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용 SiN<sub>x</sub>:H 박막 특성의 최적화 연구

        이경동,김영도,부현필,박성은,탁성주,김동환,Lee, Kyung-Dong,Kim, Young-Do,Dahiwale, Shailendra S.,Boo, Hyun-Pil,Park, Sung-Eun,Tark, Sung-Ju,Kim, Dong-Hwan 한국진공학회 2012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1 No.1

        수소화된 실리콘 질화막은 결정질 태양전지 산업에서 반사방지막과 패시베이션 층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수소화된 질화막은 금속 소성공정과 같은 높은 공정온도를 거친 후에도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표면층으로서 충족되는 특성들이 변하지 않고 유지 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장치를 이용한 수소화된 실리콘 질화막의 특성 변화에 대한 경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증착조건의 변수(온도, 증착거리, 무선주파수 전력, 가스비율 등)들을 다양하게 가변하여 증착조건의 최적화를 찾았다. 이후 수소화된 실리콘 질화막의 전구체가 되는 사일렌($SiH_4$)과 암모니아 ($NH_3$) 가스비를 변화시켜가며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 사용되기 위한 박막의 광학 전기 화학적 그리고 표면 패시베이션 특성들을 분석하였다. 가스 비율에 따른 수소화된 실리콘 질화막의 굴절율 범위는 1.90~2.20까지 나타내었다.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에 사용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특성은 3.6 ($NH_3/SiH_4$)의 가스비율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하여 $156{\times}156mm$ 대면적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제작하여 17.2 %의 변환 효율을 나타내었다. The Hydrogenated silicon nitride (SiNx:H) using plasma 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 is widely used in photovoltaic industry as an antireflection coating and passivation layer. In the high temperature firing process, the $SiN_x:H$ film should not change the properties for its use as high quality surface layer in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Initially PECVD-$SiN_x:H$ film trends were investigated by varying the deposition parameters (temperature, electrode gap, RF power, gas flow rate etc.) to optimize the process parameter conditions. Then by varying gas ratios ($NH_3/SiH_4$), the hydrogenated silicon nitride films were analyzed for its optical, electrical, chemical and surface passivation properties. The $SiN_x:H$ films of refractive indices 1.90~2.20 were obtained. The film deposited with the gas ratio of 3.6 (Refractive index=1.98) showed the best properties in after firing process condition. The single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fabricated according to optimized gas ratio (R=3.6) condition on large area substrate of size $156{\times}156mm$ (Pseudo square) was found to have the conversion efficiency as high as 17.2%. Optimized hydrogenated silicon nitride surface layer and high efficiency crystalline silicon solar cells fabrication sequence has also been explained in this study.

      • KCI등재

        질소시비가 산국의 수량과 유효성분에 미치는 영향

        이경동,양민석,이용복,김필주,Lee, Kyung-Dong,Yang, Min-Suk,Lee, Young-Bok,Kim, Pil-Joo Korean Society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00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35 No.1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며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하는 자생식물자원으로서 오래 전부터 식용과 약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산국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으나 자연채집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공급을 충당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품질의 산국을 대량생산하기 위해 질소시비반응 시험을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질소수준에 따라 6처리구(0, 50, 100, 150, 200, $250kg\;ha^{-1}$)로 설정하였다. 이때 모든 처리구에서 기본적으로 $P_2O_5-K_2O=80-80kg\;ha^{-1}$을 시비하였다. 그 결과, 질소의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수량이 증가하였다. 전체 산국을 건물중으로 하여 회귀곡선을 통해 추정한 결과 N $246kg\;ha^{-1}$였으며, 꽃의 수량은 N $226kg\;ha^{-1}$이였다. 꽃의 주요 아미노산은 proline이였고 질소의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아미노산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이때 질소의 이용율은 41.5-61.8%였고 N100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Sespuiterpene계 화합물로서 우수한 혈압강하효과를 가지고 있는 물질인 Cumambrin A의 함량은 식물부위 중 꽃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질소의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Cumambrin A의 함량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꽃에서 Cumambrin A의 전체 함량은 산국의 수량증가에 따라 질소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유효성분이 많이 함유된 양질의 산국재배를 위해 질소의 적정시비량은 $225{\sim}250kg\;ha^{-1}$ 수준으로 판단되었으며 포장시험을 통한 현장입증시험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Chrysanthemum boreale M. (hereafter, C. boreale M.), a perennial flower, has been historically used as a natural medicine in Korea. With increasing concerns for health-improving foods, the demand for C. boreale M. has become higher than ever. Howevr, the amount of wild C. boreale M. collected from mountainous areas is not enough to cover all demands. The cultivation system and fertilization strategy are required to meet increasing demand on C. boreale M. with a good qualit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itrogen application on plant growth and effective components of C. boreale M. to suggest optimum rate of nitrogen fertilization. C. boreale M. was cultivated in a pot scale (1/2000a scale), and nitrogen applied with rate of 0(N0), 50(N50), 100(N100), 150(N150), 200(N200), and $250(N250)kg\;ha^{-1}$. Phosphate and potassium were applied at the same level ($P_2O_5-K_2O=80-80kg\;ha^{-1}$) in all treatments. Maximum yield achieved in 246 and $226kg\;ha^{-1}$ N treatment on the whole plant and the flower part, a valuable part as a herbal medicine, respectively. Proline w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in the flower of C boreal M. and the contents of amino acids increased with increasing nitrogen application rate in flower. Nitrogen recovery efficiency was high more than 41% in all nitrogen treatments and increased to 61.8% in nitrogen N100 treatment. From the nitrogen content, the high nitrogen uptake, the low residue of mineral N and the reasonably good apparent fertilizer recovery, it can be inferred that C. boreale M. made efficient use of the available nitrogen. In flower, contents of Cumambrin A. which is a sesquiterpene compound and has the effect of blood-pressure reduction, decreased with increasing nitrogen application. However, the amount of Cumambrin A in flower increased as nitrogen rate increased, because of increasing flower yield. Conclusively, nitrogen fertilization could increase yields and enhance quality. The optimum nitrogen application rate might be on the range of $225{\sim}250kg\;ha^{-1}$ in a mountainous soil.

      • KCI등재

        16세기~17세기 초 영남지역 서원 원규의 구조와 변화

        이경동(Lee, Kyung-dong)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중앙사론 Vol.- No.55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서원의 건립 초기인 16세기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영남 지역 서원의 운영 규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변화를 통해 시대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543년 백운동서원이 건립되고 주세붕에 의해 원규가 제정되었다. 백운동서원 원규는 1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체로 수령이나 원임을 중심으로 한 관리형 성격을 가지고 있다. 백운동서원의 원규는 1559년 제정된 영봉서원의 학규록이나 1562년에 제정된 임고서원 범규 등에 영향을 끼쳤다. 해당 서원들은 백운동서원의 원규를 활용하면서 지역적 특성에 따라 일부 조항을 수정하거나 첨입하는 형태를 통해 자체적인 원규를 완성하였다. 1559년 이황은 이산서원 원규를 제정하면서 주세붕이 제정한 백운동서원 원규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이산서원 원규도 백운동서원 원규와 동일하게 1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지만, 원생의 강학활동이나 생활규범에 집중되어 있으며 수령을 포함한 관권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이황이 지향하는 도학 중심의 서원관이 반영된 것으로서 관학에서 사학으로 변화되어가는 서원 운영의 경향을 보여준다. 이산서원 원규는 이황과 그의 문인들이 건립을 주도한 서원뿐만 아니라, 16세기 중‧후반 건립되었던 서원에 도입되었다. 이들은 이산서원 원규를 기반으로 백운동서원 원규의 사례에서와 같이 일부 조항을 수정하거나 첨입하면서 독자적인 원규를 구축하였다. 16세기 중반 이후 영남지역 전체에 걸쳐 서원이 활발하게 건립되기 시작하면서 운영의 기준이 되었던 원규들도 다양하게 제정되었다. 그 결과점차적으로 서원 원규들이 상세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1588년 유운룡이제정한 오산서원 학규와 이를 수용한 임고서원 범규는 60여개가 넘는 조항을 제정하였으며, 각 항목을 범주화하여 규정의 성격을 명확히 하였다. 정구는 천곡서원과 도동서원의 원규를 제정하였는데, 두 원규 사이에는공통점과 함께 차이점이 확인된다. 정구는 지역적‧ 시대적 특성에 따라 자신이 제정한 원규라 하더라도 각 조항 사이의 차이점을 두면서 두 서원의원규를 제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16세기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제정되었던 영남지역 서원원규는 상호 관련성 속에서 전개되어 갔으며, 이를 통해 조선 사회에서 전개되었던 서원 운영의 다채로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regulations of Seowon in the Gyeongsang-do region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and to analyze the times through changes thereof. In 1543, Baekwoondong-seowon was established, and its operating regulation was established by Ju-Sebung. This academy regulation consisted of 12 items, most of them related to management centered on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operators. Since then, the academy regulation of Baekwoondong-sewon influenced the operational regulations of Yeongbong-seowon established in 1559 and Yimgo-seowon established in 1562. These Seowons established operating regulations by revising or adding some provisions to the academy regulation of Baekwoonong-seowon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In 1559, Yi-Hwang established the operating regulation of Isan- seowon, which showed the difference from the regulation established by Ju Se-bung. The operating regulation of Isan-seowon focused on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nd living norms, and tended to minimize the intervention of public authority, includi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regulation of Isan-seowon was distributed not only to Seowons whose foundation was led by Yi-Hwang and his disciples, but also to Seowon which were built in the mid and late 16th century. They established their own operating regulations by revising or adding some provisions to the regulation of Isan-seowon. As Seowon began to be actively built throughout the Gyeongsang-do region after the mid-16th century, various academy regulations were also established as the guideline for operation. The regulation of Osan-seowon established by Ryu Woon-Ryoung in 1588 and the revised regulation of Yimgo-seowon that accepted the Osan-seowon’s regulation consisted of more than 60 provisions, showing a more detailed trend than before. Jeong-Gu establish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both Cheongok-seowon and Dodong-seowon, which were found to have differences along with commonalities. As described above, Seowon’s operation regulations established in Gyeongsang-do from the 16th to the early 17th century developed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ach Seowon, and this shows various characteristics of Seowon’s operation in Joseon society.

      • KCI등재

        16세기 명사(明使) 접대의 형태와 실상 - 1582년 율곡 이이의 원접사(遠接使)ㆍ반송사(伴送使) 활동을 중심으로

        이경동(Lee, Kyung-dong) 역사학연구소 2020 역사연구 Vol.- No.39

        본 논문은 1582년(선조 15) 한림원편수(翰林院編修) 황홍헌(黃洪憲), 공과우급사중(工科右給事中) 왕경민(王敬民) 등이 황자의 탄생을 알리는 조사(詔使)로 조선을 방문할 당시에 발생한 조선 내의 접대의 방식과 활동 등을 분석하여 대외관계의 실상을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당시 조사 접대와 관련한 내용은 일본 천리대에 소장된 「율곡선생원접사시일기(栗谷先生遠接使時日記)」와 『율곡선생별집(栗谷先生別集)』 「허봉빈접기(許篈賓接記)」에 상세하게 수록되어 있어 조사 접대의 실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 원접사로 제배된 이이는 종사관으로 고경명(高敬命)·허봉(許篈)·김첨(金瞻)을 선발하였다. 원접사 일행은 조사를 맞이하기 위해 의주(義州)에서 대기하였으며, 조사의 도착 이후에는 의주에서부터 서울까지의 호송 업무를 담당하였다. 조사는 서울에서 약 8일 가량을 체류하고 도착경로와 동일한 경로로 명나라로 떠났으며, 반송사 이이 등이 수행하였다. 조사가 조선에서 체류한 기간은 이동 시간을 포함하여 약 36일로 추정된다. 조사가 조선을 방문한 목적은 황자 탄생의 조서를 전달하기 위한 것이었지만, 조선에서의 활동은 단순히 조서 전달로만 제한되지는 않았다. 원접사·반송사를 포함한 수행인원들과 시문 교류 등을 포함하여 지식인으로서 다양한 활동이 나타난다. 이이는 조사들이 작성한 시문에 차운하는 활동 뿐만 아니라, 성리설과 종계변무 등에 대한 입장을 교환하면서 원접사로서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와 함께 자신이 반송사로서 서북방에서 경험한 현실문제를 정리하여 제출하는 등 관료이자 경세론자로서의 자신의 입장을 밝히기도 하였다. 조사의 접대와 이를 중심으로 한 관료들의 활동은 단순한 외교적 차원에 그치지 않고 문화 교류와 인적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차원에서 전개된 것으로 이해된다. This research’s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reality of diplomatic relation of Joseon by analyzing the reception for the visit of Ming Empire’s two envoys, Huang Hongxian(黃洪憲) and Wang Jingmin(王敬民), in 1582. The visit was for delivering diplomatic papers for the birth of the imperial prince. We are trying to understand the diplomatic policies of the time through two documents involving the important figure for the reception, Yi Yi. He was appointed as the head of reception preparation(遠接使), one month before envoys’ arrival. Envoys stayed in Joseon from Oct 22 to Nov 27, about 36 days. They visited northwest part of Joseon, including Uiju, Anju, Pyongyang, Gaeseong and Seoul. Yi Yi, as the head of the envoy accompaniment, entertained envoys with feasts, presents, and poem exchanges. Many episodes featured in two documents show Yi Yi did his best to entertain the envoy, allowing smooth diplomatic activity. Yi Yi excelled in accompanying envoys by taking care of the schedule while communicating with chinese envoys. They highly appreciated Yi Yi’s poems and documents about Neo-Confucianism. Yi Yi also took part in diplomacy as a part of Joseon bureaucrat by discussing diplomatic issues discussed by China and Joseon. The reception of Chinese envoys and activities of Joseon bureaucrats surrounding it, they need to be analyzed by not just diplomatic angle but multilateral angles concerning the cultural exchange and the human network.

      • KCI우수등재

        시남(市南) 유계(俞棨)의 현실 인식과 경세론 - 강거문답(江居問答) 을 중심으로 -

        이경동(Lee, Kyung-Dong) 한국사연구회 2020 한국사연구 Vol.- No.190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reality perceived by Seo-in (西人) faction and their socio-economic policies through Ganggeo-Mundap written by Yu Gye (俞棨, 1607-1664) in the mid-17th century.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and the Manchu War in 1636, many reformative discourses were suggested for the social reform in Joseon society. Yu Gye, writing Ganggeo-Mundap (江居問答), suggested his realistic statecraft by showing the reality of the society around the mid-17th century and its solution. Yu Gye adopted Yi Yi(李珥, 1536-1584)’s statecraft when writing Ganggeo-Mundap. Ganggeo-Mundap followed the structure of Dongho-Mundap (東湖問答) by Yi Yi. Yu chose Yi Yi as the most representative figure of the statecraft for the Joseon society, and his idea of the statecraft structured by the Sovereign, the Minister and Relieving the People resembles that of Yi Yi. To support his argument, Yu stressed Gyeongjang(更張; literally re-string, or rehabilitation of the society) which was the core of the Yi Yi’s statecraft, or directly quoted Yi Yi in his writing. In Ganggeo-Mundap, the two most remarkable statecraft ideas are Tribute Payment and Military Service. Yu presented the specific plans for the reformation of both tribute system and military service system, which were actively discussed at the time. In his reform for the tribute payment, Yu urged the diminution of people’s tribute payment rate based on the principle of Rentuzuogong(任土作貢; setting tribute on the basis of the regionality), and then application of Daedongbeop(大同法, Uniform Land Tax Law), where people can pay tributes in the form of rice and cloth. In the reform for the military service, he tried to solve the problem by equalize the burden of the military service among the people. Thus, he sought to lower the load of corvee labor by enlarging the target of collecting military cloth tax to the literati. In addition, the lowest class were excluded from Sogo-beop(束伍法, regimental troop system), but Yu intended to include the lowest class into Sogo-beop by making them subsidiary to the soldiers in order to achieve the principle of Gyunyeok, the equivalent services. The statecraft of Yu Gye was founded on the principle that the reform must be timely, and he pursued the structural plans to overcome the social problem. Moreover, he emphasized the morality and the will of the sovereign and the bureaucrats as the leaders of the society to accomplish the reform. The way he valued the structural plans shows that he succeeded the statecraft of Yi Yi, and that it has a close relevance to the flow of the statecraft afterward.

      • KCI등재

        조선후기 율곡 이이 문집 편찬의 추이와 의의

        이경동 ( Lee Kyung-dong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20 儒學硏究 Vol.52 No.-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후기 율곡 이이 문집 편찬의 추이를 통해 율곡학파를 중심으로 전개된 이이 인식의 시대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이 사후 그의 문인들은 이이의 성리설을 중심으로 학문 계승에 노력을 경주하였다. 이들은 서원의 건립과 문집 간행 등을 통해 ‘스승’ 이이에 대한 현창 활동을 병행하였다. 『율곡집(栗谷集)』은 이이 사후 성혼 등이 편성을 시작하여 문인인 박여룡·김장생에 의해 1611년 소현서원(紹賢書院)에서 간행되었다. 이이의 정치적·학문적 입장을 계승한 서인은 1623년 인조반정을 계기로 정계의 주도권을 획득하였다. 이에 따라 이이 또한 ‘문성공(文成公)’이란 시호가 내려졌으며, 『성학집요』· 『격몽요결』과 같은 이이의 별저류들이 조정에서 간행되었다. 김집·송시열 등은 이이에 대한 행적을 정리하고자 『율곡연보』 편성에 착수하기도 하였다. 『율곡집』의 간행 또한 이러한 경향에 더하여 중간되었다. 대체로 초간본을 복각하는 형태로 진행된 중간 사업은 서인계 산림(山林)들이 거주하고 있던 충청 및 전라도 지역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이 문집 간행은 17세기 후반에 이르러 『율곡집』에 수록되지 못한 자료를 재정리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박세채는 기존에 간행된 『율곡집』이 이이의 행적과 유문을 담아내기에 오류와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에 『율곡속집』, 『율곡외집』, 『율곡별집』 편성에 착수했다. 『율곡속집』은 『율곡집』에 미처 수록되지 못한 이이의 詩文을 수집하였고, 『율곡외집』은 『율곡속집』에 수록하지 못한 시문과 함께 당시 필사본 형태로 전승되어 오던 이이의 대표적 저작인 「경연일기(經筵日記)」를 수록하였다. 『율곡속집』과 『율곡외집』이 이이 유문의 수집과 정리 차원에서 이루어졌다면, 『율곡별집』은 진위논란이 있는 「태극문답(太極問答)」과 이이와 관련한 일화나 행적에 대한 내용이 수록되었다. 『율곡별집』에 수록된 사항들은 송시열계의 반발을 가져왔다. 송시열계는 해당 사항이 ‘스승’ 이이에 대한 왜곡된 정보뿐만 아니라, 특정 서술은 이이를 의도적으로 폄훼하기 위한 의도가 있다고 판단했다. 지속된 논란을 거쳐 이이가 문묘에 최종적으로 종사된 갑술환국 이후 『율곡별집』이 수정되기까지 이르렀다. 18세기 송시열의 학문적 입장을 계승한 노론계에서는 이이의 성리설을 토대로 자신의 학문적 입장을 계승하려는 노력을 지속했다. 18세기에는 기존에 간행된 이이 문집들과 『성학집요』ㆍ『격몽요결』 등 별본들을 재편성하여 종합하여 『율곡전서』로 간행되었다. 『율곡전서』는 처음에 이재에 의해 1744년 38권으로 편성되었다. 이재는 송시열로부터 계승된 이이 인식을 토대로 한 문집 편성을 추진하였다. 이 작업은 편성의 완료에도 불구하고 이재 생전에는 추진되지 못하였으며, 사후 1746년에 영조의 명으로 『율곡전서』 간행이 추진되었다. 『율곡전서』 간행의 전반적인 과정은 이재의 문인이었던 홍계희가 주도했으며, 홍계희는 이재가 편성하지 않은 이이의 저작들을 습유라는 형태로 삽입하여 이재가 편성한 원집 38권과 함께 습유 6권으로 『율곡전서』를 구성하여 간행하였다. 습유에는 이재가 탈락시킨 이이 유문을 수록하거나 「경포대부(鏡浦臺賦)」와 같이 검증이 필요한 자료도 모두 수록하였다는 점에서 이재가 정립하려고 했던 이이 인식의 분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고 평가 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som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ation of collections of Yiyi’s works in the late Joseon period. After Yiyi’s death, his disciples started their endeavor for remembrance and succession of him. Their academic activity was centered by Eunbyeong-Jeongsa where Yi Yi pursued his studies, and they printed Yulgokjip, a collection of Yi Yi’s works. This endeavor of his disciples was spread throughout to scholars and bureaucrats who sympathized with the study of Yi Yi, and this was later grown into his school. In the late of 17th century, however, we can see an internal conflict among them toward the revised version of collections of Yiyi’s works. That is, a division of a way of understanding Yulgok between Song Siyul(宋時烈) and Park Sechai(朴世采). In the mid-18th century, it chose to aggregate the works of Yi Yi, collected and published from the early years of 17th century. They published Yulgok Jeonseo (栗谷全書, Complete Collection of Yulgok) having the identical structure with the collection of Er Cheng (二程, Two Chengs), who were metaphysical scholars of China, and tried to establish Yi Yi as the one they recognized. Nonetheless, there was a gap between Yi Jae(李縡), the first planner of the project and Hong Gyehee(洪啓禧), the last planner of the project. This showed a possibility of rift on the recognition on Yi Yi inside his very school.

      • KCI등재

        조선시대 ‘경장(更張)’의 의미와 변천

        이경동 ( Lee Kyung-dong ) 한국사상사학회 2021 韓國思想史學 Vol.- No.69

        본 연구는 조선시대 ‘경장(更張)’의 용례와 의미 변천을 통해 경세론의 추이를 분석하고 시기별 변화에 따른 역사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장은 변화 및 개혁을 의미하는 개념으로서, 한대(漢代) 동중서(董仲舒)에 의해 사용된 이래로 동아시아 전체에 걸쳐 폭넓게 사용되었다. 한국사에서 경장은 성리학의 도입과 함께 14세기 후반부터 용례가 확인되는데, 국면의 변환이나 법제의 개수 등의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15세기에는 『경국대전』의 편찬과 그 이후의 개수 논의와 관련한 부분에 집중적으로 거론되었다. 이는 경장 개념이 법제와 관련한 부분에 국한되어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 16세기에는 사림(士林)의 정치적 활동이 증대됨과 동시에 경장의 용례가 점차 증가하였다. 사림들은 동중서를 포함하여 송대 이학자(理學者)인 진덕수(眞德秀), 정호(程顥), 주희(朱熹) 등이 주장했던 견해를 토대로 경장을 구조화하였다. 경장을 활발하게 사용했던 인물은 조광조(趙光祖)였으며, 이후 이이(李珥)에 의해서 체계화되었다. 이이는 시기, 방법, 지향, 주체의 측면에서 경장을 정의하고 그 내용을 구조적으로 밝혔다. 이 시기 정립된 경장 개념은 경세론과 결합되어 이후 전개되는 경장에 대한 활용에 있어 주요한 기준으로 작용하였다. 경장은 17세기 사회개혁정책의 전개와 함께 빈번하게 사용되었다. 대동법(大同法)을 포함한 주요 개혁 논의의 담론 속에 경장 개념이 등장한다. 주목할 점은 경장과 함께 경장에 상대되는 ‘준수(遵守)’가 이원적으로 이해되었다는 사실이다. 책문(策問), 상소문, 연설(筵說) 등에서 경장과 준수가 언급되었는데, 당대 국가 운영의 방향과 관련한 인물들 사이의 지향점을 확인할 수 있다. 18세기부터 경장은 탕평론과 결합되며 활용되었다. 영·정조는 경장을 자신이 추진하고자 하였던 개혁정책와 결부하며 경장의 주체로서 군주를 설정하였으며, 스스로 경장의 주인을 자처하였다. 이러한 양상은 18세기 초까지 경장의 주체를 관료로 설정했던 경장관과는 차이가 있다. 19세기에는 삼정(三政) 등 당대 사회문제와 함께 경장의 사용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경장이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1862년 임술민란을 계기로 제출된 삼정책(三政策)이다. 제출된 삼정책에는 경장을 입론의 당위나 전거로서 제시하고, 삼정문제에 관한 해결방안을 각론으로 제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 of reformism through the interpretations and change of meaning of the concept of ‘Gyeongjang(更張)’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The concept of Gyeongjang had been devised by Dong Zhongshu (董仲舒) of Han Dynasty of China originally meaning that a qinse (琴瑟) string needs to be replaced if it comes loose, and the meaning was extended to be a synonym of political change and reform. In Korea, the first example of use of Gyeongjang is found in late 14th century when Neo-Confucianism was introduced to Korea. It was used intermittently to mean a change of situation, improvement of laws, etc. In the 15th century, the term was used restrictively in the compilation of 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and discussions for its revision afterwards. During the 16th century, the concept of Gyeongjang was used frequently among Sarim, the literati class. A historical figure who used the term Gyeongjang actively was Cho Gwang-jo (趙光祖), and after then the concept was systemized by Yi Yi (李珥) who defined the concept of Gyeongjang and elucidated its contents structurally by categorizing it based on the period, method, direction, and principle agent. The concept of Gyeongjang was actively used while reformism was discussed vigorously during the 17th century due to social requirement.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Junsu (遵守, compliance)’ began to be understood dualistically together with Gyeongjang. The fact can be confirmed in the civil service exam, reformist ideas, discussion on policy, etc. and there were two perspectives of the people at that time in relation to the direction of management of state. The people at that time tried to find out the methodology to solve actual issues, and deepened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Gyeongjang in such a process. During the 18th century, the concept of Gyeongjang was used for Tangpyungron (蕩平論), the theory of impartiality. The then kings led state affairs by empathizing the role of the king who was the main principle of Gyeongjang. Gyeongjang was often mentioned not only in social and economic policies but also in a situation of political change. During the 19th century, the frequency of use of the term Gyeongjang tended to increase with the emergence of social issues such as natural disasters, imposition of tax, etc. The term Gyeongjang was used the most in the reformist ideas of intellectuals proposed after a national uprising which broke out in 1862. The concept of Gyeongjang was used with high frequency in the proposed reformist ideas, an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ctual problems recognized by each person on the basis of the concept of Gyeongjang and the solutions were suggested specifically.

      • KCI등재

        조선시대 해주 소현서원의 운영과 위상

        이경동 ( Lee Kyung Dong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1

        소현서원(紹賢書院)은 이이(李珥, 1536~1584)가 해주에 건립했던 강학처인 은병정사(隱屛精舍)를 모태로 김장생, 박여룡 등 이이의 문인들에 의해 건립된 서원이다. 이이를 배향한 최초의 서원이며, 지역명을 따서 석담서원(石潭書院)으로 병칭되었다. 은병정사는 1610년 ‘소현’으로 사액되면서 학파의 중심 서원으로 성장하게 되었다. 사액 이후 소현서원은 문인계(門人契)의 제정, 『율곡집(栗谷集)』의 간행과 같은 직접적인 활동을 통해 학파의 중심지로서 위상을 공고히 할 수 있었고, 소현서원의 제향과 강학은 황해도 인근에 건립되었던 서원들의 모델이 되었다. 소현서원은 1586년 이이의 유지를 받들어 문인들이 주자사(朱子祠)를 건립하여 주희, 조광조, 이황을 배향한 이후 이이, 성혼, 김장생, 송시열을 추향하였다. 추향의 과정은 추향인물들의 문묘종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우·율 문묘종사의 과정에서 17세기 중반 성혼이 추향되었고, 김장생과 송시열은 각각 문묘에 종사된 이후 소현서원에 추향되었다. 이러 한 과정은 서인·노론계 인사들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17세기 후반 송시열을 중심으로 노론계 문인들은 이이를 ‘동방의 주자(朱子)’로 인식하며 주희-이이-김장생으로 단일화된 도통론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대체로 이러한 과정은 이기론이나 격물설과 같은 성리설(性理說)과 관련되어 있었지만, 소현서원 또한 제향과 이이의 강학처라는 의미로 인해 도통론과 연계되어 있었다. 소현서원은 주희가 강학했던 백록동서원이나 무이정사와 비교되며 조선의 대은병(大隱屛)으로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노론계 문인들은 제문(祭文)·시문(詩文)·기행문 등 다양한 문학작품을 남기면서 자신들이 소현서원에 방문하여 느낀 사항들을 기록하였다. 송시열은 17세기 후반 이이의 「고산구곡가」를 차운(次韻)한 「고산구곡시(高山九曲詩)」를 그의 문인들과 함께 작성하며 소현서원과 그 주변의 구곡(九曲)을 관념화시키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와 함께 「고산구곡도(高山九曲圖)」와 같은 회화 작품도 노론계를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제작되면서 자신들이 관념화한 이이와 소현서원의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구현했다. 이 과정에서 소현서원은 율곡학파계열 인물들이 필수적으로 방문하는 명승지로 정착되었다. 학파 차원 뿐만 아니라 조정에서도 소현서원은 이이를 배향하는 최초의 서원으로서 주목되었다. 소현서원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심은 다른 사액서원과 마찬가지로 치제(致祭)와 서책을 하사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이외에 묘정비(廟庭碑)의 건립 등과 같은 조치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향은 17세기 후반 문묘종사 이후 선정(先正)으로서 이이의 위상 확립과 연관되어 있었다. 18세기 영조와 정조를 비롯한 이후의 국왕들은 선정(先正)이나 정학(正學)의 상징으로서 이이의 표상을 강조하며, 소현서원을 이이와 동일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소현서원은 학파 뿐만 아니라, 국가 차원에서도 위상이 확립되면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서원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Sohyeon-seowon (소현서원, 紹賢書院) is a Neo-confucian academy constructed by the disciples of Yi Yi (이이, 李珥, 1536~1584) based on Eunbyeong-jeongsa (은병정사, 隱屛精舍), a place that Yi Yi built in Haeju, where the master taught his followers. It is the first seowon that gave a memorial service for Yi Yi, and was also called Seokdam-seowon (석담서원, 石潭書院) after the place name. Eunbyeong-jeongsa grew into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cademy in 1610 when it was recognized by the country under the name of 'Sohyeon-seowon'. Afterwards, the memorial rites and the academic regulation at Sohyeon-seowon influenced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numerous academies not far from it. In this process, Sohyeon-seowon consolidated the status of the school by establishing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solidarity of the members and publishing collected writings of Yi Yi (Yulgok-jip, 『율곡집(栗谷集)』). Sohyeon-seowon upgraded its status as it gradually added to its list of personalities enshrined Zhu Xi (주희, 朱熹), Jo Kwang-jo (조광조, 趙光祖), Yi Hwang (이황, 李滉), Yi Yi, Seong Hon (성혼, 成渾), Kim Jang-saeng (김장생, 金長生), and Song Si-yeol (송시열, 宋時烈). The personalities added for its memorial service were added for the memorialservice at the Confucian Shrine (문묘, 文廟) in the capital city and then at Sohyeon-seowon. The inclusion of personalities for memorial service at the Confucian shrine had to do with the growth of the political and academic group that followed Yi Yi. The process continued through the 17th and the 18th century. The intellectuals who followed Yi Yi's scholarship upheld him as Zhu Xi and thereby worked to set up a unified academic lineage under Yi Yi. In general, such efforts were related to the Neo-Confucian theories such as world view or cosmology. In the process, Sohyeon-seowon was identified with Bailudong-shuyuan (백록동서원, 白鹿洞書院) or Wuyijingshe (무이정사, 武夷精舍), the Neo-Confucian schools run by Zhu Xi while he was alive. Those intellectuals who operated at Sohyeon-seowon left various literary works, in which they recorded how they felt on visiting Sohyeon-seowon. Thus, they contributed to consolidating the status of Sohyeon-seowon. The practice has continued since the 17th century, and the eminent contemporaries often left their traces by creating plaques or stone inscriptions inside or around the academy. Or, they visualized the conceptual images of Yi Yi and Sohyeon-seowon by depicting in paintings the academy and other scenic spots close by. Thus, Sohyeon-seowon established itself as a scenic spot which the academic followers of Yi Yi were required to pay a visit to. As Sohyeon-seowon was the first Neo-confucian academy giving a service in memory of Yi Yi, the country gave special consideration and supports to it. The kings of the Joseon dynasty showed interest in Sohyeon-seowon by sending its officials to give a memorial service at the academy or delivering Neo-Confucian books published by the royalty. This happened as the country was increasingly convinced that Yi Yi was an important personality for the country. Such interest was pronounced from Yeongjo and Jeongjo, the two kings in the 18th century, who directly expressed interest in Yi Yi and Sohyeon-seowon as byhaving people paint the scenes around the academy or having stone inscriptions bearing their own writings erected at the academy. In that process, Sohyeon-seowon had its status consolidated not just for the school but also or the country and established itself as an important seowon of the Joseon period.

      • SCIEKCI등재

        쑥갓 잎에서 터펜노이드계 화합물의 분리 및 동정

        이경동 ( Kyung Bong Lee ),하태정 ( Tae Joung Ha ),이병원 ( Byong Won Lee ),이종록 ( Jong Rok Lee ),이준 ( Jun Lee ),황선우 ( Sun Woo Hwang ),조동령 ( Dong Young Cho ),남상해 ( Sang Hae Nam ),양민석 ( Min Suk Yang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03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46 No.1

        Three terpenoids were isolated from the leaves of Chrysanthemum coronarium L. by silica gel chromatography and recrystalization. The structure of compounds 1, 2, and 3, using various spectroscopic data, were identified as to be terpenoid derivatives of dihydrotulipinolide, loliolide, and 5α, 8α-peroxyergosterol, respectively. The presence of these 3 is the first time reported in this plant. The cytotoxic activity of 5α, 8α-peroxyergosterol showed strong activities against human cancer cell lines such as A549, PC-3, and HCT 11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