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he Public Housing and Residential Differentiations

        Ma Sa(마사),Ma Shuang(슈앙)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 도시 행정 학보 Vol.28 No.3

        China is stilling still facing high speed of urbanization and an increasing gap between high housing prices and relative low family incomes especially for the poor household. The public housing projects that are expected to provide the equality accessibility to good condition housing are encouraged, rapidly planned and built since 2010. Wuhan is the earliest city in China that began to provide public housings. Around 12 million square meters affordable housings were built during the period from 1994 to 2009. Providing public and affordable housing is considered as the processes that ‘pursued social reforms’ and solve the problems of social equity in distribution of resources, opportunities and change the living condition of the people on poverty. However, the efficiency of afford housing in decreasing residential segregation is controversial. The author summary 79 public housing projects completed in the year of 2013 and 2014 in Wuhan, their location, size, accessibility to the commercial centers and schools are discussed. We concluded that the most of public housing projects only changed the geography of poverty and displaced poor people into the new concentrated areas.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large-scale public housing and long distance from social services and facilities are two main reasons lead to escape of middle-income families and, residential differences and segregation of poor people. The families with low income also face the problem in choosing location of their houses because of the large scale housing projects limited the variety housing locations within a certain period of validity of house buying qualifications.

      • KCI등재후보

        유통 미생물발효차의 잔류 농약과 중금속 모니터링

        박경진(Kyung Jin Park),양사랑(Sa Rang Yang),천길용(Gil Yong Cheon),조광호(Kwang Ho Cho),나환식(Hwan Sik Na),김희연(Hee Yun Kim),승진(Seung Jin Ma) 한국차학회 2016 한국차학회지 Vol.22 No.3

        To propose a safety control system for microbial fermented tea, eighty kinds of microbial fermented tea were collected. The residual levels of 222 kinds of pesticides and 5 kinds of heavy metal (Hg, Pb, Cd, As, Cr) in the tea were investigated with our monitoring systems. As the results, seven pesticides, such as permethrin, cyhalothrin, cypermethrin, fevnalerate, BHC, fenvalerate, and fluquinconazole, were detected at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0.1~3.5 ppm in 14 kinds of the tea. In the case of the heavy metals, 0.0017~0.0665 ppm of Hg, 0.0004∼1.3856 ppm of Pb, 0.0004~0.0287 ppm of Cd, and trace~0.6910 ppm of As were detected, which were below the CODEX standard. The establishment of a safety standard for Cr is necessary, because there is no maximum residual level (MRL) for it, although this heavy metal showed a higher residual amount (trace~3.5917 ppm) than the others in this study.

      • KCI등재후보

        들깨,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의 종자발아 특성

        김진아(Jin Ah Kim),사규진(Kyu Jin Sa),김은지(Eun Ji Kim),경호(Kyoung Ho Ma),유창연(Chang Yeon Yu),이주경(Ju Kyong Lee) 한국육종학회 2011 한국육종학회지 Vol.43 No.4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종자발아에 대한 변이 양상을 구명하기 위해 재배형 들깨 102계통, 잡초형 들 깨 41계통 그리고 잡초형 차조기 19계통들에서 측정된 종자 발아율 및 발아세는 다음과 같다. 1. 재배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1%에서 99%의 발아율 을 나타내어 평균 73%±24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98%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45% ±26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97%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41%±38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71%의 발아율을 나 타내어 평균 22%±26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차조기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51%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9%±14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9%의 발아율을 나타내어 평균 1%±2를 나타내었다. 2. 재배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97%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63%±28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98%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35% ±25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들깨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93%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33%±36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62%의 발아세를 나 타내어 평균 17%±21를 나타내었다. 잡초형 차조기는 저온처리 조건에서 0%에서 38%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5%±10를 나타내었으나, 비저온처리 조건에서는 0%에서 3%의 발아세를 나타내어 평균 0%±1를 나타내었다. 3. 재배형 들깨의 경우 102계통들 중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낸 계통들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 조건에서 각각 86계통(84.3%)과 45계통(44.1%)를 나타내었으며, 5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낸 계통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 조건에서 각각 71계통(69.6%)과 31계통(30.4%)를 나타내 었으며, 이들 중에서 저온처리 조건에서 28계통들은 90% 이상의 발아율을, 그리고 13계통들은 9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내었다. 반면에 잡초형 들깨의 경우 41계통들 중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낸 계통들은 저온처리 및 비저 온처리 조건에서 각각 19계통(46.3%)과 9계통(22%)를 나타내었으며, 5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낸 계통은 저온처리 및 비저온처리 조건에서 각각 14계통(34.1%)과 5계통 (12.2%)를 나타내었으며, 이들 중에서 저온처리 조건에서 5계통들은 90% 이상의 발아율을, 그리고 1계통은 9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내었다. 한편 잡초형 차조기의 경우 19계통들 중 저온처리 조건에서 단지 1계통(5.3%)만 50% 이상의 발아율을 나타내었으며, 50% 이상의 발아세를 나타낸 계통은 전혀 없었고, 대부분의 계통들은 10% 이하의 발아율과 발아세를 각각 나타내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결과는 오늘날 우리나라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들깨와 차조기 작물의 재배형 및 잡초형 계통들에 대하여 수확 직후 이들 작물에서 종자발아 특을 이해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생각된다. To clarify the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mong cultivated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Korea, we studied the germination percent and germination energy of 162 accessions (102 cultivated var. frutescens, 41 weedy var. frutescens, and 19 weedy var. crispa) in both conditions of 4℃ low temperature treatment and non-cold treatment. In our study, most accessions of cultivated var. frutescens showed more than 50% in both germination percent and germination energy in both cold and non-cold treatment conditions. Whereas, most accessions of weedy var. frutescens and weedy var. crispa showed lower than 50% in both germination percent and germination energy in both cold and non-cold treatment. In addition, most accessions of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showed much higher germination percent and germination energy in 4℃ low temperature treatment condition compared to the seeds under non-cold treatment condition.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is research may help for our understanding the variation of se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among accessions of cultivated Perilla crop and their weedy types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