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생들의 그래프에 대한 초기 이해 탐색

        마민영 ( Ma¸ Min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4

        본 사례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학생 8명을 대상으로 그래프를 구성하는 과제의 해결에서 드러나는 그래프에 대한 이해와 그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그 결과, 학생들은 그래프에 대해 상황에 제시된 정보와 이를 통해 추측할 수 있는 사실까지도 나타내는 것에서 두 양 사이의 변화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의미를 구성하였고, 이는 학생들의 그래프 표현 및 해석 뿐 아니라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상황에 대한 이해와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들에게 자연스러운 그래프 형태와 그 속에 담긴 의미를 탐색한 것으로, 그래프를 처음으로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한 그래프 지도-학습에서 학생들이 가진 비형식적 지식과 학교수학에서 지도하는 형식적 지식을 연결시킬 수 있는 과제를 준비하는 데 긍정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graphs and their change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meaning of the students 'graphs was closely related to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as well as the graph expression and interpretation. These results explore the natural graph form for students and the meanings contained in them, and will help prepare the task of linking students' informal knowledge with formal knowledge of school mathematics in graph teaching-learning.

      • KCI등재

        두 중학생의 공변 추론 수준에 따른 연립방정식 문장제의 해결에서 나타나는 유사성 비교

        마민영 ( Ma¸ Minyoung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수학교육논문집 Vol.35 No.3

        본 사례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학생 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수업에서 공변 추론 수준에 따른 연립방정식 문장제를 해결하고 일반화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유사성을 비교·분석하는 것이다. 그 결과, 값의 조정 수준으로 추론하는 학생 S는 연립방정식 문장제에 주어진 양들에 대해 정적인 이미지를 가졌고, 부드러운 연속 공변 수준으로 추론하는 학생 D는 문제 상황의 양들에 대해 동적인 이미지를 갖고 양들 사이의 불변인 관계를 식과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연립방정식 문장제의 학습에서 공식이나 전략의 사용에 앞서 주어진 상황에서 다양한 양들 사이의 관계를 추론하는 활동이 문제해결력 신장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학생들의 공변 추론을 강화하기 위한 대수 교수·학습 방안에 대한 논의가 앞으로도 계속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explore the similarities revealed in the process of solving and generalizing word problems related to systems of linear equations in two variables according to covariational reasoning. As a result, student S, who reasoned with coordination of value level, had a static image of the quantities given in the situation. student D, who reasoned with smooth continuous covariation level, had a dynamic image of the quantities in the problem situation and constructed an invariant relationship between the quant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ctivity that construc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quantities in solving word problems helps to strengthen th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and that teaching methods should be prepared to strengthen students’ covariational reasoning in algebra learning.

      • KCI등재

        바바라 크루거의 사회 참여적 미술 연구 -1980~90년대 작업을 중심으로-

        임민영 ( Lim¸ Min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5

        여성주의 미술가로 널리 알려진 바바라 크루거는 성차별을 비롯해 다양한 사회 문제를 비판하는 사회 참여적 경향의 미술 작업을 하고 있다. 그녀는 작업 활동 초기에 주로 여성 이미지가 가부장적 시각에 의해 재현되는 방식을 드러냄으로써 남성 중심 사회에서 차별받는 여성문제를 다루었다. 그러다 점차 성차별의 본질적인 원인을 사회적 권력관계의 불합리로 해석하고 인종, 계급, 빈부 차이 등 사회 전반에 대한 문제의식으로 주제를 확장해 나갔다. 그런데도 기존 다수 연구와 비평에서 크루거 작업을 여성주의 미술로 한정 지어 해석하려는 시도가 많았고, 상대적으로 사회 참여적 미술로서의 연구는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크루거 작업이 여성문제를 시작으로 광범위한 사회 문제를 주제화하는 사회 참여적 경향의 미술임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80-9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그녀의 작업이 내포한 내용적, 형식적 특성을 분석하고 그 의의를 고찰하고자 한다. 내용면에서 바바라 크루거 작업은 여성주의 담론에서 시작해 사회적 이슈로 시각을 넓혀 가면서 권력관계 속 부조리를 작품을 통해 폭로하는 과정을 보인다. 형식면에서는 사회를 향한 비판 의식을 나타내기 위하여 작품 제작 기법과 전시 방식에서 전략적 방법을 사용했다. 크루거는 주로 대중매체 이미지를 변형시켜 차용하고 광고 기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제작 방식은 주제를 대중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기존 재현 방식에 대한 비판의 수단이기도 하다. 또한 확장된 형식의 전시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관람자에게 열린 해석의 가능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결과적으로 바바라 크루거의 미술 활동이 우리 사회가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할 문제를 드러내고, 관람자가 작업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게 함으로써 미술의 사회적 역할을 증대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음을 알 수 있다. Barbara Kruger, widely known as a feminist artist, is working on art with a tendency to participate in society to criticize various social issues, including gender discrimination. She dealt with the issue of women who are discriminated against in a male-centered society by revealing the way women's images are mainly reproduced by patriarchal perspectives in the early stages of artistic activities. She gradually interpreted the essential cause of gender discrimination as irrationality in social power relations. So she expressed a sense of problem with society as a whole, including race, clas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 artworks. Nevertheless, existing research and attempt to interpret only female attention her art in art criticism. On the other hand, relatively,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that viewed her work as socially participatory ar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at Kruger's art work is an art with a tendency to participate in society starting with women's problems and a wide range of social problems. With this purpose, I would like to analyze its content and formal characteristics and study its significance, focusing on her works in the 1980s and 1990s. In terms of content, Barbara Kruger's work begins with a feminist discourse and expands its perspective to social issues, revealing absurdities in power relations through works. In terms of form, strategic methods were used in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exhibition methods to show a sense of criticism toward society. She mainly modified and used the mass media image and used advertising techniques. She also tried to provide viewers with the possibility of open interpretation by exhibiting art in a special way. Through this study, it can be seen that Barbara Kruger's art is meaningful in increasing the social role of art by revealing the problems that our society must solve together and allowing viewers to actively interpret the work.

      • KCI등재

        군산 개항 120년(1899-2019), 주요 관련 자료와 활용 방향

        김민영 ( Kim¸ Min-young ) 한국도서(섬)학회 2021 韓國島嶼硏究 Vol.33 No.3

        항구도시 군산이 1899년 5월 개항으로부터 120년을 지내게 되었다. 그 과정에서 일제 강점기를 거치며 해방 이후 1970년대 군산 외항의 개발과 산업단지, 1980년대 후반 이후 추진된 서해안 개발과 새만금 사업, 특히 1996년 이후 자동차 등 수송기계 부품산업의 부각 가운데 지역의 제조업은 한층 특화된다. 더욱이 2010년에 준공된 조선업 등으로 군산은 전북을 상징하는 대표적인 중화학공업지대로 자리잡는다. 그러나 이후 주요 기업의 철수와 가동 중단 가운데 힘겨운 시기를 보냈지만 다시 전기차와 신재생에너지산업 등으로 재도약을 꿈꾸고 있다. 이처럼 개항 이후 지난 120여 년 항구도시 군산은 식민지 상공업도시로부터 해방 이후 단절과 연속, 그리고 부침과 모색 가운데 새로운 도약을 꿈꾸며 현재에 이르렀다. 따라서 지난 120여 년에 걸친 지역 산업사를 재검토하며 과거와 현재 및 미래발전을 위한 새로운 이정표를 세워나가야 할 시점이다. 주지하듯이 한국 근대사에서 군산의 개항과 그 역사적· 사회경제적 의미에 대해서는 많은 관심이 있었다. 그러나 이에 관한 자료의 수집과 정리는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일제 강점기 쌀 반출의 중심지로서 군산항 및 군산선 철도의 운용과 실태에 관한 연구도 과제이지만, 이를 시각적으로 반증할 수 있는 문서와 사진 자료의 발굴 정리는 물론 통계자료의 수집 정리 역시 산발적인 상황에 머물러 있다. 특히 군산항 등의 사진 자료가 지니는 가치는 단지 문헌사의 보완 차원을 넘어 또 다른 사실을 규명하는 중요한 재료가 될 수도 있다. 나아가 군산 및 군산항, 군산세관, 군산상업회의소 등에서 발간된계량 분석에도 크게 도움이 되리라 생각된다. 향후 기초자료의 수집은 물론 그 분석과 활용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모아지기를 기대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지난 120여 년에 걸친 군산 개항을 기념하는 과정을 중심으로 그 주요 자료 등의 소개와 재검토를 통한 활용방향의 모색을 통해 항구도시 군산의 과거와 현재 및 미래 발전을 위한 하나의 실마리를 찾아보고자 했다. 또한 군산시가 추진하는 ‘ 항만역사관’ 건립이 내항 해양복합문화시설 조성사업 등과 연계해 순조롭게 진행되어, 1899년 개항한 군산항, 그리고 1912년 개통한 군산선 철도의 역사와 해양물류 및 경제통상의 중요성 등이 부각되기를 기대한다. 그리고 여기에서 검토한 간행물과 사진, 문서와 통계자료 등이 실증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관련 통계자료는 시계열적으로 누락이 있지만, 당시 사회경제 상황에 대한 120 years have passed since Gunsan, a port city, was officially opened up to international trade. After the period of the Japanese occupation, the outer harbor and industrial complex of Gunsan was developed and then the Western seawall and the Saemangum Seawall were developed after the late 1980s to protect against the waves of the Yellow Sea, providing a suitable haven. Afterwards, amid the emergance of the transportation machine parts industry including automobiles after 1996, the city gained importa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n particular, Gunsan has been settled as a representative industrial zone in the Jeonbuk Area with the shipbuilding industry which was completed in the 2010s. However, since then, the city has been in difficulties due to the withdrawal and emergency operation stop of major companies but Gunsan is dreaming of a new rebound. Hence it has been approximately 120 years since its port was opened and Gunsan port city was developed as a commercial and financial cit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while experiencing a break and then continuance after being liberated from Japanese occupation, with highs and lows,until Gunsan arrived at the current moment, dreaming of a new rebound. Therefore, now is the time for Gunsan to review its industrial history as it strives for future development. In modern Korean history, great emphasis has been placed on ports. Only limited data and photographic evidence remains of Gunsan and its rail links fro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wever, related statistical materials published in Gunsan, Gunsan port, the customs office, and the Gunsan Commerial Association Bureau prove helpful regarding the assessment of past, present, and potential future social and economic situation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interest and effort will be focused on the analysis and utilization as well. Therefore, by reviewing major materials surrounding the process of celebrate the opening of Gunsan upto international trade during the past 120 years, clues to the aforementioned past, present, and future development have become clear.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Gunsan port’ s opening in 1899, the railway history of the Gunsan line which was opened in 1912, and the importance of oceanic logistics and international economy and trade are all expected to add to interest in the city. It is hoped that the publications, photos, documents and statistical materials which were reviewed here will be utilized as demonstrative data.

      • KCI등재

        OTT 서비스의 지속적 이용을 위한 큐레이션 디자인 연구

        김민영 ( Kim¸ Min-young ),김성훈 ( Kim¸ Sung-ho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스마트폰의 발달과 5G의 등장으로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OTT 서비스 시장이 급속하게 확대되었다. 더불어 세계적인 기업들도 OTT 서비스 플랫폼을 제작하게 되면서 사용자들은 입맛에 맞는 OTT 서비스 플랫폼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수많은 OTT 서비스 플랫폼 중 사용자들을 사로잡을 수 있는 OTT 서비스의 발전 요인으로는 무수히 많은 콘텐츠를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추천해주는 큐레이션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OTT 서비스 큐레이션 디자인 향상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일차적으로 이론적 고찰을 통해 OTT 서비스와 큐레이션의 개념과 특성에 대해서 살펴본 뒤, 선행연구를 통해 OTT 서비스 큐레이션 UI의 기능적 요인인 가시성, 직관성, 사용성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인은 기술수용모델에 적용하여 사용자가 선호하는 OTT 서비스 큐레이션 UI의 기능적 요인이 무엇인지, UI의 기능적 요인들이 인지된 유용성과 인지된 용이성에 미치는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해 사용자가 선호하는 OTT 서비스 큐레이션의 UI 기능적 요인은 직관성으로 나타났고, 가시성은 인지된 유용성에, 사용성은 인지된 용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시성, 직관성, 사용성 모두 OTT 서비스 큐레이션을 디자인하는 데에 중요한 요인으로 향후 사용자들의 OTT 서비스 지속적 이용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며, 사용자들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OTT 서비스를 위해서 큐레이션 기능과 관련된 디자인 연구가 지속할 것을 기대한다. The OTT service that we can enjoy anytime and anywhere has rapidly expanded with the development of smartphones and the advent of 5G. In addition, users have been able to choose OTT service platforms that suits their needs due to world-class companies beginning to produce the platforms. Curation, which automatically recommends numerous content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is in the spotlight as the development factor of an OTT service that can captivate users among a number of the OTT service platform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suggest ways to improve the design of curation in an OTT service being preferred by users. First of all, it derived three functional factors of curation UI in an OTT service, such as visibility, intuition, and usability, through previous studies after examining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OTT service and curation by theoretical consideration. In addition, it tried to identify both the functional factors of curation UI in an OTT service preferred by users and the extent to which the functional factor of UI affects perceived usefulness and easiness through the derived factors applied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survey found that the functional factor of curation UI in an OTT service preferred by users is intuition and that visibility and usefulness affect perceived usefulness and easiness, respectively. It is expected that visibility, intuition, and usability,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designing the curation of an OTT service, will affect the user’s continued use of the OTT service in the future and that further studies on design regarding curation functions will continue to be carried out for the OTT service that users can use continuously.

      • KCI등재

        비극적 낭만성의 서사와 ‘전후(戰後)’의 불가해성 -최정희의 『끝없는 낭만』을 중심으로-

        이민영 ( Lee¸ Min-young ) 우리어문학회 2022 우리어문연구 Vol.72 No.-

        전후의 한국 문학은 종종 전쟁의 상흔을 극복하지 못한 불구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이러한 전후 문학에 대한 평가는 당대의 문학을 정치적이고 이념적인 담론의 틀로 환원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후 문학 연구에서 주목하지 못했던 멜로드라마적 낭만성의 서사를 통해 전후 문학의 새로운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전후에는 여성 작가들을 중심으로 연애 서사를 기반으로 하여 해방과 전쟁의 역사적 현실을 그려내는 다수의 작품들이 창작된다. 최정희의 『끝없는 낭만』은 이러한 전후 문학의 대표적인 결과물이다. 이 작품은 약혼자인 국군 배곤과 전쟁 중 새롭게 만난 미군 죠오지 캐리 사이에서 갈등하는 차래의 내면을 기록하면서 낭만적 사랑의 서사를 충실히 따라간다. 이 같은 연애의 서사에서 주목할 것은 죠오지 캐리를 향한 차래의 사랑이 양부인이라는 이름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이다. 『끝없는 낭만』를 통해 구체화되는 낭만적 사랑의 이상은 당대 사회의 정치적 현실과 긴밀하게 조응하면서 사랑의 서사 이면에 놓인 비극적 현실 인식을 재현해 나간다. 이러한 현실 인식은 양공주로의 전락을 막을 수 없었던 차래의 과잉된 불안의 정서를 통해 구체화 된다. 자신에 대한 사회적인 시선에 저항하면서 낭만적 사랑을 지향하였던 차래가 드러내는 불안감은 차래의 죽음을 안정적인 민족 수난의 서사로 환원하지 못하게 한다. 차래의 비극적 운명은 개인의 타락이 아닌 냉전의 체제와 민족 담론 사이에서 발생하였던 피할 수 없는 불화의 결과로 해석된다. 죠오지 캐리와 배곤의 사이에서 갈등하는 차래의 절망감을 통해 전후 사회가 구상하는 반공주의적 민족국가의 전망이 내포하는 폭력성과 위태로움을 발견할 수 있는 것이다. 차래의 고통을 해석불가능한 것으로 남겨두는 『끝없는 낭만』은 전후의 이데올로기가 설명할 수 없었던 비극적 현실의 일면을 드러내고 향후 한국 사회에 도래할 갈등의 지점을 가시화 한다. Post-war Korean literature has often been regarded as an inadequate result that could not overcome the damages of the war. Such evaluation reflects the viewpoint that interprets works of literature in political and ideological discourses. In this article, I tried to examine the new possibilities of post-war literature through the narrative of melodramatic romanticism, which had not been studied enough in existing studies. Many works written by female writers depict the historical events of liberation and the Korean war through romantic love narratives. Choi Jeong-hee's Kkuthemnun Nangman (Endless Romance) is a representative result of such post-war works of literature. This work constructs the narrative of romantic love through the inner voice of the female main character, Charae. Her goal for romantic love is articulated as prostitution in the national discourse of post-war society. It reveals that Kkuthemnun Nangman intended to express the absurdity of such discoursive structure. Through the romantic narrative corresponding with the ideological relation of the post-war, Kkuthemnun Nangman reproduces the perception of the tragic reality behind the love narrative. This perception of reality is materialized through Charae’s emotion of excessive anxiety. Her anxiety prevents national subjects from constituting her death to a stable national narrative of suffering. By leaving her pain uninterpretable, Kkuthemnun Nangman visualize the conflict between national discourse and the cold war order in postwar society. Through Kkuthemnun Nangman depicts Charae’s despair by her own voice, we can discover the violence inherent in the anti-communist nation-state that the post-war society pursued.

      • KCI등재

        한국전쟁 피난민의 이주와 정착(2) - 서해안지역, 군산과 김제 용지농원의 황해도 사람들 -

        김민영 ( Kim¸ Min-young ) 한국도서(섬)학회 2020 韓國島嶼硏究 Vol.32 No.4

        한국전쟁으로부터 70년이 되는 2020년, 이에 대해서는 그간 다양한 주제로 그 관심 영역이 확장되어왔다. 특히 근래에는 전쟁을 직접 경험한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며 국가나 민족적 차원에서 마을 단위의 지역 공동체 혹은 개인으로 주제를 좁히기 시작했다. 전쟁과 역사의 이면에 놓여 있던 개인과 지역사회에 대한 성찰의 심화를 통해 그 관계에 대해 더욱 폭넓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묻혔던 다양한 이야기가 새롭게 조명되고 전쟁과 이후의 영향 등이 더 선명하게 밝혀지고 있다. 특히 피난민들의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등도 그 주제 가운데 하나이다. 그들이 한국 현대사의 사회문화와 정치경제 등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었고, 일종의 민족이동으로 역사상 유례를 찾기 힘든 일이었다는 점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국가와 지역사회의 역사는 물론 미래통합의 관점에서도 관심을 가져야 할 주제이기 때문이다. 물론 한국전쟁 피난민에 대해 적지 않은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피난민 숫자에 대한 정확한 파악은 물론, 그 전체상에 대한 정립과 함께 지역사회와 관련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특히 서해안지역에 국한했을 때 더욱 그렇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이상의 기본인식 가운데 한국전쟁기 피난민의 이주와 정착을 서해안지역, 특히 항구도시인 군산과 이를 거쳐 김제로 이주한 용지농원의 황해도 사람들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 삶의 궤적에 주목하고자 했다. 이와 관련하여 지난 2016년 봄부터 가을에 걸쳐 조사한 군산지역 월남 피난민에 대한 인터뷰 결과를 참고했다. 아울러 김제 용지농원과 관련해서도 2016년부터 2019년 겨울에 걸쳐 실시한 현지 탐방과 인터뷰 등을 활용했다. 지역사회발전의 한 부분을 담당했던 그들의 소중한 이야기가 역사의 수레바퀴에 치이지 않고 당당하게 소개되며 역사 가운데 자리잡기를 기대한다. 한국전쟁은 한반도에 사는 수 많은 사람들에게 아픔을 남긴 역사적 사건이었다. 특히 월남 피난민을 비롯한 이산가족들의 삶은 필설로 다 할 수 없을 것이다. 피난민들의 보편적인 삶을 넘어 지역사회 특히 전북의 항구도시 군산과 농촌 도시 ‘김제’로 이주하고 또한 정착하여 지내 온 지난 70여 년의 삶의 궤적 가운데 이들 대부분이 간직했던 황해도 출신 피난민이라는 공동체 의식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어지고 있었다. 향후 세대를 넘어 어떠한 양상으로 그 공동체가 나아가는지 지속적인 주목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In this year of 2020 when 7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area of interest has been expanded with various topics. In particular, these days, we listen to the voice of the people who have directly experienced the War and narrow down our interest from national or ethical level to local communities of village units and individuals. This is because we may more broad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local communities and the war and history through deep introspection (self-examination) of individuals and local communities which have existed behind the war and history. Through this work, various buried stories are newly examined and the war and its effect are clearly discovered. In particular, the effect on local communities of refugees is one of the topics. The refugees had considerably influenced the society, culture, politics and economy of Korean modern history and it is in the spotlight because the refugees a kind of national movement and is rare in history. Because it is a topic from the perspective of future integration as well as the history of nation and local communities. Of course, there have been a lot of studies on the refugees of the Korean War. However, there are not so many studies on accurate identification of the number of those refugees and local communities along with establishment of overview; especially if it is limited to the west coast region. Accordingly, this study seeks to pay attention to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of the refugees of the Korean War by focusing on tracing the lives of people in Kunsan, a famous harbor city and people of Yongji Farm who migrated from Hwanghae-do Province to Kimje via Kunsan. For this topic, this study refers to the interviews of refugees defect from North Korea in Kunsan region which were made from the spring to the fall of 2016 and also uses the field tour and interviews conducted from 2016 to the winter of 2019 in terms of Yongji Farm in Kimje. It is expected that the precious stories of the people who took a certain role in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will not be neglected by the wheel of history but will be proudly introduced and take their place in history.

      • KCI등재

        입원 아동의 말초정맥주사 유지관리를 위한 보호자 대상 동영상 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민영 ( Kim¸ Min Young ),김태임 ( Kim¸ Tae Im ) 병원간호사회 2021 임상간호연구 Vol.27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video education program (VEP) for the caregiver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on the maintenance of a peripheral intravenous catheter (PIVC) among hospitalized children. Methods: The VEP was develop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educational need assessment of caregivers, and interviews with pediatric nurses, and validation of an expert group. The effectiveness of the VEP was tested on 102 caregivers and their children in a children’s hospital at D city.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in which different types of intervention were given to caregivers in intervention group (n=51) and control group (n=51). All caregivers received brief verbal information about the PIVC maintenance. The intervention group was additionally provided with VEP using a smartphon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 caregivers’ knowledge score on PIVC maintenance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numbers of flushing in case of blockage of PIVC and gauze dressing change of the intervention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EP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the maintenance of PIVC among hospitalized children.

      • KCI등재

        소설 속에 드러나는 뤼허뤄(呂赫若)의 내대일여(內台一如) 남방(南方)에 대한 인식 - 「인거(鄰居)」 (1942), 「청추(淸秋)」 (1944)를 중심으로

        신민영 ( Shin¸ Min Young )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科學 Vol.120 No.-

        본 논문에서는 뤼허뤄(呂赫若)의 1940년대 작품- 「鄰居」(1942), 「淸秋」(1944)를 독해함으로써 당시 식민정책에 대한 작가의 시대인식을 살펴보았다. 두 작품은 모두 본도 출신의 지식인 청년이 화자로 등장한다. 그런데 ‘나’(「鄰居」)와 야오쉰(「淸秋」)은 늘 불안하고 초조하다. 작가는 이들의 신경증적인 불안감을 ‘공거’(共居)라는 모티브를 통해 문학적으로 형상화 하는 한편, 이 초조하고 불안한 식민지 청년/지식인들을 빌려 대동아전쟁기 급변하는 시국과 그에 대한 시대인식을 전한다. 「鄰居」에서 작가는 자신의 친자식처럼 본도인 아이를 사랑하고 아끼는 내지인 부부의 감동적인 이야기 뒤에 자신의 아이를 내지인에게 내어주기 주저하면서도 속수무책으로 빼앗길 수밖에 없는 본도인 부부의 모습을 나란히 배치시킴으로써 ‘내대일여’(內台一如)의동화(同化)정책이 갖고있는 허위성과 잔인성을 은밀히 짚어내었다. 「淸秋」에서는 당시 대만을 휩쓸고 있던 ‘남방 열풍’(南方熱)에 대한작가의 시대인식을 확인할 수 있다. 작품에는 주인공 야오쉰 외에도 동생 야오동, 야오쉰의 의전(醫專) 동창생, 의사 출신의 장유하이(江有海), 식당 주인 아들 황밍진(黃明金) 등 여러 식민지 청년들이 등장하는데, 야오쉰을 제외하고 이들은 모두 남방으로 떠난다. 청년들의 남방행 소식에 야오쉰은 자기 혼자만이 고향에 남겨질 것이라는 초조함에 괴로워한다. 겉으로는 부모가 요구하는 대만의 전통적인 가치를 기꺼이 받아들이고 순응하는 듯이 보이지만, 야오쉰의 욕망 역시 여느 청년/지식인들과 마찬가지로 남방에서 식민지인/본도인이라는 꼬리표를 떼어버리고 자신의 꿈을 펼쳐보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작가는 야오쉰의 개원이 순조롭게 진행되도록 모든 외부적장애물을 제거해주면서 이야기를 마친다. 필자는 이를 대만 내에서의 ‘대만의회설치청원운동’의 영향 때문이라고 해석한다. 다시 말해서, 뤼허뤄가 고향에 남은 야오쉰과 남방으로 향하는 본도의 다른 젊은이들 모두를 동시에 긍정할 수 있었던 이유라고 생각한다. In 1942 and in 1944, Lv He-ruo published 「鄰居(neighbor)」, 「淸秋(Qing Qiu)」, respectively. In this paper, I looked into howthe author thought of the colonial policy of the Japanese Empire in the 1940s. In both novels, the narrators are an intellectual young man fromTaiwan. “I” (「neighbor」) andYaoXun (「QingQiu」) are always anxious and nervous. Through the situation of “living together,” the author revealed neurotic anxiety. The anxiety of these colonial intellectuals is also the author's perception of the rapidly changing state during the Great East Asian War. In neighbor there is a moving story of a Japanese couple who cares very much about their Taiwanese child. However, this story hides the grief of a Taiwanese couple who lost their child to the Japanese couple. Through this work, the author secretly criticizes the falsehood and cruelty of the Japanese empire's assimilation policy. In 「Qing Qiu」, you can see the author's perception of Taiwan’s “Southern Frenzy” (南方熱). In addition to Yao Xun, many Taiwanes youths appear in the work, including his younger brother Yao-dong, Yao Xun's friend, Zhang Yu-hai(doctor), and Hwang Ming-jin(the son of a restaurant owner). However, all of them leave for 'the southern' except for Yao Xun. Yao Xun suffers fromisolation that only himself will be left alone in hometown. Yao Xun seems to be willing to accept and comply with his parents' demands. However, YaoXunwants to go to 'the southern' like other young people. This is because he wants to unfold his dream by removing the label of 'the colonized/Taiwanese Japanese' in 'the southern'. However, the author let Yao Xun not leave in his hometown. I believe this ending i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Peti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Taiwan Parliament”. So that is why Lv He-ruo(the author) agreed Yao Xun left in his hometown, and at the same time, also agreed other Taiwanese youth to go to 'the southern'.

      • KCI등재

        Dienes의 수학학습이론에 따른 사다리꼴의 넓이 학습에서 학생들이 구성한 예 공간 분석

        오민영 ( Oh¸ Min Young ),김남균 ( Kim¸ Nam Gyun ) 한국수학교육학회 2021 初等 數學敎育 Vol.24 No.4

        The area of a trapezoid is an important concept to develop mathematical thinking and competency, but many students tend to understand the formula for the area of a trapezoid instrumentally. A clue to solving these problems could be found in Dienes’ theory of learning mathematics and Watson and Mason’ concept of example spa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the area of the trapezoid. This study analyzed the example spaces constructed by students in learning the area of a trapezoid based on Dienes’ theory of learning mathematic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example spaces for each stage of math learning constructed by the students were a trapezoidal variation example spaces in the play stage, a common representation example spaces in the comparison-representation stage, and a trapezoidal area formula example spaces in the symbolization-formalization stage. The type, generation, extent, and relevance of examples constituting example spaces were analyzed, and the structure of the example spaces was presented as a map. This study also analyzed general examples, special examples, conventional examples of example spaces, and discussed how to utilize examples and example spaces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area of a trapezoid.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appropriate to apply Dienes’ theory of learning mathematics to learning the are of a trapezoid, and this study can be a model for learning the area of the trapezo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