브랜드의 이미지 제고를 위해서는 지자체를 대표하는 상징으로 정체성을 확립해야 한다. 둘째, CI와 BI, VI의 적용 범위 등을 구분할 필요가 있다. 셋째, CI가 있는 지자체가 BI를 새롭게 개발할 경우 수요자가 CI와 시각적으로 혼동하지 않도록 고려해야한다. 이는 다른 지자체와의 차별화된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해 만든 상징물이 한 지자체 안에서도 혼동된다면 타 지자체와 차별화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cities’ importance is emphasized because of economic structure and social change, local governments create city brands such as CI, BI, characters, and mascots, to recognize and remember the city and manage them as symbols. Differentiated symbols reflecting city identity are competitively developed as large assets of local governments; however, they are not differentiated within local government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CI, BI, and VI, whose boundaries remain unclear. This study proposes perspectives to be considered for future symbols renewal or development by identity confusion in user perspective and non-differentiation among local governments through CI, BI, and VI analysis. (Method) To survey the status of CI, BI, and VI posted on homepages of 31 local governments in Gyeonggi-do, comprising cities and counties, and to compare and analyze visual identity components, such as symbol, symbol mark, logotype, and wordmark, when BI and VI are with CI. Furthermore, information on coverage and management to investigate actual usage was sought; additionally, the reasons why visual components are unclear, concerning the concept of confusion, confusion theory, and brand confusion, were considered. (Results) Gyeonggi-do local government has symbols such as CI, BI, and VI, and there are various elements of visual identity managed by the same or different departments, that are governed by the same or different coverage, with unclear boundaries, and different local governments. (Conclusions) Logotype, a component of CI and BI visual identity, is created in a particular typeface and acts as a trademark, but is made in different typeface, resulting in less symbolic functionality. If BI is the name of a local government or a wordmark with other modifiers, it is visually distinguished from CI; however, in the case of symbols such as CI and visual components of symbol mark and logotype, it is highly likely to be confused with CI. Wherea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CI and BI is different for each local government, CI, BI, and VI are not differentiated and are sometimes applied together, thus causing confusion. Based on these problems, local governments should consider the following perspectives when renewing or developing new symbols. First, enhancing the image of the city brand, the identity as a symbol representing the local government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scope of application of CI, BI, and VI. Finally, local governments with CI should not be visually confused with CI by users when developing a new BI.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ect differentiation from other local governments if symbols created to establish differentiated identity from other local governments are confused even within one local government.

      • KCI등재

        박완서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음식의 문학적 재현과 의미

        김미영 ( Kim¸ Mi-you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8

        이 글은 박완서의 장편소설에 나타난 사회 환경과 여성의 자의식 형성이 관련 맺고 있는 양상을 음식의 문학적 재현을 통해 탐구한 것이다. 그의 소설은 1970년 등단작부터 마지막 장편에 이르기까지 한국전쟁, 근대화, 산업화 과정을 여성들의 삶 본위로 다룬 세태묘사가 강점이라는 데에 착안하여 미시적 접근에 관심을 두었다. 미시적 접근의 경우 음식문화가 주효하리라 판단하였다. 한국전쟁과 70년대 산업화, 90년대 후기자본주의로 이어지는 사회 환경 속에서 여성의 삶은 능동적이고 여성의 정체성을 구현하는 모습으로 변모하였다. 박완서의 소설에서 음식은 한국전쟁의 상황에서 생존 본능을 보여준 대상이자 인간다움, 인간애를 보여준 대상이기도 하다. 70년대의 급속한 산업화와 도시화의 환경은 새로운 중산층을 형성하였고, 중산층들이 지닌 세속적 욕망과 이중성, 속물성 등을 음식으로 구현하고 있다. 작중인물은 풍요로운 음식에 길들여진 미각을 통해 이러한 중산층의 세속성을 비판하고, 자신의 모습을 성찰한다. 90년대 이후, 후기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여성의 젠더의식이 뚜렷해진다. 여성은 요리하기를 통하여 자신의 삶, 성적 욕망 등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박완서 소설에서 자서전적 경향을 드러내는 90년대의 작품들에는 유년시절에 대한 향수,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을 음식문화로 드러내고 있다. 장편소설에 나타난 다양한 음식담론은 크게 4가지의 의미로 수렴된다. 작품마다 중복되는 양상도 있으나 강조되는 것을 중심으로 보면 생존 본능을 드러내면서도 인간다움의 가치지향을 보여준 『나목』, 『목마른 계절』, 『그해 겨울은 따뜻했네』,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등이다. 그리고 세속적 욕망과 ‘순정 시대’의 갈망은 『휘청거리는 오후』와 『도시의 흉년』에서 볼 수 있다. 세 번째, 고향에 대한 향수와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은 자서전적 경향의 소설에서 강하게 드러남을 알 수 있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와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에 나타난 기억의 방식이 그러하다. 마지막으로 음식을 통한 젠더의식과 정체성의 구현은 『나목』, 『서있는 여자』, 『아주 오래된 농담』과 『그 남자네 집』 등에서 확인하였다. 박완서는 음식의 문학적 재현이라는 서사 전략을 발휘하여 일상생활에 대한 탁월한 묘사력과 함께 여성 의식의 변화 양상을 시대적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통하여 세태소설의 성공적인 형상화는 평범한 일상성에 내포된 담백한 모습과 상징적 의미를 간과하지 않는 글쓰기에서 비롯됨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connections between the social environment and women's self-consciousness in Park Wan-seo's novels based on the literary reproductions of foods in her works. Recognizing that the writer approached her writing from the viewpoint of women's lives from her debut work in 1970 to her last novel encompassing life after the Korean War, modernity, and industrialization process, the study focused on food culture,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in a microscopic approach. As the Korean society evolved through the Korean War, industrialization in the 1970s, and postcapitalism in the 1990s, women changed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ir lives and embody their identity. In Park's novels, food represented characters' survival instinct during the Korean War and also displayed their humanitas and human love. The new middle class emerged in the environment of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the 1970s, and Park embodied the secular desire, duality, and snobbery of the middle class with food. Her characters criticize the secular tendency of the middle class and reflect on themselves through abundant food and their taste that had been tamed. Entering the 1990s, women's gender consciousness began to be clear in the postcapitalist society. Women expressed their lives and sexual desire through cooking. In her works with an autobiographical tendency published in the 1990s, Park talked about her nostalgia for her childhood and longing for her mother through the food culture. Her diverse food discourses in her novels can be compressed in four major meanings. Some of her patterns overlap among her works, and the study focused on the meanings highlighted by the writer. The first group includes Namok, A Thirsty Season, We Were Warm during the Winter, and Was the Mountain Really There? They show the value orientation of humanitas while revealing survival instinct. The second group includes A Shaky Afternoon and A Year of Bad Harvest for the City, which depict secure desire and the yearning of "pure love era." The third group depicts her nostalgia for her hometown and longing for her mother, which is strong in her novels with an autobiographical tendency. The group includes Who Ate Up All the Shinga and Was the Mountain Really There? The last group includes Namok, A Standing Lady, A Very Old Joke, and The Man's House, which embody gender consciousness and identity through food. Armed with her remarkable ability of describing daily life, Park implements a narrative strategy through food. The findings of the study demonstrate that food and the food culture not only showed the lives of women, but also had huge impacts on her novels of manners and embodiment of dailiness that characterize her works.

      • KCI등재

        종가의 정신문화 구심체로서 불천위 인물의 삶 -경북 불천위 종가를 중심으로-

        김미영 ( Kim¸ Mi-you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9

        이 연구에서는 종가의 구심적 존재인 불천위 인물의 삶을 살펴봄으로써 종가 정신문화의 핵심적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현재적 활용방안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경북 소재 종가의 불천위인물 117명 중에서 자료 확보가 가능했던 64명의 行狀을 대상으로 삼았다. 행장에는 고인의 가계와 유년기와 청장년기의 삶이 주로 서술되어 있고, 노년기의 삶과 고인에 대한 평가가 추가되어 있다. 유년기는 15~20세 무렵에 관례를 행하므로 1~14세 전후로 설정했다. 이때는 부모의 가르침 아래 배움을 익히는 시기로, 64명의 행장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품성[人性], 부모 섬김, 학문생활 등에 관한 내용이다. 품성에서는 선량함과 온화함 등과 함께 도량이 넓고 뜻이 견고하고 용맹스러웠음을 강조하고 있다. 부모 섬김에서는 정성을 다해 모시고 그 뜻을 거역하지 않았으며, 학업에 대한 태도에서는 남다른 총명함과 영특함으로 스스로 문장의 뜻을 깨달았다는 내용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또 하루종일 단정히 앉아 글 읽기에 매진했다고도 설명한다. 청장년기는 15세 이후의 시기로, 과거시험을 거쳐 관직에 진출하고 혼인을 한 뒤 가족을 구성한다. 행장에는 유년기와 마찬가지로 품성[人性] · 부모 섬김 · 학문생활에 관한 내용이 기본적으로 포함되고, 관직생활과 가정생활이 추가된다. 품성에서는 온화함으로 주변과 조화를 이루고 엄중함으로 절제를 지켰다는 내용이 공통되게 나타난다. 부모 섬김에서는 생전에 정성으로 모시다가 돌아가신 후에는 주자가례에 근거해 상을 거행했으며, 늙은 부모를 모시기 위해 외직을 자청했다는 사례가 대부분이다. 학문생활의 경우 침식을 잊은 채 독서에 매진하는가 하면 후학 양성에도 힘을 쏟았다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관직생활에서는 외직에 나가있을 때는 백성의 삶을 세밀히 보살피고 청렴을 실천했는가 하면, 내직에 있을 때는 임금의 그릇된 정책에 직언을 올리는 등 올곧은 자세를 갖고 있었다. 가정생활에서는 집안을 잘 다스리고 형제간 우애가 두터웠다는 내용이 공통되게 나타난다. 불천위 인물들의 이러한 삶은 유교이념에 근거하여 정리하면, 효행 · 충절 · 애민 · 청렴 등으로 분류된다. 효행의 대표적인 실천행위는 부모봉양, 병간호, 삼년상으로 나타났다. 충절은 우환의식 곧 나라의 안위를 걱정하는 것으로, 실천행위로는 절의와 諫言이 주를 이루고 있다. 愛民은 주로 지방관으로 부임하여 실천한 행위로, 백성의 삶을 우선하는 자세를 가졌고 또 억울함이 없도록 업무의 공정함을 가지고자 했다. 청렴은 선비정신의 대표적인 것으로, 일상에서는 검소하고 질박한 생활을 하는 것이고 관직에 있을 때는 물욕을 탐하지 않는 청렴한 삶을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불천위 인물의 삶은 후손들의 좌표적 삶이 되어 종가를 대표하는 정신문화로 자리잡게 된다. 종가의 대표적 문화는 고택문화 · 음식문화 · 의례문화인데, 이들만으로는 차별화된 독창성을 지니기 힘들다. 따라서 고택 · 음식 · 의례를 단순히 물질문화나 행위문화로만 인식하지 않고 ‘가치문화’(value culture)로 전환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고택과 음식, 의례에 깃든 정신(스토리)을 발굴하여 종가문화에 익숙하지 않은 이들도 공감 · 공유할 수 있는 보편적 가치를 생산해내는 것이다. 이때 불천위 인물들의 삶이야말로 보편적 가치의 훌륭한 원천소스로 활용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불천위 인물의 삶은 종가의 브랜드가치를 창출 · 상승시켜주는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summarize the details of the spiritual culture of head families and seek present uses by examining the lives of Bulchunwee figures, who played a central role in head famili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dered records of 64 persons whose data could be secured out of 117 Bulchunwee figures of head families in Gyeongsangbuk-do. The records mainly describe the lineage, childhood, and adolescent manhood of the deceased, in addition to the elderly life and evaluation of the deceased. Since the coming-of-age ceremony took place at the ages of 15 to 20 years, childhood was defined as ages between 1 and 14 years. Childhood refers to the time of learning under parental guidance. Common aspects that appeared in the records of the 64 persons included personality, devotion to parents, and learning. For personality, the records stress goodness, gentleness, generosity, strong will, and courage. For devotion to parents, they served and obeyed parents sincerely. For attitude toward learning, the records commonly describe unusual intelligence and sagacity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sentences. The records also explain that the figures strove to read while sitting up straight all day long. Adolescent manhood is the time after 15 years old, when the figures entered government service through state examinations and got married to form a family. Similar to childhood, the records for adolescent manhood include the description of personality, devotion to parents, and learning. Government service life and family life have been added. For personality, the records commonly show that the figures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people with good nature and practiced moderation with sternness. For devotion to parents, the figures sincerely took care of their parents and went through a funeral process based on the family rites of Zhu Xi. In most cases, they volunteered to work in localities to serve old parents. For learning, the records are mainly about how the figures were absorbed in reading that they almost forgot to eat or sleep and endeavored to foster young scholars. For government service life, they looked after the lives of the people and practiced integrity in localities while maintaining an upright attitude to make forthright advice about wrong policies implemented by the king when working in the palace. For family life, the records commonly depict how they managed the household properly and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brothers. When summarized based on the Confucian ideology, such lives of the Bulchunwee figures are classified into filial duty, loyalty, love of people, and integrity. Representative practices of filial duty included support, nursing, and three-year mourning of parents. Loyalty involved worrying about the security of the nation, mainly comprising the practice of fidelity and remonstrance. Love of people was primarily practiced after being assigned to local officers, prioritizing the lives of people and handling duties fairly to prevent causing unfairness. Integrity represented the scholar spirit by managing frugal and simple everyday life and practicing uncorrupted life as government officers. The lives of the Bulchunwee figures provided coordinates to guide the lives of their descendants, settling down as the leading spiritual culture of head families. Other typical cultures of head families are the old house culture, food culture, and rite culture, but these cultures fail to differentiate head famil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vert old houses, food, and rites into ‘value culture’ instead of simply perceiving them as material culture or behavior culture. Head families can produce universal values to be empathized by and shared with people who are unfamiliar with head family culture by discovering the spirits (stories) indwelling in old houses, food, and rites. The lives of the Bulchunwee figures can be used as excellent sources of such universal values. In this sense, the lives of the Bulchunwee figures can be seen as the core elements that create and raise the brand values of head families.

      • KCI등재

        손창섭 소설의 희극성 고찰 ― 전후소설에 나타나는 부조리극과 그로테스크의 특성을 중심으로

        양미영 ( Yang¸ Mi-yo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86

        본고는 손창섭의 전후 소설에 나타나는 희극성에 대해 고찰한다. ‘희극성’이 손창섭 소설 세계의 독자적 요인 중 하나라고 보기 때문인데, 작가는 인간사의 가장 어두운 부분을 다룬 전후 소설에서도 ‘웃음’을 유발하는 독특한 서사전략을 구사하면서 연극적 징후들을 보여준다. 서사방식으로서의 희극성은 손창섭 소설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 논문에서는 기본적으로 부조리극의 특성을 참조하여 블랙코미디, 그로테스크, 슬랩스틱코미디 등의 희극 개념으로 세 편의 소설―「미해결의 장」, 「혈서」, 「생활적」을 분석하였다. 손창섭은 서사문학의 방식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면서도 거기에 부조리극의 형식적 특성을 조합하여 독특한 연극성을 보여준다. 그의 소설에서 나타나는 이야기의 관습을 부정하는 ‘반복’, 실존주의적 주제, 충동적인 반전, 의도적인 극적 행동 등은 손창섭 전후소설이 블랙코미디로서 부조리극의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다. 전통적인 극의 양식을 거부함으로써 관객으로 하여금 비평의 태도를 가지고 진실을 직시하도록 한다는 부조리극의 의의 역시 손창섭 문학세계의 주제와도 맞닿아 있다. 또한 손창섭 소설에서는 그로테스크와 슬랩스틱이 공존하며 독자로 하여금 밑바닥 인생을 사는 기형적 인물들의 돌발적 행동이 불러일으키는 웃음에 반응하게 한다. 그로테스크와 슬랩스틱이 불러일으키는 희극적 역동성은 아주 오래 전부터 이어져온 민중문화의 맥을 계승하는 것이자, 모더니즘 ‘소설’에 대한 실존주의적 저항의 실천이기도 하다. 요컨대 손창섭 소설은 극적이며 역동적이다. 그의 소설들은 불안정과 무의미 속에서 침체된 인간을 그리지만 그 표현방식은 희극적 기조를 일관되게 유지하면서 독보적인 작품세계를 창조해낸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comic and dramatic features in stories of Son Chang-seop. ‘Comedy’ is one of the significant factors of specialty in Son’s literature. Son Chang-seop always uses unique narrative strategy that causes laughter and shows theatrical signs even in postwar stories which sketch the darkest side of human history. For various style of comedy is shown in Son’s stories, this essay analyzed ‘The Unsolved Chapters’, ‘A Blood Letter’, ‘Living’ as absurd literature with concepts of black comedy, grotesque and slapstick comedy. First of all, Son shows unique theatricality combining storytelling and theatrical form. His postwar stories, as a black comedy, share features of theatre of the absurd which are 'repeat' that denies the narrative convention, existentialist motif, impulsive reversal, intentional dramatic action, etc.. In addition, the theme of the author’s literary world is also common with the significance of the play of the absurd that leads audiences to have critical attitude and to face the truth through denying traditional theatrical form. Secondly, as features of grotesque and slapstick coexist in Son’s stories, readers react to the comicality that is sudden action of deformed characters who live at the ‘bottom’. Comedic dynamism from grotesque and slapstick is not only an inheritance of folk culture that has been passed down for a long time but also the practice of existentialist resistance to the modernist ‘narrative’. In short, Son Chang-seop’s stories are dramatic and dynamic. His works depict human beings who immersed in instability and meaninglessness, but keep the comical tone consistent in the way of expression, and create unique world of art.

      • KCI등재

        태평천국의 여성해방정책에 대한 구상과 실천

        윤미영 ( Yoon¸ Mi-young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20 퇴계학논총 Vol.36 No.-

        태평천국은 근대사회로의 지향성을 띠고 있어 혁명성을 지닌 농민운동으로 평가된다. 태평천국은 통치 중인 왕조만을 공격한 것이 아니라 전통적 사회질서 중에서도 특히 중국 여성의 종속적인 지위 자체를 공격하였다. 태평천국의 남녀평등 사상은 주로 기독교 교리를 활용하고 여기에 공자의 대동사상을 결합하여 인륜적인 박애원칙을 강조한 것이다. 실제로 태평천국의 여성정책은 여성의 전투와 노동 및 관직에의 참여, 전족의 폐지, 창기금지 등을 제시하고 실행하여 여성의 지위를 개선하였다. 하지만 지도층을 중심으로 공적·지위에 따른 多妾制가 행해지고 여성 관료는 소수에 국한되었다는 점에서 남녀평등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도 강하다. 이와 같은 지도층의 모순으로 인해 태평천국이 실패하자 여성의 지위는 원래 상태로 되돌아갔다. 하지만 태평천국은 과거 어떤 시기에도 볼 수 없었던 여성 참여와 이와 관련된 정책의 실행 등으로 충분히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당시 태평천국에 참가했던 여성들의 활동은 훗날 근현대 중국여성의 개혁과 혁명에 소중한 이론과 교훈이 되었다. 그러한 의미에서 본 논문에서는 태평천국시기에 시행된 여성해방정책을 대동사상, 남녀평등이라는 관점의 각도에서 재조명하였다. Taiping Heavenly Kingdom is regarded as a revolutionary peasant movement as it is oriented toward modern society. Taiping Heavenly Kingdom not only attacked the ruling dynasty, but also the subordinate status of Chinese women in the traditional social order itself. Taiping Heavenly Kingdom's idea of gender equality is mainly about utilizing Christian doctrines and combining them with Confucius's Though of Datong to emphasize the principle of humanity's benevolence. In fact, Taiping Heavenly Kingdom's women's policy improved women's status by suggesting and implementing women's combat and participation in labor and government positions, abolition of foot-binding, and prohibition of prostitutes. However, the negative aspects of gender equality are also strongly reflected in the fact that public and status-based polygamy was conducted around the leadership, and female officials were limited to a small number. When Taiping Heavenly Kingdom failed due to this contradiction of leadership, women's status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However, Taiping Heavenly Kingdom is worth noting, including the participation of women and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policies related to it, which have not been seen in any past period. At that time, taiping heavenly kingdom the activities of women who took part in your theories and was a lesson in modern Chinese woman in the future of the reform and revolution.

      • KCI등재

        “일반 역사” 에서 드러나는 이스라엘 왕 예후(기원전 841-814년)의 정치적 행보-이스라엘 왕의 역대 지략 채우기-

        임미영 ( Im¸ Mi-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21 서양고대사연구 Vol.61 No.-

        성서에 등장하는 남 유다와 북 이스라엘의 왕들은 모두 YHWH 종교에 대한 비판을 피할 수 없었다. 이는 성서가 종교적 관점에서 신명기사가의 기록으로 완성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그 중 북 이스라엘의 모든 왕들은 신명기사가에게 일률적으로 비난받았다. 그들은 정치적 업적보다 예루살렘의 성전이 아닌 ‘여로보암의 길’을 따랐기 때문에 결국 멸망할 수밖에 없었다는 종교적 평가를 주로 받았다. 그러나 최근 역사학자들을 중심으로 고대 이스라엘과 주변 중동지역에서 발견된 고고학 및 문헌사료의 분석으로 북 이스라엘 왕들의 객관적인 "일반 역사"를 풀어내고 성서 외의 왕들의 업적을 기록했다는 ‘역대지략’의 일부분을 재구성하는 일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고는 이 왕들 중 북 이스라엘의 역사상 가장 강력한 군사적 쿠데타로 왕좌를 차지한 예후(기원전 841-814년)에 관련된 성서 구절과 함께 성서 외적 자료들에 나타난 그의 모습을 ‘일반 역사’ 속에서 찾아보고자 했다. 자료들은 이미 잘 알려진 사마리아 오스트라카, 모압 석비, 그리고 블랙 오벨리스크 등과 최근 발견된 텔 단 석비와 텔 레홉(Tel Rehov)에서 발견된 비문으로 이 유물들을 재해석하고 그의 역대지략에 기록되었을 만한 가문 배경과 반란의 과정, 그리고 반란 이후의 국제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우리는 예후의 반란을 종교적이 아닌 정치적인 측면에서 바라보는 시도를 함으로 국제 관계에서 살아남기 위해 예후가 어떤 정치적 행보를 택했는지 객관적인 역사의 한 장을 그려 볼 수 있었다. Based on the biblical texts, but to the exclusion of the religious history of the Deuteronomists and the archaeological and literary materials found in Israel and surrounding areas, we can reconstruct Jehu's political movements from his birth to kingship and subsequent actions on the throne that would be written in his royal annal. According to the Samaria Ostraca and the Tel Rehov jar inscription, Jehu's grandfather Nimshi was a royal official, perhaps a cup-bearer of the king, and he also held a key position as a military minister. Jehu was from an upper-class family. His rebellion was not aimed primarily at the destruction of the Baal religion on behalf of the YHWH religion. During this period, the people of Israel were complaining about fatigue from persistent warfare with Assyria and Aram in the days of Ahab and the wars with Moab after Ahab's death. In addition, Joram, the king of Israel, again went to the battle with Hazael, the king of Aram. The reign of the foreign princess Jezebel who tried to hold the priesthood and the kingship at the same time, and the moral hazard of the leadership shown in the incident at Naboth's vineyard must have ushered in a social crisis in Israel. A new political current emerged, and Jehu was the one who responded to these developments with violent revolt. When the Tel Dan stele is taken into account along with the biblical context, it appears that Jehu was briefly allied with Aram during the revolt. He killed Jezebel and the other descendants of the House of Ahab, as well as the king of Judah and his brothers. His rebellion culminated in the extermination of the prophets of Baal. Jehu’s extermination of those associated with the Baal religion may have been a political move against the priesthood who held positions in the days of Ahab and Jezebel rather than strictly a religious reformation. That is why he got blamed for going back to “the way of Jeroboam.” Jehu's revolt broke the peaceful relations between Sidon in the north and Judah in the south, which were formed by Omri's marriage alliance. Israel could not escape the harassment of Aram which must have thought Israel as a vassal state. Jehu was isolate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Assyrian invasion under Shalmaneser III (c. 859-824 BCE) may have been good news for Israel because he destroyed Aram. According to the Black Obelisk, Jehu could be called “son of Omri,” which Assyria recognized as the royal family of northern Israel as a vassal, not an enemy, by paying tribute to Shalmaneser III. The Bible prophesied that four generations from Jehu would continue the royal family. In fact, the descendants of Jehu ruled for 100 years, the longest period among the royal families of northern Israel. It was not only because of the exceptional descendants of Jehu that they were able to remain on the throne for such a long time. Shalmaneser III was no longer able to engage with other nations due to his son's rebellion. Afterwards, Adad-nirari III (c. 811-784 BCE) went on an expedition and took a large amount of tribute from Damascus, Tyre, Sidon, Edom, and Israel. Damascus could neither focus on their recovery nor afflict Israel during the war with Hamath. Assyria did not afterwards have capable kings succeeding to the throne. Because of these combined circumstances, the great powers had little interest in Israel, which was located farthest to the west, and the descendants of Jehu were able to survive on the throne for 100 years.

      • KCI등재

        초등학생 핵심역량 척도의 구성 및 타당화

        김미영 ( Kim¸ Mi Young ),강혜정 ( Kang¸ Hye Jung ),임은미 ( Lim¸ Eun Mi ) 한국초등교육학회 2021 초등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6가지 핵심역량(자기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의 수준에 맞게 구성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의 역량 측정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6대 핵심역량별로 문항을 구성하고, 초등학교 교사들과 교육학 전문가들을 통해 내용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초등학생 3학년과 6학년 198명 대상의 예비조사 및 전국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 1,241명을 대상의 본 조사 응답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등학생 핵심역량 척도로는 자기관리 역량 4문항, 지식정보처리 역량 7문항, 창의적 사고 역량 7문항, 심미적 감성 역량 6문항, 의사소통 역량 6문항, 공동체 역량 5문항으로 총 35개의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구인타당도와 교차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아울러 본 척도를 초등학교 중학년과 고학년에 모두 적용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학년 군별 구조동일성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In this research, the measure to measure the six core competencies presented by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elf-management competency,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aesthetic sensibility competency,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community competency) was organized to the level from 3rd to 6th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feasibility was verified. For this purpose, the prior research on measur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mpetency was analyzed and questions were organized for each of the six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content validity was secured throug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pedagogical experts. The preliminary survey of 198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ird and sixth grades and the response data of 1,241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third to sixth grades nationwide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 total of 35 questions were composed of 4 questions of self-management competency, 7 questions of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y, 7 questions of creative thinking competency, 6 questions of aesthetic sensibility competency, 6 question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5 questions of community competency as a measure for measuring the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construct validity and cross-validation were verified.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 KCI등재

        오키나와와 관련한 국내 언론의 보도 경향 -1994년~2020년 빅카인즈(BIGkinds) 분석을 중심으로-

        김미영 ( Kim¸ Mi-young ) 한국일본근대학회 2021 일본근대학연구 Vol.- No.74

        한국과 오키나와는 오랜 기간에 걸쳐 직간접적으로 서로 영향을 미쳐왔으며, 현재에는 양자 모두 미국의 동아시아 방위 체제 아래 미군기지를 보유하고 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1950년 발생한 한국전쟁을 계기로 이들 지역에서의 미군기지의 군사적 기능은 더욱 강화됐다. 본 연구에서는 오키나와(오키나와 문제)에 대한 국내 인식 정도를 조망하기에 앞서 오키나와와 관련한 국내 언론 보도 경향을 빅데이터(빅카인즈)를 활용하여 검토했다. 그 결과 오키나와와 관련한 뉴스 콘텐츠의 대부분이 <정치> 및 <국제> 부문과 관련한 것으로, 오키나와를 미·일 관계 및 한·일 관계, 혹은 중·일 관계 속에서 언급하는 경우가 대다수였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오키나와 문제가 일본 본토 언론을 통해 본격적으로 보도되기 시작한 것은 1995년으로, 이후 오키나와 문제의 정점으로 떠오른 후텐마(普天間) 기지 문제가 중앙정부 대지방정부의 대결 구도로 흘러가면서 이와 관련한 일본 언론의 관심은 해당 시기 집권당의 정치적 판단에 따라 그 편차가 심하게 나타났다. 국내 언론의 오키나와에 대한 보도 경향은 일본 본토의 그것과 닮아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가 군사적·정치적으로 오키나와와 긴밀한 관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오키나와와 관련한 국내 언론 보도 경향이 일본 본토의 그것과 닮아있음을 지적함으로써 오키나와 문제에 대한 관심의 필요성을 역설하고자 했다. Korea and Okinawa have long influenced each other directly and indirectly, and now both have a common point that they have US military bases under the US East Asian defense system. The military function of US bases in these areas was further strengthened wit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1950. In this study, in order to see the degree of domestic awareness of Okinawa (Okinawa problem), the trend of domestic media coverage related to it was reviewed using big data.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news content related to Okinawa was related to the < Politics > and < International > sectors, and most of the cases were referring to Okinawa in the U.S.-Japan relationship, Korea-Japan relations, or China-Japan relationship. And it was in 1995 that the Okinawa issue began to be reported in earnest through the Japanese mainland media, and since then, the issue of the Futenma base, which emerged as the pinnacle of the Okinawa issue, turned into a confrontation between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Japanese media’s interest in this matter was Depending on the political judgment of the ruling party, the deviation was severe. The Korean media’s tendency to report on Okinawa resembles that of mainland Japan. In this study, despite the Korean Peninsula’s close military and political relations with Okinawa, the need for attention to the Okinawa issue was emphasized by pointing out that the trend of Korean News Reports related to Okinawa resembles that of mainland Japan. This study tried to emphasize the need for interest in the Okinawa issue by pointing out that, despite the fact that the Korean Peninsula has a close military and political relationship with Okinawa, the domestic media coverage of Okinawa is similar to that of mainland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